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499A -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499A
KR20150077499A KR1020130164909A KR20130164909A KR20150077499A KR 20150077499 A KR20150077499 A KR 20150077499A KR 1020130164909 A KR1020130164909 A KR 1020130164909A KR 20130164909 A KR20130164909 A KR 20130164909A KR 20150077499 A KR20150077499 A KR 201500774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conveying
unit
peeling
bump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1032B1 (ko
Inventor
양준호
안부연
심종우
이동준
조희욱
홍병권
구홍모
권오욱
최홍열
이형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삼일폴리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삼일폴리머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032B1/ko
Publication of KR20150077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물의 도막 및 도금 피막을 박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박리 대상물들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경로 중에 설치되며, 박리 대상물들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리 챔버와, ⅱ)박리 챔버의 외측에 설치되며, 박리 대상물의 피막을 박리시키는 매개체를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 공급유닛과, ⅲ)박리 챔버에 장착되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매개체를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박리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는 매개체 분사유닛과, ⅳ)박리 챔버의 하부와 매개체 공급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매개체 분사유닛을 통해 박리 대상물로 분사된 매개체를 포집하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 순환시키는 매개체 순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DEVICE FOR STRIPPING COATING THICKNESS AND PLATING FILM OF AUTOMOTIVE BUMPER COV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리싸이클(Recycling)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범퍼 커버의 재활용을 위해 범퍼 커버에 입혀진 도장막을 박리시킬 수 있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문제나 자원 재활용 문제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수지 제품의 재활용(당 업계에서는 통상 "리싸이클(Recycling)" 이라고도 하며, 이하에서도 편의상 리싸이클 이라고 한다)이 활발하게 도모되고 있다.
일 예로서 자동차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범퍼 커버나 사이드 몰딩류 등의 수지 제품을 제조할 때 발생하는 공정 불량품이나 폐 자동차로부터 분리 및 회수되는 수지 제품을 리싸이클하는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범퍼 커버나 사이드 몰딩류 등의 수지 제품은 외관 및 품질 향상을 위해 제품의 표면에 도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범퍼 커버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는 도장막이 형성되어 있다.
범퍼 커버의 외관 및 품질 향상을 위한 또다른 표면 처리 방법으로, 열가소성 수지 재료 위에 무기 소재 등으로 코팅 또는 도금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도장이 실시된 범퍼 커버를 리싸이클 할 때에 도막을 제거하지 않고 그대로 분쇄하여 펠렛(Pellet)화 하면 수지 제품의 소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에 도막편이 포함될 수 있다.
이렇게 도막편이 혼재되어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재활용을 위해 가공하는 경우에는 도막편이 용융된 수지의 유동성을 저해하거나, 수지 제품에 기포, 웰드(Weld) 마크 등의 성형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고, 수지 제품의 표면에 표출된 도막편이 수지 제품의 외관 품질을 손상시키는 등의 결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도막편과 베이스 수지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와의 사이에는 거의 상용(相溶)성이 없기 때문에 이 도막편이 재활용 수지의 균일된 혼련성(混煉性) 발현을 저해하게 되어 수지 제품의 기계적 물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도장 처리된 수지 제품을 리싸이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막 제거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가장 대표적인 도막제거 방법으로는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수용액을 이용한 화학적인 방법이 있다. 그러나, 도장 기술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화학적 도막제거 방법은 제거율 측면이 다시 재고되어야 할 만큼 박리 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
아울러, 물리/기계적 방법 대비 전체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며 2차의 환경오염 문제 유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전체적인 원가 측면이나 생산성 측면에서도 물리/기계적 방법에 비해 한 단계 낮은 것이 현실이다.
