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82253A -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82253A
KR20150082253A KR1020157011225A KR20157011225A KR20150082253A KR 20150082253 A KR20150082253 A KR 20150082253A KR 1020157011225 A KR1020157011225 A KR 1020157011225A KR 20157011225 A KR20157011225 A KR 20157011225A KR 20150082253 A KR20150082253 A KR 201500822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late
molding
press
pressing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1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와다
오사무 오다니
마사유키 이케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822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2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7Press-bending involving applying local or additional heating, cooling or insulat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3/00Re-forming shaped glass
    • C03B23/02Re-forming glass sheets
    • C03B23/02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 C03B23/03Re-forming glass sheets by bending by press-bending between shaping moulds
    • C03B23/0305Press-bending accelerated by applying mechanical forces, e.g. inertia, weights or local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5/00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during their manufacture, e.g. hot glass lenses, prisms
    • C03B35/14Transporting hot glass sheets or ribbons, e.g. by heat-resistant conveyor belts or ba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40/00Preventing adhesion between glass and glass or between glass and the means used to shape it, hold it or support it
    • C03B40/005Fabrics, felts or loose cov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형상 정밀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한다.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변형시킬 때, 유리 평판(50) 중,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로 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METHOD FOR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DISPLAY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COVER GLASS FOR DISPLAY}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이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바일 기기를 「모바일 디스플레이」라고 함).
특허문헌 1에는, 모바일 디스플레이에 사용할 수 있는 커버 유리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커버 유리는, 화상 표시부의 전방면에 위치하는 전방면부와, 화상 표시부의 폭 방향 양측에 있어서 전방면부로부터 굴곡하는 굴곡부를 구비한다.
특허문헌 1에는, 금형의 위에 배치한 유리 평판을 가열하여 연화시킴으로써 굴곡부를 갖는 커버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제2012-101975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제조 방법에서는, 형상 정밀도가 높은 커버 유리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형상 정밀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성형형의 위에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고,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을 행한다.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킬 때, 유리 평판 중, 커버 유리의 굴곡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로 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의 단부를,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성형형의 위에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고,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을 행한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의 단부를,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은,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프레스구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유리 평판의 단부의 제2 성형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가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성형 공정이, 프레스구에 의해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레스 공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공정은,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프레스구에 의해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의 수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프레스구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공정에서의 적어도 프레스구에 의한 1회째의 가압 시에 있어서는, 프레스구에 의해 유리 평판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의 위에 제2 성형형을 배치하고, 제1 성형형과 제2 성형형에 의해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제2 성형형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은,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성형형의 위에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한다.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고,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을 행한다. 제1 성형형의 위에 제2 성형형을 배치하고, 제1 성형형과 제2 성형형에 의해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제2 성형형을 배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은,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면의 상방에는 제2 성형형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과 유리 평판의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프레스구의 유리 평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프레스구를 냉각하면서 프레스구에 의한 유리 평판의 프레스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프레스구를 금속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 중, 제1 성형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은 소성 변형 불가능한 한편, 제1 성형형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제1 성형형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 중, 제1 성형형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온도가 유리 평판의 연화점보다도 낮아지도록 제1 성형형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유리 평판으로서, 30℃∼380℃에서의 선 열팽창 계수가 105×10-7/℃ 이하인 유리 평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의 각각에 있어서, 성형 공정의 후에, 변형된 유리 평판을, 유리 평판의 변형점 이상의 온도로까지 가열하는 열처리 공정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제1 성형형과, 가열 기구와, 프레스구와,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제1 성형형은,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다. 제1 성형형에는,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이 적재된다. 가열 기구는,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다. 프레스구는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를 구동한다. 구동 기구는, 유리 평판 중, 커버 유리의 굴곡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일 때, 프레스구에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복수회 가압하는 것이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제1 성형형과, 가열 기구와, 프레스구와, 구동 기구를 구비한다. 제1 성형형은,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다. 제1 성형형에는,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이 적재된다. 가열 기구는,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다. 프레스구는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를 구동한다.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복수회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은,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유리 평판의 단부의 제2 성형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의해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레스 공정이 행해지도록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기구는,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프레스구에 의해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의 수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프레스구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이 행해지도록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의한 1회째의 가압 시에 있어서, 프레스구가 유리 평판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하도록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및 제2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조 장치는, 제1 성형형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1 성형형과 함께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성형형을 더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평판부와,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는, 제1 성형형과, 가열 기구와, 프레스구와, 제2 성형형을 구비한다. 제1 성형형은,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다. 제1 성형형에는,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이 적재된다. 가열 기구는,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다. 프레스구는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제2 성형형은, 제1 성형형의 위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성형형은, 제1 성형형과 함께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한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은,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제2 성형면의 상방에는 제2 성형형이 위치하고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조 장치는, 제1 성형형의 적어도 제1 성형면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조 장치는, 프레스구의 유리 평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프레스구는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프레스구는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각각에 있어서, 제1 성형형은,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형상 정밀도가 높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모식적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모식적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성형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 측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조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모식적 사시도.
도 28은, 변형예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의 모식적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한 바람직한 형태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 형태는, 단순한 예시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 형태에 전혀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참조하도록 한다. 또한, 실시 형태 등에 있어서 참조하는 도면은, 모식적으로 기재된 것이다. 도면에 묘화된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과는 다른 경우가 있다. 도면 상호간에 있어서도,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물체의 치수의 비율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되어야 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도 2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제조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데 앞서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조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구성에 대하여, 도 2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
도 2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부 및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유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와, 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커버 유리이다. 또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기기인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는,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스마트폰, 노트북형 퍼스널 컴퓨터, 태블릿 퍼스널 컴퓨터 등의 모바일 기기이어도 된다. 디스플레이는, 판 형상이어도 된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예를 들어 화학 강화 유리 등의 강화 유리나 결정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2㎜∼1.5㎜인 것이 바람직하고, 0.25㎜∼1.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0.3㎜∼1.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평판부(11)를 갖는다. 평판부(11)는 디스플레이의 표시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여기서, 전방이란, 표시부의 수선이 연장되는 방향(Z1측)이며, 수선이 연장되는 방향(Z1측)과는 반대측(Z2측)을 후방이라 한다.
