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342A - 편성포의 편성방법 - Google Patents

편성포의 편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342A
KR20150077342A KR1020140187709A KR20140187709A KR20150077342A KR 20150077342 A KR20150077342 A KR 20150077342A KR 1020140187709 A KR1020140187709 A KR 1020140187709A KR 20140187709 A KR20140187709 A KR 20140187709A KR 20150077342 A KR20150077342 A KR 20150077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tch
elastic
stitches
knitting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3891B1 (ko
Inventor
요시타카 마에자와
마사히코 다카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50077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8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elas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7/00Flat-bed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과제) 본 발명은, 탄성사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신축성을 구비하면서도, 사용한 탄성사가 눈에 띄지 않는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종단 스티치열(10E)을 코빼기 처리한다.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에서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프론트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α)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α)에 연속하여 고정 스티치(β)와 탄성 스티치(γ)를 편성한다.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서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δ)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δ)에 연속하여 고정 스티치(ε)와 탄성 스티치(ζ)를 편성한다. 다만, n + 1회째의 더블 스티치(α)(더블 스티치(δ))는, n회째의 탄성 스티치(γ)(탄성 스티치(ζ))와, 종단 스티치열(10E)의 스티치 중에서 탄성 스티치(γ)(탄성 스티치(ζ))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χ)(백 스티치(ω))를 프론트 스티치(χ)(백 스티치(ω))가 베이스부(10)의 표면측(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된다(n은 1 이상의 자연수).

Description

편성포의 편성방법{METHOD FOR KNITTING KNITTED FABRIC}
본 발명은, 편성포에 구비되는 리브조직(rib組織)의 베이스부(base部)의 웨일방향 종단부(wale方向 終端部)에 있는 종단 스티치열(終端 stitch列)을 코빼기 처리(bind-off 處理)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의 적어도 일부에 리브조직의 베이스부를 편성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베이스부의 편성에 있어서, 횡편기를 사용하여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있는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것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터틀넥 스웨터(turtleneck sweater)에 있어서 터틀넥부(베이스부)의 종단 스티치열 등을 코빼기 처리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코빼기 처리를 하면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의 신축성이 손상되기 쉽다.
상기 신축성의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하여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함으로써 상기 웨일방향 종단부의 신축성을 확보하는 것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플레이팅용 얀피더(plating用 yarn feeder)로부터 주사(主絲)(비탄성사(非彈性絲))와 첨사(添絲)(탄성사)를 갖춘 상태에서 급사(給絲)시켜서, 그들 편사에 의하여 코빼기 처리함으로써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의 신축성을 확보하는 편성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 일본국 특허 제4113296호 공보
상기한 종래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우선 탄성사를 사용하여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경우에, 베이스부를 구성하는 비탄성사의 질감(質感)과, 코빼기 처리에 사용되는 탄성사의 질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 탄성사가 눈에 띄게 되어 편성포의 미려함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1의 편성방법에서는, 플레이팅 편성에 의하여 탄성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지만, 탄성사의 종류에 따라서는 코빼기 처리부가 수축되어 울퉁불퉁하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탄성사의 신축성이 비탄성사의 신축성보다 크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 탄성사가 수축되어 비탄성사가 부상(浮上)하게 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탄성사를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신축성을 구비하면서도, 사용한 탄성사가 눈에 띄지 않는 코빼기 처리부를 편성할 수 있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후로 대향하는 일측 니들베드와 타측 니들베드를 구비하고, 스티치의 트랜스퍼가 가능한 횡편기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구비되는 리브조직의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를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베이스부의 종단 스티치열을, 편성포의 사용 시에 표면이 되는 측에서 보았을 때에 비탄성사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 및 탄성사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를 사용하여 하기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 …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α)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α)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비탄성사를 사용하여 고정 스티치(β)를 편성하고, 그 고정 스티치(β)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탄성사를 사용하여 탄성 스티치(γ)를 편성한다. 