KR101470953B1 -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 Google Patents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953B1
KR101470953B1 KR20130109746A KR20130109746A KR101470953B1 KR 101470953 B1 KR101470953 B1 KR 101470953B1 KR 20130109746 A KR20130109746 A KR 20130109746A KR 20130109746 A KR20130109746 A KR 20130109746A KR 101470953 B1 KR101470953 B1 KR 10147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seating
distance
moved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3010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외장 메모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에서, 상기 카드를 인입하고, 또 인출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삽출하기 위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소켓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존의 하트캠과 같은 복잡한 부품을 대체하여, 간단한 구조의 인장스프링,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활용한 입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인장스프링과 금속판을 절곡시킨 구성만으로 간단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 되고, 사출물의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복잡함이 없으며, 취약부 구조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PUSH-PUSH MECHANISM WITH PUSH BEAM AND SLIDING HALL}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외장 메모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에서, 상기 카드를 인입하고, 또 인출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삽출하기 위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소켓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존의 하트캠과 같은 복잡한 부품을 대체하여, 간단한 구조의 인장스프링,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활용한 입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소켓에 직접 삽입되거나, 또는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소켓 결합은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카드를 삽입위치에 록킹하고, 다음에 두 번째 누르는 것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여 카드 등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쉬푸쉬 메카니즘 기구로서 하트캠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켓(100)은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금속성 쉘(120)의 사이 공간으로 접촉편(1a)을 갖는 카드(1)나 이를 수용한 트레이(미도시)가 인입되고, 베이스(110)의 저면 측에는 접촉자(130)가 배치되어 카드(1)의 접촉편(1a)과 접촉되며 통신을 하게 된다.
베이스(110)의 일 측방에는 카드가 입출되는 내외 방향으로 캠슬라이더(14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캠슬라이더(14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150)이 구비되어 캠슬라이더(140)의 내측단을 지지하며 결합되고, 캠부(142)에는 하트캠이 형성되고 이 하트캠에는 핀로드(160)가 연결되어 캠슬라이더(140)가 카드(1) 삽입시에 푸쉬되며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었다가, 다시 카드(1)를 푸쉬하면 스프링(150)의 동작으로 카드(1)를 외측으로 밀어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카드(1)를 잡아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캠슬라이더(140)에 의한 하트캠은 그 형상이 복잡하고, 핀로드 등 연계된 구성을 필요로 하며, 작용 및 동작 자체가 정밀성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외부 충격, 형상 변형이나 조립 불량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다수의 구성을 정밀하게 조립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소켓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푸쉬메카니즘에 의한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푸쉬부재와 이에 대응되는 특유의 슬라이딩홀만으로 하트캠을 대체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사출물 없이 금속의 플레이트를 절곡시킴으로써 취약구조가 없고, 간단한 형상으로 구성되는 슬라이더를 형성할 수 있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한 번의 가압시에 밀려들어 간 후,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추가적으로 가압시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푸쉬푸쉬 방식의 입출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커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제1안착부 및 내측에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홀로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에 대해 외측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쉬부재의 상단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내측 방향으로의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안착부 내로 이동되어 안착되고, 다시 내측 방향으로의 일시적인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었다가, 상기 탄성부재의 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의 측하방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안착부 내로 복귀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푸쉬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부재는: 본체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탄성전달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이 