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400A -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400A
KR20150064400A KR1020130149067A KR20130149067A KR20150064400A KR 20150064400 A KR20150064400 A KR 20150064400A KR 1020130149067 A KR1020130149067 A KR 1020130149067A KR 20130149067 A KR20130149067 A KR 20130149067A KR 20150064400 A KR20150064400 A KR 201500644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perlipidemia
radix
samulhwalhyeoltang
treatment
contro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희
최학주
심부용
박지원
전지애
Original Assignee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4400A/ko
Publication of KR20150064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40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4Crataegus (haw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은,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를 포함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측면은,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의 중량비가 15: 15: 15: 15: 10: 10: 10: 10: 10: 10: 10: 6: 6: 6: 2.5: 2.5: 1.5로 이루어진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의해, 고지혈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효능, 간기능, 사이토카인 등 긍정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고지혈증과 관련된 체중 및 장기 무게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Samulhwalhyeoltang For the treatment of hyperlipidemia, and Samulhwalhyeoltang For the treatment of hyperlipidemia composition produced by the same}
본 발명은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지혈증에 대한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체내 지방이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지칭하는 것으로, 유전적, 영양학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나타나는 복잡한 증후군이다.
즉, 칼로리 섭취량이 에너지 소모량을 초과하게 되면 남는 에너지는 지방으로 전환되어 지방세포에 저장됨으로써 결국 비만을 유발하게 된다.
특히, 체내 지방의 분포 양상에 따라, 복부 비만(상체 비만, 중심성 비만)과 하체 비만(말초 비만)으로 구분하는데, 하체 비만에 비하여 복부 비만에 의해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동맥경화성 심혈관 질환(뇌졸중, 허혈성 심장 질환) 등 성인병의 근원이 된다.
이와 같은 복부 비만은 주로 운동이나 식이 요법 등을 행하나 그 효과가 미진하여 비만 치료제 등을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지방 흡수 억제, 대뇌 식욕 중추의 작용으로 포만감 등과 관련된 신경호르몬 분비를 조절하여 식사량을 조절하므로 비만을 치료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비만 치료제의 경우에 일반인이 손쉽게 구입, 복용함이 어렵고, 특히 장기간 복용시 다른 부작용을 발생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기술문헌]
1. 생맥산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이용한 생맥산 두부(saengmaeksan extract and saengmaeksan bean curd using saengmaeksan extract) (특허출원번호 제10-2007-0043556호)
2. 고지혈증 개선용 코스 요리(Course Food for Improvement of Hyperlipidemia)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11669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지혈증을 완화시키도록 하기 위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항산화 효능, 간기능, 사이토카인에 긍정적인 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고지혈증과 관련된 체중 및 장기 무게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은,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309g을 1 첩의 기준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단삼 30g, 당귀 30g, 산사 30g, 생지황 30g, 길경 20g, 도인 20g, 백작약 20g, 우슬 20g, 지실 20g, 천궁 20g, 포황 20g, 감초 12g, 시호 12g, 홍화 12g, 결명자 5g, 하수오 5g, 국화 3g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발명은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의 중량비가 15: 15: 15: 15: 10: 10: 10: 10: 10: 10: 10: 6: 6: 6: 2.5: 2.5: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은,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의 중량비가 15: 15: 15: 15: 10: 10: 10: 10: 10: 10: 10: 6: 6: 6: 2.5: 2.5: 1.5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은, 고지혈증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은, 항산화 효능, 간기능, 사이토카인 등 긍정적인 작용을 수행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은, 고지혈증과 관련된 체중 및 장기 무게에 있어서 긍정적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을 위한 구성요소는 약재가 필요하다.
한편, 이에 대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에 대한 효과를 위해 RAW 264.7 세포, 동물 및 사료, 시약, 기기가 사용된다.
먼저,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형탕을 위한 구성요소 중 약재는 하기의 [표 1]과 같다.
