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702B1 -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 Google Patents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702B1
KR101419702B1 KR1020130075501A KR20130075501A KR101419702B1 KR 101419702 B1 KR101419702 B1 KR 101419702B1 KR 1020130075501 A KR1020130075501 A KR 1020130075501A KR 20130075501 A KR20130075501 A KR 20130075501A KR 101419702 B1 KR101419702 B1 KR 10141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ed
push
seating
distanc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5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길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075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25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being of the push-push kin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31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comprising a slide, carriage or draw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for reading/sensing record carriers having surface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외장 메모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에서, 상기 카드를 인입하고, 또 인출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삽출하기 위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소켓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존의 하트캠과 같은 복잡한 부품을 대체하여, 간단한 구조의 푸쉬빔와 슬라이딩홀을 활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소켓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며,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동작으로, 기존의 하트캠 구성을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PUSH-PUSH MECHANISM WITH PUSH BEAM AND SLIDING HALL}
본 발명은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심 카드, 외장 메모리 카드 등을 결합하기 위한 소켓에서, 상기 카드를 인입하고, 또 인출하기 위한 슬라이더를 삽출하기 위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드나 트레이를 소켓 내부에 결합시키기 위해 기존의 하트캠과 같은 복잡한 부품을 대체하여, 간단한 구조의 푸쉬빔와 슬라이딩홀을 활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MP3 플레이어 등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가입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심(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카드나 데이터 저장을 위한 각종 소형 메모리 카드 등을 단말기에 삽입하거나 또는 인출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러한 각종 카드는 소켓에 직접 삽입되거나, 또는 트레이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는데, 이러한 소켓 결합은 한 번 누르는 것으로 카드를 삽입위치에 록킹하고, 다음에 두 번째 누르는 것으로, 그 록킹을 해제하여 카드 등을 배출위치로 이동시키는 푸쉬푸쉬 메카니즘 기구로서 하트캠 슬라이더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소켓(100)은 베이스(110)와 결합되는 금속성 쉘(120)의 사이 공간으로 접촉편(1a)을 갖는 카드(1)나 이를 수용한 트레이(미도시)가 인입되고, 베이스(110)의 저면 측에는 접촉자(130)가 배치되어 카드(1)의 접촉편(1a)과 접촉되며 통신을 하게 된다.
베이스(110)의 일 측방에는 카드가 입출되는 내외 방향으로 캠슬라이더(140)가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캠슬라이더(140)의 내측으로는 스프링(150)이 구비되어 캠슬라이더(140)의 내측단을 지지하며 결합되고, 캠부(142)에는 하트캠이 형성되고 이 하트캠에는 핀로드(160)가 연결되어 캠슬라이더(140)가 카드(1) 삽입시에 푸쉬되며 내부로 밀려 들어가서 지지되었다가, 다시 카드(1)를 푸쉬하면 스프링(150)의 동작으로 카드(1)를 외측으로 밀어 노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카드(1)를 잡아 꺼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캠슬라이더(140)에 의한 하트캠은 그 형상이 복잡하고, 핀로드 등 연계된 구성을 필요로 하며, 작용 및 동작 자체가 정밀성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외부 충격, 형상 변형이나 조립 불량 등에 의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또한 다수의 구성을 정밀하게 조립하여야 하므로, 생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및 조립에 따른 비용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소켓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는 푸쉬푸쉬메카니즘에 의한 소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푸쉬빔과 이에 대응되는 특유의 슬라이딩홀만으로 하트캠을 대체하는 구성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한 번의 가압시에 밀려들어 간 후,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추가적으로 가압시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푸쉬푸쉬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커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제1안착부 및 내측에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홀로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푸쉬빔; 및 상기 푸쉬빔에 대해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쉬빔의 상단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내측 방향으로의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안착부 내로 이동되어 안착되고, 다시 내측 방향으로의 일시적인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었다가, 상기 탄성부재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의 측하방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안착부 내로 복귀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푸쉬빔은: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빔은: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하는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이 수평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면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상기 제1안착부에서 상기 제2안착부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에는 상기 커버가 연장된 제2이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2이동부로 인해 상기 제1안착부보다 제1측방향으로 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는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이동부의 하방을 지나며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가, 상기 제1안착부에 이르게 되면 상단 제한 상태가 해제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안착부는: 외측의 제1외벽, 제1측방향의 제1측벽, 내측의 제1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안착부는: 