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6324B1 -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324B1
KR101736324B1 KR1020150108042A KR20150108042A KR101736324B1 KR 101736324 B1 KR101736324 B1 KR 101736324B1 KR 1020150108042 A KR1020150108042 A KR 1020150108042A KR 20150108042 A KR20150108042 A KR 20150108042A KR 101736324 B1 KR101736324 B1 KR 101736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m121
strain
activity
bacillus subtilis
soy sau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5684A (ko
Inventor
양희종
정수지
정성엽
허주희
정도연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Priority to KR1020150108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324B1/ko
Publication of KR2017001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5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23L11/09
    • A23L11/20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8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using microorganisms
    • C12R1/125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Enzymes And Modific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장류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Bacillus subtilis SCM121 strain from traditional soy sauce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 of soy sauce, antioxidant activity and enzyme secretion activity, and not producing biogenic amine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장류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통 장류의 발효 과정은 주로 바실러스(Bacillus), 아스퍼질러스(Aspergillus), 유산균 및 효모들의 복합적인 대사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류 제조는 프로테아제(proteases) 활성이 높은 바실러스와 아스퍼질러스 속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은 콩을 가수분해하는 과정을 거치며, 적절한 증식 온도와 여러 미생물들의 상호 작용에 의한 발효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바이오제닉 아민이 생산되기 적당한 조건이다.
실제로 2006년 국내 유통 발효 식품 중에 바이오제닉 아민 분포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통 된장의 퓨트레신 함량은 99.6~1453.7(평균 462.6)mg/kg, 히스타민은 260.1~952(평균 569.4) mg/kg, 티라민은 284.7~1430.7(평균 669.5) mg/kg으로 한국인들이 주로 섭취하는 34종의 식품 가운데 평균적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멸치 젓갈, 현대식 간장, 재래식 간장, 현대식 된장 순이었다. 한국인 식단 중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이 가장 높은 식품 7종 중 4종이 장류이고, 식단 특성상 장류 사용량이 젓갈보다 더 많다는 것을 고려하면, 한국인은 식사를 통해 건강에 해로운 수준까지도 바이오제닉 아민을 섭취할 수 있다.
현재까지 아미노산 디카르복실라제 활성을 지녀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할 수 있는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Bacillus amyloliquefaciens),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acillus licheniformis)가 청국장에서 동정되었으며, 히스타민 디카르복실라제(histamine decarboxylase) 유전자는 결손 되었지만 티로신 디카르복실라제(tyrosine decarboxylase) 유전자를 함유한 2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균주들이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이 낮은 청국장에서 분리되었다.
바이오제닉 아민은 모노아민 옥시다제(monoamine oxidase)와 폴리아민 옥시다제(polyamine oxidase)에 의해 분해되며 현재까지 이들 효소 활성은 마이크로코커스(Micrococcus), 나트리네마(Natrinema), 브레비박테리움(Brevibacterium),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스타필로코커스(Staphylococcus), 아쓰로박터(Arthrobacter), 클렙시엘라(Klebsiella), 슈도모나스(Pseudomonas), 세라티아(Serratia), 살모넬라(Salmonella) 속에서 발견되고 있다(Naila et al., 2010 J. Food Sci. 75, 139-150). 그러나 한국 전통 장류 발효에서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바실러스 속의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능력은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를 제외하고는 전혀 알려져 있지 않았다. 또한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는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KFDA)에서 식품 첨가물로서 현재까지 사용이 허용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실제 장류에 적용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KFDA에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균주로서 장류 제조에 허용될 수 있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균주들을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을 조사하였다. 앞으로, 전통 장류는 전통적인 장류의 풍미는 유지하되 바이오제닉 아민 저감화를 통한 식품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 발명에서는 전통 장류의 주 발효 세균인 바실러스 서틸리스와 바실러스 아밀로리퀘파시엔스를 중심으로 유해 물질인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력을 가지면서 안전성 확보를 위해 독소 유전자를 함유하지 않는 균주들의 분리에 목표를 두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516588호에서는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에 대해서는 밝혀진 바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유해 미생물인 바실러스 세레우스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에 대해 항균 활성이 있고,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라제 및 리파아제의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며, 항산화 활성이 있으면서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새로운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를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서 분리한 균주를 장류에 처리할 경우, 특히, 전통 장류의 발효 과정 중 발생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장류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통 장류에서 분리한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가 장류의 발효 과정 동안 발생하는 유해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고,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셀룰라제 및 리파아제의 세포외 효소를 분비하며, 항산화 활성이 있으면서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이용하여 독성이 없는 안전한 장류 식품 생산 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식품산업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SCM121 분리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나타낸다.