다만, n을 1 이상의 자연수라고 하였을 때에, n + 1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의 더블 스티치(α)는, n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탄성 스티치(γ)와,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탄성 스티치(γ)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χ)를 프론트 스티치(χ)가 베이스부의 표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백 스티치 처리공정] … 종단 스티치열의 백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δ)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비탄성사를 사용하여 고정 스티치(ε)를 편성하고, 그 고정 스티치(ε)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탄성사를 사용하여 탄성 스티치(ζ)를 편성한다. 다만, n을 1 이상의 자연수라고 하였을 때에, n + 1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의 더블 스티치(δ)는, n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탄성 스티치(ζ)와,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탄성 스티치(ζ)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백 스티치(ω)를 백 스티치(ω)가 베이스부의 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고정 스티치(β)는 백 스티치, 고정 스티치(ε)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으로서, 베이스부가 1×1의 리브조직 이외의 리브조직인 경우에, 베이스부의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배열을 변경하여,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배열되는 1×1의 리브조직의 종단 스티치열로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리브조직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의 코빼기 처리부의 편성에 탄성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코빼기 처리부에 적절한 신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 탄성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형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 외부에서 보이기 어려운 위치에 탄성사를 숨길 수 있기 때문이다.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α)의 웨일방향으로 백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고정 스티치(β)를 편성하고, 종단 스티치열의 백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δ)의 웨일방향으로 프론트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고정 스티치(ε)를 편성하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하면,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curl)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웨일방향으로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가 연속되면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 되기 쉽지만, 프론트 스티치(백 스티치)가 웨일방향으로 연속되는 종단의 위치에 백 스티치(프론트 스티치)를 편성함으로써 상기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베이스부의 웨일방향 종단부의 종단 스티치열을 1×1의 리브조직으로 함으로써 코빼기 처리부를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도1은, 실시형태에 의하여 편성하는 터틀넥 스웨터의 개략도이다.
도2는, 터틀넥부의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공정의 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3은, 터틀넥부의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공정의 후반부분을 나타내는 편성공정도이다.
도4는,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를 도식적으로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서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방향으로 서로 대향(對向)하는 앞쪽 니들베드(front needle bed)(이하, FB)와 뒤쪽 니들베드(back needle bed)(이하, BB)를 구비하는 2베드 횡편기(two-bed flat knitting machine)를 사용한 편성예를 설명한다. 이 횡편기는 전후의 니들베드 사이에서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하고 또한 횡편기에 구비되는 BB는 좌우로 래킹(racking)될 수 있다. 물론 4베드 횡편기를 사용하여 실시형태의 편성을 할 수도 있다.
<실시형태1>
실시형태1에서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조직(rib組織)의 터틀넥부(turtleneck部)(베이스부(base部)(10))를 구비하는 스웨터(sweater)(편성포)(100)를 편성한다. 이 스웨터(100)에서는,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wale方向 終端部)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종단 스티치열(終端 stitch列)이 비탄성사(非彈性絲)와 탄성사(彈性絲)를 사용하여 코빼기 처리(bind-off 處理)됨으로써 코빼기 처리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이 코빼기 처리의 편성순서를 도2, 도3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편성방법≫
도2, 도3은 코빼기 처리의 편성공정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좌란(左欄)의 「알파벳 + 숫자」는 편성공정의 번호를 나타내고, 우란(右欄)은 니들베드에 있어서의 편성상태가 나타나 있고, 각 공정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조작은 굵은 선으로 나타낸다. 우란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니들베드의 일부만을 나타내고, BB의 래킹동작은 생략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의 대문자 알파벳은 편침(編針)의 편성폭방향의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FB측에서 보아서 깊이방향측(BB측)으로부터 전방측(FB측)으로 구스티치(old stitch)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인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는 △표시로 나타내고, FB측에서 보아서 전방측으로부터 깊이방향측으로 구스티치로부터 인출되는 스티치인 백 스티치(back stitch)는 ▽표시로 나타내고,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는 2중 동그라미로 나타낸다. 또 도2, 도3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터틀넥부(10)의 앞쪽부분의 편성만을 나타내고 있다.
S0에는, 비탄성사(1Y)를 급사하는 제1급사구(第1給絲口)(1)를 지면(紙面)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나란하게 배열되어 복수의 스티치로 이루어지는 종단 스티치열(10E)을 편성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종단 스티치열(10E)은, FB측에서 보았을 때에 FB의 편침(B, D, F, H)에 결합되는 프론트 스티치와, BB의 편침(A, C, E, G)에 결합되는 백 스티치로 구성되는 1×1의 리브조직이다.
