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881A -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881A
KR20170006881A KR1020150098236A KR20150098236A KR20170006881A KR 20170006881 A KR20170006881 A KR 20170006881A KR 1020150098236 A KR1020150098236 A KR 1020150098236A KR 20150098236 A KR20150098236 A KR 20150098236A KR 20170006881 A KR20170006881 A KR 20170006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ipe
main processing
processing pipe
marin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97874B1 (ko
Inventor
정인희
정회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8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87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6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17/0045Caps, hoods, or the like devices for protective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 구체적으로 극저온 유체를 운용하는 해상구조물에서 파이프, 장비 등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은 해상구조물의 로딩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메인 처리 파이프; 상기 해상구조물의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 및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워터 커튼이 형성되는 메인 처리 파이프를 통하여 통합하여 선외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해상구조물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Spill Fluid Disposal Pipeline System of Floating Sea Structure}
본 발명은 해상구조물, 구체적으로 극저온 유체를 운용하는 해상구조물에서 파이프, 장비 등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처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LNG와 같은 극저온 액화가스를 다루는 FLNG 등의 해상구조물에서 각종 장비, 배관 등으로부터의 극저온 유체 유출은 예를 들어, LNG 증기와 함께 폭연을 유발할 수 있고, 이는 폭발의 단계적 확산과 소화 및 적재 설비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극저온 유체를 안전하고 빠르게 선외로 배출시키는 것은 안전상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종래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극저온 유체가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해상구조물(1)의 각 탑사이드 모듈(100)로부터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탑사이드 모듈(100) 각각에 독립된 파이프(110)를 마련하여 각 파이프(110)를 통해 선외로 배출시켰다. 또한, 각 파이프(110)는 해수면까지 연장시키지 않고 해수면의 상단 부분에서 유체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파이프(110)와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하는 워터 커튼(120)을 각각의 파이프(110)마다 따로따로 형성되도록 하였다.
반면, 극저온 액화가스를 운송하는 LNGC(LNG cargo) 선박(2)에는 적하역이 실시되는 구역(offloading area)에만 워터 커튼(210)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LNGC 선박(2)과 상술한 바와 같은 해상구조물(1)이 Side-by-Side 방식으로 적하역을 위하여 계류하는 경우, 해상구조물(1)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배출시키는 파이프(110)에서 배출되는 극저온 유체가 LNGC 선박(2)의 Offloading Area를 제외한 부분으로 유출되면 선체 외벽(shell)이 극저온 유체에 의해 취성파괴가 일어나는 등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359516 (2013.08.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075269 (2014.06.19.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극저온 유체가 해상구조물의 선체에 미치는 위험을 방지함과 동시에, 해상구조물과 계류하는 LNGC 선박의 선체 외벽(side shell)에 미치는 위험성 또한 방지하는 더욱 안전한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의 로딩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메인 처리 파이프; 상기 해상구조물의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 및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워터 커튼이 형성되는 메인 처리 파이프를 통하여 통합하여 선외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해상구조물을 보호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각각의 유체 처리 파이프로 흐르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번드 채널(bunded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번드 채널은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 하부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번드 채널은 상기 유출된 유체가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를 향하여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처리 파이프는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된 유체 처리 파이프는 상기 번드 채널과 수직을 이루며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부터 하방 경사를 이루며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까지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처리 파이프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벤트홀(vent hole);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트홀의 크기는 사람의 키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개의 벤트홀 간의 간격은 사람의 키 높이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의 하부는 해수면에 잠기도록 연장되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의 하부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을 향하는 한쪽 면이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LNG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하나의 메인 처리 파이프;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 및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에서 분기되며 상기 해상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로 유도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로딩 모듈이 마련된 위치의 선체 외부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극저온 유체가 해상구조물의 선체 및 해상구조물과 계류하는 타 선박의 선체에 미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워터 커튼(water curtain)의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워터 커튼을 형성하도록 하는 센서, 배관, 밸브 등의 갯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자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선외로 배출되는 극저온 유체가 파이프를 통해 흐르는 도중 기화되는 가스를 배출함으로써 파이프 내부의 Vapor Lock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이프의 벤트홀의 크기 및 간격을 조정하여 사람이 타고 올라올 수 있는 사다리 역할을 하지 못하도록 구성하여 해적의 침입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구조물과 계류하는 LNGC 선박에 추가적인 워터 커튼 및 프로텍션(protection) 방안을 두지 않아도 LNGC 선박에 극저온 유체가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된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b)는 종래기술에 따른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된 유체를 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개념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마련된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처리 파이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동작상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해상구조물은, 해상에 부유하여 시추, 생산, 처리 등의 작업을 실시하는 FPSO, LNG-FPSO, FLNG와 같은 해상 구조물, 선박 및 해상 플랜트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측면개념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홀이 마련된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인 처리 파이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도 2, 도 3,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은 해상구조물(3)의 로딩 모듈(301)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메인 처리 파이프(310), 해상구조물(3)의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300a, 300b, 300c, 300d)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메인 처리 파이프(310)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 메인 처리 파이프(310)와 해상구조물(3)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320)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은 해상구조물(3)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메인 처리 파이프(310)로 통합하여 선외 배출시키고, 워터 커튼(320)을 메인 처리 파이프(310)가 설치되는 선체 외벽에만 형성하도록 하여, 워터 커튼(320)을 형성하는 구역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전하게 극저온 유체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극저온 유체, 구체적으로는 극저온 액화가스일 수 있고, 특히 LNG일 수 있다.
