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476A -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6476A
KR20150076476A KR1020130164702A KR20130164702A KR20150076476A KR 20150076476 A KR20150076476 A KR 20150076476A KR 1020130164702 A KR1020130164702 A KR 1020130164702A KR 20130164702 A KR20130164702 A KR 20130164702A KR 20150076476 A KR20150076476 A KR 201500764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pherical particles
oil
dimethi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4931B1 (ko
Inventor
전향화
함수진
최은호
조진훈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4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931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9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9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1Encapsulated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1Vitamin A; Derivatives thereof, e.g. ester of vitamin A acid, ester of retinol, retinol, retin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8Cyclodextr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명하고 비저블(visible)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및 상기 포접체를 캡슐화하기 위한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함유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레티노이드 등의 유효 활성 성분을 안정하게 포접하여 적은 양의 유효 활성 물질로도 높은 생체 이용률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투명한 외관을 지녀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 제품으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Description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RANSPARENT AND VISIBLE SPHERICAL PARTICLES}
본 발명은 투명하고 비저블(visible)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레티노이드 및 그 유도체와 같은 레티노이드계 화합물은 자외선 등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억제하고,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주름을 완화하는 등 피부 노화 개선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이드계 화합물은 빛, 열, 산소, 수분 등에 대해 매우 불안정하기 때문에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실용화하기 위해서는 안정화가 요구된다. 그리고 레티노이드계 화합물에 대해서는 생체 내 안정성, 레티노인산 리셉터에 의한 부작용으로써 세포 독성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에 따라, 이러한 레티노이드계 화합물의 피부 노화 개선 효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유도체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레티노이드계 화합물 이외에도, 다양한 종류의 유효 활성 물질에 대해서도 안정성 확보를 위한 유도체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효 활성 물질들은 빛과 열 등에 대해 여전히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특히 레티노이드계 화합물의 경우 레티노인산 리셉터에 대한 결합의 선택성이 낮다. 또한, 유효 활성 물질의 유도체는 유효 활성 물질에 비하여 경피 흡수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유도체가 요구되는 등의 한계가 있다.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안정화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제제로는 가능한 한 공기 및 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전이 온도가 높은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거대 액정을 형성하여 레티노이드를 안정화한 화장료가 제시되었으나(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8674호), 이러한 화장료는 다양한 사용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리포좀을 이용하여 안정화하는 방법이 있으나(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703668호), 이때 화장료 제조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되는데 상기 계면활성제로 인해 리포좀의 안정도가 변화하여 레티노이드 성분이 용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62379호에서는 소수성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와 친수성 고분자를 결합시켜 제조한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의 생리활성 유효성분을 수상에서 안정하게 포집하는 방법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들은 다양한 제형 및 사용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시각적인 차별성을 부여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258674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998-703668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4-0062379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효 활성 물질에 대한 안정화 방법에 대한 연구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유효 활성 물질을 포접에 의해 1차 안정화시키고, 이에 대한 캡슐화를 통해 2차 안정화시킬 경우, 빛, 열, 산소 등으로부터 보다 안정하면서도 우수한 활성이 유지될 수 있음이 확인하였고, 상기 2차 안정화시 캡슐화에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혼합 사용할 경우 투명하고 비저블(visible)한 외관을 갖는 구형 파티클이 형성될 수 있어, 유효 활성 물질의 함유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유효 활성 물질로도 높은 생체 이용률과 향상된 경피 흡수율을 나타냄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효 활성 물질을 안정하게 포접하고 투명한 외관을 지녀 시각적으로 차별화가 가능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게 위해, 본 발명은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및
상기 포접체를 캡슐화하기 위한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투명층
을 함유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구형 파티클은 100 내지 3000 ㎛의 입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형 파티클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은 레티노이드 또는 그 유도체,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알파-비사보롤, 및 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포접체는 유효 활성 물질이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사이클릭 화합물에 의해 포접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명층은 플루란, 히아루론산, 타마린드검, 실리콘 화합물, 오일,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블레미시 밤, 파우더, 팩,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클렌저, 립스틱, 립글로스, 샴푸, 린스, 비누, 아이쉐도우, 또는 마스카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포접에 의해 1차 안정화된 유효 활성 물질을 캡슐화하여 2차 안정화시킨 투명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빛과 열 등으로부터 보다 안정하면서도 우수한 활성이 유지된 유효 활성 물질의 제공을 가능케 하여, 적은 양의 유효 활성 물질로도 높은 생체 이용률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구형 파티클을 투명한 외관을 지녀 시각적으로 차별화된 화장료 제품으로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제조예 1에서 제조된 구형 파티클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크림의 안정성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구형 파티클은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및 상기 포접체를 캡슐화하기 위한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투명층을 포함하며, 투명하면서도 비저블(visible)한 외관을 갖는다.
