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9598A -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9598A
KR20150069598A KR1020130155446A KR20130155446A KR20150069598A KR 20150069598 A KR20150069598 A KR 20150069598A KR 1020130155446 A KR1020130155446 A KR 1020130155446A KR 20130155446 A KR20130155446 A KR 20130155446A KR 20150069598 A KR20150069598 A KR 20150069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ester
yarn
shrinkage
heat
composite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5099B1 (ko
Inventor
민기훈
마진숙
김성열
Original Assignee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5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0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8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combining fibres, filaments, or yarns, having different shrinkag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22Stretching or tensioning, shrinking or relaxing, e.g. by use of overfeed and underfeed apparatus, or preventing stretch

Abstract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드레이프성 이 우수하다. 또한 대부분의 이수축 복합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모우, 루프(Loop) 등의 외관 결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Polyester composite yarn having excellent shrinkage property and manufacturing ma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 및 우수한 비수수축성을 가지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수축혼섬사는 수출율이 서로 다른 2종이상의 원사를 혼섬하여 제직한 다음, 후가공 공정에서 열처리하였을 때, 수축율이 높은 원사가 많이 수축되면서 수출률이 낮은 다른 원사로 하여금 크림프(crimp)를 형성케 함으로써 사의 길이 방향으로 불규칙한 권축이 나타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고수축사가 갖춰야 할 성질은 건열 또는 비수 중에서 수축율이 높으면서 강력이 우수해야 한다는 것이다. 상기 혼섬사는 벌키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나타내므로 이것을 사용한 직·편물들은 여성용 정장, 바지, 자켓 등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 제1996-0027854는 이수축 혼섬사를 개시하고 있으나 심사와 초사의 열처리 시기가 달라 루프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첫번째 해결하려는 과제는 직물 및 편물에서 우수한 촉감, 소프트성, 바뒤감, 드레이프성 및 결점이 적은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비수수축율이 5 ~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 ~ 0.7g/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비수수축율이 -2 ~ 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1 ~ 0.1g/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심성분과 초성분은 30 : 70 ~ 70 : 3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 ~ 300 데니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ITY(Interlace Yarn), ATY(Air-jet Textured Yarn), DTY(Draw Textured Yarn), 복합가연사, 또는 커버링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직물 또는 편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심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 초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를 합사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복합사를 제1 고뎃롤러, 가열부 및 제2 고뎃롤러를 거쳐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비수수축율이 5 ~ 20%일 수 있으며,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 ~ 0.7g/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비수수축율이 -2 ~ 5%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1 ~ 0.1g/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고뎃롤러의 열처리 온도는 110 ~ 130℃이고, 가열부의 열처리 온도는 150 ~ 18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고뎃롤러의 열처리 온도는 30 ~ 5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 이 우수하다. 또한 대부분의 이수축 복합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모우, 루프(Loop) 등의 외관 결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원사의 품질이 매우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가공공정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는 이를 편물 등으로 제조할 경우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이 모두 우수하기 어려우며 이를 만족하더라도 결점이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디감, 드레이프성이 우수하고 결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단면도로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100)은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가 심사(110)를 형성하고, 열처리 부분연신사(POY)가 초사(120)을 형성한다. 이를 통해 심성분과 초성분간의 이수축 효과를 높여줄 수 있어서 원단에서의 부드러운 촉감을 발현할 수 있다. 만일 심사(110)가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이고 초사(120)가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라면 심성분의 주된 효과인 기계적인 특성과 초성분의 주된 효과인 감성 측면의 효과가 반대로 나타나게 되어 드레이프성은 떨어지고, 촉감은 강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심사(110)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바람직하게는 비수수축율이 5 ~ 20%이고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 ~ 0.7g/d일 수 있다. 여기서 비수수축율이란 원사의 수축되는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원사를 100mg/d 의 하중하에 시료장(LO)을 측정한 후 무장력 상태에서 20분간 비수처리를 하고 비수처리 한 후 100mg/d 의 하중하에 시료장(L1)을 측정한다. 비수 수축율은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비수수축율 = {초기 시료장(LO) - 비수처리 후 시료장(L1)}×100 / 초기 시료장(LO)