외측의 제2외벽, 제1측방향의 제2측벽, 내측의 제2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부는: 수평의 상기 탄성연장부보다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커버에 형성되며,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만큼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안착부,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제2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2거리보다 짧은 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 내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도록 탄성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의 첫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내에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제2안착부 내에 위치되었다가, 외부의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연장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푸쉬빔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후, 외부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 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통과되다가, 상기 제1거리까지 연장된 홀을 갖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면, 다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방향으로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1) 커버의 슬라이딩홀의 제1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푸쉬빔의 돌출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외력에 의해 제1이동부로 이동되는 단계; (2) 상기 제1이동부를 지난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제1측방향에 형성된 제2안착부에 이르러 탄성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 내부로 인입되며 이동되는 단계; (3) 다시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 (4)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방에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5) 상기 (3)단계에서의 외력이 제거되면, 내측의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6)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외측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한 구조와 방식으로 카드나 트레이가 소켓 내에 용이하게 안착되고 이탈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불량을 줄이고, 제조 원가를 감소시키며,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동작으로, 기존의 하트캠 구성을 대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소켓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소켓 구조가 결합된 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과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과 슬라이더의 정면, 평면,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쉘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의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1차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2차 외력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탄성부재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에서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소켓도 기존과 다르지 않게, 상측부터 금속성 쉘커버(20), 카드(1), 접촉자(3), 베이스(10)가 배치되고, 그 측방으로는 슬라이더(40)와 슬라이더(40)를 외측으로 밀어주는 탄성부재(50, 스프링)가 구비된다. 슬라이더(40)의 외측으로는 탄성을 갖는 금속성의 푸쉬빔(60)이 결합되어 있으며, 푸쉬빔(60)의 외측 단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쉘커버(20, 또는 커버라 함)로 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과 슬라이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과 슬라이더의 정면, 평면,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40)는 기존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데, 하트캠이 위치될 자리에 외측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푸쉬빔(60) 결합되어 있다.
푸쉬빔(60)은 내측 단부에는 고정부(62)가 형성되며, 슬라이더(40) 내에 인서트 몰딩이나 압입방식으로 결합된다. 고정부(62)에 연결되어 장형으로 연장되는 탄성연장부(64)에 대해 상방으로의 탄성 가압력을 원활하게 제공하기 위해, 또는 슬라이더(40)의 형상을 얇게 유지하기 위해, 고정부(62)는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연장부(64)는 후방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슬라이더(40)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평행상태를 유지한다. 탄성연장부(64)는 회력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탄성 이동되고, 하방으로도 약간 이동되었다가 다시 원위치를 회복하도록 구성된다.
탄성연장부(64)의 단부에는 제1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65)가 구비된다. 제1측방향은 도 6의 (a)기준으로 하측방향이자, 소켓의 우측 바깥쪽 방향을 지칭하는데, 이는 실시예에 따라 바뀔 수 있을 것이다.
절곡부(65)는 탄성연장부(64)로부터 꺾여 외측을 향해 연장되며, 다시 상방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경사부(66), 상방 돌출된 상태로 면을 형성하는 돌출부(67)를 구비한다. 돌출부(67)는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로서 상단을 지지하기 위한 부분이 구비된다. 돌출부(67)가 상방의 제한으로 인해 하측으로 밀리게 되면, 탄성연장부(64)는 하방으로 일정 간격 내려갔다가, 돌출부(67)를 제한하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연장부(64)는 다시 수평한 원위치도 돌아오게 된다. 이는 돌출부(67)가 제1, 2측방향으로 움직일 때도 마찬가지로 탄성연장부(64)가 수평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쉘커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쉘커버의 하측에 배치된 상태를 투영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쉘커버(20)의 일측에는 전술한 푸쉬빔(60)의 단부, 즉 돌출부(67)의 이동 부위 근처를 대면하는 슬라이딩홀(70)이 형성된다.
슬라이딩홀(70)의 하부에는 푸쉬빔(60)이 위치되며, 푸쉬빔(60)은 슬라이더(40)와 함께 내외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이동된다. 통상의 스프링인 탄성부재(50)는 슬라이더(40)와 푸쉬빔(60)을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도록 결합된다.
슬라이딩홀(70)은 ㄷ자와 비슷하게 크게 3개의 영역이 연결된 홀 형상이며, 돌출부(67)는 이 홀 내부에 안착되어 테두리에 지지되기도 하였다가, 이동되기도 하였다가, 홀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 측방의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이동되기도 하였다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도 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의 슬라이딩홀에 안착된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쉘커버(20)에는 슬라이딩홀(70)이 형성되어 있는데, 외측부터 제1안착부(710), 제2측방향으로 연결되는 제1이동부(730), 내측의 제2안착부(720)로 구성된다.