구형 파티클은 포접에 의해 1차 안정화된 유효 활성 물질을,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사용한 캡슐화에 의해 2차 안정화시킨 것이다. 이러한 구형 파티클은 빛과 열 등으로부터 보다 안정하면서도 활성이 유지된 유효 활성 물질의 제공을 가능케 할 뿐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어 활성 물질의 함유를 시각적으로(Visible) 확인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유효 활성 물질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활성 물질들이 특별한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빛과 열 등으로부터 안정화가 요구되는 활성 물질들이 보다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은 레티노이드 또는 그 유도체,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알파-비사보롤, 및 아데노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상기 유효 활성 물질 중 특히 레티노이드 또는 그 유도체는 빛, 열, 산소, 수분 등에 대해 매우 불안정한데, 본 발명과 같이 구형 파티클의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될 경우보다 향상된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티노이드는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인산,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리에이트,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출원인이 제안한 바 있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94337 호에 개시된 레티노이드 유도체도 상기 일 구현 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구형 파티클에 포함된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는 통상적인 포접법을 이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포접체는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이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사이클릭 화합물에 의해 포접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포접체는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을 포함하는 동결 건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동결 건조체는 통상적인 동결 건조 기술을 이용하여 얻어질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효과가 충분히 발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는, 유효 활성 물질 1 내지 10 중량%, 용매 20 내지 40 중량%, 상기 사이클릭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 및 물 5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진공 분위기의 -100 내지 -150℃ 하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키는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접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용매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유효 활성 물질 및 사이클릭 화합물을 용해시킬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 옥틸도데카놀,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바틸 알코올, 베헤닐 알코올,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아세톤, 디메틸설폭사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N-메틸피롤리돈, 다이옥산,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에틸케톤, 아세토나이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으며 그 중 옥틸도데칸올 및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용매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40 중량 %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접체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사이클릭 화합물은 유효 활성 물질을 포접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 또는 40 내지 6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은 바람직하게 탈이온화된 증류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형 파티클은 전술한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를 캡슐화하기 위한 투명층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구형 파티클은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혼합 사용하여 캡슐화된 것으로서, 이를 통해 보다 투명하고 비저블한 외관이 부여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이러한 구형 파티클의 투명층에는 플루란, 히아루론산, 타마린드검, 실리콘 화합물, 오일, 폴리올, 및 물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는 플루란, 히아루론산, 타마린드검 이외에, 실리콘 화합물, 오일,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캡슐화를 통해 2차 안정화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형 파티클은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1 내지 10 중량%,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피막형성제 0.01 내지 5 중량%, 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오일 10 내지 50 중량%, 폴리올 15 내지 30 중량%, 및 물 2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캡슐화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은 피막형성제로서, 유효 활성 물질의 캡슐화에 적합한 점도를 부여하면서도, 형성된 입자의 형태가 적절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특히 투명하고 비저블한 외관의 구형 파티클을 형성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피막형성제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기로 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캡슐화에 적합한 점도 부여를 하기 위하여 상기 피막형성제는 0.01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피막형성제가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점도가 필요 이상으로 상승하여 캡슐화 공정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투명한 외관의 구형 파티클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막형성제는 5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은 1:0.5∼2:0.5∼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투명한 외관 및 캡슐화를 위해 바람직하다. 