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5784A - 포터블 변기 - Google Patents

포터블 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5784A
KR20150085784A KR1020150004101A KR20150004101A KR20150085784A KR 20150085784 A KR20150085784 A KR 20150085784A KR 1020150004101 A KR1020150004101 A KR 1020150004101A KR 20150004101 A KR20150004101 A KR 20150004101A KR 20150085784 A KR20150085784 A KR 20150085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toilet
portable toilet
legs
foo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4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492B1 (ko
Inventor
마코토 하야시
히토시 무라카미
마사유키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62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34066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6268A external-priority patent/JP64290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4006266A external-priority patent/JP6440106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5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5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4Room close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e.g. night chairs ; Close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1/00Closets without flushing; Urinals without flushing; Chamber pots; Chair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47K11/06Chamber-pots; Throw-away urinals for non-bedridden persons; Chamber-pots for children, also with signalling means, e.g. with a music box,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28Adjustably-mounted seats or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포터블 변기(1)는, 변기조(11) 및 변기 시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공의 복수의 다리 장착부(21)를 포함하는 외곽(20)과, 상기 외곽(20)의 복수의 상기 다리 장착부(21)에 각각 유지되는 복수의 다리(30)를 구비한다. 각각의 다리(30)는, 지주(40)와, 상기 지주(40)의 하단부와 일체화된 풋 부재(50)를 포함한다. 상기 지주(40)는, 상기 다리 장착부(21)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 장착부(21)의 내면과 걸어맞추어지는 외면을 가진다. 상기 변기 시트의 높이는, 상기 다리 장착부(21)에 삽입되는 상기 지주(4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각각의 풋 부재(50)는 상기 지주(40)보다 굵고, 각각의 풋 부재(50)의 바닥면(53)은 길이 축을 가지는 장척형 평면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다리(40)의 상기 외면은,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43)를 포함한다. 각각의 다리 장착부(21)의 상기 내면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43) 중 어느 하나에 끼워넣어지는 1개 이상의 볼록부(22)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포터블 변기{PORTABLE TOILET}
본 발명은, 간호 등에 사용되는 포터블 변기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의 포터블 변기는,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변기 시트(seat)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포터블 변기는, 변기조(便槽; excrement tank) 및 변기 시트를 지지하는 외곽, 외곽에 형성된 복수의 다리 장착부, 복수의 다리 장착부에 각각 삽입되어 외곽을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 및 각각의 다리의 하단부에 장착되는 풋 부재(foot portion)를 구비한다. 다리는, 상부 기둥, 하부 기둥, 및 록 부재(lock member)를 포함하는 복수의 부품에 의해 구성된다. 사용자는, 상부 기둥을 하부 기둥에 대하여 위쪽으로 슬라이딩시켜, 록 부재에 의해 상부 기둥을 하부 기둥에 대하여 고정함으로써 다리를 길게 하여, 변기 시트의 위치를 높게 할 수 있다. 풋 부재를 하부 기둥의 바닥에 끼워넣는 것에 의해, 변기 시트의 위치를 더 높게 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10―240166호 공보
특허 문헌 1의 포터블 변기의 변기 시트의 높이의 조정은 번거롭다. 사용자는, 먼저 다리를 외곽으로부터 분리하고(detach), 다리의 부품의 조합을 변경하거나 또는 상부 기둥과 하부 기둥과의 접속을 변경함으로써 다리의 길이를 조정하고, 그 후에 다리를 다시 다리 장착부에 삽입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변기 시트의 높이를 조정하는 작업이 용이하며,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포터블 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포터블 변기는, 변기조 및 변기 시트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공(中空)의 복수의 다리 장착부를 포함하는 외곽과, 상기 외곽의 상기 복수의 다리 장착부에 각각 유지되는 복수의 다리를 구비하고, 각각의 다리는, 지주와, 상기 지주(支柱)의 하단부와 일체화된 풋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 장착부의 내면과 걸어맞추어지는 외면을 가지고, 상기 변기 시트의 높이는,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주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각각의 풋 부재는 상기 지주보다 굵고, 각각의 풋 부재의 바닥면은 길이 축을 가지는 장척형(長尺形) 평면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다리 장착부의 상기 내면 및 각각의 다리의 상기 외면의 한쪽은,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다리 장착부의 상기 내면 및 각각의 다리의 상기 외면의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넣어지는 1개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한다.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은, 장척형 비다각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상기 다리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에서는, 상기 다리가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는, 상기 1개 이상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추어진 고정 상태와, 상기 1개 이상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디에도 끼워맞추어지지 않는 높이 조정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일례에서는, 상기 다리가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하여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 중 임의의 1개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다리는 상기 고정 상태로 된다.
일례에서는, 상기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상기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1 각도 위치를 포함한다.
일례에서는, 상기 복수의 다리는, 2개의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방 다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각 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각 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전단(前端)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지향하는 제2 각도 위치를 포함한다.
일례에서는, 상기 복수의 다리는, 2개의 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후방 다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각 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각 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후단(後端)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지향하는 제3 각도 위치를 포함한다.
일례에서는,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다리 장착부 및 상기 다리의 양쪽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한 상기 다리의 회전을 규제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이 상기 다리 장착부 및 상기 다리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핀의 헤드가 상기 외곽의 아래쪽에 또는 상기 변기조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공간에 노출된다.
일례에서는,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풋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외곽을 전방 경사 자세 또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구비한다.
일례에서는,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외곽의 후부에 장착된 등받이와, 상기 외곽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보다 전방에 장착된 암 레스트(armres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와 상기 암 레스트는, 상기 등받이의 제1 대향면 및 상기 암 레스트의 제2 대향면에 있어서, 간극을 통하여 대향하거나 또는 간극을 통하지 않고 대향하고, 상기 제1 및 제2 대향면의 한쪽은,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및 제2 대향면의 다른 쪽은,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일례에서는,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외곽과 상기 변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변기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기 변기 커버에 부여하는 캠 기구(機構)를 내장한 캠 힌지와, 상기 외곽과 상기 변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고, 캠 기구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논캠식 힌지(non-cam type)를 더 구비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D3―D3 선에 따른 외곽의 단면도(斷面圖)이다.
도 4의 (a), (b)는, 제1 실시형태의 전방 다리 및 후방 다리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형태의 전방 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1 실시형태의 다리 장착부 및 전방 다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D7―D7 선에 따른 포터블 변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9의 (a), (b)는, 스페이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스페이서가 장착된 제1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2의 것과는 상이한 풋 부재의 고정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제1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저면도이다.
도 12는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측면도이다.
