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568A - 클러치 장치 - Google Patents

클러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568A
KR20150082568A KR1020157015115A KR20157015115A KR20150082568A KR 20150082568 A KR20150082568 A KR 20150082568A KR 1020157015115 A KR1020157015115 A KR 1020157015115A KR 20157015115 A KR20157015115 A KR 20157015115A KR 20150082568 A KR20150082568 A KR 20150082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late
section
clutch device
lug
back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0943B1 (ko
Inventor
이고르 로란
크리스토프 라버
크리스토프 비트만
Original Assignee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섀플러 테크놀로지스 아게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50082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3/00Friction clutches
    • F16D13/58Details
    • F16D13/583Diaphragm-springs, e.g. Belleville
    • F16D13/585Arrangements or details relating to the mounting or support of the diaphragm on the clutch on the clutch cover or the pressure pl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압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한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때 압력 플레이트는 하나 이상의 레버 요소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클러치 디스크를 역압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시키기 위해 제공되었으며, 이 경우 역압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 섹션을 구비하고, 이 러그 섹션에는 커버 부품이 연결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러치 장치{CLUTCH DEVICE}
본 발명은 클러치 장치, 특히 자동차 구동 트레인용 클러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 44 20 251 A1호에는, 역압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한 클러치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이때 압력 플레이트는 클러치 디스크를 역압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디스크 스프링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클러치 커버는 복수의 러그 섹션을 구비하며, 이들 러그 섹션에 의해 디스크 스프링은 2개의 와이어 링을 중간에 삽입한 상태에서 클러치 커버에 틸팅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충분히 견고한 클러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역압 플레이트 및 압력 플레이트를 구비한 특허 청구항 1에 따른 클러치 장치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때 압력 플레이트는 클러치 디스크를 역압 플레이트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버 요소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이 경우 역압 플레이트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 섹션을 구비하고, 이 러그 섹션에는 커버 부품이 연결되어 있다.
특히, 이와 같은 클러치 장치는 자동차 구동 트레인용으로 적합하다.
역압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러그 섹션에 의해서 그리고 이 러그 섹션에 연결된 커버 부품에 의해서, 클러치 장치는 한편으로는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특히 커버 부품에 의해서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다. 또한, 클러치 장치는, 특히 다른 클러치 장치를 대체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정비소에서 통상적으로 역압 의해 장착되며, 이와 같은 상황은 클러치 커버의 변형을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작동점이 이동하게 되며, 이는 정비소 내에서 보상될 수 있는 경우가 매우 드물다.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에서는, 커버 부품이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러그 섹션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장치는 충분한 강성을 갖게 되고, 특히 정비소에서 수리의 목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역압 플레이트는 마찰 면을 구비하며, 클러치 장치가 맞물릴 때 클러치 디스크가 상기 마찰 면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접할 수 있다. 커버 부품은, 역압 플레이트의 마찰 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러그 섹션의 전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바람직하게 커버 부품이 러그 섹션의 전면과 직접 접하고 있다. 러그 섹션은 바람직하게 1단계 또는 다단계의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며, 이 경우에 특히 장점이 되는 것은, 전체 역압 플레이트가 판금으로부터, 특히 강철 판금으로부터 성형에 의해서 제조되는 것이다. 이로써, 클러치 장치의 특히 경제적인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클러치 장치가 단 하나의 통합형 레버 요소만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레버 요소는, 클러치 장치가 정상적으로 맞물린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디스크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러치 장치가 정상적으로 해제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환형의 레버 스프링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클러치 장치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레버 요소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된 모든 레버 요소들에서의 공통점은, 이들 레버 요소가 각각 하나 이상의 레버 텅(lever tongue)을 구비한다는 것이며, 이 레버 텅에 의해서는 레버 요소 혹은 레버 요소들이 작동 장치에 의해 클러치 장치의 해제 및또는 클러치 장치의 맞물림을 위해 작동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틸팅 가능하다. 