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1479A -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1479A
KR20150061479A KR1020130145672A KR20130145672A KR20150061479A KR 20150061479 A KR20150061479 A KR 20150061479A KR 1020130145672 A KR1020130145672 A KR 1020130145672A KR 20130145672 A KR20130145672 A KR 20130145672A KR 20150061479 A KR20150061479 A KR 201500614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seat frame
reinforc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5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7862B1 (ko
Inventor
이교민
이종욱
소철원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56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862B1/ko
Priority to EP14194441.3A priority patent/EP2899067B1/en
Priority to JP2014237836A priority patent/JP5976080B2/ja
Priority to CN201410705540.XA priority patent/CN104670059B/zh
Priority to US14/555,962 priority patent/US9168856B2/en
Publication of KR2015006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2Jo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03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e.g. material composition or physical properties
    • B29C70/0035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haracterised by the matrix material, e.g. material composition or physical properties comprising two or more matrix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60N2/686Panel like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프레임에 있어서, 유리섬유 재질의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보강프레임을 포함하여 수직 및 비틀림 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중량절감을 통해 자동차의 연비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Hybrid seat fram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중량 절감이 가능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시트는 탑승자의 착석을 위한 부품으로 차체에 고정되는 시트프레임과, 시트프레임을 감싸는 커버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시트프레임이 스틸과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전체적인 중량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연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현재 모든 완성차 및 관련 업체들은 저중량, 고강성 사양의 시트프레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틸 시트프레임 분야에서는 하이드로 포밍 등 다양한 성형공법을 적용하여 저중량, 고강성의 시트프레임 개발에 노력하고 있지만, 성능 대비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고분자 복합소재 시트프레임의 경우에는 비강도 및 비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될 뿐 아니라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발생하지 않아 많은 관련 업체들이 개발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개발된 복합소재 시트프레임은 길이 기준 수직방향 하중에 대해서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나, 비틀림 하중에 대해서는 매우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특허 제10-0321425호, 특허 제10-1013904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비강성 및 비강도가 우수하고, 중량 절감이 가능하여 연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프레임에 있어서, 유리섬유 재질의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보강프레임;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을 제공한다.
이 경우, 상기 유리섬유는 폴라아마이드 기지재와 글래스 단섬유 강화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섬유는 열가소성 아크릴 기지재와 탄소 연속섬유 강화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은 ㄷ자 단면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주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은 리벳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동차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연결 부위에는 스틸 재질의 체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리섬유 재질의 메인프레임과, 탄소섬유 재질의 보강프레임이 ㄷ자 단면 구조를 가지고 서로 삽입 체결됨으로써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강성과 비틀림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탄소섬유에 비해 저렴한 유리섬유가 메인프레임의 소재로 적용됨으로써 제조단가를 낮춰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중량 절감을 통한 자동차 연비 개선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A-A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마운팅 부위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을 구성하는 메인프레임과 보강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A-A 단면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B 부분 확대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의 마운팅 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100)은 메인프레임(110)과 보강프레임(120)을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외부에서 가해지는 주요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허리와 등 부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대략 S자형의 유선형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서 메인프레임(110)은 유리섬유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수지인 폴라아마이드 기지재에 글래스 단섬유 강화재가 30~50% 부가된 유리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보강프레임(120)은 메인프레임(110)에서 강성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는 것으로 메인프레임(110)의 외측에 부분적으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보강프레임(120)은 2개가 마련되어 각각 메인프레임(110)의 양측에 중간부와 