도 2는 선별된 균주 중 5종의 균주에 대한 바이오제닉 아민의 정성 분석 결과를 나타낸다. -,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안함; +,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SCM121 분리주의 세포외 효소 활성 검정 결과이다. (좌부터 셀룰라제, 프로테아제, 아밀라제, 리파아제)
도 4는 선별된 균주 중 9종의 균주에 대한 항산화활성을 조사한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SCM121 분리주의 생장 곡선을 확인한 결과이다. TSB 배지에 접종하여 150 rpm, 30℃에서 배양한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의 세포 건조 균체량 및 흡광도를 배양 시간별로 나타내었다. 실험은 3번 반복구로, 데이터는 평균(n=3)을 구하였고,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를 제공한다.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는 전통 장류에서 분리하였으며, 유해 미생물에 길항 능력을 가지며, 항산화 활성이 있으며,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을 생성하지 않는 균주이다.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2015년 07월 28일자로 기탁하였다(기탁번호 : KACC 81004BP).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유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세포외 효소는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제(cellulase) 또는 리파아제(lipas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균주에서, 상기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은 히스타민(histamine) 또는 티라민(tyramine)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은 미생물의 아미노산 디카복실라제 작용에 의해 아미노산으로부터 형성되며, 인체의 분해 한도를 넘어서는 바이오제닉 아민을 식품에서 섭취하는 경우에는 발진, 국소적 피부염증, 알레르기, 구토, 오심, 설사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미생물 제제에서, 상기 유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또는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미생물 제제는 장류로부터 분리된 유해 미생물에 대해 항균 활성 및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미생물 제제는 액상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증량제를 첨가하여 가루분말의 형태로 이용하거나 이를 제형화하여 과립화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그 제형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포함하는 식품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은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종균으로 이용한 발효식품일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장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식품에서, 상기 장류는 메주, 한식된장, 된장, 조미된장, 고추장, 조미고추장, 춘장, 청국장, 혼합장, 한식간장, 양조간장 및 혼합간장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장류에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장류 유해 미생물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장류 유해 미생물 제어는 본 발명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를 장류에 처리함으로써, 유해 미생물의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저해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균주 분리 및 배양
메주, 된장, 고추장 시료는 전라북도 순창군 11개의 면단위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장류 약 200 여종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시료 1g을 취하여 멸균된 0.85% NaCl 용액 9 ㎖에 현탁하여 각 단계별로 희석한 후 희석액 100㎕을 Luria- bertani agar(LB, DifcoTM) 배지에 도말하여 30℃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순수한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배양된 미생물의 형태적 차이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선별한 후 다시 순수 배양하여 균주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미생물은 다음 연구에 사용을 위하여 20%의 글리세롤을 포함한 LB 액체 배지와 혼합하여 -80℃에서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선별 균주의 세포외 효소 분비능 측정
분리 미생물이 균체외로 방출하는 세포외 효소들 중 프로테아제 및 셀룰라아제의 활성 검증을 위하여 한천 확산법(agar well diffusion method)을 이용하였고, 각 효소와 특이적으로 반응할 기질의 성분이 포함된 고체 선별배지를 사용하였다.아밀라제 분비능은 전분(starch)을 기질로 사용하여 1%의 가용성 전분(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를 함유한 전분 아가 배지를 사용하였고, 라이파제 가수분해활성 측정은 Spirit Blue Agar Lipase plate(DifcoTM)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프로테아제 분비능은 스킴 밀크(skim milk)를 기질로 선택하여 2%의 스킴 밀크 (DifcoTM)에 1.5%의 아가를 첨가한 스킴 밀크 아가 배지를 제조(Vermelho et al., 1996, Mem. Inst. Oswaldo Cruz, 91, 755-760)하여 사용하였고, 셀룰라아제 분비능은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methyl cellulose, CMC, JUNSEI chemical Co. Ltd.)을 기질로 선택하여 1% 카르복실메틸 셀룰로오스를 함유한 CMC 아가 배지를 제조(Teather and Wood, 1982, Appl. Environ. Microbiol, 43, 777-780)하여 사용하였다. 제조된 효소 분비능 측정 배지에 각 균주의 배양 상등액을 0.45μm 막 필터 (Sartorius)로 제균한 뒤 100㎕씩을 직경 8 mm의 준비한 웰(well)에 분주하여 25℃에서 24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프로테아제 및 셀룰라아제 분비능을 투명환의 직경으로 조사하였다.