상기 피막형성제는 단독으로 사용 시 형성되는 파티클의 강도가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아 혼합 사용하여 강도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함량 또한 포접성분의 안정도 유지 및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한 파티클 강도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슐화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상 중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활성 물질을 안정화시키면서도 피부 등에 도포시 산뜻한 느낌을 부여하고 점도를 높여 피부 굴곡, 즉 주름을 채워 피부를 매끄럽게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활성 물질의 생체 이용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화합물은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및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의 화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와 같은 실리콘계 파우더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40 중량%, 바람직하기로 15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사용감과 생체 이용률 향상 효과의 확보를 위하여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1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실리콘 화합물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고 화장 효과를 나타내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4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슐화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오일상 중 상기 오일은 식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오일, 실리콘 오일, 및 하이드로카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오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일은 망고 버터 오일, 쉐어 버터 오일, 코코아 씨드 버터 오일, 마카다미아넛 오일, 올리브 오일, 미도우폼 씨드 오일, 정제포도씨 오일, 로즈힙 오일, 사플라워 오일, 복숭아씨 오일, 썬플라워 씨드오일 등의 식물성 오일;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스쿠알란, 네오펜틸글라이콜디헵타노에이트,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트리옥타노인, 탄소수 12 내지 15의 알킬에틸헥사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트리카프릴린, 옥틸도데실스테아로일스테아레이트, 비스-하이드록시에톡시프로필디메치콘,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이소트리데실이소노나노에이트, 폴리글리세릴-2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디펜타에리스라이트패티애씨드에스테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세틸옥타노에이트, 오조케라이트, 글리세릴 트리옥타노에이트, 옥틸도데실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이소프로필미리스테이트, 옥틸팔미테이트 등의 합성 에스테르 오일; 페닐트리메치콘,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등의 실리콘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피이지-60 캐스터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을 포함하는 하이드로카본 오일;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으며, 그 중 바람직하게는 사이클로메치콘, 디메치콘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오일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기로 1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안정적인 제형의 구형 파티클을 형성시키기 위해, 상기 오일은 10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오일이 과량으로 포함될 경우 유효 활성 물질의 분산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오일은 5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캡슐화를 위한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상 중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화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올은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 20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즉, 충분한 보습력을 확보하면서도, 수상의 적절한 굴절률 확보를 통해 투명한 외관의 구형 파티클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폴리올은 15 중량% 이상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폴리올이 과량으로 첨가될 경우 사용감이 저하될 수 있고 적절한 굴절률이 확보되지 못해 투명한 외관을 갖는 구형 파티클이 형성되지 못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폴리올은 30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에 대한 캡슐화는 전술한 성분들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구형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처럼 조성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입자화하는 방법은, 통상적인 주사기 방식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외형을 갖는 입자를 형성시킬 수 있어, 보다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상기 캡슐화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Vibration Cut System (스위스 Nisco사)이 이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 이와 같은 상기 캡슐화는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실리콘 화합물 및 오일을 상온 하에서 혼합하고; 여기에 폴리올과 적정량의 물을 혼합하여 반투명한 겔을 형성시키고; 고압 미세 유화기 등으로 유화시킨 후; 피막형성제를 첨가하고, 초음파를 가하여 구형의 파티클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구형 파티클은 투명하고 비저블(Visible)한 외관을 가지고, 100 내지 3000 ㎛의 입경을 갖는다. 상기 입경은 적용하고자 하는 화장료의 종류 및 제형에 따라 다양한 범위에서 조절될 수 있는데, 상기 구형 파티클에 의한 시각적 효과 및 화장료의 사용감 등을 감안하여, 상기 구형 파티클의 입경은 전술한 범위에서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내부의 유효 활성 물질에 따라 다양한 색상 연출이 가능하며, 도 1과 같이 레티놀을 사용할 경우 투명한 노란색을 나타내 소비자로 하여금 감각적인 느낌 또한 어필할 수 있다.
