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6090A - 모종 이식기 - Google Patents
모종 이식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76090A KR20150076090A KR1020140183206A KR20140183206A KR20150076090A KR 20150076090 A KR20150076090 A KR 20150076090A KR 1020140183206 A KR1020140183206 A KR 1020140183206A KR 20140183206 A KR20140183206 A KR 20140183206A KR 20150076090 A KR20150076090 A KR 201500760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lutch
- partial
- coarse
- seedling
- clutch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9/00—Arrangements for driving working parts of fertilisers or see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과제]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 조작시의 오조작을 방지해서 여분의 모종의 이식 방지나, 필요한 모종의 이식 잊음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좋은 모종 이식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부를 설치하고, 모종 식부부에 복수의 식부장치를 설치하고,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각각 접속/차단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설치하고, 부분 조 클러치를 각각 접속/차단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부재를 설치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거하여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을 보류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부분 조 클러치 중 단부가 아니고 또한 차단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에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는 구성으로 한다.
[해결 수단]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부를 설치하고, 모종 식부부에 복수의 식부장치를 설치하고,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각각 접속/차단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설치하고, 부분 조 클러치를 각각 접속/차단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부재를 설치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거하여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실행하거나, 또는 실행을 보류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부분 조 클러치 중 단부가 아니고 또한 차단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에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식기 등의 모종 이식기에 관한 것이다.
소정 조(條; row)마다의 모종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partial row clutches)를, 조종부에 설치한 접속/차단 스위치로 스위칭 조작하는 모종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
이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 기구는 기체 좌측의 부분 조 클러치로부터 기체 우측의 부분 조 클러치를 향해서, 또는 그 역방향을 향해서 부분 조 클러치를 순차적으로 접속/차단하는 것이다(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또한, 정역전 가능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위칭 캠으로 복수의 스위칭 암을 단계적으로 회전시키고, 복수의 스위칭 암 및 부분 조 클러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조작하여 대응하는 모종 식부장치, 및 모종 이송 벨트를 접속/차단하는 모종 이식기가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모종 이식기에서는 좌단부 또는 우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한 후 반대의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 또는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면, 좌우간의 모든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모든 부분 조 클러치가 의도에 반해서 차단 상태로 될 경우가 있다. 접속/차단 스위치가 오조작되었을 때는 오조작을 캔슬하는 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 능률이 현저하게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작업자가 접속/차단 스위치를 몇번이나 조작해서 차단 상태로 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잘못해서 접속 상태로 하면, 모종이 식부가 불필요한 위치에 심어져서 모종이 여분으로 소비되는 문제나, 모종이 식부가 필요한 위치에 심어지지 않아 수작업으로 모종을 심지 않으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고려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모종 이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부(4)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에 복수의 식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각각 접속/차단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각각 접속/차단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부재를 설치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을 보류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 중 단부가 아니고 또한 차단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일 때에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면 차단 상태가 되고,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와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며,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와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임과 아울러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일 때,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면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일측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일 때,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의 중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조작하면 상기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는 접속 상태로 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 중 상기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보다 타측 단부측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 상태로 되어서 상기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다.