이들 레버 텅은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으로 클러치 장치 내부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클러치 장치의 회전 중심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역압 플레이트는 클러치 장치의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러그 섹션을 구비하며, 이들 러그 섹션은 역압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러그 섹션들은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으며, 이로 인해 클러치 장치의 균일한 맞물림 거동 및/또는 해제 거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러그 섹션들이 방사 방향으로 역압 플레이트의 마찰 면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한편으로는 클러치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가 가능하게 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레버 요소 혹은 레버 요소들의 바람직한 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각각의 러그 섹션에 의해서 별도의 레버 요소가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이로써,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 배치된 복수의 레버 텅을 구비한, 복잡하게 형성된 환형의 레버 요소가 생략될 수 있다. 이들 별도의 레버 요소는 경제적으로 제조되고 장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러그 섹션의 전면에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홀에 의해서 커버 부품이 역압 플레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홀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터드 홀(stud hole)이 이용된다. 홀, 특히 스터드 홀이 맨드릴 공구(mandrel tool)에 의해서 러그 섹션의 전면에 형성되는 경우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는 클러치 장치의 특히 경제적인 제조를 가능케 하는데, 그 이유는 홀을 제조할 때에 절삭 방법이 생략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커버 부품이 홀 내부에 삽입된 나사에 의해 역압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는 자체적으로 홈을 형성하는 나사이며, 이로써 별도의 처리 단계에서 홀 내부에 나사선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은 경우도 클러치 장치의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러그 섹션은 축 방향으로 압력 플레이트를 통과해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러그 섹션은 압력 플레이트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이 압력 플레이트의 관통구 내부에 접한다. 압력 플레이트 측 관통구는 특히 방사 방향으로 압력 플레이트의 마찰 면 외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클러치 장치가 맞물릴 때 클러치 디스크가 압력 플레이트의 마찰 면과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접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가 러그 섹션들의 개수 및 위치에 상응하는 개수의 관통구를 이들 러그 섹션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관통구들은 바람직하게 원주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원형 궤도상에 배치된다.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개별 러그 섹션의 원주 방향으로 마주 놓여 있는 측면들이 압력 플레이트의 개별 관통구의 가장자리에 직접 접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접 접해 있는 경우, 역압 플레이트에 대한 압력 플레이트의 축 방향 변위 가능성을 촉진하는 동시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헐거운 끼워 맞춤(clearance fit) 방식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에 유의해야만 한다. 또한, 추가의 부품들 또는 부품 섹션들이 원주 방향으로 러그 섹션의 개별 측면과 관통구의 개별 가장자리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러그 섹션은 축 방향으로 레버 요소를 관통해서 연장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레버 요소는 러그 섹션에 접함으로써 적어도 원주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도, 특히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을 이용한 토크 전달이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요소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섹션을 구비하며, 이 스프링 섹션은 레버 요소에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레버 요소를 센터링하기 위하여 커버 부품에 결합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커버 부품에는 예를 들어 결합 개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결합 개구 내부로는, 후크 섹션을 구비한 스프링 섹션의 자유 단부가 결합된다. 특히, 커버 부품 측 결합 개구와 레버 요소 측 칼라 섹션(collar section)은, 레버 요소를 커버 부품에 분실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하여, 하나의 분실 방지 장치를 형성하며, 이는 특히 클러치 장치를 조립할 때에 장점이 된다. "스프링 섹션"이라는 명칭이 지시하는 바와 같이, 레버 요소의 스프링 섹션은 레버 요소의 나머지 영역들, 특히 앞에서 이미 언급된 레버 텅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될 레버 암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다.
커버 부품이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특히,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으로 그리고/또는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고 레버 요소를 센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센터링 섹션이 커버 부품에 제공되어 있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이 센터링 섹션은 바람직하게 환형 커버 부품의 내부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센터링 섹션은 바람직하게 레버 요소 내부에 결합되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레버 요소의 2개의 이웃하는 레버 암 사이에 있는 리세스 내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경우, 이 리세스 내에 앞에서 이미 언급된 레버 요소의 스프링 섹션이 존재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며, 이 스프링 섹션은 자신의 측에서 예비 응력하에 커버 부품상에 올려져 있고, 특히 커버 부품 측 결합 개구 내부에 결합되며, 이 커버 부품 측 결합 개구는 센터링 섹션과 동일한 방사방향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요소는 하나 이상의 레버 암을 구비하고, 이 레버 암은 압력 플레이트 내부에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레버 암은, 레버 요소의 레버 텅이 작동 장치에 의해서 작동될 때에 클러치 장치를 해제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 내부에 결합된다. 레버 암은 특히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 외부에 형성된 압력 플레이트의 칼라 섹션 내부에 결합된다. 이 칼라 섹션은 클러치 장치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다. 그럼으로써, 압력 플레이트를 판금으로부터, 특히 강철 판금으로부터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이로써 클러치 장치의 제조 비용이 더욱 줄어들 수 있다.
