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9743B1 -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9743B1
KR101989743B1 KR1020180063890A KR20180063890A KR101989743B1 KR 101989743 B1 KR101989743 B1 KR 101989743B1 KR 1020180063890 A KR1020180063890 A KR 1020180063890A KR 20180063890 A KR20180063890 A KR 20180063890A KR 101989743 B1 KR101989743 B1 KR 101989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bamboo
polyester
fineness
dichro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인
Original Assignee
제원화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원화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원화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9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9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9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cellulose, cellulose derivatives, or protei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1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using jets or streams of turbulent gases, e.g. air, steam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3/00Heating or cooling the yarn, thread, cord, rope, or the like, not specific to any one of the processe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의 특성에 있어 차이가 있는 대나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공기 교락으로 합사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에 관한 것이다. 즉,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이 취약하고, 가공후 수축율이 심한 대나무사를 폴리에스테르사와 공기교락을 통해 의류용 제품 등으로 적용이 가능한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주름이 발생하지 않는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Polyester complex yarn including bamboo filam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원단의 제조시 촉감 및 반발 특성이 우수하고, 특히 다양한 농담염의 색조를 갖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염색성이 상이한 폴리에스테르사와 대나무사를 복합화함으로써 이색 효과를 가지며 제사공정 및 후공정성이 개선된 이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이를 이용한 주름발생이 없으며,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색성 복합사는 복합방사, 칩 블랜딩, 후공정시 합사 등의 방법에 의해 2종 이상의 칩(chip) 또는 필라멘트의 조합에 의해 통상적으로 제조된다. 그런데 후공정 단계에서의 원사에 이색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염색성이 상이한 2 종 이상의 원사를 합사해야 하나, 상기와 같은 합사 방식은 원사에 루프가 심하게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또한 각 원사를 방사한 후 합사를 함으로서 생산성 저하 및 제조 단가 상승 등의 문제가 있다. 특히 후공정시 합사에 의해 제조된 이색성 복합사는 이색효과가 미약한 단점 등이 있다.
즉, 종래에 알려진 다양한 색상을 갖는 이색성의 폴리에스테르사는 첫째, 폴리에스테르 중합공정시 염기성 염료에 염색이 될 수 있는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염기성 염료 가염형 폴리에스테르사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사를 공기교락이나 합연사시켜 얻을 수가 있으나 이는 두가지 색상이 획일적으로 나타나므로서 자연스러운 색상을 얻을 수가 없고, 또한 별도의 합사 공정을 거쳐야 되므로 제조원가 상승이 따른다.
두번째로는 자연스런 색조의 효과를 얻기 위해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중합물을 연신함에 있어서 미연신 또는 부분연신된 폴리에스테르사를 통상의 연신온도보다 낮은 온도인 이차전이점 부근에서 저온연신하고 또 연신배율도 통상의 연신배율보다 낮게 하므로서 섬유축에 대하여 연신부분과 미연신부분이 교호로 공존하게 하므로서 염색시 염료의 침투가 섬유축 구간별로 다르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분산염료에 한정되어 농색과 담색이 나타나므로서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는 데는 한계를 가지게 된다.
상기 이색성 복합사 관련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56674호(이하, 선행문헌 1)에는 금속 설포네이트를 0.8mole% 함유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터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2 성분을 복합방사하여 제조되는 이색성 폴리에스터 복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이색성 폴리에스터 복합사는 이색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21568호(이하 선행문헌 2)에는 염기성 염료 가염 폴리에스테르 및 염기성 염료 불염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 노즐 홀간에 서로 다른 폴리머가 토출되는 복합방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이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또한 이색효과가 떨어지며, 두 성분간의 큰 탄성회복률의 차이에 의해 연신 후 염기성 염료 불염 폴리에스테르가 루프(loop)로 발현되기 때문에 후공정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나무사는 대나무 펄프를 원료로 하여 친환경적인 공법으로 제조된 섬유로서, 경질이며 안정성이 양호하고 흡·투습 및 통기성이 양호하다. 또한 시원한 느낌과 특수한 광택을 가지며, UV 차단, 살균효과, 방취성, 방곰팡이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특히 여름에 착용하면 청량감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대나무사는 환경친화적이고 쾌적성이나 건강소재를 추구하는 시대조류에 맞는 새로운 ECO섬유소재이다.