해상구조물, 예를 들어 천연가스를 운용하는 FLNG에서는, 해저 가스전으로부터 천연가스를 채굴하여 LNG를 생산하기 위하여, 각종 공정 플랜트 설비, 예를 들어 산성가스 제거 설비, 탈수 설비, 액화공정 설비 등이 FLNG의 탑사이드(topside)에 모듈(module)로 마련된다. FLNG의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각종 탑사이드 모듈에서 실시되는 공정 장비에서 또는 각 모듈 사이를 연결하는 배관을 통하여 유체가 이송될 때 배관으로부터 유체가 누출, 누설되는 등 유출될 수 있다. 유출된 극저온의 유체는 상당히 민감하고 반응성이 크기 때문에 탑사이드 상에 머물게 되면 화재나 폭발의 위험이 상당히 크다. 따라서, 이렇게 유출된 극저온의 유체는 빠르게 해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극저온 유체가 유출될 수 있는 각종 탑사이드 모듈(300a, 300b, 300c, 300d, 301)의 하부 데크에는 각 탑사이드 모듈(300a, 300b, 300c, 300d, 301)에서 유출된 극저온의 유체가 선체 외벽에 설치된 각각의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로 흘러들어가 해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경로를 유도하는 번드 채널(330, 330a, 330b, 330c, 330d)이 하나 이상 마련된다.
하나 이상의 번드 채널(330, 330a, 330b, 330c, 330d)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번드 채널(330, 330a, 330b, 330c, 330d)로 유출된 극저온 유체가, 각 번드 채널(330, 330a, 330b, 330c, 330d)과 대응되는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로 용이하게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를 향해 하방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해상구조물의 탑사이드 모듈(300)에서 가장 많은 양의 극저온 유체 유출이 발생하는 구역은 로딩 모듈(301)이며, 해상구조물(3)로부터 타 선박(4) 예를 들어, LNG를 수요처로 운송하는 LNGC 선박(4)으로 해상구조물(3)에서 생산된 LNG를 하역(offloading)할 때 LNG가 유출되기 쉽다. 즉, 메인 처리 파이프(310)는 로딩 모듈(301)의 유체 처리 파이프일 수 있다.
상술한 메인 처리 파이프(310) 및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 외벽을 따라 설치되며, 메인 처리 파이프(310)가 설치된 선체 외벽과 메인 처리 파이프(310) 사이에는 워터 커튼(320)을 형성하도록 워터를 분사해주어 선체 외벽과 메인 처리 파이프(310) 사이를 차단한다. 따라서 메인 처리 파이프(310) 및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로 흘러들어가는, 선외로 배출되는 극저온 유체가 선체 외벽에 튀거나 비말되는 것을 방지하고, 극저온 유체가 파이프(310, 310a, 310b, 310c, 310d)를 따라 배출되면서 열전달에 의해 선체 외벽이 동결되거나, 극저온 유체가 바로 해상으로 배출되면서 해수와 접촉하여 발생하는 위험성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서로 다른 탑사이드 모듈(300a, 300b, 300c, 300d)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선외로 배출하도록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가, 워터 커튼(320)이 형성되는 하나의 메인 처리 파이프(310)로부터 분기되어 마련되며, 해상구조물(3)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워터 커튼(320)이 마련되는 하나의 메인 처리 파이프(310)로 통합시켜 선외로 배출시킴으로써, 워터 커튼(320)의 형성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해상구조물(3) 및 해상구조물(3)과 계류하는 타 선박(4)이 모두 워터 커튼(320)에 의해 극저온 유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처리 파이프(310)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되어 메인 처리 파이프(310)와 통합된다.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된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는 번드 채널(330a, 330b, 330c, 330d)과 수직을 이루며 마련되는 수직부(V), 수직부(V)로부터 하방 경사를 이루며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310)까지 연장되는 경사부(S)를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로 배출되는 탑사이드 모듈(300a, 300b, 300c, 300d)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가 용이하게 메인 처리 파이프(310)로 통합되어 선외로 배출될 수 있다.
