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6117A -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 Google Patents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6117A
KR20150066117A KR1020130151261A KR20130151261A KR20150066117A KR 20150066117 A KR20150066117 A KR 20150066117A KR 1020130151261 A KR1020130151261 A KR 1020130151261A KR 20130151261 A KR20130151261 A KR 20130151261A KR 20150066117 A KR20150066117 A KR 20150066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present
folic acid
lactobacillus plantarum
plant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8640B1 (ko
Inventor
임상동
도정룡
김기성
김영진
박선영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5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40B1/ko
Publication of KR2015006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엽산생성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엽산생성능이 우수하고,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생장억제 활성이 있으며, 담즙내성과 강한 내산성을 가진다. 또한, 두유에서 우수한 산 생성 발효특성을 나타내므로, 발효두유제품 제조를 위한 발효스타터 균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Novel Strains of Lactobacillus plantarum JA71 with Folic Acid Producing Ability}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 균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효두유 제조에 적합한 엽산생성능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에 관한 것이다.
엽산 프테로일글루탐산(pteroylglutamic acid)과 그와 비슷한 활성을 가진 유도체들을 총체적으로 일컫는 말로, 라틴어의 잎(folium)이라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엽산은 프테리딘(pteridine), 파라아미노벤조산(para-aminobenzoic acid, PABA), 하나 이상의 글루탐산 분자(glutamate)로 구성된다. 글루탐산 분자가 1개 뿐이라면 이것을 폴산(folic acid) 이라고 한다. 식품과 체내에 존재하는 엽산의 주된 형태는 환원형인 테트라히드로폴레이트(tetrahydrofolate)으로서, 다양한 형태의 단일탄소 단위와 글루탐산이 약 1-6개까지 추가로 연결된 프테로일폴리글루타메이트(pteroylpolyglutamate)이다. 반면, 엽산 보충제나 식품 중에 강화된 엽산은 비교적 안정한 폴산의 형태로 포함되어 있다.
엽산은 세포내에서 기본적인 조효소 형태인 테트라히드로폴산(tetrahydrofolic acid, THFA)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활성형 THFA는 5 가지가 있는데, 이러한 형태의 THFA는 핵산 대사에서 단일탄소 전이 반응(one-carbon transfer reactions)에 조효소 역할을 한다. DNA 합성에 필요한 티미딜레이트(thymidylate)가 합성되기 위해서는 엽산이 꼭 필요하므로 엽산이 부족하면 세포분열이 정상적으로 일어나기 어렵고, 퓨린과 피리미딘 합성에도 필요하므로 엽산이 부족하면 DNA 합성과 수선(repair)이 감소된다. 이 외에도 아미노산 대사에서 엽산이 필요하다. 히스티딘의 분해, 히스티딘 대사의 중간 대사물질인 포르미니노-글루탐산(forminino-glutamic acid)의 대사과정, 세린과 글리신의 상호전환, 메티오닌의 합성에 관여한다. 특히 호모시스테인으로부터 합성된 메티오닌은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을 합성할 때 필요한 S-아데노실메티오닌(S-adenosylmethionine)으로 전환된 후 체내에 필요한 여러 대사과정에서 메틸기를 제공해 주는 중요한 물질로 작용한다.
엽산은 세포분열이 많이 일어나는 유아기, 성장기, 임신기, 수유기에 그 필요량이 매우 증가하여 이 시기에 엽산이 부족하기 쉽다. 엽산 섭취량이 부족하면 가장 먼저 혈청 엽산 농도가 감소하고, 점차 적혈구 엽산 농도가 감소하며,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증가하게 된다. 이와 함께 골수와 세포분열이 빨리 일어나는 세포에 거대적아구성 변화가 생기고, 빈혈이 나타난다. 엽산 결핍시 나타나는 빈혈은 거대적아구성 빈혈로 허약감, 피로, 불안정, 가슴이 두근거림 등의 증세를 수반한다. 또한, 엽산이 결핍되면 세포분열이 매우 빨리 일어나는 위장 점막에 영향을 주어 위장장애가 나타난다.