칼라 섹션은 바람직하게 원주 방향으로 주변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고, 레버 요소를 위한,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레버 요소의 레버 암을 위한 상응하는 결합 개구를 구비한다. 이 결합 개구는, 역압 플레이트 측 러그 섹션들이 연장될 때에 축 방향으로 관통하게 되는 관통구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레버 요소마다 공통의 결합 개구 및 관통구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외부 칼라 섹션은 바람직하게 정상적으로 맞물린 클러치 장치의 레버 요소를 위한 리프트 앵커(lift anchor)를 형성한다. 또한, 상응하는 형상에 의해서는, 토크를 역압 플레이트의 러그 섹션으로부터 출발하여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레버 요소의 레버 암을 거쳐, 레버 암이 결합 개구 내부에 원주 방향으로 접함으로써 압력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한 추가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의 디스크 스프링은 압력 플레이트에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해 레버 요소와 압력 플레이트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디스크 스프링은, 자신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에서는 레버 요소에 접하고, 자신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에서는 압력 플레이트에 접한다. 이 상황에서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디스크 스프링을 접하게 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가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하나의,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비드(bead)를 구비하는 경우이다. 또한, 디스크 스프링이 방사 방향으로 내부에 형성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력 플레이트의 칼라 섹션에 의해서 센터링되어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칼라 섹션이 성형에 의해 제조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압력 플레이트는 판금으로부터, 특히 강철 판금으로부터 경제적인 유형 및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디스크 스프링은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방사 방향으로, 원형 궤도상에 배치된 러그 섹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는 클러치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가능케 한다.
역압 플레이트가 입력 부품에, 바람직하게는 플라이 휠(flywheel)에 또는 듀얼 매스 플라이 휠(dual mass flywheel)의 2차 매스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고정 섹션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결은 하나 또는 복수의 리벳 연결부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역압 플레이트가 원주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고정 섹션을 구비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며, 이때 복수의 고정 섹션은 역압 플레이트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부품의 개수가 더욱 줄어들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고정 섹션들이 방사 방향으로 역압 플레이트의 마찰 면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이는, 한편으로는 클러치 장치의 특히 콤팩트한 구조를 가능케 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클러치 장치를 장착한 후에 고정 섹션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보장해준다.
바람직하게, 러그 섹션 또는 러그 섹션들 중에 하나의 러그 섹션은 원주 방향으로 2개의 이웃하는 고정 섹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러그 섹션 및 고정 섹션을 구비한 전체 역압 플레이트가 조합된 천공 및 성형 방법에서 판금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역압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동일한 개수의 러그 섹션 및 고정 섹션을 구비하며, 이 경우 러그 섹션 및 고정 섹션은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관련 도면들과 연관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러그 섹션을 구비한 역압 플레이트 및 칼라 섹션을 구비한 압력 플레이트를 갖춘 클러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장치를 반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장치의 역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클러치 장치의 압력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클러치 장치(1)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와 관련이 있다. 본 명세서에 본 발명에 중요한 것으로서 기술되어 있지 않은 특징들은 선택적인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특징들의 부분적인 조합 특징을 갖는 클러치 장치(1)의 추가의 실시예들과도 관련이 있다. 특히,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또한 클러치 장치(1)를 위한 역압 플레이트(2) 및 압력 플레이트(7)와도 관련이 있다. 클러치 장치(1)는 특히 마찰 클러치로서 형성되어 있고, 자동차 구동 트레인용으로 제공되어 있다.
클러치 장치(1)는 하나 이상의 역압 플레이트(2), 하나 이상의 압력 플레이트(7) 및 이 클러치 장치(1)의 축 방향(A)으로 역압 플레이트(2)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클러치 디스크(26)를 구비한다. 역압 플레이트(2)는 클러치 장치(1)의 입력 측을 규정하는 한편, 클러치 디스크(26)는 클러치 장치(1)의 출력 측을 규정한다. 압력 플레이트(7)는 역압 플레이트(2)에 대하여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된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축 방향(A)으로는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압력 플레이트(7)가 축 방향(A)으로 변위됨으로써, 클러치 디스크(26)는 역압 플레이트(2)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역압 플레이트(2)의 마찰 면(3)과 압력 플레이트(7)의 마찰 면(8) 사이에, 자신의 마찰 라이닝(27)에 의해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토크는 클러치 장치(1)의 입력 측으로부터 클러치 장치(1)의 출력 측으로 전달될 수 있다.