Herbal medicine name Pharmacognostic name Weight(g)
단삼 Salviae Miltiorrhizae Radix 30
당귀 Angelicae Giantis Radix 30
산사 Crataegi Fructus 30
생지황 Rehmanniae Radix Drudus 30
길경 Platycodi Radix 20
도인 Persicae Semen 20
백작약 Paeoniae Radix 20
우슬 Achyranthis Radix 20
지실 Ponciri Fructus 20
천궁 Cnidii Rhizoma 20
포황 Typhae Pollen 20
감초 Glycyrrhizae Radix et Rhizoma 12
시호 Bipleuri Radix 12
홍화 Carthami Flos 12
결명자 Cassiae semen 5
하수오 Polygoni Multiflori Radix 5
국화 Chrysanthemi Flos 3
Total amount 309
즉, 본 발명에서의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Samulhwalhyeoltang)의 구성 약재들의 구성과 분량은 1 첩을 기준으로 상술한 표 1과 같다.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형탕에 대한 효과 실험을 위한 동물 및 사료>
이러한 사물활혈탕에 대한 효과 실험을 위하여 C57BL/6J(6주령, 수컷, 18∼22 g)가 사용된다. 실험동물은 2주간의 안정기를 가지면서 순화를 시켰으며, 안정기동안 모든 실험군에는 일반 사료를 자유식이 하였다. 안정기를 마친 후 정상군에는 일반 사료를, 고지혈증을 유도하기 위한 대조군과 사물활혈탕 투여군에는 고콜레스테롤 사료를 2주간 자유 식이하면서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동물 사육실의 조건은 conventional system으로 22±2℃, 1일 중 12시간은 200-300 Lux로 조명하고, 12시간은 모든 빛을 차단하였다. 본 실험은 대전대 동물실험윤리 위원회의 승인(동물사용 윤리위원회 승인번호 DJUARB 2013-014)을 받아 동물윤리준칙에 의거하여 실험하였다. 일반 사료, 고콜레스테롤 사료의 ㎏당 조성의 내용과 분량은 다음의 [표 2] 및 [표 3]과 같다.
Components Percentage(%)
Crude protein 20.0
Crude fat 4.5
Crude fiber 6.0
Crude calcium oxide 7.0
Calcium 0.5
Phosphorus 1.0
Total amount 39.0
Components Weight(gm)
Casein, 80 Mesh 200
L-Cystine 3
Maltodextrin 10 125
Sucrose 68.8
Cellulose, BW200 50
Soybean Oil 25
Lard 245
Mineral Mix S10026 10
DiCalcium Phosphate 13
Calcium Carbonate 5.5
Potassium Citrate, 1 H20 16.5
Vitamin Mix V10001 10
Choline Bitartrate 2
FD&C Blue Dye #1 0.05
Total amount 773.85
<실험 방법>
사물활형탕 1첩을 80% 주정 2,000 ㎖에 넣어 3시간 동안 환류추출 후 여과액을 얻어 rotary vacuum evaporator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농축된 용액을 freeze dryer로 동결 건조하여 23.9 g의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분말은 냉동고에서 보관하며 필요한 농도로 3차 증류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1. 안정성 검사>
1) 중금속 함량사물활형탕
사물활형탕 주정 추출물의 중금속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카드뮴의 경우 기준치 이하로 검출되었고 나머지 중금속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다.
2) HPLC pattern 분석
사물활형탕 주정 추출물을 HPLC를 이용하여 pattern 분석한 결과, 210 nm에서 retention time이 38.76분, 56.48분, 56.74분대에 peak를 확인할 수 있었다.
3)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
(1)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혈청 중의 AST를 측정한 결과, AST는 정상군이 65.4±4.7 U/L, 대조군이 153.0±8.2 U/L, 사물활형탕 투여군이 114.8±8.5 U/L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P <0.01) 감소를 나타냈다.
(2)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혈청 중의 ALT를 측정한 결과, ALT는 정상군이 31.7±1.7 U/L, 대조군이 47.6±4.7 U/L, 사물활형탕 투여군이 43.8±4.9 U/L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Alkaline phosphatase (ALP)
혈청 중의 ALP를 측정한 결과, ALP는 정상군이 93.8±6.7 U/L, 대조군이 180.4±8.9 U/L, 사물활형탕 투여군이 122.7±15.9 U/L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P <0.05)를 나타냈다.
4) 신 기능에 미치는 영향
(1) Creatinine (Cr)
혈청 중의 creatinine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0.53±0.02 ㎎/㎗, 대조군은 0.62±0.02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0.56±0.03 ㎎/㎗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Blood urea nitrogen (BUN)
혈청 중의 BUN 농도를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14.43±1.59 ㎎/㎗, 대조군은 21.75±2.82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8.50±2.69 ㎎/㎗로 나타났으며,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실험 결과-2. In vitro>
1) 항산화 효능에 미치는 영향
(1) DPPH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사물활형탕 추출물의 DPPH 소거율은 1 ㎍/㎖ 농도에서 1.5±0.2%, 10 ㎍/㎖ 농도에서 3.9±0.4%, 100 ㎍/㎖ 농도에서 42.7±0.2%, 1,000 ㎍/㎖ 농도에서 91.8±0.6% 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함을 나타났다.