그러나 대나무사는 내열성 및 내구성 등이 취약하고, 가공 후 수축률이 심한 문제가 있어 원단의 제조시 신도가 떨어져서 주름발생의 문제가 많이 발생하므로 실제로 산업적으로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대나무사는 다른 재생 셀룰로오스계 섬유보다 높은 결정화도(70% 정도) 및 강도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높은 결정화도에도 불구하고 다른 셀룰로오스계 섬유보다 염료의 흡진속도가 상당히 빨라 불균염 등 염색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대나무사를 이용하여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정과는 전혀 상이한 새로운 제조공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친환경 섬유소재인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제조함으로써 대나무사가 갖는 각종 물리적, 화학적 취약점을 극복하고, 소재복합화를 통해 감성차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대나무사의 내열성, 내구성 및 원사 수축율에 대한 안정성을 높임으로써 의류용 원단의 제조시 사용하기에 적합하며, 이색성이 우수하고 후공정에서 루프가 발현하지 아니하여 후공정시 작업성이 우수한 새로운 형태의 이색성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를 이용하여 원단의 제조후 대나무사의 수축 특성이 발현되지 아니하여 주름이 형성되지 않으며,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문제점으로 지적된 바와 같이 의류용 제품의 제조가 어려운 대나무사를 폴리에스테르사와 공기 교락하여 복합사를 제조함으로써, 내열성, 내구성 및 원사 수축율에 대한 안정성을 높이고, 이색성이 우수하고 후공정시 작업성이 우수한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복합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원단의 제조후 대나무사의 수축 특성이 발현되지 아니하여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기능성 원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원단은 대나무사와 가연처리된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대나무사와 폴리에스테르사가 함께 가연처리된 후, 상기 대나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함께 공기 교락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경사 또는 위사로 사용하여 제조됨으로써 주름발생이 없고 이색성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의 원사섬도는 80 ~ 220 데니어이며, 상기 대나무사의 원사섬도는 50 ~ 150 데니어이며,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와 대나무사는 25 : 75 ~ 75 : 25 중량% 비율로 구성되고, 상기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3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결정화도가 8~16%이고, 복굴절율이 30×10-3 ~ 150×10-3이며, 원사섬도가 80~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온도가 90 ~ 140 ℃인 핫핀에서 1.3 ~ 1.5배 연신조건으로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와, 원사섬도가 50∼150 데니어인 대나무사를 함께 온도가 170∼190 ℃인 핫플레이트를 통과시킨 후 가연스핀들에서 가연시키고, 상기 가연된 원사들을 공기교락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결정화도가 8∼16%이고, 복굴절율이 30×10-3∼150×10-3이고 원사섬도가 80∼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온도가 90 ∼ 140 ℃인 핫핀에서 1.3∼1.5배의 연신 조건으로 열처리하고, 계속해서 온도가 170 ∼ 190℃인 핫플레이트를 통과시킨 후, 가연스핀들에서 가연시키고, 상기 가연처리된 폴리에스테르사와, 원사섬도가 50 ∼ 150데니어이며 가연처리 되지 않은 대나무사를 공기교락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다양한 색상의 발현이 가능하여 이색성이 우수하고 후공정시 작업성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즉, 통상의 분산 염료로서 염색되는 폴리에스테르사와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되는 대나무사를 복합화함으로서, 자연스러운 이색성을 갖는 원단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원사의 축방향으로 짙은색과 연한색이 교호로 발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특정 섬도 및 물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사 및 대나무사를 적정 조건에서 열처리, 가연 및 교락시킨 후, 원단을 