항균활성 측정
식품 유해미생물을 대상으로 선별한 균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식품 유해 미생물은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 KCTC 3624),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아종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KCCM 11593, KCCM 41331),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 KCCM 40935) 등 총 4 균주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유해 미생물의 대한 항균 활성은 유해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는 0.8% 소프트 아가 플레이트를 이용한 한천 확산법(Park et al., 2002, Kor. J.Life Science, 12, 200-207)에 준하여 조사하였으며, 0.45μm 막 필터(Sartorius)로 제균한 분리 균주의 배양 상등액 100㎕을 각 항균활성 측정 배지의 웰에 분주하고 30℃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억제환의 크기에 따라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 측정
선별한 균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의 측정은 DPPH (2,2-diphenyl-1-picryl-hydrazyl, Sigma-aldrich)의 방법(Lee et al.,2009 Food Sic. Biotechnol, 18, 959-964)에 따라 실험하였다. 100μM DPPH 에탄올 용액 1㎖에 200㎕의 배양 상등액을 가한 다음 반응 산물은 30분 동안 실온에서 반응시킨 후 528 nm에서 UV/VIS 스펙트로포토미터(SPECORD 200, Analytic jena)로 흡광도를 측정하여 아래 식에 따라 항산화 활성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구로는 배양 배지만을 첨가한 실험구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항산화 활성(%)=[1-Abs528nm of sample/Abs528nm of control]×100
바이오제닉 아민( Biogenic amine ) 생성 확인
분리한 미생물에 대하여 바이오제닉 아민의 생성 여부를 정성실험을 통하여 1차 선별을 수행하였다. 바이오제닉 아민의 생성여부 확인을 위한 정성실험은 Chang과 Chang의 방법(Chang et al.,2012, Int. J. Food Microbiol, 150, 269-274)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바이오제닉 아민 검출용 고체 배지는 0.25% 글리세롤 (JUNSEI Chemical Co. Ltd., Tokyo, Japan), 0.006% 브로모크레졸 퍼플 (BCP, Sigma-aldrich, MO, USA), 0.1% 히스티딘과 티로신 (Sigma-aldrich, MO, USA)이 함유된 LB 아가 (pH 5.0) 배지를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균체는 멸균 증류수로 3회 세척하여 8 mm ADVANTEC 페이퍼 디스크 (Toyo Roshi Kaisha Ltd., Tokyo, Japan)에 10㎕씩 분주한 후 37℃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대조구인 일반 LB 배지와 발색 정도에 따라 바이오제닉 아민의 생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별 분리주를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 정량 실험은 LB 액체 배지에 각 분리 미생물을 접종한 후 30℃ 현탁 배양기 (VS-1203P3V, Vision Scientific Co. Ltd., Daejeon, Korea)에서 150 rpm, 24시간 전배양한 후 전배양액 1㎖을 전구체 0.1% 히스티딘과 티로신이 포함된 LB 액체 배지 9㎖에 접종하고 37℃, 현탁 배양기, 150 rpm, 24시간 동안 본 배양 하였다. 본 배양액은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여 균체를 제거한 상등액을 바이오제닉 아민 분석을 위한 전처리 시료로 사용하였다. 전처리 시료용액과 표준용액을 각각 0.5㎖ 취한 후 0.25㎕ 1,7-디아미노헵탄 (Sigma-aldrich, MO, USA)와 0.25㎖ 포화 Na2CO3 용액 (Sigma-aldrich, MO, USA), 1% 아세톤 (Sigma-aldrich, MO, USA), 0.4㎖ 댄실 클로라이드 (dansyl chloride, Sigma-aldrich, MO, USA)을 혼합한 후 45℃에서 1시간 동안 유도체화 하였다. 유도체화한 시료에 0.25㎖의 10% 프롤린(Sigma-aldrich, MO, USA)을 가한 후 여분의 댄실 클로라이드를 제거한 뒤 2.5㎖의 에틸 에테르 (Samchun, Seoul, Korea)를 가하여 3분간 진탕한 후, 분리된 상등액을 취하여 증발시킨 후 남은 잔사를 0.5㎖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Mallinckrodt J. T. Baker, Phillipsberg, NJ, USA)에 정용하여 0.45μm 시린지 필터 (Sartorius, Frankfurt, Germany)로 여과한 것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바이오제닉 아민 분석을 위한 기기 분석 조건(Jeong et al., 2014,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 550-556)은 아래와 같다.