평판부(11)는 평판 형상이다. 평판부(11)는, 직사각 형상이다. 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40㎜∼200㎜ 정도이어도 된다. 평판부(11)의 y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80㎜∼300㎜이어도 된다. 또한, 「평판 형상」에는, 실질적으로 평판 형상인 것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평판」에는, 하나의 표면과, 하나의 표면에 대해 5°이하의 범위로 경사진 다른 표면을 갖는 판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평판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1측 단부에는, 제1 측면부(12)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1 측면부(12)는, 디스플레이의 측방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측면부(12)는, 디스플레이의 x축 방향의 x1측에 배치된다.
제1 측면부(12)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와, 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와의 비{[제1 측면부(12)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1000∼1:5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모바일용인 경우에는, 비{[제1 측면부(12)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300∼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가 거치형인 경우에는, 비{[제1 측면부(12)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1000∼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를 포함한다. 제1 굴곡부(12a)는, 평판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제1 굴곡부(12a)는, 평판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x1 측단부로부터 후방(z2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평판부(11)의 x1측 단부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접선과, 제1 측면부(12)의 선단에 있어서의 내벽면의 접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인 굴곡각은, 9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와, 제1 굴곡부(12a)의 선단에 접속된 제1 평판부(12b)를 갖는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측면부(12)는, 제1 굴곡부(12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굴곡부(12a)의 두께와, 제1 평판부(12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굴곡부(12a)의 두께와, 제1 평판부(12b)의 두께는, 각각, 평판부(11)의 두께 0.9배∼1.1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판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측 단부에는, 제2 측면부(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제2 측면부(13)와, 평판부(11) 및 제1 측면부(12)는, 1매의 유리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측면부(13)는, 디스플레이의 측방에 배치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측면부(13)는, 디스플레이의 x축 방향의 x2측에 배치된다.
제2 측면부(13)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와, 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의 비{[제2 측면부(13)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1000∼1:5로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가 모바일용인 경우에는, 비{[제2 측면부(13)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300∼1: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가 거치형인 경우에는, 비{[제2 측면부(13)의 z축 방향을 따른 치수]:[평판부(11)의 x축 방향을 따른 치수]}는, 예를 들어 1:1000∼1: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를 포함한다. 제2 굴곡부(13a)는, 평판부(11)에 접속되어 있다. 제2 굴곡부(13a)는, 평판부(11)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x2측 단부로부터 후방(z2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평판부(11)와 제2 측면부(13)의 굴곡각은, 90°∼170°인 것이 바람직하고, 90°∼1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와, 제2 굴곡부(13a)의 선단에 접속된 제2 평판부(13b)를 갖는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2 측면부(13)는 제2 굴곡부(13a)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굴곡부(13a)의 두께와, 제2 평판부(13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는, 실질적으로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굴곡부(13a)의 두께와, 제2 평판부(13b)의 두께는, 각각 평판부(11)의 두께의 0.9배∼1.1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의 한 쌍의 측면 중 적어도 한쪽은,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성하고 있어도 된다. 즉, 측면부(12, 13)는, 표시부를 구성하고 있는 측면 위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장치(2)]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장치(2)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장치(2)는 장치 본체(20)를 갖는다. 장치 본체(20)는 예열실(21)과, 성형실(22)과, 서냉실(23)을 갖는다. 예열실(21), 성형실(22) 및 서냉실(23)은, 하나의 방향을 따라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예열실(21), 성형실(22) 및 서냉실(23)은 각각, 단열재(도시생략)에 의해 포위되어 있다.
예열실(21)은, 후술하는 유리 평판(50)을 예열하기 위한 방이다. 예열실(21)에는, 유리 평판(50)이 적재되는 예열대(24)와, 예열실(21) 내의 분위기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25)가 배치되어 있다. 예열대(24)에는, 플런저(24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런저(24a)에 의해, 예열대(24) 위에 배치된 유리 평판(50)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성형실(22)은, 유리 평판(50)을 성형에 적합한 온도로까지 가열함과 함께, 유리 평판(50)을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에 성형하기 위한 방이다. 성형실(22)에는, 유리 평판(50)이 적재되는 제1 성형형(26)과, 제1 성형형(26)과 함께 유리 평판(50)을 끼움 지지하는 제2 성형형(27)과, 성형실(22) 내의 분위기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가열 기구)(28)와, 유리 평판(50)의 x축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가압하는 프레스구(29a, 29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의 각각의 깊이 방향의 길이(도 1에 있어서의 지면상 세로 방향의 길이)는, 유리 평판(50)의 깊이 방향의 길이보다도 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성형형(26)은 평판부(11)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26A)과, 굴곡부(12a, 13a)를 형성하기 위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26B)과, 평판부(12b, 13b)를 형성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제3 성형면(26C)을 갖는다. 제2 성형면(26B)은, 굴곡부(12a, 13a)의 형상에 의거한 곡면 형상이다.
