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7087A -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7087A
KR20150087087A KR1020140181386A KR20140181386A KR20150087087A KR 20150087087 A KR20150087087 A KR 20150087087A KR 1020140181386 A KR1020140181386 A KR 1020140181386A KR 20140181386 A KR20140181386 A KR 20140181386A KR 20150087087 A KR20150087087 A KR 20150087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lass
distance
forming sealant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714B1 (ko
Inventor
카오 치-런
선 밍-치엔
리우 쿠에이-링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87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7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4Parallel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multiple OLE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2Containers
    • H10K50/8426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8Dummy elements, i.e. elements having non-functional featur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40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 H10K71/421Thermal treatment, e.g. annealing in the presence of a solvent vapour using coherent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laser annea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및 유기 발광층 주변에 배치된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이때, 제1 각도는 상기 제1 부분과 제1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 및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 (이때, 제2 각도는 상기 제2 부분과 제2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는 상이하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본 출원은 2014년 1월 21일 출원된 대만 특허출원번호 103102127호를 우선권 주장하며, 그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더욱 자세하게는, 특정 구조를 갖는 유리-형성 실란트(glass-forming sealant)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OLED 표시 장치는 경량이고 두께가 아주 얇고, 또 고 휘도, 신속한 응답, 광시야각, 백라이트 요건을 갖지 않고, 저 제조 비용 및 유연성의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OLED 표시 장치는 스마트폰, 패드, 노트북 및 모니터와 텔레비젼과 같은 다양한 전자 장치의 표시 패널에 적용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OLED 표시 패널의 경우, 수명 감소를 유발하는 1가지 중요한 인자는 오염과 수분에 의한 부식이다. 따라서, 양호한 수분 차단 특성과 공기 불투과성을 갖는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널을 밀봉하기 위해 탁월한 수분 차단 특성과 공기 불투과성을 갖는 결합제(binder)를 사용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OLED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 박막 트랜지스터 유닛 및 OLED 유닛이 하부 기판 상에 먼저 형성된 다음, 얻어진 하부 기판을 스페이서(spacer)가 위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기판에 조립하여 OLED 표시 장치를 수득한다. 상기 하부 기판 및 상부 기판 양쪽이 유리 기판일 경우, 유리-형성 실란트를 사용하여 상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을 팩케이징하여 OLED 표시 장치를 형성하는데, 이는 양호한 수분 차단 특성 및 공기 불투과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조립 공정 이후 유리-형성 실란트의 구조가 잘 설계되어 있지 않으면, 유리-형성 실란트와 상기 하부 및 상부 기판 사이의 접착이 충분히 양호하지 않아, 기판으로부터 유리-형성 실란트가 박리되거나 또는 유리-형성 실란트에 존재하는 균열로 인하여 수분 투과를 초래하는 문제를 유발하고; 또 이들 문제는 OLED 표시 장치의 제조 속도 감소를 초래한다. 따라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실란트와 기판 사이의 접착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특정 구조를 갖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에 포함된 유리-형성 실란트가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와 상부/하부 기판 사이의 접착을 증가시키는 특정 구조를 가져서 그의 수분 차단 특성 및 공기 불투과성이 더욱 향상된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요지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및 유기 발광층 주변에 배치된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이때, 제1 각도는 상기 제1 부분과 제1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 및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이때, 제2 각도는 상기 제2 부분과 제2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는 상이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요지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표면을 갖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각도는 제1 표면에 인접하는 제1 부분에 대한 제1 접선(tangent line)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2 표면에 인접하는 제2 부분에 대한 제2 접선 사이에 포함되며, 상기 제1 각도 및 제2 각도는 90°보다 작고 또 상기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용어 "제1/제2 접선"은 유리-형성 실란트의 제1/제2 부분의 주변의 최적화된 곡선에 대하여 접선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및 유기 발광층 주변에 배치된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가 그의 한 섹션(section)의 최대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한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발명의 상기 요지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 각각은 그의 섹션의 제1 폭, 제2 폭 및 제3 폭을 갖고, 또 상기 제3 폭은 상기 제1 폭과 제2 폭보다 더 크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고 제1 측(side)을 갖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측과 인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제1 기판에 연결되며 제1 측으로부터 제1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1 말단; 제2 기판에 연결되며 제1 측으로부터 제2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2 말단; 및 제1 말단과 제2 말단 사이에 위치하며 제1 측으로부터 제3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3 말단을 갖고, 상기 제1 거리는 제2 거리와 동일하지 않고, 또 상기 제3 거리는 상기 제1 거리 또는 상기 제2 거리보다 더 짧다.