도 15는 제2 실시형태의 암 레스트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a)는, 제2 실시형태의 암 레스트의 도면이며, 버튼이 가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확대도이다. (b)는, 암 레스트의 버튼이 가압된 상태의 확대도이다.
도 17은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18의 (a), (b)는, 비교예의 등받이 및 암 레스트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c), (d)는, 제2 실시형태의 등받이 및 암 레스트의 일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9는 변형예의 포터블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1의 (a)는,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로부터 등받이를 생략한 평면도, (b)는, (a)의 영역 RA를 확대하여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도면이며, 변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3 실시형태의 힌지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도면이며, 변기 커버가 열려 걸쳐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도면이며, 변기 커버가 직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의 도면이며, 변기 커버가 전개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도 3을 참조하여,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포터블 변기(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변기(1)는, 변기(10), 다리(30), 캐스터(70), 및 핀(80)을 가진다.
변기(10)는, 변기조(11), 변기 커버(12), 등받이(13), 암 레스트(14), 및 외곽(20)을 가진다. 변기조(11)는, 외곽(20)에 끼워넣어져 있다. 변기 커버(12)는, 외곽(20)의 상면 또한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변기조(11)와 변기 커버(12)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변기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변기 커버(12)는, 변기조(1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과 변기 시트의 상면[시트면(seat surface)]을 덮을 수 있도록, 외곽(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등받이(13)는, 외곽(20)의 상면 또한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암 레스트(14)는, 외곽(20)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즉, 외곽(20)은, 변기조(11) 및 변기 시트(seat)를 지지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20)은, 외곽(20)의 하면에 있어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4개의 다리 장착부(21)를 가진다. 외곽(20)의 외주는 사각형상을 가지고, 다리 장착부(21)는, 외곽(20) 중 4코너에 형성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21)의 내부는 중공이다. 다리 장착부(21)에는, 다리(30)가 삽입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21)의 부근에는, 다리 장착부(21)에 장착되는 다리(30)의 종류를 나타내는 마크(24)(도 6 참조)가 구비되어 있다. 외곽(20)은,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 장착부(21)의 내면(21A)에는, 소정의 수평 치수를 가지는 1개 이상의 (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볼록부(22)가 형성되어 있다. 3개의 볼록부(22)는, 등각도(等角度)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우측의 다리 장착부(21)의 3개의 볼록부(22)와, 좌측의 다리 장착부(21)의 3개의 볼록부(22)는, 평면에서 볼 때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이등분선 CX1(도 2, 도 7 참조)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21)에는, 외곽(20)의 중심(20C) 측에 핀(80)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핀(80)은, 예를 들면, U핀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다리(30)는, 2개의 제1 다리(30A), 및 2개의 제2 다리(30B)를 가지고 있다. 다리(30)에는, 제1 스페이서(91) 및 제2 스페이서(92)(도 9 참조)를 장착할 수 있다. 제1 다리(30A)는, 우측 후방 측의 다리 장착부(21)와, 좌측 전방 측의 다리 장착부(21)에 장착되어 있다. 제2 다리(30B)는, 우측 전방 측의 다리 장착부(21)와 좌측 전방 측의 다리 장착부(21)에 장착되어 있다. 다리(30)는, 다리 장착부(21)에 삽입되는 길이에 따라서 변기 시트의 높이를 변경한다. 다리(30)는, 예를 들면,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다리(3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리는, 지주(40), 및 풋 부재(foot portion)(50)를 포함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풋 바닥 패드(a sole pad)(60)가 풋 부재(5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지주(40)는, 예를 들면, 원기둥 형상을 가진다. 지주(40)의 외면(40a)에 있어서, 3개의 돌출부(42)가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접하는 돌출부(42)의 사이에는 세로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세로 홈(41)의 수평 폭은, 다리 장착부(21)의 볼록부(22)의 수평 치수보다 크다. 「세로 홈(41)의 수평 폭」및 「볼록부(22)의 수평 치수」는, 지주(40)의 길이 축에 대하여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측정한 길이이다.
각각의 돌출부(42)는, 복수의 오목부(43)를 형성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복수의 오목부(43)는, 각각이 다리(30)의 길이 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예를 들면, 3개의) 오목부열을 형성한다. 각각의 오목부(43)는, 다리(30)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채널이며, 폐쇄된 단부(端部)(43A)와 개방된 단부(43B)를 포함한다.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다리(30A)와 제2 다리(30B)는, 오목부(43)의 단부(43A)와 단부(43B)와의 관계가 반대로 되어 있다. 각 지주(40)는, 상기 다리(30)가 제1 다리(30A) 및 제2 다리(30B) 중 어느 하나인지를 나타내는 마크(44)를 가지고 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 부재(50)는, 지주(40)의 하단부에 있어서 지주(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풋 부재(50)는, 장척형 평면 형상을 가지고, 예를 들면, 타원형 또는 긴 원형 등의 장척형 비다각형상(an elongated, non―polygonal shape)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풋 부재(50)는, 한 쌍의 만곡 에지(51)와 한 쌍의 직선 에지(52)를 가지는 쉘(shell)(53)을 포함하고, 만곡 에지(51) 사이의 최대 거리는, 직선 에지(52) 사이의 최대 거리보다 길다. 풋 부재(50)는, 지주(40)보다 굵다. 평면에서 볼 때, 지주(40)의 중심선(40C)과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중심(50C)은, 어긋나 있다. 즉, 풋 부재(50)는, 지주(40)에 대하여 편심(偏心)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풋 부재(50)는, 풋 바닥 패드(6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 구조(54)를 포함한다. 풋 부재(50)의 외주에는, 홈(55)이 형성되어 있다. 풋 부재(50)의 1만곡 에지(51)에는, 캐스터(70)를 장착하기 위한 삽입 포트(56)가 형성되어 있다.