한편, 자동차 및 전기/전자 등 다방면의 산업계에 적용되고 있는 도금 부품의 도금제거 방법은 현재 적절한 기술접목을 통한 실제로 실현 가능한 양산 스케일의 재활용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은 특허문헌에서는 매개체를 범퍼 커버의 내측과 외측에 동시에 분사할 수 있도록 하여 박리의 효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범퍼 커버의 도막 및 도금 박리 챔버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범퍼 커버의 도막 및 도금 박리 챔버는 범퍼 커버를 챔버 케이스의 내부에 고정하고, 내측 및 외측 분사부를 통해 범퍼 커버의 내측과 외측으로 금강석 또는 쇠구슬 매개체를 공압으로 분사하여 범퍼 커버의 도막 및 도금을 박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범퍼 커버를 챔버 케이스 내부에 배치 및 고정시키므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범퍼 커버의 도막 및 도금을 박리시키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내측 및 외측 분사부를 통해 공압으로써 매개체를 범퍼 커버의 내외측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공압을 발생시키고 그 공압을 분사부에 제공하는 설비가 복잡하여 설비 투자비가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다.
더 나아가, 종래 기술에서는 매개체로서 볼(Ball) 형상의 금강석 또는 쇠구슬을 범퍼 커버의 도장막 부위로 분사하기 때문에, 매개체의 형상 특성에 의해 범퍼 커버의 도장막에 대한 매개체의 강도가 약해 도막제거를 위한 박리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061276 B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박리 대상물인 범퍼 커버를 챔버의 내부에 자동으로 배치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매개체를 범퍼 커버의 피막 부위로 분사할 수 있으며,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는, 범퍼 커버를 포함하는 박리 대상물의 도막 및 도금 피막을 박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ⅰ)상기 박리 대상물들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경로 중에 설치되며, 상기 박리 대상물들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리 챔버와, ⅱ)상기 박리 챔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박리 대상물의 피막을 박리시키는 매개체를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매개체 공급유닛과, ⅲ)상기 박리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매개체를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적어도 하나의 박리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는 매개체 분사유닛과, ⅳ)상기 박리 챔버의 하부와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에 연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을 통해 상기 박리 대상물로 분사된 매개체를 포집하며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 순환시키는 매개체 순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챔버는 상기 박리 대상물을 고정한 고정 지그를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일정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박리 챔버에는 상기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일측에 입구 도어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 출구 도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소정 직경의 금속 와이어를 컷팅한 와이어 컷팅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은 상기 박리 챔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수용하는 호퍼와, 상기 호퍼와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매개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은 상기 박리 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박리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관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노즐부재들과, 상기 각 노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매개체를 상기 박리 대상물로 분사하는 임펠러 블레이드와,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매개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부재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순환유닛은 상기 박리 챔버의 하부에 그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로 분사된 매개체를 포집하는 포집부재와, 상기 포집부재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재에 포집된 매개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와, 상기 제1 이송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와, 상기 제2 이송부와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를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포집부재와 제2 이송부를 연결하는 제1 관로부재와, 상기 제1 관로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제1 관로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부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제1 이송 스크류와, 상기 제1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송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관로부재와 상기 제3 이송부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관로부재와, 상기 제2 관로부재 내에 무한 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 벨트와, 상기 주행 벨트에 이의 주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다수 개의 버킷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행 벨트는 제2 엑츄에이터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종동 풀리에 무한 궤도 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2 관로부재와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을 연결하는 제3 관로부재와, 상기 제3 관로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제3 관로부재를 통해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스크류와, 상기 제2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엑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 스크류는 스크류의 진행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컨베이어를 통해 박리 챔버의 내부로 자동 이송되는 범퍼 커버로 매개체들을 분사하여 그 범퍼 커버에 코팅된 도막 및 도금 등의 피막을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범퍼 커버를 박리 챔버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리싸이클 시스템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범퍼 커버의 피막을 박리시키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 및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서 임펠러 블레이드를 고속 회전시켜 매개체들을 범퍼 커버 측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공압으로서 매개체들을 분사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체 박리 설비가 단순하여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와이어를 소정 크기로 컷팅한 와이어 컷팅체로서 양면을 지니고 있으며 그 양면의 가장자리에 예리한 컷팅날을 지닌 매개체들을 사용하여 범퍼 커버의 피막을 박리시킬 수 있으므로, 범퍼 커버에 대한 피막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에 적용되는 매개체 분사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에 적용되는 매개체 순환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유닛”, “...