본 발명의 상기 요지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3 거리는 상기 제1 거리 또는 제2 거리보다 더 짧을 수 있다. 다르게는,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과 인접하는 제1 연장부(extension part),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인접하는 돌출부(protrusion part)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1 말단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2 말단, 제3 말단 및 제4 말단을 가지며, 상기 제3 말단은 상기 제2 말단과 제4 말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4 말단은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고 또 상기 제1 측으로부터 제4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제3 거리보다 짧고, 또 상기 제3 거리는 제2 거리 및 제4 거리보다 짧다. 그렇지 않으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2 연장부에 인접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제2 말단을 갖고, 상기 돌출부는 제1 말단, 제3 말단 및 제5 말단을 가지며, 상기 제3 말단은 상기 제1 말단과 제5 말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5 말단은 상기 제2 연장부에 연결되고 또 제1 측으로부터 제5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거리는 제3 거리 보다 짧고, 또 상기 제3 거리는 제1 거리 및 제5 거리 보다 짧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고 또 제1 측을 갖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또 상기 제1 측에 인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과 인접하는 제1 연장부,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와 제2 연장부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제1 기판에 연결되고 또 상기 제1측으로부터 제1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1 말단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제2 기판에 연결되고 또 제1측으로부터 제2 거리로 떨어져 있는 제2 말단을 가지며; 또 상기 돌출부는 제3 말단, 제4 말단 및 제5 말단을 가지며, 상기 제3 말단은 제4 말단과 제5 말단 사이에 위치하며 또 상기 제1측으로부터 제3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4 말단은 상기 제1 연장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측으로부터 제4 거리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5 말단은 제2 연장부에 연결되고 또 제1측으로부터 제5 거리로 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리 및 제2 거리는 각각 제3 거리보다 작고, 또 상기 제3 거리는 양쪽 제4 거리 및 제5 거리보다 짧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요지는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및 유기 발광층 주변에 배치되는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2 기판은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을 포함하고, 또 상기 금속선 영역에 상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의 섹션의 폭은 비-금속선 영역에 상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의 섹션의 폭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상기 요지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1 부분, 금속선 영역은 복수의 금속 트레이스(metal trace), 복수의 구멍(hole)을 갖는 금속층,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금속선 영역은 더미 패턴(dummy pattern)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적어도 2개 요지는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에 동시에 포함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상기 용어 "섹션"은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의 종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섹션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상기 특징은 첨부 도면과 조합할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각각 제1 마더 기판(mother substrate)과 제2 마더 기판을 조립하기 전의 제1 마더 기판과 제2 마더 기판을 도시하는 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제1 마더 기판 및 제2 마더 기판을 서로 조립하기 전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상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 상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 상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또
도 11은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세한 방식으로 기재되었으며, 또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는 제한이라기 보다는 설명의 성질인 것으로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이는 상술한 가르침의 측면에서 가능하다. 그러므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자세하게 기재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한다.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라 제1 마더 기판 및 제2 마더 기판을 서로 조립하기 전의 제1 마더 기판과 제2 마더 기판을 도시하는 투시도인 도 1을 참조한다. 먼저, 모두 유리 기판인 제1 마더 기판(11) 및 제2 마더 기판(12)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더 기판은 유리-형성 실란트(111)에 의해 먼저 코팅된 다음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가열 경화되어 상기 제1 마더 기판(11) 상에 고정된다. 본 실시양태에서, 약 350 ㎛ 내지 2000㎛의 폭을 갖는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스크린 인쇄(screening printing) 또는 글루 분배 공정(glue dispensing process)을 통하여 제1 마더 기판(11) 상에 형성된다. 