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4071A - 회전 조작식 필기구 - Google Patents

회전 조작식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4071A
KR20150064071A KR1020157009029A KR20157009029A KR20150064071A KR 20150064071 A KR20150064071 A KR 20150064071A KR 1020157009029 A KR1020157009029 A KR 1020157009029A KR 20157009029 A KR20157009029 A KR 20157009029A KR 20150064071 A KR20150064071 A KR 2015006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m
writing
coil spring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아키 구보타
다카시 이와하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파이롯트 코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2015006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40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16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 B43K5/17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with retractable nibs with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12Ball-point pens with retractable ball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후방 축통(3)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캠 통(17)을 회전시켜, 캠 홈(17a) 및 슬릿(16b)에 의하여 캠 돌기(18a)가 전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드체(18)가 전진한다. 상기 슬라이드체(18)를 사이에 두고 필기체(14)를 탄성체(15)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전진시킨다. 슬라이드체(18)는, 중공 본체(18m)와, 코일 스프링(18c)과, 플랜지체(18f)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체(18f)의 외주에 O링(19)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회전 조작식 필기구{ROTARY OPERATED WRITING INSTRUMENT}
본 발명은, 전방 축통(軸筒)과 후방 축통(軸筒)이 분리 가능한 필기구로서, 후방 축통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전방 축통의 전방부로부터 필기체의 선단부가 돌출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전방 축통과 후방 축통이 분리 가능한 필기구로서, 후방 축통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전방 축통의 전방부로부터 필기체의 선단부가 돌출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는, 종래부터 여러 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에 의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0209는, 그러한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일례를 상세하게 개시하고 있다.
도 9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0209에 개시된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단면도이다. 이 회전 조작식 필기구는, 만년필(101)이며, 축통 본체(102)의 후방부에 미관(尾冠, 103)이 배치되어 있고, 양자가 축통(104)을 형성하고 있다. 축통 본체(102)는, 수나사부(105a)와 암나사부(106a)가 나사결합됨으로써 결합된 전방 내통(105)과 후방 내통(106)에, 전(前) 축부재(107)와 후(後) 축부재(108)가 각각 피착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축통 본체(102)의 전방 내통(105)의 전방부에는, 중공 파이프(109)가 더 장착되어 있고, 중공 파이프(109)의 전방부에는, 고무재로 형성된 탄성선수(彈性先首)(110)가 더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선수(110)의 경사전단면(傾斜前端面, 110a)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의 탄발력에 의하여 폐색하게 되어 있는 뚜껑체(112)가,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의 코일부(111a)는, 중공 파이프(109)에 장착된 축봉(113)에 의하여 삽입 통과되어 있고, 상기 축봉(113)은, 뚜껑체(112)의 하단에 있어서 코일부(111a)의 양측을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된 권반부(卷返部, 112a)도 삽입 통과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뚜껑체(112)가 축봉(113)을 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뚜껑체(112)의 상방을 접어 구부려 이루어지는 걸어멈춤부(112b)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의 전단 측에 형성된 반환부(111b)가 걸어 멈춰지고, 중공 파이프(109)의 측면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의 후방 아암부(111c)가 접촉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이 항상 뚜껑체(112)를 탄성선수(110) 측으로 탄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축통 본체(102)의 내부에, 만년필 구조인 필기체(114)가 배치되어 있다. 필기체(114)는, 필기체 본체(114a)의 전방에 필기 선단부(114b)로서의 펜체를 가지고 있고, 필기체 본체(114a)의 후방에 만년필용 잉크를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114c)를 가지고 있다.