마찰 라이닝(27)에 추가로, 클러치 디스크(26)는 허브(28)(hub)를 구비하며, 이 허브는 클러치 디스크(26)의 회전 중심에 혹은 클러치 장치(1)의 회전 중심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클러치 디스크(26)는 바람직하게 감쇠 장치(29)를 구비하며, 이 감쇠 장치는 클러치 장치(1)의 방사 방향(R)으로 마찰 라이닝(27)과 허브(28)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클러치 장치(1)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회전 진동을 감쇠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 나아가, 클러치 장치(1)는 복수의 레버 요소(16)를 구비하며, 이들 레버 요소는 역압 플레이트(2)에 대하여 틸팅 가능하게 지지 및 설치되어 있고,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작동 장치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개별 레버 요소(16)는 클러치 장치(1)의 원주 방향(U)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클러치 장치(1)의 방사 방향(R)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레버 요소(16)는 레버 텅을 구비하며, 이 레버 텅에 의해서는 각각의 레버 요소(16)가 작동 장치에 의해 클러치 장치(1)의 해제 및/또는 맞물림을 위해 작동될 수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틸팅될 수 있다. 레버 텅은 바람직하게 방사 방향(R)으로 내부에 놓여 있는데, 다시 말하자면 클러치 장치(1)의 회전 중심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레버 요소(16)는 상응하는 러그 섹션(4)의 영역에 틸팅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적어도 원주 방향(U)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역압 플레이트(2)는 복수의 러그 섹션(4)을 구비하며, 이들 러그 섹션(4)의 개수는 레버 요소(16)의 개수에 상응한다. 러그 섹션(4)은 원주 방향(U)으로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고 역압 플레이트(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러그 섹션(4)은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다. 방사 방향(R)으로는, 러그 섹션(4)이 역압 플레이트(2)의 마찰 면(3) 외부에 그리고 압력 플레이트(7)의 마찰 면(8)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러그 섹션(4)은 실질적으로 축 방향(A)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러그 섹션(4)이, 이 경우 이외에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역압 플레이트(2)로부터 성형 기술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전체 역압 플레이트(2)는 바람직하게 조합된 천공 및 성형 방법에 의해서 판금으로부터, 특히 강철 판금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역압 플레이트(2)는 원주 방향(U)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고정 섹션을 구비하며, 이들 고정 섹션은 역압 플레이트(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 섹션이 방사 방향(R)으로는 역압 플레이트(2)의 마찰 면(3) 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러그 섹션(4)들 중에 하나의 러그 섹션은 원주 방향(U)으로 2개의 이웃하는 고정 섹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러그 섹션(4)의 개수는 고정 섹션의 개수에 상응하며, 이 경우 러그 섹션(4) 및 고정 섹션은 원주 방향(U)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고정 섹션에 의해, 전체 클러치 장치(1)는, 예를 들어 복수의 리벳 연결부 또는 복수의 나사 연결부에 의해서 입력 부품에, 바람직하게는 플라이 휠에 또는 듀얼 매스 플라이 휠의 2차 매스에 일체로 회전하도록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역압 플레이트(2)의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러그 섹션(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커버 부품(19)에 연결되어 있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커버 부품(19)은 역압 플레이트(2)의 마찰 면(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러그 섹션(4)의 전면(5)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커버 부품(19)은 러그 섹션(4)의 상응하는 전면(5)에 직접 접하고 있다.
개별 러그 섹션(4)의 전면(5)에는 홀, 바람직하게는 스터드 홀(6)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이 스터드 홀(6)은 맨드릴 공구에 의해서 클러치 장치(1)의 축 방향(A)으로 절삭 없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자체적으로 홈을 형성하고, 스터드 홀(6) 내부에 결합되어 있는 나사(22)에 의해서, 커버 부품(19)은 역압 플레이트(2)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역압 플레이트(2)의 러그 섹션(4)에 연결되어 있다.
러그 섹션(4)은 축 방향(A)으로 압력 플레이트 측 마찰 면(8) 외부에서 압력 플레이트(7)를 관통해서 연장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7) 내에서 압력 플레이트 측 마찰 면(8) 외부에 관통구(12)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들 관통구의 개수 및 위치는 역압 플레이트 측 러그 섹션(4)의 개수 및 위치에 상응한다. 이로써, 관통구(12)는 마찬가지로 원주(U) 방향으로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서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다. 역압 플레이트(2)로부터 압력 플레이트(7)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관통구(12)의 가장자리는 바람직하게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서, 개별 러그 섹션(4)의 원주 방향(U)으로 마주 놓여 있는 측면에 접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압력 플레이트(7)는 또한 원주 방향(U)으로 환형의 외부 칼라 섹션(9) 그리고 원주 방향(U)으로 환형의 내부 칼라 섹션(10)을 구비한다. 2개의 칼라 섹션(9, 10)은 압력 플레이트(7)를 보강하기 위해서 이용되고, 판금, 특히 강철 판금으로부터 성형 방식을 이용해서 압력 플레이트(7)를 제조할 수 있게끔 한다.