열 수축 응력은 온도에 따른 수축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값으로서 원사가 최대한 줄어들 수 있는 온도와 그 때의 응력값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서, 만일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의 비수수축율이 5 % 미만이면 심사와 초사간의 수축차이가 적게 되어 촉감이 강해지거나 드레이프성이 떨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20%를 초과하면 과도한 축으로 인한 원가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g/d 미만이면 원단에서의 축이 너무 적게 되어 촉감이 강해지거나 드레이프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7g/d를 초과하면 과도한 축으로 인한 원단의 중량 상승 및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다음 초사(110)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폴리에스테르 부분연신사에 열처리 가한 것으로, 이때 열처리는 바람직하게는 100 ~ 150℃에서 0.1 ~ 3초간 수행될 수 있다. 열처리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는 바람직하게는 비수수축율이 -2 ~ 5%이고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1 ~ 0.1g/d일 수 있다. 만일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의 비수수축율이 -2 % 미만이면 과도한 루프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5%를 초과하면 심사와 초사의 축 차이가 적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01g/d 미만이면 수축 특성이 너무 약해서 원단에 드레이프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0.1g/d를 초과하면 과도한 수축으로 인한 원단의 중량 상승 및 원가 상승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사(110)과 초사(120)은 30 : 70 ~ 70 : 70 중량%로 구성될 수 있다. 만일 심사(110)가 70 중량%를 초과하면 최종 가공지의 수축성이 너무 높아 촉감이 딱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 중량% 미만이면 최종 가공지의 수축성이 너무 낮아 드레이프성이 부족하고 심초사의 이수축 특성이 너무 작아 촉감에 취약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 ~ 300 데니어/48~144 필라멘트(fila)일 수 있다. 만일 복합사의 섬도가 100 데니어 미만이면 생산성 저하로 인한 원가 상승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300 데니어를 초과하면 의류에서의 중량이 과다하여 의류용으로 접목하는 것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제1섬유가 내면에 제2섬유가 표면에 위치하는 형태로 ITY(Interlace Yarn), ATY(Air-jet Textured Yarn), DTY(Draw Textured Yarn), 복합가연(加撚;Twisting)사 및 커버링(Covering;피복)사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주로 직물 또는 환편물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드레이프성, 수축성, 형태안정성, 촉감 성능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심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 초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를 합사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복합사를 제1 고뎃롤러, 가열부 및 제2 고뎃롤러를 거쳐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공한다.
먼저, (1) 단계로서 심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 초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를 합사하여 복합사를 제조한다. 이 때 사용되는 심사 및 초사는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심사 또는 초사를 별도로 연신 및/또는 열처리를 하고 이를 복합사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사를 형성한 후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원사의 모우 및 Loop 발생을 줄여줄 수 있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 (2) 단계로서 제조된 복합사를 제1 고뎃롤러, 가열부 및 제2 고뎃롤러를 거쳐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복합사 가공방법은 통상의 2종 이상의 섬유를 복합사 사공할 수 있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어 인터레이스(air interlace)와 에어젯 텍스쳐링(air-jet textuing)기계를 이용한 공기교락기술, 가연(假撚;False Twist texturing)기술, 복합가연(加撚;Twisting)기술 및 커버링(Covering;피복)기술로 이루어진 군에서 1 이상 선택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나타내는 개략도로서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먼저 심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1) 및 초사를 형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2)를 연신 열처리하기 위하여 공급롤러(3)를 통과하여 제 1 고뎃롤러(GR1, 4)를 통과한다. 이 때 열처리를 수행하게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열처리 온도는 110 ~ 130℃일 수 있다. 만일 제1 고뎃롤러의 열처리 온도가 110℃ 미만이면 염색 불균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30℃를 초과하면 과다한 열처리로 인해 부분연신사(POY) 손상으로 인한 모우 및 루프(Loop)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1 고뎃롤러(4)를 지난 복합사는 가열부(5)를 통과한다. 이 때 가열부(5)의 온도는 150 ~ 180℃일 수 있다. 만일 가열부의 열처리 온도가 150℃ 미만이면 수축 불균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180℃를 초과하면 과다한 열처리로 모우 발생, 비수수축율 저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가열부(5)를 지난 복합사는 제2 고뎃롤러(GR2, 6)를 통과한다. 