이어,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형성되어 있는 제1 마더 기판(11)은 80℃ 내지 200℃로 가열되어 유리-형성 실란트(111) 중의 용매를 제거하며, 350℃~550℃로 가열되어 유기 성분을 탄화시킨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술한 온도 범위 및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폭은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제1 마더 기판(11) 상에 고정될 수 있는 한, 그 유형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단면선 A-A'을 따른 유리-형성 실란트의 단면도인 도 2를 참조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상기 제1 마더 기판(11)과 접촉하는 제1 측(111a) 및 상기 제1측(111a)과 대향하는 제2 측(111b)을 갖고, 상기 제2 측(111b)은 거친 표면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1 측(111a)의 폭(L1)은 제2 측(111b)의 폭(L2)보다 크고; 또 상기 제1 측(111a)의 폭(L1)은 제2 측(111b)의 폭(L2)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 ㎛ 더 크다(L1-L2 ≥ 25 ㎛).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폭(L2)은 약 600 ㎛ 이고, 또 상기 폭(L1)은 약 650 ㎛이다. 그러나,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폭(L1) 및 상기 폭(L2)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유리 분말 및 결합제를 함유하는 혼합물로 제조된 프릿 실란트(frit sealant)와 같은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실란트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유리 분말은, 실란트가 소결 후 유리 기판에 잘 접착될 수 있고 또 양호한 수분 차단 특성과 공기 불투과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한, 세라믹 분말과 같은 다른 물질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글루(112)는 소정 거리에서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주변을 따라 및 제1 마더 기판(11)의 에지(edge)를 따라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 글루(112)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UV 글루일 수 있다.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 및 프레임 글루(112)는 스크린 인쇄 또는 글루 분배 공정과 같은 당해 분야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 공정을 통하여 제1 마더 기판(1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 발광층(121)은 제2 마더 기판(12) 상에 형성된다. 여기서, 단말 유닛(terminal unit)(122) 및 금속선 영역(123)은 상기 제2 마더 기판(12) 상에 더 형성되며, 또 상기 금속선 영역(123)은 복수의 금속 트레이스, 복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층,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유기 발광층(121) 만이 도 1에 도시된다. 그러나, 당해 업자는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가 박막 트랜지스터 유닛 및 2개의 전극 및 그 사이에 협지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OLED 유닛과 같은 다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또 상기 OLED 유닛은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또는 전자 수송층과 같은 유기 발광층의 효율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유닛의 상세한 구조는 기재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 실시양태에서, 오직 하나의 유기 발광층(121), 하나의 유리-형성 실란트(111) 및 하나의 프레임 글루(112)가 도 1에 도시된다. 그러나, 당해 업자는 본 발명의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복수의 유기 발광층(121) 및 복수의 유리-형성 실란트(111) (및 일부 경우에서 복수의 프레임 글루(112))가 제1 마더 기판(11) 및 제2 마더 기판(12) 상에서 어레이로 형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프레임 글루(112)는 UV 방사선에 의해 경화되며, 도 1에 도시된 상기 제1 마더 기판(11) 및 제2 마더 기판(12)은 서로 조립되며 또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 및 프레임 글루(112)는 유기 발광층(121)에 상응하고 그를 둘러싼다. 이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레이저에 의해 소결되어 제2 마더 기판(12) 상에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를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1 마더 기판(11) 및 제2 마더 기판(12)은 절단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를 얻는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는 제1 기판(11'); 제1 기판(11')에 대향하는 제2 기판(12') (즉.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상기 제1 기판(11')과 제2 기판(12')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121); 및 상기 제1 기판(11')과 제2 기판 사이 및 상기 유기 발광층(121) 외부 주변 근처에 배치된 유리-형성 실란트(11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는 구동 유닛(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본 실시양태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상세한 구조를 이하에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도 4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른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한다. 여기서, 본 실시양태의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1 기판(11')에 인접한 제1 부분(R1) (이때, 제1 각도(θ1)가 제1 부분(R1)과 제1 기판(11')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 및 제2 기판(12')에 인접하는 제2 부분(R2)(이때, 제2 각도(θ2)가 제2 부분(R2)과 제2 기판(12')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을 포함하고, 또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와는 상이하다.