수평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면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본체부에는 돌출형성되어 외력을 주고받기 위한 푸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전달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를 외측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전달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푸쉬부재측 단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쉬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제1안착부에서 상기 제2안착부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이동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에는 상기 커버가 연장된 제2이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2이동부로 인해 상기 제1안착부보다 제1측방향으로 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푸쉬부재의 돌출부는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이동부의 하방을 지나며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가, 상기 제1안착부에 이르게 되면 상단 제한 상태가 해제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착부는: 외측의 제1외벽, 제1측방향의 제1측벽, 내측의 제1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착부는: 외측의 제2외벽, 제1측방향의 제2측벽, 내측의 제2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커버에 형성되며,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만큼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안착부,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제2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2거리보다 짧은 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 내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도록 탄성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의 첫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내에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제2안착부 내에 위치되었다가, 외부의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연장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푸쉬부재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후, 외부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 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통과되다가, 상기 제1거리까지 연장된 홀을 갖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면, 다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방향으로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소켓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며,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동작으로, 기존의 하트캠 구성을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물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인장스프링과 금속판을 절곡시킨 구성만으로 간단하게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정이 단순화 되고, 사출물의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복잡함이 없으며, 취약부 구조가 없어 구조적으로 안정화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한 평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1차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2차 외력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에서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켓도 기존과 다르지 않게, 상측부터 금속성 쉘커버(20), 카드(1), 접촉자(3), 베이스(10)가 배치되고, 그 측방으로는 푸쉬부재(40)와 푸쉬부재(40)를 외측으로 당겨주는 인장성 탄성부재(50, 스프링)가 구비된다. 푸쉬부재(40)는 금속재로 형성되며, 상방으로는 탄성을 갖는 금속성의 탄성연장부(44)가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연장부(44)의 외측 단부 돌출부(47)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쉘커버(20, 또는 커버라 함)로 향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기존의 슬라이더를 대체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푸쉬부재(40)가 하트캠과 슬라이더가 위치될 자리에 형성된다. 푸쉬부재(40)는 쉘커버(20)의 슬라이딩홀(70)에 일부 삽입되어 연동되며, 외측으로는 인장 스프링인 탄성부재(50)가 잡아당기도록 배치된다. 푸쉬부재(409)의 상측에 형성된 외팔보 구조가 쉘커버(20)의 슬라이딩홀(70)에 삽입되어 동작이 진행되며, 탄성부재(50)는 인장 스프링으로서 늘어날때 당기는 힘이 가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한 평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푸쉬부재(40)는 내측에 돌출 형성되는 푸쉬부(41)를 구비하고, 푸쉬부(41)는 심카드가 인입될 때, 심카드의 내측 단부를 지지하며,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힘을 전달 받거나 또는 외측으로 밀어내는 힘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연결부(42)는 본체부(43)의 상방으로 연결되며, 연결부(42)의 상측에는 후방측으로 수평하게 탄성연장부(44)가 형성된다. 연결부(42)에 연결되어 장형으로 연장되는 탄성연장부(44)에 대해 상방, 측방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원활하게 제공하게 된다.
탄성연장부(44)는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본체부(43)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탄성연장부(44)는 외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고, 하방으로도 약간 이동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를 회복하도록 구성된다.