풋 바닥 패드(60)의 평면 형상은, 풋 부재(50)의 쉘(53)의 것과 동일한 장척형 비다각형상이다. 풋 바닥 패드(60)는, 예를 들면, 고무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풋 바닥 패드(60)는, 상면(61)에 장착 구조(62)와 볼록부(63)를 가지고 있다. 장착 구조(62)는, 풋 부재(50)의 장착 구조(54)에 끼워넣어진다. 볼록부(63)는, 풋 부재(50)의 홈(55)에 끼워넣어진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풋 바닥 패드(60)의 바닥면(64)에는, 상기 풋 바닥 패드(60)가 전방 풋 바닥 패드(60A) 및 후방 풋 바닥 패드(60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마크(65)가 구비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다리 장착부(21)에 대한 다리(30)의 장착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리 장착부(21) 중 1개 이상의 볼록부(22)는 다리의 복수의 오목부(43) 중 어느 것과도 끼워맞춤 가능하다. 다리 장착부(21)의 1볼록부(22)가 다리의 복수의 오목부(43)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추어졌을 때, 다리(30)는 고정 상태로 된다. 다리 장착부(21)의 1볼록부(22)가 다리의 복수의 오목부(43) 중 어디에도 끼워맞추어지지 않을 때, 다리(30)는 높이 조정 가능 상태로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다리(30)는, 소정 각도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오목부열을 포함한다. 따라서, 3개의 오목부(43)가 다리(30)의 외면(40a)에 있어서 같은 높이로 정렬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21)는, 같은 높이로 정렬된 3개의 볼록부(22)를 포함한다. 따라서, 다리는 서로 다른 복수의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예를 들면, 0°, 120°, 240°)에 있어서, 고정 상태로 된다. 고정 상태로 되었을 때의 다리(30)의 회전 각도 위치에 따라서, 풋 부재(50)의 바닥면[(60) 또는 (53)]의 길이 축과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예를 들면, 폭 이등분선 CX1)과의 각도[풋 부재(50)의 지향각이라고도 함)은 상이하다. 풋 부재(50)의 지향각은, 도시한 예에서는, 0°, 120°, 240°일 수 있다.
작업자는, 1개의 다리(30)의 선단을, 이 다리의 마크(44)와 일치하는 마크(24)의 부근, 또한 마크(65)에 의해 나타내는 앞쪽 또는 뒤쪽의 다리 장착부(21)에 삽입한다. 이 때,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방향이 원하는 고정 상태로 되도록, 세로 홈(41)의 주위 방향의 위치를 설정한다.
도 2의 예에서는, 각각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이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예를 들면, 폭 이등분선 CX1)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도록, 각각의 다리는 다리 장착부(21)에 장착된다.
각 제1 다리(30A)에 대해서는, 작업자는, 상기 다리(30A)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을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예를 들면, 폭 이등분선 CX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대략 60° 회전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볼록부(22)를 세로 홈(41)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다.
제2 다리(30B)에 대해서는, 작업자는, 상기 다리(30B)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을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60° 회전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볼록부(22)를 세로 홈(41)에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다.
볼록부(22)는 다리(30)의 세로 홈(41)에 따라 이동 가능하다(높이 조정 가능 상태). 작업자는, 다리(30)의 외주에 기재되어 있는 눈금 등을 기준으로 하여 원하는 삽입 깊이까지 다리(30)를 다리 장착부(21) 중에 압입(押入), 그 원하는 삽입 깊이 위치에 있어서 다리를 다리 장착부(21)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 회전에 의해 다리(30)의 각 볼록부(22)는 1오목부(43)의 단부(43B)를 향해 이동하고, 그 오목부(43)와 걸어맞추어진다. 작업자가 다리(30)를 다시 회전시켰을 때, 볼록부(22)는 대응하는 오목부(43)의 단부(43A)에 접촉한다(고정 상태). 작업자는, 핀(80)의 헤드(81)를 가지고, 다리 장착부(21)의 구멍(23)에 핀(80)의 선단(82)을 삽입한다. 작업자는, 핀(80)의 선단(82)을 세로 홈(41)에 끼워넣는다. 작업자는, 모든 다리(30)에 대하여 동일한 장착 조작을 행한다.
상기한 장착 조작에 의해, 1볼록부(22)는, 1오목부열 중 원하는 높이에 대응하는 1오목부(43)에 끼워넣어진다. 볼록부(22)의 일단은, 오목부(43)의 폐쇄되어 있는 단부(43A)와 맞닿는다. 핀(80)은, 구멍(23)에 삽입되어 있다. 핀(80)의 헤드(81)는, 외곽(20)으로부터 노출되고, 외곽(20)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공간에 위치하고 있다. 핀(80)의 선단(82)은, 세로 홈(41)의 단면(端面)(41A)에 충돌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22) 및 핀(80)의 선단(82)에 의해 다리(30)의 회전은 규제된다. 도 8은, 가장 아래쪽의 오목부(43)에 볼록부(22)가 끼워넣어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때, 포터블 변기(1)의 변기 시트의 높이가 가장 낮아진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제1 스페이서(91) 및 제2 스페이서(9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제1 스페이서(91)의 크기 및 형상은 풋 바닥 패드(60)의 것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1 스페이서(91)의 상면(91A)은, 경사져 있다. 상면(91A)에는, 풋 부재(50)의 장착 구조(54)에 끼워넣어지는 장착 구조(91B)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91)의 하면에는, 풋 부재(50)의 장착 구조(54) 및 홈(55)과 마찬가지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스페이서(91)는, 다리의 하면에 장착할 수 있고, 제1 스페이서(91)의 하면에 풋 바닥 패드(60)를 장착할 수 있다.
도 9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제2 스페이서(92)의 크기 및 형상은 풋 바닥 패드(60)의 것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제2 스페이서(92)의 상면(92A)은, 경사져 있다. 상면(92A)에는, 풋 부재(50)의 장착 구조(54)에 끼워넣어지는 장착 구조(92B)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스페이서(92)의 하면에는, 풋 부재(50)의 장착 구조(54) 및 홈(55)과 마찬가지의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2 스페이서(92)는, 다리의 하면에 장착할 수 있고, 제2 스페이서(92)의 하면에 풋 바닥 패드(60)를 장착할 수 있다.
제2 스페이서(92)의 상면(92A)의 경사 각도는, 제1 스페이서(91)의 상면(91A)의 경사 각도와 같다. 제2 스페이서(92)의 최소 두께는, 제1 스페이서(91)의 최대 두께보다 크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91) 및 제2 스페이서(92)는, 다리와(30) 풋 바닥 패드(60)와의 사이에 장착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91)가, 다리(30)와 전방 풋 바닥 패드(60A)와의 사이에 장착되고, 제2 스페이서(92)가 다리(30)와 후방 풋 바닥 패드(60B)와의 사이에 장착될 때, 포터블 변기(1)를 전방 경사 자세로 설치된다. 포터블 변기(1)의 방향을 도 10의 예와는 전후 반대로 변경하여, 제2 스페이서(92)를 다리(30)와 전방 풋 바닥 패드(60A)와의 사이에 장착하고, 제1 스페이서(91)를 다리(30)와 후방 풋 바닥 패드(60B)와의 사이에 장착함으로써, 포터블 변기(1)는 후방 경사 자세로 설치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30)는, 도 2의 고정 상태(제1 고정 상태로 하는 경우가 있음)와는 상이한 고정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도 11의 예에서는, 2개의 전방 다리(30)는, 제2 고정 상태를 취한다. 제2 고정 상태에서는, 각 전방 다리(30)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이,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풋 부재(50)의 전단이 포터블 변기(1)의 폭 방향의 외측을 지향한다.