제1 성형형(26)은, 세라믹스나 금속 등의 경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성형형(27)도 마찬가지로, 세라믹스나 금속 등의 경질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은, 다공질체 등에 의해 구성된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성형형(26)의 적어도 제1 성형면(26A)의 위에는, 완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완충 부재(30)는 제1 성형면(26A)의 위뿐만 아니라, 제2 및 제3 성형면(26B, 26C) 위에도 설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30)에 의해, 제1 내지 제3 성형면(26A 내지 26C)이 덮여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성형형(27)의 유리 평판(50)과 접촉하는 표면 위에도 완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완충 부재(30)는,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이다. 완충 부재(30)는, 예를 들어 알루미나 섬유,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 부재(30)의 두께는, 예를 들어 0.1㎜∼2㎜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및 도 2 등에 있어서는, 완충 부재(30)의 묘화를 생략하고 있다.
제1 성형형(26)에는, 공기 등의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2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6a)에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제1 성형형(26)이 냉각된다. 관통 구멍(26a)은 제1 성형형(26)의 제2 성형면(26B)을 구성하고 있는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제2 성형형(27)에도, 공기 등의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2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7a)에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제2 성형형(27)이 냉각된다.
제1 성형형(26)에는, 예열대(24)와 마찬가지로, 제1 성형형(26)의 위에 위치하는 유리 평판(50)이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상방으로 들어올리는 플런저(26b)가 설치되어 있다.
제2 성형형(27)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보다도 짧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제2 성형형(27)으로부터 노출된다.
프레스구(29a, 29b)는,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부재이다. 프레스구(29a, 29b)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 구동 기구(29c)에 의해 구동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에는, 공기 등의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29a1, 29b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29a1, 29b1)에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프레스구(29a, 29b)가 냉각된다.
프레스구(29a, 29b)는, 예를 들어 세라믹스나 유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체인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프레스구(29a, 29b)의 유리 평판(50)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는, 완충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구(29a, 29b)는, 완충 부재(30)에 의해 덮여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냉실(23)에는, 서냉대(31)와 서냉실(23) 내의 분위기 온도를 제어하는 히터(34)가 배치되어 있다. 성형실(22)에 있어서 성형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서냉대(31) 위에 적재되고, 서냉실(23)에 있어서 서냉된다. 또한, 서냉대(31)에도 플런저(31a)가 설치되어 있다.
제조 장치(2)에는, 이동구 구동 기구(33)에 의해 구동되는 이동구(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동구(32a, 32b)에 의해 유리 평판(50)이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예열실(21), 성형실(22), 서냉실(23) 사이의 이동이 행해진다.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방법]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평판 형상의 유리 평판(50)(도 4를 참조)을 준비한다. 유리 평판(50)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구성하기 위한 유리판이다. 유리 평판(50)의 두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평판(50)을 예열실(21)의 예열 대(24)의 위에 적재한다. 적재된 유리 평판(50)은 히터(25)에 의해 가열된다. 이 예열실(21)에 있어서는, 보다 고온인 성형실(22)로 유리 평판(50)이 반송되었을 때, 유리 평판(50)이 손상되지 않을 정도로까지 유리 평판(50)이 가열된다. 예열실(21)에 있어서의 유리 평판(50)의 가열 온도는, 유리 평판(50)의 조성이나, 성형실(22)의 온도 등에 의해 적절히 설정된다. 예열실(21)에 있어서의 유리 평판(50)의 가열 온도는, 유리의 변형점∼서냉점 부근의 온도, 예를 들어 200℃∼700℃ 정도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열실(21)에 있어서 예열된 유리 평판(50)을 성형실(22)로 반송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4a)를 예열대(24)로부터 밀어냄으로써, 유리 평판(50)을 예열대(24)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이동구(32a, 32b)를 유리 평판(50)의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플런저(24a)를 강하시켜서, 이동구(32a, 32b)에 의해 유리 평판(50)을 지지시킨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 구동 기구(33)(도 1을 참조)에 의해 이동구(32a, 32b)를 구동시키고, 예열된 유리 평판(50)을 예열실(21)로부터 성형실(22)의 제1 성형형(26)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어서, 플런저(26b)를 상승시킨 후에 이동구(32a, 32b)를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유리 평판(50)의 하방으로부터 수평 이동시키고, 그 후, 플런저(26b)를 강하시킨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열된 유리 평판(50)을 성형실(22)의 제1 성형형(26)의 제1 성형면(26A)의 위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제1 성형면(26A)의 위에 위치하고,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제1 성형면(26A)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유리 평판(50)을 배치한다. 후의 성형 공정에 있어서, 이 제1 성형면(26A)의 외측에 위치하는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의해 측면부(12, 13)가 형성되고, 제1 성형면(26A)의 위에 위치하는 유리 평판(50)의 중앙부에 의해 평판부(11)가 형성된다.
또한, 유리 평판(50)을 제1 성형형(26)의 위에 배치한 후에, 센터링 기구(도시생략)를 구동시켜서,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와,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 위치를 정합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성형형(27)이 제1 성형형(26)을 향해 강하되고, 제1 성형형(26)과 제2 성형형(27)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끼움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서, 가열 기구를 구성하고 있는 히터(28)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적어도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가열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에, 각각 형성된 관통 구멍(26a, 27a)에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의 온도 상승이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유리 평판(50) 중, 제1 성형형(26)과 제2 성형형(27)에 의해 끼움 지지된 부분의 온도가 가장 낮아지고,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의 어느 쪽에도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온도가 가장 높아지며, 제1 성형형(26)에만 접하고 있는 부분의 온도가 중간 온도로 된다.