제1안착부(710)와 제2안착부(720)의 사이에는 분할부(740)가 돌출되어 있으며, 제1측방향은 제1안착부(710)보다 제2안착부가 더 내입된 위치에 있는데, 이 내입되도록 덮는 부분을 제2이동부(728)라 한다.
제1안착부(710)의 외측으로는 홀의 경계로서 제1외벽(712)이 위치되며, 이에 맞닿은 제1측방향으로는 제1측벽(714)이 구비된다. 푸쉬빔(60)은 쉘커버(20)의 하면에 밀착, 근접된 상태이며, 그 단부의 돌출부(67)는 슬라이딩홀(70)을 관통하여 인입된 상태이다. 초기 상태에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의 탄성부재(50) 가압에 의해 돌출부(67)는 제1외벽(712)에 걸려 지지된다. 이 때 돌출부(67)의 위치는 푸쉬빔(60)의 탄성연장부(64)가 형성하는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A1) 이내에 있도록 하는 동시에 제2거리(A2) 보다는 외측까지 위치되도록 하고, 제1안착부(710)는 제1거리(A1) 까지 연장되고, 제2안착부(720)는 제2거리(A2) 까지 연장되도록 한다.
이 때 제1거리(A1)는 제2거리(A2)보다 크도록 하고, 그 차이만큼 제2이동부(728)가 커버하고 있다. 푸쉬빔(60)은 탄성에 의해 현재 도면과 같은 상태로 돌출부(67)가 위치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는 소켓 내에 아직 카드가 인입되기 전의 상태, 즉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1차 외력에 의해 인입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소켓 내로 카드나 트레이가 인입되면 슬라이더(40)를 내측으로 밀게 되면서, 외력이 처음 가해지기 시작하는데, (a)와 같이 푸쉬빔(60)이 물러나게 되고, 제1안착부(710) 내에 인입되더 있던 돌출부(67)는 제1내벽(716)과 맞닿으면서 제2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된다. (b)와 같이 돌출부(67)가 분할부(740)를 넘어서면서 이동측벽(732)에 맞닿아 슬라이딩되며 제1이동부(730)를 통과하게 된다.
조금 더 내측으로 인입되면 푸쉬빔(6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돌출부(67)는 다시 제1측방향으로 밀려나면서 제2안착부(720) 쪽으로 삽입된다. 내측으로의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부재(50)에 의한 외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면서, 돌출부(67)는 제2안착부(720)의 제2외벽(722) 및 제2측벽(724)에 의해 지지되며 안착된다. 이 때 돌출부(67)는, 제2측벽(724)이 제1측벽(714) 보다 더 인입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 상태보다 중심 측으로 가압, 제한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1차적인 푸쉬동작에 의해 카드 인입, 삽입 과정은 종료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2차 외력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카드, 트레이를 인출하기 위해 2차적인 푸쉬동작을 수행할 때의 동작에 관한 것으로서, 다시 카드나 트레이에 내측으로의 외력이 가해지게 된다.
외력이 가해지면, (a)와 같이 푸쉬빔(60)은 내측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돌출부(67)는 제2내벽(726) 또는 이동내벽(734)을 만나게 된다. 이 때 돌출부(67)의 내측 방향에는 경사부(6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푸쉬빔(60)이 계속적으로 내측으로 이동되면 이 경사를 따라 돌출부(67)는 제2내벽(726) 또는 이동내벽(734)에 밀려 하방으로 이동되며, 쉘커버(20)의 하방으로 인입된다.
