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778B1 -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778B1
KR101655778B1 KR1020160019926A KR20160019926A KR101655778B1 KR 101655778 B1 KR101655778 B1 KR 101655778B1 KR 1020160019926 A KR1020160019926 A KR 1020160019926A KR 20160019926 A KR20160019926 A KR 20160019926A KR 101655778 B1 KR101655778 B1 KR 101655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lactobacillus
activity
present
lactobacillus planta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99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3762A (ko
Inventor
최기춘
임영철
최기준
박형수
정민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60019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778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23K10/18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of live microorganisms
    • A23L1/3014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61K35/747Lactobacilli, e.g. L. acidophilus or L. brev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23Y2220/67
    • C12R1/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Physi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의 항균 활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항균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사일리지 제조용 미생물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물체 사일리지는 가축의 소화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풍미 개선으로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가축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Lactobacillus plantarum K46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곰팡이 활성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를 이용한 품질이 개선된 사일리지에 관한 것이다.
조사료는 일시에 다량 생산되므로 연중 안정적인 급여를 위해서는 저장을 해야 하는데, 수분을 제거한 저장이 건초인 반면 수분이 있는 상태에서 저장을 하는 것이 사일리지(silage)이다.
최근 들어 사일리지의 품질 향상을 위한 첨가제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국내산 사일리지용 첨가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사일리지는 가열공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 등과 같은 미생물들은 적당한 환경(온도, 영양 및 pH 조건)이 구비되면 번식이 용이하여 사일리지의 보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사일리지 제조기술 부족과 유통, 보관 시 부주의로 곰팡이 등이 발생하면서 가축의 기호성이 감소되고 섭취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호기조건에 있는 사일리지는 영양적으로도 커다란 손실을 유발한다.
따라서, 사일리지에 발생하는 곰팡이를 억제함으로써 발효 효율 및 사료 저장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사료의 영양성, 기호성 및 소화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첨가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특허문헌 1) KR10-2011-0125108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항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또한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체 사일리지 제조를 위한 미생물 첨가제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체 사일리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 균주는 항산화용 조성물 및 항균용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항산화용 조성물 및/또는 항균용 조성물은 식품, 화장품, 의약품, 건강식품, 음료 등의 다양한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제공한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균주는 2012년 11월 08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자원센터에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 KACC91758P를 부여받았다.
곰팡이 등은 발효가 불량한 사일리지에서 다량 발견되고 발효가 양호하게 된 사일리지에서는 육안으로 판별하기 어려울 정도이기 때문에 사일리지 곰팡이 억제기능이 우수한 젖산균을 선발 및 분리하여 사일리지 보존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식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의 효소 활성능을 검정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신규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의 동정 단계; 및 상기 분리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를 이용하여 프로바이오틱 특성을 검정하는 단계를 거쳐,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신규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얻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는 부패 미생물의 활성을 저하시키고 생육을 억제시켜 항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우수한 항균 효과로 인해 상기 균주는 항균용 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효과로 인해서 다양한 항균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이 포함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의 제조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균주가 독성이 없으면서, 항균 활성이 뛰어나,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밝혀내었다.
본 발명의 균주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우수한 항균 활성으로 인해 사일리지 제조시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영양성분의 파괴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부패 미생물등과 같은 원하지 않는 미생물에 의한 사일리지 풍미 감소 등을 예방하여, 가축의 기호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추가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규 균주는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균주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활성산소는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해서 효소의 활성을 잃게 하거나 가교결합의 형성, DNA, RNA, 효소 및 세포막을 구성하고 있는 불포화 지방산을 산화시켜 과산화지질을 형성하게 하는데, 과산화지질은 생체에 매우 유독하여 생체의 기능을 저하시켜서 결국에는 혈액순환장애, 피로, 심장병, 간장장애, 발암 등과 같은 질병의 원인이 되고 궁극적으로 노화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가 항균 효과뿐만 아니라, 상기 활성산소의 억제 효과, 즉 항산화 효과가 우수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와 같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로 인해 상기 균주는 항산화용 조성물 제조에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효과로 인해서 다양한 항산화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의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발명의 항산화용 조성물이 포함되는 식품,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의 제조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신규 균주가 독성이 없으면서, 항산화 활성이 뛰어나,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밝혀내었다.
본 발명은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식물체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를 또한 제공한다.
