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578A -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578A
KR20150070578A KR1020130156960A KR20130156960A KR20150070578A KR 20150070578 A KR20150070578 A KR 20150070578A KR 1020130156960 A KR1020130156960 A KR 1020130156960A KR 20130156960 A KR20130156960 A KR 20130156960A KR 20150070578 A KR20150070578 A KR 2015007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girder
width direction
lif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6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한배
Original Assignee
남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이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해이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6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70578A/ko
Publication of KR2015007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은 (a) 거더를 운반용 트레일러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교량 폭방향의 교각의 일측의 외측에 가설구조물을 설치하여, 가설구조물의 상부의 교량의 폭방향으로 가이드 빔이 고정설치하고, 가이드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2개의 트롤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롤러가 형성되는 캐리 리프트를 설치하는 단계; (c) 이송된 거더를 캐리 리프트의 트롤리로 인양하는 단계; (d) 인양된 거더(1)을 캐리 리프트의 트롤리에 메달려 가이드 빔을 타고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의 사이에 차례로 안착하는 단계; (e) 교량의 폭방향에 첫번째 거더를 설치하고, 첫번째 설치된 거더와 가설구조물 사이에 캐리 리프트의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이동용 런웨이 레일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 (e) 단계에서, 런웨이 레일이 설치되면 렌웨이 레일을 따라 캐리 리프트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c)내지 (e)의 작업을 시행하여 교량의 폭방향으로 거더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가설구조물 상부에 형성된 캐리 리프트가 시공될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빔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경간이 다른 교량이더라도 거더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대형 크레인 및 대형 구조물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하부에 차량 또는 열차의 운행시에 지장을 지자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규칙한 경간을 갖는 교량 등 시공시에 연속적으로 거더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과 같이 교각 사이에 구간을 갖는 공사현장을 시공하기 위하여 교각위 상부에 거더를 차례로 설치하여 시공하도록 하는데, 거더를 인양하기 위해서는 대형 크레인이 필요하였으며, 대형 크레인으로 인하여 교각의 하부에서 열차 등이 지나갈때에는 통행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안전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특허등록 제0173518호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과 이동장치"(특허문헌 1)가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거푸집이 부착된 이동식비계보를 교각과 교각사이에 설치하여 비계보의 해체없이 이동식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를 한 경간씩 시공해 나가는 이동식비계공법에 일경간을 이루는 두 교각들의 상부양측면에 지지되는 두 쌍의 교각브라켓위에서 비계보를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받침장치에 받쳐 교량상판 콘크리트 타설위치나 경간이동위치로 횡방향이동시키며, 경간이동위치에 정열된 비계보를 다음 교각으로 종방향이동시켜 경간이동을 실시하는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교각브라켓위에 설치된 비계보 받침장치의 구성을 비계보의 하단을 구름접동상태로 받치는 받침수단과, 상기 받침수단중 일부를 회전구동시킬 수 있는 회전구동수단을 일체로 구비하는 종행이동장치를 사용하여, 교각브라켓에서의 비계보 횡방향이동시에는 비계보를 상기 종행이동장치의 받침수단으로 받쳐 지지한 상태로 실시하고, 경간 이동을 위하여 비게보를 다음 교각측으로 종방향이동시킬 때에는 상기 종행이동장치에 구비된 회전구동수단을 직접적으로 회전구동시켜 비계보를 를 구름방식(rail wheel system)으로 종방향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경간이 일정한 교량의 시공시에는 가능하지만 교량의 경간이 다른 경우에는 횡방향과 종방향의 반복 시공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0173518호 "교량공사용 이동식비계의 이동방법과 이동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가설구조물 상부에 형성된 캐리 리프트가 시공될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빔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경간이 다른 교량이더라도 거더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대형 크레인 및 대형 구조물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하부에 차량 또는 열차의 운행시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폭방향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를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거더를 운반용 트레일러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교량 폭방향의 교각의 일측의 외측에 가설구조물을 설치하여, 가설구조물의 상부의 교량의 폭방향으로 가이드 빔이 고정설치하고, 가이드 빔을 따라 이동하도록 2개의 트롤리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롤러가 형성되는 캐리 리프트를 설치하는 단계; (c) 이송된 거더를 캐리 리프트의 트롤리로 인양하는 단계; (d) 인양된 거더(1)을 캐리 리프트의 트롤리에 메달려 가이드 빔을 타고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의 사이에 차례로 안착하는 