청구항 5의 발명은,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분 조 클러치는 접속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모두 차단 조작하면,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의 조작한 순서에 관계없이 모든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상기 조작 부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통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통지 부재는 조작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을 때에 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상기 모종 식부부(4)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의 상승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2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차체(2)를 조타하는 조타 부재(34)를 설치하고, 상기 조타 부재(34)의 조타량을 검지하는 조타 검지 부재(22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210)가 모종 식부부(4)의 상승을 검지하면 모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거나, 또는 상기 조타 검지 부재(220)가 조타 부재(34)의 소정량이상의 조타량을 검지했을 때에 모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상기 모종 식부부(4)에 적재한 모종을 식부장치에 각각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종 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스위칭하는 클러치 유닛(70)을 모종 식부부(4)의 상측 프레임(411)에 설치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411)보다 하방에 하측 프레임(412)을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 유닛(70)과 부분 조 클러치를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클러치 유닛(70)과 모종 이송장치를 상기 모종 이송장치를 접속/차단하는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로 연결하고, 상기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은 상측 프레임(411)과 하측 프레임(412)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모종 이식기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해서, 단부가 아니고 또한 차단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면,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을 보류함으로써 오조작에 의해 이식이 필요한 위치에 모종이 이식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모종을 이식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일측 단부의 조작 부재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고 있을 때에는 이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함으로써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순서에 관계없이 필요한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한 조작 부재의 캔슬 조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지 않고 있을 때는, 이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을 보류함으로써 오조작에 의해 이식이 필요한 위치에 모종이 이식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수작업으로 모종을 이식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이며,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일 때에,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면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오조작한 조작 부재의 캔슬 조작을 하는 않고 차단 상태로 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변경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일측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일 때,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조작하면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고,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보다 타측 단부측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 상태로 되어서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보다 타측 단부측의 부분 조 클러치를 조작하지 않고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는 부분 조 클러치를 조작하면 이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오조작에 의해 비연속 위치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이 방지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모두 차단 조작하면 조작한 순서에 관계없이 모든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조작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을 때에 통지 부재가 보류 상태를 표시함으로써,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부분 조 클러치의 조작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오조작이 방지됨과 아울러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모종의 이식을 중단하기 위해 모종 식부부(4)를 상승시키거나, 또는 선회 주행시에 조타 부재(34)가 소정량 이상 조타되면 모든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모종 이식의 재개시, 또는 선회 종료시에 작업자가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조작할 필요가 없어 작업능률이나 조작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해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1항의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클러치 유닛(70)과 모종 이송장치를 연결하는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이 모종 식부부(4)의 상측 프레임(411)과 하측 프레임(412)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함으로써, 케이블이 다른 부재에 간섭하기 어려운 콤팩트한 경로 배정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모종 이식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블럭도,
도 4는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5는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6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7은 모종 식부부의 부분 배면도,
도 8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2는 모종 이식기의 평면도,
도 3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블럭도,
도 4는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5는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6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도 7은 모종 식부부의 부분 배면도,
도 8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
이하,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식기(8)는 좌우의 전륜(10) 및 후륜(11)을 구비한 주행차체(2)의 뒷측에 승강 유압실린더(46)에 의해 상하 회동하는 승강 장치(3)를 통해서 모종 식부부(4)가 승강 가능하게 장착되고, 주행차체(2)의 뒷부 상측에 시비장치(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외부 인출 동력은 주행차체(2)의 뒷부의 식부 클러치 케이스(25)에 전달되고, 식부 전동축(26)을 통해서 모종 식부부(4)에 전동된다. 운전석(31)의 전방에는 각종 조작기구를 내장하는 프론트 커버(32)가 있고, 상기 프론트 커버(32)의 상방에 좌우의 전륜(10)을 조작하는 조타 부재(34)를 설치한다.
모종 식부부(4)는 적재한 매트 모종을 소정 간격마다 하방으로 이송하는 모종 이송 벨트(51b)를 구비하는 모종 적재대(51)와, 상기 모종 적재대(51)로부터 모종을 집어서 포장에 이식하는 모종 식부장치로 구성한다. 상기 모종 식부장치는 식부 전동 케이스(50)의 식부 구동축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일체 회전하는 로터리 케이스(16)와, 상기 로터리 케이스(16)의 양단부에 각각 모종 식부구(54)가 부착되어 있다.
이어서,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블럭도이며, 평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의 상기 식부 전동 케이스(50) 및 모종 식부장치와, 상기 모종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2조마다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모종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2조마다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식부 전동 케이스(50)로부터 4개로 분기되는 각각의 후단부에 2조분의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식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4개의 모종 식부장치를 기체의 좌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 1 모종 식부장치(52a), 제 2 모종 식부장치(52b), 제 3 모종 식부장치(52c) 및 제 4 모종 식부장치(52d)라고 한다.
식부 전동 케이스(50)의로부터 4개로 분기되는 각각의 후단부에는 로터리 케이스(16) 및 모종 식부구(54)에의 구동력을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각각 설치하고 있고, 모종 식부장치마다의 식부 동작을 개별적으로 접속/차단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에 의해 각각 제 1 내지 제 4 모종 식부장치(52a, 52b, 52c, 52d)에의 전동이 접속/차단된다.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는 각각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 72d)에 의해 클러치 유닛(70)에 접속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 72d)이 클러치 유닛(70)에 의해 각각 인장됨으로써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가 차단 상태로 되고,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모종 식부장치(52a, 52b, 52c, 52d)에의 전동이 차단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의 접속 지시 및 차단 지시를 행하는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각각 조타 부재(34)의 근방에 배치된다.
