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8897A -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8897A
KR20150078897A KR1020130168735A KR20130168735A KR20150078897A KR 20150078897 A KR20150078897 A KR 20150078897A KR 1020130168735 A KR1020130168735 A KR 1020130168735A KR 20130168735 A KR20130168735 A KR 20130168735A KR 20150078897 A KR20150078897 A KR 20150078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cyanide
copolymer
aromatic vinyl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8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1142B1 (ko
Inventor
채경하
임민영
권영철
박강열
김보은
장주현
허재원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8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1142B1/ko
Priority to US14/566,802 priority patent/US9353253B2/en
Priority to EP14200004.1A priority patent/EP2889329B1/en
Publication of KR2015007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1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11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 C08F255/08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F255/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ydrocarbons as defined in group C08F10/00 on to polymers of olefi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on to but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7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 C08F27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monomers having two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as defined in group C08F36/00 on to polymers of conjugated dienes
    • C08F279/06Vinyl aromatic monomers and methacrylates as the only mon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containing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4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08L2205/03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containing four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리콘화합물이 그라프트된 방향족-비닐 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 등의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키고 저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어,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본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내장재용으로 적합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는 부타디엔의 내충격성, 스티렌의 가공성, 성형성, 착색성과 아크릴로니트릴의 강성, 내화학성 등의 물성과 미려한 외관 특성으로 인하여 자동차, 전기전자, 사무기기, 가전제품, 완구류, 문구류 등 다양한 용도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ABS 수지는 대부분 광택이 있으며, 고광택 또는 중급 범위의 표면광택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최근 들어 사용자들의 감성 품질 요구 수준이 높아지면서 분위기 있는 연출 및 눈부심 방지를 위하여 저광택 및 무광택 수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무광도장이나 패드를 씌우는 공정을 생략하고 무광택 수지를 직접 사용하고 하는 추세이다.
종래에는 특정 고무질 성분을 첨가하거나 개질하여 적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저광택 효과가 미미하며, 충격강도 및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ABS 중합체에 에틸렌-불포화 카르복실산과 같은 단량체를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하는 방법을 적용했을 때 제반 물성은 양호했으나 내열성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29539호(특허문헌 1)에는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수지를 무광택제로 사용한 스티렌계 수지조성물에 관하여 개시하고 있다.
무광택제로 입체구조가 신디오탁틱 구조, 즉, 탄소-탄소 결합으로 형성되는 주 가지에 대하여 곁가지인 페닐기나 치환페닐기가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입체구조를 갖는 것으로 종래 무정형 폴리스티렌과 달리 결정성을 갖는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목적하는 저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으나, 유동성이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는 문제 및 외관에 결함이 두드러지게 발생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0029539호 (2009.03.2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향상된 내스크래치성 뿐만 아니라, 무광/저광 특성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리콘화합물이 그라프트된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무광 및 저광 특성의 구현이 가능하고,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로부터, 내스크래치성, 마스크래치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저광 및 무광 특성을 구현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아크릴계 수지; 및 (C)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은 (D)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0 ~ 40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0 내지 50 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5 ~ 30 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20 ~ 5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C)는 실리콘계 화합물 함량이 0.01 내지 5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C)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g/mol이고, 220℃에서 10kg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ing Index)는 4 내지 8 g/10min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는 고무질 중합체 30 ~ 70 중량%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의 혼합물 30 ~ 70 중량%를 유화중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아크릴계 수지(B)는 상기 아크릴계 수지(C)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g/mol이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및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술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H ≤ hardness ≤ 7H [식 1]
13 ≤ IZOD ≤ 30 [식 2]
50 ≤ Gloss ≤ 90 [식 3]
(상기 식 1에서 hardness는 JIS K5401 규격에 따른 연필경도이며, 상기 식 2에서 IZOD는 ASTM D256 규격에 따른 IZOD 충격강도(kgf·cm/cm)이며, 상기 식 3에서 Gloss는 ASTM D523 규격에 따른 광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및 마스크래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저광 및 무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을 조절함에 따라 표면 광택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가공성 및 저광/무광 특성이 동시에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재 등에 적용되어 우수한 표면 및 물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내스크래치성 및 저광/무광 특성 구현이 가능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아크릴계 수지 및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함으로써, 놀랍게도 우수한 내스크래치성, 마스크래치성 및 충격강도를 나타내는 동시에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 조절에 따라 저광 및 무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아크릴계 수지, (C)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및 (D)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충격강도, 내스크래치성 및 외관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코어(core)가 고무질 중합체이고, 쉘(shell)이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코어-쉘 형태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이는 고무질 중합체,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혼합물을 그라프트 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방법은 당해 기술분야에 자명하게 공지된 방법이면 제한되지 않으며, 괴상중합, 현탁중합 및 유화중합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무질 중합체 30 ~ 70중량% 존재 하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의 혼합물 30 ~ 70중량%를 유화중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하여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평균입경이 0.1 ~ 1.0㎛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입경이 0.2 ~ 0.6㎛일 때 내충격성 및 상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평균입경이 0.1㎛ 미만일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은 다소 상승하지만 저온 충격강도가 현저히 감소될 우려가 있으며, 1.0㎛ 초과일 경우에는 목적하는 충격강도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무질 중합체는 폴리부타디엔 고무, 아크릴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폴리이소프렌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삼원 공중합체(EPDM) 및 폴리오가노실록산/폴리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복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폴리부타디엔 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스티렌, C1-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 스티렌이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은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10 내지 4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15 내지 30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이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열가소성 수지의 상용성이 감소하여 충격강도가 저하될 수 있으며, 4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동성이 감소하여 성형가공성이 나빠질 우려가 있다.