임신 초기에 엽산이 부족하면 태아의 신경관 형성에 장애가 생겨 신경관 손상의 기형아를 출산할 확률이 높으며, 이러한 위험요인을 갖고 있는 여성에게 엽산을 보충함으로써 신경관 손상의 기형아 출산율을 낮출 수 있었음이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신경관 손상 뿐 아니라 언청이, 다운증후군 등의 다른 기형아 출산도 모체의 엽산 부족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가임기 여성의 엽산 섭취가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염증성장염(inflammatory bowel disease)을 가진 환자에게 다량의 엽산이 추천된다. 그러므로, 신체에 엽산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프로바이오틱스와 같은 천연의 원천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48776호에는 엽산을 생산하는 비피도박테리움 박테리아와 이 균주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278호에는 다수의 김치유산균과 우유유산균의 복합균주를 발효한 경우 엽산의 생성을 확인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279호에는 한약추출물을 함유한 콩물에 식물성 김치유산균 복합균주와 동물성 우유유산균 복합균주를 발효한 경우 엽산이 생성되었다는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나, 단일 균주로서 락토바실러스 균주가 엽산을 생산한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 않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04877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27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82279호
본 발명자들은 엽산생성능이 뛰어난 젖산균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젓갈로부터 엽산 생성능이 매우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 균주를 분리 및 동정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 균주의 발효제품에 대한 응용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엽산 생성능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 균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의 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엽산 생성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 균주는 젖산균으로서 젓갈 에서 분리하였으며,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스크리닝 및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미생물의 동정은 미생물의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기초로 하여 이루어졌다.
미생물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의 신규 젖산균은 젓갈에서 분리되었으며, 펩톤(peptone) 희석액으로 희석하여 NaN3를 첨가한 변형 MRS배지(하기 실시예 1의 표 1 참조)에 0.1 ㎖ 씩 평면도말법으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고 각 균락을 변형 MRS배지에서 순수 분리한 다음 노란색으로 변한 균락을 잠정적 젖산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상기 변형 MRS 배지에 도말한 후, 호기 배양하여 순수분리 하였다. 순수 분리된 균주를 동정한 결과, 균주는 그람 양성의 간균이며, 산소유무와 상관없이 잘 생장하고 카탈라아제와 운동성에 대해서는 음성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5℃와 45℃에서 모두 생장 하였으며, 글루코오스(glucose)로부터 가스와 알기닌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지 않아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한편, 종명을 확인하기 위하여 49종의 당 발효 시험을 실시한 결과, 글루코스 등 25종의 당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였고(하기 실시예의 표 3 참조), ATB 동정시스템에 입력하여 조사한 결과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Gene Sequence)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도 3)가 일치되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인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본 발명의 젓갈에서 분리한 엽산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로 명명하고, 2013년 10월 8일자로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수탁번호 KACC 91876P로 기탁하였다.
미생물의 생장
생균수와 pH를 측정하여 본 발명 젖산균의 생장을 시험한 결과, 생장최적온도는 37℃이었다.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시험을 위해 항생제 존재하에서 생장여부를 관찰하여 항생제의 최저억제농도(MIC,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을 측정한 결과, 네오마이신, 반코마이신 및 폴리마이신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반면 바시트라신 및 클로람페니콜에 감수성이 높았다(하기 실시예 표 5 참조).
효소 활성
분리한 본 발명의 젖산균에 대한 효소활성시험을 수행한 결과, 본 발명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은 발린아릴아미다제, β-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에서 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Benzopyrene을 발암성 물질로 전환시키는 발암효소인 β-glucuronidase의 경우에는 효소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담즙내성 및 pH 내성
본 발명 젖산균을 MRS 배지에서의 성장을 시험하여 담즙에 대한 내성을 측정한 결과, 4시간 배양까지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7시간 배양 후 담즙을 첨가하지 않을 때와 첨가할 때와는 0.8 log의 차이로 약간 억제를 받기는 하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pH 내성을 시험한 결과, 대조구 pH인 6.4에 비해 강산인 pH 2에서 조차도 거의 생장에 영향을 받지 않음에 따라 강한 내산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력
항균력 시험에서는 본 발명의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이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96.7%의 억제력을 보였고, 스테피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76.8%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60.6%로서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약간 억제력이 낮았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가 접종된 발효기질을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젖산균은 발효 출발 물질의 스타터(starter) 균주로서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에서 상기 발효기질은 두유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엽산생성능이 뛰어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균주는 엽산 생성능이 우수하고, 식중독 유발균에 대해 생장억제 활성이 있으며, 담즙내성과 강한 내산성을 가진다. 또한, 두유에서 우수한 산 생성 발효특성을 나타내므로, 발효두유 제조를 위한 발효스타터 균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HPLC로 측정된 엽산표준품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HPLC로 측정된 JA71 균주에 의해 발효된 두유의 엽산 크로마토그램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젓갈에서 분리된 JA71 균주의 계통수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에 대해 MRS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34℃, 37℃ 및 40℃에서 24시간 동안 생장률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에 대해 MRS 액체 배지를 사용하여 34℃, 37℃ 및 40℃에서의 24시간 동안 배지에서의 pH 변화를 측정한 결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의 담즙내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JA71 균주의 두유에서의 발효 특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미생물의 분리
시료로 사용된 젓갈을 수거하여 브롬크레졸 퍼플(Bromcresol purple)과 소듐아자이드(sodium azide)를 첨가한 변형 MRS 배지(표 1 참조)에 0.3 ㎖씩 평면도말법으로 접종한 후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그런 다음, 각각의 균락을 상기한 변형 MRS 배지에서 순수분리하고, 노란색으로 변한 균락을 잠정적 젖산균으로 선발하였다. 선발된 균주는 상기 변형 MRS 배지에 3회 백금이로 도말한 후 호기배양 하여 순수분리 하였다. 하기 표 1은 미생물 분리에 사용된 변형 MRS 배지의 조성을 나타낸다.
