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013B1 -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013B1
KR101940013B1 KR1020180046040A KR20180046040A KR101940013B1 KR 101940013 B1 KR101940013 B1 KR 101940013B1 KR 1020180046040 A KR1020180046040 A KR 1020180046040A KR 20180046040 A KR20180046040 A KR 20180046040A KR 101940013 B1 KR101940013 B1 KR 101940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yarn
present
fals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235A (ko
Inventor
양승갑
김대희
김민철
Original Assignee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01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사의 후 가공에 따른 중공의 파괴와 합착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가연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므로 해결하여 가연처리 후에도 중공 파괴 및 중공 협착을 방지하므로 피부 접촉성을 우수하게 하는 중공사로부터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가연사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본 발명의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은 중공율이 10 내지 25%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중공사를 1.5 내지 3%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로 가연기 내에 위치하는 제1 히터에 공급하여 상기 히터 통과시키면서 가연기로 가연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공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은 가연사의 생산속도, 오버피드율, 연신비 및 집속압력과 같은 가연사 제조 공정의 변수를 최적화하여 가연처리 후에도 중공 파괴 및 중공 협착을 방지하므로 피부 접촉성을 우수하게 하는 중공사로부터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Description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The method of manufacturing hollow false twisted yarns}
본 발명은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종래 중공사가 의류용도로 확대되고 있지만 후 가공에 따른 중공의 파괴와 합착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가연사 제조 공정을 최적화하므로 해결하여 가연처리 후에도 중공 파괴 및 중공 협착을 방지하므로 피부 접촉성을 우수하게 하는 중공사로부터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중공사는 단면상에 중공(中空)이 형성된 원사로서 통상적으로 중공부 형성이 가능한 특수 방사 구금을 통해 용융 중합체를 압출한 후 방사구금 직하에서 급속냉각하고, 연신 및 권취하는 방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중공사는 섬유 업계의 오래된 기술로서 의류용도를 포함한 각종 분야에서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데 이러한 중공사의 장점은 상기한 바와 같이 원사 내부에 일정 비율의 중공부가 형성되므로 원사의 무게 감소로 인한 비중 감소로 경량감을 느낄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으며, 또한 부가하여 중공사는 그 중공부에 일정한 공기를 함유하므로서 공기의 낮은 열전도율을 이용하여 보온성을 유지하고 촉감을 우수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특성을 갖는 중공사를 의류용 섬유로 이용할 때 의류가 얇으면서도 보온성이 우수하고 촉감이 월등하여 고급 소재로 사용되어 질 수 있다.
그런데, 일반 의류용 필라멘트의 경우 중공사를 그대로 사용할 경우 후도감이 높아 반들거리거나 미끈거려 촉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후 공정으로 가연공정을 거쳐 촉감을 개선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연공정은 높은 온도에서 많은 장력을 통해서 꼬임을 부여하기 때문에 중공사의 경우에는 중공이 깨지거나 찌그러지고 또한 협착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원하는 중공률을 갖는 가연 중공사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제안들이 있어 왔는데, 특히 중공사의 중공률이 30% 이상인 경우에는 중공부를 감싸고 있는 섬유외곽의 벽이 얇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쉽게 합착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가연처리 후에도 10% 이상의 중공률을 갖고 있어서 보온성, 경량성 및 흡한속건성이 우수하며, 가연처리되어 벌키성, 촉감, 드레이프성 및 광택이 우수하고, 복합방사 및 용출공정들을 생략할 수 있어서 공정이 간소화되는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으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7614호에서는, "중공률이 25%이상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완전연신사(Full drawn yarn)를 3 내지 10%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로 가연기 내에 위치하는 160 내지 190℃의 열판에 공급하여 200 내지 600m/분의 사속으로 상기 열판을 통과시키면서 가연기구로 꼬임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0104702호는 "멀티필라멘트의 단면내에 중공부를 갖는 모노필라멘트들과 이형단면을 갖는 모노필라멘트들이 혼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멀티필라멘트"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첫 번째 방법은 중공사 원사의 중공률이 높고 또한 오버피드 율이 높이 중공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가 원하는 정도로 얻어지지 않는 실정이고, 상기 두 번째 방법은 이형 단면사를 이용하여 중공사 촉감을 보완하는 것이지만 드레이프 성이 높고 피부에 바로 접촉하기에는 여전히 미끈거려 촉감이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해결되었다고 할 수 없다.