작업자는 운전석(31)에 앉은 상태에서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를 조작하여 제어장치(200)에 클러치 유닛(70)의 부분 조 클러치의 스위칭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장치(200)가 소정의 제어 기준에 의거하여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의 접속/차단 지시를 제 1 내지 제 4 모종 식부장치(52a, 52b, 52c, 52d)에 각각 실행시키거나, 또는 보류시키는 제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소정의 제어 기준은 3가지 조건에 의해 규정된다. 우선,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 지시는 반드시 실행된다.(조건A)
이어서, 좌단의 제 1 모종 식부장치(52a)에 대응하는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의 차단 지시, 및 우단의 제 4 모종 식부장치(52d)에 대응하는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는 제 1 모종 식부장치(52a)에 대응하는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 및 제 4 모종 식부장치(52d)에 대응하는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 중 적어도 한쪽은 접속이 되도록 실행거나, 또는 보류된다.(조건B)
그리고, 제 1 모종 식부장치(52a)와 제 4 모종 식부장치(52d)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모종 식부장치(52b) 및 제 3 모종 식부장치(52c)에 대응하는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 및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의 차단 지시는 차단인 부분 조 클러치에 대응하는 모종 식부장치가 제 1 모종 식부장치(52a) 및 제 4 모종 식부장치(52d) 중 어느 한쪽까지 연속하도록 실행되거나, 또는 보류된다.(조건C)
상기 조건 A, B, C에 있어서,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지시의 보류 상태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지시가 행해져 있고, 또한 차단 지시가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실행된 차단 지시가 나중에 보류되는 경우가 있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의거하여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l), 및 도 5(m)∼(s)는 본 발명의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이다.
도 4(a)∼(l), 및 도 5(m)∼(s)에 있어서는, 좌측에는 스위칭 조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우측에는 스위칭 조작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흰 동그라미는 「접속 지시 실행」 상태를 나타내고, 검은 동그라미는 「차단 지시 실행」 상태를 나타내고, 사선은 「차단 지시 보류」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하향의 화살표는 스위칭 조작을 행한 조작 부재를 나타낸다.
제 1 내지 제 4 모종 식부장치(52a, 52b, 52c, 52d)에의 전동의 접속/차단을 일제히 행하는 메인 스위치(202)(도 3 참조)를 조작하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모두 「접속 지시 실행」으로 된다. 또한, 메인 스위치(202)는 제어장치(200)로부터 독립하여 PTO축으로부터 모든 모종 식부장치에의 전동의 접속/차단을 행하는 스위치이다. 상기 메인 스위치(202)의 조작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는 모두 접속 상태로 되고, 후술하는 스위칭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제 1 조작 부재(201a)를 조작해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에의 차단 지시를 행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a) 참조].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접속 상태이므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가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의 차단 지시를 실행해서 차단 상태로 해도 조건B는 만족된다. 여기에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는 차단 상태로 되고,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접속 상태는 계속된다. 이 때,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 및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의 접속 상태도 계속되므로 조건C는 만족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의 상태는 순차적으로 「차단 지시 실행」, 「접속 지시 실행」, 「접속 지시 실행」 및 「접속 지시 실행」으로 된다.
이어서, 제 4 조작 부재(201d)를 조작해서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에의 차단 지시를 행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b) 참조]. 이 때,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는 차단 상태이므로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를 실행해서 차단 상태로 하면 조건B는 만족되지 않는다.
그래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의 차단 상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는 보류되어서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접속 상태는 계속된다. 이 때,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 및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의 접속 상태도 계속되므로 조건C는 만족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의 상태는 순차적으로 「차단 지시 실행」, 「접속 지시 실행」, 「접속 지시 실행」 및 「차단 지시 보류」로 된다.
이어서, 제 2 조작 부재(201b)를 조작해서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에의 차단 지시를 행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4(h) 참조].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는 차단 상태이므로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가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의 차단 지시를 실행해서 차단 상태로 해도 조건C는 만족된다.