성형실(22)에 있어서의 가열은,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의 양쪽이 발생하는 점도로 될 때까지 행한다. 통상,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108dPa·s 이하일 때에는, 유리 평판(50)은 탄성 변형하지 않고, 소성 변형한다. 한편,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1011dPa·s 이상일 때에는, 유리 평판(50)은 소성 변형하지 않고, 탄성 변형한다.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108dPa·s∼1011dPa·s 정도일 때, 유리 평판(50)이 소성 변형하는 동시에, 탄성 변형한다. 따라서, 성형실(22)에 있어서의 가열은,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108. 5dPa·s∼1010. 5dPa·s 정도로 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9dPa·s∼1010dPa·s 정도로 되도록 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108dPa·s∼1011dPa·s 정도로 되는 온도는, 유리 평판(50)의 조성에 따라 상이하다.
또한, 유리 평판(50)을 가열할 때에는, 관통 구멍(26a, 27a)에 냉매를 공급하고,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을 냉각함으로써,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점도가,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 영역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 평판(50) 중,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은 소성 변형 불가능한 한편,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의 양쪽이 가능하게 되도록, 제1 성형형(26)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 중,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온도가 유리 평판(50)의 연화점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평판(50)의 유리 전이점 +1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유리 전이점 이하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유리 전이점보다도 10℃ 이상 낮은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유리의 변형점∼유리 전이점 -30℃의 온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온도를 유리 평판(50)의 연화점보다 낮게 함으로써 제1 성형형(26)과 접하는 부분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평활성이 우수한 평판부(11)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 중,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온도가 유리 평판(50)의 유리 전이점∼유리의 연화점 이하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 전이점∼유리의 연화점 -40℃의 온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유리 전이점∼유리의 연화점 -130℃의 온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에서 온도차를 발생시키는 경우,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열팽창량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의 열팽창량이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지 않은 상대적으로 고온 부분의 열팽창량이,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상대적으로 저온 부분의 열팽창량보다도 커진다. 이 열팽창량 차에 기인하여 유리 평판(50)에, 휨, 물결침 등의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성형 공정에서의 유리 평판(50)의 변형을 억제하여, 높은 형상 정밀도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는 관점에서는, 유리 평판(50)의 열팽창 계수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평판(50)의 30℃∼380℃에서의 선 열팽창 계수가 105×10-7/℃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10-7/℃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90×10-7/℃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85×10-7/℃ 이하인 것이 또한 바람직하며, 80×10-7/℃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하여,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제1 성형형(26)측을 향해 가압하고,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변형시킨다. 이에 의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12a, 13a)를 형성하고, 도 23 및 도 27에 도시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는다(형성 공정). 이 형성 공정은, 프레스구(29a, 29b)의 관통 구멍(29a1, 29b1)에 냉매를 공급하고, 프레스구(29a, 29b)를 냉각하면서 행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유리 평판(50)이 고온이 되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을 제1 성형형(26)과 제2 성형형(27)에 의해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행한다. 그로 인해,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에 이물이 접촉하기 어렵다. 따라서, 유리 평판(50)과 이물의 접촉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평판부(11)에 표면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후,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런저(26b)에 의해 들어 올려진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이동구(32a, 32b)에 의해 지지한다. 이어서,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구 구동 기구(33)에 의해 이동구(32a, 32b)를 구동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성형실(22)로부터 서냉실(23)의 서냉대(31)의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그 후, 플런저(31a)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지지한 상태에서, 이동구(32a, 32b)를 서로 이반되는 방향으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하방으로부터 수평 이동시킨다. 이어서, 플런저(31a)를 하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냉대(31)의 위에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배치한다. 서냉대(31)의 위에 있어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서냉하고, 그 후,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서냉실(23)로부터 취출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완성시킬 수 있다. 또한, 서냉실(23)로부터의 취출은,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온도가 유리의 변형점 이하의 온도, 예를 들어 300℃ 이하로 되고 나서 행해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의 양쪽이 발생하는 점도로 된 상태에서 성형을 행한다. 이로 인해, 탄성 변형이 실질적으로 발생하지 않고, 소성 변형만이 실질적으로 발생하는 점도로 되는 고온으로 유리판을 가열하여 성형한 경우와는 달리, 제1 굴곡부(12a)의 두께와, 제1 평판부(12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 굴곡부(13a)의 두께와, 제2 평판부(13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은 치수 정밀도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가, 유리 평판(50)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의 양쪽이 발생하는 점도로 된 상태에서 성형을 행하는 경우, 유리 평판(50)의 성형 시에, 예를 들어 유리 평판(50)의 평판부(11)를 구성하기 위한 부분 등에,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굴곡이나 휨 등의 변형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유리 평판(50)의 온도가, 유리 평판(50)의 연화점 이하인 상태에서 성형을 행한 경우에, 왜곡, 굴곡, 휨이 발생하기 쉽다. 이로 인해, 성형 공정의 후에, 성형된 유리 평판(50)을 변형점 이상의 온도로까지 가열하는 열처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열처리 공정). 이 열처리 공정에 의해,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잔류 응력을 작게 할 수 있어, 굴곡이나 휨 등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더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더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는 관점에서, 열처리 공정에서의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가열 온도는, 유리 평판(50)의 변형점보다도 50℃ 이상 높은 온도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0℃ 이상 높은 온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단, 열처리 공정에서의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가열 온도가 너무 높으면,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져서, 형상 정밀도가 오히려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열처리 공정에서의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가열 온도는, 유리 평판(50)의 변형점보다도 150℃ 높은 온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40℃ 높은 온도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단부면을 파이어 폴리시하는 공정을, 성형 공정에 앞서서, 또는 성형 공정의 후에 더 행하여도 된다. 이에 의해, 단부면에 마이크로 크랙이 적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공정을 행한 후에 있어서,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단부면 이외의 표면을 연마하는 공정은 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성형 공정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서서히 변형시켜서, 굴곡부(12a, 13a)를 형성한다. 즉, 프레스구 구동 기구(29c)에 의해, 프레스구(29a, 29b)를 구동시켜서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복수회 가압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를 연직 방향인 z축 방향을 따라 하방(z2측)으로 이동시키고,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z2측으로 가압하는 프레스 공정을 적어도 1회,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행한다. 여기서, 성형 공정에 있어서는, 유리 평판(50) 중,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 13a)에 상당하는 부분이,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하는 점도로 되도록 가열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함으로써, 유리 평판(50) 중,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 13a)에 상당하는 부분이 소성 변형한 후에, 프레스구(29a, 29b)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리 평판(50)의 단부가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다음으로,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의 가압 방향을, z2측을 향해 중앙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하여,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적어도 1회,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가압한다.