2개의 후방 다리(30)는, 제3 고정 상태를 취한다. 제3 고정 상태에서는, 각 후방 다리(30)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이,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상기 풋 부재(50)의 후단이 포터블 변기(1)의 폭 방향의 외측을 지향한다. 각 전방 다리(30)는 제3 고정 상태를 취할 수 있고, 각 후방 다리(30)는 제2 고정 상태를 취할 수 있다.
포터블 변기(1)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포터블 변기(1)의 다리(30)는, 다리 장착부(21)에 삽입되는 지주(40)와 풋 부재(50)가 일체로 되어 있다. 다리(30)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변기 시트의 높이는 변경된다. 그러므로, 변기 시트의 높이의 조절 작업은 용이하게 된다.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착석할 때 등과 같이 변기 시트에 걸리는 하중의 방향이 변화할 때, 변기 시트가 높을수록 포터블 변기(1)는 불안정하게 되기 쉽다. 포터블 변기(1)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지주(40)보다 굵고, 길이 축을 가지는 장척형 평면 형상이므로, 포터블 변기(1)는 하중의 변화에 대하여 쉽게 불안정하게 되지 않는다.
풋 부재(50)가 지주(40)에 일체로 되어 있으므로, 풋 부재(50)와 지주(40)와의 사이에 간극은 생기지 않고, 다리(30)는 포터블 변기(1)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포터블 변기(1)의 사용 시에는,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과 평행한 하중이 포터블 변기(1)에 작용하는 빈도가 높다. 그러나, 풋 부재(50)의 바닥면이 장척형 평면 형상이므로, 포터블 변기(1)는, 상기 평행한 하중이 상승했을 때도, 설치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된다.
(1―2) 볼록부(22)와 오목부(43)를 끼워넣는 것에 의해 변기 시트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멍(23)을 통하여 지주(40)의 외주를 체결하는 나사 등에 의해 변기 시트를 원하는 높이에 고정시키는 구성과 비교하여, 다리(30)와 다리 장착부(21)를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1―3)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장척형 비다각형상이다.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각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다리가 닿는 등 했을 때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타원형 또는 긴 원형과 같이, 평면에서 볼 때 풋 부재(50)의 중심(C)에 대하여 대칭적인, 대칭적 장척형 비다각형(sy㎜etrical, elongated, non―polygonal shape)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칭적인 비다각형상은, 알(卵) 형상과 비교하여, 만곡 에지(51)의 곡률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풋 부재(50)에 닿았을 때 사용자가 통증을 느끼지 않게 된다.
(1―4) 평면에서 볼 때,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중심(50C)이 지주(40)의 중심선(40C)으로부터 어긋나 있다.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지주(40)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중심(50C)이 중심선(40C)과 외곽(20)의 중심(20C)과의 사이에 배치함으로써, 풋 부재(50)가 외곽(2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배치는, 포터블 변기(1)의 설치 면적을 작게 하는 점에서도 유효하다.
이 배치는, 중심(50C)과 중심선(40C)이 일치하는 참고예와 비교하여, 지주(40)에 지주(40)를 경사지게 하는 힘이 걸렸을 때 그 힘에 의해 풋 부재(50)가 경사지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이 배치는, 중심(50C)과 중심선(40C)이 일치하는 참고예와 비교하여, 포터블 변기(1)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1―5) 다리(30)의 회전에 의해 다리(30)는 고정 상태와 높이 조정 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그러므로, 변기 시트의 높이의 조정은 용이하게 된다.
(1―6) 다리(30)는 복수의 소정의 회전 각도 위치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포터블 변기(1)의 설치 장소나 목적에 따라 풋 부재(50)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1―7) 평면에서 볼 때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이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과 실질적으로 일치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포터블 변기(1)의 전체 폭을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1―8)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전방 다리(30)가 제2 고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다리(30)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은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상기 풋 부재(50)의 전단은 포터블 변기(1)의 폭 방향의 외측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포터블 변기(1) 중 앞부분에 전후 방향(CX1), 및 폭 방향의 힘이 걸렸을 때도 포터블 변기(1)의 자세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1―9)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후방 다리(30)가 제3 고정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다리(30)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길이 축은 포터블 변기(1)의 전후 방향(CX1)에 대하여 경사지고, 또한 상기 풋 부재(50)의 후단은 포터블 변기(1)의 폭 방향의 외측을 지향한다. 그러므로, 포터블 변기(1)의 후부에 전후 방향(CX1), 및 폭 방향의 힘이 걸렸을 때도 포터블 변기(1)의 자세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1―10) 포터블 변기(1)는, 외곽(20)의 아래쪽에 핀(80)의 헤드(81)가 위치하도록 구멍(23) 및 세로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핀(80)을 외곽(20)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핀(80)을 간단하게 꽂는 것이 가능하다. 외곽(20)의 아래쪽에 핀(80)의 헤드(81)가 위치하므로, 사용자가 핀(80)에 닿는 등하는 것이 억제된다.
(1―11) 스페이서(91, 92)는 풋 부재(50)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포터블 변기(1)의 자세를 수평, 전방 경사, 및 후방 경사로 변경할 수 있다.
·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풋 부재(50)의 바닥면은, 타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 또는 알 형상 등의 길이 축을 가지는 장척형 평면 형상일 수 있다.
· 제1 실시형태의 풋 부재(50)의 중심(50C)을 중심선(40C)과 일치시킬 수도 있다.
· 제1 실시형태의 볼록부(22) 및 오목부(43)를 주위 방향에 있어서 1개만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볼록부(22) 및 오목부(43)는, 포터블 변기(1)의 설치 시에서의 풋 부재(50)의 바닥면의 방향을 따른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 제1 실시형태의 볼록부(22) 및 오목부(43)를 2개 또는 4개 이상으로 할 수도 있다.
· 제1 실시형태의 볼록부(22)와 오목부(43)를 교체해도 된다.
· 제1 실시형태의 내면(21A)에 높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볼록부(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오목부(43)를 높이 방향에 있어서 1개로 할 수도 있다.
· 제1 실시형태의 스페이서(91, 92)를 풋 부재(50)에 나사를 사용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페이서(91, 92) 및 풋 부재(50)에 형성되는 나사공이 장착 구조(62)에 상당한다.