제조함으로서 원단의 촉감 및 반발특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농담염의 색조를 가질 수 있는 이색조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은 대나무사의 수축 특성이 발현되지 아니하여 상기 원단에 주름이 형성되지 않는 특징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종래의 사가공 설비의 개조없이 통상의 설비로 생산이 가능하므로, 조업성이 우수하고, 제조단가의 상승이 없으며, 공정의 복잡성을 초래하지 않으면서도 단사간 섬도의 편차가 적어서 기존의 2성분 복합사보다 적은 비용으로 우수한 품질의 이색성을 갖는 복합사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제조설비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대나무사를 가연처리하기 위한 벨트식 마찰가연장치의 모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험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험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제조설비의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대나무사를 가연처리하기 위한 벨트식 마찰가연장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은 반발탄성과 표면촉감이 우수하며 이색성이 우수하고 후공정시 작업성이 우수한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이색성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원사가 통상의 분산염료로서 염색되는 부분과 반응성 염료에 의해 염색되는 부분을 복합화하는 것이며, 원사의 축방향의 불균일한 구간별로 짙은색과 연한색이 교호로 발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원단의 제조 후에 대나무사에 의한 주름형성을 방지하는 것을 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하는 폴리에스테르사(1)로서 결정화도가 8 ~ 16 % 이고, 복굴절율이 30×10-3 ~ 150×10-3 범위가 되는 물성을 갖고, 원사의 섬도는 80 데니어에서 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1)가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폴리에스테르사(1)의 섬도가 220 데니어를 초과하면 대나무사(11)와의 혼섬시 전체 섬도가 너무 높아 의류용사로는 너무 굵게 되며, 80데니어 미만이면 섬유가 너무 가늘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조를 나타내는 데 한계가 따른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사(1)는 제1가이드롤러(2)를 통해 핫핀(3)으로 공급된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사(1)는 상기 핫핀(3)에서 90 ℃ 이상 140 ℃ 이하의 온도에서 열처리 된다. 이때 열처리 온도가 이 범위를 벗어나면 최종제품에서의 농담염색의 효과가 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시 연신배율은 1.3 ~ 1.5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 배율이 1.3보다 낮게 되면 농담색의 효과가 떨어지고 1.5보다 높게 되면 연신 부분이 길게 되어 농담염의 색조가 거칠어 보이게 된다. 상기 핫핀(3)을 통과한 폴리에스테르사(1)는 제2가이드롤러(4)를 통해 170 ℃ ~ 190 ℃를 유지하는 핫플레이트(5)를 통과한 다음 가연스핀들(6)을 통과하므로서 꼬임이 부여되어 미세한 크림프의 형상과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된다.
한편 대나무사(11)는 셀룰로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므로 반응성 염료에 염색이 가능하며, 상기 대나무사(11)의 원사섬도는 50 데니어 에서 150 데니어가 바람직하며, 상기 대나무사(11)를 구성하고 있는 단사의 섬도는 2.1 ~ 4.2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나무사(11)의 단사의 섬도가 4.2 데니어를 초과하게 되면 가공사의 촉감이 뻣뻣해지고 2.1 데니어 미만인 경우에는 반발탄성이 낮게 되어 의류용 원사로서는 부적합하게 된다.
이러한 대나무사(11)는 제2가이드롤러(4)에 투입되어 폴리에스테르사(1)와 함께 핫플레이트(5) 및 가연스핀들(6)을 통과한 다음 제3가이드롤러(7) 및 제4가이드롤러(8)에 의해 공기 교락 노즐(9)로 공급되어 공기교락된 후 제5가이드롤러(10)를 통해 권취롤러(12)에서 권취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사(1)과 함께 혼섬될 수 있다(도 1의 점선부분 참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대나무사(11)는 핫플레이트(5) 및 가연스핀들(6)을 통과하지 않고 제4가이드롤러(8)에 직접 공급되어 바로 공기 교락 노즐(9)에서 폴리에스테르사(1)와 혼섬된 후, 제5가이드롤러(10)를 통해 권취롤러(12)에서 권취됨으로써 폴리에스테르사(1)과 함께 혼섬될 수 있다(도 1의 이점쇄선 부분 참조).