다음으로, 도 17 내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의 가압 방향을, 수평 방향인 x축 방향을 따라서,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적어도 1회, 바람직하게는 복수회 가압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레스 공정을 행한다. 이 복수의 프레스 공정에는,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26A)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프레스 공정은,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가압 방향이,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가압 방향을 변화시켜서 행해진다. 예를 들어, 최초의 프레스 공정에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26A)이 이루는 각이 90°로 되고, 최후의 프레스 공정에서는, 180°로 되도록 가압 방향을 변화시킨다.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제2 성형면(26B)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복수의 프레스 공정이 행해진다.
또한, 성형 공정에서의 적어도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1회째의 가압 시(1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한다. 모든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하여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18 내지 도 22에 도시한 x축 방향을 따른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가압 시에는, 프레스구(29a, 29b)를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중앙부에 접촉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성형형(26)과 유리 평판(50)의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30)를 배치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이로 인해, 경질의 제1 성형형(26)과 유리 평판(50)이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성형 공정 등에 있어서, 제1 성형형(26)과 유리 평판(50)이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표면에 찰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표면 결함이 적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성형형(27)과 유리 평판(50)의 사이에도 완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 성형형(27)과 유리 평판(50)이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표면에 찰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프레스구(29a, 29b)의 유리 평판(50)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도, 완충 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프레스구(29a, 29b)와 유리 평판(50)이 접촉함으로써,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표면에 찰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표면 결함이 보다 적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완충 부재(30)가 직포나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완충 부재(30)의 유리 평판(50)측의 표면의 표면 조도는, 성형형(26, 27)의 표면의 표면 조도보다도 거칠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형(26, 27) 및/또는 프레스구(29a, 29b)에는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26a, 27a, 29a1, 29b1)이 형성되어 있으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형(26, 27) 및/또는 프레스구(29a, 29b)가 냉각되어 있다. 따라서, 성형형(26, 27) 및/또는 프레스구(29a, 29b)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기 어렵다.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제2 성형형(27)에 의해 끼움 지지된 부분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성형형(26, 27)이, 각각, 단열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성형형(26, 27)은, 예를 들어 알루미나, 탄화규소, 규조토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세라믹스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단열재」란, 유리 평판(50)의 열전도율보다도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부재를 말하며, 구체적으로는, 열전도율이 5W/(m·K) 이하인 부재를 의미한다.
또한,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은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에 제1 성형형(26)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기 어렵다. 마찬가지로, 유리 평판(50)의 제2 성형형(27)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은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유리 평판(50)의 제2 성형형(27)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에 제2 성형형(27)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기 어렵다. 따라서, 표면 결함이 더 적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유리 평판(50) 중,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 13a)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높은 점도로 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따라서,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점도도 높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에, 프레스구(29a, 29b)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기 어렵다. 프레스구(29a, 29b)의 표면 형상이 보다 전사되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는,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점도를 1010dPa·s 이상으로 하여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 평판(50) 중,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 13a)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로 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하기 때문에, 제1 굴곡부(12a)의 두께와, 제1 평판부(12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제2 굴곡부(13a)의 두께와, 제2 평판부(13b)의 두께와, 평판부(11)의 두께를 실질적으로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한다. 즉, 유리 평판(50)을 복수회로 나누어 서서히 변형시킨다. 이로 인해, 프레스구(29a, 29b)가 유리 평판(50)에 접촉하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에, 프레스구(29a, 29b)의 표면 형상이 보다 전사되기 어렵다.
또한, 프레스구(29a, 29b)는, 탄성 변형을 나타내는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 공정에 있어서, 프레스구(29a, 29b)와 유리 평판(50)의 사이에 과잉 응력이 부가되기 어렵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에, 프레스구(29a, 29b)의 표면 형상이 보다 전사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제2 성형면(26B)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가압을 행한다.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제2 성형면(26B)에 접촉한 부분은, 제1 성형형(26)에 의해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로 되는 온도로까지 냉각된다. 본 실시 형태와 같이,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제2 성형면(26B)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가압을 행함으로써,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이 가능한 온도 영역에 있는 부분이, 조금씩 변형 후, 냉각된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이 가능한 온도 영역에 있는 부분이 장기간에 걸쳐 제1 성형형(26)에 접촉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에, 제1 성형형(26)의 표면 형상이 보다 전사되기 어렵다.