(2) ABTS radical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사물활형탕 추출물의 ABTS 소거율은 1 ㎍/㎖ 농도에서 0.4±0.3%, 10 ㎍/㎖ 농도에서 0.4±1.0%, 100 ㎍/㎖ 농도에서 9.8±0.9%, 1,000 ㎍/㎖ 농도에서 91.4±1.3%로 나타나 농도 의존적으로 라디칼 소거능이 증가함을 나타났다.
(3) ROS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사물활형탕 추출물의 ROS 생성 저해 활성은 대조군을 100.2±0.2%로 나타냈을 때 정상군은 51.6±15.8%,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 ㎍/㎖ 농도에서 93.5±14.9%, 10 ㎍/㎖ 농도에서 90.3±5.3%, 100 ㎍/㎖ 농도에서 81.8±4.9%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100 ㎍/㎖ 농도에서 농도의존적으로 유의성 있는(P <0.05) 감소를 나타냈다.
2) 항염증 효능에 미치는 영향
(1) Nitric oxide (NO)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RAW 264.7 세포주에서 사물활형탕 추출물의 NO 생성량은 대조군을 100.0±3.7%로 나타냈을 때 정상군은 39.7±4.1%,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 ㎍/㎖ 농도에서 96.7±4.8%, 10 ㎍/㎖ 농도에서 94.5±5.9%, 100 ㎍/㎖ 농도에서 81.1±7.8%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100 ㎍/㎖ 농도에서 유의성 있는(P <0.001) 감소를 나타냈다.
<실험 결과-3. In vivo 분석>
1) 체중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쥐의 체중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실험 종료 후 정상군은 24.81±0.37 g, 대조군은 26.48±0.53 g,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24.60±1.01 g으로 고지혈증을 유발하기 전 체중에 비해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대조군에 비하여 8주에서는 유의성 있는 (: P <0.05) 체중 감소를 나타냈다.
2) 장기무게에 미치는 영향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쥐의 간 조직 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1.19±0.07 g, 대조군은 1.57±0.18 g,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42±0.13 g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3) 혈중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영향
(1) Total cholesterol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총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85.99±9.54 ㎎/㎗, 대조군은 383.95±35.96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231.75±18.54 ㎎/㎗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 : P <0.001) 감소를 나타냈다.
(2) High-density lipoprotein (HDL) 콜레스테롤 함량
혈청 내 HDL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40.00±2.83 ㎎/㎗, 대조군은 27.25±2.44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36.88±2.32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증가는 나타나지 않았다.
(3) Low-density lipoprotein (LDL) 콜레스테롤 함량
혈청 내 LDL 콜레스테롤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32.71±7.70 ㎎/㎗, 대조군은 219.38±16.12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42.13±9.55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01) 감소를 나타냈다.
4) Triglyceride 변화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triglyceride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94.71±6.10 ㎎/㎗, 대조군은 240.95±14.46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90.41±11.44 ㎎/㎗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5) 감소를 나타냈다.
5) Glucose 변화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Glucose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64.60±4.22 ㎎/㎗, 대조군은 180.44±13.14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111.34±11.59 ㎎/㎗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P <0.01) 감소를 나타냈다.
6) Uric acid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uric acid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0.26±0.05 ㎎/㎗, 대조군은 0.63±0.08 ㎎/㎗,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0.39±0.08 ㎎/㎗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 : P <0.001) 감소를 나타냈다.
7) 혈청 내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1) IL-1β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IL-1β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4.0±1.3 pg/㎖, 대조군은 103.1±10.7 pg/㎖,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86.2±19.2 pg/㎖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2) IL-6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IL-6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3.3±0.7 pg/㎖, 대조군은 114.4±18.1 pg/㎖,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88.7±14.9 pg/㎖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3) TNF-α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
혈청 내 TNF-α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 정상군은 20.8±1.9 pg/㎖, 대조군은 532.1±96.2 pg/㎖, 사물활형탕 투여군은 485.5±80.2 pg/㎖ 으로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지 않았다.
8) 간 조직 염색 관찰
(1) 간 조직의 세포형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간의 조직을 H & E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정상군은 간 세포의 핵이 세포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포의 크기도 일정하고, 쿠퍼세포는 간 세포 사이에 전체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대조군은 간 세포에서 지방공포가 관찰되었으며, 이로 인해 세포의 핵이 세포질 안에서 가장자리로 밀려난 것을 알 수 있고, 정상군에 비해 쿠퍼세포의 수도 현저히 감소함을 볼 수 있다. 사물활형탕 투여군에서는 간 세포내의 지방공포로 인해 세포의 크기는 커져있지만, 대조군에 비해 지방공포가 적어졌으며, 세포핵도 중앙에 위치하여 있는 호전현상을 나타냈다.