단계; (e) 교량의 폭방향에 첫번째 거더를 설치하고, 첫번째 설치된 거더와 가설구조물 사이에 캐리 리프트의 롤러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이동용 런웨이 레일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 (e) 단계에서, 런웨이 레일이 설치되면 렌웨이 레일을 따라 캐리 리프트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c)내지 (e)의 작업을 시행하여 교량의 폭방향으로 거더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b)단계에서, 가이드 빔은 수직으로 형성된 웨브와 웨브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상부 플랜지 및 하부 플랜지로 이루어진 H형 단면을 갖고, 하부 플랜지의 폭방향 양측 상부면에 T형단면을 갖고 상부의 폭방향 중앙부에 가이드 레일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트롤리에 롤러가 구성되어, 롤러가 가이드 부재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은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가설구조물 상부에 형성된 캐리 리프트가 시공될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빔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경간이 다른 교량이더라도 거더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대형 크레인 및 대형 구조물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하부에 차량 또는 열차의 운행시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의 폭방향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교량의 폭방향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빔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의 길이방향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교량의 길이방향 측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이동식비계의 개요도 및 경간이동 상태로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규칙한 경간을 갖는 교량시공시에 연속적으로 거더를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교량 시공시 교량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서 교각(P1,...,Pn)의 폭방향으로 거더(1)를 차례로 최초 설치하고, 최초 설치된 거더(1)에서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거더(1)를 설치하도록 한다.
즉, 최초 교량의 폭방향으로 가이드 빔(4)을 형성하여, 캐리 리프트(5)의 트롤리(51)가 가이드 빔(4)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고, 최초 설치된 거더(1) 까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런웨이 레일(54)을 설치하여 런웨이 레일(54)을 따라 캐리 리프트(5)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면서,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거더(1)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의 폭방향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교량의 폭방향 측면도이다.
먼저, 거더(1)를 운반용 트레일러(2)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이송한다(a).
이후, 교량 폭방향의 교각(P1,...,Pn)의 일측의 외측에 가설구조물(3)을 설치하고, 캐리 리프트(5)를 설치한다(b).
우선, 교량 폭방향의 교각(P1,...,Pn)의 일측의 외측에 가설구조물(3)을 설치한다. 가설 구조물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가설 및 해체가 용이하 공지의 제품을 사용하면 된다.
가설구조물(3)의 상부의 교량의 폭방향으로는 가이드 빔(4)을 설치하는데, 가이드 빔(4)은 후술하는 캐리 리프트(5)에 형성된 트롤리(51)가 이동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빔(4)은 가이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단면의 형상은 H형상 각형강관 등 트롤리(51)와 교합되어 가이드하면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면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가이드 빔(4)의 일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롤리(51)에 롤러(51a)를 형성하고 롤러(51a)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가이드 빔(4)의 단면을 별도록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빔(4)은 수직으로 형성된 웨브(41)와 웨브(41)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상부 플랜지(42) 및 하부 플랜지(43)로 이루어진 H형 단면을 갖는 기성의 H형강을 이용하도록 하고, 하부 플랜지(43)의 폭방향 양측 상부면에 별도의 가이드 부재(44)를 결합하여 롤러(51a)가 가이드 부재(44)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 부재(44)는 T형단면을 갖고 상부의 폭방향 중앙부에 가이드 레일(45)이 형성되도록 하여, 트롤리(51)의 롤러(51a)가 가이드 부재(44)를 따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캐리 리프트(5)는 상부에 2개의 트롤리(51)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롤러(52)가 형성된다. 트롤리(51)는 2개를 설치하여 거더(1)의 인양시에 거더(1)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인양하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맞추어 인양이 용이하도록 하며, 하부의 롤러(52)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며, 기본적으로 가설구조물(3)의 상부에서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레일(54a)을 구성하고 레일(54a)의 상부에 안착된다.
상기 (a) 단계와 (b) 단계는 순서상 뒤바뀔 수도 있다.
이후, (a) 단계에서, 운반용 트레일러(2)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이송된 거더(1)를 캐리 리프트(5)의 트롤리(51)로 인양한다(c).
2개의 트롤리(51)는 거더(1)의 인양시에 거더(1)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인양하도록 하여 무게중심을 맞추어 인양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후, 인양된 거더(1)를 교량의 폭방향의 교각(P1,...,Pn)의 사이에 차례로 하강시켜 설치한다(d).