바이오제닉 아민 검출을 위한 HPLC 분석 조건
Instrument Agilent 1200 series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
Column CapcellPak C18 Column
Detector DAD detector (254 nm)
Mobile phase A: 0.1% formic acid in H2O
B: 0.1% formic acid in Acetonitrile
Gradient condition A:B = 45:55, 0~10 min
A:B = 35:65, 10~15 min
A:B = 20:80, 15~20 min
A:B = 10:90, 20~30 min
A:B = 10:90, 40 min over
Flow rate 1.0㎖/min
Temperature 40℃
Injection volume 20㎕
균주의 동정
최종 선별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균체를 Nutrient broth (NB,DifcoTM)에 접종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원심 분리하여 균체를 회수한 뒤 ZR Fungal/Bacterial DNA Miniprepkit (Zymo Research Corp.)를 이용하여 DNA를 추출하였다. 16S rRNA 유전자는 유니버셜 프라이머(universal primer)인 27F와 1492R로 합성하여 유전자 단편을 PCR로 증폭시켰고(Baek et al., 2010, Korean J. Microbiol, 38, 379-384), 증폭된 PCR 산물은 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로 정제한 후 Cosmogentech Co.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또한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실험법(Leadbetter, 1974, Bergey's Manual of Determinative Bacteriology, 8th ed. p.99)에 기초하여 API 50CH kit (bioMerieux)를 이용해 당 발효 특성을 통한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균체 성장조사
배양시간에 따른 생육 정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LB 배지에 선별한 균주 5%를 접종하여 30℃ 현탁 배양기에서 150rpm, 72시간 배양한 후 건조 균체량, 흡광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시간에 따른 균체 성장의 조사를 위해 4시간 간격으로 배양액을 회수하였다. 건조 균체량의 측정은 배양액 10㎖를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후 멸균 증류수로 3회 세척하여 80℃에서 항량에 도달할 때까지 건조한 후 무게를 측정하였다. 또한 흡광도의 조사를 위하여 배양액 1㎖를 회수하여 13,000 rpm에서 30분간 원심 분리한 후 멸균 증류수로 3회 세척하고, 멸균 증류수 1㎖에 재부유하여 UV/VIS 스펙트로포토미터 (SPECORD 200, Analytic jena)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항산화 활성은 앞선 방법에 따라 동일하게 측정하였다.