이 때,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를 차단 상태로 함과 아울러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의 접속 상태를 계속한다. 또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의 차단 상태가 계속되고,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가 보류 상태이므로 조건B는 만족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의 상태는 순차적으로 「차단 지시 실행」, 「차단 지시 실행」, 「접속 지시 실행」 및 「차단 지시 보류」로 된다.
이어서, 제 1 조작 부재(201a)를 조작해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에의 접속 지시를 행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도 5(m) 참조].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가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의 접속 지시를 실행해서 접속 상태로 하므로 조건A는 만족된다.
그러면,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가 접속 상태로 되므로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보류되어 있던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를 실행해도 조건B는 만족된다. 그래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속 상태로 되고, 보류되어 있던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의 차단 지시는 실행되어서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차단 상태로 된다.
그러나,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가 접속 상태인 것에 의해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가 차단 지시를 실행해서 차단 상태로 되어 있으면 조건C는 만족되지 않는다. 그래서, 실행되어 있던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의 차단 지시가 보류되어서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는 접속 상태로 되고,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가 접속 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의 상태는 순차적으로 「접속 지시 실행」, 「차단 지시 보류」, 「접속 지시 실행」 및 「차단 지시 실행」으로 된다.
메인 스위치(202)를 차단 조작해서 차단 지시를 내면,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는 모두 차단 상태로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모종 식부장치(52a, 52b, 52c, 52d) 중 적어도 하나가, 예를 들면 1조분의 모종을 이식하는 모종 식부장치이어도 상기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동작의 실현은 가능하다.
또한, 전식기(8)가 예를 들면 6조 심기의 전식기이여도 스위칭 조작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행하여지는 부분 조 클러치 기구로 할 수도 있다. 도 6(a)∼(j)은 6조 심기의 전식기의 부분 조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스위칭 조작의 설명도이다.
또한, 제어장치(200)는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에 의한 스위칭 조작에 관계 없이 상승 검지 부재(210)가 모종 식부부(4)의 상승을 검지했을 때, 또는 조타 검지 부재(220)가 조타 부재(34)의 소정량 이상의 조타를 검지했을 때에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의 접속 지시를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에 행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다.
모종의 식부 작업을 행할 때에는, 소정 폭의 침지(枕地) 부분을 제외하고 포장의 단부에 이를 때마다 모종 식부부(4)를 상승시킴과 아울러 조타 부재(34)의 조작에 의해 주행차체(2)를 선회시키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이 때, 모종 식부부(4)가 소정의 높이까지 상승한 것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210), 또는 조타 부재(34)가 소정량 이상 조타된 것을 검지하는 조타 검지 부재(220) 중 적어도 한쪽이 검지 상태로 되면,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를 일단 접속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포장 단부에서의 선회 후에 모종 식부부(4)를 하강시켜 다음 모종의 식부를 시작할 때에, 차단 상태로 되어 있는 부분 조 클러치가 없으므로 모종의 식부를 행할 필요가 있는 조에 모종이 이식되지 않는 것이 방지되어 수작업으로 모종을 이식하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가 모두 차단 조작된 상태로 되면,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 또는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 중 나중에 차단 조작된 측의 접속 상태를 유지하지 않고, 제 1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 71d)의 전체 조가 차단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하에서는, 도 8에 의거하여 전체 조 차단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로 제 1 조작 부재(201a)를 차단 조작해서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를 차단 상태로 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번째로 제 2 조작 부재(201b)를 차단 조작하면 제 2 부분 조 클러치(71b)가 차단 상태로 되고, 이어서 제 3 조작 부재(201c)를 차단 조작하면 제 3 부분 조 클러치(71c)가 차단 상태로 되며, 최후로 제 4 조작 부재(201d)를 차단 조작하면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도 차단 상태로 되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모두 「차단 지시 실행」으로 된다.
도 8(b)∼(g)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를 조작하는 순서에 관계없이 최종적으로는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모두 「차단 지시 실행」으로 된다.
도 8(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번째로 제 3 조작 부재(201c)가 차단 조작되면 제 2와 제 3 부분 조 클러치(71b ,71c)가 접속 상태에서 보류된다. 3번째로, 제 1 조작 부재(201a)가 차단 조작되면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가 차단 상태가 되고, 그 후 제 4 조작 부재(201d)를 차단 조작하면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차단 상태로 되어,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모두 「차단 지시 실행」으로 된다. 또한, 3번째로 제 4 조작 부재(201d)가 차단 조작되면 제 2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b, 71c, 71d)가 차단 상태로 된다.
