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2812A -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2812A
KR20150062812A KR1020130147832A KR20130147832A KR20150062812A KR 20150062812 A KR20150062812 A KR 20150062812A KR 1020130147832 A KR1020130147832 A KR 1020130147832A KR 20130147832 A KR20130147832 A KR 20130147832A KR 20150062812 A KR20150062812 A KR 20150062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lng tank
lngc
water curtai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62812A/ko
Publication of KR20150062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28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3Mixtures
    • F17C2221/032Hydrocarbons
    • F17C2221/033Methane, e.g. natural gas, CNG, LNG, GNL, GNC,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1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5/0146Two-phase
    • F17C2225/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5/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3Dealing with losses
    • F17C2260/035Dealing with losses of fluid
    • F17C2260/037Handling leaked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05Sh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LNG 탱크 및 그와 연결되는 매니폴드(Manifold)의 하측에 설치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의 측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서스 플레이트(Sus Plate), 워터 커튼 파이프 및 상기 LNG 탱크와 연결된 어퍼 데크(Upper deck) 상단에 형성되는 보호댐을 포함한다. 따라서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는 매니폴드를 통해 선박과 선박간의 액화 천연 가스의 이송 중에 발생되는 누출로부터 선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PROTECTION APPARATUS OF THE LNGC}
본 발명은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매니폴드를 통해 선박과 선박간의 액화 천연 가스의 이송 중에 발생되는 누출로부터 선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가스는 액화 천연 가스(LNG) 또는 액화 석유 가스(LPG)의 액화된 형태로 LNG 수송선에 저장된 채 운반된다. 한번에 많은 양의 천연가스를 운송하기 위해서는 기체 상태가 아닌 액체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효율적이므로, 통상적으로 액화시켜 저장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액화 천연 가스는 -163℃의 극저온으로 냉각하여 보관되며, 매니폴드를 통해 선박과 선박 또는 선박과 지상의 저장탱크에 이송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893호는 극저온 액화 가스가 누출되면 온도 센서를 통해 이를 감지하고, 누출된 액화 가스로 인해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아진 경우, 내부 선체안쪽의 인슐레이션 영역으로 물을 분사하는 극저온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의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화물창 구조를 개시한다. 이러한 극저온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의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화물창 구조는 운반하고자 하는 극저온 액체 가스가 방벽 구조의 손상에 의하여 누설될 경우 선박의 선체 부분까지 추가로 손상시켜 파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77호는 해상에서 부유된 채 사용되는 해양 구조물 내에 설치되어 액화가스를 저장하기 위한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독립형 저장탱크의 누출액 수집장치는 액화가스가 누출될 경우에 누출된 액체상태의 액화가스를 수집용기에 안전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수집된 누출액이 수집용기로부터 다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액화 천연가스는 매니폴드를 통해 이송 중 누출이 빈번히 발생하여 선체에 크고 작은 손상을 일으켰으며 이러한 손상은 시간적, 경제적으로 많은 손해를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4893호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0877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매니폴드를 통해 선박과 선박간의 액화 천연 가스의 이송 중에 발생되는 누출로부터 선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는 LNG 탱크 및 그와 연결되는 매니폴드(Manifold)의 하측에 설치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의 측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서스 플레이트(Sus Plate), 워터 커튼 파이프 및 상기 LNG 탱크와 연결된 어퍼 데크(Upper deck) 상단에 형성되는 보호댐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 커튼 파이프는 상기 서스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LNG 탱크에 설치되며, 해수 분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해수 분사부는 상기 워터 커튼 파이프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댐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부로 함몰되는 해수 방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댐의 내측면에 상기 해수 분사부가 형성된 보조 워터 파이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는 매니폴드를 통해 선박과 선박간의 액화 천연 가스의 이송 중에 발생되는 누출로부터 선체에 가해지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를 다른 각도에서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워터 커튼 파이프의 해수 분사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100)는 서스 플레이트(110), 워터 커튼 파이프(120) 및 보호댐(130)을 포함한다.
서스 플레이트(110)는 LNG 탱크의 측면에서 연결되는 매니폴드의 하측에서 LNG 탱크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서스 플레이트(1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선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매니폴드로부터 선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매니폴드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하측에서 LNG 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서스 플레이트(110)는 어퍼 데크와 평행하는 폭이 넓은 플레이트로 형상으로, LNG 탱크와 연결된 어퍼데크의 측면을 커버하는 폭(예를 들어, 1m 내지 2m)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보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지지보강 부재는 넓은 폭으로 형성된 서스 플레이트(110)의 하단과 LNG 탱크의 측면을 연결하여 서스 플레이트(110)를 지지할 수 있다.