이 때 제2 고뎃롤러(GR2, 6)는 열처리를 처리하지 않게 되는데, 사속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열이 일어나게 되어 보통 30 ~ 50℃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 고뎃롤러(4) 및 제2 고뎃롤러(6)의 속도차에 의해 연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바람직한 연신비는 1.0 ~ 2.5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후 제2 고뎃롤러(6)을 지난 복합사는 에어노즐(7)에 도달하고 공기 교락을 형성한 후 권취하여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8)를 생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2와 같은 2개의 고뎃 롤러를 가지는 스핀드로우 복합 방사 설비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심사성분은 비수수축율이 15%이고, 최대 열수축 응력이 0.5 g/d인 고수축 폴리에스테르 성분이고, 초사성분은 비수수축율이 2%이고,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8 g/d인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POY사였다. 이후 방사조건은 하기 표 1과 같이 수행하고 연신비 1.003으로 연신하여 심성분의 38중량%이고 초성분이 62중량%인 240데니어/96필라멘트의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 섬유를 얻었다. 얻어진 복합섬유를 100%로 하여 환편으로 제편한 후 통상의 가공 조건에 따라 염가공을 진행하여 편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0>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심사로서 고수축 폴리에스테르가 아닌 일반 폴리에스테르(웅진케미칼㈜, Eslon SDY 90/24)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초사로서 열처리되지 않은 폴리에스테르 POY사(웅진케미칼㈜, Eslon SD POY 150/72)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 10 및 비교예 1 ~ 2에서 제조된 편물에 대하여 하기와 같은 물성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1. 촉감(소프트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소프트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소프트 하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2. 드레이프성
10명의 전문가에 의한 관능검사 결과 8명 이상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우수, 5 ~ 7명이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보통, 5명 이하가 드레이프성이 있다고 판단할 경우를 불량으로 구분하였다.
3. 비수 수축율
원사를 100mg/d 의 하중하에 시료장(LO)을 측정한 후 무장력 상태에서 20분간 비수처리를 하고 비수처리 한 후 100mg/d 의 하중하에 시료장(L1)을 측정하였다. 비수 수축율은 다음식에 의하여 산출된다.
비수수축율 = {초기 시료장(LO) - 비수처리 후 시료장(L1)}×100 / 초기 시료장(LO)
4. 최대 열수축 응력
가네보 열수축 응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10cm 원사 샘플링을 하여 영점조절을 한 후, 각 원사의 섬도에 따라 장력을 부여한 후 300℃까지 온도를 올려주면서 온도에 따른 수축 응력의 관계 곡선을 통하여 5회 측정한다.
장력 = 섬도 ×2/30
5. 원사 루프(loop) 발생
원사 10m에 대하여 발생한 loop 수를 평가하여 loop 수 5개 이하 : ◎, 5 ~ 20개 미만 : ○, 20 ~ 50개 미만 △ 및 50개 이상 ×로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1) 15 16 15 15 15 15
2) 0.5 0.05 1.01 0.5 0.5 0.5
3) 2 2 2 2 2 8
4) 0.08 0.08 0.08 0.005 0.15 0.07
GR1(℃) 120 120 120 120 120 120
가열판(℃) 170 170 170 170 170 170
GR2(℃) 35 35 35 35 35 35
촉감 우수 보통 보통 우수 보통 우수
드레이프성 우수 보통 우수 보통 보통 보통
원사루프
1) 심사 비수수축율(%)
2) 심사 최대 열 수축응력(g/d)
3) 초사 비수수축율(%)
4) 초사 최대 열 수축응력(g/d)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비교예 1 비교예 2
1) 15 15 15 15 - 15
2) 0.5 0.05 0.05 0.5 - 0.5
3) -3 2 2 2 2 -
4) 0.08 0.08 0.08 0.08 0.15 -
GR1(℃) 150 120 120 120 150 120
가열판(℃) 170 130 200 170 170 170
GR2(℃) 35 35 35 65 35 35
촉감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불량 불량
드레이프성 보통 우수 보통 보통 불량 불량
원사루프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 10의 편물이 비교예 1 ~ 2의 편물에 비하여 촉감, 드레이프성 및 원사루프 정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심사의 최대 응력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1이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2 ~ 3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나아가, 초사 최대 응력조건 및 초사비수수축율 조건을 만족하는 실시예 1이 이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4 ~ 7에 비하여 우수한 물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직물 및 편물에서 촉감, 소프트성, 바듸감, 드레이프성이 우수하고 결점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섬유산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Claims (17)

  1. 심성분은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이고, 초성분은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인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비수수축율이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 ~ 0.7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비수수축율이 -2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1 ~ 0.1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성분과 초성분은 30 : 70 ~ 70 : 30 중량%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 ~ 3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는 ITY(Interlace Yarn), ATY(Air-jet Textured Yarn), DTY(Draw Textured Yarn), 복합가연사, 또는 커버링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직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포함하는 편물.