워터 커튼 형성부는 워터 커튼(320)을 형성하도록 물, 예를 들어 해수(seawater)를 분사하는 분사부(미도시), 분사부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밸브 및 물을 분사할 필요가 있는지를 감시하는 센서부(미도시)와 센서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분사부가 물을 분사하도록 지시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워터 커튼 형성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워터 커튼을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배관, 밸브 및 센서 등의 자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해상구조물(3)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해상구조물(3)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해상으로 배출하는 메인 처리 파이프(310) 및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 내부에서는 상온 등의 영향으로 극저온 유체가 일부 기화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베이퍼 락(vapor lock)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베이퍼 락 현상이란, 파이프 내부(310, 310a, 310b, 310c, 310d)에 공기가 갇히거나 유체가 기화하여, 이들 기체에 의해 유체의 유동이 방해되는 것을 말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상구조물(3)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가 흐르는 메인 처리 파이프(310) 및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벤트홀(vent hole)(311)을 마련하여, 벤트홀(311)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은 기체를 배출시킴으로써 배관 내 베이퍼 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벤트홀(311)의 크기는 사람의 키 높이 이상이 되도록 마련하고, 다수개의 벤트홀(311) 간의 간격은 사람의 키 높이 이상이 되도록 하여, 해상에서 운영중인 해상구조물(3)에 해적이 침입할 경우 메인 처리 파이프(310) 및 유체 처리 파이프(310a, 310b, 310c, 310d)가 사다리 역할을 할 수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처리 파이프(3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처리 파이프(310)의 하부가 일부 해수면에 잠기도록, 해저까지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해저까지 연장된 메인 처리 파이프(310)의 하부는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체 외벽을 향하는 메인 처리 파이프(310)의 한쪽 면이 개방된 개방부(312)를 포함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해상구조물(3)은 워터 커튼(320)에 의해 선체 외벽을 보호하고, 해상구조물(3)과 계류중인 타 선박(4)에는 별도의 워터 커튼이나 보호장치(protection)을 하지 않아도 극저온 유체가 해상구조물(3) 및 해상구조물(3)과 계류중인 타 선박(4)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 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 예는 제한 것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 ,3 : 해상구조물
2, 4 : LNGC(cargo) 선박
100, 300, 300a, 300b, 300c, 300d, 301 :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
101, 301 : 로딩 모듈(offloading topside module)
110 : 탑사이드 모듈의 독립된 배출 파이프
210 : LNGC 선박의 워터 커튼
120, 320 : 해상 구조물의 워터 커튼(water curtain)
310 : 메인 처리 파이프
310a, 310b, 310c, 310d : 메인 처리 파이프에서 분기된 유체 처리 파이프
311 : 벤트홀(vent hole)
312 : 개방부
330 : 번드 채널(bunded channel)
V : 유체 처리 파이프의 수직부
S : 유체 처리 파이프의 경사부

Claims (13)

  1. 해상구조물의 로딩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메인 처리 파이프;
    상기 해상구조물의 탑사이드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로 이송하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 및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를 포함하여,
    상기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를 워터 커튼이 형성되는 메인 처리 파이프를 통하여 통합하여 선외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해상구조물을 보호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된 유체가 상기 각각의 유체 처리 파이프로 흐르도록 경로를 제공하는 번드 채널(bunded channel)을 포함하고,
    상기 번드 채널은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번드 채널은 상기 유출된 유체가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로 유출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 및 유체 처리 파이프를 향하여 경사지게 마련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파이프는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를 향하여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하방 경사지도록 마련된 유체 처리 파이프는
    상기 번드 채널과 수직을 이루며 마련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로부터 하방 경사를 이루며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까지 연장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체 처리 파이프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벤트홀(vent hole);이 마련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의 크기는 사람의 키 높이 이상인,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벤트홀 간의 간격은 사람의 키 높이 이상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의 하부는 해수면에 잠기도록 연장되어 설치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의 하부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을 향하는 한쪽 면이 개방되어 마련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되는 유체는 L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12. 