(2) 간 조직의 섬유화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간에서의 섬유화를 확인하기 위해 Masson's Trichrome 염색을 시행하여 관찰한 결과, 대조군은 정상군에 비해 혈관주변으로 파란색으로 염색되어 섬유화의 정도가 심한 것이 관찰되었고, 사물활형탕 투여군에서는 정상군과 유사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3) 간 조직의 ADRP 발현 변화에 미치는 영향
간 조직에서의 ADRP 발현을 보기위해 조직학적 검사를 한 결과, 대조군에서 ADRP가 30-50% 강하게 발현되었고, 사물활형탕 투여군에서는 상대적으로 대조군에 비하여 ADRP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Claims (5)

  1.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309g을 1 첩의 기준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단삼 30g, 당귀 30g, 산사 30g, 생지황 30g, 길경 20g, 도인 20g, 백작약 20g, 우슬 20g, 지실 20g, 천궁 20g, 포황 20g, 감초 12g, 시호 12g, 홍화 12g, 결명자 5g, 하수오 5g, 국화 3g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의 중량비가 15: 15: 15: 15: 10: 10: 10: 10: 10: 10: 10: 6: 6: 6: 2.5: 2.5: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5. 단삼, 당귀, 산사, 생지황, 길경, 도인, 백작약, 우슬, 지실, 천궁, 포황, 감초, 시호, 홍화, 결명자, 하수오, 그리고 국화의 중량비가 15: 15: 15: 15: 10: 10: 10: 10: 10: 10: 10: 6: 6: 6: 2.5: 2.5: 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사물활혈탕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KR1020130149067A 2013-12-03 2013-12-03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KR201500644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67A KR20150064400A (ko) 2013-12-03 2013-12-03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067A KR20150064400A (ko) 2013-12-03 2013-12-03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400A true KR20150064400A (ko) 2015-06-11

Family

ID=53502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067A KR20150064400A (ko) 2013-12-03 2013-12-03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44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066A (zh) * 2018-06-19 2018-08-17 韦雄悬 一种用于治疗心脑血管疾病的药物
KR20220138397A (ko) * 2020-02-26 2022-10-12 수조우 레젠-파마테크 씨오., 엘티디. 중약 조성물 및 그 방법과 응용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4066A (zh) * 2018-06-19 2018-08-17 韦雄悬 一种用于治疗心脑血管疾病的药物
KR20220138397A (ko) * 2020-02-26 2022-10-12 수조우 레젠-파마테크 씨오., 엘티디. 중약 조성물 및 그 방법과 응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12315A (zh) 一种用于调整人体机能的中药复方制剂
KR20190110229A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695258A (zh) 一种含荔枝核皂苷的女性保健酒
KR101515915B1 (ko) 갱년기 장애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식물성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CN103142916B (zh) 一种预防和治疗老年性痴呆病的药物
KR101313284B1 (ko) 총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2150856B (zh) 含石斛粉料的混合物及其制备方法
KR20030055127A (ko) 항고지혈증 조성물
KR20150064400A (ko)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사물활혈탕 조성물
CN104041670A (zh) 一种饲料添加剂和制备方法
KR101864719B1 (ko) 혼합 한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028073B1 (ko) 혈액순환을 개선하여 신체 각 부위를 활성화 시키며 면역력을 증진시키는 작용 및 기전을 가진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698869B1 (ko) 한약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3960415A (zh) 一种减肥保健凉茶及其制备方法
TWI728304B (zh) 滋陰補腎組合物及其製備方法與應用
KR101498179B1 (ko) 고지혈증 치료용 용담사간탕가감방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된 고지혈증 치료용 용담사간탕가감방 조성물
KR20150064409A (ko) 고지혈증 치료용 익기화어탕 제조방법, 그리고 이에 의해 제조되는 고지혈증 치료용 익기화어탕 조성물
CN112402569A (zh) 一种抗疲劳保健品及其制备方法
KR101181347B1 (ko) 백선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질 관련 심혈관 질환 또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N105455125A (zh) 一种提高免疫力的龙眼肉口服液及其制备方法
CN106617038B (zh) 一种改善男性尿频、尿失禁的保健食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5638961A (zh) 一种含有苎麻叶的黑茶组合物及制备方法
KR102501508B1 (ko) 생약 식물 추출물을 활용한 음료 또는 주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