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840A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840A
KR20150076840A KR1020130165485A KR20130165485A KR20150076840A KR 20150076840 A KR20150076840 A KR 20150076840A KR 1020130165485 A KR1020130165485 A KR 1020130165485A KR 20130165485 A KR20130165485 A KR 20130165485A KR 20150076840 A KR20150076840 A KR 201500768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ype
region
trench
chann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천대환
홍경국
박정희
정영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6840A/ko
Priority to US14/468,819 priority patent/US20150187883A1/en
Priority to DE102014218007.4A priority patent/DE102014218007A1/de
Priority to CN201410482926.9A priority patent/CN104752506A/zh
Publication of KR20150076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8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1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 H01L29/1608Silicon carbi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04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 H01L21/0455Making n or p doped regions or layers, e.g. using diffusion
    • H01L21/046Making n or p doped regions or layers, e.g. using diffusion using ion implantation
    • H01L21/0465Making n or p doped regions or layers, e.g. using diffusion using ion implantation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0445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 H01L21/048Making electrodes
    • H01L21/049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MIS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1033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 H01L29/1041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with a non-uniform doping structure in the channel region surface
    • H01L29/104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e.g. characterised by the length, the width, the geometric contour or the doping structure with a non-uniform doping structure in the channel region surface the doping structure being parallel to the channel length, e.g. DMOS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3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in the bulk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01L29/42316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423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fo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4235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 H01L29/4236Disposition, e.g. buried gate electrode within a trench, e.g. trench gate electrode, groove gate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 H01L29/512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with a compositional variation, e.g. multilayer structures the variation being parallel to the channel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5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 H01L29/66068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crystalline silicon carbide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66Vertical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01L29/7802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 H01L29/7813Vertical DMOS transistors, i.e. VDMOS transistors with trench gate electrode, e.g. U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27Vertical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n-형 에피층, 상기 제1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n-형 에피층, 상기 제2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제1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는 p+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산화막, 상기 n+ 영역, 상기 산화막 및 상기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채널이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탄화 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응용 기기의 대형화 대용량화 추세에 따라 높은 항복전압과 높은 전류 및 고속 스위칭 특성을 갖는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력용 반도체 소자는 특히 매우 큰 전류를 흐르게 하면서도 도통 상태에서의 전력 손실을 적게 하기 위하여 낮은 온 저항 또는 낮은 포화 전압이 요구된다. 또한 오프 상태 또는 스위치가 오프되는 순간에 전력용 반도체 소자의 양단에 인가되는 PN 접합의 역방향 고전압에 견딜 수 있는 특성, 즉 높은 항복전압특성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 디지털 회로와 아날로그 회로에서 가장 일반적인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이다.
탄화 규소(SiC, 실리콘 카바이드)를 이용한 MOSFET 에서 게이트 절연막 역할을 하는 실리콘 산화막과 탄화 규소 계면의 상태가 좋지 않아 이 실리콘 산화막 하단부에 생성되는 채널을 통과하는 전자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끼쳐 전자의 이동도가 매우 낮아진다. 특히, 트렌치 게이트를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식각공정이 필요하므로 더욱 더 좋지 않은 전자 이동도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전자 이동도의 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으나, 이 경우 낮은 문턱 전압으로 인하여 게이트 절연막의 역할을 하는 실리콘 산화막의 두께가 증가한다. 실리콘 산화막은 탄화 규소에서는 성장이 어려우므로, 공정의 난이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트렌치 게이트가 적용된 탄화 규소 MOSFET 에서 온 저항을 감소시키고, 반도체 소자의 수율을 향상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n-형 에피층, 상기 제1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n-형 에피층, 상기 제2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제1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는 p+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산화막, 상기 n+ 영역, 상기 산화막 및 상기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채널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채널은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채널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채널은 반전층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은 축적층 채널일 수 있다.
상기 p+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n+ 영역의 상부면의 연장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p+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의 두께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은 상기 트렌치 및 상기 p+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는 상기 제2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은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제1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n-형 에피층 위에 p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예비 제2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p+ 이온을 주입하여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에 n+ 이온을 주입하여 n+ 영역 및 상기 n+ 영역과 상기 p형 에피층 사이에 제2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및 상기 제1 n-형 에피층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 영역, 상기 n+ 영역 및 상기 산화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p+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상부면 연장선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는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와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채널이 축적층 채널과 반전층 채널을 모두 포함함으로써, 온 저항이 감소되고, 제조 공정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트렌치의 형성을 위한 식각 시, 정렬 오차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채널 폭의 변화에 따른 문턱 전압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제1 n-형 에피층(200), p형 에피층(300),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제1 n-형 에피층(200) 및 제2 n-형 에피층(400)의 도핑 농도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p형 에피층(300) 위에 p+ 영역(500)이 배치되어 있다. p+ 영역(500)은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의 가장자리는 p+ 영역(500)과 접촉되어 있으며, p+ 영역(500)의 두께는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에, p+ 영역(500)의 상부면은 n+ 영역(600)의 상부면의 연장선에 위치한다.