즉 (b)와 같이, 탄성연장부(64)가 하방으로 처지면서, 경사부(66) 및 돌출부(67) 순으로 쉘커버(20)의 경계를 타고 하방으로 이동된다. 돌출부(67)가 쉘커버(20)의 하방에 위치되는 순간, 돌출부(67)를 제1측방향에서 제한하는 구성이 없으므로, 탄성연장부(64)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며 돌출부(67)는 원래의 제1거리(A1) 위치로 복귀된다. 이 때 탄성연장부(64)는 하방으로는 휘어져 있고, 측방으로는 중심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일시적인 내측으로의 외력이 제거되면, 내측의 탄성부재(50)에 의해 외측으로의 힘이 가해지면서 이동되는데, 이는 (c)와 같다. 돌출부(67)는 커버(20)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방이 제한된 상태인데, 외측으로 이동되며 제2안착부(720)의 하방을 지날 때에는, 상방으로 솟아오르려는 탄성이 가해지고 있으나, 제2이동부(728)가 상측 일부를 차단하고 있게 되므로, 계속 쉘커버(20)의 하측에 있는 상태에서 제2안착부(720)의 방해 없이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돌출부(67)의 전부 또는 일부는 커버(20)에 의해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 이를 다른 표현으로 하면, 제2안착부(720)는 제2거리만큼만 홀이 형성되어 있으나, 돌출부(67)는 전부 또는 일부가 제2거리보다 바깥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홀 내부로 인입이 되지 않는다고 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푸쉬빔이 탄성부재에 의해 쉘커버의 하방에서 다시 외측으로 이동되어 초기상태로 복귀하는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a)와 같이 돌출부(67)의 하측 이동은 제2이동부(728) 및 분할부(740)의 하단을 지나, 방해없이 제1안착부(710) 까지 오도록 지속된다.
돌출부(67)가 제1안착부(710)의 하방에 도달하면, (b)와 같이 돌출부(67)의 상방으로 아무런 방해없이 홀이 위치되므로, 탄성에 의해 상방으로 돌출, 인입된다. 이는 제1안착부(710)의 제1측방향으로 제2이동부(728)와 같은 구성이 없으며, 제1측벽(714)이 제1거리만큼 떨어져 형성되고, 돌출부(67)는 제1거리보다 내측까지만 배치되도록 형성되기 때문이다.
돌출부(67)가 제1안착부(710) 내로 인입된 이후에는 탄성부재(50)의 힘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며, 제1외벽(712), 제1측벽(714)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은 하트캠 방식보다 직관적이고, 단순한 것으로서,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카드 삽입, 탈거가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베이스 20 : 쉘커버
30 : 접촉자 40 : 슬라이더
50 : 탄성부재 60 : 푸쉬빔
62 : 고정부 64 : 탄성연장부
65 : 절곡부 66 : 경사부
67 : 돌출부 70 : 슬라이딩홀
710 : 제1안착부 712 : 제1외벽
714 : 제1측벽 716 : 제1내벽
720 : 제2안착부 722 : 제2외벽
724 : 제2측벽 726 : 제2내벽
728 : 제2이동부 730 : 제1이동부
732 : 이동측벽 734 : 이동내벽
740 : 분할부

Claims (12)

  1. 한 번의 가압시에 밀려들어 간 후,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가, 다시 추가적으로 가압시에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푸쉬푸쉬장치에 있어서,
    상측의 커버에 형성되며, 외측에는 제1안착부 및 내측에는 제2안착부가 구비되는 슬라이딩홀;
    상기 커버의 하측에 내외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홀로 상단 일부가 삽입되는 푸쉬빔; 및
    상기 푸쉬빔에 대해 외측으로 미는 힘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푸쉬빔의 상단 일부는,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위치되어 있다가, 내측 방향으로의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에 상기 제2안착부 내로 이동되어 안착되고, 다시 내측 방향으로의 일시적인 외부 가압이 있는 경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었다가, 상기 탄성부재의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의 측하방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1안착부 내로 복귀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빔은:
    상기 탄성부재가 지지하는 슬라이더에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이 수평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로부터 상방으로 경사지며 돌출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외측에 상방으로 돌출된 면이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홀은:
    상기 제1안착부 및 상기 제2안착부를 분할하는 분할부의 측방에, 상기 제1안착부와 상기 제2안착부가 연결되는 제1이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상기 제1안착부에서 상기 제2안착부로 이동될 때, 상기 이동부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에는 상기 커버가 연장된 제2이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2안착부는 상기 제2이동부로 인해 상기 제1안착부보다 제1측방향으로 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제2안착부로부터 내측으로 이탈되어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는 외측으로 이동시 상기 제2이동부의 하방을 지나며 상단이 제한되어 있다가, 상기 제1안착부에 이르게 되면 상단 제한 상태가 해제되며 상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안착부는:
    외측의 제1외벽,
    제1측방향의 제1측벽,
    내측의 제1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안착부는:
    외측의 제2외벽,
    제1측방향의 제2측벽,
    내측의 제2내벽이 테두리로 구비되며,
    제2측방향으로는 상기 제1이동부와 연결되도록 개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수평의 상기 탄성연장부보다 하방을 향하여 절곡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8. 커버에 형성되며,
    중심위치로부터 제1거리만큼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1안착부,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제2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제2안착부, 및