클러치 장치(1)를 해체할 필요 없이, 조립 공구가 작동 장치의 방향으로부터 전술된 고정 섹션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방사 방향(R)으로 외부 칼라 섹션(9) 내부에서, 압력 플레이트(7)에는 조립 개구(13)가 제공되어 있다. 조립 개구(13)는 원주 방향(U)으로 관통구(12)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커버 부품(19)도 압력 플레이트 측 조립 개구(13)의 영역에 조립 공구를 위한 리세스 또는 관통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이들 리세스가 인입부로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환형의 커버 부품(19)은 실질적으로 별 모양의 외부 윤곽을 갖게 된다.
역압 플레이트(2)의 각각의 러그 섹션(4)은 축 방향(A)으로 개별 레버 요소(16)를 관통해서 연장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레버 요소(16)는 원주 방향(U)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2개의 레버 암(17)을 구비하며, 이들 레버 암은 실질적으로 방사 방향(R)으로 연장된다. 레버 암(17)은 방사 방향(R)으로 개별 레버 요소(16)의 레버 텅 외부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서 적어도 원주 방향(U)으로는, 개별 러그 섹션(4)의 원주 방향(U)으로 마주 놓여 있는 2개의 측면에 접해 있다. 이로써, 적어도 레버 요소(16)의 원주 방향(U)으로의 정렬이 가능하며, 이 경우 추가로 토크가 레버 요소(16)에 전달될 수도 있다.
2개의 레버 암(17)에 추가로, 각각의 레버 요소(16)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프링 섹션(18)을 구비하며, 이 스프링 섹션은 2개의 레버 암(17)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2개의 레버 암(16)과 마찬가지로 레버 텅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스프링 섹션(18)은 나머지 레버 요소(16), 즉 특히 레버 암(17) 및 레버 텅보다 높은 탄성을 갖는다. 레버 요소(16)에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레버 요소(16)를 센터링하기 위하여, 스프링 섹션(18)은 커버 부품(19)에 결합되어 있다. 특히 각각의 레버 요소(16)는 커버 부품(19)에 의해서 분실되지 않게 고정되며, 이 경우 도시된 실시예에서 커버 부품(19)은 나사(22) 근처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나사(22)와 동일한 방사 방향 라인 상에 각각 결합 개구(20)를 하나씩 구비한다. 개별 레버 요소(16)의 스프링 섹션(18)은 자신의 자유 단부에 후크 섹션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후크 섹션은 결합 개구(20) 내부에 분실되지 않게 결합된다. 하지만, 특히 클러치 장치(1)의 조립을 단순하게 하기 위한 다른 유형의 분실 방지 조치도 가능하다.
환형의 커버 부품(19)은 또한 센터링 섹션(21)을 구비하며, 이 센터링 섹션은 개별 레버 요소(16)를 센터링하기 위하여 축 방향(A)으로 그리고/또는 방사 방향(R)으로, 바람직하게는 내부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특히 역압 플레이트(2)로부터 커버 부품(19)으로 전달되는 토크가 레버 요소(16)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별 센터링 섹션(21)이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서, 개별 레버 요소(16)의 2개의 이웃하는 레버 암(17) 사이에, 바람직하게는 헐거운 끼워 맞춤에 의해서 결합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의 레버 요소(16)가 예를 들어 단 하나의 레버 암(17) 및/또는 2개 이상의 스프링 섹션(18)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히, 레버 암(17)이 원주 방향(U)으로 일 레버 요소(16)의 2개의 이웃하는 스프링 섹션(18)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개별 레버 요소(16)의 레버 암(17)의 자유 단부들은 압력 플레이트(7) 내부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압력 플레이트(7)의 외부 칼라 섹션(9) 내부에 결합된다. 이 목적을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7)의 외부 칼라 섹션(9)은 결합 개구(11)를 구비하며, 이 결합 개구의 원주 방향(U)으로 서로 마주 놓여 있는 가장자리에는 바람직하게 헐거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서 레버 암(17)의 상응하는 에지가 접한다. 이는 또한 경우에 따라 토크가 레버 요소(16)로부터 압력 플레이트(7)에 전달될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레버 암(17)의 상부 면이 결합 개구(11)의 하부 면에 접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칼라 섹션(9)에는 압력 플레이트(7)를 보강하는 기능 이외에,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는 정상적으로 맞물린 클러치 장치(1)에서 리프트 앵커로서의 기능까지도 부여된다.