트롤리(51)에 의하여 인양된 거더(1)는 트롤리(51)가 가이드 빔(4)을 타고 교량의 폭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캐리 리프트(5)의 트롤리(51)에 메달려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P1,...,Pn)의 사이로 이송될 수 있다. 따라서,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P1,...,Pn)의 사이에 인양되어 가이드 빔(4)을 타고 이동된 거더(1)를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P1,...,Pn)의 사이에 차례로 하강시켜 거더(1)를 설치한다.
상기 (b) 내지 (c) 단계에서와 같이, 교량의 폭방향에 첫번째 거더(1)가 설치된 이후에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거더(1)를 설치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의 길이방향 시공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교량의 길이방향 측면도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폭방향에 첫번째 거더(1)를 설치한 이후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번째 설치된 거더(1)와 가설구조물(3) 사이에 캐리 리프트(5)의 롤러(52)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이동용 런웨이 레일(54)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한다(e).
즉, 가설구조물(3)과 교량의 첫번째 설치된 거더(1)의 사이에 런웨이 레일(54)를 설치한다. 런웨이 레일(54)은 캐리 리프트(5)가 이동하는 레일이며, 첫번째 설치된 거더(1)와 가설구조물(3)의 사이에 우선 형성된다.
최초 캐리 리프트(5)는 교량의 폭방향 일측 외부의 가설구조물(3)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지만, 첫번째 설치된 거더(1)와 가설구조물(3)의 사이에 설치된 런웨이 레일(54)에 의하여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캐리 리프트(5)가 전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도 3c와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e) 단계에서, 런웨이 레일(54)이 설치되면 렌웨이 레일(54)을 따라 캐리 리프트(5)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c)내지 (e)의 작업을 시행하여 교량의 폭방향으로 거더(1)를 설치하도록 한다(f).
즉, 교량의 폭방향의 첫번째 거더(1)가 차례로 설치되고, 첫번째 거더(1)에서 길이방향으로 런웨이 레일(54)을 설치하면서 런웨이 레일(54)을 따라 캐리 리프트(5)가 이동하면서 거더(1)를 길이방향으로 차례로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런웨이 레일(54)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거더(1) 까지만 설치하도록 하여 캐리 리프트(5)가 차례로 전진하면서 거더(1)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은 대형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가설구조물 상부에 형성된 캐리 리프트가 시공될 교량의 폭방향 및 길이방향으로 빔 또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경간이 다른 교량이더라도 거더의 설치가 매우 용이하고, 대형 크레인 및 대형 구조물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하부에 차량 또는 열차의 운행시에 지장을 지자 않으면서도 안전하게 시공을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 : 거더 2 : 트레일러
3 : 가설구조물 4 : 가이드 빔
41 : 웨브 42 : 상부 플랜지
43 : 하부 플랜지 44 : 가이드 부재
45 : 가이드 레일 5 : 캐리 리프트
51 : 트롤리 51a : 롤러
52 : 롤러 54 : 렌웨이 레일

Claims (2)

  1. 폭방향의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1)를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 거더(1)를 운반용 트레일러(2)에 적재하여 현장으로 이송하는 단계;
    (b) 교량 폭방향의 교각(P1,...,Pn)의 일측의 외측에 가설구조물(3)을 설치하여, 가설구조물(3)의 상부의 교량의 폭방향으로 가이드 빔(4)이 고정설치하고, 가이드 빔(4)을 따라 이동하도록 2개의 트롤리(51)가 형성되며 하단부에 롤러(52)가 형성되는 캐리 리프트(5)를 설치하는 단계;
    (c) 이송된 거더(1)를 캐리 리프트(5)의 트롤리(51)로 인양하는 단계;
    (d) 인양된 거더(1)을 캐리 리프트(5)의 트롤리(51)에 메달려 가이드 빔(4)을 타고 교량의 폭방향인 교각(P1,...,Pn)의 사이에 위치하여 차례로 하강시켜 설치하는 단계;
    (e) 교량의 폭방향에 첫번째 거더(1)를 설치하고, 첫번째 설치된 거더(1)와 가설구조물(3) 사이에 캐리 리프트(5)의 롤러(52)가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이동용 런웨이 레일(54)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단계;