또 종단 스티치열(10E)은,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1개씩 나란하게 배열되는 1×1의 리브조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1×2, 2×1, 2×2 등의 리브조직이더라도 좋다. 베이스부(10)가 1×1의 리브조직 이외의 리브조직인 경우에,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배열을 변경하여,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배열되는 1×1의 리브조직의 종단 스티치열(10E)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는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할 때에, 스티치의 이동거리 등의 편성조건을 갖추기 쉬워서 코빼기 처리부(6)를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S0의 상태로부터 지면의 좌측방향(이후, 코빼기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으로 코빼기 처리를 하여 간다. 즉 도2, 도3에 있어서 지면의 우측이 코빼기 처리의 시단측(始端側), 지면의 좌측이 코빼기 처리의 종단측(終端側)이다.
[코빼기 처리의 시단편성공정]
도2의 S1∼S3에 나타내는 공정은,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실시하기 전에 코빼기 처리의 시단을 편성하는 공정이다. 시단의 편성방법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지만, S1∼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함으로써 코빼기 처리부(6)(도1을 참조)의 시단을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 S1∼S3에 나타내는 시단편성공정은 필수적인 공정이 아니며, 도3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을 바로 실시하더라도 상관없다.
S1에서는, BB의 편침(A, C, E, G)에 결합되는 백 스티치(▽표시)를 각각 FB의 편침(A, C, E, G)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이 트랜스퍼는, 이후의 편성에서 편사가 종단 스티치열(10E)에 편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S2에서는, 우선 FB의 편침(B)에 결합되는 프론트 스티치(△표시)를 BB의 편침(B)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이 프론트 스티치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프론트 스티치 중에서 코빼기 처리의 가장 시단측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이다. 또한 S2에서는, 베이스부(10)의 편성에 이용된 제1급사구(1)를 코빼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B)으로 트랜스퍼 된 프론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비탄성사(1Y)로 구성되는 백 스티치(스티치)(λ)를 편성하였다. 프론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백 스티치(λ)를 편성함으로써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curl)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비탄성사(1Y)로 구성되는 스티치(λ)는 프론트 스티치이더라 좋지만, 그 경우에 상기 종단부의 컬을 억제하는 효과는 얻어지지 않는다. 그 대신에 S2에 있어서 FB로부터 BB에 대한 프론트 스티치의 트랜스퍼를 생략할 수 있다.
S3에서는, 탄성사(2Y)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2)를 코빼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S2에서 편성된 백 스티치(λ)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탄성사(2Y)로 구성되는 백 스티치(스티치)(μ)를 편성하였다. 여기에서 탄성사(2Y)로 구성되는 스티치(μ)는 프론트 스티치이더라도 좋고, 당해 스티치(μ)가 프론트 스티치이더라도 백 스티치이더라도 베이스부(10)에 미치는 효과는 달라지지 않는다. 다만, S2에 있어서 비탄성사(1Y)로 구성되는 스티치(λ)가 백 스티치(프론트 스티치)인 경우에, 탄성사(2Y)로 구성되는 스티치(μ)도 백 스티치(프론트 스티치)로 하면, 스티치(λ)를 트랜스퍼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S1∼S3에 나타내는 시단편성공정이 종료되면, 도3의 S4 이후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의한 코빼기 처리를 시작한다. 본 발명의 편성포의 편성방법은,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종단 스티치열(10E)을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이다. 본 예에서는, S1∼S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단 스티치열(10E)의 프론트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시단편성공정의 스티치(μ)를 편성하였기 때문에,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먼저 한다. 가령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시단편성공정의 스티치를 편성하는 것이라면,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을 먼저 하면 된다.
[1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
S4에서는, FB의 편침(A, C)에 결합되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를 각각 BB의 편침(A, C)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S5에서는, BB의 편침(B)에 결합되는 시단편성공정의 스티치(μ)를 FB의 편침(C)으로 트랜스퍼 함과 아울러, BB의 편침(A)에 결합되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를 FB의 편침(B)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또한 S6에서는, BB의 편침(C)에 결합되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를 FB의 편침(B)으로 트랜스퍼 하여, 종단 스티치열(10E)의 백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δ)를 형성하였다. 이 S4∼S6에 의하여 더블 스티치(δ)를 스티치(μ)보다 편성포(100)의 이면측에 배치할 수 있다(S6에서는 더블 스티치(δ)와 스티치(μ)는 함께 FB에 결합되어 있지만, 더블 스티치(δ)를 구성하는 백 스티치의 싱커 루프(sinker loop)가 스티치(μ)의 이면측에 교차하고 있다).