축 방향(A)으로 레버 요소(16)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는, 압력 플레이트(7)에 축 방향(A)으로 예비 응력을 하기 위하여 환형의 디스크 스프링(23)이 배치되어 있다. 디스크 스프링(23)이 레버 요소(16)와 압력 플레이트(7)를 상호 조이도록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실시예에 도시된 정상적으로 맞물린 클러치 장치(1)의 경우에, 작동이 없는 상태에서는, 토크를 클러치 장치(1)의 입력 측으로부터 클러치 장치(1)의 출력 측으로, 다시 말해 클러치 디스크(26)의 허브(28)에 전달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7)가 클러치 디스크(26)의 마찰 라이닝(27)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접하게 된다. 디스크 스프링(23)은 자신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24)에서 레버 요소(16)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레버 요소(16)의 레버 암(17)에 접하는 한편, 디스크 스프링(23)은 자신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25)에서 압력 플레이트(7)에,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축 방향(A)으로 마찰 라이닝(8)에 마주 놓여 있는 압력 플레이트(7)의 표면에 접한다. 바람직하게, 이 영역에서 압력 플레이트(7)에는 하나 이상의 환형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원주 방향(U)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링 세그먼트 모양의 비드(14)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써, 디스크 스프링(23)의 내부 영역(25)은 클러치 장치(1)의 작동 중에 이 비드(14) 위로 롤링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방사 방향(R)으로 내부에 그리고 비드(14)에 이웃해서 형성되어 있는 압력 플레이트(7)의 내부 칼라 섹션(10)에는 복수의 센터링 섹션(15)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센터링 섹션은, 디스크 스프링(23)을 센터링하기 위하여, 디스크 스프링(23)의 내부 영역(25)에 접하는 환형 디스크 스프링(23)의 내부 에지에 그리고 클러치 장치(1)의 작동 중에 접할 수 있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역압 플레이트(2) 및 압력 플레이트(7)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 구동 트레인용 클러치 장치(1)와 관련이 있으며, 이때 압력 플레이트는 클러치 디스크(26)를 역압 플레이트(2)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버 요소(16)에 의해 클러치 장치(1)의 축 방향(A)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역압 플레이트(2)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 섹션(4)을 구비하고, 이 러그 섹션에는 커버 부품(19)이 연결되어 있다.
1: 클러치 장치
2: 역압 플레이트
3: 마찰 면
4: 러그 섹션
5: 전면
6: 스터드 홀
7: 압축 플레이트
8: 마찰 면
9: 외부 칼라 섹션
10: 내부 칼라 섹션
11: 결합 개구
12: 관통구
13: 조립 개구
14: 비드
15: 센터링 섹션
16: 레버 요소
17: 레버 암
18: 스프링 섹션
19: 커버 부품
20: 결합 개구
21: 센터링 섹션
22: 나사
23: 디스크 스프링
24: 외부 영역
25: 내부 영역
26: 클러치 디스크
27: 마찰 라이닝
28: 허브
29: 감쇠 장치
A: 축 방향
R: 방사 방향
U: 원주 방향

Claims (11)

  1. 역압 플레이트(2) 및 압력 플레이트(7)를 구비한, 특히 자동차 구동 트레인용 클러치 장치(1)로서,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클러치 디스크(26)를 역압 플레이트(2)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레버 요소(16)에 의해 클러치 장치(1)의 축 방향(A)으로 제한적으로 변위될 수 있고, 상기 역압 플레이트(2)는 실질적으로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러그 섹션(4)을 구비하고, 상기 러그 섹션에 커버 부품(19)이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역압 플레이트(2)는 마찰 면(3)을 구비하며, 클러치 장치(1)가 맞물릴 때 클러치 디스크(26)가 상기 마찰 면(3)에 마찰 결합 방식으로 접할 수 있으며, 커버 부품(19)은, 역압 플레이트(2)의 마찰 면(3)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 러그 섹션(4)의 전면(5)에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역압 플레이트(2)는 클러치 장치(1)의 원주 방향(U)으로, 바람직하게는 균일하게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복수의 러그 섹션(4)을 구비하며, 상기 러그 섹션은 역압 플레이트(2)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원형 궤도상에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러그 섹션(4)의 전면(5)에 홀, 바람직하게는 스터드 홀(6)이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맨드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에 의해서 커버 부품(19)이 역압 플레이트(2)에 연결될 수 있는, 클러치 장치(1).
