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353A -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 - Google Patents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353A
KR20150082353A KR1020157013826A KR20157013826A KR20150082353A KR 20150082353 A KR20150082353 A KR 20150082353A KR 1020157013826 A KR1020157013826 A KR 1020157013826A KR 20157013826 A KR20157013826 A KR 20157013826A KR 20150082353 A KR20150082353 A KR 20150082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medicine container
medicine
medicament
syr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키 니시오카
오사무 타키구치
가츠요시 하마이
테츠야 마스다
후지오 이노우에
다카시 요시나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오오쯔까 테크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오츠카 세이야쿠 고죠
Publication of KR20150082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3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06Septums, pierceable membr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6Holders for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96Combination of a vial and a syringe for transferring or mixing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1475Inlet or outlet ports
    • A61J1/1487Inlet or outlet ports with friction fit, e.g. connecting tubes directly to a protruding p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03Accessories used in combination with means for transfer or mixing of fluids, e.g. for activating fluid flow, separating fluids, filtering fluid or venting
    • A61J1/2006Piercing means
    • A61J1/201Piercing means having one piercing end
    • A61J2001/1487

Abstract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이용해, 상기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석션을 실시할 때에, 약제 용기로부터 약제가 새어 나오거나 휘발하거나 했을 경우에도, 외부까지 노출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약제 용기 수용 장치는,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이용해, 상기 유통부를 관통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석션을 실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가 수용되는 폐쇄 공간, 및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개구부를 밀폐해,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가 관통 가능한 탄성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수용된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약제 용기를 수용한다.

Description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DRUG CONTAINER STORAGE DEVICE, DRUG CONTAINER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UCKING DRUG}
본 발명은,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암화학요법 등으로 이용되는, 세포 독성을 가지는 약제를 취급하는 의료 종사자의 건강 피해가 문제시되고 있다. 그 이유는, 통상, 세포 독성을 가지는 약제는 용기에 봉입된 상태로 유통되지만, 의료 종사자는 시린지를 이용해 이러한 용기내의 약제를 용해하거나 꺼내거나 희석하거나 혼합하거나 하는 일을 하지 않을 수 없고, 이러한 작업 시 약제가 새거나 휘발하거나 하여 약제에 노출되는 일이 적지 않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여기서, 의료 종사자는 캡이나 마스크, 가운, 장갑 등을 착용한 상태에서, 아이솔레이터나 안전 캐비닛 등의 장치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거나 특허 문헌 1 및 2에 기재된 특수한 기구를 이용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및 2의 특수한 기구는, 약제 용기와 그것으로부터 약제를 빼내는 시린지를 연결하는 기구이며, 시린지 속으로 빼내어질 때에 약제가 새어 주위 환경에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다.
일본공개특허 특표 2009-514641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표 2005-504609호 공보
그런데, 상기 기구에서는 약제 용기의 개구 부분은 막혀 있지만, 여전히 약제 용기 자체는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며, 만일 개구 부분으로부터 약제가 새면 그 기구를 접하는 사람은 약제에 피폭될 가능성이 있다. 또, 약제 용기를 폐기한 후에도 약제가 노출될 가능성도 있어, 환경 면에서도 큰 문제가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이용해, 상기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석션을 실시할 때에, 약제 용기로부터 약제가 새어 나오거나 휘발 하거나 했을 경우에도 외부로까지 노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약제의 석션 방법 및 약제의 혼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용기 수용 장치는, 액체의 석션 및 배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이용해, 상기 유통부의 관통이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석션을 행하기 위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가 수용되는 폐쇄 공간, 및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개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가 관통 가능한 탄성 밀봉부를 구비하고, 상기 본체부는, 수용된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약제 용기를 수용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밀폐된 폐쇄 공간 내에 약제 용기를 수용할 수 있고, 게다가 본체부에 수용된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본체부의 제1 개구부를 밀폐하는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약제 용기가 수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시린지의 유통부를 탄성 밀봉부 및 덮개부에 관통시켜, 약제를 시린지에 석션한 후, 유통부를 뽑아낼 때, 만일 약제가 약제 용기로부터 샜다고 해도, 샌 약제는 덮개부와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 공간으로 낙하하기 때문에, 약제를 폐쇄 공간 내에 머무르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약제를 시린지로 석션할 때에, 탄성 밀봉부의 외부로 약제가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 용기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내에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그대로 폐기함으로써, 약제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약제 용기를 폐기할 수 있다. 따라서, 폐기 후에도 약제 용기로부터 약제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 상기 약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폐쇄부를 마련할 수 있다. 폐쇄부는 본체부의 어느 장소에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체부의 외주면 이외에도, 제1 개구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폐쇄부에 제1 개구부가 설치되어도 괜찮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를, 대향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폐쇄부를,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제1 개구부 측으로 향하도록 눌러,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본체부 내에서 고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약제 용기를 제2 개구부로부터 폐쇄 공간 내에 삽입하여 폐쇄부를 닫음으로써, 약제 용기를 약제 용기 내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 공간의 밀폐와 약제 용기의 고정을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탄성 밀봉부의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 덮개부의 윗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상기 덮개부의 윗면과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상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1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존재에 의해, 제1 대향면과 약제 용기의 덮개부의 윗면과의 거리가 유지되어, 상기 덮개부의 윗면과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약제 용기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약제 용기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탄성 밀봉부의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 덮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에, 볼록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대향면에 형성되어 있는 볼록부의 존재에 의해, 제2 대향면과 약제 용기의 덮개부의 측면과의 거리가 유지되어, 제2 대향면과 상기 덮개부의 측면과의 사이에, 상기 덮개부의 윗면과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 공간에 낙하한 약제를 상기 덮개부의 하단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공간이 확보된다. 따라서, 약제 용기로부터 샌 약제를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어, 약제의 제1 개구부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제의 샌 양이 많은 경우에는, 약제 누출 방지에 큰 역할을 해낸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를,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주머니로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본체부는, 여러가지 사이즈나 형상의 약제 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약제 용기 수용 장치는 여러가지 사이즈나 형상의 약제 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를,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양단부에 가지는 통 모양의 몸통부과, 상기 제2 단부로부터 깔때기 모양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와 연속하여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머리부를 갖추도록 형성하고, 상기 어깨부의 경사면에,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본체부의 어깨부가 경사면을 가지는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를 본체부에 삽입하면, 약제 용기의 덮개부는 경사면에 접촉한다. 이로 인해, 약제 용기의 형상에 관계없이 본체부에 대한 약제 용기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고, 한층 더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 공간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본체부에 대한 약제 용기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경사면에,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몸통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홈 또는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이처럼, 경사면에,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몸통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홈 또는 리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덮개부와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의 공간에 낙하한 약제를, 홈 또는 리브를 따라 몸통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제 용기로부터 샌 약제를 제1 개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약제의 제1 개구부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제의 샌 양이 많은 경우에는, 약제를 홈 또는 리브를 따라 흘리기 쉬워지고, 약제의 누출 방지에 큰 역할을 해낸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밸브 부재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폐쇄부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가 밀폐되면,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폐쇄부가 닫히면, 관통공으로부터 밸브 부재가 돌출하기 때문에, 이로 인해, 폐쇄부가 닫힌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밀봉부가 지름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 넣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개구부를 강하고 견고하게 닫을 수 있고, 밀폐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은, 앞서 언급한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와 상기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상기 제1 개구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술한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약제 용기를 모아 흔들어서 약제를 용해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용해 효율이 향상한다. 또, 시린지로 약제를 석션할 때에도, 연결되어 있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중에서 약제를 석션할 수 있고,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연결 기구는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 개의 오목부 및 볼록부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약제의 석션 방법은,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고, 약제가 수용된 적어도 1개의 약제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가 수용되는 폐쇄 공간,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탄성 밀봉부를 가지는 적어도 1개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를 상기 탄성 밀봉부 및 덮개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를 상기 시린지 내에 석션하는 단계와,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를 상기 탄성 밀봉부 및 덮개부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약제의 석션 방법에 있어서는, 상기 약제가 분말형태이며, 상기 약제를 석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시린지 내에 수용된 혼합액을 상기 약제 용기 내에 주입하고 액상의 약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마련할 수가 있고,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를 상기 시린지 내로 석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액상의 약제를 석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의 석션 방법에 있어서는, 앞서 언급한 몇몇의 약제의 석션 방법을, 서로 다른 복수의 상기 약제에 여러 차례 반복하여, 하나의 상기 시린지 내에 상기 복수의 약제를 석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시린지를 이용해 약제와 혼합액을 혼합할 때에, 약제 용기로부터 약제가 새어 나오거나 휘발했을 경우에도 폐쇄 공간 내에 머물러, 외부까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장치에 수용되는 약제 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도 3의 약제 용기를 수용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5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이용해 약제의 석션을 실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6은 혼합액용기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약제 용기를 수용한 상태의 도 7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측방단면도이다.