상기 첫 번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가연처리 후에도 10~25%의 중공율을 유지하여 보온성, 경량감 및 흡한 속건성을 만족케하기 위한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지만, 실제 제시된 방법대로 실시해보면, 중공사를 가연하는 과정에서 중공 파괴가 너무 심하게 나타나서, 중공사 고유특성의 발현이 어렵게되고 제품화하기 어려울 정도의 염색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 등은 상기한 종래의 중공 가연사의 후 공정에서 중공의 파괴 및 협착을 가장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접촉성 및 벌키성을 우수하게 하는 방법에 대해 장기간에 걸쳐 예의 연구하여 가장 적합한 가공 조건의 조합을 찾아냈으므로, 본 발명에서 이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7-0097614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010470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기술적 문제점을 감안하여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중공사의 후 가공에 따른 중공이 깨지거나 협착 등의 중공 파괴의 문제를 해결하여 가연처리 후에도 중공이 그대로 유지되어 피부 접촉성을 우수하게 되는 중공 가연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연처리 후에도 10~25%의 중공율을 유지하기위해 중공사 제조공정부터 특별한 조건하에서 작업이 이뤄지도록 하되, 이를 위해 중공사 제조공정에서 중공 파괴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이 최적 조건하에 유기적으로 작용하기 위한 적정범위를 찾아냄으로서,
중공사 제조공정 후 바로 연결되는 가연공정에서도 중공 파괴없이 우수한 중공율이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한 우수한 특성을 가지는 중공 가연사의 보다 용이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한 명확한 목적 이외에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기술로부터 이 분야의 통상인에 의해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다른 목적을 달성함을 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은;
중공률이 10 내지 25%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중공사를 1.5 내지 3%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로 가연기 내에 위치하는 제1 히터에 공급하여 상기 히터 통과시키면서 가연기로 가연하여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중공사의 강도는 4.5 내지 6.0g/d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사를 가연기 내의 제1 히터에 공급하여 가연사를 생산하는 속도는 300 내지 600mpm(m/min)으로 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는 170 내지 200℃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방법은 제1 피더 롤러와 제2 피더 롤러를 통과하며, 이때 연신비인 제1 피더 롤러에 대한 제2 피더 롤러에 대한 속도비는 1.0 내지 2.0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상기 중공 가연사는 집속압력이 0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공 가연사는;
중공률이 10 내지 25%인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완전연신사를 1.5 내지 3%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로 가연기 내에 위치하는 제1 히터에 공급하여 상기 히터 통과시키면서 가연기로 가연하여 제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중공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은 가연사의 생산속도, 오버피드율, 연신비 및 집속압력과 같은 가연사 제조 공정의 변수를 최적화하여 가연처리 후에도 중공 파괴 및 중공 협착을 방지하므로 피부 접촉성을 우수하게 하는 중공사로부터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즉, 가연처리 후에도 10~25%의 중공율을 유지하기위해 중공사 제조공정부터 특별한 조건하에서 작업이 이뤄지도록 하되, 이를 위해 중공사 제조공정에서 중공 파괴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그 요소들이 최적 조건하에 유기적으로 작용하기 위한 적정범위를 찾아냄으로서, 중공사 제조공정 후 바로 연결되는 가연공정에서도 중공 파괴없이 우수한 중공율을 계속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연기를 사용한 중공 가연사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 및 중공가연사 단면으로 도 2a는 중공사 원사의 단면이고 2b는 중공 가연사의 단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고로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의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가연기를 사용한 중공 가연사를 생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 및 중공가연사 단면으로 도 2a는 중공사 원사의 단면이고 2b는 중공 가연사의 단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는 가연처리 후의 중공이 거의 파괴되지 않는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제조하기 위해서 중공률이 10 내지 25%인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중공사를 사용하여, 가연공정을 거치도록 한다.