상기 구형 파티클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요구되는 효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형 파티클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일 구현 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블레미시 밤, 파우더, 팩,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클렌저, 립스틱, 립글로스, 샴푸, 린스, 비누, 아이쉐도우, 또는 마스카라 등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구형 파티클은 통상적인 스킨 케어, 바디 케어, 헤어 케어, 메이크업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이들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구형 파티클 제조
(1) 1차 안정화: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용기에 첨가하고, 80℃의 온도 하에서 디스퍼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동결 건조기에 넣어 진공 분위기의 -120℃ 하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켜, 동결 건조된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얻었다.
조성 함량(중량%)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레티노이드 유도체) 5.0
옥틸도데칸올 10.0
디프로필렌글리콜 20.0
감마 사이클로덱스트린 40.0
말토덱스트린 15.0
정제수 10.0
(2) 2차 안정화: 캡슐화 공정
하기 표 2의 조성을 이용하여 구형 파티클을 제조하였다.
먼저, (A)성분들을 상온 하에서 헨셀 믹서를 이용하여 5분 동안 혼합하였고, 여기에 상기 (B)성분들을 혼합하여 반투명한 겔을 얻었다. 상기 혼합물을 고압 미세 유화기(1000bar)에 연속 3회 통과시킨 후, 상기 (C)성분들을 첨가한 후, 초음파를 가하여 구형 파티클을 얻었다. 이때 초음파는 Vibration Cut System (스위스 Nisco사)을 사용하였다.
조성 함량(중량%)
A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25.0
사이클로메치콘 10.0
동결 건조된 레티노이드 유도체 10.0
B 디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7.0
부틸렌글리콜 7.0
정제수 33.0
C 플루란 1.0
히아루론산 1.0
타마린드검 1.0
비교제조예 1∼3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되,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의 함량을 하기와 같이 바꾸어 구형 파티클을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비교 제조예 1 비교 제조예 2 비교 제조예 3
A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25.0 25.0 25.0
사이클로메치콘 10.0 10.0 10.0
동결 건조된 레티노이드 유도체 10.0 10.0 10.0
B 디프로필렌글리콜 5.0 5.0 5.0
글리세린 7.0 7.0 7.0
부틸렌글리콜 7.0 7.0 7.0
33.0 33.0 33.0
C 플루란 3.0 - -
히아루론산 - 3.0 1.5
타마린드검 - - 1.5
상기 비교 제조예 1의 구형 파티클은 강도가 높아 피부 도포 시 파티클의 붕괴가 일어나지 않아 내부의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이용이 어려우며, 이로 인한 잔여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비교예 2의 조성의 경우 히알루론산 단독 사용의 경우 구형 파티클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다.
그리고 비교예 3의 경우 히아루론산과 타마린드검을 혼합 사용하였으나, 강도가 약해 에센스나 크림 등 제형화 공정에서 파티클이 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이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 적합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구형 파티클을 이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얻었으며, 이때 그 함량은 하기와 같다.
조성 (중량%) 실시예 1 비교예 1
제조예 1의 구형 파티클 10.0 -
레티놀 원액 - 0.1
폴리글리세릴-3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3.0 3.0
세테아릴알코올 1.5 1.5
스쿠알란 6.0 6.0
해바라기씨 오일 3.0 3.0
디메치콘 2.0 2.0
글리세린 8.0 8.0
카보폴 0.36 0.36
정제수 잔부 잔부
시험예 1 ( 경피 흡수율)
8주 정도의 암컷 무모 기니아피그 (strain IAF/HA-hrBR)를 준비하였다. 기니아피그의 복부 피부를 절취한 후 Franz-type diffusion cell (Lab fine instruments, korea)에 장착하여 실험하였다. Franz-type diffusion cell의 Receptor 용기 (5ml)에 50mM 인산염 완충액 (pH 7.4, 0.1M Nacl)을 넣어준 후, diffusion cell을 32℃, 600 rpm으로 혼합, 분산시켜 주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1 또는 비교예 1에 따른 크림 50㎕를 donor 용기에 넣어 주었다.