도 8(g)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번째로 제 4 조작 부재(201d)가 차단 조작되면 제 4 부분 조 클러치(71d)가 차단 상태로 되고, 제 2 부분 조 클러치는 접속 상태에서 보류된다. 3번째로 제 3 조작 부재(201c)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에는 제 2 내지 제 4 부분 조 클러치(71b, 71c, 71d)가 차단 상태로 된다.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 지시 중은 소등되고,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지시에 의한 차단 지시의 실행 중은 연속적으로 점등되며,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지시의 보류 중은 점멸되는 구성으로 한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는 접속 지시 중, 차단 지시 중 및 차단 지시의 보류 중을 판단할 수 있으면, 상기 이외의 통지 방법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내지 제 4 조작 부재(201a, 201b, 201c, 201d)에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지시가 보류 중인 것을 점멸에 의해 나타내므로 작업자가 시인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차단 지시의 보류에 의해 접속 상태로 되어 있는 부분 조 클러치가 있는 것을 알아차리기 쉬워지므로, 조작 부재의 오조작에 의해 모종을 이식할 필요가 없는 조에서 식부 작업이 행하여지는 것이 방지되어 모종의 소비가 감소됨과 아울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이어서, 도 7에 의거하여 본건 전식기(8)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전식기(8)의 부분 배면도이며, 6조 심기의 전식기(8)의 모종 식부부(4)의 배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식부 조수는 일례이며, 증감시켜도 좋다.
매트 모종을 적재하는 모종 적재대(51)는 좌우 한쌍의 모종 이송 벨트(51b)로 구성되는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장치(401a, 401b, 401c)를 갖고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장치(401a, 401b, 401c)는 각각 2조분의 모종 이송 벨트(51b)가 연동해서 작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장치(401a, 401b, 401c)는 각각 대응하는 모종 식부장치에 모종을 안내하고, 매트 모종의 횡 1열분이 모종 식부장치에 공급되면 매트 모종을 하방으로 이송한다.
모종 적재대(51)는 주행차체(2)측 상하 방향의 좌측 스테이(413) 및 우측 스테이(414)의 상부에 설치하는 상측 프레임(411)과, 상기 상측 프레임(411)보다 기체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프레임(412)으로 구성하는 식부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적재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 유닛(70)은 상측 프레임(411)에 고정되어 있고,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를 접속/차단 함과 아울러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장치(401a, 401b, 401c)를 접속/차단한다. 또한, 클러치 유닛(70)은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를 차단 상태로 할 때에는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을 직접적으로 인장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에 각각 접속되어 있는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 430b, 430c)을 간접적으로 인장하지만,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71a, 71b, 71c)를 접속 상태로 할 때에는 바이어싱 포오스를 갖는 탄성 부재(도면에는 나타내지 않는다)를 이용한다. 또한, 작업자는 제 1 내지 제 3 조작 부재(201a, 201b, 201c)를 조작하여 제어장치(200)로부터 클러치 유닛(70)에 스위칭 제어를 실행시킨다.
제 1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은 클러치 유닛(70)으로부터 좌측 스테이(413)에 고정되어 있는 분할기(441)에서 분기되어, 일측 단부는 제 1 부분 조 클러치(71a)에 연결되고, 타측 단부는 하측 프레임(412)에 설치하는 착탈기(45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은 상기 식부 프레임에 설치하고, 모종 적재대(51)와 연결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어서,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은 착탈기(451)를 경유해서 제 1 모종 이송장치(401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은 상측 프레임(411)과 하측 프레임(412)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시켜서 배치하고 있다. 상기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은 상기 모종 적재대(51)에 연결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제 2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b)과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c), 및 제 2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b)과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c)은 제 1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및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과 마찬가지로 배치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모종 적재대(51)를 분리할 때에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과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 430b, 430c)의 접속을 해제하면, 용이하게 모종 적재대(51)를 식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메인터넌스 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을 클러치 유닛(70)으로부터 분리할 필요가 없어,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을 클러치 유닛(70)에 부착하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그리고, 상측 프레임(411)과 하측 프레임(412) 사이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 430b, 430c)을 루프시켜서 배치함으로써 제 1 내지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430a, 430b, 430c)과 제 1 내지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72a, 72b, 72c)이 서로 간섭하는 것이 방지되어 콤팩트한 경로 배정 구성이 실현된다.