더욱 자세하게는, 상기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1 기판(11')은 제1 표면(11a)을 갖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표면(12a)을 가지며, 상기 제1 각도(θ1)는 제1 표면(11a)에 인접하는 제1 부분(R1)에 대한 제1 접선 사이에 포함되며, 또 제2 각도(θ2)는 제2 표면(12a)에 인접하는 제2 부분(R2)에 대한 제2 접선 사이에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와는 상이하고 이들 모두는 90°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각각 20°내지 70° 범위이다.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제1/제2 접선"은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제1/제2 부분(R1/R2)의 주변의 최적화된 곡선(optimized curve)에 대한 접선이다.
도 4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른 본 실시양태의 유리-형성 실란트 부분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제1 각도(θ1)는 약 37.87°이고 또 좌측의 제2 각도(θ2)는 약 42.40°이다. 또한, 우측의 제1 각도(θ1)는 약 25.82°이고 또 우측의 제2 각도(θ2)는 약 27.76°이다. 그러나, OLED 표시 장치 중의 유리-형성 실란트와 기판 사이에 포함된 각도는 상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는 다른 단면선을 따라 유리-형성 실란트의 다른 부분에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각도(θ1) 및 제2 각도(θ2)의 각도 사이의 관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또 상기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 보다 더 크거나 또는 작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각도(θ1)는 제2 각도(θ2) 보다 작다.
본 실시양태에서, 제2 각도(θ2)보다 작은 제1 각도(θ1)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고 또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의 형상은 초점 길이, 각도, 적용 시간 및 적용된 에너지 빔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유리-형성 실란트의 유형 및 점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1 기판(11')에 인접하는 제1 부분(R1); 제2 기판(12')에 인접하는 제2 부분(R2); 및 제1 부분(R1)과 제2 부분(R2) 사이에 위치하고 또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그 섹션의 최대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R3)을 포함한다.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섹션"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형성 실란트의 종방향과 수직하는 섹션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유리-형성 실란트의 일개 부분에서, 제1 기판(11')에 인접하는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제1 부분(R1)은 제1 폭(T1)을 갖고,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R2)은 제2 폭(T2)을 가지며,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최대 폭을 갖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3 부분(R3)은 제3 폭(T3)을 갖고, 또 상기 제3 폭(T3) (및 특히, 최대 폭)은 상기 제1 폭(T1) 및 제2 폭(T2)보다 더 크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폭(T1)은 제2 폭(T2)보다 더 크다. 도 4에 도시된 단면선 B-B'를 따른 본 실시양태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섹션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폭(T1)은 약 640 ㎛이고, 상기 제2 폭(T2)은 약 610 ㎛이며, 또 상기 제3 폭(T3)은 약 650 ㎛이다. 그러나,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폭은 상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단면선을 따른 유리-형성 실란트의 다른 섹션에서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제2 기판의 제1 측(12b) (제2 기판의 에지뿐만 아니라 그로부터 제1 기판(11')의 에지로 연장되는 연장 표면을 비롯한)(점선으로 표시)을 기본으로 하여,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1 기판(11')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떨어진 제1 말단(P1); 제2 기판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로부터 제2 거리(D2)로 떨어진 제2 말단(P2); 및 상기 제1 말단(P1)과 제2 말단(P2) 사이에 위치하며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3 거리(D3)로 떨어진 제3 말단(P3)을 가지며, 상기 제1 거리(D1)는 제2 거리(D2)와 동일하지 않고, 또 상기 제3 거리(D3)는 제1 거리(D1) 또는 제2 거리(D2)보다 더 짧다.