제1 n-형 에피층(200), p형 에피층(300),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에는 트렌치(650)가 형성되어 있다. 트렌치(650)는 p형 에피층(300),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을 관통하고, 제1 n-형 에피층(200)의 일부에 형성되어 있다.
p+ 영역(500)은 트렌치(650)와 떨어져 있고, 트렌치(650)의 양쪽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에,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은 트렌치(650)와 p+ 영역(50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트렌치(650) 내에는 게이트 절연막(700)이 형성되어 있고,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는 게이트 전극(80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800) 및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는 산화막(710)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800)은 트렌치(650)을 채우고 있고, 게이트 절연막(700)과 산화막(710)은 이산화 규소(SiO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도체 소자의 채널(850)은 트렌치(650)의 양쪽의 p형 에피층(300) 및 트렌치(650)의 양쪽의 제2 n-형 에피층(400)에 형성된다. 이러한 채널(850)은 제1 채널(350) 및 제2 채널(450)을 포함한다. 제1 채널(350)은 트렌치(650)의 양쪽의 p형 에피층(300)에 형성된 반전층 채널이고, 제2 채널(450)의 트렌치(650)의 양쪽의 제2 n-형 에피층(400)에 형성된 축적층 채널이다.
이와 같이, 채널(850)이 반전층 채널인 제1 채널(350)과 축적층 채널인 제2 채널(450)을 포함함으로써, 반전층 채널의 장점과, 축적층 채널을 장점을 모두 가지는 효과가 있다.
축적층 채널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는 전자 이동도의 감소를 방지하여 온 저항이 낮아지는 장점이 있지만, 낮은 문턱 전압으로 인하여 게이트 절연막(700)의 두께가 증가한다. 게이트 절연막(700)은 탄화 규소에서 성장이 어려우므로, 게이트 절연막(700)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공정의 난이도가 증가한다.
또한, 반전층 채널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는 충분한 문턱 전압으로 인하여 게이트 절연막(700)의 두께가 축적층 채널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절연막(700)의 두께보다 더 얇다. 이에, 공정의 난이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한다. 하지만, 이산화 규소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700)과 탄화 규소의 계면 상태가 좋지 않아 채널을 통과하는 전자 및 전류의 흐름에 영향을 끼쳐 전자 및 전류의 이동도가 매우 낮아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전하 캐리어의 축적에 의해 형성되는 축적층 채널을 포함함에 따라, 게이트 절연막(700)과 탄화 규소의 계면의 영향을 덜 받아 전자 및 전류의 이동도가 향상되어 온 저항이 감소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전층 채널을 포함함에 따라 문턱 전압이 충분한 수준이므로, 게이트 절연막(700)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껍지 않아 제조 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반전층 채널만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에 비해 채널의 폭의 변화에 따른 문턱 전압의 변화가 적어, 트렌치(650)의 형성을 위한 식각 시, 정렬 오차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이에 반도체 소자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p+ 영역(500), n+ 영역(600) 및 산화막(710) 위에는 소스 전극(900)이 형성되어 있다.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는 드레인 전극(1000)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면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와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특성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2에서의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채널이 반전층 채널만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 및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채널 폭(channel width)의 변화에 따른 문턱 전압(Vth)을 시뮬레이션한 결과는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비교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채널의 폭이 증가할수록 문턱 전압이 감소함을 알 수 있고,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채널의 폭이 증가하여도 문턱 전압이 변화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트렌치 식각 시, 정렬 오차가 발생하여 채널의 폭이 변화하더라도 문턱 전압의 변화가 크지 않기 때문에 공정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는 제조 공정 시, 정렬 오차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으므로, 반도체 소자의 수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러면, 도 3 내지 도 8 및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을 준비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1면에 제1 에피택셜 성장으로 제1 n-형 에피층(200)을 형성한다.