도 9의 (a)는 개방 상태의 밸브 본체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9의 (b)는 폐쇄 상태의 밸브 본체 부근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X-X단면도이다.
도 11은 본체 상부의 측방단면도.
도 12는 유통단계의 도 7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측방단면도이다.
도 13은 제3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시린지 어댑터의 측방단면도이다.
도 15는 병마개 수용부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병마개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약제 용기를 지지한 상태의 병마개 수용부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의 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4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1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제2 실시 형태의 변형예와 관련한 병마개 수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의 병마개 수용부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28의 (a)는 변형예와 관련한 탄성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28의 (b)는 다른 변형예와 관련한 탄성 밀봉 부재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약제의 석션 방법 및 약제의 혼합 방법의 몇 개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제1 실시 형태>
도 1은 제1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은 약제용기(2)의 측면도이다.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는, 약제가 수용된 약제용기(2)를 수용하여, 이 약제용기(2)에 수용된 약제를 시린지(3)를 이용해 석션하거나 이 약제를 혼합액으로 용해 내지 희석한 후 석션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1-1. 약제 용기>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이용되는 약제용기(2)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와 같이, 이 약제용기(2)는 일반적으로 바이얼 병(vial bottle)으로 불리는 것이고, 유리제의 병 본체(21)와, 이 병 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는 병마개(22)를 가진다. 병 본체(21)는, 전체로써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상단부에는 어깨부(211)를 통해 지름이 작은 넥(neck)부(212)가 형성되고, 이 넥부(212)에 병마개(덮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병마개(22)는, 병 본체(21)의 개구부를 막도록 넥부(212)에 알루미늄 등으로 감아져 닫히게 고정되어 있지만, 병 본체(21)의 개구부를 막는 부분은,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있어 후술할 것처럼, 시린지(3) 바늘에 의한 찔러 넣기가 가능하다.
여기서 대상으로 하는 약제는, 주로 세포 독성을 가지는 약제이며, 노출되면 이것을 취급하는 사람(주로, 의료 종사자. 이하, 사용자라고 한다.)에게 심각한 부작용을 미치거나 세포 독성에 유래하는 건강 피해를 미치거나 하는 등의 가능성이 있는 약제이다. 이러한 약제의 예로서는, 항악성종양제, 면역 억제제, 항바이러스제, 항생 물질, 방사성 의약품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약제로는 액체 이외에 분말 형태 등이 있지만, 모두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약제 용기(2) 내에 밀폐된다.
<1-2.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구성>
이어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는, 내부에 폐쇄 공간을 가지는 원통형의 본체부(11)를 갖추고 있으며, 이 본체부(11)에 상술한 약제용기(2)가 수용된다. 본체부(11)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1)의 축방향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1 개구부(111) 및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개구부(111)는 탄성 밀봉 부재(13)에 의해 닫히고, 제2 개구부(112)는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된 덮개 부재(12)에 의해 닫혀져 있다. 이로 인해, 본체부(11)의 폐쇄 공간은 밀폐된 기밀인 공간이 된다.
본체부(11)는 원통형의 몸통부(113)를 구비하고, 그 축방향의 하나의 단부(제2 단부)에 덮개 부재(12)가 장착되는 제2 개구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개구부(112)는 몸통부(113)와 거의 같은 지름의 개구부이다. 한편, 몸통부(113)의 다른 단부(제1 단부)에는, 깔때기 모양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어깨부(114)가 형성되어 이 어깨부(114)의 단부에 몸통부보다도 작은 지름의 머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머리부(115)에 상술한 제1 개구부(111)가 형성되어, 탄성 밀봉 부재(13)에 의해 닫혀져 있다. 상술한 약제 용기(2)는, 병마개(22)로부터 제2 개구부(112)에 삽입함으로써, 본체부(11)에 수용된다. 그리고, 후술할 도4와 같이, 병마개(22)의 지름은 머리부(115)의 지름보다 크고, 이로 인해, 병마개(22)는 본체부(11)의 어깨부(114)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에는 공간(S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머리부(115)에는, 후술할 시린지를 보호 유지하기 위한 보호 유지 부재를 필요에 따라 적절히 마련해도 좋다.
탄성 밀봉 부재(13)는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이것을 지름 방향으로 압축한 상태로 제1 개구부(111)에 끼워 넣고 있다. 덮개 부재(12)는, 저면부(121)와, 이 저면부(121)의 둘레로부터 기립하는 원통형의 벽부(122)로 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개구부(112)의 내벽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몸통부(113)의 내벽면에 장착된 O링(116)을 통해, 덮개 부재(12)의 벽부(122)의 외주면과 몸통부(113)의 내벽면이 밀착하기 때문에, 제2 개구부(112)는 기밀하게 닫혀진다.
또, 덮개 부재(12)의 저면부(121)에는 통기홀(123)이 형성되어 있고, 이 통기홀(123)을 안쪽부터 막도록, 몸통부(113)측의 면에는, 밸브 기구(14)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밸브 기구(14)는, 덮개 부재(12)의 저면부(121)에 장착되는 기판(141)과, 이 기판(141)에 장착되는 밸브 부재(142)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141)은, 링 형상의 접속 부재(143)를 통해 덮개 부재(12)의 저면부(121)에 장착되어 있고, 기판(141)과 저면부(121)와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141)에는 관통공(1411)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141)의 덮개 부재(12)측의 면에 배치된 통기성이 있는 착색 시트(144)에 의해 관통공(1411)이 막혀 있다. 그리고, 기판(141)의 관통공(1411)에는, 몸통부(113)측으로부터 상술한 밸브 부재(142)가 끼워져 있다. 이 밸브 부재(142)는, 관통공(1411)의 지름보다 큰 기초부(1421)와, 이 기초부(1421)로부터 관통공(1411)에 끼워진 원추형의 돌출부(1422)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밸브 부재(142)가 몸통부(113)측으로부터 눌리면, 밸브 부재(142)의 돌출부(1422)가 관통공(1411)에 끼이고, 관통공(1411)이 기밀하게 닫혀지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관통공(1411)이 밸브 부재(142)에 의해 닫혀지면, 덮개 부재(12)에는 통기홀(123)이 형성되어 있지만, 덮개 부재(12)의 내외의 통기는 차단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한 덮개 부재(12) 및 밸브 기구(14)는, 본 발명의 폐쇄부에 상당한다.
<1-3. 약제의 석션 방법/혼합 방법>
다음으로, 약제의 석션 방법에 대하여, 도5 ~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시린지(3)에 의해 약제를 석션한 후, 이것을 혼합액이 수용된 혼합액용기(4) 내에 주입하여, 환자에게 투여하기 위한 혼합약액을 생성한다. 우선, 여기서 이용하는 시린지(3) 및 혼합액용기(4)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 형태로 이용하는 시린지(3)로서는,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가 있고, 원통형의 실린더(31)와, 이 실린더(31) 내에서 가동하는 피스톤(32)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린더(31)의 선단에는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이 이루어지는 개구부가 마련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 바늘(33)이 장착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개구부 및 바늘(33)이 본 발명의 유통부를 구성한다.
이어서, 혼합액용기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같이, 혼합액용기(4)는 플라스틱제의 병 본체(41)와, 이 병 본체(41)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병마개(42)를 지닌다. 병 본체(41)는 전체적으로 대략 타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약제용기(2)와 같이, 상단부에는 어깨부(411)를 통해 지름이 작은 머리부(412)가 형성되고, 이 머리부(412)에 병마개(42)가 설치된다. 병마개(42)는, 병 본체(41)의 개구를 막도록 머리부(412)에 용착에 의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병마개(42)에 병 본체(41)의 개구를 막는 부분은, 약제용기(2)처럼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시린지(3)의 바늘(33)에 의한 찔러 넣기가 가능하다. 또한, 혼합액용기(4)는 반드시 병 모양일 필요는 없고 백 타입의 것도 당연히 이용 가능하다.