·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풋 바닥 패드(60)는 생략해도 된다. 이 경우, 풋 부재(50)의 쉘(53)이 풋 바닥 패드(60)의 바닥면과 같은 평면 형상의 바닥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도 14를 참조하여,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00)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커버(112)는, 변기조(111)를 덮도록 외곽(120)의 상면 또한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등받이(130)는, 외곽(120)의 상면 또한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암 레스트(140)는, 외곽(120)의 폭 방향의 양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다리 장착부(121) 및 다리(113)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같으며, 포터블 변기(100)의 변기 시트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113A)를 구성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30)는, 외곽(120)과, 2개의 지주(131)와, 2개의 지주(131)의 상단부를 걸치는 지지부(135)를 가진다. 등받이(130)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주(131)는, 외곽(120)의 후단부 또한 상면에 장착되어 있다. 외곽(120)의 후단부에는, 등받이(130)의 지주(131)의 하단부(133)를 삽입하기 위한 등받이 장착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지주(131)의 배면측에는,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착공(134)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공(134)에는, 외곽(120)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볼록부(124)가 삽입되어 있다. 볼록부(124)의 상단부(124A)는, 장착공(134)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단부(124A)에는, 록 부재(136)가 끼워넣어져 있다. 록 부재(136)는, 상단부(124A)에 형성되는 주위홈에 끼워넣어져 등받이(130)가 외곽(1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암 레스트(140)는, 케이스(141), 커버(144), 및 높이 조정 기구(150)(도 15 참조)를 가진다. 케이스(141)는, 암 레스트 부분(142) 및 2개의 지지 부분(143)을 가진다. 케이스(141)는,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 부분(143)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다. 암 레스트 부분(142)은, 지지 부분(143)의 상단부를 접속하고 있다. 암 레스트 부분(142)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버튼 구멍(142A)이 형성되어 있다. 커버(144)는, 암 레스트 부분(142)의 외주에 있어서 암 레스트 부분(142)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암 레스트 부분(142)에 장착되어 있다. 커버(144)는, 사용자가 슬라이딩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버튼 구멍(142A)을 노출 및 폐쇄할 수 있다.
높이 조정 기구(150)는, 누름부(151), 축부(軸部)(154), 핀(156), 및 슬리브(160)를 가진다. 누름부(151) 및 축부(154)는, 케이스(141) 중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부(151)는, 봉형(棒形)의 부재로서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151)의 길이 방향의 중간 부분에는, 버튼(152)이 형성되어 있다. 누름부(151)는, 버튼(152)이 버튼 구멍(142A)과 대응하는 위치로 되도록 암 레스트 부분(142)에 수용되어 있다. 버튼(152)의 하면은, 스프링(1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2개의 축부(154)는, 누름부(151)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154)의 하단부(155)는, 슬리브(160)에 수용되어 있다. 하단부(155)의 단면은 경사져 있다.
핀(156)은, 도 16에 나타내는 측면에서 볼 때 L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핀(156)의 상단부(157)의 단면은 경사져 있다. 상단부(157)의 단면은, 하단부(155)의 단면과 평행이다. 핀(156)의 직경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부(158)의 돌출 방향과는 반대측에는, 스프링(159)이 장착되어 있다.
슬리브(160)는, 암 레스트 장착공(125)(도 12 참조)의 내부에 고정되어 있다. 슬리브(160)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슬리브(160)의 외주에는, 복수의 핀공(161)이 형성되어 있다. 핀공(161)은, 높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슬리브(160)에는, 지지 부분(143) 및 축부(154)가 삽입되어 있다.
도 16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52)(도 15 참조)이 가압되어 있지 않을 때, 볼록부(158)는, 슬리브(160)의 내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볼록부(158)가 핀공(161)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볼록부(158)는 핀공(161)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러므로, 지지 부분(143) 및 축부(154)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튼(152)이 가압되어 있을 때, 누름부(151)는, 스프링(153)을 가압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1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한 누름부(151)는, 축부(154)를 누르고 있다. 그러므로, 하단부(155)가 상단부(157)를 누르고 있다. 하단부(155)의 단면 및 상단부(157)의 단면은 경사져 있으므로, 핀(156)은, 스프링(159) 측으로 가압된다. 그러므로, 볼록부(158)가 스프링(159) 측으로 이동하고, 볼록부(158)가 핀공(161)으로부터 빠진다. 그러므로, 지지 부분(143) 및 축부(154)의 높이 방향으로의 이동이 허용된다.
사용자는, 버튼(152)을 가압하여 상태에 있어서 케이스(141)를 높이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암 레스트(140)의 높이 위치를 핀공(161)의 위치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볼록부(158)를 슬리브(160)의 하단보다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때, 도 14의 실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암 레스트 부분(142)의 하면이 외곽(120)의 상면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암 레스트(140)를 내릴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여, 등받이(130)와 암 레스트(140)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지주(131) 중 가장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제1 대향면(132)은, 케이스(141) 중 가장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제2 대향면(후단면이라는 경우도 있음)(141A)과 대향하고 있다.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몇 가지의 예에서는, 제1 대향면(132)은 등받이의 전단면(前端面)이며, 제2 대향면(141A)은 암 레스트(140)의 후단면(後端面)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서의 제1 대향면(132)의 외측 에지가 제1 대향면(132)의 내측 에지보다 전방에 있는 바와 같이, 제1 대향면(132)은 경사져 있다.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서의 제2 대향면(141A)의 외측 에지가 제2 대향면(141A)의 내측 에지보다 전방에 있는 바와 같이, 제2 대향면(141A)은 경사져 있다. 바꾸어 말하면, 평면에서 볼 때, 제1 대향면(132) 및 제2 대향면(141A)의 한쪽[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1 대향면(132)]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제1 대향면(132) 및 제2 대향면(141A)의 다른 쪽[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2 대향면(141A)]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1 대향면(132) 및 제2 대향면(141A)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등받이(130)의 제1 대향면(132)의 일부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암 레스트(140)의 제2 대향면(141A)의 일부보다 외측에 존재하고 있다. 등받이(130)의 제1 대향면(132) 중 외측의 부분(132A)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암 레스트(140)의 제2 대향면(141A)의 일부와 인접하고 있다.
도 18의 (a) 및 도 18의 (b)는, 제1 대향면(132X)과 제2 대향면(141X)이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과 평행인 비교예를 나타내고 있다. 등받이(130) 및 암 레스트(140)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은 정상 상태일 때, 제1 대향면(132B)과 제2 대향면(141X)과의 사이에는 간극(L)이 형성되어 있다. 도 18의 (a) 상태로부터 등받이(130)를 후방 외측 방향으로 압압(押壓)하는 외력이 가해져, 암 레스트(140)를 외측 방향으로 압압하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도 18의 (b)의 실선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대향면(132X)과 제2 대향면(141X)이 이격되어, 정상 상태의 간극(L)보다 큰 간극(LA)이 제1 대향면(132X)과 제2 대향면(141X)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00)에서는,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과는 도 1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져 있다. 등받이(130) 및 암 레스트(140)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을 때,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과의 사이에는 간극(L)이 형성되어 있다. 등받이(130)에 후방 또한 외측의 힘이 가해져, 암 레스트(140)에 외측의 힘이 가해졌을 때, 도 1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이 서로 따르도록 이동한다. 그러므로, 간극(LA)보다 작은 간극(LB)이 형성된다.