하단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즉,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보강프레임(120)이 부분적으로 보강 지탱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섬유만 적용할 경우 취약해질 수 있는 길이 기준 수직방향에 대한 강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이 경우, 보강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대응되는 유선형 구조를 가지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서 보강프레임(120)은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며,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 수지인 열가소성 아크릴 기지재에 탄소 연속섬유 강화재가 부가된 탄소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프레임(100)의 전체적인 구조를 이루는 메인프레임(110)은 유리섬유로 구성하고, 강성 보강을 위해 부분적으로 적용되는 보강프레임(120)은 탄소섬유로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메인프레임(110)을 전부 탄소섬유로 구성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탄소섬유는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높아져 상용화가 어려울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탄소섬유 대비 매우 저렴한 유리섬유를 메인프레임(110)의 소재로 채택하고, 메인프레임(110)에서 강성이 부족한 부분을 탄소섬유 재질의 보강프레임(120)으로 보강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 충분한 강성도 확보한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메인프레임(110)과 보강프레임(1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단면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이 종래와 같이 평면 구조를 가지면 비틀림 강성이 부족하여 구조적으로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강성과 비례 관계인 단면계수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메인프레임(110)과 보강프레임(120)을 ㄷ자의 폐형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부족한 비틀림 강성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통상 시트프레임의 비틀림 강성 측정 관련 시험 스펙은 4mm 이하인데, 종래기술과 같이 평면 구조에 의하면 비틀림 하중 적용시 4.8mm의 변위가 발생하여 성능을 충족하지 못하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1.4mm의 변위가 발생하여 비틀림에 우수한 구조적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강성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110)의 내주면에 보강리브(111)를 수평하게 다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ㄷ자 단면 구조를 갖는 메인프레임(110)은 동일한 단면 구조를 갖는 보강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삽입된다. 이처럼 메인프레임(110)과 보강프레임(120)을 ㄷ자 단면 구조로 구현하고, 서로 삽입 체결하면 길이방향에 대한 수직 강성이 증대되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메인프레임(110)과 보강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벳(112)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즉, 보강프레임(120)에 메인프레임(110)이 삽입된 상태에서 양측부를 리벳(112)으로 체결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리벳 구조를 통한 결합력 증가로 프레임의 구조적 강도가 상승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리벳 구조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길이방향을 따라 리벳용 홀이 형성된 보강프레임을 메인프레임의 금형에 안착시킨 후 유리섬유 복합소재 용액과 같은 사출용액을 주입한 후 사출성형하면 메인프레임이 형성됨과 동시에 보강프레임의 리벳용 홀로 사출용액이 흘러나오고, 이와 같이 흘러나온 사출용액이 금형의 리벳 형상에 맞게 성형된다.
참고적으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벳(112)이 3중으로 체결된 것만을 예시하였으나, 리벳(112)의 개수가 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요구되는 구조적 강도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증감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100)은 하단에 형성된 체결공(113)에 볼트(도면 미도시) 등을 체결함으로써 자체에 고정되는데, 본 발명의 시트프레임(100)은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차량 장착을 위한 마운팅 부위가 국부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공(113)에 스틸 재질의 체결구(11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구성할 경우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은 스틸 재질의 체결구(114)에서 하중을 지지하여 보다 견고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110 : 메인프레임 111 : 보강리브
112 : 리벳 113 : 체결공
114 : 체결구 120 : 보강프레임

Claims (7)

  1. 자동차의 시트프레임에 있어서,
    유리섬유 재질의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결합되는 탄소섬유 재질의 보강프레임;
    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섬유는 폴라아마이드 기지재와 글래스 단섬유 강화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소섬유는 열가소성 아크릴 기지재와 탄소 연속섬유 강화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은 ㄷ자 단면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내주면에는 보강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상기 보강프레임의 내주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기 보강프레임은 리벳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와 상기 시트프레임의 연결 부위에는 스틸 재질의 체결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KR1020130145672A 2013-11-27 2013-11-27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KR101537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72A KR101537862B1 (ko) 2013-11-27 2013-11-27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EP14194441.3A EP2899067B1 (en) 2013-11-27 2014-11-24 Hybrid seat frame for vehicle
JP2014237836A JP5976080B2 (ja) 2013-11-27 2014-11-25 自動車用ハイブリッドシートフレーム
CN201410705540.XA CN104670059B (zh) 2013-11-27 2014-11-27 用于车辆的混合座椅框架
US14/555,962 US9168856B2 (en) 2013-11-27 2014-11-28 Hybrid seat frame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5672A KR101537862B1 (ko) 2013-11-27 2013-11-27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1479A true KR20150061479A (ko) 2015-06-04