수단”, “...부”, “...부재”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하는 포괄적인 구성의 단위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정면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100)는 차량에 사용되는 수지 제품을 펠릿화 하여 재활용할 수 있게 하는 차량용 범퍼 커버의 리싸이클(재활용)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의 수지 제품은 예를 들면 차량에 사용되는 범퍼 커버, 사이드 몰딩류 등과 같이 차체에 장착되는 수지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지 제품으로서 차량에 사용되는 수지물을 예로 들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전자 분야 등과 같은 다른 산업분야의 수지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리싸이클 시스템은 불량품이나 폐차로부터 분리 및 회수된 범퍼 커버(1)의 도막이나 도금 등의 피막을 박리시키고, 이렇게 피막이 박리된 범퍼 커버(1)를 분쇄 및 압출하여 재생이 가능한 펠릿으로 생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리싸이클 시스템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피막 박리장치(100)에 의하여 박리 대상물로서 범퍼 커버(1)의 피막을 박리시키기 위해 폐 범퍼 커버(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지그(3)와, 그 고정 지그(3)를 본 장치(100)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5)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 지그(3)는 지그 프레임(4a)과, 그 지그 프레임(4a)에 수직 방향으로 직립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고정핀들(4b)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그 프레임(4a)은 컨베이어(5) 상으로 로딩되는 사각 프레임으로 구비되며, 고정핀들(4b)은 범퍼 커버(1)를 뚫으며 이를 지지할 수 있는 못 형태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5)는 범퍼 커버(1)가 고정된 고정 지그(3)를 이송시키는 것으로, 본 장치(100)를 경유하는 이송 경로(도면에 화살표로 표시)를 형성한다.
여기서, 컨베이어(5)는 그 이송 경로를 따라 베이스 프레임(10) 상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컨베이어 롤러들을 포함한다. 상기 컨베이어 롤러들은 베이스 프레임(10)에 이송 경로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별도로 구비된 모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및 체인(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회전하며 고정 지그(3)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컨베이어(5)는 당 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 기술의 롤러 타입 컨베이어 장치로서 구성되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구성의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베이스 프레임(10)은 이하에서 설명될 본 장치(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나의 프레임일 수 있으며, 분획된 각각의 프레임일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프레임(10)은 본 장치(100)를 지지하기 위한 각종 브라켓, 지지블록, 플레이트, 하우징, 커버, 칼라 등과 같은 부속 요소들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부속 요소들은 본 장치(100)를 베이스 프레임(10)에 설치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상기한 부속 요소들을 베이스 프레임(10)으로 통칭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리싸이클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100)는 컨베이어(5)를 통해 자동으로 이송되는 박리 대상물인 범퍼 커버(1)에 매개체들(9)을 분사하여 그 범퍼 커버(1)에 코팅된 도막 및 도금 등의 피막을 박리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100)는 간단한 구성으로 매개체(9)를 범퍼 커버(1)의 피막 박리 부위로 분사할 수 있고, 범퍼 커버(1)의 피막 박리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매개체들(9)은 범퍼 커버(1)에 코팅된 도막 및 도금 등의 피막을 실질적으로 박리시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정 직경의 금속 와이어를 컷팅한 와이어 컷팅체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매개체(9)는 범퍼 커버(1)에 대한 피막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 금속 와이어를 소정 크기로 컷팅함에 따라 양면을 지니고 있으며, 그 양면의 가장자리에 예리한 컷팅날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100)는 기본적으로, 박리 챔버(20), 매개체 공급유닛(40), 매개체 분사유닛(60) 그리고 매개체 순환유닛(80)을 포함하며, 이를 구성 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박리 챔버(20)는 챔버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로서 범퍼 커버들(1)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컨베이어(5)의 이송경로 중에 설치된다. 즉, 상기 박리 챔버(20)는 범퍼 커버(1)를 고정한 고정 지그(3)를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5)의 일정 구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박리 챔버(20)는 범퍼 커버들(1)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컨베이어(5)의 이송 경로 중에 베이스 프레임(1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박리 챔버(20)에는 내부 공간으로 범퍼 커버들(1)의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그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일측에 입구 도어(21)가 구비되어 있고, 다른 일측에 출구 도어(23)가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40)은 범퍼 커버(1)의 피막을 박리시키기 위한 매개체들(9)을 뒤에서 더욱 설명될 매개체 분사유닛(60)을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40)은 박리 챔버(20)의 외측에 구성되는 바, 매개체(9)를 수용하는 호퍼(41)와, 그 매개체(9)를 뒤에서 더욱 설명될 매개체 분사유닛(60)으로 공급하는 매개체 공급관(43)을 포함한다.