또한, 도 1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30) 및 암 레스트(140)에 힘이 가해져 있지 않을 때의 제1 대향면(132)의 맨 앞 위치로부터 제2 대향면(141A)의 최후 위치까지의 거리 LC는, 비교예의 간극(L)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도 18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등받이(130) 및 암 레스트(140)에 힘이 가해져 있을 때의 제1 대향면(132)의 가장 전방의 부분과 제2 대향면(141A)의 가장 후방의 부분까지의 전후 방향 간극(LD)은 비교예의 간극(LA)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1) 제1 및 제2 대향면(132, 141A)의 한쪽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다른 쪽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포터블 변기(100)의 조립 작업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과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어, 간극에 의복 등이 걸리지 않게 된다.
(2―2) 제1 대향면(132)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제2 대향면(141A)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암 레스트(140)가 과도하게 외측으로 넓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2―3) 포터블 변기(100)는, 외곽(120)에 대한 암 레스트(140)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높이 조정 기구(150)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암 레스트(140)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격에 맞추어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암 레스트(140)를 외곽(120)에 접촉될 때까지 내릴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변기 시트에 앉을 수 있고, 또한 간호인에게 있어서도 편리하다.
(2―4) 등받이(130)의 제1 대향면(132)과 암 레스트(140)의 제2 대향면(141A)은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그러므로, 등받이(130) 및 암 레스트(140)에 힘을 걸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대향면(132)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고, 제2 대향면(141A)은, 포터블 변기(1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해도 된다.
·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높이 조정 기구(15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높이 조정 기구(150)는 암 레스트(140)의 높이를 무단계로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은 비평행하게도 된다.
· 제1 대향면(132)과 제2 대향면(141A)은 접촉해도 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200)에 대하여 제1 실시형태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다리 장착부(221) 및 다리(214)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같다. 등받이(215)는, 외곽(220)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2개의 지주(215A)와, 2개의 지주(215A)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브리지(215B)를 가진다. 등받이(215)와 외곽(220)에 의해 개구(S)가 형성되어 있다.
변기 커버(230)는, 변기 시트(212) 및 변기조(211)를 덮도록 외곽(220)의 상면 또한 후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2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커버(230)는, 전방 커버(231), 및 후방 커버(233), 및 핀(236)을 가진다.
전방 커버(231)에는, 전방 커버(231)의 상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오목한 손가락 거는 부재(232)가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거는 부재(232)는, 전방 커버(231)의 후단부로부터 후단부보다 전방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손가락 거는 부재(232)의 측면(232A)은, 외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손가락 거는 부재(232)의 전면(前面)(232B)은, 전방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다.
전방 커버(231)와 후방 커버(233)는, 핀(236)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핀(236)은, 전방 커버(231)의 손가락 거는 부재(232)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볼록부(231A)와, 후방 커버(233)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볼록부(233A)를 관통하고 있다. 볼록부(231A), 볼록부(233A), 및 핀(236)은, 커버 힌지를 형성한다. 변기 커버(230)는, 절첩식이다. 전방 커버(231)는, 핀(236) 주위에 후방 커버(233)에 대하여 회전함으로써, 전방 커버(231)의 내면이 후방 커버(233)의 내면에 접근할 수 있다. 전방 커버(231) 및 후방 커버(233)의 각각은, 등받이(215)의 개구(S)보다 작다. 그러므로,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방 커버(231)와 후방 커버(233)가 완전히 절첩된 상태에 있어서 변기 커버(230)는 개구(S)를 통과할 수 있다.
후방 커버(233)의 후단부에는, 1개의 캠 힌지 장착부(234)와 2개의 힌지 장착부(235)가 형성되어 있다. 캠 힌지 장착부(234)는, 포터블 변기(200)의 폭 방향에 있어서 2개의 힌지 장착부(235)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2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힌지 장착부(235)는, 2개의 돌출부(235A)를 가진다. 2개의 돌출부(235A)는, 서로 대향하는 측에 볼록부(235B)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235B)는, 외곽(220)의 위쪽으로 돌출하는 베어링(223)의 구멍(223A)에 끼워넣어져 있다. 그리고, 볼록부(235B) 및 베어링(223)은, 논캠식 힌지를 형성한다.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힌지(240)는, 힌지 축(241), 케이스(242), 캠(250), 및 캠폴로워(260)를 가진다.
캠(250)은, 외곽(220)에 매립되어 있다. 캠(250)은 캠면(251)을 가진다. 캠면(251)은, 캠(250)의 상단면에 형성되고, 외곽(220)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캠(250)은, 캠 힌지 장착부(234)의 2개의 돌출부(234A)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250)과 돌출부(234A)는, 힌지 축(241)을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케이스(242)는, 고정핀(262)을 통하여 후방 커버(233) 중 돌출부(234A)보다 전방측의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캠폴로워(260)는, 케이스(24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스프링(243)은, 캠폴로워(260)와 케이스(242)의 내부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캠폴로워(260)는, 케이스(242)로부터 노출된 위치에, 측면에서 볼 때 반원 형상의 돌출부(261)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261)는, 스프링(243)에 의해 캠면(251)에 가압되어 있다.