미리 예정한시간에 따라 흡수 확산해 주었으며, 흡수 확산이 일어나는 피부의 0.64㎠가 되게 하였다. 유효성분의 흡수 확산이 끝난 후에는 건조된 kimwipes 또는 10ml의 에탄올로 흡수되지 못하고 피부에 남아 있는 유화물을 씻어주었다. 팁-타입 균등기를 이용하여 유효성분이 흡수 확산되어 있는 피부를 갈아준 후, 피부 내부로 흡수된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4ml의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추출액을 0.45㎛ 나일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 여과막으로 여과하고, HPLC법 (컬럼: C18 (4.6x 200mm, 5㎛), 이동상: 메탄올:헥산=2:1, 유속: 0.8 ml/min, 검출기: UV 275nm)으로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경피 흡수량 (㎍) 1.00 0.15
상기 표 5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크림은 활성 물질을 제조예 1에 따른 구형 파티클의 형태로 포함함에 따라,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원액을 함유한 비교예 1의 크림에 비하여, 약 6.7배 높은 경피 흡수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활성 물질의 안정성)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크림을 (a) 빛에 노출시키거나, (b) 빛이 존재하지 않는 40℃ 하에 노출시키거나, (c) 빛이 존재하지 않는 25℃ 하에 노출시켜,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 변화를 1주일 단위로 총 4 주간 측정하였다. 이때,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은 HPLC 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상세한 분석방법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 분석에 사용한 HPLC는 Waters model 1525 Gradient system으로 1525 Binary HPLC Pump, 2707 Autosampler, 2998 Photodiode Array Detector로 구성되었다. 분석은 Shiseido capcell pak C18(4.6mm*250mm, 5㎛)컬럼으로 메탄올 100%를 이동상으로 하여 1.0ml/min 유량조건으로 실시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각각 10㎕씩을 가지고 345nm 측정 파장 조건에서 Empower 3 Personal Single System Software를 사용하여 검액 및 표준액의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 피크 면적을 분석하였다.
상기의 HPLC 분석법에 사용된 검액 및 표준액 제조방법은 하기의 방법과 같다. 이때 검액은 각 조건에 보관된 조성물로 제조하였다.
검액은 조성물 1.0g을 정밀하게 달아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 혼합액(1:1) 10ml를 넣어 분산시킨 다음 메탄올을 넣어 100ml로 하고 초음파 추출 후 0.45㎛ 주사기 필터로 여과하여 제조하였고 표준액은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 표준품 약 0.0005g을 정밀하게 달아 에탄올과 디클로로메탄 혼합액(1:1) 10ml 넣어 녹인 후 다시 메탄올을 넣어 100ml로 하여 제조하였다.
검액 및 표준액 각각 10㎕씩을 가지고 345nm 측정파장조건에서 Empower 3 Personal Single System Software를 사용하여 검액 및 표준액의 비스-레틴아미도메틸펜탄 피크 면적을 분석하였다.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역가 결과는 조성물 내 첨가한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함량에 대비한 상기의 HPLC 분석법으로 3회 분석한 평균 함량의 백분율로 표기하였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크림은 활성 물질을 제조예 2에 따른 구형 파티클의 형태로 포함함에 따라, 레티노이드 유도체의 원액을 함유한 비교예 1의 크림에 비하여, 빛, 열, 또는 빛과 열의 존재 하에서도 활성 물질의 함량이 높게 유지되었고, 특히 4주 경과 시점에서는 최대 약 2배 정도의 함량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제형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제형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제형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에센스 A
하기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제조예 1의 구형 파티클 10.0
카보폴 0.40
글리세릴아크릴레이트/아크릴릭애씨드코폴리머 20.0
글루타믹액씨드 5.0
소듐이디티에이 0.05
수산화칼슘 0.03
피이지-32 3.0
글리세린 7.0
정제수 잔부
제형예 2: 에센스 B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제조예 1의 구형 파티클 10.0
카보폴 0.5
폴리글루타믹액씨드 1.0
알란토인 0.1
소듐이디티에이 0.05
수산화칼슘 0.03
피이지-32 3.0
글리세린 7.0
정제수 잔부
제형예 3: 로션
하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은 조성으로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조성 중량%
제조예 1의 구형 파티클 10.0
폴리글리세릴-3스테아레이트/시트레이트 2.0
세테아릴알콜 0.5
해바라기씨오일 5.0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디메치콘 4.0
글리세린 5.0
카보폴 0.2
정제수 잔부

Claims (13)

  1.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및
    상기 포접체를 캡슐화하기 위한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투명층