상기 호퍼(41)는 박리 챔버(20)의 상측에 배치되며, 매개체(9)의 투입이 가능한 호퍼 하우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매개체 공급관(43)은 호퍼(41)와 매개체 분사유닛(60)을 연결하는 매개체 공급 관로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매개체(9)는 호퍼(41)에서부터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매개체 분사유닛(60)으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60)은 매개체 공급유닛(40)으로부터 공급되는 매개체(9)를 박리 챔버(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범퍼 커버(1)들을 향해 분사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에 적용되는 매개체 분사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60)은 박리 챔버(20)에 구성되는 바, 다수 개의 노즐부재들(61), 임펠러 블레이드(63) 및 구동 모터(65)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부재들(61)은 범퍼 커버(1)를 향하여 박리 챔버(20)에 설치되며, 매개체 공급유닛(40)의 매개체 공급관(43)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재들(61)은 범퍼 커버(1)의 외측을 향하여 매개체들(9)이 넓게 퍼지며 분사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노즐부재들(61)은 매개체들(9)의 분사 단부가 범퍼 커버(1)의 외측을 향하여 그 단면적이 점차 커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개체들(9)은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로부터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노즐부재(61)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63)는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자유낙하하며 공급되는 매개체들(9)을 범퍼 커버(1)의 외측으로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노즐부재(6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63)는 임펠러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블레이드들이 방사 상으로 배치된 이를테면 물레방아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5)는 각 노즐부재(61) 내부의 임펠러 블레이드(63)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노즐부재(61)에 고정되며, 이의 구동축이 임펠러 블레이드(63)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임펠러 블레이드(63)는 구동 모터(65)의 구동으로 고속 회전하면서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자유낙하하며 노즐부재(61)의 내부로 공급되는 매개체들(9)을 범퍼 커버(1)로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매개체 순환유닛(80)은 매개체 분사유닛(60)을 통해 범퍼 커버(1)로 분사된 매개체들(9)를 포집하며, 그 매개체들(9)을 매개체 공급유닛(40)으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를 도시한 측면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에 적용되는 매개체 순환유닛 부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매개체 순환유닛(80)은 박리 챔버(20)의 하부와 매개체 공급유닛(4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매개체 순환유닛(80)은 포집부재(81), 제1 이송부(82), 제2 이송부(83) 그리고 제3 이송부(8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포집부재(81)는 매개체 분사유닛(60)을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로 분사된 매개체들(9)을 포집하기 위한 것으로서, 박리 챔버(20)의 하부에 그 박리 챔버(2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포집부재(81)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작아지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송부(82)는 포집부재(81)에 포집된 매개체들(9)을 박리 챔버(2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것으로, 그 포집부재(81)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상기한 제1 이송부(82)는 도 4 및 도 5의 (a)에서와 같이 제1 관로부재(85), 제1 이송 스크류(86) 및 제1 엑츄에이터(87)를 포함한다. 제1 관로부재(85)는 박리 챔버(20)의 하측에서 포집부재(81)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2 이송부(83)를 관 형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 이송 스크류(86)는 포집부재(81)에 포집된 매개체들(9)을 제1 관로부재(85)를 통해 제2 이송부(83)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1 관로부재(8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엑츄에이터(87)는 제1 이송 스크류(8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1 이송 스크류(86)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이송부(83)는 제1 이송부(82)를 통해 박리 챔버(2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들(9)을 수직 방향(도면에서의 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이송부(82)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2 이송부(83)는 도 4 및 도 5의 (b)에서와 같이 제2 관로부재(91), 주행 벨트(92) 및 버킷부재들(93)을 포함한다.