실시예 1. 균주의 분리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을 갖는 국내 토종 발효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전라북도 순창군에서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메주, 된장, 고추장 시료 약 200 여종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시료를 멸균 증류수에 현탁하여 단계 희석법을 이용하여 세균 배양 배지에 균주를 배양한 후 육안으로 집락의 형태, 색 등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612종의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분리주를 대상으로 바이오제닉 아민(biogenic amine) 비생성 균주의 1차 선별을 위하여 바이오제닉 아민 검출용 고체배지를 이용해 정성 실험을 진행하였고, 203종의 분리주가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1차 선별을 완료한 균주는 LB 배지에 접종하여 2일간 배양한 후 다음 연구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세포외 효소 분비능 측정
장류 발효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균주로는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바실러스 리케니포미스(B. licheniformis), 바실러스 시트레아스(B. citreas)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발효과정에서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리파아제(lipase)와 같은 미생물의 다양한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amino acid), 유리당(free sugar), 이소플라본(isoflavone), 아글리콘(aglycone), 지방산(fatty acid) 등으로 분해되어 풍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2차 산물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프로테아제는 발효 시 단백질을 분해하여 특유의 구수한 맛 성분인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졌으며(Kim et al., 2005, Kor. J. Life Science, 15, 749-754), Ra 등(Ra et al., 2004,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39-442))은 된장으로부터 β-글루코시다아제 활성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는 등 전통 장류로부터 다양한 미생물 자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미생물 분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앞서 선별한 203종의 분리주를 대상으로 세포외 효소 활성을 측정한 결과 86종의 분리주에서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아제(cellulase) 및 리파아제 4가지 효소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SCM103, SCM121은 일부 효소활성에서는 약한 활성을 띄었으나 4가지 효소 활성을 모두 갖고는 있는 것으로 나타나(도 3), 추후 최적화 연구를 기반으로 활성을 증진시켜 산업적으로 이용한다면 더욱더 이용가치가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시예 3. 분리 균주의 항균 활성
앞서 선별한 분리주 86종을 대상으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총 4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측정한 결과 대부분 1종 이상의 유해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분리주 중에서 SCM57, SCM103, SCM119, SCM121, SCM148, SCM193, SCM200, SCM501 및 SCM699 등 9종이 다양한 식품 유해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을 지니고 있었으며, 저해 효과 또한 우수하였다. 특히, 분리주 중 SCM121은 4종의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특히,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모두 활성을 갖고 있어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 장류 발효 및 식품 제조에 다양한 항균 범위를 갖는 미생물의 사용은 식품 제조업체에서의 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오염의 문제 해결에 유용할 것으로 보이며, 천연식품 보존제나 사료보존제로서 뿐만 아니라 새로운 항생제 대체 의약소재로의 응용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선별된 균주에 대한 효소 활성, 항균 활성의 비교 결과
시험 항목 선별된 균주
SCM
57
SCM
103
SCM
119
SCM
121
SCM
148
SCM
193
SCM
200
SCM
501
SCM
699
효소 활성 (mm)a Protease 1.2 w - 1.4 - 1.0 1.0 1.3 -
Amylase - 1.1 1.1 w 1.0 - - 1.2 w
Cellulase w 1.3 - 1.5 1.2 - 1.0 - 1.5
Lipase - w - w - - - - w
항균 활성 (mm) KCTC 3624b w - 1.0 1.0 - - 1.2 w 1.3
KCCM 11593c - w - 1.1 - 1.0 - w -
KCCM 41331d 1.1 - 1.0 1.0 1.1 - w w -
KCCM 40935e - - - w1.3 w 1.3 - 1.0 -
a클리어존 크기(직경)
bKCTC 3624: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cKCCM 11593: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아종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dKCCM41331: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아종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subsp. aureus), eKCCM40935: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w: 약한 활성(weak activity)
실시예 4. 항산화 활성 측정
앞선 실험을 바탕으로 하여 항균력이 있는 9종의 분리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측정은 DPPH에 의한 자유 라디칼 제거효과를 측정하여 조사하였다(도 4). DPPH는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기질로 페놀성 물질에 대한 항산화 작용의 지표 중 하나이며, 자유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여 식품 내 지방질 산화를 억제하고, 인체 내 활성산소에 의한 노화를 억제하여 질병 및 노화를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Lee et al., 1997,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432-436). DPPH를 이용하여 분리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선별 균주 중 SCM57, SCM119, SCM121, SCM501가 10% 이상의 DPPH 활성을 나타냈으며, SCM121는 11.09%의 항산화 활성을 갖고 있었다. 또한, 앞선 조사를 통해 밝혀진 세포외 효소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활성능에서는 가장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선별된 균주에 대한 항산화활성의 비교 결과
시험 항목 선별된 균주
SCM
57
SCM
103
SCM
119
SCM
121
SCM
148
SCM
193
SCM
200
SCM
501
SCM
699
항산화 활성 (%) 15.11 5.92 12.89 11.09 4.58 8.96 6.55 18.77 3.42
실시예 5.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확인
정량분석은 선별한 균주를 히스티딘, 티로신이 포함된 액체배지에 첨가하고, 해당 아미노산에 대한 탈탄산 활성능과 균주가 생성한 히스타민, 티라민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를 아래에 나타내었다. SCM57, SCM193, SCM699의 일부 분리주에서 바이오제닉 아민이 검출되었으나 정량이 되지 않는 검출수치를 나타내었고, 식품 내 히스타민은 8-40 mg은 약한 정도, 40-80 mg은 중증 정도, 100 mg 이상은 극심한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고, 티라민은 100 mg 이상을 섭취해야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어(Maijala and Eerola, 1993, Meat Sci, 35, 387-395) 앞서 선별한 균주 모두 유해한 수준은 아님을 확인하였다. 특히 SCM103, SCM119, SCM121, SCM148, SCM200, SCM501의 분리주에서는 히스타민, 티라민이 모두 검출되지 않아 앞서 진행한 바이오제닉 아민 검출용 고체배지를 이용해 진행한 정성분석과 결과와 동일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외 효소활성과 항균 및 항산화 활성,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확인 모두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 SCM121을 최종 균주로 선정하였다.