더욱 자세하게는,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3 거리(D3)는 제1 거리(D1)와 제2 거리(D2)보다 더 짧다. 여기서, 상기 제1 거리(D1)는 약 360 ㎛이고, 상기 제2 거리는 약 390 ㎛이며, 또 상기 제3 거리는 약 350 ㎛이다. 그러나, OLED 표시 장치의 유리-형성 실란트의 상술한 거리는 상술한 값에 한정되지 않고, 또 다른 단면선을 따라 유리-형성 실란트의 다른 부분에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5에 도시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좌측(즉, 제1 기판(11') 및/또는 제2 기판(12')에 가까운 그의 측면)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1 기판(11')에 인접한 제1 연장부(1111) 및 제1 연장부(1111)에 인접한 돌출부(1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1111)는 제1 말단(P1)을 갖고, 상기 돌출부(1112)는 제2 말단(P2), 제3 말단(P3) 및 제4 말단(P4)을 가지며, 또 상기 제3 말단(P3)은 상기 제2 말단(P2)과 제4 말단(P4)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1 말단(P1)은 제1 기판(11')에 연결되고 제1 측(12b)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2 말단(P2)은 제2 기판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2 거리(D2)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4 말단(P4)은 제1 연장부(1111)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4 거리(D4)로 떨어져 있으며; 또 상기 제3 말단(P3)은 제1 측(12b)으로부터 제3 거리(D3)로 떨어져 있다. 상기 제1 거리(D1)는 제3 거리(D3)보다 더 짧고 또 상기 제3 거리(D3)는 제2 거리(D2)와 제4 거리(D4)보다 더 짧다. 또한, 상기 제2 거리(D2) 및 제4 거리(D4)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부분에서, 상기 제1 거리(D1)는 약 220 ㎛이고, 상기 제2 거리(D2)는 약 460 ㎛이며, 상기 제3 거리(D3)는 약 390 ㎛이고, 또 상기 제4 거리(D4)는 약 410 ㎛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2 기판(12')에 인접하는 제2 연장부(1113) 및 제2 연장부(1113)에 인접하는 돌출부(1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연장부(1113)는 제2 말단(P2)을 갖고, 상기 돌출부(1112)는 제1 말단(P1), 제3 말단(P3) 및 제5 말단(P5)을 가지며, 또 상기 제3 말단(P3)은 제1 말단(P1)과 제5 말단(P5) 사이에 위치한다. 제1 말단(P1)은 기판(11')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로부터 제1 거리(D1)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2 말단(P2)은 제2 기판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2 거리(D2)로 떨어져 있으며; 상기 제5 말단(P5)은 제2 연장부(1113)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5 거리(D5)로 떨어져 있고; 또 상기 제3 말단(P3)은 제1 측(12b)으로부터 제3 거리(D3)로 떨어져 있다. 상기 제2 거리(D2)는 제3 거리(D3)보다 더 짧고 또 상기 제3 거리(D3)는 제1 거리(D1) 및 제5 거리(D5)보다 더 짧다. 또한, 상기 제2 거리(D2) 및 제5 거리(D5)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부분에서, 상기 제1 거리(D1)는 약 320 ㎛이고, 상기 제2 거리(D2)는 약 190 ㎛이며, 상기 제3 거리(D3)는 약 280 ㎛이고, 또 상기 제5 거리(D5)는 약 340㎛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제1 기판(11')에 인접한 제1 연장부(1111); 제2 기판(12')에 인접한 제2 연장부(1113); 및 제1 연장부(1111)와 제2 연장부(1113) 사이에 위치하는 돌출부(111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연장부(1111)는 제1 말단(P1)을 갖고, 상기 제2 연장부(1113)는 제2 말단(P2)을 가지며, 또 상기 돌출부(1112)는 제3 말단(P3), 제4 말단(P4) 및 제5 말단(P5)을 갖는다. 상기 제1 말단(P1)은 제1 기판(11')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1 거리(D1)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2 말단(P2)은 제2 기판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2 거리로 떨어져 있고; 상기 제3 말단(P3)은 제4 말단(P4)과 제5 말단(P5) 사이에 위치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3 거리(D3)로 떨어져 있고; 제4 말단(P4)은 상기 제1 연장부(111)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4 거리(D4)로 떨어져 있으며; 또 상기 제5 말단(P5)은 제2 연장부(1113)에 연결되고 또 제1 측(12b)으로부터 제5 거리(D5)로 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제1 거리(D1) 및 제2 거리(D2)는 각각 제3 거리(D3)보다 더 짧고 또 상기 제3 거리(D3)는 제4 거리(D4) 및 제5 거리(D5)보다 더 짧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에 연결된 유리-형성 실란트의 부분은 유리-형성 실란트와 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연장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기판으로부터의 유리-형성 실란트가 박리되는 문제가 현저하게 방지될 수 있고, 또 그에 따라 그의 수분 차단 특성 및 공기 불투과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의 형상은 초점 길이, 각도, 적용 시간 및 적용된 레이저 빔의 에너지뿐만 아니라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의 유형 및 점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연장부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연장부를 갖는 유리-형성 실란트가 바람직하면, 상기 레이저 빔은 유리-형성 실란트를 형성하기 위한 물질에 집중(focused)되어야 하고 또 상기 레이저 빔의 에너지는 소결 공정 동안 증가되어야 한다.