상기 식물체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를 첨가하는 대상이 되는 식물체는, 예를 들어 볏짚, 라이그라스(ryegrass), 총체보리, 총체벼, 호밀 또는 옥수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가축의 사료로 이용될 수 있는 식물체라면 모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식물체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원액, 또는 상기 배양원액의 희석액의 형태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물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체 사일리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물체 사일리지 제조방법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식물체의 발효를 위한 복수의 발효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발효 단계들은, 예를 들어 혐기성균인 초산균의 발효 단계 및 이후 젖산균의 발효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조건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료 첨가제는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신규 균주가 독성이 없으면서, 항균 활성이 뛰어나,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제제로 이용될 수 있고, 이러한 신규 균주는 우수한 항균 활성으로 인해 사료 첨가제 제조시 저장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영양성분의 파괴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은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균주를 이용하여 다양한 항균용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물체 사일리지는 가축의 소화율을 개선할 수 있고, 항균 효과가 우수하며, 풍미 개선으로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가축의 품질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일리지는 저장성이 향상되어 농가 소득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용 조성물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은 독성이 없어 우수한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가지므로, 식품, 의약품, 화장품, 건강식품 등 다양한 형태로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식품 부패균에 대한 Lactobacillus 균주의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A; A. fumigatus에 대한 것이며, B; G. moniliformis에 대한 것임.
도 2는 Lactobacillusplantarum K46의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이다.
도 3은 neighbor joining method를 이용하여 확립한, Lactobacillus plantarum K46 및 Lactobacillus 속에 해당하는 종들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16S rDNA 유전자 서열에 근거한 계통도이다.
도 4는 Lactobacillus plantarum K46으로부터 분리한 대사산물의 분리 및 스펙트럼 분석 프로파일이다.
a: 대사산물의 HPLC 분리;
b; 푸리에 변환 적외선 (FTIR);
c 및 d; 1H 핵자기 공명(NMR)및 13CNMR
도 5는 담즙 염 존재하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 K46의 세포 생존능력을 보여준다.
도 6은 Lactobacillus plantarum K46의 항산화 활성을 보여준다.
a; 과산화 수소 농도에 따른 저항성,
b; 히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c; DPPH 자유 라디칼 소거 효과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균주의 분리 및 동정
균주의 분리
신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하여, 발효된 배추, 무, 깻잎 및 시판되는 김치를 한국의 마켓(홈플러스)에서 구입하였다. 샘플을 살균한 증류수와 함께 혼합하고, heavy particulates를 제거하기 위하여 8,000 rpm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적절히 희석후에, 상청액을 MRS agar에 골고루 펴주었다. 플레이트를 30°C에서 48 h 배양하고, Lactobacillus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몇몇의 isolates를 선별하였다. 순수 분리 후, 선택된 신규 균주는 Lactobacillus sp.(K1에서 K54)로 번호를 지정하였고, 상기 균주들을 20%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MRS 배양액에서 -80 °C 로 보관하였다. 각 실험전 stock cultures는 18시간 동안 MRS 배양액에서 2배로 증식하였다.
곰팡이 균주 및 포자 현탁액(spore suspensions)의 준비
흔히 식품 부패를 유발하는 곰팡이를 항균 분석을 위한 지표 미생물로 선별하였다. Aspergillus clavatus (KCTC 40071), A .fumigates(KCTC40080), A.niger(KCTC40280), Curvularialunata(KCTC40392), F. culmorum(KCTC42099), F.oxysporum(KCTC40051), Gibberellamoniliformis(KCTC44022), Penicilliumchrysogenum(KCTC40399) 및 P. roqueforti 은 대한민국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확보하였다. 이들을 포자가 형성될 때 까지 sabrous dextrose agar (SDA, Sigma)에서 30 °C에서 96 h 배양하였다. 포자는 그 다음 sterile saline water로 채집하고, 부유액을 포자 생산량 증가를 위해 Roux flask에서 SDA위에 펴주었다. 추가 실험을 위해 부유액의 최종 농도 107spores/mL를 20 °C에서 glycerol (10%, v/v)에서 보관하였다.
항곰팡이 활성
실험 미생물의 저해 스펙트럼(inhibition spectrum)은 MRS agar 플레이트에서 Strom et al. (2002)에 기술되어진, diffusion method 및 overlay method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G.moniliformis 및 A. fumigatusas 를 확인을 위한 지표로 이용하였다. 간단히 말해, 상기 LAB는 MRS agar plates에서 2 cm streaks 형태로 자랐고 30°C에서 48 h 동안 micro aerobic 상태하에서 배양하였다. Plates는 반고체의 malt extract(1.0%)로 덮어씌웠으며, G. moniliformis A. fumigatus 104spores/mL로 균을 접종하고, 30°C에서 24 내지 72 h 시간 동안 호기성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억제의 Clear zones을 측정하였다. 16S rDNA 유전자 서열 분석을 통하여, 동정하기 위한 22개의 항곰팡이성 LAB를 선택하였고, antagonistic activity이 우수한 K46 균주를 선발하였다.