탄성연장부(44)의 단부에는 제1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45)가 구비된다. 제1측방향은 도 7의 (a)기준으로 하측방향이자, 소켓의 우측 바깥쪽 방향을 지칭하는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절곡부(45)는 탄성연장부(44)로부터 꺾여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다시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부(46), 상방 돌출된 상태로 면을 형성하는 돌출부(47)를 구비한다. 돌출부(47)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서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 구비된다. 돌출부(47)가 상방의 제한으로 인해 하측으로 밀리게 되면, 탄성연장부(44)는 하방으로 일정 간격 내려갔다가, 돌출부(47)를 제한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연장부(44)는 다시 수평한 원위치도 돌아오게 된다. 이는 돌출부(47)가 제1, 2측방향으로 움직일 때도 마찬가지로 탄성연장부(44)가 수평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연장부(48)와 돌출부(47) 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경사부(46)나 절곡부(45) 없이, 탄성연장부(48)를 비스듬하게 배치하거나 조절함으로써 절곡부(45)를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경사부(46)가 없더라도 돌출부(47)의 테두리를 완곡하게 형성함으로써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체부(43)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며, 그 단부측이 ㄷ형으로 절곡되며 탄성부재(5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전달부(48)과 걸림홈(49)이 연장 형성된다. 탄성전달부(48)는 탄성부재(50)의 끝부분이 연결되기 위한 부분인데, 스프링의 단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걸림홈(49)이 형성되어, 그 부분에 스프링의 단부를 삽입시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푸쉬부재(40)는 별도의 사출물없이, 하나의 금속 박판을 절개,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는데, 사출물과의 결합 구조의 파손 우려가 없으므로, 제조 공정이 단순해지고 재료를 절감하며, 하트캠과 같은 복잡하고 취약한 정밀 구조가 없어 구조적인 안정성이 더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성부재(50)는 외측에 배치되고, 기존의 압축스프링이 아닌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고, 낭비되는 공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쉘커버(20)의 일측에는 전술한 푸쉬부재(40)의 단부, 즉 돌출부(47)의 이동 부위 근처를 대면하는 슬라이딩홀(7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0)의 하부에는 푸쉬부재(40)가 위치되며, 푸쉬부재(40)은 내외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된다. 통상의 스프링인 탄성부재(50)는 푸쉬부재(40)를 외측 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홀(70)은 ㄷ자와 비슷하게 크게 3개의 영역이 연결된 홀 형상이며, 돌출부(47)는 이 홀 내부에 안착되어 테두리에 지지되기도 하였다가, 이동되기도 하였다가, 홀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 측방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기도 하였다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도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에 탄성부재가 결합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10)에는 코일 인장 스프링인 탄성부재(50)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측 단부는 푸쉬부재(40)의 외측 단부인 절곡된 탄성전달부(48)가 구비된다. 탄성부재(50)의 외측단부는 베이스(10)의 결합홈(12)에 끼워져 결합되고, 내측단부는 푸쉬부재(40)의 탄성전달부(48)에 끼워져 결합된다. 이 때 탄성전달부(48)에는 걸림홈(49)이 형성되고, 코일 스프링은 걸림홈(49)에 일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합홈(12) 및 걸림홈(49)은 모두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으므로, 코일 형의 탄성부재(5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결합시키기에 적합하다. 탄성부재(50)는 베이스(10)에 지지되어, 푸쉬부재(40)의 탄성전달부(48)에 탄성을 전달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쉘커버(20)에는 슬라이딩홀(70)이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부터 제1안착부(710), 제2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이동부(730), 내측의 제2안착부(720)로 구성된다.
제1안착부(710)와 제2안착부(720)의 사이에는 분할부(740)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1측방향은 제1안착부(710)보다 제2안착부가 더 내입된 위치에 있는데, 이 내입되도록 덮는 부분을 제2이동부(728)라 한다.
제1안착부(710)의 외측으로는 홀의 경계로서 제1외벽(712)이 위치되며, 이에 맞닿은 제1측방향으로는 제1측벽(714)이 구비된다. 푸쉬부재(40)의 탄성연장부(44) 등은 쉘커버(20)의 하면에 밀착, 근접된 상태이며, 그 단부의 돌출부(47)는 슬라이딩홀(70)을 관통하여 인입된 상태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외측으로의 탄성부재(50) 당기는 힘에 의해 돌출부(47)는 제1외벽(712)에 걸려 지지된다. 이 때 돌출부(47)의 위치는 탄성연장부(44)가 형성하는 기준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A1) 이내에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2거리(A2) 보다는 외측까지 위치되도록 하고, 제1안착부(710)는 제1거리(A1) 까지 연장되고, 제2안착부(720)는 제2거리(A2) 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이 때 제1거리(A1)는 제2거리(A2)보다 크도록 하고, 그 차이만큼 제2이동부(728)가 커버하고 있다. 푸쉬부재(40)은 탄성에 의해 현재 도면과 같은 상태로 돌출부(47)가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는 소켓 내에 아직 카드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1차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소켓 내로 카드나 트레이가 인입되면 푸쉬부재(40)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서, 외력이 처음 가해지기 시작하는데, (a)와 같이 푸쉬부재(40)가 물러나게 되고, 제1안착부(710) 내에 인입되더 있던 돌출부(47)는 제1내벽(716)과 맞닿으면서 제2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b)와 같이 돌출부(47)가 분할부(740)를 넘어서면서 이동측벽(732)에 맞닿아 슬라이딩되며 제1이동부(730)를 통과하게 된다.