71a : 제 1 부분 조 클러치 71b : 제 2 부분 조 클러치
71c : 제 3 부분 조 클러치 71d : 제 4 부분 조 클러치
72a : 제 1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b : 제 2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c :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d : 제 4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201a : 제 1 조작 부재 201b : 제 2 조작 부재
201c : 제 3 조작 부재 201d : 제 4 조작 부재
401a : 제 1 모종 이송장치 401b : 제 2 모종 이송장치
401c : 제 3 모종 이송장치 430a :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430b : 제 2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430c :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71c : 제 3 부분 조 클러치 71d : 제 4 부분 조 클러치
72a : 제 1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b : 제 2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c : 제 3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72d : 제 4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
201a : 제 1 조작 부재 201b : 제 2 조작 부재
201c : 제 3 조작 부재 201d : 제 4 조작 부재
401a : 제 1 모종 이송장치 401b : 제 2 모종 이송장치
401c : 제 3 모종 이송장치 430a : 제 1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430b : 제 2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430c : 제 3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
Claims (9)
- 주행차체(2)에 모종 식부부(4)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에 복수의 식부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식부장치에의 전동을 각각 접속/차단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각각 접속/차단 조작하는 복수의 조작 부재를 설치한 모종 이식기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실행하거나, 또는 상기 실행을 보류하는 제어장치(200)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 중 단부가 아니고 또한 차단 상태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조작되었을 때에는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이고 또한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지 않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일 때에,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면 차단 상태로 되고,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와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를 차단 조작하고,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에 인접하는 부분 조 클러치와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가 인접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차단 조작이 보류된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을 보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임과 아울러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된 상태일 때,
상기 일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면 타측 단부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단부로부터 연속하는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일 때,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 중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를 조작하면 상기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는 접속 상태로 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 중 상기 임의의 부분 조 클러치보다 타측 단부측의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 상태로 되어서 상기 부분 조 클러치가 접속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에 있어서,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을 때에,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부분 조 클러치는 접속 상태로 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모종 이식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를 모두 차단 조작하면 상기 복수의 부분 조 클러치가 조작된 순서에 관계 없이 모든 부분 조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통지 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통지 부재는 조작 부재에 대응하는 부분 조 클러치의 차단 조작이 보류되어 있을 때에 보류 상태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부(4)를 승강시키는 승강장치(3)를 설치하고, 상기 모종 식부부(4)의 상승을 검지하는 상승 검지 부재(210)를 설치하고,
상기 주행차체(2)를 조타하는 조타 부재(34)를 설치하고, 상기 조타 부재(34)의 조타량을 검지하는 조타 검지 부재(220)를 설치하고,
상기 제어장치(200)는 상기 상승 검지 부재(210)가 모종 식부부(4)의 상승을 검지하면 모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거나,
또는 상기 조타 검지 부재(220)가 조타 부재(34)의 소정량 이상의 조타량을 검지했을 때에 모든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종 식부부(4)에 적재한 모종을 식부장치에 각각 이동시키는 복수의 모종 이송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부분 조 클러치의 접속/차단을 스위칭하는 클러치 유닛(70)을 모종 식부부(4)의 상측 프레임(411)에 설치하고, 상기 상측 프레임(411)보다 하방에 하측 프레임(412)을 설치하고,