이 때 대나무사(11)는 가공 후 수축현상을 방지하고 원단제조후 신도를 유지하여 주름발생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교락 전에 전처리 단계 및 가연처리 단계를 거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대나무사(11)는 원단의 제직후 수축 특성이 크게 발현되어 원단에 주름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수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기교락 전에 대나무사(13)를 핫 에어(hot air) 처리를 함으로써 대나무사(11)의 수축 특성을 완화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나무사(11)의 핫 에어 처리시 습열 처리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사(11)가 취화되어 물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대나무사의 수축특성 만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건열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핫 에어 처리시 온도는 100 ~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 ℃미만의 핫 에어로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11)의 수축특성의 저감이 미미하며, 15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대나무사(11)가 취화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상기 핫 에어의 처리시간은 10~ 30분이 바람직한데, 10 분 미만으로 핫 에어 처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의 수축특성의 저감이 미미하며, 30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대나무사(11)가 물성이 변화되어 특히 냉감 특성 등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대나무사(11)의 가공 후 수축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단 챔버의 내부 온도를 150 ℃ ~ 175 ℃ 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다단 챔버의 내부로 대나무사(11)가 가이드부를 통해 상기 다단 챔버 내부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대나무사(11)를 다단 챔버 내부에서 60 ~ 120 초 동안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열처리된 대나무사(11)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냉각시키는 단계를 추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단 챔버에서 열처리 한 후, 대나무사(11)는 도 2와 같은 벨트식 마찰가연장치(150)에서 가연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대나무사(11)가 벨트식 마찰가연장치(150)의 두 벨트를 통과함에 있어 두 벨트 사이의 각도가 120 ~ 15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대나무사가 통과하며 접하는 두 벨트(100, 200) 사이의 교차각(α)이 120 ~ 150°일 수 있다. 만일 두 벨트(100, 200) 사이의 교차각(α)이 120° 미만인 경우 가연이 과도하게 수행되어 미해연된 부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두 벨트(100, 200) 사이의 교차각(α)이 150°를 초과하는 경우 가연이 너무 적어 가연사의 크림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사(1)와 대나무사(11)는 원단의 제직후 우수한 이색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혼섬시 25 : 75 ~ 75 : 25 중량% 비율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300 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나무사(11)가 폴리에스테르사(1)와 함께 핫플레이트(5) 및 가연스핀들(6)을 통과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상기 핫플레이트(5) 및 가연스핀들(6)을 통과하지 않고 제4가이드롤러(8)에 의해 바로 공기 교락 노즐(9)로 공급되어 폴리에스테르사(1)와 혼섬되어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대비 반발탄성은 다소 떨어지는 반면에 좀더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가연스핀들(6)에서의 부여되는 꼬임은 아래 식 (1)을 만족해야 하며,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가 이보다 높게 되면 농담염색의 효과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원사가 취약해지면 모우가 발생하며, 공정 통과성 및 원단 제조시는 제직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가 이보다 낮게 되면 크림프성이 약해져서 원단 제조시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가 없게 된다.
Figure 112018054463319-pat00001
여기서 p는 원사의 고유 밀도이며, D는 원사의 섬도(데니어)이며, T는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공기 교락 노즐(9)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1)와 대나무사(11)의 공기 교락시 공기압을 2.0 kg/㎠ 에서 3.5 kg/㎠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정 및 조건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사용하여 직물 또는 편물의 제조가 가능하며, 제조된 원단은 혼섬된 원사의 이수축 효과 및 크림프 효과에 의해 표면촉감이 극히 부드러우면서도 반발 탄성을 갖게 된다. 또한 염색 공정에 의해 다양한 색상과 농담염의 색조의 부여가 가능하여 이색성이 우수하고, 원단의 제조시 대나무사의 수축 특성이 발현되지 아니하여 상기 원단에 주름이 형성되지 아니하는 특징을 갖게 된다. 또한 원사 제조공정을 일원화 시킬 수가 있으므로 제조원가 절감 및 가공사의 품질도 안정화 시킬 수가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복굴절율이 85×10-3이고 결정화도가 16%이며 섬도가 220 데니어이고 48가닥인 폴리에스테르사(1)를 온도가 120 ℃인 핫핀(3)에서 1.35의 연신배율로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폴리에스테르사(1)와, 섬도가 75데니어이고 24가닥인 대나무사(11)를 함께 온도가 185 ℃인 핫플레이트 내부로 통과시킨 후, 가연스핀들에서 1,700 TPM으로 가연시켰다. 