성분 성분비(g/l)
프로테오스 펩톤 #3 10.0
쇠고기 추출물 10.0
효모 추출물 5.0
락토오스 20.0
트윈 80 1.0
암모늄 시트레이트 2.0
소디움 아세테이트 5.0
마그네슘 설페이트 0.1
망간 설페이트 0.05
디포타슘 포스페이트 2.0
소듐 아자이드 0.25
브롬크레졸 퍼플 0.04
실시예 2: 엽산생성능 젖산균주 선발
젓갈 24종 및 청국장 13종에서 분리한 600개 균주를 MRS 액체배지에 1% 접종하고 24시간 배양한 후 다음의 HPLC 분석조건(표 2, 도 1)으로 엽산함량을 측정하였고, 그 중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표 3과 도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분리된 젖산균 JA71 균주는 24시간 배양 후 엽산생성이 9.03 μg/ml로서 다른 균주에 비해 가장 엽산생성 능력이 우수한 균주임을 확인하였고 이 균주를 선발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의 동정
미생물의 분류학적 동정은 Hammes 등[The prokaryotes, 1563-1578, 2nd Edition, Springer-Verlag Co.(1992)]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4에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는 모두 그람 양성, 간균이었으며, 산소유무와 상관없이 잘 생장하였고, 카탈라아제와 운동성은 음성이었다. 또한, 15℃와 45℃에서 모두 생장 하였으며 포도당(glucose)으로부터 가스(gas)와 알기닌(arginine)으로부터 암모니아를 생성하지 않아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genus)에 속하는 균임을 확인하였다. 종(species)을 동정하기 위하여 API 50CHL kit(API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49종의 당발효 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글루코스 등 25종으로부터 산을 생성하였고, ATB 동정시스템에 입력하여 조사한 결과와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하여 얻어진 결과(도 3)가 일치되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판명되었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젓갈에서 분리한 엽산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JA71으로 명명하고, 2013년 10월 8일자로 농업생명공학연구원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에 수탁번호 KACC 91876P로 기탁하였다. 아래 표 4에 본 발명 신규 젖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의 생리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그램 반응
세포 형태
포자 형성
운동성
호기적 성장
혐기적 성장
카탈라제 반응
15℃에서 성장
45℃에서 성장
포도당으로 부터 가스생성
알기닌으로 부터 암모니아 생성
+
rod
-
-
+
+
-
+
+
-
-
당이용 능력
글리세롤
에리티톨
D-아라비노스
L-아라비노스
리보스
글루코스
프락토스
만노스
소르보스
람노스
둘시톨
이노시톨
만니톨
솔비톨
α-메칠-D-만노사이드
α-메칠-D-글루코사이드
N 아세칠 글루코스아민
아미그달린
아르부틴
에스쿨린
살리신
셀로비오스
말토스
락토스
멜리비오스
-
-
-
+
+
+
+
+
-
-
-
-
+
+
+
-
+
+
+
+
+
+
+
+
+
D-사이로스
L-사이로스
아도니톨
β-메칠-D-사이로사이드
갈락토스
수크로스
트레할로스
이눌린
멜레지토스
라피노스
스타치
글리코겐
실리톨
겐티오비오스
D-투라노스
D-라이소스
D-타가토스
D-후코스
L-후코스
D-아라비톨
L-아라비톨
글루코네이트
2-케토-글루코네이트
5-케토-글루코네이트
-
-
-
-
+
+
+
-
+
+
-
-
-
+
+
-
-
-
-
-
-
+
-
-
실시예 4: 미생물의 생장시험
젖산균의 생장은 생균수 및 pH를 측정하여 시험하였다. 생균수는 MRS 액체배지 150㎖에 젖산균을 1㎖용 피펫으로 1 방울 접종한 후 34℃, 37℃, 40℃에서 3시간 간격으로 24시간 까지 배양한 각 시료를 0.1% 펩톤용액에 희석하여 BCP plate count agar 평판에서 부어 굳힌 후 35℃에서 48시간 배양하여 계수하였고, 온도 및 시간별로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4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젖산균 생장 최적온도는 37℃이었다.