조금 더 내측으로 인입되면 탄성연장부(44)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돌출부(47)는 다시 제1측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제2안착부(720) 쪽으로 삽입된다. 내측으로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에 의한 외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서, 돌출부(47)는 제2안착부(720)의 제2외벽(722) 및 제2측벽(724)에 의해 지지되며 안착된다. 이 때 돌출부(47)는, 제2측벽(724)이 제1측벽(714) 보다 더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상태보다 중심 측으로 가압, 제한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1차적인 푸쉬동작에 의해 카드 인입, 삽입 과정은 종료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2차 외력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카드,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해 2차적인 푸쉬동작을 수행할 때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다시 카드나 트레이에 내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외력이 가해지면, (a)와 같이 푸쉬부재(40)은 내측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돌출부(47)는 제2내벽(726) 또는 이동내벽(734)을 만나게 된다. 이 때 돌출부(47)의 내측 방향에는 경사부(4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쉬부재(40)가 계속적으로 내측으로 이동되면 이 경사를 따라 돌출부(47)는 제2내벽(726) 또는 이동내벽(734)에 밀려 하방으로 이동되며, 쉘커버(20)의 하방으로 인입된다.
즉 (b)와 같이, 탄성연장부(44)가 하방으로 처지면서, 경사부(46) 및 돌출부(47) 순으로 쉘커버(20)의 경계를 타고 하방으로 이동된다. 돌출부(47)가 쉘커버(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순간, 돌출부(47)를 제1측방향에서 제한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탄성연장부(44)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돌출부(47)는 원래의 제1거리(A1)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탄성연장부(44)는 하방으로는 휘어져 있고, 측방으로는 중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일시적인 내측으로의 외력이 제거되면, 외측의 탄성부재(50)에 의해 외측으로의 힘이 가해지면서 이동되는데, 이는 (c)와 같다. 돌출부(47)는 커버(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방이 제한된 상태인데, 외측으로 이동되며 제2안착부(720)의 하방을 지날 때에는, 상방으로 솟아오르려는 탄성이 가해지고 있으나, 제2이동부(728)가 상측 일부를 차단하고 있게 되므로, 계속 쉘커버(20)의 하측에 있는 상태에서 제2안착부(720)의 방해 없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돌출부(4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커버(20)에 의해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 이를 다른 표현으로 하면, 제2안착부(720)는 제2거리만큼만 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부(47)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2거리보다 바깥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홀 내부로 인입이 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부재가 탄성부재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에서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돌출부(47)의 하측 이동은 제2이동부(728) 및 분할부(740)의 하단을 지나, 방해없이 제1안착부(710) 까지 오도록 지속된다.
돌출부(47)가 제1안착부(710)의 하방에 도달하면, (b)와 같이 돌출부(47)의 상방으로 아무런 방해없이 홀이 위치되므로, 탄성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 인입된다. 이는 제1안착부(710)의 제1측방향으로 제2이동부(728)와 같은 구성이 없으며, 제1측벽(714)이 제1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고, 돌출부(67)는 제1거리보다 내측까지만 배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돌출부(47)가 제1안착부(710) 내로 인입된 이후에는 탄성부재(50)의 힘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며, 제1외벽(712), 제1측벽(714)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은 하트캠 방식보다 직관적이고, 단순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카드 삽입,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사출물을 필요로 하지 않음은 물론, 외측에 구비되는 인장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내측에 스프링 배치 공간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베이스 20 : 쉘커버
30 : 접촉자 40 : 푸쉬부재
41 : 푸쉬부 42 : 연결부
43 : 본체부 44 : 탄성연장부
45 : 절곡부 46 : 경사부
47 : 돌출부 48 : 탄성전달부
49 : 걸림홈 50 : 탄성부재
70 : 슬라이딩홀
710 : 제1안착부 712 : 제1외벽
714 : 제1측벽 716 : 제1내벽
720 : 제2안착부 722 : 제2외벽
724 : 제2측벽 726 : 제2내벽
728 : 제2이동부 730 : 제1이동부
732 : 이동측벽 734 : 이동내벽
740 : 분할부

Claims (15)

  1. 한 번의 가압시에 밀려들어 간 후,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추가적으로 가압시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푸쉬푸쉬 방식의 입출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커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제1안착부 및 내측에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홀로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에 대해 외측으로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쉬부재의 상단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내측 방향으로의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안착부 내로 이동되어 안착되고, 다시 내측 방향으로의 일시적인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었다가, 상기 탄성부재의 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의 측하방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안착부 내로 복귀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본체부;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되는 탄성전달부;