상기 제2 관로부재(91)는 제1 이송부(82)의 제1 관로부재(85)와 뒤에서 더욱 설명될 제3 이송부(84)를 관 형태로서 수직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주행 벨트(92)는 제2 관로부재(91) 내에 무한 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 벨트(92)는 모터와 같은 제2 엑츄에이터(94)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 풀리(95a) 및 그 구동 풀리(95a)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종동 풀리(95b)에 무한 궤도 상으로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킷부재들(93)은 제1 이송부(82)에 의해 박리 챔버(20)의 하측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들(9)을 제2 관로부재(91)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퍼 나르는 것으로, 주행 벨트(92)에 이의 주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버킷부재들(93)은 제2 관로부재(91) 내부에서 매개체들(9)을 퍼 나를 수 있도록 평판 형상, 바가지 형태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3 이송부(84)는 제2 이송부(83)를 통해 박리 챔버(20)의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들(9)을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로 수평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이송부(83)와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제3 이송부(84)는 도 4 및 도 5의 (c)에서와 같이 제3 관로부재(96), 제2 이송 스크류(97) 및 제3 엑츄에이터(98)를 포함한다.
상기 제3 관로부재(96)는 제2 이송부(83)의 제2 관로부재(91)와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를 관 형태로서 수평 방향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2 이송 스크류(97)는 제2 이송부(83)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들(9)을 제3 관로부재(96)를 통해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것으로, 제3 관로부재(96)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 엑츄에이터(98)는 제2 이송 스크류(97)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2 이송 스크류(97)와 연결되게 설치되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이송 스크류(97)는 앞서 설명한 바 있는 제1 이송 스크류(86)의 스크류 진행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의 스크류를 형성하고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100)에 대한 작동을 앞서 개시한 도면들 및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리 대상물인 범퍼 커버(1)를 고정 지그(3)의 고정핀들(4b)에 고정시킨 상태로 그 고정 지그(3)를 컨베이어(5)를 통해 박리 챔버(20) 측으로 이송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 지그(3)의 고정핀들(4b)은 못 형태로서 범퍼 커버(1)를 뚫은 상태로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에는 일정량의 매개체들(9)이 투입된 상태에 있으며, 매개체들(9)은 호퍼(41)로부터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매개체 분사유닛(60)의 노즐부재(61)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되는 상태에 있다.
이렇게 고정 지그(3)의 고정핀들(4b)에 고정된 범퍼 커버(1)는 컨베이어(5)를 통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박리 챔버(20)의 입구 도어(21)를 통해 그 박리 챔버(2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범퍼 커버들(1)이 컨베이어(5)를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로 인입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개체들(9)이 호퍼(41)로부터 매개체 공급관(43)을 통해 매개체 분사유닛(60)의 노즐부재(61)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되는 상태에서, 구동 모터(65)를 구동시켜 임펠러 블레이드(63)를 고속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63)의 회전으로 매개체들(9)은 노즐부재(61)를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에서 범퍼 커버(1)의 외측으로 분사된다. 이에, 매개체들(9)은 노즐부재(61)를 통해 넓게 퍼지며 분사되고, 범퍼 커버(1)의 도막 및 도금 등의 피막을 박리시킨다.
여기서, 상기 매개체들(9)은 금속 와이어를 컷팅한 것으로 양면을 지니고 있으며, 그 양면의 가장자리에 예리한 컷팅날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개체들(9)의 컷팅날에 의해 범퍼 커버(1)에 대한 피막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렇게 매개체들(9)에 의해 피막이 박리된 범퍼 커버(1)는 컨베이어(5)를 통해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며, 박리 챔버(20)의 출구 도어(23)를 통해 그 박리 챔버(2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정을 거치는 동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매개체 분사유닛(60)을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로 분사된 매개체들(9)을 박리 챔버(20) 하부의 포집부재(81)로 포집한다.
이 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포집부재(81)에 포집된 매개체들(9)이 제1 이송부(82)의 제1 관로부재(85)로 유입되고, 제1 이송부(82)의 제1 이송 스크류(86)는 제1 엑츄에이터(87)에 의해 회전하면서 매개체들(9)을 제1 관로부재(85)를 통해 제2 이송부(83)의 제2 관로부재(91) 측(수평 방향)으로 스크류 이송시킨다.