이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상기 제2 기판은 금속선 영역(123) 및 비-금속선 영역(124)을 포함하고, 또 상기 금속선 영역(123)은 상기 비-금속선 영역(124)에 인접한다. 이후, 상기 금속선 영역(123) 및 비-금속선 영역(124)의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 자세히 나타낸다.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 상의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인 도 9를 참조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선 영역(123)은 복수의 금속 트레이스(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복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층(123a),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한다. 여기서, 복수의 구멍(123a)을 갖는 금속층을 포함하는 금속선 영역(123) 만이 도면에 제시되어 있다. 또한, 금속선 영역(123)에 상응하는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부분의 폭(T5)는 상기 비-금속선 영역(124)에 상응하는 그의 폭(T4)보다 더 크다.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는 금속선 영역(123) 뿐만 아니라 기판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상에 형성된 금속에 부착될 수 없고, 또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와 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은 상기 영역에서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에서, 상기 금속선 영역(123)에 상응하는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의 부분의 폭(T5)는 상기 비-금속선 영역(124)에 상응하는 그의 폭(T4)보다 더 크도록 설계되며, 또 따라서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와 기판 사이의 접촉 면적은 증가되어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111)가 금속선 영역(123)에서 기판으로부터 박리될 수 있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 중의 OLED 표시 장치에서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 상에서 유리-형성 실란트를 도시하는 상면도인 도 10을 참조한다. 상기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술한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비-금속선 영역(124)의 비-표시 영역 중에 더미 패턴(124')을 포함한다. 열은 비-금속선 영역(124)에서보다는 금속선 영역(123)에서 더 신속하게 전달되므로, 이들 2개 영역에서 열 전달 속도는 레이저 소결 공정 동안 상이하다. 따라서,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사용된 더미 패턴(124')는 이들 2개 영역에서 상이한 열 전달 속도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양태의 OLED 표시 장치에서 거친 에지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OLED 표시 장치, 즉 모니터의 투시도이다. 여기서, 모니터만이 본 발명의 OLED 표시 장치의 적용예로서 사용되어 있고, 또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 OLED 표시 장치는 이동전화, 노트북, 카메라, 음악 플레이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텔레비젼과 같은 다른 전자 제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후의 특허청구된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많은 다른 가능한 변형과 변이가 실시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제1 기판;
    제1 기판에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 및
    상기 제1 기판과 제2 기판 사이 및 유기 발광층 주변에 배치된 유리-형성 실란트를 포함하고,
    상기 유리-형성 실란트는, 상기 제1 기판에 인접하는 제1 부분(이때, 제1 각도는 상기 제1 부분과 제1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 및 상기 제2 기판에 인접하는 제2 부분 (이때, 제2 각도는 상기 제2 부분과 제2 기판 사이에 포함되고, 90°보다 작음)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각도는 제2 각도와는 상이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은 제1 표면을 갖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표면을 가지며,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1 표면에 인접하는 제1 부분에 대한 제1 접선(tangent line) 사이에 포함되고, 상기 제2 각도는 상기 제2 표면에 인접하는 제2 부분에 대한 제2 접선 사이에 포함되는, OLED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도는 상기 제2 각도보다 작은, OLED 표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판은 금속선 영역 및 비-금속선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선 영역에 상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의섹션의 폭은 상기 비-금속선 영역에 상응하는 유리-형성 실란트의 섹션의 폭보다 더 큰, OLED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선 영역은 복수의 금속 트레이스, 복수의 구멍을 갖는 금속층, 또는 그의 조합을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금속선 영역은 더미 패턴(dummy pattern)을 포함하는, OLED 표시 장치.