S7에서는, 제1급사구(1)를 시단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더블 스티치(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비탄성사(1Y)로 구성되는 고정 스티치(retaining stitch)(ε)를 편성함으로써 더블 스티치(δ)를 고정하였다. 고정 스티치(ε)는 FB에서 편성되었기 때문에 프론트 스티치이다. 서로가 백 스티치인 더블 스티치(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프론트 스티치(고정 스티치(ε))를 편성함으로써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고정 스티치(ε)는 백 스티치이더라도 좋지만, 그 경우에 상기 종단부가 컬 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S8에서는, 제2급사구(2)를 시단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고정 스티치(ε)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탄성사(2Y)로 구성되는 탄성 스티치(elastic stitch)(ζ)를 편성하였다. 탄성 스티치(ζ)는 FB에서 편성되었기 때문에 프론트 스티치이지만, 백 스티치로 하더라도 상관없다. 탄성 스티치(ζ)는, 백 스티치이더라도 프론트 스티치이더라도 베이스부(10)의 특성에 큰 차이는 생기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S8의 시작 시에 고정 스티치(ε)가 FB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스티치(ζ)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쪽이 백 스티치로 하는 것보다 편성효율이 좋다. 그것은 고정 스티치(ε)를 트랜스퍼 하는 번거로움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이다.
[1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
S9에서는, FB의 편침(C)에 결합되는 시단편성공정의 스티치(μ)와 FB의 편침(B)에 결합되는 탄성 스티치(ζ)를 각각 BB의 편침(C)과 편침(B)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그리고 S10에서는, 스티치(μ)와 탄성 스티치(ζ)를 각각 FB의 편침(D)과 편침(C)으로 트랜스퍼 하였다. 이들 S9, S10에 의하여 FB의 편침(D)에, 종단 스티치열(10E)의 프론트 스티치(S9의 편침(D)의 스티치)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α)가 형성된다. 또 S9, S10에 있어서 탄성 스티치(ζ)를 코빼기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있는 것은, 후술하는 2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 있어서 더블 스티치(δ)를 형성하기 쉽게 하기 위함이다.
S11에서는, FB의 편침(D)에 결합되는 더블 스티치(α)를 BB의 편침(D)으로 트랜스퍼 한 후에, 제1급사구(1)를 코빼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더블 스티치(α)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고정 스티치(β)를 형성함으로써 더블 스티치(α)를 고정하였다. 고정 스티치(β)는 BB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백 스티치이다. 더블 스티치(α)는 종단 스티치열(10E)의 프론트 스티치를 포함하기 때문에 더블 스티치(α)에 연속되는 고정 스티치(β)가 백 스티치이면,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가 컬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 있어서의 고정 스티치(ε)와 마찬가지로 고정 스티치(β)는 프론트 스티치이더라 좋다.
S12에서는, 제2급사구(2)를 코빼기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BB의 편침(D)에 결합되는 고정 스티치(β)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탄성사(2Y)로 구성되는 탄성 스티치(γ)를 편성하였다. 탄성 스티치(γ)는 BB에서 편성되기 때문에 백 스티치이다. 또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 있어서의 탄성 스티치(ζ)와 마찬가지로 탄성 스티치(γ)는 프론트 스티치이더라 좋다.
[2회째 이후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 및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
S12에 있어서 코빼기 처리의 시단측의 스티치의 배치상태를 보면, 도2의 S3과 동일하게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2회째 이후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 및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은, 도3의 S4∼S12와 동일하게 하면 된다.
우선 2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의 더블 스티치(δ)는, S12에 나타내는 1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탄성 스티치(ζ)와, 종단 스티치열(10E) 중에서 탄성 스티치(ζ)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백 스티치(ω)를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S4∼S6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탄성 스티치(ζ)를 FB의 편침(D)으로 트랜스퍼 한 후에, 그 편침(D)으로 백 스티치(ω)를 트랜스퍼 한다. 그 결과 백 스티치(ω)가 베이스부(10)의 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양쪽 스티치(ζ, ω)가 포개어진다.
또한 2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의 더블 스티치(α)는, S12에 나타내는 1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탄성 스티치(γ)와, 종단 스티치열(10E) 중에서 탄성 스티치(γ)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χ)를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S9, S10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프론트 스티치(χ)가 결합되는 FB의 편침(F)으로 탄성 스티치(γ)를 트랜스퍼 한다. 그 결과 프론트 스티치(χ)가 베이스부(10)의 표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스티치(γ, χ)가 포개어진다.