상기와 같이 가연된 폴리에스테르사(1) 및 대나무사(11)를 공기 교락 노즐(9)에서 공기압 2.8kg/㎠으로 공기 교락시켜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사용하여 제직하고, 통상의 염색공정에서 5% 감량시킨 후, 시중의 분산염료 0.8 %(o.w.f) 및 반응성 염료 0.6 %(o.w.f)가 첨가된 염욕에서 130 ℃로 염색하여 경사밀도가 86본이고 위사 밀도가 65본인 평직 원단을 제조하여 실시예 1의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폴리에스테르사(1) 및 대나무사(11)을 사용하되, 상기 대나무사(11)를 핫플레이트 및 가연스핀들을 통과시키지 아니하여 가연처리하지 않고 바로 열처리 및 가연된 폴리에스테르사(1)와 공기교락을 실시하였다. 기타의 사가공 조건, 제직 및 염색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직 원단을 제조하여 실시예 2의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비교예 1]
복굴절율이 85×10-3이고 결정화도가 16%이며 섬도가 220데니어이고 48가닥인 폴리에스테르사(1)와, 섬도가 75데니어 24가닥수인 대나무사(11)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폴리에스테르사(1) 및 대나무사(11)를 열처리 및 가연처리 하지 않고 실시예 1와 동일한 조건으로 공기교락만을 행하였다. 기타의 사가공 조건, 제직 및 염색 공정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평직 원단을 제조하여 비교예 1의 시험편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조된 원단의 물성은 전문가 20인이 상대적인 관능평가를 통해 색상의 다양성과 농담염의 색조와 표면촉감 및 이수축 효과 등을 측정하고, 평가결과를 평균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원단의 반발탄성 즉, 드레이프성은 KS K ISO 9073-9(텍스타일-부직포 시험방법-제9부:드레이프 계수를 포함한 드레이프성 측정)에 의거하여 측정하고 평균하여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색상의 다양성 ×
농담조의 색조 ×
표면촉감 ×
이수축 효과 ×
(◎ : 매우 우수함, ○ : 우수함, △ : 보통, × : 불량)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사용하여 제직된 원단 즉, 실시예 1, 2는 색상의 다양성 등 대부분의 평가항목에서 우수한 결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모든 평가항목에서 불량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실시예 1, 2의 경우에는 색상의 다양성과 농담조의 색조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불량으로 평가되어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는 원사의 반발탄성과 표면촉감이 우수하며, 또한 다양한 색상의 발현이 가능하여 이색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원단의 촉감 및 반발특성이 우수하고 다양한 농담염의 색조를 가질 수 있는 본 발명의 이색조 복합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반발탄성 38 % 35 % 52 %
또한 표 2를 살펴보면, 실시예 1와 실시예 2의 반발탄성 즉, 드레이프성의 측정값이 38% 또는 35%의 값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의 경우에는 52%의 값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통상적으로 반발탄성이 우수한 레이온 직물의 드레이프성 측정값이 35 ~ 40%를 나타내므로, 본 발명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이용한 원단의 반발탄성은 극히 우수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시예 1, 2의 시험편에서 비교예 1 대비 우수한 드레이프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폴리에스테르사,
2 : 제1가이드 롤러,
3 : 핫핀,
4 : 제2가이드 롤러,
5 : 핫플레이트,
6 : 가연스핀들,
9 : 공기 교락 노즐,
11 : 대나무사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100 ~ 150 ℃에서 10 ~ 30분 동안 핫 에어로 전처리된 원사섬도 50 ~ 150 데니어인 대나무사와, 가연처리된 원사섬도 80 ~ 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 또는 상기 100 ~ 150 ℃에서 10 ~ 30분 동안 핫 에어로 전처리된 대나무사와 원사섬도 80 ~ 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함께 가연처리한 후, 상기 대나무사와 폴리에스테르사를 함께 공기 교락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와 대나무사는 25 : 75 ~ 75 : 25 중량% 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총섬도는 100~30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
  8. 청구항 3, 6, 7 중 어느 한 항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포함하는 직물
  9. 청구항 3, 6, 7 중 어느 한 항의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를 포함하는 편물
  10. 결정화도가 8∼16%이고, 복굴절율이 30×10-3∼150×10-3이고 원사섬도가 80∼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온도가 90∼140℃인 핫핀에서 1.3∼1.5배의 연신 조건으로 열처리하고, 열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테르사와, 100 ~ 150 ℃에서 10 ~ 30분 동안 핫 에어로 전처리된 원사섬도가 50∼150 데니어인 대나무사를 함께 온도가 170∼190 ℃인 핫플레이트를 통과시킨 후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가 아래의 식 (I)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가연스핀들에서 가연시키고, 상기 가연된 원사들을 공기교락 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Figure 112019048598828-pat00002


    (여기서 p는 원사의 고유 밀도이며, D는 원사의 섬도(데니어)이며, T는 원사의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를 나타낸다.)