그리고 나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이송 스크류(86)에 의해 제2 관로부재(91) 측으로 이송된 매개체들(9)을 제2 이송부(83)를 통해 수직 방향(상측 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 과정에서는 제2 관로부재(91)의 내부에서 버킷부재들(93)이 주행 벨트(92)를 통해 상하 방향으로 주행하면서 매개체들(9)을 제2 관로부재(91)를 통해 상측 방향으로 퍼 나르게 된다. 즉, 상기 매개체들(9)은 제2 이송부(83)에 의해 제3 이송부(84)의 제3 관로부재(96) 측으로 이송된다.
여기서, 상기 주행 벨트(92)는 제2 엑츄에이터(94)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 풀리(95a) 및 그 구동 풀리(95a)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종동 풀리(95b)에 무한 궤도 상으로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주행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3 이송부(84)의 제2 이송 스크류(97)는 제3 엑츄에이터(98)에 의해 회전하면서 매개체들(9)을 제3 관로부재(96)를 통해 매개체 공급유닛(40)의 호퍼(41) 측(수평 방향)으로 스크류 이송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박리 챔버(20)의 내부로 분사되며 범퍼 커버(1)의 피막을 박리한 매개체들(9)을 상술한 바와 같은 매개체 순환유닛(80)의 포집부재(81), 제1 이송부(82), 제2 이송부(83) 그리고 제3 이송부(84)를 통하여 재순환시킬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100)에 의하면, 컨베이어(5)를 통해 박리 챔버(20)의 내부로 자동 이송되는 범퍼 커버(1)로 매개체들(9)을 분사하여 그 범퍼 커버(1)에 코팅된 도막 및 도금 등의 피막을 박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일일이 범퍼 커버(1)를 박리 챔버(20)의 내부에 배치 및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전체 리싸이클 시스템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범퍼 커버(1)의 피막을 박리시키는데 걸리는 작업 시간 및 작업 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동 모터(65)의 구동으로서 임펠러 블레이드(63)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매개체들(9)을 범퍼 커버(1) 측으로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므로, 공압으로서 매개체들을 분사하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전체 박리 설비가 단순하여 초기 투자비를 절감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금속 와이어를 소정 크기로 컷팅한 와이어 컷팅체로서 양면을 지니고 있으며 그 양면의 가장자리에 예리한 컷팅날을 지닌 매개체들(9)을 사용하여 범퍼 커버(1)의 피막을 박리시킬 수 있으므로, 범퍼 커버(1)에 대한 피막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범퍼 커버 3… 고정 지그
4a… 지그 프레임 4b… 고정핀
5… 컨베이어 9… 매개체
10… 베이스 프레임
20… 박리 챔버 21… 입구 도어
23… 출구 도어 40… 매개체 공급유닛
41… 호퍼 43… 매개체 공급관
60… 매개체 분사유닛 61… 노즐부재
63… 임펠러 블레이드 65… 구동 모터
80… 매개체 순환유닛 81… 포집부재
82… 제1 이송부 83… 제2 이송부
84… 제3 이송부 85… 제1 관로부재
86… 제1 이송 스크류 87… 제1 엑츄에이터
91… 제2 관로부재 92… 주행 벨트
93… 버킷부재 94… 제2 엑츄에이터
95a… 구동 풀리 95b… 종동 풀리
96… 제3 관로부재 97… 제2 이송 스크류
98… 제3 엑츄에이터

Claims (13)

  1. 박리 대상물들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이송경로 중에 설치되며, 상기 박리 대상물들이 인입 및 인출 가능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박리 챔버;
    상기 박리 챔버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박리 대상물의 피막을 박리시키는 매개체를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하는 매개체 공급유닛;
    상기 박리 챔버에 장착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부터 공급되는 매개체를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된 박리 대상물을 향해 분사하는 매개체 분사유닛; 및
    일측이 상기 박리 챔버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을 통해 분사된 매개체를 포집하여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 순환시키는 매개체 순환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챔버는 상기 박리 대상물을 고정한 고정 지그를 상기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의 일정 구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리 챔버에는 상기 이송 경로를 기준으로 일측에 입구 도어가 구비되고, 다른 일측에 출구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소정 직경의 금속 와이어를 컷팅한 와이어 컷팅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은, 상기 박리 챔버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수용하는 호퍼; 및 상기 호퍼와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으로 공급하는 매개체 공급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분사유닛은, 상기 박리 대상물을 향하여 상기 박리 챔버에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관과 연결되는 다수 개의 노즐부재들; 상기 각 노즐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 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매개체들을 상기 박리 대상물로 분사하는 임펠러 블레이드; 및 상기 임펠로 블레이드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 블레이드로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는 상기 호퍼로부터 상기 매개체 공급관을 통해 