해상구조물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선외로 배출시키는 하나의 메인 처리 파이프;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와 상기 해상구조물의 선체 외벽 사이를 차단시키는 워터 커튼이 형성되도록 하는 워터 커튼 형성부; 및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에서 분기되며 상기 해상구조물의 하나 이상의 탑사이드 모듈에서 유출된 극저온 유체를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로 유도시키는 하나 이상의 유체 처리 파이프;를 포함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메인 처리 파이프는 상기 해상구조물의 로딩 모듈이 마련된 위치의 선체 외부에 마련되는,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1020150098236A 2015-07-10 2015-07-10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10229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36A KR102297874B1 (ko) 2015-07-10 2015-07-10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36A KR102297874B1 (ko) 2015-07-10 2015-07-10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881A true KR20170006881A (ko) 2017-01-18
KR102297874B1 KR102297874B1 (ko) 2021-09-03

Family

ID=57992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36A KR102297874B1 (ko) 2015-07-10 2015-07-10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874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5615A (ja) * 1998-04-03 1999-10-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式液化、貯蔵設備の廃ガス放出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00007059U (ko) * 2008-12-31 2010-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밸러스팅용 에어 벤팅 장치
KR20120106125A (ko) * 2011-03-17 2012-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Voc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2993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fpso의 누출액 처리장치
KR101359516B1 (ko) 2012-02-03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물 이송 파이프의 누출액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는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25949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20140075285A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누출액 배출 장치
KR20140075269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프엘엔지선의 엘엔지 비산방지구조
KR20150062812A (ko) * 2013-11-29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5615A (ja) * 1998-04-03 1999-10-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浮体式液化、貯蔵設備の廃ガス放出処理方法及び装置
KR20100007059U (ko) * 2008-12-31 2010-07-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식 중화물 운반선의 밸러스팅용 에어 벤팅 장치
KR20120106125A (ko) * 2011-03-17 2012-09-2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Voc 저감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29935A (ko) * 2011-09-16 2013-03-2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fpso의 누출액 처리장치
KR101359516B1 (ko) 2012-02-03 2014-02-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물 이송 파이프의 누출액으로부터 선체를 보호하는 구조체와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25949A (ko) * 2012-08-24 2014-03-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횡동요 저감형 선박
KR20140075285A (ko) *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누출액 배출 장치
KR20140075269A (ko) 2012-12-11 2014-06-1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에프엘엔지선의 엘엔지 비산방지구조
KR20150062812A (ko) * 2013-11-29 2015-06-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ngc선의 선체 보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7874B1 (ko) 2021-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10614A (ko) 액화 천연 가스 화물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WO2011089108A1 (en) Vessel with a modified pipe arrangement
KR20100112857A (ko) Lng가 저장되는 해상 부유 구조물과 lng 증발 가스의 배출 장치 및 방법
KR101652253B1 (ko) 초저온 유체 방호 구조
KR20170006881A (ko) 해상구조물의 유출된 유체 처리 시스템
KR101028484B1 (ko)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빌지 처리장치
KR100779779B1 (ko) Lng 재기화 선박용 해상 lng 재기화 시스템의취급방법
KR101825651B1 (ko) 해양플랫폼의 연료 하역시스템
KR20160073096A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의 측방 계류 시스템을 위한 선체구조
KR102348462B1 (ko) 선박의 선체 외벽 보호 시스템
JP5705588B2 (ja)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船舶および浮体式構造物
KR200434344Y1 (ko) 선박의 라이저 파이프 설치구조
KR200480972Y1 (ko) Lng fpso의 극저온 유체 선외 배출구조 및 이를 가지는 lng 운반선
KR20160121127A (ko) 선박에서의 액화천연가스 배출 시스템
CN107776827A (zh) 一种货物运输船
KR20140075269A (ko) 에프엘엔지선의 엘엔지 비산방지구조
KR101973107B1 (ko) 누출된 극저온 액체 처리장치
KR102351596B1 (ko) Flng의 선체 보호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flng
KR102351595B1 (ko) 선박의 선체 보호 시스템
KR20100040436A (ko) 회수 파이프를 구비하는 선박
KR20150041466A (ko) 해양구조물의 화재 방어 장치
NO345160B1 (en) A floating production unit
EP2988990B1 (en) Offshore supply vessel
KR102351598B1 (ko) Flng의 선체 보호 시스템
KR100995801B1 (ko) 터릿 주위에 설치되는 방호시설을 구비한 lng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