  5. 제4항에 있어서, 커버 부품(19)은 바람직하게 자체적으로 홈을 형성하는, 홀 내부에 삽입된 나사(22)에 의해서 역압 플레이트(2)에 연결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러그 섹션(4)은 축 방향(A)으로 압력 플레이트(7)를 관통해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러그 섹션(4)은 압력 플레이트(7)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압력 플레이트(7)의 관통구(12) 내부에 접하는, 클러치 장치(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러그 섹션(4)은 축 방향(A)으로 레버 요소(16)를 관통해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 레버 요소(16)는 러그 섹션(4)에 접함으로써 적어도 원주 방향(U)으로 정렬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 요소(16)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 섹션(18)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섹션은 레버 요소(16)에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하여 그리고/또는 레버 요소(16)를 센터링하기 위하여 커버 부품(19)에 결합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버 부품(19)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 부품(19)에는 바람직하게 클러치 장치(1)의 축 방향(A)으로 그리고/또는 방사 방향(R)으로 연장되고 레버 요소(16)를 센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센터링 섹션(21)이 제공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레버 요소(16)는 하나 이상의 레버 암(17)을 구비하며, 상기 레버 암은 바람직하게 클러치 장치(1)를 해제하기 위하여 압력 플레이트(7) 내부에, 바람직하게는 압력 플레이트(7)의 칼라 섹션(9)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칼라 섹션은 방사 방향(R)으로 외부에 형성되고 축 방향(A)으로 연장되며 바람직하게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클러치 장치(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환형의 디스크 스프링(23)이 압력 플레이트(7)에 예비 응력을 가하기 위해 레버 요소(16)와 압력 플레이트(7) 사이에 축 방향(A)으로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크 스프링(23)은 자신의 방사 방향 외부 영역(24)에서는 레버 요소(16)에 접하고, 자신의 방사 방향 내부 영역(25)에서는 압력 플레이트(7)에 접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디스크 스프링(23)은 방사 방향(R)으로 내부에 형성된, 축 방향(A)으로 연장되는, 바람직하게 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압력 플레이트(7)의 칼라 섹션(10)에 의해서 센터링되어 있는, 클러치 장치(1).
KR1020157015115A 2012-11-09 2013-10-14 클러치 장치 KR102160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20460.1 2012-11-09
DE102012220460 2012-11-09
PCT/DE2013/200223 WO2014071933A1 (de) 2012-11-09 2013-10-14 Kupplungsvor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568A true KR20150082568A (ko) 2015-07-15
KR102160943B1 KR102160943B1 (ko) 2020-10-05

Family

ID=49626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5115A KR102160943B1 (ko) 2012-11-09 2013-10-14 클러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915297B2 (ko)
EP (1) EP2917600B1 (ko)
KR (1) KR102160943B1 (ko)
CN (1) CN104813052B (ko)
BR (1) BR112015010176B1 (ko)
DE (2) DE102013220628A1 (ko)
IN (1) IN2015DN02568A (ko)
WO (1) WO20140719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218668A1 (de) 2013-10-30 2015-04-3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Reibungskupplungseinrichtung
DE102016207586A1 (de) * 2016-05-03 2017-11-09 Robert Bosch Gmbh Elektrische Antriebseinheit, sowie Befestigungsflansch zum Befestigen der Antriebseinheit an eine Baugrupp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025B2 (ja) * 1993-04-03 2003-02-04 ツェットエフ ザッ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外径を低減したフライホイール
JP2004316765A (ja) * 2003-04-16 2004-11-11 F C C:Kk 乾式多板クラッチ
KR20080018878A (ko) * 2005-06-24 2008-02-2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클러치 디스크
EP2028381A1 (de) * 2007-08-20 2009-02-25 ZF Friedrichshafen AG Reibungskuppl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39888A (en) * 1931-03-16 1933-12-19 Continental Motors Corp Clutch
US2222508A (en) * 1939-07-03 1940-11-19 Gen Motors Corp Clutch
JPS62278322A (ja) * 1986-05-26 1987-12-03 Daikin Mfg Co Ltd プルタイプクラッチの冷却機構
DD300568A5 (de) 1990-02-12 1992-06-17 Rostock Baurationalisierung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Eigenfeuchte Ii von Zuschlagstoffen
FR2682170B1 (fr) * 1991-10-02 1998-01-09 Valeo Embrayage a diaphragme, notamment pour vehicules automobiles.
SE512438C2 (sv) 1991-11-26 2000-03-20 Luk Lamellen & Kupplungsbau Friktionskoppling
DE4420251B4 (de) 1993-06-23 2006-03-3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FR2718206B1 (fr) 1994-03-30 1996-05-15 Valeo Mécanisme d'embrayage, notamment pour véhicule automobile.