이 혼합액용기(4)에 수용되는 혼합액은, 생리 식염수나 링거액, 증류수 등이며, 약제를 희석하거나 용해시키기 위한 용액이다. 덧붙여, 여기서 말하는 약제의 혼합이란, 예를 들면, 의사, 치과 의사 또는 수의사의 처방전에 의해 행해지는 조제 행위나, 환자가 스스로 혼합하는 행위나, 제약회사 등에 있어서 혼합약액을 제조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행위 등이며, 약제와 혼합액을 혼합한 혼합약액을 생성하는 임의의 행위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에 약제용기(2)를 설치하는 것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도 4(a)와 같이 약제용기(2)를 본체부(11)의 제2 개구부(112)에서 삽입하고 병마개(22)가 어깨부(114)에 맞닿을 때까지 본체부(11)내에 수용한다. 다음으로, 도 4(b)와 같이, 덮개 부재(12)를 삽입해 제2 개구부(112)를 닫는다. 이때, 덮개 부재(12)를 삽입함에 따라, 약제용기(2)의 저면이 덮개 부재(12)에 눌리기 때문에, 약제용기(2)는 어깨부(114)와 덮개 부재(12)와의 사이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약제용기(2)의 저면이 덮개 부재(12)에 눌리면, 밸브 부재(142)가 기판(141)의 관통공(1411)에 밀어 넣어지기 때문에, 돌출부(1422)가 관통공(1411)을 기밀하게 닫는다. 이 과정에서, 밸브 부재(142)는 관통공(1411)을 서서히 닫기 때문에, 공기는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그 후, 밸브 부재(142)의 돌출부(1422)는 착색 시트(144)를 파단하여 관통공(1411)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렇게 하여 착색 시트(144)가 파단된 것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면, 덮개 부재(12)가 제대로 닫힌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덮개 부재(12)가 닫히면, 약제용기(2)는 본체부(11)내에서 기밀인 상태로 수용된다. 사용자는 같은 방식으로 같은 약제 또는 다른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준비한다.
이렇게 하여 약제용기(2)가 장치(1)내에 수용되면, 시린지(3)의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13)에 찔러 넣는다. 바늘(33)을 더 찔러 넣으면, 바늘(33)은 본체부(11)내로 진입하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에 삽입된다. 이때, 약제는 약제용기(2)에 소량만 수용되기 때문에, 시린지(3)로 약제 전량을 석션하기 쉽도록, 도 5(a)와 같이 병마개(22)측에 약제가 모이도록 장치(1)의 방향을 바꾼다. 이렇게 하여, 바늘(33)이 병마개(22)로부터 약제용기(2)내에 들어가 약제에 접촉하면, 피스톤(32)을 이용해 약제를 석션한다. 그리고, 소정량의 약제가 실린더(31)내에 석션되면, 도 5(b)와 같이, 바늘(33)을 약제용기(2)및 탄성 밀봉 부재(13)로부터 뽑아 낸다. 덧붙여, 소정량이란, 예를 들면 항암제의 경우는 환자의 체표 면적, 체중, 연령 등에 따라 결정되는 약제의 투여량이다. 이때, 바늘(33)을 빼낼 때 약제가 약제용기(2)로부터 샜다고 해도, 이 약제는,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의 공간(S1)에서 본체부(11)내에 누출하기 때문에, 약제가 본체부(11)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13)로부터 뽑아낼 때, 바늘(33)은 탄성 밀봉 부재(13)에 스치면서 뽑히기 때문에, 바늘(33)에 달라붙은 약제는 공간(S1) 내에 머문다.
이렇게 하여, 소정량의 약제를 약제용기(2)로부터 석션하면, 사용자는 시린지(3)에 약제를 보관 유지한 채로, 다른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에서 같은 방식으로 약제를 석션한다. 그리고, 시린지(3)내에 복수의 약제가 수용되면, 사용자는 시린지(3)의 바늘(33)을 혼합액용기(4)의 병마개(42)에 찔러 넣어 피스톤(32)를 밀어 넣는다. 이로 인해, 시린지(3)내의 약제가 모두 혼합액용기(4)내에 주입되어 약제와 혼합액이 혼합된다. 이렇게 하여, 혼합약액이 생성된다.
그 후, 사용자는 혼합약액이 든 혼합액용기(4)를 환자에게 가져가고, 혼합액용기(4)내의 혼합약액을 점적 등의 방법으로 환자에게 투여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시린지(3) 및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폐기한다. 이때, 약제용기(2)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에서 꺼내지 않고, 폐쇄 공간내에 수용된 채로, 장치(1)와 함께 파기되기 때문에, 외부로 노출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약제에 의해 오염된 장치(1), 약제용기(2) 및 시린지(3)를 안전하게 폐기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약제가 액상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는데, 약제가 분말인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우선, 시린지(3)의 바늘(33)을 혼합액용기(4)에 찔러 넣고, 혼합액을 시린지(3)내에 석션한다. 이어서, 시린지(3)의 바늘(33)을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의 탄성 밀봉 부재(13)에 찔러 넣고, 한층 더 바늘(33)을 약제용기(2)내에 넣는다. 이 상태로, 피스톤(32)를 밀어 넣고, 시린지(3)내에 혼합액을 약제용기(2)내에 주입한다. 이로 인해, 분말의 약제와 혼합액이 혼합되어 액상의 약제가 생성된다. 그 후, 이 액상 약제를 석션하여 시린지(3)내에 약제를 보관 유지한다. 이어서, 시린지(3)의 바늘(33)을 혼합액용기(4)의 병마개(42)에 찔러 넣고, 시린지(3)내의 약제를 혼합액용기(4)내에 주입한다. 이와 같이 다른 약제에도 같은 방식으로 혼합액을 주입해 액상 약제를 생성한 후, 시린지(3)로 석션해 혼합액과 혼합하면, 상술한 것처럼 혼합약액이 생성된다. 덧붙여, 약제용기(2)내에 주입하는 혼합액은, 혼합약액을 생성하기 위한 혼합액용기(4)로부터 석션한 것이 아니어도 괜찮고, 용해 내지 희석용의 다른 혼합액을 이용할 수도 있다.
<1-4. 특징>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밀폐된 폐쇄 공간 내에 약제용기(2)를 수용할 수가 있고 게다가 본체부(11)에 수용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본체부(11)의 제1 개구부(111)를 밀폐하는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에 공간(S1)을 형성하도록, 약제용기(2)가 수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시린지(3)의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13)및 병마개(22)에 관통해 약제를 시린지(3)에 석션한 후, 바늘(33)을 뽑아 낼 때, 만일, 약제가 약제용기(2)로부터 샜다고 하더라도, 샌 약제는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의 공간(S1)에 머무르기 때문에, 약제를 폐쇄 공간 내에 가둘 수 있다. 그 결과, 약제를 시린지(3)에 석션할 때에, 탄성 밀봉 부재(13)의 외부에까지 약제의 노출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용기(2)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내에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그대로 폐기함으로써 약제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약제용기(2)를 폐기할 수 있다.
<2. 제2 실시 형태>
이하, 제2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사시도이다.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도 제1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와 같이 약제용기(2)를 수용해 이 약제용기(2)에 수용된 약제를 시린지(3)를 이용해 석션하기 위한 장치이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약제를 석션할 때, 시린지(3)를 이용해 약제용기(2)내에서 약제를 혼합액으로 용해 내지 희석해도 괜찮다. 도 8은,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단면도이며, 2개의 다른 사이즈의 약제용기(2)를 수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지만, 이처럼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는, 여러가지 사이즈의 약제용기(2)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 실시 형태로 이용되는 약제용기(2), 시린지(3) 및 혼합액용기(4)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제2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에 대해 설명한다.
<2-1.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구성>
도 7 및 도 8와 같이,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는, 본체 상부(60)와 본체 하부(70)를 가지고, 이러한 부 (60), (70)는 서로 합쳐져 내부에 약제용기(2)를 수용하기 위한 대략 원기둥형태의 공간(폐쇄 공간)을 형성한다. 본체 상부(60) 및 본체 하부(70)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한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은, 도 8처럼, 즉, 약제 용기 수용 장치(6) 내에 수용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가 병 본체(21)의 위쪽에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되고,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연직 상하 방향과는 관계가 없다.
도 8에 나타나는 것처럼 본체 상부(60)는, 실린더(31)의 바늘(33)의 밑 부근의 위치를 받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시린지 지지부(61)와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받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병마개 수용부(63)를 가진다. 시린지 지지부(61)는 대략 원통형이지만, 보다 정확하게는 실린더(31)의 바늘(33)의 밑부근의 2단 구조의 부위(도 5 등 참조)에 대응하도록, 지름이 더욱 큰 원통형의 부재(61a)의 하부에, 지름이 작은 원통형의 부재(61b)를 같은 축이 되도록 연결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해, 시린지 지지부(61)는, 시린지(3)를 제대로 받을 수 있음은 물론, 바늘(33)을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에 위치를 맞출 수 있다. 또, 도 7와 같이, 위쪽의 원통형 부재(61a)는, 둘레 방향으로 대략 균등한 간격으로 복수개소(도 7의 예에서는 2개소) 절단되어 있어, 이로 인해, 실린더(31)의 삽입시에, 실린더(31)의 지름에 맞추어 용이하게 변형한다. 그리고, 위쪽 원통형의 부재(61a)의 상부는 입구가 열려있어, 여기로부터 시린지 지지부(61)내의 공간으로 실린더(31) 및 바늘(33)이 삽입된다.