선별된 균주에 대한 바이오제닉 아민의 정량적 비교 결과
시험 항목 선별된 균주
SCM
57
SCM
103
SCM
119
SCM
121
SCM
148
SCM
193
SCM
200
SCM
501
SCM
699
Biogenic amines
(mg/L)
Histamine N.Qa N.D N.D N.D N.D N.D N.D N.D N.D
Tyramine N.Db N.D N.D N.D N.D N.Q N.D N.D N.Q
aN.D : 미검출
bN.Q : 미정량
실시예 6. 균주의 동정
최종 선별한 SCMB121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BLAST 검색 결과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로 판명되었으나, 바실러스 속은 다양한 환경에서 포자를 생성하여 생존할 수 있어 환경에 따라 종 다양성이 매우 큰 세균으로 16S rRNA 염기서열(도 1)에서 100% 상동성을 나타내더라도 서로 다른 종으로 분류될 수 있기 때문에 추가로 API 50CH kit을 사용하여 당 대사능을 분석하였다. 당 대사능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으며 바실러스 서틸리스(B. subtilis)로 동정되어 16S rRNA 시퀀싱 결과와 일치함을 확인하였고, 최종적으로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로 명명하였다. 최종 선별 균주인 SCM121는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KACC, 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에 바실러스 서틸리스 KACC81004BP로 기탁하였다.
API50 CHB 키트에 의한 SCM121 균주의 당 대사능 분석 결과
Enzyme a SCM121 Enzyme SCM121
Control - Esculin +
Glycerol + Salicin +
Erytyritol - D-cellobiose +
D-arabinose - D-maltose +
L-arabinose + D-lactose -
D-ribose + D-melibiose +
D-Xylose - D-saccharose +
L-Xylose - D-trehalose +
D-adonitol - Inulin +
Methyl-D-xylopyranoside + D-melezitose -
D-galactose - D-raffinose +
D-glucose + Starch +
D-fructose + Glycogen +
D-mannose + Xylitol -
L-sorbose - Gentiobiose +
L-rhamnose - D-turanose -
Dulcitol - D-lyxose -
Inositol + D-tagatose -
D-mannitol + D-fucose -
D-sorbitol + L-fucose -
Methyl-D-mannopyranoside - D-arabitol -
Methyl-D-glucopyranoside + L-arabitol -
N-acetyl glycosamine - Potassium gluconate -
Amygdalin + Potassium 2-Ketogluconate -
Arbutin + Potassium 5-Ketogluconate -
a+, 이용함; -, 이용안함
실시예 7. 균체 성장조사
최종 선별한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의 생장곡선을 확인하기 위해 TSB (Oxoid CM0129) 배지에 접종하여 30℃, 150 rpm에서 현탁 배양하였고, 4시간 간격으로 흡광도, 건조 균체량을 측정하였다. 생육곡선 측정 결과 4시간에서 32시간까지 대수기를 나타냈고, 32시간 이후 증식이 점차 느려져 40시간부터 정지기에 들어갔다. 또한 32시간에 흡광도는 1.4416 (OD600)으로 가장 높은 값과, 36시간에 1.1402g/L의 건조 균체량으로 가장 높은 세포성장을 보였다(도 5).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 배양 시간을 대수기에서 정지기로 들어가는 32시간으로 설정하였다.
농업생명공학연구원 KACC81004BP 20150728

Claims (4)

  1.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프로테아제(protease), 아밀라아제(amylase), 셀룰라제(cellulase) 및 리파아제(lipase) 분비능을 가지며, 히스타민(histamine) 및 티라민(tyramine)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KACC81004BP).