  11.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1) 심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 초성분으로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를 합사하여 복합사를 제조하는 단계; 및
    (2) 상기 제조된 복합사를 제1 고뎃롤러, 가열부 및 제2 고뎃롤러를 거쳐 연신 및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비수수축율이 5 ~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고수축사는 최대 열 수축 응력이 0.1 ~ 0.7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비수수축율이 -2 ~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열처리 부분연신사(POY)는 최대 열수축 응력이 0.01 ~ 0.1g/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뎃롤러의 열처리 온도는 110 ~ 130℃이고, 가열부의 열처리 온도는 150 ~ 180℃인 것을 특징을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뎃롤러의 열처리 온도는 30 ~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20130155446A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6A KR101555099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6A KR101555099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598A true KR20150069598A (ko) 2015-06-24
KR101555099B1 KR101555099B1 (ko) 2015-09-23

Family

ID=5351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446A KR101555099B1 (ko) 2013-12-13 2013-12-13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0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675B1 (ko) * 2016-04-05 2016-10-10 이가영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CN109072496A (zh) * 2016-04-25 2018-12-21 罗讷卡·拉金德拉·古普塔 制造多股可分离长丝纱线和多股可分离变形纱线的方法
CN110453327A (zh) * 2019-09-09 2019-11-15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空变纱的制作方法及一种空变纱
CN110923871A (zh) * 2019-11-20 2020-03-27 浙江佳人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再生阳涤复合丝生产工艺
CN112877846A (zh) * 2021-01-28 2021-06-01 杭州萧山荣达化纤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dty强度的生产设备及加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9159B1 (ko) * 1994-12-28 2001-10-22 조정래 폴리에스터이수축혼섬사의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675B1 (ko) * 2016-04-05 2016-10-10 이가영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CN109072496A (zh) * 2016-04-25 2018-12-21 罗讷卡·拉金德拉·古普塔 制造多股可分离长丝纱线和多股可分离变形纱线的方法
CN109072496B (zh) * 2016-04-25 2022-05-13 罗讷卡·拉金德拉·古普塔 制造多股可分离长丝纱线和多股可分离变形纱线的方法
CN110453327A (zh) * 2019-09-09 2019-11-15 信泰(福建)科技有限公司 空变纱的制作方法及一种空变纱
CN110923871A (zh) * 2019-11-20 2020-03-27 浙江佳人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再生阳涤复合丝生产工艺
CN112877846A (zh) * 2021-01-28 2021-06-01 杭州萧山荣达化纤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dty强度的生产设备及加工工艺
CN112877846B (zh) * 2021-01-28 2022-05-06 杭州萧山荣达化纤有限公司 一种用于提高dty强度的生产设备及加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099B1 (ko) 2015-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099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694677B1 (ko) 무광택 고신축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870833B1 (ko) 다중 수축 폴리에스테르 고신축성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0737976B1 (ko) 신장성 공기교락사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에스테르 직물의제조 방법
KR20170059059A (ko) 보온성을 가지는 고신축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20180045245A (ko) 흡한속건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면조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2015086493A (ja) 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JP6234866B2 (ja) ポリエステル複合仮撚糸の製造方法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555098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JP2018053405A (ja) 扁平断面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101938818B1 (ko) 수축률이 다양한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방법
KR101432527B1 (ko) 수축특성이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788020B1 (ko) 천연소재의 느낌 및 스트레치성이 우수한 에어텍스쳐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989742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하는 멜란지 효과 및 광택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ity 복합사의 제조방법
JP2019073807A (ja) 仮撚加工糸および織編物
KR100958528B1 (ko) 다색톤 자기신장성 폴리에스터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5183179B2 (ja) 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KR101925776B1 (ko) 소모조 폴리에스테르 복합 가공사의 제조방법
JP3589520B2 (ja) 異収縮複合糸の製造方法
JP2002161443A (ja) 捲縮糸
JP2001271237A (ja) 特殊捲縮糸
JP4701478B2 (ja) 多色性複合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