한편, 아래 쪽의 원통형 부재(61b)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원판 형태의 바닥벽(61c)이 이어져 있고, 이 바닥벽(61c)의 중앙에는, 시린지(3)의 바늘(33)이 빠져 나가기 위한 관통공(H1, 제1 개구부)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바닥벽(61c)의 아래쪽 면에는, 이 관통공(H1)을 하부로부터 기밀하게 막도록, 탄성 밀봉 부재(66)가 빈틈없이 장착되어 있다. 탄성 밀봉 부재(66)는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관통공(H1)을 빠져 나온 시린지(3)의 바늘(33)에 의해, 찔러넣기가 가능하다. 탄성 밀봉 부재(66)는, 대략 원기둥 형태이지만, 바늘(33)이 빠져나가기 쉽게 두께를 줄일 수 있도록, 상면 중심 부근에 저면까지 도달하지 않는 정도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탄성 밀봉 부재(66)의 둘레면은, 그 전체가, 본체 상부(60)의 일부를 구성하는 원통형의 부재(62)로 빈틈없이 기밀하게 덮여 있다. 탄성 밀봉 부재(66)와 바닥벽(61c)은, 같은 축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탄성 밀봉 부재(66)와 상기 시린지 지지부(61)을 일체 성형하여 부품 점수를 줄일 수도 있다.
병마개 수용부(63)는, 상하의 입구가 열린 원통형의 측면부(63a)와, 이 측면부(63a)의 상단 가장자리에 이어지는 원판 형태의 상면부(63b)를 가지고 있다. 상면부(63b)의 중앙에는, 시린지(3)의 바늘(33)이 빠져 나가기 위한 관통공(H2, 제1 개구부)이 형성되어 있다. 이 상면부(63b)에는, 탄성 밀봉 부재(66)의 저면 및 탄성 밀봉 부재(66)를 보호하는 원통형의 부재(62)가 접촉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H2)는, 탄성 밀봉 부재(66)에 의해 빈틈없이 기밀하게 막혀 있다. 상면부(63b)와 탄성 밀봉 부재(66)는 같은 축에 배치되고 있다.
그리고 본체 상부(60)는, 병마개 수용부(63)의 측면부(63a)보다 지름이 큰 원통형의 하부(65)와, 이 하부(65)의 상단 가장자리 및 측면부(63a)의 하단 가장자리로 이어지는 깔때기 모양의 경사면부(64)를 가지고 있다. 병마개 수용부(63)와, 경사면부(64)와, 하부(65)는, 모두 같은 축에 배치되고 있다.
또한, 본체 상부(60)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내부 공간을 외부 공간에 연통시키는 연통로(H3)를 형성하는 연통로형성부재(67)와, 이 연통로(H3)를 폐쇄할 수 있는 밸브 본체(68)을 가지고 있다. 연통로형성부재(67)는, 병마개 수용부(63)의 측면을 따라 경사면부(64)로부터 위쪽으로 뻗어가는 원통형의 부재이며, 병마개 수용부(6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본체(68)는, 연통로형성부재(67)의 상단측의 개구에 배치되고, 연통로형성부재(67)의 상부가, 밸브 본체(68)을 지지하는 밸브 시트로 되어 있다.
밸브 본체(68)는, 연통로형성부재(67)에 의해 규정되는 연통로(H3)에 삽입되는 몸통부(68a)와, 몸통부(68a)의 상면에 연속하는 덮개부(68b)를 가지고 있다. 덮개부(68b)는, 연통로(H3)보다 지름이 큰 원판 형태의 부재이며, 이로 인해, 몸통부(68a)가 연통로(H3) 내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몸통부(68a)는 대략 원기둥 형태의 부재이며, 몸통부(68a)가 연통로(H3) 내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몸통부(68a)의 지름은, 연통로(H3)의 지름보다 약간 크다. 그렇지만, 밸브 본체(68) 및 연통로형성부재(67)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의 탄성에 의해, 몸통부(68a)를 연통로(H3)에 삽입하고자 하면, 몸통부(68a) 및 연통로형성부재(67)이 변형함으로써, 이 삽입이 가능하게 된다. 그 결과, 몸통부(68a)가 연통로(H3)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몸통부(68a)의 외주면과 연통로형성부재(67)의 내주면은 빈틈없이 기밀하게 접촉한다. 또, 몸통부(68a)에는, 그 저면에서 윗쪽으로 뻗어가는 슬릿(H4)이 형성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슬릿(H4)은, 횡단면에서 볼 때, 일정한 폭을 가지는 직선 모양이며, 몸통부(68a)의 중심을 통해 몸통부(68a)의 외주에 이르고 있다. 따라서, 몸통부(68a)의 하부는 두 갈래(양다리) 형상이지만, 몸통부(68a)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의 탄성에 의해, 이러한 두 갈래의 다리들은, 지름 방향 바깥쪽을 향해 붙어 있다. 그 결과, 몸통부(68a)의 외주면과, 연통로형성부재(67)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크게 유지되어, 몸통부(68a)는, 윗쪽으로부터 의도적으로 강한 힘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연통로(H3)내에서 이동할 일은 없다.
도 9와 같이, 연통로형성부재(67)의 상부는, 그 하부보다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돌출한 두께의 부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결과, 연통로(H3)의 상부에는 단차(D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차(D1)에 대응하도록 몸통부(68a)의 하부에도 단차(D2)가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단차(D1, D2) 끼리가 제대로 서로 맞물림으로써 한 번 연통로(H3)내에 삽입된 몸통부(68a)가 연통로(H3)로부터 외부에 탈락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그리고, 도 9(a)와 같이, 단차(D1, D2) 끼리가 제대로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는 슬릿(H4)의 상부는, 연통로형성부재(67)의 상단보다 윗쪽에 위치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연통로(H3)는, 슬릿(H4)를 통해 외부 공간으로 개방되어 있다. 한 편, 도 9(b)와 같이 윗쪽으로부터 손가락 등으로 강한 힘을 더해, 덮개부(68b)를 그 아래쪽 면이 연통로형성부재(67)의 상면에 제대로 접촉할 때까지 연통로(H3)내로 밀어 넣으면,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내부 공간에 연통하는 연통로(H3)는, 외부 공간에 대해서 폐쇄된다.
여기서, 병마개 수용부(63)의 설명으로 돌아온다. 도 10은, 도 8의 X-X단면도이다. 도 10와 같이 병마개 수용부(63)의 상면부(63b)의 아래쪽 면(제1 대향면)에는, 관통공(H1)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에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리브(69a)(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병마개 수용부(63)는, 상술한대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받기 위한 공간을 규정하지만, 이러한 리브(69a)에 의해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윗면과, 이 윗면에 대향하는 병마개 수용부(63)의 상면부(63b)의 아래쪽 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그 결과, 병마개(22)의 윗면과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에는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S2)이 확보된다.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S2)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은, 본체 상부(60)의 단면도이다. 도 11와 같이 병마개 수용부(63)의 측면부(63a)의 내주면(제2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 개 (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리브(69b)(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러한 리브(69b)는 앞서 말한 리브(69a)에 각각 연속하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윗면 부근으로부터 병마개(22)의 하단 부근까지 뻗어져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브(69b)에 의해,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측면과 이 측면으로 대향하는 병마개 수용부(63)의 측면부(63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그 결과, 병마개(22)의 측면과 병마개 수용부(63)의 측면부(63a)와의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S3)이 확보된다. 따라서, 앞서 말한 공간(S2)에 낙하한 약제는, 이러한 리브(69b)로 안내되고, 공간(S3) 내를 병마개(22)의 윗면 부근으로부터 병마개(22)의 하단 부근까지 이동해, 그 후, 병 본체(21)의 외주면과 경사면부(64), 하부(65) 및 본체 하부(70)과의 사이의 공간까지 달한다. 따라서,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관통공(H1, H2)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약제의 관통공(H1, H2)으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제의 샌 양이 많은 경우에는, 약제의 누출 방지에 큰 역할을 해낸다.
이하, 본체 하부(70)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체 하부(70)는 도 8와 같이, 원통형의 측벽부(71)와, 측벽부(71)의 하단보다 약간 윗쪽에서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원판 형태의 저면부(72)를 가지고 있고, 대략 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71)의 외경은, 본체 상부(60)의 하부(65)의 내경과 거의 같다. 본체 상부(60)의 하부(65)의 하단 측에는, 약제용기(2)를 본체 상부(60) 내로 수용하기 위한 통로(H5)(제2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도 11 참조), 본체 하부(70)는, 본체 상부(60)내에 삽입됨으로써 이 통로(H5)를 닫을 수 있다. 이때, 측벽부(71)의 외주면의 상단 부근에 장착된 O링(73)을 통해, 측벽부(71)의 외주면과 본체 상부(60)의 하부(65)의 내주면이 밀착하기 때문에, 이 통로(H5)는 기밀하게 닫혀진다.