상기 중공사의 중공률이 10% 미만으로 하여 사용하게 되면 중공사 고유의 특성발현이 되지 않고, 반대로 중공률이 25%를 넘는 것을 사용하게 되면 가연공정에서 중공이 파괴되는 빈도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중공사를 구성하는 단사(모노필라멘트)의 섬도는 0.5 내지 8.0데니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연사는 1.5 내지 3%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로 가연기(10) 내에 위치하는 제1 피더 롤러(2)를 거쳐 제1 히터(3)에 공급하여 상기 히터 통과시키면서 가연기로 가연하여 제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중공사는 도 2와 같은 중공의 단면을 가지며, 이러한 중공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연기(10)에 공급하여 가연처리하여 중공률이 10∼25%인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를 제조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도 1과 같이 상기의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 완전연신사(1)를 제1 피더 롤러(2), 제2 피더롤러(5) 및 제3 피더 롤러(7)을 거쳐 와인더(9)에 권취하여 중공 가연사를 제조하며,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더 롤러들을 거쳐 제1 히터(3) 및 제2 히터(6)에 원사를 공급할 때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이 1.5 내지 3.0이 되도록 조절한다. 상기 오버피드율은 제2 피더롤러(5)와 와인더(9) 사이의 속도 차이로 조절이 가능하다. 만일 오버피드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조업성이 불량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반대로 3을 초과하면 중공의 파괴 및 협착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종래기술에서는, 중공사를 가연하는 과정에서 중공 파괴가 너무 심하게 나타나서 중공사 고유특성의 발현이 어렵게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중공사 제조공정과 가연공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있어서, 중공파괴가 어느 과정에서 주로 발생하는지와, 중공파괴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이 무엇인지 찾아내어,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본원발명에서는, 가연공정이 아무리 적합한 조건으로 이뤄진다해도 중공사가 제대로 만들어지지않는다면 중공파괴가 극심하게 나타날 것이므로, 중공사 제조공정에 특히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먼저, 중공사 제조공정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사섬도 0.5~8.0 데니어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고, 상기 단사섬도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 중공율은 반드시 10 내지 25%의 것을 사용해야한다.
단사섬도 0.5~8.0 데니어의 것을 사용하면서, 중공률이 10% 미만인 것을 사용한다면 중공사 고유의 특성발현이 되지 않게되며, 반대로 중공률이 25%를 넘는 것을 사용하게 되면 가연공정에서 중공이 파괴되는 빈도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공사 제조공정에서는 위에 열거한 단사섬도, 중공율 외에도, 강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는데, 중공사의 강도는 위의 조건이 충족된 상태(단사섬도 0.5~8.0 데니어, 중공률이 10% 미만)에서 반드시 4.5 내지 6.0g/d로 되어야 한다.
상기 중공사 강도가 하한값(4.5)보다 낮으면 가연 공정에서 중공의 안정성이 낮아 중공파괴가 일어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은 가연후에 중공파괴가 발생되기않도록 하기 위해, 중공사 제조공정에서 중공파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3가지(단사섬도, 중공율, 강도를)를 찾아내고, 중공파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들에 대해 유기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조건이 필요하므로, 상기에서와 같이 위 세가지 조건에 대한 수치범위의 결합을 한정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강도의 수준으로 강도를 올리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생산속도와 연신비 등의 조건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사를 가연기(10) 내의 제1 히터(3)에 공급하여 가연사를 생산하는 속도는 300 내지 600mpm으로 한다. 생산 속도가 300mpm 보다 낮으면 생산속도가 저하되고, 반대로 600mpm을 넘어서면 중공파괴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이때 상기 제1 히터(3)의 온도는 170 내지 200℃로 유지하여야 하는데, 온도가 상기 범위 아래도 되면 권축성이 저하하여 촉감을 나쁘게 하는 원인이 되며, 상기 온도를 초과하면 강도와 신도가 저하하고 중공이 파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1 피더 롤러(2)와 제2 피더 롤러(5)를 통과하며, 이때 연신비인 제1 피더 롤러에 대한 제2 피더 롤러에 대한 속도비는 1.0 내지 2.0으로 한다. 만일, 연신비가 1.0 미만으로 되면 조업성이 나빠지고 반대로 2.0을 초과하면 중공이 파괴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중공사 생산공정에서 상기 조건(단사섬도 0.5~8.0 데니어, 중공률이 10% 미만, 강도 4.5 내지 6.0g/d)으로 생산된 중공사를 가연할 경우, 상기 중공사 생산공정의 조건들과는 별도로, 반드시 오버피드율이 일정범위 내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피더 롤러들을 거쳐 제1 히터(3) 및 제2 히터(6)에 원사를 공급할 때의 오버피드율(overfeed rate)이 반드시 1.5 내지 3.0이 되어야한다. 오버피드율이 1 미만인 경우에는 조업성이 불량한 문제가 발생되었고, 반대로 3을 초과하면 중공의 파괴 및 협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중공 가연사는 집속압력을 0으로 한다. 종래에는 집속에 따른 중공파괴의 현상을 인식하지 못하여 집속압력을 제거하지 못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중공파괴의 현상을 조사하는 중 전혀 예상 밖으로 집속에 따른 중공파괴가 큰 변수로 작용함을 인지하고 이들 집속압력을 없게 하면서, 후속공정에서 집속을 가능하게 하므로 중공파괴를 방지할 수 있었으며, 위 모든 조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 사용될 때 의류용 섬유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조된 가연사의 물성은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중공피괴율(%): 가연가공 전 중공사의 중공에 대해 가연사의 파괴된 중공의 비율을 계산하여 얻었다.