3회째 이후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 및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에 있어서도, 상기 2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 및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동일하게 한다. 즉 n을 1 이상의 자연수라고 하였을 때에 n + 1회째의 더블 스티치(α)(더블 스티치(δ))는, n회째의 탄성 스티치(γ)(탄성 스티치(ζ))와, 종단 스티치열(10E) 중에서 탄성 스티치(γ)(탄성 스티치(ζ))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χ)(백 스티치(ω))를 프론트 스티치(χ)(백 스티치(ω))가 베이스부(10)의 표면측(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 스티치 처리공정과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함으로써 종단 스티치열(10E)을 코빼기 처리할 수 있다.
[코빼기 처리부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
도4는, 도2, 도3에 의거하여 편성된 코빼기 처리부(6)에 있어서의 스티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 이 도4에서는, 어떤 스티치의 웨일방향으로 어떤 스티치가 연속되어 있는지, 어떤 스티치가 어떤 스티치에 포개어져 있는지를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스티치를 간략화 하고 있으며,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의 구별도 하지 않고 있다. 도4에서는 탄성사를 다른 편사보다 굵은 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4에서는, 스티치의 관계를 화살표와 로마 숫자(Roman numerals)로 나타내고 있어, 동일한 로마 숫자의 부분에서 편사가 연결되어 있다. 예를 들면 고정 스티치(β)로부터 신장되는 화살표의 선단에 있는 로마 숫자『I』는, 고정 스티치(ε)를 향하는 화살표의 밑부분에 있는 로마 숫자『I』에 연결되어 있다. 또 로마 숫자『Ⅳ』와 『ⅳ』가 붙여진 편사는 각각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고정 스티치(β)와 탄성 스티치(γ)에 연결되어 있다.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블 스티치(α(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고정 스티치(β(ε))와 탄성 스티치(γ(ζ))가 편성되어 있고, 상단(上段)의 탄성 스티치(γ(ζ))가 코빼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스티치(β(ε))와 탄성 스티치(γ(ζ))의 2단분의 스티치가 편성되어 있음으로써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가 편성폭 방향으로 과잉으로 수축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를 편성폭 방향으로 잡아당겼을 때에는, 탄성사로 이루어지는 탄성 스티치(γ(ζ))가 신장되기 때문에 베이스부(10)의 신장이 과잉으로 구속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리브조직의 베이스부(10)의 웨일방향 종단부에 적절한 신축성을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더블 스티치(α)에 있어서 프론트 스티치(χ)가 베이스부(10)의 표면측이 되도록 비탄성사의 프론트 스티치(χ)와 탄성사의 탄성 스티치(γ)가 포개어져 있고, 더블 스티치(δ)에 있어서 백 스티치(ω)가 베이스부(10)의 이면측이 되도록 비탄성사의 백 스티치(ω)와 탄성사의 탄성 스티치(ζ)가 포개어져 있다. 그 때문에 비탄성사와 다른 질감(質感)을 가지는 탄성사로 구성된 탄성 스티치(γ, ζ)는, 비탄성사로 구성되는 프론트 스티치(χ)와 백 스티치(ω)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서 베이스부(10)의 외부에서 보이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코빼기 처리부(6)에 있어서 탄성사를 눈에 띄지 않게 할 수 있다.