그리고,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는, 유통단계에서는, 본체 하부(70)를 본체 상부(60)내에 사용 상태와는 상하가 바뀐 모양으로 삽입한 상태가 바람직하다. 즉, 도 12와 같이 O링(73)쪽에서부터가 아니라, 저면부(72)측으로부터 삽입한 상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약제 용기 수용 장치(6)가 늘어나지 않는 이상,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내에 약제용기(2)를 수용할 때, O링(73)의 압착으로, 본체 하부(70)를 본체 상부(60)내로부터 꺼내기 어려워지는 일이 없다.
<2-2. 약제의 석션 방법/혼합 방법>
다음으로, 제2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의 석션 방법에 대해, 제1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통로(H5)를 통하여 약제용기(2)를 본체 상부(60)내에 삽입해, 병마개(22)의 윗면이, 병마개 수용부(63)의 상면부(63b)에 형성되어 있는 리브(69a)에 맞닿을 때까지, 약제용기(2)를 본체 상부(60) 내로 밀어넣는다. 다음으로, 본체 상부(60)내에 본체 하부(70)를 삽입해 통로(H5)를 닫는다. 이때, 본체 하부(70)를 삽입함에 따라, 약제용기(2)의 저면이 본체 하부(70)에 눌리기 때문에, 약제용기(2)는 병마개 수용부(63)의 상면부(63b)와 본체 상부(60)의 저면부(72)와의 사이에 제대로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는 밸브 본체(68)가 연통로(H3)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에, 연통로(H3)를 통하여, 공기는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그리고, 그 후, 밸브 본체(68)의 덮개부(68b)에 손가락 등으로 윗쪽으로부터 강한 힘을 가해, 밸브 본체(68)의 몸통부(68a)를 가능한 한 연통로형성부재(67)내에 밀어 넣음으로써 연통로(H3)를 닫는다. 그리고, 이상과 같이, 본체 하부(70) 및 밸브 본체(68)가 닫히면, 약제용기(2)는 본체부(11)내에서 기밀인 상태로 수용된다. 사용자는 같은 방식으로 같은 약제 또는 다른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을 준비한다. 이 이후의 작업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한다.
<2-3. 특징>
이상과 같이, 제2 실시 형태에서도 밀폐된 폐쇄 공간 내에 약제용기(2)를 수용할 수가 있고, 또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본체 상부(60)의 관통공(H2)을 밀폐하는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에 공간(S2)을 형성하도록 본체 상부(60)및 본체 하부(70)내에 약제용기(2)가 수용된다. 그 때문에, 시린지(3)의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66) 및 병마개(22)에 관통해, 약제를 시린지(3)에 석션한 후, 바늘(33)을 뽑아 낼 때, 만일, 약제가 약제용기(2)로부터 샜다고 해도 샌 약제는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의 공간(S2)에 머무르기 때문에, 약제를 폐쇄 공간 내에 가둘 수 있다. 그 결과, 약제를 시린지(3)에 석션할 때에, 탄성 밀봉 부재(66)의 외부까지 약제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용기(2)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내에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을 그대로 폐기함으로써 약제를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고, 약제용기(2)를 폐기할 수 있다.
<3. 제3 실시 형태>
이하, 제3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8)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약제 용기 수용 장치(8)의 외관도이다.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도,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 (6)과 같이 약제용기(2)를 수용하고, 이 약제용기(2)에 수용된 약제를 시린지(3)를 이용해 석션하기 위한 장치이다. 또, 제1및 제2 실시 형태와 같이 약제를 석션할 때, 시린지(3)를 이용해 약제용기(2)내에서 약제를 혼합액으로 용해 내지 희석해도 괜찮다. 덧붙여, 제3 실시 형태로 이용되는 약제용기(2), 시린지(3) 및 혼합액용기(4)에 대해서도,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 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제3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8)에 대해 설명한다.
<3-1.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구성>
도 13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8)와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 (6)와의 주된 차이점은 약제용기(2)가 경질의 용기체가 아니라,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연질의 주머니에 의해 수용되는 점이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 (6)보다, 여러 가지 사이즈나 형상의 약제 용기를 수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는 여러 가지 사이즈나 형상의 약제 용기를 취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는 약제용기(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의 주머니(81)와, 주머니(81)의 상부에 배치되고, 시린지(3)의 바늘(33)을 주머니(81) 내로 안내하는 시린지어댑터(82)를 가진다. 주머니(81)는 연질의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시린지어댑터(82)는, 경질의 플라스틱 등의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상하 방향 및 수평 방향은, 도 13처럼, 주머니(81)측을 아래, 시린지어댑터(82)측을 위로 정해,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연직 상하 방향과는 관계가 없다.
주머니(81)의 하부 부근에는, 주머니(81) 내의 공간을 개폐 가능한 패스너 락(81a)이 형성되어 있다. 패스너 락(81a)은 기밀하게 닫혀지는 한편, 패스너 락(81a)이 열림으로써 형성되는 개구(제2 개구부)는, 약제용기(2)를 주머니(81)내에 수용하기 위한 개구가 된다.
도 14는, 시린지어댑터(82)의 측방단면도이다. 도 14와 같이 시린지어댑터(82)는,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시린지 지지부(61)와, 원통형 부재(62)와, 탄성 밀봉 부재(66)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부재 (61), (62) 및 (66)의 구성이나 기능, 위치 관계 등은 모두 제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시린지어댑터(82)는 도너츠 모양의 판 부재(83)을 가지고 있고, 이 판 부재(83)의 중앙 개구에, 원통형의 부재(61b)가 삽입되어 있다. 이러한 부재(83), (61b)의 상하 방향의 두께는, 대략 같다. 그리고, 도너츠 모양의 판 부재(83)의 외주면에는, 주머니(81)의 상부 중앙의 부위가, 열 씰이나 초음파 씰 등의 용착방법이나, 접착제를 이용하는 등의 공지의 방법으로, 빈틈없이 기밀하게 접착되고 있다. 따라서, 주머니(81)와 판부재(83)와의 사이의 이음매 부분에 있어서, 주머니(81)의 내부 공간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또, 도너츠 모양의 판 부재(83)와 그 중앙의 원통형의 부재(61b)는, 서로 빈틈없이 기밀하게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재(83), 부재(61b)의 이음매 부분에 있어서도, 주머니(81)의 내부 공간은, 외부 공간으로부터 차단되어 있다.
또, 시린지어댑터(82)는, 상술한 원통형 부재(62) 및 탄성 밀봉 부재(66)의 하부에,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받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병마개 수용부(84)를 가지고 있다. 도 15 및 도 16와 같이, 병마개 수용부(84)는 대략 원판형태의 상면부(84a)와, 이 상면부(84a)의 둘레로부터 하부로 뻗어가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측벽부(84b)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측벽부(84b)는 서로 약간의 틈새를 열면서, 상면부(84a)의 360°의 둘레 중 전체에서 대략 180°의 분량을 차지하고 있다. 또, 이러한 측벽부(84b)의 하부는, 상부보다 지름 방향 안쪽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결과, 측벽부(84b)의 하부에는, 단차(D3)가 형성되어 있다(도 16 참조). 그리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병마개 수용부(84)내의 공간에, 측벽부(84b)가 존재하지 않는 측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하면, 이 단차(D3)가,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넥부(21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서로 맞물린다(도 17 참조). 이로 인해, 약제용기(2)는 병마개 수용부(84)에 의해 매달기 식으로 지지된다. 또, 측벽부(84b)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부(84b)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의 탄성에 의해, 측벽부(84b)가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약간 퍼지도록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병마개 수용부(84)내의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병마개 수용부(84)의 상면부(84a)의 중앙에는, 시린지(3)의 바늘(33)이 빠져 나가기 위한 관통공(H6)(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면부(84a)에는, 앞서 말한 탄성 밀봉 부재(66)의 저면 및 탄성 밀봉 부재(66)를 보호하는 원통형의 부재(62)가 접촉하고,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공(H6)은 탄성 밀봉 부재(66)에 의해 빈틈없이 기밀하게 막혀 있다. 덧붙여, 상면부(84a)와 탄성 밀봉 부재(66)는 같은 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14 ~ 도 16와 같이 병마개 수용부(84)의 상면부(84a)의 아래쪽 면에는,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의 리브(85)(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리브(85)에 의해, 약제용기(2)의 병마개(22)가 병마개 수용부(84)내의 공간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했다고 해도, 병마개(22)의 윗면과, 이 윗면에 대향하는 병마개 수용부(84)의 상면부(84a)의 아래쪽 면(제1 대향면)과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가 유지된다. 그 결과, 병마개(22)의 윗면과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에는,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S4)이 확보된다(도 17 참조). 따라서, 간단하고 쉬운 구조로,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S4)을 확보할 수 있다.