상기 노즐부재로 자유낙하하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체 순환유닛은, 상기 박리 챔버의 하부에 그 박리 챔버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박리 챔버의 내부로 분사된 매개체를 포집하는 포집부재; 상기 포집부재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포집부재에 포집된 매개체를 수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이송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부를 통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 이송부; 및 상기 제2 이송부와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2 이송부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이송된 매개체를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으로 이송시키는 제3 이송부;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포집부재와 제2 이송부를 연결하는 제1 관로부재; 상기 제1 관로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제1 관로부재를 통해 상기 제2 이송부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제1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제1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1 이송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1 관로부재와 상기 제3 이송부를 수직 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관로부재; 상기 제2 관로부재 내에 무한 궤도 상으로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주행 벨트; 및 상기 주행 벨트에 이의 주행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다수 개의 버킷부재들;을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벨트는 제2 엑츄에이터에 의해 구동 회전하는 구동 풀리 및 상기 구동 풀리에 의해 종동 회전하는 종동 풀리에 무한 궤도 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이송부는, 상기 제2 관로부재와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을 연결하는 제3 관로부재; 상기 제3 관로부재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매개체를 상기 제3 관로부재를 통해 상기 매개체 공급유닛 측으로 스크류 이송시키는 제2 이송 스크류; 및 상기 제2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이송 스크류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3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이송 스크류는 스크류의 진행 방향이 서로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장치.
KR1020130164909A 2013-12-27 2013-12-27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KR101551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09A KR101551032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909A KR101551032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499A true KR20150077499A (ko) 2015-07-08
KR101551032B1 KR101551032B1 (ko) 2015-09-08

Family

ID=53790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909A KR101551032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9468B1 (ko) * 2017-07-14 2019-02-1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블라스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040A (ja) 2000-08-25 2002-03-08 Bridgestone Corp 自動車用バンパーの皮膜除去方法
KR101061276B1 (ko) 2011-04-25 2011-08-31 김영인 범퍼 커버의 도막 및 도금 박리 챔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032B1 (ko)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328433B (zh) 全自动眼镜插芯机
EP3017912B1 (en) Polishing device and polishing method
KR101495552B1 (ko) 범퍼의 도료제거장치
JP4637155B2 (ja) 除電除塵装置及び除電除塵方法
KR100855636B1 (ko) 가공물의 버제거 및 연마장치
KR101544054B1 (ko) 길이부재 자동 표면처리 도장장치
CN102985193A (zh) 除锈装置
WO2005105375A1 (ja) 大型部品の研磨装置および研磨方法
US20080251356A1 (en) System for particulate removal and reclamation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KR101551032B1 (ko) 자동차 범퍼 커버의 피막 박리 장치
KR101407339B1 (ko) 사출성형기용 취출분류장치
KR101654364B1 (ko) 나노 샌딩 시스템
KR101351526B1 (ko) 드라이아이스 세정기
KR101462808B1 (ko) 도장지그용 표면처리장치
JP2013230527A (ja) ボールネジにおけるネジ軸の表面処理装置及びボールネジにおけるネジ軸の表面処理方法
US8216033B2 (en) Low pressure blow-off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KR20130101454A (ko) 래비린스 씰, 세정유닛 및 방법, 용액제막방법
KR101998843B1 (ko) 자동차 부품용 이송장치
CN102873789B (zh) 带漆塑料件回收处理装置
KR101191773B1 (ko) 파이프 탈피장치
JPH106131A (ja) 集塵装置及び走行切断機
TW202327810A (zh) 除塵裝置、砂磨機及工件除塵方法
CN214768768U (zh) 一种汽车配件生产自动吹扫及脱模剂喷涂装置
CN201385008Y (zh) 一种螺钉喷涂机的螺钉输送装置
CN219560176U (zh) 一种汽车零部件支架生产用喷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