도 4를 참고하면, 제1 n-형 에피층(200) 위에 제2 에피택셜 성장으로 p형 에피층(300)을 형성한 후, p형 에피층(300) 위에 제3 에피택설 성장으로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1 n-형 에피층(200) 및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의 도핑 농도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또한, p형 에피층(300)의 제2 에피택셜 성장으로 형성하지 않고, 제1 n-형 에피층(200) 위에 p 이온을 주입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p+ 이온을 주입하여 p+ 영역(500)을 형성한다. p+ 이온은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과 p형 에피층(300)의 경계까지 주입되어 p+ 영역(500)은 p형 에피층(300) 위에 형성되고, p+ 영역(500)의 상부면은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의 상부면 연장선에 위치한다. 여기서, p+ 이온의 주입은 마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한다. 즉, 마스크를 사용하여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만 노출하고, 노출된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p+ 이온을 주입한다. 이와 같이, p+ 영역(500)은 p+ 이온을 주입하여 형성하므로, p+ 영역(500)을 위한 트렌치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도 6을 참고하면,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에 n+ 이온을 주입하여 n+ 영역(600)을 형성한다. n+ 이온은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과 p형 에피층(300)의 경계까지 주입되지 않는다. 이에, n+ 영역(600)은 p형 에피층(300)과 떨어져 있고, n+ 영역(600)과 p형 에피층(300) 사이에 제2 n-형 에피층(400)이 형성된다. n+ 영역(600)의 가장자리는 p+ 영역(500)과 접촉한다. n+ 영역(600)의 상부면은 p+ 영역(500)의 상부면 연장선에 위치한다. p+ 영역(500)의 두께는 n+ 영역(600) 및 제2 n-형 에피층(400)의 두께의 합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여기서, n+ 이온의 주입은 마스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한다. 즉, 마스크를 사용하여 p+ 영역(500)을 커버하고,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을 노출시켜, 노출된 예비 제2 n-형 에피층(400a)에 n+ 이온을 주입한다.
도 7을 참고하면, 제1 n-형 에피층(200), p형 에피층(300),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을 식각하여 트렌치(650)를 형성한다. 트렌치(650)는 p형 에피층(300), 제2 n-형 에피층(400) 및 n+ 영역(600)을 관통하고, 제1 n-형 에피층(200)의 일부에 형성된다.
도 8을 참고하면, 트렌치(650) 내부에 이산화규소(SiO2)를 이용하여 게이트 절연막(700)을 형성하고,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 게이트 전극(800)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800) 및 게이트 절연막(700) 위에 이산화규소(SiO2)를 이용하여 산화막(710)을 형성한다. 게이트 전극(800)은 트렌치(650)를 채우도록 형성한다.
도 1을 참고하면, p+ 영역(500), 산화막(710) 및 n+ 영역(600) 위에 소스 전극(900)을 형성하고, n+형 탄화 규소 기판(100)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1000)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n+형 탄화 규소 기판 200: 제1 n-형 에피층
300: p 형 에피층 350: 제1 채널
400: 제2 n-형 에피층 400a: 예비 제2 n-형 에피층
450: 제2 채널 500: p+ 영역
600: n+ 영역 650: 트렌치
700: 게이트 절연막 710: 산화막
800: 게이트 전극 850: 채널
900: 소스 전극 1000: 드레인 전극

Claims (15)

  1.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어 있는 제1 n-형 에피층,
    상기 제1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p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제2 n-형 에피층,
    상기 제2 n-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는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을 관통하고, 상기 제1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트렌치,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트렌치와 떨어져 있는 p+ 영역,
    상기 트렌치 내에 위치하는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위치하는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위치하는 산화막,
    상기 n+ 영역, 상기 산화막 및 상기 p+ 영역 위에 위치하는 소스 전극, 그리고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위치하는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채널이 배치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서,
    상기 채널은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제1 채널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채널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3. 제2항에서,
    상기 제1 채널은 반전층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은 축적층 채널인 반도체 소자.
  4. 제1항에서,
    상기 p+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n+ 영역의 상부면의 연장선에 위치하는 반도체 소자.
  5. 제4항에서,
    상기 p+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반도체 소자.
  6. 제5항에서,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은 상기 트렌치 및 상기 p+ 영역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반도체 소자.
  7. 제1항에서,
    상기 제1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는 상기 제2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와 같거나 다른 반도체 소자.