<3-2. 약제의 석션 방법/혼합 방법>
다음으로, 제3 실시 형태와 관련한 약제의 석션 방법에 대해,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의 차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는 주머니(81)의 패스너 락(81a)을 열어, 이로 인해 형성되는 개구로부터 약제용기(2)를 주머니(81)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를 병마개 수용부(84)의 단차(D3)에 건다. 또한 이때, 병마개 수용부(84)의 사이즈가,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형상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는 경우에는, 약제용기(2)는 병마개 수용부(63)에 의해 제대로 고정된다. 그 후, 주머니(81)내에서 간단하게 공기를 빼면서, 패스너 락(81a)을 닫는다. 이로 인해, 약제용기(2)는 주머니(81)내에서 기밀한 상태로 수용된다. 사용자는, 같은 방식으로, 같은 약제 또는 다른 약제가 수용된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를 준비한다. 이 이후의 작업에 대해서는, 제1 및 제2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 한다.
<3-3. 특징>
이상과 같이, 제3 실시 형태에 대해도, 밀폐된 폐쇄 공간내에 약제용기(2)를 수용할 수 있고,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병마개 수용부(84)의 관통공(H6)을 밀폐하는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에 공간(S4)을 형성하도록 주머니(81)내에 약제용기(2)가 수용된다. 그 때문에, 시린지(3)의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66) 및 병마개(22)에 관통하고, 약제를 시린지(3)로 석션한 후, 바늘(33)을 뽑아 낼 때, 만일, 약제가 약제용기(2)로부터 샜다고 해도, 샌 약제는 병마개(22)로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의 공간(S4)에 머무르기 때문에, 약제를 폐쇄 공간 내에 가둘 수 있다. 그 결과, 약제를 시린지(3)에 석션할 때에, 탄성 밀봉 부재(66)의 외부까지 약제가 노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약제용기(2)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내에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약제 용기 수용 장치(8)를 그대로 폐기함으로써, 약제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고, 약제용기(2)를 폐기할 수 있다.
<4. 변형예>
이상, 본 발명의 몇 가지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후술할 변형 예의 요지는 적당히 조합할 수 있다.
<4-1>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덮개 부재(12)와 밸브 기구(14)에 의해 제2 개구부(112)를 밀폐하고 있지만,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8(a)와 같이 덮개 부재(12)에 외부로 돌출하는 원통부(15)를 형성하고, 이 원통부(15)를 통하여 본체부(11)의 내외가 연통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이 원통부(15)에는 약제용기(2)를 누르는 조절장치(adjuster)(16)가 장착되어 있다. 조절장치(16)는, 본체부(11) 중에서 약제용기(2)의 저면을 누르는 원판형태의 밀어 누름부(161)와, 본체부(11)의 외부에 배치되는 원판형태의 조작부(162)와, 이 밀어 누름부(161)들과 조작부(162)를 연결하는 연결봉(1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결봉(163)은, 원통부(15)에 삽입 통과되어 있고, 원통부(15)의 내벽면에 설치된 O링(151)에 의해, 원통부(15)와 연결봉(163)의 틈새가 밀폐되어 있다. 또, 덮개 부재(12)의 원통부(15)에는 나사판(17)이 장착되어 있고, 이 나사판(17)을 단단히 조이면, 원통부(15)가 지름 방향 안쪽으로 단단히 조여지며, 원통부(15)에 연결봉(163)이 고정되게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조절장치(16)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덮개 부재(12)와 본체부(11) 사이에, 필요에 따라서 O링 등을 배치해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기구에 의하면, 도 18(b)와 같이, 본체부(11)에 약제용기(2)를 삽입한 후, 덮개 부재(12)를 닫고, 이어서, 조절장치(16)의 조작부(162)를 밀어 넣어, 약제용기(2)를 제1 개구부(111)측으로 밀어 누른다. 이로 인해, 약제용기(2)의 병마개(22)가 본체부(11)의 경사면에 맞닿아, 본체부(11)내에서 약제용기(2)가 위치 결정된다. 이어서, 나사판(17)을 회전하면, 원통부(15)를 단단히 조여져 조절장치(16)가 고정된다. 이로 인해, 약제용기(2)의 위치가 고정된다. 덧붙여,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이상과 같은 조절장치(16)를 본체 하부(70)의 저면부(72)에 마련함으로써, 약제 용기 수용 장치(6)내에서 약제용기(2)를 고정해도 괜찮다.
<4-2>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덮개 부재(12)를 본체부(11)에 설치하기 위한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9와 같이, 덮개 부재(12)의 벽부(122)의 내벽면에 제1 돌기(124)를 형성하는 한편, 본체부(11)의 외주면을 따라 제1 돌기(124)와 결합하는 복수의 제2 돌기(117)을 형성한다. 제2 돌기(117)는, 링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외주면 축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 설치되고, 덮개 부재(12)가 열리지 않게 제2 돌기(117)는 제1 개구부(111)를 향해 경사지도록 형성한다. 이로 인해, 제2 돌기(117)가 빠져 멈추게 되어, 제1 돌기(124)가 제2 돌기(117)로부터 제2 개구부(112)측으로 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 밸브 기구(14)의 기판(141) 둘레에 O링(145)를 설치해 두고, 이 O링(145)이 제2 개구부(112)의 내벽면과 밀착하도록 해 둔다. 이러한 구성이어도, 덮개 부재(12)를 제2 개구부(112)에 설치함으로써, 본체부(11)를 밀폐할 수가 있고, 또한 일단 설치된 덮개 부재(12)가 분리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124)는, 덮개 부재(12)의 벽부(122)의 내벽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해 두면, 제2 돌기(117)와 결합시키기 쉬워진다. 덧붙여, 본 변형예의 요지는, 제1 실시 형태뿐만이 아니라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체 하부(70)를 본체 상부(60)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4-3>
제1 실시 형태에서, 덮개 부재(12)의 구성은, 앞서 말한 것의 이외의 것이어도 괜찮고, 적어도 제2 개구부(112)를 밀폐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따라서, 밸브 기구(14)를 마련하지 않고, 통기홀(123)이 없는 덮개 부재(12)를 본 발명의 폐쇄부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약제용기(2)를 본체부(11)내에 고정하는 고정 기구를 별도로 마련해, 덮개 부재(12)와는 독립하여 약제용기(2)를 본체부(11)에 고정할 수도 있다. 고정 기구로서는, 예를 들어 약제용기(2)를 사이에 두거나 둘레 방향으로부터 눌러 압박하는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요지는, 제1 실시 형태 뿐만이 아니라,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적용이 가능하고, 제2 실시 형태로부터 밸브 본체(68) 및 연통로형성부재(67)를 생략해도 괜찮고, 고정 기구도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4-4>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별개로 준비했지만, 도 20과 같이, 이것들을 연결한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각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의 외주면, 즉 본체부의 외주면에 90도 간격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볼록부(51) 및 오목부(52)를 마련하고, 볼록부(51)와 오목부(52)를 결합시킴으로써 장치(1)끼리를 연결한다. 볼록부(51)와 오목부(52)를 마련하는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 21(a)와 같이 본체부(11)의 외주면에, 한 쌍의 볼록부(51)와 한 쌍의 오목부(52)를, 각각 대향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즉, 볼록부(51)와 오목부(52)가 90도 간격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혹은, 도 21(b)와 같이, 본체부(11)의 외주면에, 한 쌍의 볼록부(51) 및 한 쌍의 오목부(52)가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록부(51)와 오목부(52)가 형성된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여러개 준비하여, 볼록부(51)와 오목부(52)를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를 일체화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약제 용기를 모아서 흔들어 용해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시린지(3)로 약제를 석션할 때에도, 모든 약제용기(2)가 근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복수의 약제를 석션하기 쉬워지고,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볼록부(51) 및 오목부(52)는 반드시 90도 간격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괜찮고, 인접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끼리를 연결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 볼록부(51) 및 오목부(52)를 형성하는 것 외에도, 탄성 밀봉 부재(13)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약제 용기 수용 장치(1)끼리를 연결할 수 있으면 좋고, 접착테이프 등을 이용하거나 그 외, 여러 가지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의 요지는, 제1 실시 형태 뿐만이 아니라, 제2 실시 형태에서도 적용 가능하고,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와 같이 연결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4-5>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도 22와 같이, 본체부(11)의 어깨부(114)의 경사면에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 또는 홈(18)을 마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의 공간(S)에 누출한 약제를, 홈 또는 리브(18)를 따라 몸통부(113)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제1 개구부(111)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고, 약제의 제1 개구부(111)로부터의 누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약제가 샌 양이 많은 경우에는, 약제를 홈 또는 리브(18)에 따라 흘리기 쉬워져, 약제 누출 방지에 큰 역할을 해낸다.