    을 함유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파티클은 100 내지 3000 ㎛의 입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파티클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은 레티놀, 레티날, 레티노인산, 레티닐 아세테이트, 레티닐 프로피오네이트, 레티닐 리놀리에이트, 및 레티닐 팔미테이트, 유용성 감초, 에틸 아스코빌 에테르, 알파-비사보롤, 아데노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접체는 유효 활성 물질이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사이클릭 화합물에 의해 포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는 유효 활성 물질 1 내지 10 중량%, 용매 20 내지 40 중량%, 사이클릭 화합물 30 내지 60 중량%, 및 물 5 내지 20 중량%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진공 분위기의 -100 내지 -150℃ 하에서 24 내지 72시간 동안 동결 건조시켜 제조한 동결 건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파티클의 투명층은 플루란, 히아루론산, 타마린드검, 실리콘 화합물, 오일, 폴리올, 및 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형 파티클은 전체 100 중량%를 만족하도록
    유효 활성 물질의 포접체 1 내지 10 중량%,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을 포함하는 피막형성제 0.01 내지 5 중량%, 실리콘 화합물 10 내지 40 중량%, 오일 10 내지 50 중량%, 폴리올 15 내지 30 중량%, 및 물 20 내지 60 중량%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초음파를 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루란, 히아루론산 및 타마린드검은 1:0.5∼2:0.5∼2의 중량비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화합물은 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스-이소부틸피피지-20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페닐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실리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식물성 오일, 합성 에스테르 오일, 실리콘 오일, 하이드로카본 오일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말티톨, 소르비톨, 폴리글리세린, 폴리에틸렌글리콜, 펜탄디올, 이소프렌글리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수, 로션, 크림, 에센스, 블레미시 밤, 파우더, 팩,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클렌저, 립스틱, 립글로스, 샴푸, 린스, 비누, 아이쉐도우, 또는 마스카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30164702A 2013-12-27 2013-12-27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49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702A KR102134931B1 (ko) 2013-12-27 2013-12-27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702A KR102134931B1 (ko) 2013-12-27 2013-12-27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476A true KR20150076476A (ko) 2015-07-07
KR102134931B1 KR102134931B1 (ko) 2020-07-16

Family

ID=537894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702A KR102134931B1 (ko) 2013-12-27 2013-12-27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93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38A (ko) * 2017-12-20 2019-06-28 (주)소우영 풀루란-레티노이드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190140604A (ko) 2018-06-12 2019-12-20 이원목 투명성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CN111096921A (zh) * 2019-11-13 2020-05-05 蔡先民 一种胶原蛋白保湿防晒霜
KR102425973B1 (ko) * 2022-04-18 2022-07-29 (주)에데니끄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EP3962963A4 (en) * 2019-04-30 2023-05-10 Taka USA, Inc. METHOD FOR FORMING INCLUSION COMPLEXES CONTAINING HYDROPHILIC BETA-CYCLODEXTRIN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SITIONS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668A (ko) 1995-04-03 1998-12-05 콜비 안드라 엘 레티노이드와 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0258674B1 (ko) 1997-09-12 2000-07-01 서경배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20040062379A (ko)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541753B1 (ko) * 1999-07-27 2006-0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6702A (ko) * 2006-06-13 2009-02-17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큰 입자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9123257A1 (ja) * 2008-04-02 2009-10-0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KR20100127580A (ko) * 2009-05-26 2010-12-06 (주)바이오제닉스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7842A (ko) *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703668A (ko) 1995-04-03 1998-12-05 콜비 안드라 엘 레티노이드와 리포좀을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0258674B1 (ko) 1997-09-12 2000-07-01 서경배 안정성이 개선된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친수형 화장료의 제조방법