    상기 제2거리보다 짧은 거리까지 홀이 형성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거리는 상기 제2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홀; 및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딩홀 내로 인입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탄성에 의해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도록 탄성연장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외부의 첫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1안착부 내에서 상기 이동부를 따라 상기 제2안착부 내에 위치되었다가, 외부의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시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탄성연장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돌출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는 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빔은 내측에서 외측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두 번째 가압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된 후, 외부 가압력이 제거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외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커버의 하측에서 상기 제1거리보다 가깝고 상기 제2거리보다 먼 위치를 유지한 상태로 외측으로 통과되다가, 상기 제1거리까지 연장된 홀을 갖는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면, 다시 상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내측 방향으로는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빔은: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탄성연장부; 및
    상기 탄성연장부의 단부측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탄성연장부는 상기 고정부를 중심으로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 더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의 제1측방향 단부보다는 덜 제1측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12. (1) 커버의 슬라이딩홀의 제1안착부에 안착되어 있는 푸쉬빔의 돌출부가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외력에 의해 제1이동부로 이동되는 단계;
    (2) 상기 제1이동부를 지난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제1측방향에 형성된 제2안착부에 이르러 탄성에 의해 상기 제2안착부 내부로 인입되며 이동되는 단계;
    (3) 다시 외측에서 내측으로의 외력에 의해 상기 푸쉬빔의 돌출부가 상기 제2안착부보다 내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커버의 하방으로 내려가는 단계;
    (4)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방에서 탄성에 의해 상기 제1측방향으로 이동되는 단계;
    (5) 상기 (3)단계에서의 외력이 제거되면, 내측의 탄성부재에 의해 내측에서 외측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며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외측으로 이동되는 단계; 및
    (6) 상기 돌출부가 상기 커버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로 외측으로 이동되다가, 상기 제1안착부의 하방에 이르게 되면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안착부 내에 인입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방법.
KR1020130075501A 2013-06-28 2013-06-28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KR10141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01A KR101419702B1 (ko) 2013-06-28 2013-06-28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5501A KR101419702B1 (ko) 2013-06-28 2013-06-28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9702B1 true KR101419702B1 (ko) 2014-07-15

Family

ID=51742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5501A KR101419702B1 (ko) 2013-06-28 2013-06-28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7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781B2 (en) 2021-07-1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524A (ja) 1999-03-11 2000-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ッシュ−プッシュ式カード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0524A (ja) 1999-03-11 2000-09-2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プッシュ−プッシュ式カード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17781B2 (en) 2021-07-15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r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8837B1 (ko) 심 카드 소켓
US9515410B2 (en) Connector with a slider releasably locked to a housing by a resilient stopper having two points of support for resilient deflection
US8460019B2 (en) Card connector with separable card tray
US7244130B2 (en) Card connector having ejection mechanism
US20120009808A1 (en) Card connector
KR101641104B1 (ko) 접촉 불량 방지 기능을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135860B1 (ko) 메모리 카드 소켓 및 그 메모리 카드 소켓의 하트 캠
US20160079705A1 (en) Connector
JP2013225465A (ja) メモリカード用コネクタ
WO2019165914A1 (zh) 电连接器结构及移动终端
KR101745807B1 (ko) 트레이 및 이를 구비하는 카드 커넥터
KR101419702B1 (ko) 푸쉬빔과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푸쉬푸쉬장치 및 푸쉬푸쉬방법
KR101460079B1 (ko) 카드용 소켓
KR101470953B1 (ko) 푸쉬부재와 슬라이딩홀을 이용한 입출장치
KR101430406B1 (ko) 이탈 방지 기능을 갖는 카드용 소켓
KR101741436B1 (ko) 카드용 커넥터
KR101460076B1 (ko) 단자 변형을 방지하는 카드용 소켓 어댑터
US10620508B2 (en) Optical accessories clip for mobile devices
KR101489495B1 (ko) 듀얼 메모리 카드용 소켓
KR101532406B1 (ko) 상하 이동 지지방식 트레이 삽입 소켓
KR101673861B1 (ko) 콘텍트의 절연 구조를 갖는 커넥터 장치
KR101460073B1 (ko) 트레이 삽입방식 소켓
JP2015185422A (ja) カード用コネクタ
KR101602729B1 (ko) 트레이의 인출이 용이한 커넥터 시스템
KR101847783B1 (ko) 용이하게 조립되고 사용이 편리하면서 안전하게 통행요금이 징수되는 하이패스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