그런데, 유리 평판(50)의 단부가, 냉각된 프레스구(29a, 29b)에 접촉되면, 유리 평판(50)의 단부 온도가 저하된다. 이로 인해, 유리 평판(50)의 단부 온도는, 성형 공정 개시 직전에 있어서 가장 높아지고, 프레스 공정이 행해질 때마다, 저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어도, 유리 평판(50)의 단부 온도가 가장 높은 1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1회째의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프레스구(29a, 29b)와 유리 평판(50)의 단부 주면과의 접촉이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표면 결함이 보다 발생하기 어렵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성형형(27)의 폭 방향 치수가,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 치수보다도 작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z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가 제2 성형형(27)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제2 성형형(27)을 배치한다. 이로 인해, 변형시키려고 하는 유리 평판(50)의 단부 및 그 근방의 점도가 원하지 않게 너무 높게(온도가 원하지 않게 너무 낮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변형 시에, 유리 평판(50)의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굴곡부(12a, 13a)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로 할 수 있다.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이 가능한 점도 영역에서 효과적으로 변형시키는 관점에서는, 제2 성형면(26B)의 상방(z1측)에는 제2 성형형(27)을 배치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성형면(26B)의 상방에 제2 성형형(27)을 배치하지 않으면, 유리 평판(50)의 제1 성형형(26)과 접촉하는 면에, 제1 성형형(26)의 형 자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을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르게 복수회 프레스 공정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26A)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이전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다음의 프레스 공정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프레스구(29a, 29b)의 가압 방향이, 유리 평판(50)의 단부 표면의 수선 방향과 평행하게 가까워진다. 따라서,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가압 시에, 프레스구(29a, 29b)가 유리 평판(50)의 단부 표면 위를 미끄럼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따라서, 찰상이 발생하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변형시킬 때,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점도를, 유리 평판(50)의 단부의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 영역으로 한 상태에서 성형 공정을 행함으로써, 유리 평판(50)의 단부가 원하지 않게 변형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높은 형상 정밀도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성형 공정의 후에 있어서, 성형된 유리 평판(50)의 단부면 이외의 표면을 연마하는 공정을 반드시 행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적은 제조 공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크랙이 적은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평판부(11)의 형상 정밀도를 높이는 관점에서는, 유리 평판(50) 중, 제1 성형형(26)과 접하고 있는 부분이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로 되도록 제1 성형형(26)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중앙부를 냉각하면서 성형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30)가 설치되어 있어도, 유리 평판(50)의 중앙부가 소성 변형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충 부재(30)의 표면 형상이 전사되기 어렵다.
또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의 형상 정밀도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한 번에 변형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구(29a, 29b)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서서히 변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 이전 프레스 공정에 의해 변형된 부분은, 제1 성형형(26)과 접촉하고, 소성 변형 불가능한 점도로 될 때까지 냉각된다. 따라서, 이전 프레스 공정에 의해 변형된 부분이, 이후 프레스 공정에 의해 원하지 않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형상 정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프레스 공정에는,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프레스구(29a, 29b)에 의해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제1 성형면(26A)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프레스 공정은,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유리 평판(50)의 단부 가압 방향이,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부터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근접하도록, 가압 방향을 변화시켜서 행해진다. 따라서, 프레스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단부를,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스구(29a, 29b)로부터의 가압력을 유리 평판(50)에 적합하게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더 우수한 형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프레스구(29a, 29b)를 냉각하면서 성형 공정을 행한다. 따라서, 유리 평판(50)의 프레스구(29a, 29b)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촉한 부분의 온도가 낮아지고, 점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당해 부분이 원하지 않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더욱 우수한 형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2 성형형(27)의 폭 방향 치수를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 치수보다도 작게 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제1 성형형(26)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를 제2 성형형(27)으로부터 노출시킴으로써, 성형 공정에 있어서, 유리 평판(50)의 단부가 보다 굴곡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더욱 우수한 형상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다. 보다 우수한 형상 정밀도를 실현하는 관점에서는, 제2 성형면(26B)의 상방에 제2 성형형(27)이 위치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스구(29a, 29b)가 연장되는 방향은, 유리 평판(5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과 평행하다. 단, 본 발명은 이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프레스구(29a, 29b)가 연장되는 방향은, 유리 평판(50)의 깊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에 대하여 평행하지 않아도 된다.
도 28은, 변형예에 따른 제조 장치(2a)의 모식적 평면도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 장치(2a)는 제조 장치(2)와 마찬가지로, 예열실(21)과, 성형실(22)과, 서냉실(23)을 구비하고 있다. 제조 장치(2a)에서는, 예열실(21)이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서, 예열대(24)의 위에 배치된 유리 평판(50)(도 28에 있어서는 도시생략)이 반송되면서 유리 평판(50)의 예열이 행해진다. 성형실(22)은 원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성형실(22)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제1 및 제2 성형형(26, 27)의 성형형 쌍(60)이 복수 설치되어 있으며, 그들 성형형 쌍(60)이 원형으로 설치된 성형실(22) 내를 둘레 방향(화살표 방향)을 따라서 회전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유리 평판(50)이 배치된 성형형 쌍(60)이 성형실(22)의 어떤 특정한 위치에 달했을 때 프레스구(29a, 29b)에 의한 가압이 행해지고, 유리 평판(50)이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에 성형된다. 성형된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1)는 서냉실(23)의 서냉대(31)로 옮겨져서, 왜곡이 제거된다.