FR2756892B1 (fr) 1996-12-05 1999-02-19 Valeo Embrayage a friction a faible effort de debrayage
DE10061460A1 (de) 2000-12-08 2002-06-13 Zf Sachs Ag Reibungskupplung
JP3943950B2 (ja) * 2002-02-18 2007-07-11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カバー組立体
US7082661B2 (en) * 2002-12-04 2006-08-01 Ace Manufacturing & Parts Company Centrifugally assisted clutch
WO2009039813A1 (de) * 2007-09-24 2009-04-02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Reibungskupplung
FR2922284B1 (fr) 2007-10-11 2010-03-19 Valeo Embrayages Mecanisme d'embrayage, notamment de vehicule automobile, a assistance perfectionnee a l'embrayage
US8146726B2 (en) * 2008-12-01 2012-04-03 Eaton Corporation Positive clutch plate separator system
US20110272236A1 (en) * 2010-03-12 2011-11-10 Os Giken Co., Ltd. Clutch device
DE102012205509A1 (de) 2011-04-28 2012-10-31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Kupplungsdeckel
BR112014011553A2 (pt) 2012-01-24 2017-05-09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dispositivo de embreagem
DE112013001614A5 (de) * 2012-03-22 2014-12-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ebelelement für eine Federeinrichtung einer Reibkupplung sowie entsprechende Reibkupplung
IN2014DN10179A (ko) * 2012-08-03 2015-08-2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025B2 (ja) * 1993-04-03 2003-02-04 ツェットエフ ザックス 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外径を低減したフライホイール
JP2004316765A (ja) * 2003-04-16 2004-11-11 F C C:Kk 乾式多板クラッチ
KR20080018878A (ko) * 2005-06-24 2008-02-28 루크 라멜렌 운트 쿠플룽스바우베타일리궁스 카게 클러치 디스크
EP2028381A1 (de) * 2007-08-20 2009-02-25 ZF Friedrichshafen AG Reibungskupplung, insbesondere für den Antriebsstrang eines Fahrzeug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17600A1 (de) 2015-09-16
IN2015DN02568A (ko) 2015-09-11
DE102013220628A1 (de) 2014-05-15
US20150300419A1 (en) 2015-10-22
DE112013005345A5 (de) 2015-07-23
BR112015010176A2 (pt) 2017-07-11
WO2014071933A1 (de) 2014-05-15
US9915297B2 (en) 2018-03-13
KR102160943B1 (ko) 2020-10-05
CN104813052A (zh) 2015-07-29
EP2917600B1 (de) 2019-12-11
BR112015010176B1 (pt) 2021-09-28
CN104813052B (zh) 2017-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5953B1 (ko) 상시 결합식 클러치 장치
KR20140047689A (ko) 클러치 어셈블리
JP2012519806A (ja) ブレーキディスク
JP2015502509A (ja) クラッチ用の摩擦装置
WO2010143468A1 (ja) トルクリミッタ装置
JP2018531349A6 (ja) 摩擦クラッチ
JP2018531349A (ja) 摩擦クラッチ
KR102396061B1 (ko) 특히 자동차용의 클러치 장치용 어셈블리
KR20150082568A (ko) 클러치 장치
US10648514B2 (en) Friction clutch device
JP6320514B2 (ja) プレッシャプレートアッセンブリをカウンタプレッシャプレートに反力なしに取り付ける取付け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反力なしに取り外す方法
KR102060340B1 (ko) 커플링 장치
US7093701B2 (en) Bridging clutch for a clutch apparatus which has a hydrodynamic circuit in a clutch housing
JP2017510773A (ja) 多板デュアルクラッチ
KR100957287B1 (ko) 자동 변속기의 마찰기구
KR101534657B1 (ko) 자동변속기용 클러치
CN105904156B (zh) 传矩装置的减震装置用的摆件支座
US6105744A (en) Welded annular disc and reinforcing plate assembly
JPH11201182A (ja) 多板クラッチ、多板クラッチの仮組み部材、及び多板クラッチのフライホイールへの組み付け方法
KR20190064003A (ko) 건식 더블 클러치의 다이어프램 편심 방지 장치
JPS591817A (ja) 特に自動車用の中心固定ねじ式クラツチ
JP2006017226A (ja) トルクリミッタ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組み付け方法
JPH03181619A (ja) 自動車用クラッチ
JP2002130324A (ja) クラッチ用クッショニングプレートの製造方法
KR20190075925A (ko) 반경 방향으로 고정된 플레이트 캐리어들을 갖는 듀얼 클러치, 그리고 듀얼 클러치 및 플라이 휠로 이루어진 조립 부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