(B) 아크릴계 수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계 수지는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와 부분 상용성을 나타냄으로써, 수지 내의 내화학성 및 충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50,000~300,000g/mol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70,000~18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와 상용성이 우수하여 효과적으로 충격강도 및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수지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뛰어난 성형 가공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높은 유동성으로 사출 성형 시 낮은 온도에서 녹아 다른 성분보다 우선적으로 반죽영역(kneading zone)에 위치하여 코팅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안료를 포함한 각종 성분들은 스트레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는 점차 소형화, 박막화 되어 가는 조명 표시 소자들의 각종 부품 제조시 우수한 표면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수지의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른 성분과의 상용성 및 가공시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어 성형성 및 표면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C1-C14)알킬기를 함유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60 내지 99 중량%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내충격성 및 성형 가공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함량이 60중량% 미만이면 고온에서 아크릴계 수지가 분해될 수 있으며, 99중량% 초과이면 유동성 및 내충격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상기 제시되는 단량체들을 용매 및 중합개시제를 이용하여 통상의 괴상, 유화 또는 현탁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용매로는 메탄올, 테트라히드로퓨란,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플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틸세로솔브아세테이트, 에틸세로솔브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개시제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 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아크릴계 수지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30 내지 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유동성,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의 조화가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3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에 따른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50 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 가공성이 감소할 수 있다.
(C)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내스크래치성 및 저광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C1)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C2)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및 (C3)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C1)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은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60 내지 79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충격강도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2)시안화 비닐계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 α-클로로아크릴로니트릴, 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은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0 내지 39중량%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은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과의 중량 혼합비(방향족 비닐계 : 시안화 비닐계)가 바람직하게는 7 : 3 내지 9 : 1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 및 성형 가공성의 저하 없이 내스크래치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C3)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제반물성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저광 특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2 이상의 불포화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어도 1종 이상의 혼합물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l, mn 은 각각 0 내지 100의 정수(단, 동시에 0은 아님)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30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3 내지 C3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의 헤테로아릴기, 수산기, 알콕시기, 아미노기, 에폭시기,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이소시아네이트기, 또는 메르캅토기이고, 상기 R1 내지 R8 중 적어도 두 개는 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포함하며, 상기 화합물은 선형 또는 고리모양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에 있어서,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9 내지 R14는 서로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2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2 내지 C20 알케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20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며, R15 내지 R17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6의 알킬기이며, p는 1 내지 6의 정수이다.
상기 두 개 이상의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예를 들어,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 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1,3,5-트리에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1,3,5,7-테트라에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1,3,5,7,9-펜타에틸-시클로펜타실록산, 1,1,3,3,5,5-헥사이소프로필-시클로트리실록산, 1,1,3,3,5,5,7,7-옥타이소프로필-시클로테트라실록산, 1,1,3,3,5,5,7,7,9,9-데카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1,3,5-트리에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1,3,5,7-테트라에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1,3,5,7,9-펜타에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이소프로필-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이소프로필-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이소프로필-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 sec-부틸-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 sec-부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 sec-부틸-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1,3,5-트리메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메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1,3,5-트리에틸-1,3,5-트리비닐-시클로트리실록산, 1,3,5,7-테트라에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 1,3,5,7,9-펜타에틸-1,3,5,7,9-펜타비닐-시클로펜타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단독 또는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종래의 가교제로 달성하기 어려운 저광 특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제반 물성을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의 가교제에 비하여 가교도 및 중합 반응속도 제어가 용이하다.