1: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
2, 2a: 제조 장치
11: 평판부
12: 제1 측면부
12a: 제1 굴곡부
12b: 제1 평판부
13: 제2 측면부
13a: 제2 굴곡부
13b: 제2 평판부
20: 장치 본체
21: 예열실
22: 성형실
23: 서냉실
24: 예열대
24a: 플런저
25, 28, 34: 히터
26: 제1 성형형
26A: 제1 성형면
26B: 제2 성형면
26C: 제3 성형면
26a, 27a, 29a1, 29b1: 관통 구멍
26b: 플런저
27: 제2 성형형
29a, 29b: 프레스구
29c: 프레스구 구동 기구
30: 완충 부재
31: 서냉대
31a: 플런저
32a, 32b: 이동구
33: 이동구 구동 기구
50: 유리 평판
60: 성형형 쌍

Claims (35)

  1.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성형형의 위에,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킬 때, 상기 유리 평판 중, 커버 유리의 굴곡부에 상당하는 부분을,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로 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 공정을 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3.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제1 성형형의 위에,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상기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복수회 가압함으로써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키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은, 상기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상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상기 프레스구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의 상기 제2 성형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가압을 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은, 상기 프레스구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레스 공정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은,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상기 프레스구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상기 제1 성형면의 수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프레스구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에서의 적어도 상기 프레스구에 의한 1회째의 가압 시에 있어서는, 상기 프레스구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의 후에, 상기 변형된 유리 평판을, 상기 유리 평판의 변형점 이상의 온도로까지 가열하는 열처리 공정을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의 위에 제2 성형형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성형형과 상기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 공정을 행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상기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성형형을 배치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0.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유리 평판을,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는 성형형의 위에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는 공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한 상태에서,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고, 상기 커버 유리를 얻는 성형 공정
    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성형형의 위에 제2 성형형을 배치하고, 상기 제1 성형형과 상기 제2 성형형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 공정을 행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상기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제2 성형형을 배치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은, 상기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상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상기 제2 성형면의 상방에는 상기 제2 성형형을 배치하지 않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사이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성형 공정을 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의 상기 유리 평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스구를 사용하여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를 냉각하면서 상기 프레스구에 의한 상기 유리 평판의 프레스를 행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를 금속에 의해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평판 중, 상기 제1 성형형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하고 있는 부분은 소성 변형 불가능한 한편, 상기 제1 성형형과 접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소성 변형 및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제1 성형형의 온도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상기 유리 평판 중, 상기 제1 성형형과 접하고 있는 부분의 온도가 상기 유리 평판의 연화점보다도 낮아지도록 상기 제1 성형형의 온도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평판으로서, 30℃∼380℃에서의 선 열팽창 계수가 105×10-7/℃ 이하인 유리 평판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20.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이며,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고,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이 적재되는 제1 성형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하는 가열 기구와,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구와,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유리 평판 중, 커버 유리의 굴곡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소성 변형과 탄성 변형이 발생하는 점도일 때, 상기 프레스구에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복수회 가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2.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이며,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고,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이 적재되는 제1 성형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하는 가열 기구와,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구와,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구동 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기구는, 프레스구에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복수회 가압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은, 상기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상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프레스구를 사용한 가압이 행해질 때마다,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의 상기 제2 성형면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커지도록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4. 제2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프레스구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이 서로 다른 복수의 프레스 공정이 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과,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의 후에 행해지고, 상기 프레스구에 의해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는 방향과 상기 제1 성형면의 수선이 이루는 각의 크기가 상기 하나의 프레스 공정보다도 커지도록 상기 프레스구에 의한 가압을 행하는 다른 프레스 공정이 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6. 제21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는, 상기 프레스구에 의한 1회째의 가압 시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가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의 선단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프레스구를 구동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7. 제20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성형형과 함께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성형형을 더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상기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8. 평판부와, 상기 평판부에 접속된 굴곡부를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이며,
    평면 형상의 제1 성형면을 갖고, 유리 평판의 중앙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위치하고, 단부가 상기 제1 성형면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유리 평판이 적재되는 제1 성형형과,
    상기 유리 평판의 적어도 단부를 가열하는 가열 기구와,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가압하고, 상기 유리 평판의 단부를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굴곡부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스구와,
    상기 제1 성형형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성형형과 함께 상기 유리 평판의 중앙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성형형
    을 구비하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1 성형형의 단부가 상기 제2 성형형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29. 제27항 또는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은, 상기 제1 성형면에 이어져 있으며, 상기 굴곡부의 내면에 의거한 곡면 형상의 제2 성형면을 갖고,