FB : 앞쪽 니들베드(일측 니들베드)
BB : 뒤쪽 니들베드(타측 니들베드)
100 : 스웨터(편성포)
10 : 터틀넥부(베이스부)
10E : 종단 스티치열
6 : 코빼기 처리부
1 : 제1급사구 1Y : 비탄성사
2 : 제2급사구 2Y : 탄성사

Claims (3)

  1. 전후로 대향(對向)하는 일측 니들베드(一側 needle bed)와 타측 니들베드(他側 needle bed)를 구비하고, 스티치(stitch)의 트랜스퍼(transfer)가 가능한 횡편기(橫編機)를 사용하여 편성포에 구비되는 리브조직(rib組織)의 베이스부(base部)의 웨일방향 종단부(wale方向 終端部)를 코빼기 처리(bind-off 處理)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종단 스티치열(終端 stitch列)을, 편성포의 사용 시에 표면이 되는 측에서 보았을 때에 비탄성사(非彈性絲)를 급사(給絲)하는 제1급사구(第1給絲口) 및 탄성사(彈性絲)를 급사하는 제2급사구를 사용하여,
    상기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front stitch)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double stitch)(α)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α)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비탄성사를 사용하여 고정 스티치(retaining stitch)(β)를 편성하고, 그 고정 스티치(β)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탄성사를 사용하여 탄성 스티치(elastic stitch)(γ)를 편성하는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과,
    상기 종단 스티치열의 백 스티치(back stitch)를 포함하는 더블 스티치(δ)를 형성하고, 그 더블 스티치(δ)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비탄성사를 사용하여 고정 스티치(ε)를 편성하고, 그 고정 스티치(ε)의 웨일방향으로 연속하여 상기 탄성사를 사용하여 탄성 스티치(ζ)를 편성하는 백 스티치 처리공정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상기 종단 스티치열을 코빼기 처리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다만, n을 1 이상의 자연수라고 하였을 때에,
    n + 1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의 상기 더블 스티치(α)는, n회째의 프론트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상기 탄성 스티치(γ)와, 상기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상기 탄성 스티치(γ)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프론트 스티치(χ)를 상기 프론트 스티치(χ)가 상기 베이스부의 표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되고,
    n + 1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의 상기 더블 스티치(δ)는, n회째의 백 스티치 처리공정에서 편성된 상기 탄성 스티치(ζ)와, 상기 종단 스티치열의 스티치 중에서 상기 탄성 스티치(ζ)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백 스티치(ω)를 상기 백 스티치(ω)가 상기 베이스부의 이면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포갬으로써 형성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스티치(β)는 백 스티치, 상기 고정 스티치(ε)는 프론트 스티치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가 1×1의 리브조직(rib組織) 이외의 리브조직인 경우에, 상기 종단 스티치열의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를 트랜스퍼에 의하여 배열을 변경하여, 프론트 스티치와 백 스티치가 교대로 배열되는 1×1의 리브조직의 종단 스티치열로 하는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20140187709A 2013-12-27 2014-12-24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603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3027A JP2015127466A (ja) 2013-12-27 2013-12-27 編地の編成方法
JPJP-P-2013-273027 201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342A true KR20150077342A (ko) 2015-07-07
KR101603891B1 KR101603891B1 (ko) 2016-03-16

Family

ID=5337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7709A KR101603891B1 (ko) 2013-12-27 2014-12-24 편성포의 편성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5127466A (ko)
KR (1) KR101603891B1 (ko)
CN (1) CN104746224A (ko)
DE (1) DE1020140188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3166A (zh) * 2015-08-20 2015-12-09 广东溢达纺织有限公司 纬编罗纹织物的编织方法、纬编罗纹织物和衣服
JP6501824B2 (ja) * 2017-05-29 2019-04-1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接合方法
JP7063707B2 (ja) * 2018-04-27 2022-05-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JP7233205B2 (ja) * 2018-11-26 2023-03-06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及び編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13296A (ja) 1990-09-03 1992-04-14 Hitachi Ltd 原子炉及び燃料集合体
JP4113296B2 (ja) * 1999-01-25 2008-07-0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伏目処理方法
EP2465983B1 (en) * 2009-08-12 2016-03-23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Fabric formation method
JP5330188B2 (ja) * 2009-10-20 2013-10-3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2012251262A (ja) 2011-06-03 2012-12-20 Shima Seiki Mfg Ltd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JP5979911B2 (ja) * 2012-02-27 2016-08-31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編地終端部のパイピング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018886A1 (de) 2015-07-02
CN104746224A (zh) 2015-07-01
JP2015127466A (ja) 2015-07-09
KR101603891B1 (ko) 2016-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766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735352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603891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498443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577287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903572B1 (ko) 통모양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통모양 편성포
KR101735355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603889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101329124B1 (ko) 되돌림 편성방법 및 편성포
CN103993414A (zh) 编织纱线的防止脱线方法
KR101347648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JP5479048B2 (ja) 編地の編成方法、および編地
KR101754145B1 (ko) 편성포의 편성시작방법
KR101577282B1 (ko) 횡편기에서의 편성시작방법
EP2418310B1 (en) Joining method of adjacent knitted fabric parts, and knitted fabric
JP2006028701A (ja) 経編地
KR1018447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604224B1 (ko) 편성포의 코빼기 방법
KR101985840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KR101903584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KR20200045968A (ko) 편성포의 접합방법 및 접합된 편성포
KR102247706B1 (ko) 편성포의 편성방법 및 편성포
CN104746227A (zh) 编织物的编织方法以及编织物的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