변기 커버(230)에, 보호자나 사용자에 의해 변기 커버(230)를 개방하는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 또는 폐쇄 방향의 힘이 가해졌을 때, 캠폴로워(260)의 돌출부(261)가 캠면(251)에 가압되면서, 캠면(251) 상을 이동한다. 캠폴로워(260)의 이동에 따라 고정핀(262)이 이동하고, 후방 커버(233)가 힌지 축(241) 주위로 회전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변기 커버(230)가 가장 폐쇄한 상태인 최소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가락 거는 부재(232)의 측면(232A) 또는 전면(232B)에 손가락을 걸어 전방 커버(231)에 위쪽을 향하는 힘을 걸었을 때, 캠 힌지(240)는 변기 커버(230)에 개방하는 방향의 힘을 작용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변기 커버(230)에 외부로부터 힘이 걸림으로써, 돌출부(261)와 캠면(251)과의 관계가 변화한다. 그러므로, 스프링(243)의 힘이 돌출부(261)를 캠면(251)에 가압하면서 후방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므로, 변기 커버(230)가 자동적으로 개방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커버(230)는, 가장 폐쇄된 상태로부터 등받이(215)의 사이에 형성되는 개구(S)로 이동할 때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전방 커버(231)의 전방이 중력에 의해 아래쪽에 내려간다. 그러므로, 변기 커버(230)는 점차로 절첩되면서 후방의 회전 위치로 이동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커버(230)가 개구(S)를 통과하여 개구(S)보다 후방으로 이동했을 때, 변기 커버(230)의 하중과 캠 힌지(240)에 작용하는 회전 토크와의 관계에 의해, 변기 커버(230)의 자동적인 이동이 정지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로부터 또한 후방측의 회전 위치까지의 소정의 회전 범위에 있어서, 변기 커버(230)에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캠 힌지(240)는, 변기 커버(230)를 그 회전 위치에 유지한다. 그리고, 소정의 회전 범위로서는, 후방 커버(233)가 변기 시트(212)와 직교하는 90°로부터 145°까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변기 커버(230)가 소정의 회전 범위에 있을 때, 변기 커버(230)에 후방측으로 개방하는 힘이 외부로부터 가해졌을 때,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는, 소정의 회전 범위보다 후방으로 이동한다.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가 소정의 회전 범위를 초과했을 때, 변기 커버(230)의 하중에 의해, 캠 힌지(240)는 변기 커버(230)에 후방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작용하게 한다.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기 커버(230)는, 변기 커버(230)와 변기 시트(212)가 평행하게 되는 위치에 있어서 가장 개방한 상태로 되어, 캠 힌지(240)에 의해 변기 커버(230)의 그 이상의 후방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제3 실시형태의 포터블 변기(2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3―1) 캠 힌지(240)와 논캠식 힌지(235B, 223)에 의해 변기 커버(230)는 외곽(220)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포터블 변기(200)의 조립과 변기 커버(230)의 순조로운 개방 동작을 양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든 힌지가 캠 힌지인 참고예보다, 포터블 변기(200)의 조립은 용이하며, 모든 힌지가 논캠힌지인 다른 참고예보다, 변기 커버(230)의 개방 동작은 순조롭다.
(3―2) 2개의 논캠식 힌지(235B, 223)의 사이에 캠 힌지(240)가 배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캠 힌지(240)의 힌지 축(241) 주위의 회전을 힌지 축(241)의 양측에 있어서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변기 커버(230)가 캠 힌지(240)를 중심으로 비틀리는 경우를 바람직하게 억제할 수 있다.
(3―3) 변기 커버(230)의 손가락 거는 부재(232)의 측면(232A)은 외측으로 오목하게 있다. 그러므로, 보호자 또는 사용자는, 손목을 대략 또는 전혀 비틀지 않고, 포터블 변기(200)의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변기 커버(230)의 손가락 거는 부재(232)에 손을 걸 수 가 있어, 변기 커버(230)를 개방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캠 힌지(240) 및 2개의 논캠식 힌지(235B, 223)에 의해 변기 커버(230)가 외곽(220)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보호자 또는 사용자가 외측으로부터 손가락 거는 부재(232)에 손을 걸쳐 변기 커버(230)를 개방할 때 변기 커버(230)가 외측으로 비틀려 개폐하기 어렵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3―4) 변기 커버(230)는, 절첩식이다. 변기 커버(230)를, 개구(S)를 통해 등받이(215)보다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 커버(233)의 내면에 전방 커버(231)의 내면이 근접하여 절첩되므로, 변기 커버(230)를 개방했을 때, 변기 커버(230)의 내면이 노출되지 않는다. 위생면에서 바람직하다.
(3―5) 캠 힌지(240)는, 변기 커버(230)를 등받이(215)의 개구(S)보다 후방측에서의 소정의 회전 범위까지 자동적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보호자나 사용자는, 포터블 변기(200)를 사용할 수 있는 회전 위치까지 변기 커버(230)를 간단하게 개방할 수 있다.
(3―6) 캠 힌지(240)는,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가 소정의 회전 범위에 포함될 때,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를 유지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변기 커버(230)를 원하는 위치에서 정지시킨 상태로 포터블 변기(200)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변기 시트(212)에 깊게 걸터앉는 경우, 변기 커버(230)의 회전 위치가 등받이(215)의 개구(S)와 일치하는 위치에서는, 허리와 변기 커버(230)가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캠 힌지(240)가 변기 커버(230)를 등받이(215)의 개구(S)보다 후방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유지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포터블 변기(200)를 쾌적하게 사용할 수 있다.
· 제3 실시형태의 캠폴로워(260)를 수용하는 케이스(242)를 외곽(220)에 매립하고, 캠(250)을 변기 커버(230)에 고정시킬 수도 있다.
·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 캠 힌지(240) 및 논캠식 힌지(235B, 223)의 수 및 위치를 변경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시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예시한 특징이 본 발명에 있어 필수인 것으로 해석되지 않고, 오히려, 본 발명의 주제는, 개시한 특정한 실시형태의 모든 특징보다 적은 특징에 존재하는 것이 있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 의해 기재되고,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Claims (12)

  1. 변기조(便槽; excrement tank) 및 변기 시트(seat)를 지지하는 동시에, 중공(中空)의 복수의 다리 장착부(21)를 포함하는 외곽; 및
    상기 외곽의 복수의 상기 다리 장착부에 각각 유지되는 복수의 다리;
    를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portable toilet)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리는, 지주(支柱)와, 상기 지주의 하단부와 일체화된 풋 부재(foot portion)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는,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 장착부의 내면과 걸어맞추어지는 외면을 가지고, 상기 변기 시트의 높이는,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는 상기 지주의 삽입 깊이에 따라 변경 가능하며, 각각의 상기 풋 부재는 상기 지주보다 굵고, 각각의 상기 풋 부재의 바닥면은 길이 축을 가지는 장척형(長尺形) 평면 형상을 가지고,
    각각의 상기 다리 장착부의 상기 내면 및 각각의 상기 다리의 상기 외면의 한쪽은, 상이한 높이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다리 장착부의 상기 내면 및 각각의 상기 다리의 상기 외면의 다른 쪽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넣어지는 1개 이상의 볼록부를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은, 장척형 비다각형상(an elongated, non―polygonal shape)인, 포터블 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중심이 상기 다리의 중심선으로부터 어긋나 있는, 포터블 변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가 상기 다리 장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는, 상기 1개 이상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느 하나에 끼워맞추어진 고정 상태와, 상기 1개 이상의 볼록부가 상기 복수의 오목부 중 어디에도 끼워맞추어지지 않는 높이 조정 가능 상태로 전환되는, 포터블 변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가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하여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 중 임의의 1개에 배치되었을 때, 상기 다리는 상기 고정 상태로 되는, 포터블 변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상기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제1 각도 위치를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7.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다리는, 2개의 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전방 다리에 대한 상기 복수의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각각의 상기 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각각의 상기 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전단(前端)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지향하는 제2 각도 위치를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8. 제5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다리는, 2개의 후방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후방 다리에 대한 복수의 상기 소정 회전 각도 위치는, 각각의 상기 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상기 바닥면의 상기 길이 축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고, 또한 각각의 상기 후방 다리의 상기 풋 부재의 후단(後端)이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을 지향하는 제3 각도 위치를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다리 장착부 및 상기 다리의 양쪽에 삽입되는 것에 의해, 상기 다리 장착부에 대한 상기 다리의 회전을 규제하는 핀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핀이 상기 다리 장착부 및 상기 다리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핀의 헤드가 상기 외곽의 아래쪽에 또는 상기 변기조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공간에 노출되는, 포터블 변기.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터블 변기는, 상기 풋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외곽을 전방 경사 자세 또는 후방 경사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의 후부에 장착된 등받이; 및
    상기 외곽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보다 전방에 장착된 암 레스트(armrest);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와 상기 암 레스트는, 상기 등받이의 제1 대향면 및 상기 암 레스트의 제2 대향면에 있어서, 간극을 통하여 대향하거나 또는 간극을 통하지 않고 대향하고,
    상기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의 한쪽은,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고,
    상기 제1 대향면 및 제2 대향면의 다른 쪽은, 상기 포터블 변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포터블 변기.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과 상기 변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변기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상기 변기 커버에 부여하는 캠 기구(機構)를 내장한 캠 힌지; 및
    상기 외곽과 상기 변기 커버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캠 기구를 내장하고 있지 않은 논캠식(non-cam type) 힌지;를 더 포함하는, 포터블 변기.