또, 필기체 본체(114a)의 중간부에 형성된 단차부(114d)와, 중공 파이프(109)의 후단부(109a)와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115)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15)은, 필기체(114)를 상시 후방으로 탄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필기체 본체(114a)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114e)가, 전방 내통(105)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105b)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114)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후방 내통(106)의 후단에 형성된 수나사부(106b)에는, 원통 형상의 미관 내통(116)의 암나사부(116a)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미관 내통(116)의 내부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117a)을 가지는 캠 통(117)이 배치되어 있다. 또, 캠 통(117)의 수나사부(117b)가 미관(103)의 암나사부(103a)에 나사결합되어 있음으로써, 캠 통(117)은 미관(103)과 일체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캠 통(117)의 내부에는, 누름체(118)가 배치되어 있다. 누름체(118)의 측면에는, 돌기하는 핀 머리 부분과 같은 형상의 캠 돌기(118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캠 돌기(118a)는, 캠 홈(117a)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짐과 함께, 미관 내통(11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16b)에도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캠 홈(117a) 및 슬릿(116b)은, 축 대칭으로 두 개씩 형성되어 있고, 캠 돌기(118a)도 그들에 대응하여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누름체(118)의 전단부에는, 지름이 크게 된 플랜지(118b)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18b)에 필기체(114)의 잉크 카트리지(114c)의 후단을 접촉시키고 있다. 코일 스프링(115)은, 필기체(114)를 사이에 두고 누름체(118)를 상시 후방으로 탄발하고 있고, 플랜지(118b)의 후부에 장착된 고무제의 O링(119)을, 후방 내통(106)의 내면에 형성된 차양부(106c)와 접촉시키고 있다. 따라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 선단부(114b)가 축통 본체(102) 내에 몰입한 상태에서는, 축통 본체(102)의 전방부는 뚜껑체(112)가 탄성선수(110)에 접촉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고, 축통 본체(102)의 후방부는 O링(119)이 차양부(106c)에 접촉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여, 결과적으로 축통 본체(102)의 내부가 밀폐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0은, 필기 선단부(114b)를 축통 본체(102)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미관(103)이 우 방향(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면, 캠 통(117)도 일체로 오른쪽으로 회전되어, 캠 통(117)의 캠 홈(117a)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캠 돌기(118a)에도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캠 돌기(118a)는 미관 내통(116)의 슬릿(116b)에도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슬릿(116b)을 가이드로 하면서 나선 형상의 캠 홈(117a)의 전방으로 이동해 간다.
이것에 수반하여, 누름체(118)가 캠 돌기(118a)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해 가, 누름체(118)에 접촉하고 있는 필기체(114)가 코일 스프링(115)을 압축하면서 전진해 간다. 그리고, 필기 선단부(114b)가 뚜껑체(112)를 개방하여, 전(前) 축부재(107)의 선단부에 형성된 선단 개구부(107a)로부터 필기 선단부(114b)가 돌출된다.
필기 선단부(114b)가 선단 개구부(107a)로부터 돌출했을 때에는, 누름체(118)의 캠 돌기(118a)가 캠 홈(117a)에 연이어 형성된 유지 홈(117c)에 걸어 멈춰진다. 이것에 의해, 필기 선단부(114b)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유지 홈(117c)은, 나선 형상의 캠 홈(117a)의 선단부로부터 캠 통(117)의 축방향으로 조금 되돌아가도록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15)에 의하여 캠 돌기(118a)가 유지 홈(117c)의 후측으로 탄발될 때에 걸림이 생기도록 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미관(103)이 역방향(좌방향)으로 회전되면, 누름체(118)의 캠 돌기(118a)가 캠 통(117)의 유지 홈(117c)으로부터 해제되고, 코일 스프링(115)의 탄발력에 의하여 캠 돌기(118a)는, 전진시와는 역방향의 힘을 받아 캠 홈(117a)에 역회전력을 걸면서, 상기 캠 홈(117a)을 후퇴해 간다. 누름체(118)의 후퇴에 의해, 코일 스프링(115)에 탄발된 필기체(114)도 후퇴한다. 이 후퇴시에 필기체(114)가 받는 충격은, 누름체(118)에 장착된 O링(119)이 후방 내축(106)의 차양부(106c)에 접촉함으로써, 완화되어 있다.
상술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320209에 기초한 회전 조작식 필기구는, 매우 우수한 성능을 가지고 있고, 실제로 제품화되어 폭넓게 이용자층에게 만족을 주고 있다.