워터 커튼 파이프(120)는 서스 플레이트(110)의 하측에서 LNG 탱크에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워터 커튼 파이프(120)는 도 2와 같이 서스 플레이트(110)의 하측에서 일단이 어퍼 데크를 관통하고, 타단은 LNG 탱크의 표면을 타고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서스 플레이트(110)와의 하측에서 선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워터 커튼 파이프(120)의 길이는 서스 플레이트(110)의 연장된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워터 커튼 파이프(120)는 표면에 해수 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해수 분사부(300)는 워터 커튼 파이프(12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현될 수 있으며, 어퍼 데크를 관통하는 워터 커튼 파이프(120)의 일단과 연결되는 별도의 해수 유입장치(예를 들어, 펌프)를 통해 워터 커튼 파이프(120)의 내부로 유입된 해수를 LNG 탱크에 분사할 수 있다.
다시 도 1에서, 보호댐(130)은 워터 커튼 파이프(120)가 설치된 LNG 탱크의 측면 어퍼 데크 상단에서 LNG 탱크를 향하여 [ㄷ]자 형태로 조립 또는 용접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호댐(130)은 5cm 내지 15cm의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50cm 내지 150cm의 각기 다른 길이를 갖는 댐 부재들이 서로 조립되며, 어퍼 데크 상단에서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호댐(1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내부로 함몰된 해수 방출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 방출부(131)는 보호댐(130)의 상단에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보호댐(130)에 저장되는 해수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100)는 선박 대 선박 또는 선박 대 지상의 저장 탱크로 LNG의 이송 중에 발생되는 액화 천연 가스의 누출로 인한 LNGC선의 선체 손상을 서스 플레이트(110)를 통해 1차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선체 보호 장치(100)는 액화 천연 가스가 과다 누출되어 서스 플레이트(110)가 손상될 경우 그 하측에 설치된 워터 커튼 파이프(120)가 LNG 탱크의 표면에 해수를 분사하여 형성된 해수막을 통해 2차적으로 액화 천연 가스가 선체에 손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해수는 워터 커튼 파이프(120)를 통해 LNG 탱크의 표면을 타고 어퍼 데크 상단으로 흘러 그 상단에 형성된 보호댐(130)을 통해 일정 수위만큼 저장되어 어퍼 데크 상단으로 떨어지는 액화 천연 가스로부터 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워터 커튼 파이프의 해수 분사부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해수 분사부(300)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31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분사 노즐들(310)은 워터 커튼 파이프(110)의 표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워터 커튼 파이프(110)의 내부를 흐르는 해수를 분사한다. 이러한 복수의 분사 노즐들(310)은 LNG 탱크에 해수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4을 참조하면,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100)는 보조 워터 파이프(4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100)의 구성요소인 서스 플레이트(110), 워터 커튼 파이프(120) 및 보호댐(130)은 도 1 과 동일하다.
보조 워터 파이프(400)는 일단이 어퍼 데크를 관통하여 별도의 해수 유입장치(예를 들어, 펌프)와 연결되고, 타단이 보호댐(130)의 내측면에서 서스 플레이트(110) 및 워터 커튼 파이프(120)와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표면에 해수 분사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해수 분사부(300)는 워터 커튼 파이프(120)의 형성된 해수 분사부(300)와 동일하다. 보조 워터 파이프(400)는 해수 분사부(300)가 어퍼 데크를 향하여 형성되어 보호댐(130) 내부의 해수의 높이를 빠른 시간내에 일정 수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워터 파이프(400)는의 해수 분사부(300)는 보호댐(130) 내부의 해수의 높이가 일정 수위에 도달하면 기능을 멈출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출원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110: 서스 플레이트
120: 워터 커튼 파이프
130: 보호댐
300: 해수 분사부
310: 복수의 분사 노즐들
400: 보조 워터 파이프

Claims (5)

  1. LNG 탱크 및 그와 연결되는 매니폴드(Manifold)의 하측에 설치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LNG 탱크의 측면에서 지면과 수평하게 연장되는 서스 플레이트(Sus Plate);
    워터 커튼 파이프; 및
    상기 LNG 탱크와 연결된 어퍼 데크(Upper deck) 상단에 형성되는 보호댐을 포함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 커튼 파이프는
    상기 서스 플레이트의 하측에서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LNG 탱크에 설치되며, 해수 분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 분사부는
    상기 워터 커튼 파이프의 표면에서 형성되는 복수의 분사 노즐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댐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며, 내부로 함몰되는 해수 방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댐의 내측면에 상기 해수 분사부가 형성된 보조 워터 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KR1020130147832A 2013-11-29 2013-11-29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KR201500628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32A KR20150062812A (ko) 2013-11-29 2013-11-29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7832A KR20150062812A (ko) 2013-11-29 2013-11-29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2812A true KR20150062812A (ko) 2015-06-08

Family