  8.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1면에 제1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n-형 에피층 위에 p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p형 에피층 위에 예비 제2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양쪽 가장자리 부분에 p+ 이온을 주입하여 p+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에 n+ 이온을 주입하여 n+ 영역 및 상기 n+ 영역과 상기 p형 에피층 사이에 제2 n-형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상기 p형 에피층 및 상기 제1 n-형 에피층에 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 내부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위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전극 위에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n+형 탄화 규소 기판의 제2면에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p+ 영역, 상기 n+ 영역 및 상기 산화막 위에 소스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트렌치는 상기 n+ 영역,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p형 에피층을 관통하고,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채널이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서,
    상기 p+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상부면 연장선에 위치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서,
    상기 n+ 영역의 상부면은 상기 p+ 영역의 상부면 연장선에 위치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서,
    상기 p+ 영역의 두께는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의 두께의 합과 동일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2. 제8항에서,
    상기 채널은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p형 에피층에 형성되는 제1 채널 및 상기 트렌치 양쪽 옆의 상기 제2 n-형 에피층에 형성되는 제2 채널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서,
    상기 제1 채널은 반전층 채널이고, 상기 제2 채널은 축적층 채널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4. 제13항에서,
    상기 제2 n-형 에피층 및 상기 n+ 영역은 상기 트렌치 및 상기 p+ 영역 사이에 형성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15. 제8항에서,
    상기 제1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는 상기 예비 제2 n-형 에피층의 도핑 농도와 같거나 다른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130165485A 2013-12-27 2013-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68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85A KR20150076840A (ko) 2013-12-27 2013-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14/468,819 US20150187883A1 (en) 2013-12-27 2014-08-26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14218007.4A DE102014218007A1 (de) 2013-12-27 2014-09-09 Halbleit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CN201410482926.9A CN104752506A (zh) 2013-12-27 2014-09-19 半导体器件以及制造该半导体器件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485A KR20150076840A (ko) 2013-12-27 2013-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840A true KR20150076840A (ko) 2015-07-07

Family

ID=53372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485A KR20150076840A (ko) 2013-12-27 2013-12-27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50187883A1 (ko)
KR (1) KR20150076840A (ko)
CN (1) CN104752506A (ko)
DE (1) DE1020142180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794B2 (en) 2016-06-24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ccumulation layer channel and inversion layer channe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112017B4 (de) 2016-06-30 2020-03-12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halbleitervorrichtung mit vollständig verarmten Kanalregionen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Leistungshalbleitervorrichtung
DE102016112016A1 (de) 2016-06-30 2018-01-04 Infineon Technologies Ag Leistungshalbleiter mit vollständig verarmten Kanalregionen
DE102017130092A1 (de) 2017-12-15 2019-06-19 Infineon Technologies Dresden Gmbh IGBT mit vollständig verarmbaren n- und p-Kanalgebieten
CN111129151A (zh) * 2019-11-28 2020-05-08 深圳第三代半导体研究院 一种碳化硅半积累型沟道mosfet器件及其制备方法
EP4376056A1 (en) * 2021-11-17 2024-05-29 Hubei Jiufengshan Laboratory Silicon carbide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7276329A (zh) * 2023-11-20 2023-12-22 深圳天狼芯半导体有限公司 一种具有沟槽栅的ldmos及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037B1 (en) * 2000-09-28 2002-09-03 General Semiconductor, Inc. Trench DMOS transistor having lightly doped source structure
JP4877286B2 (ja) * 2008-07-08 2012-02-15 株式会社デンソー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15794B2 (en) 2016-06-24 2018-10-30 Hyundai Motor Company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ccumulation layer channel and inversion layer chann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87883A1 (en) 2015-07-02
CN104752506A (zh) 2015-07-01
DE102014218007A1 (de)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625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07996003B (zh) 绝缘栅开关器件及其制造方法
US9570585B2 (en) Field effect transistor devices with buried well protection regions
US7915617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0276709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70301788A1 (en) Semiconductor device
KR20150076840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2012531049A (ja) 傾斜ドープ領域を有する縦型接合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ーおよびダイオードならびに製造方法
KR20150099848A (ko) 게이트 산화물 층에 감소된 전기장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들
US8659057B2 (en) Self-aligned semiconductor devices with reduced gate-source leakage under reverse bias and methods of making
KR20140044075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80068211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78449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62810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7925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124894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202234712A (zh) 具有縮短溝道長度和高Vth的碳化矽金屬氧化物半導體場效電晶體
KR101339277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5328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518586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2335489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71333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6852B1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17054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JP7140642B2 (ja) スイッチング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