그렇지만, 본건 발명자는, 코일 스프링(115)에 탄발된 필기체(114)가 후퇴하여 후방내축(106)의 차양부(106c)에 O링(119)이 접촉할 때에는, O링(119)으로 기밀 유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캠 돌기(118a)가 캠 홈(117a)의 후단부에 대하여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고, 결과적으로 후방 축통(106)이 전방 축통(102)에 대하여 회전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덜거덕거림」이 생기는 것을 지견 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지견에 기초하여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필기체의 후퇴시 충격 완화 성능과 기밀유지 성능이 개선된 회전 조작식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후방 축통을 전방 축통에 대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전방 축통의 전방부로부터 필기체의 선단부가 돌출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로서, 서로 분리된 전방 축통 및 후방 축통과, 상기 후방 축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전방 축통의 후부에 고정된 후방 축통 내통과, 상기 후방 축통 내통의 내부에 더 설치됨과 함께, 나선 형상의 캠 홈을 가지며, 상기 후방 축통에 고정된 캠 통과, 상기 캠 통의 캠 홈과 상기 후방 축통 내통의 슬릿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캠 돌기와, 상기 캠 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상기 캠 통의 내부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체와, 상기 전방 축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전방 축통에 대하여 탄성체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이 가해진 필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도,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며, 상기 후방 축통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캠 통을 회전시켜, 상기 캠 홈 및 상기 슬릿에 의하여 상기 캠 돌기가 전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슬라이드체가 전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필기체를 상기 탄성체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전진시키게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양쪽 부분의 사이에, 제 2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의 외주에, O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체의 O링이 상기 차양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체의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이 제 2 탄성체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기 때문에, 캠 홈의 후부가 캠 돌기에서 힘이 가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캠 통의 회전방향 및 전후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지극히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중공체이고,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은, 플랜지체이다. 이 경우, 제 2 탄성체를 내재하는 슬라이드체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랜지체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 측에 소(小)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小) 플랜지부는, 상기 중공체에 형성된 관통 긴 구멍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코일 스프링을 더 압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긴 구멍 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코일 스프링의 변형에 의한 충격완화작용을, 지극히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방 축통의 전방부에 상기 필기체의 선단부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상기 캠 돌기는, 상기 슬릿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릿 길이에 여유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슬릿을 가지는 후방 축통 내통의 내부에, 캠 통을, 후방 측으로 미는 힘을 더 부여한 상태로 실장하는 것이 용이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기체의 후퇴시 충격 완화 성능과 기밀유지 성능이 개선된 회전 조작식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돌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후면도이다.
도 4는, 후방 축통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는,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인 너트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6은, 후방 축통 내통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은, 캠 통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은, 슬라이드체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돌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수납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의 필기체의 돌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 조작식 필기구는, 만년필(1)이고, 축통으로서, 서로 분리된 전방 축통(2) 및 후방 축통(3)을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도 1의 회전 조작식 필기구 필기체의 후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방 축통(2) 및 후방 축통(3)의 형상은, 대략 삼각기둥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축통(2)의 전방부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1)의 탄발력에 의하여 폐색하게 되어 있는 뚜껑체(12)가, 배치되어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1)의 코일부는, 축봉(13)에 의하여 삽입 통과되어 있고, 뚜껑체(12)는 상기 축봉(13)을 지점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비틀림 코일 스프링(11)은, 뚜껑체(12)를 항상 폐색 상태로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전방 축통(2)의 내부에, 만년필 구조인 필기체(14)가 배치되어 있다. 필기체(14)는, 필기체 본체(14a)의 전방에 필기 선단부(14b)로서의 펜체를 가지고 있고, 필기체 본체(14a)의 후방에 만년필용 잉크를 수용한 잉크 카트리지(14c)를 가지고 있다.
또, 필기체 본체(14a)의 중간부에 형성된 단차부(14d)와 전방 축통(2)과의 사이에, 코일 스프링(15)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5)은, 필기체(14)를 상시 후방으로 탄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필기체 본체(14a)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전방 축통(2)의 내면에 형성된 슬라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필기체(14)는, 회전하지 않고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4는, 후방 축통(3)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5는,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인 너트(17n)의 장착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6은, 후방 축통 내통(16)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고, 도 7은, 캠 통(17)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며, 도 8은, 슬라이드체(18)의 조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축통(2)의 후단부에는, 암나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나사부에, 원통 형상의 후방 축통 내통(16)의 전방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16a)(도 6 참조)가 나사결합되어 있다(도 5 참조).