KR1020140181386A 2014-01-21 2014-12-16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KR1016867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3102127A TWI545746B (zh) 2014-01-21 2014-01-21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TW103102127 2014-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7087A true KR20150087087A (ko) 2015-07-29
KR101686714B1 KR101686714B1 (ko) 2016-12-14

Family

ID=50238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1386A KR101686714B1 (ko) 2014-01-21 2014-12-16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437838B2 (ko)
EP (1) EP2897187A1 (ko)
KR (1) KR101686714B1 (ko)
CN (2) CN204614788U (ko)
TW (1) TWI5457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220929D0 (en) * 2012-11-21 2013-01-02 Airbus Operations Ltd Component bonding method & structure
TWI545746B (zh) 2014-01-21 2016-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KR102309620B1 (ko) * 2014-11-18 2021-10-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8241226B (zh) * 2016-12-23 2021-08-24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
CN109301084B (zh) * 2018-09-28 2020-06-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封装结构、电子装置及封装方法
CN111833758B (zh) * 2019-04-18 2022-04-12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拼接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45B1 (ko) * 2005-10-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1040392A (ja) * 2009-08-13 2011-02-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12134118A (ja) * 2010-12-20 2012-07-1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9347A (ja) * 2002-02-26 2003-09-05 Toyota Industries Corp 電気光学パネル
CN1545120A (zh) * 2003-11-25 2004-11-1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高密封强度的两基板封合结构及等离子显示装置
KR100718269B1 (ko) 2005-03-02 2007-05-14 하나 마이크론(주) 인형타입 휴대용 유에스비 플래시 드라이브
KR20080108743A (ko) * 2007-06-11 2008-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9010A (ko) * 2008-02-18 2009-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76457B1 (ko) * 2008-10-22 2010-08-17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09035640A1 (de) * 2009-07-31 2011-02-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teils mit mindestens einem organischen Material und Bauteil mit mindestens einem organischen Material
KR102058387B1 (ko) * 2011-11-28 2019-12-24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유리 패턴 및 그 형성 방법, 밀봉체 및 그 제작 방법, 및 발광 장치
TWI545746B (zh) 2014-01-21 2016-08-1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二極體顯示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5845B1 (ko) * 2005-10-21 2007-02-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11040392A (ja) * 2009-08-13 2011-02-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JP2012134118A (ja) * 2010-12-20 2012-07-1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有機発光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95422B (zh) 2018-05-22
CN104795422A (zh) 2015-07-22
US20160343983A1 (en) 2016-11-24
US20150207099A1 (en) 2015-07-23
TW201530752A (zh) 2015-08-01
US9640779B2 (en) 2017-05-02
TWI545746B (zh) 2016-08-11
US9437838B2 (en) 2016-09-06
EP2897187A1 (en) 2015-07-22
CN204614788U (zh) 2015-09-02
KR101686714B1 (ko) 2016-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714B1 (ko) 유기 발광 다이오드 표시 장치
US10032842B2 (en) Slim-bezel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EP2806307B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8016632B2 (en)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111627967B (zh) 显示设备
US9078329B2 (en) Method of fabricating light emitting device
US20070096631A1 (en) Flat panel display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JP2019527450A (ja) 表示基板、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CN108461523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面板及其制作方法
TWI523218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面板及其製作方法
CN110858034B (zh) 电子装置及其制造方法
KR100671197B1 (ko) 평판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US9525154B2 (en) Display device
KR20160043190A (ko) 칩-온-필름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05141199A5 (ko)
US20190207152A1 (en) Oled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2586602B1 (ko)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5654628B2 (ja) 表示装置
JP2008268713A (ja)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37681B2 (ja) 電気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10647091B2 (en) Planar glass sealing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0002700A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083607A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1382A (ko) 평판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