Lactobacillus sp .K46의 동정
생화학적 실험
동정을 위한 접종원을 준비하기 위하여, 50 ml MRS 배지를 포함하는 flask를 접종하기 위해 glycerol stock vial을 사용하였다. 30°C에서 24 h 배양하였다. Lactobacillus sp. K46는 실험전 두배로 증식되었다. 표현형을 특징짓기 위하여 API 50 CHB (BioMerieux, Marcy l’Etoile, France) test kits를 이용하였다. 상기 API test strips를 manufacturer’s instructions에 따라 준비하였고 30oC에서 48 h 배양한 후에 기록하였다.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 SEM )
Lactobacillus sp. K46는 호기성 조건에서 기하급수적으로 자랐고, 10분간 8000 rpm으로 원심분리하였으며, 그 다음 펠렛을 0.1 M phosphate buffer saline (PBS), pH 7.2로 두번 세척하였다. 세포는 그 다음 glutaraldehyde (2.5%) 및 PBS (0.1 M)를 포함하는 일차 고착액에서 재-부유하였다. 단계적인 에탄올 (50, 60, 70, 80, 90, and 95%)로 탈수시킨 후, 고정된 세포는 hexamethyldisilazane로 두번 건조시켰다. 마지막으로, 탈수된 세포는 25 mA로 250 초 간 금으로 스퍼터(sputter) 코팅하고, 12 kV에서 SEM로 관찰한다 (JSM-6460 LV; JEOL, Tokyo, Japan).
항균제 감수성(antibiotic sensitivity) 및 저항성 패턴 결정
Lactobacillus sp. K46의 항균제 감수성 및 저항성을 Arasu et al. (2013)에 나타난 disc diffusion metho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단히 말해, 세포들은 MRS 배지에서 30°C에서 24 h 동안 키워 준비하였다. 108CFU/mL 세포를 포함하는 부유액의 test cultures (100 )를 단단해진 배지의 표면에 도말하고 10분간 건조시켰다. 다른 항균제가 로딩된 디스크들은 배지의 표면에 두고, 항균제들의 확산을 위해서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하였다. 배양 후, 미생물들은 표준 항균 디스크 차트에의해 결정되는 inhibition zone의 지름에 따라, 항균제 감수성 또는 저항성으로 분류하였다.
16S rDNA의 PCR 증폭 및 시퀀싱
16S ribosomal DNA 유전자는 다음의 프라이머들: 27 forward primer (5' AGA GTT TGA TCG TGG CTC AG 3') 및 1492 reverse primer (3' GGT TAC CTT GTT ACG ACT T 5')를 사용하여, Taq DNA polymerase로 PCR함으로써 K-46 균주의 genomic DNA로부터 증폭되었다. thermal cycling 조건은 다음과 같다: target DNA는 95 oC 로 10 min간 초기 변성한 후, 증폭을 위해 타겟 DNA의 95oC에서 10 min 변성 다음에 30 회 증폭, 95oC에서 2 min간 변성, 58oC에서 1 min간 프라이머 어닐링(annealing), 및 72oC에서 2 min간 프라이머 신장. 마지막 사이클에서, 반응 혼합물은 72oC에서 10분간 유지하고, 4oC로 냉각하였다. 증폭된 DNA는 agarose gel(1%(w/v) in TAE buffer 1x, 0.1ethidium bromide solution)에서 25분간 100V 및 400mA로 확인하였다. 상기 증폭된 PCR 산물은 QIAquickPCR purification Kit (Qiagen Ltd., Crawley, UK)로 정제하였다. 1500 base pairs를 Solgent Co. Ltd. (Seoul, Korea)에서 시퀀싱하였다. 얻어진 서열은 NCBI database에서 BLAST search를 수행하였다. evolutionary history는 Neighbor-Joining method를 이용하여 추측하였다. evolutionary 분석은 MEGA5로 하였다.