후방 축통 내통(16)의 내부에는, 나선 형상의 캠 홈(17a)을 가지는 캠 통(17)이 배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 캠 통(17)의 수나사부(17s)가,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로서의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를 통하여 후방 축통(3)의 위치 맞춤부(3n)(예를 들면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의 돌기부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에 결합 되어 있음으로써, 캠 통(17)은 후방 축통(3)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4, 도 5 및 도 6 참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는, 캠 통(17)에 고정된 수나사부(17s)와, 상기 수나사부(17s)에 나사결합되는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를 가지고 있다.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는, 외주의 일부에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17s)에 대한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의 나사결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예를 들면 수나사부(17s)의 근원까지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를 나사결합시키지 않게 함으로써),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의 돌기부의 회전 위치(회전 위상)를 원하는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결과적으로, 캠 통(17)에 고정된 후방 축통(3)과 후방 축통 내통(16)에 고정된 전방 축통(2)과의 회전 위치(회전 위상)를 원하는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캠 통(17)의 내부에는, 일단측이 개방한 중공 원통 형상의 중공 본체(18m)가 배치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중공 본체(18m)의 측면에는, 캠 돌기(18a)(예를 들면 삽입 핀으로 이루어진다:도 6 참조)가 삽입되는 캠 돌기용 구멍(18b)이 형성되어 있다. 캠 돌기용 구멍(18b)에 삽입되는 캠 돌기(18a)는, 캠 홈(17a)에 유동 가능하게 끼움과 함께, 후방 축통 내통(16)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16b)에도 유동가능하게 끼우고 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캠 홈(17a) 및 슬릿(16b)은, 축대칭으로 두 개씩 형성되어 있고, 캠 돌기(18a)도 그들에 대응하여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삽입 핀의 양단이 돌출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체(18)의 중공 본체(18m)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18c)이 삽입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18c)이 조금 압축된 상태가 되도록(100gf 정도의 하중이 걸린 상태가 되도록), 중공 본체(18m)의 개방단에 플랜지체(18f)가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랜지체(18f)가 코일 스프링(18c)과의 접촉 측에 소(小) 플랜지부(18s)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小) 플랜지부가 중공 본체(18m)에 형성된 관통 긴 구멍(18h)에 걸어 맞춤으로써, 코일 스프링(18c)의 압축 상태가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 소 플랜지부(18s)는, 코일 스프링(18c)을 더 압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긴 구멍(18h) 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필기체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캠 돌기(18a)는 슬릿(16b)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지 않고, 약간 이간 되어 있다. 즉, 슬릿(16b)의 길이에 여유를 가지고 있다. 이것에 의해, 슬릿(16b)을 가지는 후방 축통 내통(16)의 내부에, 캠 통(17)을, 후방 측으로 미는 힘을 더 부여한 상태로 실장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어있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 미는 힘을 더 부여하지 않는 상태에서, 캠 돌기(18a)가 캠 홈(17a)의 후단부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는 힘을 더 부여한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18c)의 최종적인 초기 하중이 100gf 정도가 되도록 조정되어 있다.
한편, 플랜지체(18f)의 소(小) 플랜지부(18s)와는 반대측의 단부에는 대(大) 플랜지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대(大) 플랜지부에 필기체(14)의 잉크 카트리지(14c)의 후단이 접촉되어 있다. 또, 상기 대(大) 플랜지부에는 고무제의 O링(19)이 형성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5)은, 100gf를 상회하는 스프링 힘으로 필기체(14)를 통하여 플랜지체(18f)를 상시 후방으로 탄발하고 있고, 플랜지체(18f)의 대(大) 플랜지부에 장착된 고무제의 O링(19)을, 후방 축통(3)의 내면에 형성된 차양부(3c)와 접촉시키고 있다(도 1 참조).
이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필기 선단부(14b)가 전방 축통(2) 내에 몰입한 상태에서는, 전방 축통(2)의 전방부는 뚜껑체(12)가 폐색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고, 전방 축통(2)의 후방부는 O링(19)이 차양부(3c)에 접촉함으로써 기밀성을 확보하며, 결과적으로 전방 축통(2)의 내부가 확실히 밀폐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는, 필기 선단부(14b)를 전방 축통(2)으로부터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후방 축통(3)이 우방향으로 회전되면, 캠 통(17)도 일체로 오른쪽으로 회전되고, 캠 통(17)의 캠 홈(17a)에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는 캠 돌기(18a)에도 오른쪽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한다. 여기서, 캠 돌기(18a)는 후방 축통 내통(16)의 슬릿(16b)에도 유동 가능하게 끼워져 있기 때문에,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없고, 상기 슬릿(16b)을 가이드로 하면서 나선 형상의 캠 홈(17a)의 전방으로 이동해 간다.