협착율(%): 가연가공 전 중공사의 중공에 대해 가연사의 협착된 중공의 비율을 계산하여 얻었다.
실시예 1
중공률이 20%이고, 강도가 5.05g/de인 75데니어 36원사를 도 1과 같은 벨트 타입의 가연기를 사용하여 제 1피더 롤러로 공급하여, 생산속도 500mpm, 제1 히터의 온도 180℃, 연신비 1.3, 오버피드율 1.5로 하여 집속압력 없이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가연사의 중공 파괴율 및 협착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2
가연 공정에서 가연기구를 디스크형 가연기구를 사용하는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가연기구만 상이(벨트 타입→디스크형)한데, 중공파괴율과 중공합착율은 여전히 양호하게 관측되었으므로, 가연기구의 종류는 중공 파손에 별로 영향이 미치지않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3
연신비를 2.0으로 하는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연신비만 상이(1.3→2.0)한데, 중공파괴율과 중공합착율은 여전히 양호하게 관측되었으므로, 연신비는 중공 파손에 별로 영향이 미치지않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원사 중공률이 35%인 것을 사용하는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중공률만 상이(20%→35%)한데, 중공파괴율과 중공합착율이 크게 증가됨이 관측되었으므로, 중공률이 중공 파손에 큰 원인이라는 사실과, 중공률은 35%이하, 즉 10~25% 정도가 적합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
연신비가 2.5인 것을 사용하는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연신비만 상이(1.3→2.5)한데, 중공합착율이 크게 증가됨이 관측되었으므로, 연신비가 중공 파손에 큰 원인이라는 사실과, 연신비는 2.5이하, 즉 1.0~2.0 정도가 적합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3
오버피드율을 3.7로 하는 것을 사용하는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오버피드율만 상이(1.5→3.7)한데, 중공합착율이 크게 증가됨이 관측되었으므로, 오버피드율이 중공 파손에 큰 원인이라는 사실과, 오버피드율은 3.5이하, 즉 1.5~3.0 정도가 적합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
집속압력을 1kg/㎠으로 하는 것 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가연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비교할 때 집속압력만 상이(0→1kg/㎠)한데, 중공파괴율과 중공합착율이 크게 증가됨이 관측되었으므로, 집속압력이 중공 파손에 큰 원인이라는 사실과, 집속압력이 없으면(집속하지않으면) 중공파괴가 발생하지않을뿐만 아니라, 나머지 조건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충족된다면 의류용 섬유로 사용하기에 부족함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분 중공파괴율(%) 중공협착율(%)
실시예 1 0 5.6
실시예 2 0 2.8
실시예 3 0 5.6
비교예 1 22.2 19.4
비교예 2 5.6 16.7
비교예 3 0 19.4
비교예 4 11.1 19.4
1 --- 중공원사 2 --- 제1 피더 롤러
3 --- 제1 히터 4 --- 가연 기구
5 --- 제2 피더 롤러 6 --- 제2 히터
7 --- 제3 피더 롤러 8 --- 오일 롤러
9 --- 와인더 10 --- 가연기

Claims (2)

  1. 폴리에스테르 필라멘트 중공사를 생산하는 과정과, 상기 중공사를 가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 생산공정에서의 단사섬도, 중공률, 강도와, 상기 중공사 가연공정에서의 연신비, 오버피드율, 집속압력의 총 6가지 조건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실시되어지되,
    가연과정 중에 중공파괴가 발생하지않도록 상기 중공사 단사섬도는 0.5~8.0 데니어, 중공률은 10~25%의 것을 사용하되 연신비는 1.3~2.0이 되도록 하고,
    위 조건(단사섬도, 중공률)이 충족된 상태에서 중공사를 가연할 경우 강도는 반드시 4.5~6.0g/d이 되어야하고, 오버피드율은 1.5~3.0이며, 상기 조건하에서 반드시 집속하지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사는 제1 피더 롤러, 제1 히터, 가연기구, 제2 피더롤러, 제2 히터, 제3 피더 롤러를 거쳐 와인더에 공급되며, 상기 중공사를 가연기 내의 제1 히터에 공급하여 가연사를 생산하는 속도는 300 내지 600mpm(m/min)이고, 상기 제1 히터의 온도는 17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20180046040A 2018-04-20 2018-04-20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40A KR101940013B1 (ko) 2018-04-20 2018-04-20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040A KR101940013B1 (ko) 2018-04-20 2018-04-20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208A Division KR20120086882A (ko) 2011-01-27 2011-01-27 중공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235A KR20180043235A (ko) 2018-04-27