*항곰팡이성 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및 추출
Lactobacillus sp. K46 5% glucose를 함유하는 3.5 L MRS 배지를 포함하는 살균된 Erlen mayer 플라스크에서 3일간 30°C에서 배양하였다. 발효 사이클의 마지막에 culture 배양액을 여과하고, 상청액은 8000 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전체 10 L 배양액을 수집하고 상청액은 에틸 아세테이트 (1:3 ratio)로 추출하였다. 용매상(solvent phase)은 항균성 생물검정을 위한 천연그대로의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각각 40°C 진공상태에서 농축시켰다.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실리카겔 컬럼으로 정제하였고 다양한 fraction을 얻었다. 화합물의 순도는 5.0 mM H2SO4 를 이용해 60 oC에서 300 × 7.8 mm Aminex HPX-87H (Bio-Rad; Hercules, CA, USA) column을 통해 HPLC로 체크하였다. HPLC 분석은 220 nm 컬럼 파장에서 0.5 ml/min 의 유속으로 수행하였다. 다른 화합물들은 1H 핵자기공명(NMR)(300MHz)으로 스펙트럼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13C NMR spectrum은 AL-300JEOL instrument(75.45 MHz)로 측정하였고, 전기분무 이온화 질량 분광을 기록하였다. 적외선 스펙트럼은 KBr pellet method를 이용하여 기록하였다.
항곰팡이 활성
항곰팡이 활성 및 최소 저지 농도(MIC)는 표준 참고 방법 (NCCLS, 1999)에 따라 수행하였다. 화합물은 2% dimethyl sulfoxide (DMSO)와 함께 물에 용해시켰다. 초기 테스트 농도는 단계적으로 두 배씩 희석하였다. 각각의 well은 104spore/mL 농도의 곰팡이를 포함하는 5 의 부유물로 접종하였다. 그 다음 항균제 케토코나졸(ketoconazol)을 양성 대조군으로 assay에 접종하였다. 플레이트는 30°C에서 24, 48 또는 72h 배양하였다. MIC는 시험 배양의 가시적인 성장을 저지하는 추출물의 최하 농도로 결정하였다. 항균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은 3회 반복하였다.
Lactobacillus sp . K46의 Probiotic 특성
낮은 pH에 대한 내성
낮은 pH에 대한 내성은 plate count method로 결정하였다. 간단히 말해, 활성 Lactobacillussp.K46는 MRS 배양액에서 키우고 pH 2.5로 염산(1.0 N)을 이용해 조절한 신선한 10 mL의 MRS 배양액에 접종되었으며(1%), 30°C로 3시간 배양하였다. 샘플에서 MRS agar plates에 적절히 희석액을 플레이팅하여 초기 박테리아 수 및 0 와 3 h 에 남아있는 세포 수를 각각 측정하였다. 상기 플레이트는 30°C 로 48 h 동안 배양하였고 자란 콜로니 수를 세었다. 실험은 3배수 실시하였다.
담즙 내성
두 개의 다른 담즙 염이 존재할 때 Lactobacillus sp. K46이 자라나는 능력을 약간의 변형을 가한 Vinderola 및 Reinheimer (2003) 방법에 따라 연구하였다. MRS-thio배양액 (0.2% 소듐 티오글리콜레이트가 공급된 MRS) 및 0.3% (w/v) Oxgall이 공급된 MRS-thio 배양액을 준비하고 Lactobacillus sp. K46 1% 부유액을 접종하였다. Oxgall이 없는 샘플은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30°C에서 24시간 배양한 후에, 박테리아의 농도는 적절한 희석액으로 플레이팅한 MRS agar에서 생균수를 체크하였다. 실험은 3배수 실시하였다.
생체 아민 생산
생체 아민의 생산은 Bover-Cid 및 Holzapfel (1999)에 기술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간단히 말해, 리신, 티로신, 오르니틴 및 히스티딘을 각각 1.0% 첨가한 MRS agar 배지에 준비된 Lactobacillus sp. K46 cells 600 nm (OD600)에서 0.5 광학 농도로 접종하였다. 박테리아 성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Tween 80 (0.1%)을 배지에 포함시켰다. 브로모크레솔 퍼플(Bromocresol purple) (0.006%)을 pH indicator로 사용하였다. 선명한 보라색 halo의 형성은 아미노산 탈카복실화 효소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positive 반응으로 생각된다. 아미노산을 공급하지 않은 배지는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고 실험은 3배수 실시하였다.