    (f) (e) 단계에서, 런웨이 레일(54)이 설치되면 렌웨이 레일(54)을 따라 캐리 리프트(5)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c)내지 (e)의 작업을 시행하여 교량의 폭방향으로 거더(1)를 설치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b)단계에서, 가이드 빔(4)은 수직으로 형성된 웨브(41)와 웨브(41)의 양단부에 평행하게 상부 플랜지(42) 및 하부 플랜지(43)로 이루어진 H형 단면을 갖고, 하부 플랜지(43)의 폭방향 양측 상부면에 T형단면을 갖고 상부의 폭방향 중앙부에 가이드 레일(45)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44)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트롤리(51)에 롤러(51a)가 구성되어, 롤러(51a)가 가이드 부재(44)를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KR1020130156960A 2013-12-17 2013-12-17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KR2015007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60A KR20150070578A (ko) 2013-12-17 2013-12-17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6960A KR20150070578A (ko) 2013-12-17 2013-12-17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578A true KR20150070578A (ko) 2015-06-25

Family

ID=5351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6960A KR20150070578A (ko) 2013-12-17 2013-12-17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70578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117A1 (zh) * 2015-11-25 2017-06-01 陈修缘 桥梁上部结构施工使用的升降式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CN107386121A (zh) * 2017-08-08 2017-11-24 湖北华舟重工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桥梁快速抢通机械化架桥装备及其使用方法
CN108468277A (zh) * 2018-05-14 2018-08-31 浙江中建路桥设备有限公司 一种托举转向安装式架桥装置
CN109098088A (zh) * 2018-07-28 2018-12-28 赵启林 一种桁架式应急桥的吊装推送组合架设方法
WO2019019742A1 (zh) * 2017-07-28 2019-01-31 东南大学 一种铁路便梁快速运输架设用拖车
CN109837837A (zh) * 2019-03-06 2019-06-04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钢混叠合梁预制桥面板的安装装置及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8117A1 (zh) * 2015-11-25 2017-06-01 陈修缘 桥梁上部结构施工使用的升降式施工系统及其施工方法
WO2019019742A1 (zh) * 2017-07-28 2019-01-31 东南大学 一种铁路便梁快速运输架设用拖车
CN107386121A (zh) * 2017-08-08 2017-11-24 湖北华舟重工应急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桥梁快速抢通机械化架桥装备及其使用方法
CN107386121B (zh) * 2017-08-08 2019-05-17 中国船舶重工集团应急预警与救援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铁路桥梁快速抢通机械化架桥装备及其使用方法
CN108468277A (zh) * 2018-05-14 2018-08-31 浙江中建路桥设备有限公司 一种托举转向安装式架桥装置
CN109098088A (zh) * 2018-07-28 2018-12-28 赵启林 一种桁架式应急桥的吊装推送组合架设方法
CN109837837A (zh) * 2019-03-06 2019-06-04 上海市基础工程集团有限公司 用于钢混叠合梁预制桥面板的安装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70578A (ko) 불규칙 경간을 갖는 구간의 거더 연속 시공방법
CN102182147B (zh) 一种钢箱梁架设方法
JP2004232426A (ja) 床版架設装置
CN105540179B (zh) 一种箱梁侧模转运机具
CN110273375B (zh) 一种架桥机
JP5485076B2 (ja) トンネルの施工装置及び施工方法
JP2015169029A (ja) 橋梁床版の架設方法及びその装置
CN213328698U (zh) 一种高速铁路桥面系预制件安装设备
JP2006265884A (ja) 跨道橋の既設橋脚撤去方法
CN211397597U (zh) 模板台车及隧道施工车组
JP7144978B2 (ja) 床版架設機
JP2005002702A (ja) 跨座式モノレール桁架設及び撤去装置
JP2001146716A (ja) 橋桁の架設方法
RU106626U1 (ru) Рельсопогрузочный поезд
KR101234090B1 (ko) 철도 판형교의 거더 교체 방법
CN205526359U (zh) 一种预制件运输装置
CN103821084A (zh) 梁底作业设备及梁底作业方法
CN203834353U (zh) 梁底作业设备
CN115262426A (zh) 高速互通小曲线架梁施工方法
CN115467248A (zh) 低净空、小曲线单导梁架桥机架空施工方法
CN205526360U (zh) 一种预制件运输装置
CN205418901U (zh) 一种预制件运输装置
JP2007290826A (ja) 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入方法と構成部品搬出方法並びにそれを利用した乗客コンベアの改修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乗客コンベアの構成部品搬出入装置
JP2002138416A (ja) 高架構造物の構築方法、架設装置、及び構築装置
KR101213377B1 (ko) 교량 상판의 리프트-런칭 공법 및 이를 위한 리프트-런칭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