실시예 5: 항생제 내성시험
항생제 내성시험은 트립틱 소이 브로스(tryptic soy broth, Difco, USA)를 사용하여 2배 희석방법에 의해 생장여부를 관찰하여 최저억제농도(MIC) 값을 정하였으며, 측정한 결과는 표 5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5에는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의 항생제 감수성을 측정한 결과가 나타나 있다.
항생제 최저억제농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아미카신 160
겐타마이신 640
가나마이신 1600
네오마이신 3200
스트렙토마이신* 1600
β-락탐계
페니실린-G* 160
메치실린 640
옥사실린 120
암피실린 320
그램-양성 스펙트럼
바시트라신* 30
리팜피신 480
노보바이오신 240
린코마이신 100
그램-음성 스펙트럼
폴리마이신B* 2400
광범위 스펙트럼
클로람페니콜 80
반코마이신* 3200
* : units/㎖
상기 표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은 타 계열의 항생제에 비해 네오마이신, 반코마이신 및 폴리마이신에 대해 내성이 있는 반면 바시트라신 및 클로람페니콜에 감수성이 높았다.
실시예 6: 효소활성시험
효소활성시험은 MRS 액체배지에서 37℃, 18시간 동안 배양한 균주를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105 - 106 cfu/㎖ 수준의 시료를 조제한 후, API ZYM 키트(API 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여 37℃에서 5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효소반응을 시켰다. 효소활성은 표준색상표를 비교하여 0-5의 수치로 표시한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6은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의 효소활성을 비교한 결과이다.
효 소 효소활성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에스테라제(C4)
에스테라제 리파제(C8)
리파제(C14)
류신 아릴아미다제
발린 아릴아미다제
시스틴 아릴아미다제
트립신
카이모트립신
산 포스파타제
나프톨-AS-BI-포스포하이드로라제
α-갈락토시다제
β-갈락토시다제
β-글루쿠로니다제
α-글루코시다제
β-글루코시다제
N-아세칠-β-글루코스아민니다제
α-만노시다제
β-푸코시다제
1
1
1
1
4
5
2
0
0
1
3
1
5
0
2
5
4
0
0
*: 0에서 5까지 단계별로 표준색이 명시되어 있으며, 0은 음성이고 5는 최대의 강도를 나타낸다. 1은 5 나노몰(nanomoles), 2는 10 나노몰, 3은 20 나노몰, 4는 30 나노몰, 5는 40 나노몰 이상의 효소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표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은 발린아릴아미다제, β-갈락토시다제 및 β-글루코시다제에서 효소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Benzopyrene을 발암성 물질로 전환시키는 발암효소인 β-glucuronidase의 경우에는 효소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7: 담즙내성시험
담즙내성시험은 길리랜드와 월커의 방법(Gilliland & Walker, J. Dairy Sci., 73, 905, 1990)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4시간 배양까지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7시간 배양 후 담즙을 첨가하지 않을 때와 첨가할 때와는 0.8 log의 차이로 약간 억제를 받기는 하나 담즙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8: pH 내성시험
pH 내성 시험은 클라크 등의 방법(Clark et al., Cultured Dairy Products J., 28(4), 11, 1993)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7에는 염산용액에서 3시간 후의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 내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배양시간(hr) pH 2 pH 3 pH 4 pH 6.4
0 8.43 8.43 8.39 8.37
1 8.48 8.49 8.51 8.50
2 8.53 8.50 8.50 8.58
3 8.55 8.59 8.58 8.58
단위: CFU per ㎖ (Log number)
상기 표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는 대조구 pH인 6.4에 비해 강산인 pH 2에서 조차도 생장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음에 따라 매우 강한 내산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9: 항균력 시험
항균력 시험은 길리랜드와 스펙(Gilliland & Speck, J. Food Prot., 40(12), 820, 1977)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아래 표 8에 나타내었다. 아래 표 8은 MRS 배지에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 식중독균 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Figure pat00003
* L. plantarum JA71의 초기 수 : 5.0 X 106 CFU/㎖
a 37℃에서 6시간 배양 후 측정
상기 표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주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은 살모넬라 타이피머리움(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해 96.7%의 억제력을 보였고, 스테피로코커스 오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76.8%의 억제력을 나타내었다. 에스케리키아 콜리(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60.6%로서 다른 식중독균에 비해 약간 억제력이 낮았다.