이것에 수반하여, 슬라이드체(18)가 캠 돌기(18a)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해 가고, 코일 스프링(18c) 및 플랜지체(18f)를 통하여 필기체(14)가 코일 스프링(15)을 압축하면서 전진해 간다. 그리고, 필기 선단부(14b)가 뚜껑체(12)를 개방한다.
필기 선단부(14b)가 돌출했을 때에는, 슬라이드체(18)의 캠 돌기(18a)가 캠 홈(17a)에 연이어 형성된 유지 홈(17c)(도 6 참조)에 걸어 멈춰진다. 이것에 의해, 필기 선단부(14b)의 돌출 상태가 유지된다. 유지 홈(17c)은, 나선 형상의 캠 홈(17a)의 선단부로부터 캠 통(17)의 축방향으로 조금 되돌아오도록 형성되어, 코일 스프링(15)에 의하여 캠 돌기(18a)가 유지 홈(17c)의 후측으로 탄발될 때에 걸림이 생기도록 한 것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후방 축통(3)이 역방향(좌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라이드체(18)의 캠 돌기(18a)가 캠 통(17)의 유지 홈(17c)으로부터 해제되고, 코일 스프링(15)의 탄발력에 의하여, 플랜지체(18f) 및 코일 스프링(18c)을 통하여, 캠 돌기(18a)는 전진시와는 역방향의 힘을 받아, 캠 홈(17a)에 역회전력을 걸면서, 상기 캠 홈(17a)을 후퇴해 간다. 슬라이드체(18)의 후퇴에 의해, 코일 스프링(15)에 탄발된 필기체(14)도 후퇴한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캠 통(17)과 후방 축통(3)이,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로서의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와 상기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의 돌기부에 대응하는 오목부인 위치 맞춤부(3n)와의 끼워 맞춤을 통하여 고정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전방 축통(2)과 후방 축통 내통(16)이 나사결합에 의하여 서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고정부에 있어서의 회전 위치(회전 위상)의 조정이 곤란한 경우라도, 캠 통(17)과 후방 축통(3)과의 회전 위치(회전 위상)를 조정함으로써, 후방 축통(3)의 디자인과 전방 축통(2)의 디자인을 회전 위치(회전 위상)에 어긋남이 없는 형태로 연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후방 축통(3)의 디자인과 전방 축통(2)의 디자인을 회전 위치(회전 위상)에 어긋남이 없는 형태로 지극히 용이하게 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 축통(2) 및 후방 축통(3)의 형상으로서 대략 삼각기둥 형상이라고 하는 참신한 형상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의 돌기부와 위치 맞춤부(3n)로서의 오목부와의 고정에 대해서는, 끼워맞춤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변형 요소를 이용한 스냅 결합 등, 다른 임의의 공지의 걸어 맞춤 형태가 채용될 수 있다. 또, 요철 관계를 역전시켜,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17n)를 대신하여 함몰부를 가지는 너트를 이용하여, 캠 통(17)과 후방 축통(3)이, 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로서의 함몰부를 가지는 너트와 상기 함몰부를 가지는 너트의 함몰부에 대응하는 볼록부인 위치 맞춤부(3n)와의 끼워 맞춤(혹은 다른 걸어 맞춤 형태)을 통하여 고정된다고 하는 형태도 채용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코일 스프링(15)에 탄발된 필기체(14)가 후퇴하고, 슬라이드체(18)의 O링(19)이 상기 차양부(3c)에 접촉했을 때의 기밀 유지 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O링(19)이 차양부(3c)에 접촉한 상태에서, 슬라이드체(18)의 캠 돌기(18a) 및 중공 본체(18m)가 코일 스프링(18c)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이 가해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캠 홈(17a)의 후부가 캠 돌기(18a)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캠 통(17)에 결합된 후방 축통(16)이 회전방향 및 전후 방향에의 움직임이 규제되므로, 결과적으로 후방 축통(106)의 전방 축통(102)에 대한 회전방향 및 전후방향의 「덜거덕거림」이 지극히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1 : 만년필 2 : 전방 축통
2a : 암나사부 3 : 후방 축통
3c : 차양부 3n : 위치 맞춤부
11 : 비틀림 코일 스프링 12 : 뚜껑체
13 : 축봉 14 : 필기체
14a : 필기체 본체 14b : 필기 선단부
14c : 잉크 카트리지 15 : 코일 스프링
16 : 후방 축통 내통 16a : 수나사부
16b : 슬릿 17 : 캠 통
17a : 캠 홈
17n : 돌기부를 가지는 너트(회전위치결정 조정기구)
17s : 수나사부 18 : 슬라이드체
18m : 중공 본체 18a : 캠 돌기
18b : 캠 돌기용 구멍 18c : 코일 스프링
18f : 플랜지체 18h : 관통 긴 구멍
18s : 소(小) 플랜지부 19 : O링

Claims (4)

  1. 후방 축통을 전방 축통에 대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전방 축통의 전방부로부터 필기체의 선단부가 돌출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로서,
    서로 분리된 전방 축통 및 후방 축통과,
    상기 후방 축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가지고, 상기 전방 축통의 후부에 고정된 후방 축통 내통과,