상기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50 내지 6,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하면 가교도 제어가 용이하고 가교반응이 원활히 진행되어 우수한 저광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은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한 단량체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내스크래치성 및 저광특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상술한 단량체 혼합물을 현탁중합, 유화중합, 용액중합 등의 통상의 중합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공중합체 제조방법의 일 양태로, 현탁중합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내스크래치성 및 저광특성의 적절한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220℃에서 10kg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ing Index)가 4 내지 8 g/10min 범위 일 수 있다. 상기 범위 일 때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며, 저광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전체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5 내지 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유동성, 충격강도, 저광 특성 및 내스크래치성의 조화가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D)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조성물 내 다른 성분과의 조합으로 충격강도 및 성형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은 70 : 30 내지 90 : 10 중량비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75 : 25 내지 85 : 1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충격강도 및 유동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로는 스티렌, C1 내지 C10의 알킬 치환 스티렌, 할로겐 치환 스티렌, 비닐 톨루엔, 비닐 나프탈렌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알킬 치환 스티렌의 구체적인 예로는 α-메틸 스티렌, p-메틸 스티렌, o-에틸 스티렌, m-에틸 스티렌, p-에틸 스티렌, p-t-부틸 스티렌, 2,4-디메틸 스티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에타크릴로니트릴, 페닐아크릴로니트릴,푸마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또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선택적으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가공성 및 내열성 등과 같은 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C1~C4-알킬 메타크릴레이트, 페닐 아크릴레이트, 페닐 메타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아크릴레이트, 2-페닐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2-페녹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의 방향족 에스테르, N-메틸-, N-페닐 및 N-사이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N-치환된 말레이미드,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및 이들의 무수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및 디카르복실산, 디메틸아미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비닐이미다졸, 비닐피롤리돈, 비닐카프롤락탐, 비닐카르바졸, 비닐아닐린, 아크릴아미드 및 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질소-작용성 단량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00 내지 180,000g/mol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120,000 내지 160,000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충격강도 및 가공성의 적절한 밸런스가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는 전체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20 내지 50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됨으로써, 유동성,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의 조화가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의 함량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성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으며, 50중량% 초과일 경우에는 유동성이 저하되어 성형가공성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술한 구성성분 이외에 목적하는 용도에 따라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각각의 구성성분과 첨가제를 헨셀믹서, V 블렌더, 텀블러 블렌더, 리본 블렌더 등으로 혼합하고, 이를 일축 압출기 또는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150 내지 300℃ 온도에서 용융 압출하여 펠렛상을 제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L/D=20~60, Φ=32mm, 70mm의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180~280℃온도에서, 300~600rpm의 스크류 회전 속도, 60~600kg/hr의 자가 공급 속도의 조건 하에서 압출하여 펠렛상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성형하여 제조한 성형품을 제공한다. 즉,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사출성형, 이중사출성형, 블로우 성형, 압출 성형, 열 성형 등의 여러 가지 공정에 의하여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할 수 있다.
H ≤ hardness ≤ 7H [식 1]
13 ≤ IZOD ≤ 30 [식 2]
50 ≤ Gloss ≤ 90 [식 3]
(상기 식 1에서 hardness는 JIS K5401 규격에 따른 연필경도이며, 상기 식 2에서 IZOD는 ASTM D256 규격에 따른 IZOD 충격강도(kgf·cm/cm)이며, 상기 식 3에서 Gloss는 ASTM D523 규격에 따른 광택도이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내충격성, 내스크래치성 및 마스크래치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저광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에 따라, 이러한 특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내장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 측정
1) 아이조드 충격강도 (단위: kgf·cm/cm)
ASTM D256에 의거하여 1/8" 두께의 노치(notched)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2) 표면 광택도 (단위: G.U.)
ASTM D523 규격에 의거하여 표면 광택 측정기기(SUGA 社 UGV-6P)를 이용하여 두께 2.5㎜ 시편에 대해서 60˚ 각도에서 측정하였다.
3) 연필경도
JIS K5401 규격에 의거하여 500g의 하중으로 두께 3mm, 길이 10mm, 폭 10mm 시편의 표면에 5회씩 가하여 긁힘 정도를 육안으로 판정하였으며, 연필 긁힘 표시가 2회 이상 발생시 연필경도 등급 4B ~ 7H까지 판정하였다.