    상기 본체부와 연결부로 연결되어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이 수평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면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연결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본체부에는 돌출형성되어 외력을 주고받기 위한 푸쉬부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재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전달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측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푸쉬부재를 외측으로 당기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전달부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상기 푸쉬부재측 단부는 상기 걸림홈에 걸리며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쉬부재의 돌출부가 상기 제1안착부에서 상기 제2안착부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이동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에는 상기 커버가 연장된 제2이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2이동부로 인해 상기 제1안착부보다 제1측방향으로 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푸쉬부재의 돌출부는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이동부의 하방을 지나며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가, 상기 제1안착부에 이르게 되면 상단 제한 상태가 해제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안착부는:
    외측의 제1외벽,
    제1측방향의 제1측벽,
    내측의 제1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외측의 제2외벽,
    제1측방향의 제2측벽,
    내측의 제2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11. 삭제
  12. 커버에 형성되며,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만큼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안착부,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제2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2거리보다 짧은 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 내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도록 탄성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의 첫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내에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제2안착부 내에 위치되었다가, 외부의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연장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하나의 판재를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부재는:
    상기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후, 외부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 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통과되다가, 상기 제1거리까지 연장된 홀을 갖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면, 다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방향으로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KR20130109746A 2013-09-12 2013-09-12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KR10147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46A KR101470953B1 (ko) 2013-09-12 2013-09-12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46A KR101470953B1 (ko) 2013-09-12 2013-09-12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953B1 true KR101470953B1 (ko) 2014-12-09

Family

ID=52678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746A KR101470953B1 (ko) 2013-09-12 2013-09-12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012A1 (ko) * 2021-05-04 2022-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Ic 카드 트레이 배출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807A (ja) * 2003-10-31 2005-05-26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プッシュプッシュ式のイジェクト機構
JP2006294636A (ja) * 2006-07-12 2006-10-26 Jst Mfg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JP2007134265A (ja) * 2005-11-14 2007-05-31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7287438A (ja) * 2006-04-14 2007-11-01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5807A (ja) * 2003-10-31 2005-05-26 Molex Inc カード用コネクタおよびプッシュプッシュ式のイジェクト機構
JP2007134265A (ja) * 2005-11-14 2007-05-31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7287438A (ja) * 2006-04-14 2007-11-01 Hosiden Corp カードコネクタ
JP2006294636A (ja) * 2006-07-12 2006-10-26 Jst Mfg Co Ltd カード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5012A1 (ko) * 2021-05-04 2022-11-10 삼성전자 주식회사 Ic 카드 트레이 배출장치를 가지는 전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US20150155651A1 (en) Tray type card connector
US7488214B2 (en) Memory card connector
US9515410B2 (en) Connector with a slider releasably locked to a housing by a resilient stopper having two points of support for resilient deflection
US20070026299A1 (en) Apparatus for locking detachable battery pack case of portable terminal
KR101228837B1 (ko) 심 카드 소켓
WO2010102169A1 (en) Card connector
KR101850150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US7198498B2 (en) Card connector
CN210607869U (zh) 拉带解锁结构及电性连接结构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CN110098527A (zh) 电线盖及连接器
KR101470953B1 (ko)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KR101460079B1 (ko) 카드용 소켓
KR101419702B1 (ko)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43040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US10620508B2 (en) Optical accessories clip for mobile devices
KR101460076B1 (ko) 단자 변형을 방지하는 카드용 소켓 어댑터
KR10148949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532406B1 (ko) 상하 이동 지지방식 트레이 삽입 소켓
KR101468956B1 (ko) 카드 자동 취출 기능을 갖는 듀얼 카드형 소켓
KR101460073B1 (ko)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KR101602729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1460074B1 (ko) 삽입 체결식 카드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