  2. 삭제
  3. 제1항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바실러스 세레우스(Bacillus cereus) 및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용 미생물 제제.
  4. 제1항의 바실러스 서틸리스(Bacillus subtilis) SCM121 균주를 포함하는 장류.
KR1020150108042A 2015-07-30 2015-07-30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6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42A KR101736324B1 (ko) 2015-07-30 2015-07-30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042A KR101736324B1 (ko) 2015-07-30 2015-07-30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84A KR20170015684A (ko) 2017-02-09
KR101736324B1 true KR101736324B1 (ko) 2017-05-17

Family

ID=58154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042A KR101736324B1 (ko) 2015-07-30 2015-07-30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86B1 (ko) * 2019-05-13 2020-09-2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스타터용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727 균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5580B1 (ko) * 2018-11-12 2020-01-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43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63B1 (ko) * 2019-03-18 2020-04-1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29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00378B1 (ko) * 2019-03-20 2020-04-13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장 부착능이 우수하고, 항노화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가지는 락토바실러스 펜토서스 srcm10347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36064B1 (ko) * 2019-06-24 2020-07-22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담즙산염 분해 활성 및 식품 유해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보유한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 379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189342B1 (ko) * 2019-09-20 2020-12-10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β-글루코시다아제 활성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RCM103716 균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184B1 (ko) 2010-06-29 2012-11-13 몽고식품 주식회사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와 저 생물생성 아민-함유 식품
KR101516588B1 (ko) 2013-08-14 2015-05-0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184B1 (ko) 2010-06-29 2012-11-13 몽고식품 주식회사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제와 저 생물생성 아민-함유 식품
KR101516588B1 (ko) 2013-08-14 2015-05-04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Vol.51, pp.48-60(2015.03.)*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286B1 (ko) * 2019-05-13 2020-09-29 재단법인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스타터용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727 균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5684A (ko) 2017-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4361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4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4367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6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6324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12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4368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CML458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372949B1 (ko) 부티르산 산생균 및 그 이용
KR101374586B1 (ko) 감마 글루타밀트랜스펩티데이스 및 피브린 분해효소의 활성이 높은 바실러스 아밀로리큐파시엔스 kc41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청국장
KR101832387B1 (ko) 유산균을 이용한 특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산양삼 발효물의 제조방법
KR20080110397A (ko) 내산성, 내담즙산성 및 항균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960352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항생제 내성, 항산화 활성, 효소 분비능, 내산성, 내담즙성, 내열성 및 프리바이오틱스 기질 이용능이 우수하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베리류 발효물 유래의 락토바실러스 브레비스 sbb0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89028B1 (ko) 바이오제닉 아민은 생산하지 않고,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j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2032703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ifi-sy3 균주를 이용한 아로니아 발효액의 제조방법
KR102001994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페디오코커스 펜토사세우스 srcm102736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98272B1 (ko) 김치에서 분리되고 항균물질생성 및 면역활성 효능을 가진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한 생균제 조성물
KR101999531B1 (ko) 면역 활성, 항바이러스 활성 및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페로렌스 srcm102283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589026B1 (ko) 바이오제닉 아민은 생산하지 않고,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있는 바실러스 서틸리스 scj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1996080B1 (ko) 항균 활성과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1594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734363B1 (ko) 장류의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바이오제닉 아민을 생성하지 않는 전통장류 유래의 바실러스 서틸리스 scm68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50101789A (ko) 복합 효소 생산능 및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bk418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210109365A (ko) 항균 활성, 항산화 활성, 혈전 분해 활성, 항생제 내성, β-글루코시다제 및 세포외 효소 분비능이 있고, 유해물질 및 유해효소를 생성하지 않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SRCM102027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650330B1 (ko)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 활성이 있는 루코노스톡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31250B1 (ko) 병원성 미생물의 항균활성을 가진 신규한 유산균과 유기물분해 활성을 갖는 신규 유용 미생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가금류용 발효사료 첨가제 조성물
KR102161276B1 (ko) 혈전분해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청국장 제조를 위한 스타터용 바실러스 서틸리스 srcm103701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473634B1 (ko) 프로바이오틱 활성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속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홍삼 제조방법
KR20220080493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이를 이용하여 발효한 생강의 기능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