4) 마스크래치
1축 내마모시험기기를 사용하여, 축에 극세사 천을 부착하여 시편 표면에서 왕복거리 5cm, 분당 60회 조건으로 20회 반복하여, 스크래치 발생 유무를 확인하였다. 시편 표면의 스크래치 발생의 정도를 상대 비교 평가하여, 스크래치가 적게 발생한 순서대로 순위를 결정하였다.
5) Ball type scratch profile (단위 : ㎛)
시편의 표면에 지름이 0.7mm인 구형금속팁으로 1000g의 하중, 75mm/min의 속도로 스크래치를 발생시켰으며, 지름이 2㎛인 금속 스타일러스 팁을 가지는 Ambio사의 접촉식 표면 프로파일 분석기를 사용하여 스크래치 범위 내 스크래치 깊이를 측정하였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평균입경이 0.26㎛인 부타디엔 고무 58중량%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을 유화 그라프트 중합한 코어-쉘 형태를 갖는 g-ABS 수지를 사용하였다.
(B) 아크릴계 수지
중량평균분자량이 105,000g/mol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상품명:PM-7200,제일모직 社)을 사용하였다.
(C)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스티렌 79중량%, 아크릴로니트릴 30중량% 및 1,3,5,7-테트라메틸-1,3,5,7-테트라비닐-시클로테트라실록산(SKC 社, 밀도: 0.98g/ml(20℃), 제품명: Vinyl D-4, 분자량: 344.7g/mol) 1중량%로부터 공중합된 중량평균분자량이 155,000g/mol인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D)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 20중량% 및 스티렌 80중량%로부터 공중합된 중량평균 분자량이 153,000g/mol인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5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45 중량%를 혼합하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제조한 후, 통상의 혼합기에서 혼합한 혼합물을 L/D=35, Φ=45㎜인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사출성형하기 전에 80℃의 제습 건조기에서 2시간 건조한 후 사출온도 230℃에서 10oz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을 위한 시편을 제조하였다. 측정된 물성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10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40 중량%를 혼합하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15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35 중량%를 혼합하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20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30 중량%를 혼합하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를 사용하지 않고,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50 중량%를 혼합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5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5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3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47 중량%를 혼합하여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3
[표 2]
Figure pat00004
상기 표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는 비교예들과 비교할 때 우수한 충격강도, 광택도 및 마스크래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최적의 함량으로 포함함에 따라, 유동성을 저해하지 않으면,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향상시키고, 수지 내에 존재하는 가교된 실리콘이 시편 표면에 요철(roughness)을 만들어 난반사를 유도함으로써 목적하는 저광특성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은 실리콘화합물이 그라프트된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내충격성 및 광택도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비교예 2는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의 최적의 함량 범위를 벗어났을 때 충격강도 및 내스크래치 특성이 저하되고, 광택도가 증가하여 저광 특성이 미미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며, 저광택 특성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한정된 실시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A)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B) 아크릴계 수지; 및
    (C)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은 (D)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조성물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 10 ~ 40 중량%, 아크릴계 수지(B) 30 내지 50 중량%,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 5 ~ 30 중량% 및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 20 ~ 50 중량%를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는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및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된 것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는 불포화기를 함유하는 실리콘계 화합물 함량이 0.1 내지 5중량%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함유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C)는 중량평균분자량이 130,000 내지 180,000g/mol이고, 220℃에서 10kg으로 측정한 용융흐름지수(Melting Index)는 4 내지 8 g/10min 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A)는 고무질 중합체 30 ~ 70 중량%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 및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의 혼합물 30 ~ 70 중량%를 유화중합법으로 그라프트 중합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그라프트 공중합체(g-ABS)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수지(B)는 중량평균분자량이 50,000 내지 300,000g/mol이며,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n-펜틸아크릴레이트, 비닐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단량체의 중합체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시안화 비닐계 공중합체(D)는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및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은 항균제,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이형제, 광안정제, 무기물 첨가제, 계면활성제, 커플링제, 가소제, 상용화제, 활제, 정전기방지제, 착색제, 안료, 염료, 난연제, 난연보조제, 적하방지제, 내후제,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차단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12.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하기 식 1 내지 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H ≤ hardness ≤ 7H [식 1]
    13 ≤ IZOD ≤ 30 [식 2]
    50 ≤ Gloss ≤ 90 [식 3]
    (상기 식 1에서 hardness는 JIS K5401 규격에 따른 연필경도이며, 상기 식 2에서 IZOD는 ASTM D256 규격에 따른 IZOD 충격강도(kgf·cm/cm)이며, 상기 식 3에서 Gloss는 ASTM D523 규격에 따른 광택도이다.)