<4-6>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용기(2)의 병마개(22)가, 본체부(11)의 어깨부(114)의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지만, 병마개(22)와 탄성 밀봉 부재(13)와의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된다면, 이 양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3(a)와 같이, 어깨부(114)에 단차를 형성하고, 이 단차에 병마개(22)가 꼭 맞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도 23(b)와 같이 어깨부(114)를 평탄하게 하여, 이 어깨부(114)에 병마개(22)를 접촉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머리부(115)의 내부 공간이 상술한 공간(S)이 된다.
<4-7>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에 설치되는 탄성 밀봉 부재(13)를 제1 개구부(111)에 직접 끼워 넣는 형태로 하고 있지만, 제1 개구부(111)를 닫고, 시린지의 바늘(유통부)이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그 모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약제용기(2)에 설치되는 병마개(22)와 같이 구성해도 괜찮다.
<4-8>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부에 제2 개구부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약제 용기를 수용하고 있지만, 약제 용기의 수용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24와 같이, 본체부(11)의 외주면에 개구(119)를 형성하고, 이 개구(119)를 기밀하게 막는 것 같은 덮개 부재(120)을 마련한다. 또, 본체부(11)의 저면, 즉 제1 개구부(111)와 대향하는 면에는, 용수철(9)를 마련해 두고, 본체부 내에 수용된 약제 용기를 제1 개구부 측에 눌러 압박하여, 약제 용기의 병마개가 본체부의 어깨부에 접촉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해도, 상기 공간(S)를 형성한 상태로 약제 용기를 밀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의 위치에 관한 본 변형예의 요지는,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혹은, 도 25와 같이, 제1 개구부(111)를 포함한 본체부(11)의 어깨부(114), 머리부(115)가 일체가 된 덮개 부재(130)을 형성해, 이것으로 본체부(11)의 몸통부(113)에 형성된 개구부(180)을 막도록 할 수도 있다.
<4-9>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브(69a), (69b)의 개수는, 상술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1개 ~ 5개 또는, 7개 이상이어도 괜찮다. 또, 리브(69a)와 (69b)의 개수는 같지 않아도 괜찮다. 제3 실시 형태의 리브(85)의 개수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4-10>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와의 접촉을 막는 볼록부의 형상은, 상술한 리브(69a), (69b)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단순한 점 모양의 볼록부이어도 괜찮다. 제3 실시 형태의 리브(85)의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4-11>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와 약제 용기 수용 장치와의 접촉을 방해하는 볼록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술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6)의 예에서는, 본체 상부(60)의 병마개 수용부(63)의 상면부(63b)의 아래쪽 면 및 측면부(63a)의 내주면이 바람직하지만, 다른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구성이면, 다른 위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실시 형태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1)의 예에서는, 탄성 밀봉 부재(13)에 있어서,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윗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에 볼록부를 형성해도 좋다. 즉, 이러한 볼록부는, 약제용기(2)의 병마개(22)로 약제 용기 수용 장치와의 접촉을 방해하는 역할을 완수한다면, 약제 용기 수용 장치의 본체부가 아니라 탄성 밀봉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양쪽 모두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4-12>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술한 리브(69b)를 대신해 또는 추가하여, 홈을 형성해도 좋다. 이 경우도, 약제용기(2)의 병마개(22)의 윗면과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의 공간(S2)에 낙하한 약제를, 공간(S3)내를 통해 하부의 공간까지 안내할 수 있다.
<4-13>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병마개 수용부(84)를, 도 26 및 도 27와 같은 병마개 수용부(90)에 치환해도 괜찮다. 즉, 이 병마개 수용부(90)는, 대략 원판형태의 상면부(90a)와, 이 상면부(90a)의 둘레로부터 하부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6개)의 측벽부(90b)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제3 실시 형태와 같이, 상면부(90a)의 중앙에는, 시린지(3)의 바늘(33)이 빠져 나가기 위한 관통공(H7, 제1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복수의 측벽부(90b)는, 서로 약간 틈새를 열면서, 상면부(90a)의 360°의 둘레 가장자리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이러한 측벽부(90b)의 하부에는, 제3 실시 형태의 단차(D3)에 상당하는 단차(D4)가 존재하기 때문에, 약제용기(2)를 병마개 수용부(90)에 의해 매달기 식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측벽부(90b)는, 상면부(90a)의 둘레 360°에 전체적으로 퍼져 있기 때문에, 병마개 수용부(90)내의 공간에, 병마개(22)를 측방으로부터 슬라이드식으로 삽입할 수 없다. 거기에서, 이 변형예에서는, 병마개(22)를 병마개 수용부(90)의 하부로부터 삽입한다. 이때, 측벽부(90b)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벽부(90b)를 형성하는 수지 재료의 탄성에 의해, 지름 방향 바깥쪽으로 약간 퍼지도록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병마개(22)를 병마개 수용부(90)내의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번 병마개 수용부(90)에 지지된 약제용기(2)는 병마개 수용부(90)으로부터 옆방향으로 탈락하는 일이 없고, 보다 강고하게 지지받게 된다. 또,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면부(90a)의 아래쪽 면에는, 제3 실시 형태의 리브(85)에 상당하는 복수 개의 리브(91)을 형성해, 병마개(22)로 탄성 밀봉 부재(66)와의 사이에 약제용기(2)로부터 샌 약제를 수용 가능한 공간(S4)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이 변형예에서는, 리브(91)는 관통공(H7)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4-14>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탄성 밀봉 부재(13)를 도 28(a)와 같이, 중공의 부재로 할 수 있고, 또한, 도 28(b)와 같이, 상기 내부의 공간(S5)에 흡수성 재료(19)를 충전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13)로부터 뽑아 낼 때, 만일, 미량의 약제가 바늘(33)에 붙어 외부에 나오려 했다고 해도, 이상의 공간(S5)에 머물게 두거나 또는 흡수성 재료(19)에 보관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서는, 외부로의 약제 누출을 더욱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변형예는, 제2 실시 형태 및 제3 실시 형태의 탄성 밀봉 부재(66)에도 적용할 수가 있고, 이 경우도 같은 방식으로, 바늘(33)을 탄성 밀봉 부재(66)으로부터 뽑아 낼 때, 외부로의 약제 누출을 보다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1 약제 용기 수용 장치
11 본체부
112 제1 개구부
111 제2 개구부
114 어깨부
115 머리부
12 덮개 부재(폐쇄부)
13 탄성 밀봉 부재(탄성 밀봉부)
14 밸브기구(폐쇄부)
142 밸브 부재
51 볼록부
52 오목부
6 약제 용기 수용 장치
60 본체 상부(본체부)
66 탄성 밀봉 부재(탄성 밀봉부)
69a 리브(볼록부)
69b 리브(볼록부)
70 본체 하부(본체부, 폐쇄부)
8 약제 용기 수용 장치
81 주머니(본체부)
81a 패스너 록(폐쇄부)
85 리브(볼록부)
91 리브(볼록부)
S1, S2, S4 공간
H1 관통공(제1 개구부)
H2 관통공(제1 개구부)
H5 관통공(제2 개구부)
H6 관통공(제1 개구부)
H7 관통공(제1 개구부)

Claims (15)

  1.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이용해, 상기 유통부를 관통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는 약제 용기에 수용된 약제의 석션을 행하기 위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가 수용되는 폐쇄 공간, 및 제1 개구부를 가지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제1 개구부를 밀폐하여,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가 관통 가능한 탄성 밀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부는, 수용된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약제 용기를 수용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약제 용기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개구부와 상기 제2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폐쇄부를 구비한, 약제 용기 수용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개구부는, 대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폐쇄부는,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제1 개구부 측에 향해 밀어 누르고,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본체부 내에서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탄성 밀봉부의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의 윗면과 대향하는 제1 대향면에, 상기 덮개부의 윗면과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상기 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볼록부가 형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탄성 밀봉부의 적어도 한 쪽에 있어서,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의 측면과 대향하는 제2 대향면에, 볼록부가 형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자유롭게 변형 가능한 주머니인 약제 용기 수용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된 제2 단부를 양단부에 가지는 통 모양의 몸통부와,
    상기 제1 단부로부터 깔때기 모양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어깨부와,
    상기 어깨부와 연속하여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된 머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어깨부의 경사면에,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공간이 형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에, 상기 제1 개구부로부터 상기 몸통부를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홈 또는 리브가 형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폐쇄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밸브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밸브 부재는, 상기 폐쇄부에 의해 상기 제2 개구부가 밀폐되면, 상기 밸브 부재가 상기 관통공을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밀봉부는, 지름 방향으로 압축됨으로써, 상기 제1 개구부에 끼워 넣어지는, 약제 용기 수용 장치.