ID=53500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7832A KR20150062812A (ko) 2013-11-29 2013-11-29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62812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881A (ko) * 2015-07-10 2017-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20180051879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액화가스 저장 설비
CN108945315A (zh) * 2018-06-15 2018-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舷旁水幕保护装置
KR20190040817A (ko) * 2017-10-11 2019-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출된 극저온 액체 처리장치
CN109774884A (zh) * 2019-02-28 2019-05-21 太平洋海洋工程(舟山)有限公司 一种用于fsru装卸站的喷淋保护系统
KR20200124969A (ko) * 2019-04-25 2020-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데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9139A (ko) 2020-11-02 2022-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의 해수 히팅 부스트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682A (ja) * 1998-09-11 2000-03-28 Takayoshi Asai 底面が平坦なタンクの断熱性支持装置およびその点検補修方法
KR20090089620A (ko) * 2008-02-19 2009-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긴급 누수 방지장치
KR20100106741A (ko) * 2009-03-24 2010-10-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보호장치
KR20110034249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의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화물창 구조 및 그 방법
KR20120131302A (ko) * 2011-05-25 2012-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682A (ja) * 1998-09-11 2000-03-28 Takayoshi Asai 底面が平坦なタンクの断熱性支持装置およびその点検補修方法
KR20090089620A (ko) * 2008-02-19 2009-08-2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의 긴급 누수 방지장치
KR20100106741A (ko) * 2009-03-24 2010-10-0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독립형 액화가스 저장탱크의 보호장치
KR20110034249A (ko) * 2009-09-28 2011-04-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극저온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의 선체를 보호하기 위한 화물창 구조 및 그 방법
KR20120131302A (ko) * 2011-05-25 2012-12-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881A (ko) * 2015-07-10 2017-01-1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20180051879A (ko) * 2016-11-09 2018-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액화가스 저장 설비
KR20190040817A (ko) * 2017-10-11 2019-04-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누출된 극저온 액체 처리장치
CN108945315A (zh) * 2018-06-15 2018-12-07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lng船舷旁水幕保护装置
CN109774884A (zh) * 2019-02-28 2019-05-21 太平洋海洋工程(舟山)有限公司 一种用于fsru装卸站的喷淋保护系统
KR20200124969A (ko) * 2019-04-25 2020-11-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데크 보호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220059139A (ko) 2020-11-02 2022-05-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선박의 해수 히팅 부스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62812A (ko)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AU2009315513A1 (en) Ship or floating support equipped with a device for attenuating the movements of the free surface inside a liquid-filled hull
CN109219719B (zh) 处理液化气体的货物的方法及储存装置
KR101099749B1 (ko) 선체 보호용 해수 커튼 장치를 구비한 극지용 lng 선박
KR20180133861A (ko) 단열 밀봉 탱크
KR20140079900A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가스 벤트 장치
KR20140075285A (ko) 액화가스 누출액 배출 장치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20120137711A (ko) 선박용 폴 타입 레벨 트랜스미터
KR101138347B1 (ko) 원유 공급시스템 및 그것을 구비한 유조선
KR20150012814A (ko) 선박의 배기가스 열영향 차단장치
KR100701398B1 (ko) Lng 재기화 선박의 터릿에 설치되는 선체 변형 방지용 스프레이 장치 및 상기 스프레이 장치를 이용한 선체 변형 방지 방법
KR102348462B1 (ko) 선박의 선체 외벽 보호 시스템
KR100678842B1 (ko) 터릿에 설치되는 소방장치를 구비한 lng 선박 및 상기 소방장치를 이용한 화재 진화 방법
KR20090089620A (ko) 액화천연가스의 긴급 누수 방지장치
KR101973107B1 (ko) 누출된 극저온 액체 처리장치
KR20170050382A (ko) 해양 유체 오프로딩 장치
CN204197237U (zh) 一种趸船式加气站栈桥连接装置
KR20120070454A (ko) 액체이산화탄소 운반선의 화물 관장치 및 관장치 요소용 압력도출밸브의 배출 배관장치
KR20150041466A (ko)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어 장치
KR102351595B1 (ko) 선박의 선체 보호 시스템
KR20150092498A (ko) 선대선 lng 이송에서의 선체 손상 방지 시스템
KR102351596B1 (ko) Flng의 선체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flng
KR102665825B1 (ko) 액화가스 연료 추진 선박의 선체 보호 시스템
KR101996277B1 (ko) 해수 분사장치를 갖춘 해양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