효소 활성 스크리닝
Lactobacillus sp. K46 에서 Alkaline phosphatise, Esterase, Esterase lipase, Lipase, Leucine arylamidase, Valine arylamidase, Cystine arylamidase, Trypsin, α-Chymotrypsin, Acid phosphatise, Naphthol-AS-Biphophohydrolase, α-Galactosidase, β-Galactosidase, β-Glucuronidase, α-Glucosidase, β-Glucosidase, N-Acetyl-β-glucosaminidase, α-Mannosidase 및 α-Fucosidase와 같은 각각의 효소 산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manufacturer’s instructions(BioMerieux)에 따라 kit method를 이용하여 어세이하였다. 0.5 OD600 로 준비된 세포는 10분간 8000 rpm으로 원심분리되고, 펠렛은 스크리닝을 위하여 살균된 증류수에서 정치하였다. LAB 균주들의 효소 활성은 30°C에서 4 h 배양한 후 각각의 well로 활성화된 세포 부유물 50 μL 을 옮겨서 측정하였다. 배양후 ZYMA 및 ZYM-B 시약 20 μL는 각각의 well로 추가하였고, 효소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5분간 30°C에서 배양하였다.
용혈성 활성( Haemolytic activity)
용혈성 활성 측정을 위하여, 하트 인퓨전(heart infusion), 펩톤(peptone), 염화 나트륨(sodium chloride)를 포함하는 성분들과 agar를 물과 혼합하였고 오토클레이브에서 살균하였다. 살균한 후에, 약 40-50oC, 5%(w/v) 혈액을 배지에 첨가하였고 살균된 petriplates에 부었다. 굳어진 후, 준비된 Lactobacillus sp. K46 cells를 agar plates에 도말하였고, 30°C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Maragkoudakis et al. 2006).
단백질 분해 활성
단백질 분해 활성은 10% skim milk 에서 30°C로 42h시간 키운 Lactobacillus sp. K46로 측정하였다. 흡광도는 ELISA reader (Bio-Radad) (Citi et al. 1963)로 650 nm 에서 확인하였다. 결과는 검량선에 따라 milligrams/milliliter 티로신으로 표현하였다.
세포 표면 소수성 측정
세포 표면 소수성 어세이는 Lee et al. (2011)를 약간 변형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간단히 말해, 준비된 세포를 8000 rpm 으로 10 min간 원심분리하였다. cells는 PBS (pH 7.0)로 두번 세척하였다. 현탁액의 1 mL는 OD5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었다. 두번째 평가에서, 현탁액의 다른 1 mL는 동일한 부피의 n-헥사데칸 (Sigma, USA)에 추가되었고 vortex를 이용하여 2분간 혼합하였다. 상이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서 30분간 실온에두었고, 가장 상층액 1 mL는 제거하고 OD58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소수성 퍼센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하였다:(OD580 reading 1- OD580 reading2/ OD580 reading 1) × 100=% hydrophobicity.
Lactobacillus sp . K46의 In vitro 항균 활성
과산화수소 저항성
Buchmeier et al. (1997) 방법에 약간의 변형을 가하여 실시하였다. 간단히 말해, 0.3 OD600 nm의 Lactobacillussp.K46 를 orbital incubator shaker에서 30°C로, 0.2, 0.4, 0.6, 0.8 및 1.0 mM 과산화수소가 보충된 100 mL MRS 배양액을 포함하는 500 mL 삼각 플라스크에서 키웠다. cell 생육은 600 nm에서 분광광도법적으로 측정하였고, cell 생육의 증가는 광학밀도 (OD)증가에 따라 측정하였다.
수산화 라디칼 소거 능력
수산화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Fenton reaction method (He et al. 2004)로 수행하였다. 간단히 말해, 1.0 mL의 브릴리언트 그린 (0.435 mM), 2.0 mL of FeSO4(0.5mM),1.5mLofH2O2(3.0%,w/v),and1.0,1.5,2.0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과 Lactobacillus sp. K46 cells (109CFU/mL)2.5mL를 15분간 실온에서 배양하였고 흡광도는 624nm에서 측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흡광도 변화는 Lactobacillus sp. K46의 수산화 라디칼 소거 능력을 나타냈다.