KR1020150004101A 2014-01-16 2015-01-12 포터블 변기 KR1019074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06267A JP6340660B2 (ja) 2014-01-16 2014-01-16 ポータブルトイレ
JP2014006268A JP6429063B2 (ja) 2014-01-16 2014-01-16 ポータブルトイレ
JPJP-P-2014-006266 2014-01-16
JPJP-P-2014-006267 2014-01-16
JP2014006266A JP6440106B2 (ja) 2014-01-16 2014-01-16 ポータブルトイレ
JPJP-P-2014-006268 2014-0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5784A true KR20150085784A (ko) 2015-07-24
KR101907492B1 KR101907492B1 (ko) 2018-10-12

Family

ID=53549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4101A KR101907492B1 (ko) 2014-01-16 2015-01-12 포터블 변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07492B1 (ko)
CN (1) CN104783721B (ko)
TW (1) TWI640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7010A (zh) * 2016-08-26 2016-11-23 瑞安市永久亮无障碍设施有限公司 一种便携式无障碍坐便椅
US11286140B2 (en) 2019-06-07 2022-03-29 Snap-On Incorporated Floor jack lockou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040A (ja) * 1999-03-25 2000-10-03 Uchie Kk 椅子型簡易便器
JP2002330893A (ja) * 2001-05-09 2002-11-19 Sekisui Life-Tec Co Ltd 可搬便器支持脚用傾斜板
JP2003024242A (ja) * 2001-07-11 2003-01-28 Sekisui Life-Tec Co Ltd 可搬便器
JP2012152258A (ja) * 2011-01-24 2012-08-16 Panasonic Age-Free Life Tech Co Ltd 可搬便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73265Y (zh) * 1996-10-24 1998-01-28 卢海洋 靠背带v形槽的座椅
JP2002039125A (ja) * 2000-07-19 2002-02-06 Toshiba Plant Kensetsu Co Ltd 管状体の接合方法
JP4344531B2 (ja) * 2003-04-21 2009-10-14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簡易便器
JP4248300B2 (ja) * 2003-05-01 2009-04-02 アロン化成株式会社 便器の蓋
CN2927825Y (zh) * 2006-03-21 2007-08-01 冯银良 家具支撑腿的升降装置
CN101444373A (zh) * 2007-11-27 2009-06-03 陈长成 一种新型升降椅
CN201171633Y (zh) * 2008-03-11 2008-12-31 葛永跃 便捷多用途切菜板架
CN201274714Y (zh) * 2008-08-08 2009-07-22 魏世民 垂钓用折叠凳
JP5014472B2 (ja) * 2010-07-08 2012-08-29 アロン化成株式会社 簡易便器
CN201958267U (zh) * 2011-01-08 2011-09-07 陈芬芳 一种座椅脚套
CN103393305A (zh) * 2013-08-23 2013-11-20 何军华 一种骑跨式助力凳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1040A (ja) * 1999-03-25 2000-10-03 Uchie Kk 椅子型簡易便器
JP2002330893A (ja) * 2001-05-09 2002-11-19 Sekisui Life-Tec Co Ltd 可搬便器支持脚用傾斜板
JP2003024242A (ja) * 2001-07-11 2003-01-28 Sekisui Life-Tec Co Ltd 可搬便器
JP2012152258A (ja) * 2011-01-24 2012-08-16 Panasonic Age-Free Life Tech Co Ltd 可搬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83721A (zh) 2015-07-22
KR101907492B1 (ko) 2018-10-12
TWI640286B (zh) 2018-11-11
CN104783721B (zh) 2019-08-27
TW201529029A (zh) 201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70985B2 (ja) 椅子のバックレスト
US9609952B2 (en) Chair, especially, office chair
ES2409348T3 (es) Respaldo de silla
KR101907492B1 (ko) 포터블 변기
JP5646725B2 (ja) ロッキング椅子
JP6353484B2 (ja) 椅子
JP6124474B2 (ja) 椅子型簡易便器
KR20030015595A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JP3761135B2 (ja) 椅子
KR100354384B1 (ko) 의자
CN216797477U (zh) 一种儿童洗澡椅
KR200385118Y1 (ko) 틸팅가능 의자의 틸팅 레인지 조절장치
KR200465274Y1 (ko) 좌판 기울기 각도가 조절되는 의자
JP6440106B2 (ja) ポータブルトイレ
JP4583024B2 (ja) 肘掛け、及び椅子
KR100499339B1 (ko) 척추 교정용 의자 등받이
KR20220153812A (ko) 각도와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의자용 헤드레스트
JPH0550926B2 (ko)
KR101300210B1 (ko) 손목 및 팔목 보호기능을 갖는 각도조절형 마우스받침대
KR200413852Y1 (ko) 수강용 책상
JP2020058759A (ja) 椅子
KR200342421Y1 (ko) 의자용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JP6994896B2 (ja) 浴室用椅子のオプション部品取付部材
KR200254711Y1 (ko)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KR200463701Y1 (ko) 자세 교정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