KR101940013B1 true KR101940013B1 (ko) 2019-01-18

Family

ID=6208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040A KR101940013B1 (ko) 2018-04-20 2018-04-20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7134B (zh) * 2018-11-30 2020-10-23 保定市天马衬布有限公司 一种高弹衬布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402B2 (ja) 1997-09-11 2003-02-0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特殊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2123A (ja) * 1993-03-16 1994-09-27 Toyobo Co Ltd ポリエステル系フイラメント加工糸及びその製造法
JPH10110336A (ja) * 1996-10-07 1998-04-28 Unitika Ltd 変形中空断面仮撚加工糸の製造方法
KR100821901B1 (ko) 2006-03-28 2008-04-15 주식회사 코오롱 중공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80104702A (ko) 2007-05-29 2008-12-03 주식회사 코오롱 복합 멀티필라멘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402B2 (ja) 1997-09-11 2003-02-04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特殊複合仮撚加工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235A (ko) 2018-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655B1 (ko)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잠재권축사를 이용한 복합가연사
KR101384083B1 (ko) 멜란지톤을 가지는 고신축성 폴리에스테르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40013B1 (ko) 중공 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618789B1 (ko) 균제도, 강신도 및 내마찰성이 우수한 장섬유 아라미드 에어젯트 방적사의 제조방법
KR100952467B1 (ko) 편평단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05666B1 (ko) 다운프루프 직물용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450456B1 (ko) 고권축성 나일론 6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KR101155454B1 (ko) 고신축성 나일론 6 가연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049186B1 (ko) 폴리에스테르 방적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416210B1 (ko) Uv차단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리사이클 폴리에스테르 복합가연가공사의 제조방법
KR101846430B1 (ko) 아웃도어소재 백킹용 환편직원단
KR101367037B1 (ko) 심색성, 신축성 및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편직물
KR101989743B1 (ko) 대나무사를 포함하는 이색성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대나무-폴리에스테르 이색조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0949598B1 (ko) 고강도 저수축 폴리에스테르 섬유
KR20180089672A (ko) 촉감 및 보온성이 우수한 복합사의 제조방법
KR101940473B1 (ko) 벨벳 직물용 가연사의 제조방법
JP2018053405A (ja) 扁平断面ポリヘキサメチレンアジパミド繊維および繊維製品
KR101989744B1 (ko) 대나무사를 이용한 청량감이 우수한 기능성 원단 및 폴리에스테르-대나무 복합사 제조방법
KR20130030455A (ko) 멀티 필라멘트사를 이용한 고강도 단섬유의 제조방법 및 그 단섬유
KR20110129085A (ko) 세섬도 나일론 고신축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32629A (ko) 폴리프로필렌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KR100464752B1 (ko) 의마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555098B1 (ko)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이수축 폴리에스테르 심초형 복합가연사
KR101599109B1 (ko) 선연 후가연 특성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가연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KR20140070681A (ko) 린넨-라이크 폴리에스테르 가연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