소거능 (%) = [(A s-A 0)/ (A-A 0)]x100,
여기서 As 는 샘플이 존재할 때 흡광도를 의미하고, A 0 는 샘플이 없는 대조군의 흡광도이며, A 는 샘플 및 펜톤반응(Fenton reaction system)이 없을 때 흡광도이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DPPH 라디칼-소거 능력은 약간의 변형을 가한 Li et al. (2012)에 따른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간단히 말해, 준비한 Lactobacillus sp. K46 cells (109CFU/mL)1.0,1.5,2.0및 2.5 mL은 1.0 ml 메탄올성 DPPH 라디칼 용액(0.05 mM)에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은 강하게 혼합하고 30분간 암조건으로 실온에서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오로지 탈이온수 및 DPPH solution을 포함하였다. Blank는 오로지 메탄올 및 cell만을 포함하였다. resulting solution의 흡광도는 12000 rpm 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에, 517nm에서 세 번 측정하였다.
소거능 (%) = [1-(A sample-A blank)/A control]x100
결과
항곰팡이성 Lactobacillus 균주의 분리
본 연구는 대한민국에서 시판되는 발효 식품으로부터 항곰팡이 특성을 갖는 LAB 균주의 분리 및 특성과 관련된 것이다. 54개의 추정되는 LAB 균주를 분리하고 MRS agar 배지 및 BCP 배지에서 성장하는 능력에 따라 분리 및 정제하였다. 모든 균주들은 다양한 식품 부패 곰팡이에 대한 항곰팡이 활성을 보기 위해 스크리닝하였다. A. fumigates 에 대한 우수한 항곰팡이 활성이 기록되었다. 54 LAB 균주들 중에서, 33 균주가 A. fumigates.에 대해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6개의 LAB 균주들은 G. moniliformis 에 대해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1 참조).
Lactobacillus sp.K46는 대상 곰팡이들에 대해 더욱 우수한 활성을 나타냈고, 이 균주를 생화학적 및 생리적 특성, 16s rDNA 증폭 및 시퀀싱에 의해 동정하였다. 이 균주를 더 큰 스케일에서 배양하고 신규 생물활성 대사산물을 추출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Lactobacillus sp.K46의 in vitro 프로바이오틱 및 항산화 특성을 또한 결정하였다.
Lactobacillus sp .K46의 생화학적 특성
Lactobacillus sp. K46로 지정한 새로운 박테리아들 발효된 깻잎 샘플에서 발견하였으며; 이는 식품 부패균에 대한 훌륭한 항곰팡이 활성을 보여주었다. Lactobacillus sp. K46는 그람 양성, 중온성, 카탈라아제 음성 그리고 둥근형태(0.70.9 넓이 및 2.03.2 길이)를 가지는 박테리아임을 생화학적 테스트에서 밝혔고, SEM 촬영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이러한 미세 구조 형태학적 특성은 균주 K46이 Lactobacillus속에 해당한다는 것을 강력히 나타내고 있다. 성장을 위한 최적의 pH및 온도는 6.0-7.0 및 30-37°C이다. Lactobacillussp.K46은 아밀레이즈, 프로테이즈 및젤라티네이즈 효소 생산 테스트에서 양성 결과를 보였다. 글루코스로부터 CO2를 생산하지 않으나, 글루코네이트로부터 가스를 생산하였다. API 50 CHB 마이크로 테스트에서 나타난 생화학적 동정을 실시하였다. Lactobacillussp.K46은 글루코스, 락토스, 람노스, 수크로스, 아라비노스, 프럭토스, 갈락토스, 및 소르보오스에서 잘 자랐다. 그러나, 이노시톨, 자일로스, 트레할로스, 멜리비오스. 글리세롤 또는 아라비톨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였다. 다양한 탄소원의 이용은 탄소원 동화의 다양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m-디아미노피멜릭산은 세포벽 가수분해물에서 관찰되었다. 생화학적 및 생리적 연구는 상기 균주가 Lactobacillus 속에 속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Lactobacillus sp .K46의 항생물질 감수성 패턴
항생물질 감수성 테스트는 disc diffusion method로 세균 감염에 가장 흔히 사용되는 항생물질들로 실험하였다. Lactobacillussp.K46 는 모든 시험대상이된 항생물질들에 대하여 유사한 감수성 패턴을 보였다(표 1 참조).