KR100541753B1 (ko) * 1999-07-27 2006-01-10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마이크로캡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62379A (ko) 2002-12-31 2004-07-07 주식회사 태평양 자기회합성을 갖는 양친성 고분자를 사용하여 난용성물질을 포집시켜 제조한 나노입자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16702A (ko) * 2006-06-13 2009-02-17 카아길, 인코포레이팃드 큰 입자 시클로덱스트린 포접 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09123257A1 (ja) * 2008-04-02 2009-10-08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ソフトカプセル皮膜及びソフトカプセル
KR20100127580A (ko) * 2009-05-26 2010-12-06 (주)바이오제닉스 안정화된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30047842A (ko) * 2011-11-01 2013-05-09 최화숙 화장료용 이중 캡슐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4538A (ko) * 2017-12-20 2019-06-28 (주)소우영 풀루란-레티노이드 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방지용 조성물
KR20190140604A (ko) 2018-06-12 2019-12-20 이원목 투명성상의 이중구조를 갖는 입술 화장료 조성물
EP3962963A4 (en) * 2019-04-30 2023-05-10 Taka USA, Inc. METHOD FOR FORMING INCLUSION COMPLEXES CONTAINING HYDROPHILIC BETA-CYCLODEXTRIN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SITIONS
CN111096921A (zh) * 2019-11-13 2020-05-05 蔡先民 一种胶原蛋白保湿防晒霜
KR102425973B1 (ko) * 2022-04-18 2022-07-29 (주)에데니끄 항균 및 소취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931B1 (ko)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2960B (zh) 包括含有高湿点颗粒的微囊的组合物
US8980293B2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retinol stabilized by porous polymer beads and nanoemulsion
EP3160424B1 (fr)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gélifiant lipophile, au moins une charge particulière et une phase grasse
WO2015082660A1 (fr) Microcapsules lipidiques comprenant de preference un actif lipophile et composition les contenant,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en dermatologie et en cosmetique
KR101192161B1 (ko) 다공성 폴리머 비드와 나노 에멀젼에 의해 안정화된 레티놀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3160425B1 (fr)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gelifiant lipophile, au moins deux charges distinctes et une phase grasse
KR102134931B1 (ko) 투명하고 비저블한 구형 파티클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R3061009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une ou plusieurs huile(s) polaire(s), un monoalcool aliphatique en c2-c6 et un polyol, au moins un actif hydrophile, et comprenant moins de 7% en poids d’eau
KR20120068224A (ko) 금 코팅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424A (ko) 미백능과 항노화능이 뛰어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0215A (ko) 올레오좀 형태의 o/w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EP1795176A2 (fr) Composition cosmétique foisonnée de faible densité
DE102008044700A1 (de) Zusammensetzungen für die topische Anwendung in der Hautpflege mit verbessertem Wirkprofil
EP1559396A1 (fr) Procédé de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pour le traitement cosmétique des matiéres kératiniques à partir de fluide sous pression et de composés cosmétiquement actifs liquids piegés par des particules
KR100896697B1 (ko) 고압유화기술에 의한 대황추출물의 경피흡수 촉진방법 및이를 응용한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030214A (ko) 제미니형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o/w 유액으로의 색상 변화 조성물
FR2946253A1 (fr) Compositions a base d'acide ascorbique et de neohesperidine et leurs utilisations
KR100787784B1 (ko) 과립을 함유하는 입술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FR2945208A1 (fr) Emulsion huile-dans-eau stabilisee par un systeme emulsionnant particulier
FR3030272A1 (fr) Procede cosmetique de traitement des matieres keratiniques mettant en oeuvre une composition anhydre comprenant un corps gras et une microemulsion
FR2971707A1 (fr) Composition cosmetique aqueuse contenant des particules de materiau composite et du gamma-oryzanol
KR102226108B1 (ko) 유화 친수성 겔화제를 포함하는 유액 형태의 색상 변화 조성물
Bugaj Intradermal delivery of active cosmeceutical ingredients
KR102342903B1 (ko) 세륨옥사이드를 포함하는 광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45402B1 (ko) 산자나무 오일을 함유하는 에멀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