실시예 10: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L. plant arum) JA71 균주의 제품적용을 위한 pH 변화 측정
본 발명의 균주가 발효유 스타터로서 적합한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을 두유에 배양하면서 시험에 사용하였다. 두유에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 plantarum) JA71을 1.0%씩 접종하고 37℃에서 3시간 별로 24시간까지 배양한 후의 pH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는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두유에서 발효가 이루어졌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젖산균은 발효두유의 스타터 균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91876P 20131008

Claims (4)

  1. 엽산 생성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
  2.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가 접종된 발효기질을 포함하는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
  3. 제 2 항의 발효 출발 물질 조성물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물로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Lactobacillus plantarum)JA71 (수탁번호: KACC 91876P) 균주가 포함된 발효물.
  4. 제 4 항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151261A 2013-12-06 2013-12-06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KR101548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61A KR101548640B1 (ko) 2013-12-06 2013-12-06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1261A KR101548640B1 (ko) 2013-12-06 2013-12-06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6117A true KR20150066117A (ko) 2015-06-16
KR101548640B1 KR101548640B1 (ko) 2015-09-18

Family

ID=53514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1261A KR101548640B1 (ko) 2013-12-06 2013-12-06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4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270A (zh) * 2019-07-08 2019-09-20 北京工商大学 一种利用植物乳杆菌提高发酵乳叶酸含量的方法
CN112795527A (zh) * 2021-03-05 2021-05-14 昆明理工大学 二氢蝶呤醛缩酶基因的用途
CN112852844A (zh) * 2021-03-05 2021-05-28 昆明理工大学 羟甲基二氢蝶呤焦磷酸激酶基因folK的用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279B1 (ko) 2007-10-25 2009-03-19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 발효 발효한약 콩 요구르트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270A (zh) * 2019-07-08 2019-09-20 北京工商大学 一种利用植物乳杆菌提高发酵乳叶酸含量的方法
CN110250270B (zh) * 2019-07-08 2022-03-04 北京工商大学 一种利用植物乳杆菌提高发酵乳叶酸含量的方法
CN112795527A (zh) * 2021-03-05 2021-05-14 昆明理工大学 二氢蝶呤醛缩酶基因的用途
CN112852844A (zh) * 2021-03-05 2021-05-28 昆明理工大学 羟甲基二氢蝶呤焦磷酸激酶基因folK的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40B1 (ko) 2015-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2949B1 (ko) 부티르산 산생균 및 그 이용
Park et al. The probiotic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154 isolated from kimchi
CN107118975B (zh) 一株室温下长货架期存活的罗伊氏乳杆菌
KR101734367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6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4361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4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6324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015688A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458 균주 및 이의 용도
TW201816110A (zh) 芽孢形成細菌之培養方法及有用物質之製造方法
KR101349692B1 (ko) 알코올 내성 유산균 페디오코커스 애시디락티시 및 그 응용
KR101548640B1 (ko)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20080014242A (ko) 항균활성물질을 생산하는 신규의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dy1 및 그 항균활성물질
Park et al.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ABA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K255 isolated from kimchi
KR101477228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 균주
KR102141569B1 (ko) 신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cc-34 균주
KR10165577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09447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drc150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85970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аml 2-1 균주, 이를 이용한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제조방법 및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용도
KR20100045758A (ko) 장내효소활성, 내산성, 내담즙성이 우수한 신규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pl-11 균주와 이를 이용한 어류용프로바이오틱스
KR101402028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생산방법
Hwang et al. Enhancement of biomass production and nutrition utilization by strain Lactobacillus acidophilus DGK derived from serial subculturing in an aerobic environment
KR101765197B1 (ko) 락토바실러스 속 미생물의 오토인듀서-2 신호활성 분석용 최적배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분석방법
EP3083982B1 (fr) Procédé de dénombrement différentiel de bactéries lactiques en mélange dans un produit alimenta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