Figure 112016016858919-pat00001
상기 표 1은 다양한 항생물질들에 대한 Lactobacillussp.K46의 감수성 패턴 비교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결과는 Lactobacillussp.K46는 대부분의 테스트한 항생물질들에 대해 감수성이면서, 병원성이 낮다는 것을 보여주고, 아미노 글리코시드 억제제 토브라마이신, 플루로퀴놀린 억제제 레보플록사신 및 스파프록사신 각각에 대해서 가장 높은 감수성을 보였다. 폴리케티드, 마크로리드 및 플로로퀴놀린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에리스로마이신 및 날리딕스산은 균주의 성장을 억제하지 않았다. 테트라사이클린 저항성은 전형적인 LAB 특징이다. 항생제에 대해 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이 균주는 더욱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16S rDNA 서열 분석 비교
22개의 LAB 균주들의 16S Rdna 유전자는 상동성 비교를 위해 완전히 시퀀싱하고 분석하였다. NCBI BLAST search program 분석 결과, Lactobacillus종에 높은 동일성(98%)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BLAST search program의 결과에 근거해, 균주 K3, K4, K7, K9, K10, K23, K33, K46 및 K54를 L. plantarum로 동정하였고, 균주 K8, K39, K48 및 K53은 L. pentoses 에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참조).
Figure 112016016858919-pat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균주 K5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100%)인 것으로 밝혀졌고, 균주 K21, K22, K30, K35 및 K42는 L. graminis와 유사성이 높았다.
K46 균주의 서열 데이터는 L. plantarum와 높은 동일성을 보였다(100%). 계통학적 트리는 Neighbor-Joining method를 이용하여 완성하였다(도 3 참조). The percentage of replicate trees showed that the associated taxa clustered together in the boot strap test(1000replicates). 트리는 계통학적 트리를 이끌어내는데 사용되는 evolutionary 거리와 동일한 단위로 가지 길이를 그렸다. Evolutionary 거리는 Maximum Composite Likelihood method를 사용하여 컴퓨터로 측정하였고 사이트당 염기 치환의 수에 근거하여 나타내었다.
핵산 서열 및 L. plantarum K46 기탁번호
L. plantarum K46의 16S rDNA 서열은 accession number KC430920으로 NCBI 핵산 서열 데이터베이스에 맡겨졌다. L. plantarum K46순수 배양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자원센터에 기탁하였으며, 수탁번호 KACC91758P를 받았다.
특징, 스펙트럼 분석 및 항곰팡이 활성
천연그대로의 에틸 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다른 fraction을 얻기 위하여, 각각 다음과 같은 비율: 0:100, 25:75, 50:50 및 75:25 로 메탄올 및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추출하였다. fraction은 밀집되어 있었으며 TLC 및 bio-autography로 순도를 다시 측정하였다. fraction내에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100% 메탄올로 세척하였으며, 활성 fraction은 순도 측정을 위하여 HPLC를 실시하였다(도 4 참조). 항생물질의 동종성은 항생물질이 단일 피크로 컬럼에서 나오는 사전 역상 HPLC에 의해 더욱 확인되었다. 동정한 화합물의 IR 및 NMR 스펙트라 데이터를 통해 잘 알려진 화합물 3-페닐 젖산와 화학 구조적으로 매우 유사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의 항곰팡이 프로파일은 표 3에 나타냈다.
Figure 112016016858919-pat00003
C:(Compound), S (Ketoconazole), fungal control reference.
상기 표 3은 Lactobacillus plantarum K46로부터 얻은 화합물의 항곰팡이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A. clacatus , A. oryzae , P. chrysogenumP.roqueforti (MIC: 2.5 mg/mL)에 대해서는 적절한 활성을 보이고 있으나, A.fumigates, A. niger, C. lunata G. Moniliformis (MIC: 5.0 mg/mL)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활성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L. plantarum K46의 프로바이오틱 특성
위장에서 미생물의 생존 능력은 유익한 프로바이오틱 세균의 가장 중요한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므로, 낮은 pH 및 담즘 염 환경에서 생존능력을 연구하였다. pH 3.0 및 4.0에서 L. plantarum K46의 생존력을 표 4에 나타냈다.
Figure 112016016858919-pat00004
값은 3배수 실시하여 측정하였으며 ± 표준편차로 나타냈다;
(+) 양성 활성 ; (-) 음성 활성
상기 표 4는 낮은 pH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 K46 의 생존 능력을 나타낸 것이다.