  11. 복수의, 청구항 1에 기재된 약제 용기 수용 장치와,
    상기 복수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상기 제1 개구부가 같은 방향을 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기구를 구비하는,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에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 및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기구는, 상기 볼록부 및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오목부 및 볼록부를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연결하는,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13. 액체의 석션 및 배출을 실시하는 유통부를 가지는 시린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덮개부를 가지고, 약제가 수용된, 적어도 1개의 약제 용기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가 수용되는 폐쇄 공간, 제1 개구부, 상기 제1 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의 삽입이 가능한 탄성 밀봉부를 가지는, 적어도 1개의 약제 용기 수용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의 덮개부와 상기 탄성 밀봉부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약제 용기를 상기 약제 용기 수용 장치에 수용하는 단계와,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를 상기 탄성 밀봉부 및 덮개부에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를 상기 시린지 내로 석션하는 단계와,
    상기 시린지의 유통부를 상기 탄성 밀봉부 및 덮개부로부터 빼내는 단계를 구비하는 약제의 석션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분말 형태이며,
    상기 약제를 석션하는 단계에 앞서,
    상기 시린지 내에 수용된 혼합액을, 상기 약제 용기내에 주입하고, 액상의 약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약제 용기의 약제를 상기 시린지내에 석션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액상의 약제를 석션하는, 약제의 석션 방법.
  15. 청구항 13의 약제의 석션 방법을, 다른 복수의 상기 약제에 대하여 여러 차례 반복하고, 하나의 상기 시린지 내에 상기 복수의 약제를 석션하는, 약제의 석션 방법.
KR1020157013826A 2012-11-01 2013-10-02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 KR201500823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2039 2012-11-01
JPJP-P-2012-242039 2012-11-01
JPJP-P-2013-089423 2013-04-22
JP2013089423 2013-04-22
PCT/JP2013/076803 WO2014069150A1 (ja) 2012-11-01 2013-10-02 薬剤容器収容装置、薬剤容器収容システム、及び薬剤の吸引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353A true KR20150082353A (ko) 2015-07-15

Family

ID=5062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826A KR20150082353A (ko) 2012-11-01 2013-10-02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50290079A1 (ko)
EP (1) EP2915515A4 (ko)
JP (1) JPWO2014069150A1 (ko)
KR (1) KR20150082353A (ko)
CN (1) CN104780892A (ko)
AU (1) AU2013339904A1 (ko)
CA (1) CA2889484A1 (ko)
TW (1) TW201427657A (ko)
WO (1) WO201406915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9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20114767A (ko) * 2021-02-09 2022-08-17 윤지영 바이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알 홀더 패키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385800B2 (ja) * 2014-11-11 2018-09-05 日本電子株式会社 液体吸引具、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自動分析装置
JP6591750B2 (ja) * 2015-01-06 2019-10-16 小林製薬株式会社 薬剤容器及びこれを備えた薬剤揮散器
TW201726505A (zh) * 2015-01-26 2017-08-01 World Bottling Cap Llc 具有開瓶器組件的冠形瓶蓋(一)
US10940086B2 (en) * 2015-11-12 2021-03-09 Scalpal Llc Bottle support and protective collar
CN107019638B (zh) * 2016-02-02 2020-11-24 深圳市卫邦科技有限公司 一种溶液自动抽吸控制装置及方法
JP6891481B2 (ja) * 2016-12-21 2021-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
JP6871954B2 (ja) * 2017-02-08 2021-05-19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液体の供給方法
EP3600213A1 (en) * 2017-03-24 2020-02-05 CareFusion 303, Inc. Automatic drug compounder with hygroscopic member
JP6853118B2 (ja) * 2017-05-31 2021-03-31 キヤノンライフケア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US11058605B2 (en) * 2018-03-08 2021-07-13 Flex Ltd. Sterilization fluid path with barrier removal
US11224555B2 (en) 2018-04-23 2022-01-18 Hospira, Inc. Access and vapor containment system for a drug vial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19236490A1 (en) * 2018-06-04 2019-12-12 Pathway, Llc Vacuum-controlled liquid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for drawing a liquid into a syringe
EP3890677B1 (en) * 2018-12-03 2023-01-04 Sirtex Medical Inc. Apparatus for delivery of radioembolization microspheres
JP7243311B2 (ja) * 2019-03-11 2023-03-22 ニプロ株式会社 医療用容器
JP7444554B2 (ja) * 2019-06-21 2024-03-06 大和製罐株式会社 難溶性飲料製品
CN112190472B (zh) * 2020-09-16 2022-05-20 天津市宝坻区人民医院 一种基于中医诊疗结果智能配药设备
WO2023129563A1 (en) * 2021-12-30 2023-07-06 Bluerock Therapeutics Lp Medical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eparing a dose
CN114906476B (zh) * 2022-05-12 2023-03-24 四川先通原子医药科技有限公司 橡胶盖体、容器及其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53170A (en) * 1958-07-29 1960-09-20 Leon D Bush Feeding spoon
US3373864A (en) * 1966-08-02 1968-03-19 Mead Johnson & Co Presterilized nipple package
US4076027A (en) * 1976-05-07 1978-02-28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Fluid transfer device
US4124953A (en) * 1976-12-02 1978-11-14 Patton Harold Y Planter kit and display package therefor
US4089432A (en) * 1977-05-06 1978-05-16 The Upjohn Company Vial and closure
US4312349A (en) * 1979-07-23 1982-01-26 Cohen Milton J Filter device for injectable fluid
US4457749A (en) * 1982-04-19 1984-07-03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hield for connectors
JPS61502170A (ja) * 1984-04-16 1986-10-02 カ−プファ−、ルドルフ ジェイ エ−ロゾル化防止型薬剤再形成装置
US4552277A (en) * 1984-06-04 1985-11-12 Richardson Robert D Protective shield device for use with medicine vial and the like
US4645073A (en) * 1985-04-02 1987-02-24 Survival Technology, Inc. Anti-contamination hazardous material package
US4768568A (en) * 1987-07-07 1988-09-06 Survival Technology, Inc. Hazardous material vial apparatus providing expansible sealed and filter vented chambers
US4982769A (en) * 1990-02-21 1991-01-08 Survival Technology, Inc. Package
DE4106919A1 (de) * 1991-03-05 1992-09-10 Kautex Werke Gmbh Quetschflasche mit innenbehaelter
FR2726768A1 (fr) * 1994-11-14 1996-05-15 Debiotech Sa Dispositif de seringue fixable sur un flacon
JP2000189494A (ja) * 1998-12-25 2000-07-11 Torii Yakuhin Kk 薬物・溶解液一体キット
US6715520B2 (en) 2001-10-11 2004-04-06 Carmel Pharma Ab Method and assembly for fluid transfer
JP4341239B2 (ja) * 2002-12-19 2009-10-07 ニプロ株式会社 液体移注具
CN100420609C (zh) * 2003-04-28 2008-09-24 因斯蒂尔医学技术有限公司 用于填充和分配物质的具有阀组件的容器以及填充装置和方法
EP1951344B1 (en) 2005-11-07 2014-05-28 Industrie Borla SpA Vented safe handling vial adap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90A (ko) * 2017-03-31 2018-10-11 주식회사 메가젠글로벌 치과용 임플란트 포장용기
KR20220114767A (ko) * 2021-02-09 2022-08-17 윤지영 바이알 홀더 및 이를 포함하는 바이알 홀더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89484A1 (en) 2014-05-08
CN104780892A (zh) 2015-07-15
US20150290079A1 (en) 2015-10-15
EP2915515A4 (en) 2016-07-27
EP2915515A1 (en) 2015-09-09
JPWO2014069150A1 (ja) 2016-09-08
TW201427657A (zh) 2014-07-16
AU2013339904A1 (en) 2015-06-18
WO2014069150A1 (ja) 2014-05-08
AU2013339904A2 (en)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2353A (ko) 약제 용기 수용 장치, 약제 용기 수용 시스템, 및 약제의 석션 방법
KR101889340B1 (ko) 약제 용기의 뚜껑 커버
US10751252B2 (en) Adaptor for coupling with a medical container
JP6371369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システム
JP6393755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アダプタを有するシステム
JP6355758B2 (ja) 流体の閉鎖移送のためのアダプタを有するシステム
ES2827189T3 (es) Sistema de sello para cánula
JP6007183B2 (ja) 医療用容器
KR101690456B1 (ko) 필터 주사기
KR102274243B1 (ko) 어댑터를 의료 용기와 결합시키기 위한 조립체
JP5922977B2 (ja) 混合装置、混合支援装置及び混合方法
KR101996378B1 (ko) 유체 주입 기구를 천공가능한 플라스크에 연결시키기 위한 장치 및 이의 사용 방법
JP5699196B1 (ja) 注射器用容器
JP2014090805A (ja) 針カバー、針アセンブリ及び針付きシリンジ
JP2013244371A (ja) 溶解装置及び溶解方法
OA17626A (en) Adaptor for coupling with a medical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