    상기 후방 축통 내통의 내부에 더 설치됨과 함께, 나선 형상의 캠 홈을 가지며, 상기 후방 축통에 고정된 캠 통과,
    상기 캠 통의 캠 홈과 상기 후방 축통 내통의 슬릿에 유동 가능하게 끼우는 캠 돌기와,
    상기 캠 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상기 캠 통의 내부를 이동 가능한 슬라이드체와,
    상기 전방 축통의 내부에 설치됨과 함께, 상기 전방 축통에 대하여 탄성체에 의하여 후방으로 힘이 가해진 필기체를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체도,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져 있으며,
    상기 후방 축통을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캠 통을 회전시켜, 상기 캠 홈 및 상기 슬릿에 의하여 상기 캠 돌기가 전진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슬라이드체가 전진하며, 상기 슬라이드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필기체를 상기 탄성체의 미는 힘에 저항하여 전진시키게 되어 있고,
    상기 슬라이드체는,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부분과,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이 분리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양쪽 부분의 사이에, 제 2 탄성체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의 외주에, O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캠 돌기와 일체적으로 되어 있는 부분은, 중공체이고,
    상기 제 2 탄성체는, 상기 중공체의 내부에 삽입된 코일 스프링이며,
    상기 슬라이드체의 상기 탄성체에 의하여 상기 필기체를 사이에 두고 후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부분은, 플랜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체는, 상기 코일 스프링과의 접촉측에 소(小) 플랜지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소(小) 플랜지부는, 상기 중공체에 형성된 관통 긴 구멍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상기 코일 스프링의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코일 스프링을 더 압축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긴 구멍 내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축통의 전방부에 상기 필기체의 선단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캠 돌기는, 상기 슬릿의 후단부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 조작식 필기구.
KR1020157009029A 2012-09-24 2013-09-20 회전 조작식 필기구 KR20150064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10018A JP5985332B2 (ja) 2012-09-24 2012-09-24 回転操作式筆記具
JPJP-P-2012-210018 2012-09-24
PCT/JP2013/075423 WO2014046227A1 (ja) 2012-09-24 2013-09-20 回転操作式筆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4071A true KR20150064071A (ko) 2015-06-10

Family

ID=50341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029A KR20150064071A (ko) 2012-09-24 2013-09-20 회전 조작식 필기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93028B2 (ko)
EP (1) EP2899038A4 (ko)
JP (1) JP5985332B2 (ko)
KR (1) KR20150064071A (ko)
CN (1) CN104781086B (ko)
HK (1) HK1206690A1 (ko)
SG (1) SG11201502278UA (ko)
TW (1) TW201427842A (ko)
WO (1) WO20140462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9814A1 (de) 2015-07-28 2017-02-02 Montblanc-Simplo Gmbh Schreibgerät mit sich rückstellender Bedieneinheit
JP6747961B2 (ja) * 2016-12-19 2020-08-26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回転出没式万年筆
JP6853701B2 (ja) * 2017-03-15 2021-03-31 ゼブラ株式会社 ノック式筆記具
US11148462B2 (en) * 2017-09-28 2021-10-19 Sanford, L.P. Retractable nosecone writing instrument
JP7146393B2 (ja) 2017-12-28 2022-10-04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JP2020113181A (ja) * 2019-01-16 2020-07-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位置決め用治具
JP7220630B2 (ja) * 2019-06-28 2023-02-10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筆記具
CN113479002B (zh) * 2021-06-25 2023-04-28 温州市简系文具有限公司 一种卡扣速拔笔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257750A (de) * 1947-08-21 1948-10-31 Takac Ondrej Schreibgerät.