KR1020130168735A 2013-12-31 2013-12-31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31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35A KR101731142B1 (ko) 2013-12-31 2013-12-31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14/566,802 US9353253B2 (en) 2013-12-31 2014-12-11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EP14200004.1A EP2889329B1 (en) 2013-12-31 2014-12-23 Low gloss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8735A KR101731142B1 (ko) 2013-12-31 2013-12-31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8897A true KR20150078897A (ko) 2015-07-08
KR101731142B1 KR101731142B1 (ko) 2017-05-11

Family

ID=52144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8735A KR101731142B1 (ko) 2013-12-31 2013-12-31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353253B2 (ko)
EP (1) EP2889329B1 (ko)
KR (1) KR10173114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281A1 (ko) * 2015-08-31 2017-03-09 롯데첨단소재(주) 종이 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20170080174A (ko) * 2015-12-31 2017-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8216969A1 (ko) 2017-05-22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23215A (ko) 2017-08-28 2019-03-08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1907A (ko) 2018-04-19 2019-10-29 (주)엘지하우시스 표면에 방사형 굴곡 구조를 갖는 저광택 경화물
WO2020134844A1 (zh) * 2018-12-27 2020-07-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聚苯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6740B1 (ko) * 2015-11-30 2018-12-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CN110437574A (zh) * 2018-05-02 2019-11-12 温州酷乐餐桌用品有限公司 一种食品接触用abs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103B1 (ko) 2007-09-18 2010-12-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저광택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저광택시트 및 복합물
KR101020054B1 (ko) 2008-08-19 2011-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형성 및 착색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735490B2 (en) * 2009-12-30 2014-05-27 Cheil Industries Inc.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properties
JP5950627B2 (ja) 2012-03-05 2016-07-13 日本エイアンドエル株式会社 ゴム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樹脂成形品
KR20140092485A (ko) * 2012-12-28 2014-07-24 제일모직주식회사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20150047991A (ko) 2013-10-25 2015-05-06 제일모직주식회사 착색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EP2881408B1 (en) * 2013-12-04 2017-09-20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Styrene-based copolymer an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39281A1 (ko) * 2015-08-31 2017-03-09 롯데첨단소재(주) 종이 질감을 갖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US10899921B2 (en) 2015-08-31 2021-01-26 Lotte Advanced Materials C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paper texture, and molded product formed therefrom
KR20170080174A (ko) * 2015-12-31 2017-07-10 롯데첨단소재(주)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WO2018216969A1 (ko) 2017-05-22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27922A (ko) 2017-05-22 2018-11-30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18404A (ko) 2017-05-22 2021-02-17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572466B2 (en) 2017-05-22 2023-02-07 Lg Hausys, Ltd. Low-gloss cured product having excellent stai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190023215A (ko) 2017-08-28 2019-03-08 (주)엘지하우시스 내오염성이 우수한 저광택 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21907A (ko) 2018-04-19 2019-10-29 (주)엘지하우시스 표면에 방사형 굴곡 구조를 갖는 저광택 경화물
WO2020134844A1 (zh) * 2018-12-27 2020-07-02 金发科技股份有限公司 聚苯乙烯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353253B2 (en) 2016-05-31
EP2889329B1 (en) 2016-11-30
EP2889329A1 (en) 2015-07-01
US20150183974A1 (en) 2015-07-02
KR101731142B1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1142B1 (ko) 내스크래치성이 향상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332432B1 (ko) 스티렌계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US8735490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and melt flow properties
US8546469B2 (en) Glass fiber-reinforc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US11958965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US10035907B2 (en) Transparent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CN101506300B (zh) 具有优异的冲击强度和流动性的透明abs树脂组合物
KR20150114239A (ko) 내열성 및 착색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JP201850792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成形品
US10066038B2 (en) Polycarbonate-base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product using same
JP5930964B2 (ja) 耐スクラッチ性が向上した耐衝撃性メチルメタクリレート樹脂組成物
KR10223250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9856371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low-gloss molded article made therefrom
KR20110079489A (ko) 충격성과 유동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20090073702A (ko) 내스크래치성과 착색성이 우수한 고내후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20080062201A (ko) 우수한 저광택성과 물성을 갖는 방향족 비닐계 열가소성수지 조성물
KR102457383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50137558A (ko) 내열성 및 내크래치성이 향상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240322B1 (ko) 내후성이 우수한 저광택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177177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저광택성을 가지는 성형품
JP6246149B2 (ja) 射出成形体
JP7193400B2 (ja) メタ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の成形体
JP7123715B2 (ja) 成形体
US10023734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from
KR20230081213A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