*표 4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세포 생존력은 pH3.0에서 점차 감소하였으며, pH4.0에서 균주는 더욱 안정적인 성장을 보였다. 담즙 염(Oxgall (0.3%) 및 sodium taurocholate (0.3%))이 존재할 때, 균주의 생존력은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균주들은 소듐 타우로콜레이트(sodium taurocholate) 존재하에서는 잘 자라지만, oxgall에 대해서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균주들은 agar의 용혈성에 대해서는 negative 결과를 보였고 독성이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백질 분해 활성은 0.073 mg/mL 티로신 유리로 결정하였다. 티로신에 의한 카르복시이탈효소 활성은 양성으로 나타났고, 높은 소수성을 보였다(100%). 루신 아릴아미다제(leucine arylamidase) 및 β-글루코시데이즈(β-glucosidase) 활성 수준을 약하게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 효소(alkaline phosphatase), α-푸코시데이트(α-fucosidase) 또는 α-만노시데이즈(α-mannosidase) 활성 (표 5 참조)에 대한 양성 반응은 일어나지 않았다.
Figure 112016016858919-pat00005
상기 표 5는 Lactobacillus plantarum K46의 세포외적 효소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에 따르면, 상기 균주는 프로바이오틱으로 사용하기에 안전한 것으로 생각된다.
항산화 활성
과산화 수소 저항성
L. plantarum K46의 생존능력에 과산화수소의 영향은 도 6a에 나타내었다. L. plantarum K46 균주는 대조군과 비교할 때 H2O2 농도에 따라 강력한 저항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균주는 0.6-0.8 mM H2O2,에서는 견딜 수 있으나, 1.0 mM H2O2에서, 8 h 배양 후, 0.65 이하의 광학밀도를 가지며, 성장이 감소된다.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
L. plantarum K46 의 하이드록시 소거 어세이 결과는 도 6b에 나타냈다. 상기 하이드록시 소거능은 세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함께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균주가 세포 농도 109CFU/mL에서 2 mL당 43.53% 억제율로, 높은 하이드록시 라디칼 소거능이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L. plantarum K46 메탄올 추출물은 109CFU/mL 세포 농도에서 2 ml에서 높은 라디칼 소거능(59.88%)을 보여주면서, DPPH 활성이 적정량 의존적인 억제를 보였다. 상기 결과는 도 6c에 나타냈다.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758P 20121108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K46 (KACC91758P) 균주를 포함하는 항산화용 가축 사일리지 사료 조성물.
  8. 삭제
KR1020160019926A 2016-02-19 2016-02-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55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26A KR101655778B1 (ko) 2016-02-19 2016-02-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9926A KR101655778B1 (ko) 2016-02-19 2016-02-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772A Division KR20150055426A (ko) 2013-11-13 2013-11-13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762A KR20160023762A (ko) 2016-03-03
KR101655778B1 true KR101655778B1 (ko) 2016-09-09

Family

ID=55535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9926A KR101655778B1 (ko) 2016-02-19 2016-02-19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739A (ko) 2017-01-31 2019-07-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6000B1 (ko) * 2020-09-03 2022-10-19 대한민국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47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108A (ko) * 2010-05-12 2011-11-1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Genbank Accession No.KC430920(2013.02.24.)*
Journal of Microbiology, Vol.115, pp.1172-1185(Epub.2013.08.28.)*
Kor. J. Microbiol. Biotechnol., Vol.36, pp.276-284(200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2739A (ko) 2017-01-31 2019-07-10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762A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762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0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Arasu et al. In vitro antifungal, probiotic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novel Lactobacillus plantarum K46 isolated from fermented sesame leaf
Valan Arasu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compoun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KCC‐10 from forage silage with potential beneficial properties
JP6709208B2 (ja) 新規ラクトバチルス株及びその使用
Roger et al. Nutritional properties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orn paste (Kutukutu)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of lactic acid bacteria
KR101832387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산양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Kim et al. Screening and investigation Lactobacillius spp. to improve Secale cereale silage quality
KR20160063025A (ko)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kcc-23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655774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51810B1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255 균주
KR101655778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0693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16855414B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及其在发酵豆制品中的应用
KR20160063024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548640B1 (ko) 엽산생성능이 우수한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ja71 균주
KR100631857B1 (ko) 감마아미노부틸산(gaba) 고생산성 균주인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오피케이-3
KR20030064462A (ko) 유해세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신규 미생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생물 첨가제
CN111996146B (zh) 一株高产苯乳酸的植物乳杆菌及其应用
KR101485970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속 аml 2-1 균주, 이를 이용한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제조방법 및 폴리아민과 감마 아미노 부티르산의 용도
KR20170045190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4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140117188A (ko) 감마-아미노부티르산 생산능이 있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 균주
KR20150055426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4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402028B1 (ko)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헬베티커스 rmk85 균주 및 이를 이용한 감마-아미노부티르산의 생산방법
KR20150055428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19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1904B1 (ko)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 ysm1219 균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