GB685706A (en) * 1949-08-04 1953-01-07 Eclipse Fountain Pen And Penci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all point pens
US2693171A (en) * 1953-11-16 1954-11-02 Lew Mfg Co Writing instrument
FR1438554A (fr) * 1965-04-02 1966-05-13 Instrument à écrire du type sans capuchon commandé par bouton-poussoir
JPS6229273Y2 (ko) * 1980-09-09 1987-07-27
DE3438074A1 (de) * 1984-10-17 1986-04-17 Bauer, Rolf, 8000 München Schreibgeraet
JPH0718974Y2 (ja) * 1990-02-14 1995-05-01 岩崎通信機株式会社 記録機等における筆圧切り替え装置
JP3308376B2 (ja) * 1994-02-07 2002-07-29 株式会社パイロット 繰出式筆記具
JP2718888B2 (ja) * 1994-02-28 1998-02-25 株式会社パイロット 回転繰出し式筆記具
FR2873325B1 (fr) * 2004-07-26 2006-10-27 Bic Sa Soc Mecanisme pour instrument d'ecriture, instrument d'ecriture comprenant un tel mecanisme et procede de fabrication
JP2007320209A (ja) * 2006-06-02 2007-12-13 Pilot Corporation 開閉蓋付の筆記具
DE602007004442D1 (de) * 2007-04-13 2010-03-11 Montres Journe S A Schreibinstrument
JP2007237394A (ja) 2007-06-29 2007-09-20 Amada Co Ltd ワーク位置決め装置
US8117447B2 (en) * 2008-01-10 2012-02-14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uthentication method employing elliptic curve cryptography
KR101016695B1 (ko) * 2009-03-23 2011-02-25 주식회사 모리스 마름방지 장치를 구비한 회전식 출몰형 필기구
DE102011116762B4 (de) * 2011-10-21 2017-03-09 Montblanc-Simplo Gmbh Schreibgerä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6227A1 (ja) 2014-03-27
CN104781086A (zh) 2015-07-15
JP2014065154A (ja) 2014-04-17
TW201427842A (zh) 2014-07-16
HK1206690A1 (en) 2016-01-15
US9493028B2 (en) 2016-11-15
CN104781086B (zh) 2016-08-17
US20150290963A1 (en) 2015-10-15
EP2899038A1 (en) 2015-07-29
JP5985332B2 (ja) 2016-09-06
EP2899038A4 (en) 2016-06-08
SG11201502278UA (en)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4071A (ko) 회전 조작식 필기구
EP1982843B1 (en) Retractable writing implement
US10538124B2 (e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JP2010094954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4772773B2 (ja) 筆記具用の機構と該機構を有した筆記具
US11407248B2 (en) Retractable nosecone writing instrument
KR20150058283A (ko) 회전 조작식 필기구
JP2015020279A (ja) 筆記具
US8480323B2 (en) Expandable writing instrument
JP7195136B2 (ja) 繰出式筆記具
JP6049062B2 (ja) 回転操作式筆記具
JP2018099794A (ja) 回転出没式万年筆
CN108621641B (zh) 按动式书写工具
JP2013132837A (ja) 出没式筆記具
JP5951220B2 (ja) 出没式筆記具
JP2010173174A (ja) 筆記具
JPH0411837Y2 (ko)
JP5469345B2 (ja) 筆記具
JP4559741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06150725A (ja) 出没式筆記具
JP2019216958A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及びカートリッジ
JP2000043475A (ja) 出没式筆記具
JP2012111139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