  11. 결정화도가 8∼16%이고, 복굴절율이 30×10-3∼150×10-3이고 원사섬도가 80∼220 데니어인 폴리에스테르사를 온도가 90 ∼ 140 ℃인 핫핀에서 1.3∼1.5배의 연신 조건으로 열처리하고, 계속해서 온도가 170 ∼ 190℃인 핫플레이트를 통과시킨 후, 단위길이당 꼬임수(Twist per meter, TPM)가 아래의 식 (I)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가연스핀들에서 가연시키고, 상기 가연처리된 폴리에스테르사와, 100 ~ 150 ℃에서 10 ~ 30분 동안 핫 에어로 전처리된 원사섬도가 50 ∼ 150데니어이며 가연처리 되지 않은 대나무사를 공기교락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Figure 112019048598828-pat00003


    (여기서 p는 원사의 고유 밀도이며, D는 원사의 섬도(데니어)이며, T는 원사의 단위길이당 꼬임수(TPM)를 나타낸다.)

KR1020180063890A 2018-06-02 2018-06-02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89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890A KR101989743B1 (ko) 2018-06-02 2018-06-02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890A KR101989743B1 (ko) 2018-06-02 2018-06-02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9743B1 true KR101989743B1 (ko) 2019-09-30

Family

ID=6809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890A KR101989743B1 (ko) 2018-06-02 2018-06-02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9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0976A (zh) * 2019-11-14 2020-02-07 安徽竞秀纺织有限公司 一种舒适环保型竹纤维面料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109B1 (ko) * 1996-06-21 1999-07-15 정우영 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JP5214131B2 (ja) * 2006-10-30 2013-06-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吸水伸長性複合糸および布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9109B1 (ko) * 1996-06-21 1999-07-15 정우영 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JP5214131B2 (ja) * 2006-10-30 2013-06-19 旭化成せんい株式会社 吸水伸長性複合糸および布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60976A (zh) * 2019-11-14 2020-02-07 安徽竞秀纺织有限公司 一种舒适环保型竹纤维面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20090090167A (ko) 저융점 난연 폴리에스테르 복합가공사 및 원단과 이의제조방법
KR101384083B1 (ko) 멜란지톤을 가지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555099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488623B1 (ko) 폴리에스테르계 신축성 복합 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29480B1 (ko) 잠재권축형 폴리에스테르 2성분 복합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16223B1 (ko) 신축성 복합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CN114008255A (zh) 具有良好伸缩性的聚酯复合纤维及其制备方法
KR100635857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4284758B2 (ja) ポリエステル系複合加工糸の製造方法
KR100476473B1 (ko)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방법.
KR100476471B1 (ko) 이수축 혼섬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20130134074A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1989744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청량감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폴리에스테르-대나무 복합사 제조방법
KR101866688B1 (ko) 멜란지 효과가 우수하고, 드레이프성 및 고신축성을 갖는 레이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1989745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신축성 및 멜란지톤 발현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에어텍스쳐 가공사의 제조방법
KR20150058781A (ko) 볼륨감이 우수한 이수축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234800B1 (ko) 원단의 터치감을 부드럽게 개선한 자연스러운 염색 농담차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혼섬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646649B1 (ko) 소프트니스가 우수한 이수축 복합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JPWO2005071149A1 (ja) ポリエステル異収縮混繊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48430A (ja) 潜在捲縮発現性ポリエステル繊維および製造方法
KR100476469B1 (ko) 폴리에스테르 이수축 혼섬사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