    상기 제2 성형면의 상방에는 상기 제2 성형형이 위치하고 있지 않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0. 제20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의 적어도 상기 제1 성형면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1. 제20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의 상기 유리 평판과 접촉하는 부분의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두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완충 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2. 제30항 또는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 부재는, 직포 및 부직포 중 적어도 한쪽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3. 제20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는,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4. 제20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구는, 금속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35. 제20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성형형은, 냉매가 공급되는 관통 구멍을 갖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KR1020157011225A 2012-11-07 2013-10-15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KR201500822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45754 2012-11-07
JP2012245754 2012-11-07
JPJP-P-2012-277820 2012-12-20
JP2012277820 2012-12-20
JP2013213647A JP2014139122A (ja) 2012-11-07 2013-10-11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装置
JPJP-P-2013-213647 2013-10-11
PCT/JP2013/077980 WO2014073335A1 (ja) 2012-11-07 2013-10-15 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の製造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253A true KR20150082253A (ko) 2015-07-15

Family

ID=5068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1225A KR20150082253A (ko) 2012-11-07 2013-10-15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50274572A1 (ko)
EP (1) EP2918556A4 (ko)
JP (1) JP2014139122A (ko)
KR (1) KR20150082253A (ko)
CN (1) CN104768887A (ko)
TW (1) TW201422542A (ko)
WO (1) WO20140733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5166B1 (ja) * 2012-06-14 2014-03-05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ガラス板
KR20160006719A (ko) * 2013-05-07 2016-01-19 코닝 인코포레이티드 형성된 유리 물품 성형 공정 및 그 기기
KR20150001964A (ko) * 2013-06-28 2015-0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글래스 성형 장치
CN104754897A (zh) * 2013-12-26 2015-07-01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移动终端壳体及其制造方法
KR101697158B1 (ko) * 2014-12-19 201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글래스 곡면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글래스 곡면 성형방법
JP6742593B2 (ja) * 2015-01-05 2020-08-19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支持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20170006900A (ko) * 2015-07-10 2017-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KR102432352B1 (ko) * 2015-08-31 2022-08-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용 글래스 성형 장치 및 윈도우를 갖는 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US11419231B1 (en) 2016-09-22 2022-08-16 Apple Inc. Forming glass covers for electronic devices
US10800141B2 (en) 2016-09-23 2020-10-1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a glass component with crack hindering internal stress regions
US11565506B2 (en) 2016-09-23 2023-01-31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35551B2 (en) * 2016-09-23 2022-12-27 Apple Inc. Thermoformed cover glass for an electronic device
WO2018199402A1 (ko) * 2017-04-24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곡면 글라스의 제조 방법
EP3625179A1 (en) * 2017-05-15 2020-03-25 Corning Incorporated Contoured glass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US11065960B2 (en) 2017-09-13 2021-07-20 Corning Incorporated Curved vehicle displays
WO2019223097A1 (zh) * 2018-05-25 2019-11-2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102585391B1 (ko) * 2018-07-25 2023-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버 글래스, 이의 제조 방법, 및 커버 글래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11420900B2 (en) 2018-09-26 2022-08-23 Apple Inc. Localized control of bulk material properties
US11680010B2 (en) 2019-07-09 2023-06-20 Apple Inc. Evaluation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electronic devices
FR3103808B1 (fr) * 2019-12-03 2022-05-27 Saint Gobain Outil de refroidissement local
CN113453458B (zh) 2020-03-28 2023-01-31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壳体的玻璃覆盖构件
US11460892B2 (en) * 2020-03-28 2022-10-04 Apple Inc. Glass cover member for an electronic device enclosure
US11666273B2 (en) 2020-05-20 2023-06-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enclosure including a glass ceramic region
US11945048B2 (en) 2020-12-23 2024-04-02 Apple Inc. Laser-based cutting of transparent components for an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01603A (en) * 1983-03-30 1985-02-26 Ppg Indust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ping glass sheets to complicated shapes
JPS61227932A (ja) * 1985-04-02 1986-10-11 Nippon Sheet Glass Co Ltd ガラス製品の成形方法
JPS6321229A (ja) * 1986-07-11 1988-01-28 Nippon Kiden Kogyo Kk ガラス板の屈曲方法及び屈曲装置
FR2660920B1 (fr) * 1990-04-13 1993-07-16 Saint Gobain Vitrage Int Dispositif et support et de bombage de feuilles de verre et application a la production vitrages bombes-trempes.
JPH11302023A (ja) * 1998-04-22 1999-11-0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中空硝子製品成形用プランジャー
KR19990068730A (ko) * 1999-06-15 1999-09-06 성필호 평판디스플레이의커버그라스
ATE526294T1 (de) * 2003-10-28 2011-10-15 Schott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glasformteiles mit mindestens einem abgewinkelten schenkel
FR2877257B1 (fr) * 2004-10-29 2008-10-17 Crea Diffusion Sarl Procede et dispositif de pliage d'une plaque en materiau synthetique charge de trihydrate d'alumine
JP4962898B2 (ja) * 2006-08-30 2012-06-2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
US20100050694A1 (en) * 2006-11-02 2010-03-04 Saint-Gobain Glass France Bending of glass by heated or cooled form
JP5292994B2 (ja) * 2008-08-21 2013-09-18 株式会社ニコン 石英ガラス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US8281619B2 (en) * 2009-05-29 2012-10-09 Corning Incorporated Stack progressive pressing for making shaped articles
JP2010009061A (ja) * 2009-10-06 2010-01-14 Asahi Glass Co Ltd ディスプレイ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KR101206328B1 (ko) * 2010-02-22 2012-12-04 (주)대호테크 일측 또는 양측에 곡면부를 갖는 핸드폰용 커버글래스 성형장치
TWI499564B (zh) * 2010-08-30 2015-09-11 Corning Inc 用於塑形玻璃基材的設備及方法
JP5605176B2 (ja) * 2010-11-10 2014-10-15 旭硝子株式会社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カバー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68887A (zh) 2015-07-08
JP2014139122A (ja) 2014-07-31
EP2918556A1 (en) 2015-09-16
US20150274572A1 (en) 2015-10-01
EP2918556A4 (en) 2016-10-05
WO2014073335A1 (ja) 2014-05-15
TW201422542A (zh) 2014-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82253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KR20150082252A (ko)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방법 및 디스플레이용 커버 유리의 제조 장치
US10252930B2 (en) Bent glass plate for optical us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5510693B1 (ja) 屈曲部を有する強化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屈曲部を有する強化ガラス板
KR102154886B1 (ko) 곡면 형상을 갖는 유리판의 제조 방법 및 곡면 형상을 갖는 유리판
CN104860514B (zh) 一种用于弯曲玻璃热弯的生产工艺
KR20150000611A (ko) 입체 유리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160063293A (ko) 판유리의 성형 방법, 및 성형틀
JP2007230241A (ja) プレス成形方法
JP5845496B1 (ja) 板ガラスの曲げ成形装置及び曲げ成形方法
KR101638579B1 (ko) 유리기판 성형 장치
KR101778232B1 (ko) 성형 장치
JP2005231960A (ja) プレス成形装置、プレス成形方法及び成形品
JP6622545B2 (ja) ガラス成形装置及びガラス成形方法
CN115246705B (zh) 显示装置及3d曲面玻璃加工方法
JP4327974B2 (ja) 光学ガラス素子の成形方法
KR102147345B1 (ko) 유리기판의 엣지용 성형장치
JP2007112010A (ja) 熱可塑性素材の成形方法及び装置
KR20220146121A (ko)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및 굴곡부를 갖는 유리 기판
WO2015111180A1 (ja) ガラス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