상기 클러치 유닛(70)과 부분 조 클러치를 상기 부분 조 클러치를 접속/차단하는 부분 조 클러치 케이블로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클러치 유닛(70)과 모종 이송장치를 상기 모종 이송장치를 접속/차단하는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로 연결하고,
상기 모종 이송 클러치 케이블은 상측 프레임(411)과 하측 프레임(412) 사이에서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종 이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70061 | 2013-12-26 | ||
JP2013270061A JP6056750B2 (ja) | 2013-12-26 | 2013-12-26 | 苗移植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6090A true KR20150076090A (ko) | 2015-07-06 |
KR102363570B1 KR102363570B1 (ko) | 2022-02-16 |
Family
ID=53534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83206A KR102363570B1 (ko) | 2013-12-26 | 2014-12-18 | 모종 이식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056750B2 (ko) |
KR (1) | KR102363570B1 (ko) |
CN (1) | CN104737683B (ko) |
MY (1) | MY18439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6297A (zh) * | 2021-04-20 | 2021-06-25 | 晋江市内坑镇金景综合农场 | 一种水稻种植使用的插秧机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315073B2 (ja) * | 2016-12-08 | 2018-04-25 | 井関農機株式会社 | 苗移植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0200B1 (ko) | 1969-12-27 | 1973-06-19 | ||
JP2006115734A (ja) * | 2004-10-20 | 2006-05-11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移植機 |
JP2009028052A (ja) | 2008-10-06 | 2009-02-12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田植機 |
JP2012235705A (ja) * | 2011-05-09 | 2012-12-06 | Yanmar Co Ltd | 田植機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41542B2 (ja) * | 1998-03-25 | 2006-11-01 | 株式会社クボタ | 乗用型田植機 |
JP3746460B2 (ja) * | 2002-03-29 | 2006-02-15 | 株式会社クボタ | 乗用型田植機 |
JP4568567B2 (ja) * | 2004-09-29 | 2010-10-27 | 株式会社クボタ | 苗植付け装置 |
JP4275043B2 (ja) * | 2004-09-29 | 2009-06-10 | 株式会社クボタ | 田植機 |
JP4741389B2 (ja) * | 2006-03-07 | 2011-08-03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機の操作構造 |
JP4820200B2 (ja) * | 2006-04-07 | 2011-11-24 | 株式会社クボタ | 水田作業機 |
JP2011244767A (ja) * | 2010-05-28 | 2011-12-08 | Iseki & Co Ltd | 苗移植機 |
-
2013
- 2013-12-26 JP JP2013270061A patent/JP6056750B2/ja active Active
-
2014
- 2014-12-18 KR KR1020140183206A patent/KR10236357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4 MY MYPI2014703993A patent/MY184394A/en unknown
- 2014-12-25 CN CN201410828111.1A patent/CN10473768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20200B1 (ko) | 1969-12-27 | 1973-06-19 | ||
JP2006115734A (ja) * | 2004-10-20 | 2006-05-11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移植機 |
JP2009028052A (ja) | 2008-10-06 | 2009-02-12 |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 田植機 |
JP2012235705A (ja) * | 2011-05-09 | 2012-12-06 | Yanmar Co Ltd | 田植機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6297A (zh) * | 2021-04-20 | 2021-06-25 | 晋江市内坑镇金景综合农场 | 一种水稻种植使用的插秧机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5123011A (ja) | 2015-07-06 |
CN104737683B (zh) | 2018-12-14 |
KR102363570B1 (ko) | 2022-02-16 |
CN104737683A (zh) | 2015-07-01 |
JP6056750B2 (ja) | 2017-01-11 |
MY184394A (en) | 2021-04-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0720B1 (ko) | 모종 이식기 | |
JP2011015627A (ja) | 移植機 | |
KR20150076090A (ko) | 모종 이식기 | |
JP2014121300A (ja) | コンバイン | |
KR102226681B1 (ko) | 콤바인 | |
JP2014230530A (ja) | コンバイン | |
JP2010051217A (ja) | コンバイン | |
KR20120044243A (ko) | 작업차 및 콤바인 | |
JP2016116529A (ja) | 苗移植機 | |
JP6693862B2 (ja) | コンバイン | |
JP2013074835A (ja) | 苗移植機の空セルトレイ回収機構 | |
JP6315073B2 (ja) | 苗移植機 | |
CN109923994B (zh) | 联合收割机 | |
JP2016021963A (ja) | コンバイン | |
JP7158342B2 (ja) | 田植機 | |
KR20120125967A (ko) | 이앙기 | |
JP2020108412A (ja) | コンバイン | |
JP2013074833A (ja) | 苗移植機の苗載台 | |
CN102870532B (zh) | 插秧机 | |
JP2020014484A (ja) | コンバイン | |
JP6620835B2 (ja) | 苗移植機 | |
JP2016093208A (ja) | 苗移植機 | |
JP2009065922A (ja) | 苗移植機 | |
JP2014158425A (ja) | 苗移植機 | |
CN116437800A (zh) | 移植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