KR101537862B1 KR101537862B1 (ko) 2015-07-17

Family

ID=52013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5672A KR101537862B1 (ko) 2013-11-27 2013-11-27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68856B2 (ko)
EP (1) EP2899067B1 (ko)
JP (1) JP5976080B2 (ko)
KR (1) KR101537862B1 (ko)
CN (1) CN10467005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4863B2 (ja) * 2012-09-24 2016-10-12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のフレーム
DE102013003787B4 (de) * 2012-11-30 2022-09-08 Adient Us Llc Fahrzeugsitz
JP6266320B2 (ja) * 2013-11-19 2018-01-2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フレーム
DE102013021692A1 (de) * 2013-12-19 2015-06-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 d. Staates Delaware) Kraftfahrzeugsitzelement
JP6351998B2 (ja) * 2014-02-28 2018-07-04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CN105128352A (zh) * 2015-09-15 2015-12-09 北京博简复才技术咨询有限公司 复合材料集成结构和复合材料集成结构的制造方法
JP6662197B2 (ja) * 2016-05-25 2020-03-1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バックフレーム構造
US10377279B2 (en) * 2016-06-09 2019-08-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egrated decking arm support feature
DE102016215048B4 (de) * 2016-08-12 2023-10-12 Lear Corp. Sitzanordnung und Verfahren zum Montieren einer Sitzanordnung
DE102017206751A1 (de) * 2017-04-21 2018-10-25 Lear Corporation Fahrzeugsitzsystem
DE102017215092A1 (de) * 2017-08-29 2019-02-28 Elringklinger Ag Formbauteil, Sitz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ormbauteils
JP7011536B2 (ja) * 2018-06-11 2022-01-26 株式会社タチエス 車両用シート
DE102019135393A1 (de) * 2019-12-20 2021-06-24 Recaro Aircraft Seating Gmbh & Co. Kg Flugzeugsitzvorrichtung, Flugzeugsitz,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Flugzeugsitzvorrichtung und Baukasten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4261U (ko) * 1979-02-05 1980-08-12
AUPO877397A0 (en) * 1997-08-26 1997-09-18 Henderson's Industries Pty Ltd Seat backrest mounting
JP3098478B2 (ja) * 1997-11-27 2000-10-1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炭素繊維複合成形品の製法
DE19757060A1 (de) * 1997-12-20 1999-06-24 Bayerische Motoren Werke Ag Rückenlehne für ein Kraftfahrzeug
US6074004A (en) * 1998-02-19 2000-06-13 Carmichael; Donald Edwin Seat back frame for absorbing energy
US6170898B1 (en) * 1999-02-26 2001-01-09 Lear Corporation Pivot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6421979B1 (en) * 1999-09-16 2002-07-23 Basf Aktiengesellschaft Composite constructional element
JP4348808B2 (ja) * 1999-12-27 2009-10-21 トヨタ紡織株式会社 枠体に対する機能性部材の取付構造
KR100321425B1 (ko) 1999-12-27 2002-03-18 이계안 자동차용 시트 프레임의 구조
US6896324B1 (en) * 2002-04-19 2005-05-24 Adam Aircraft Industries Hybrid composite-metal energy absorbing seat
US7250091B2 (en) * 2003-02-13 2007-07-31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of forming a seating system
KR100590947B1 (ko) * 2004-06-07 2006-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마그네슘 합금재 시트백 프레임 및 그 성형방법
JP5096467B2 (ja) * 2006-08-14 2012-12-12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複合部材
KR101013904B1 (ko) * 2007-12-18 2011-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트 백 프레임 구조
US8691127B2 (en) * 2008-12-19 2014-04-08 Basf Se Method for producing a composite component by multi-component injection molding
EP2616270A4 (en) * 2010-09-14 2017-11-15 Basf Se Energy absorbing seat for a vehicle
WO2012139689A1 (de) * 2011-04-15 2012-10-18 Johnson Controls Gmbh Verstärktes strukturelement aus kunststoff insbesondere im fahrzeuginnenausstattungsbereich
KR101343476B1 (ko) * 2011-06-16 2013-12-19 도요타 지도샤(주) 시트백 보드 및 차량용 시트
WO2013142773A1 (en) * 2012-03-23 2013-09-26 Cutting Dynamics, Inc. Composite structural component
JP6015485B2 (ja) * 2012-03-29 2016-10-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および該車両用シート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99067B1 (en) 2016-08-17
CN104670059A (zh) 2015-06-03
JP5976080B2 (ja) 2016-08-23
KR101537862B1 (ko) 2015-07-17
US9168856B2 (en) 2015-10-27
US20150145313A1 (en) 2015-05-28
JP2015101339A (ja) 2015-06-04
CN104670059B (zh) 2017-05-03
EP2899067A1 (en) 2015-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862B1 (ko)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US9073496B2 (en) Hybrid bumper beam for veh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nd bumper beam unit thereof
US8403399B2 (en) Composite liftgate system
JP5790628B2 (ja) 電池パック
US9963172B2 (en) Body structure of vehicle
WO2015029646A1 (ja) 車両の骨格構造
US20140158443A1 (en) Battery tray for vehicle
EP2865582A1 (en) Frp member
US9434285B2 (en) Frame structure for seat back
KR20130125802A (ko) 수지 루프 패널 구조
KR20120061072A (ko) 차량용 범퍼 백빔
KR20140075941A (ko) 선루프용 하이브리드 프레임 차체 연결구조
JP2013212731A (ja) 車両
KR101493568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실 몰딩
CN109927525B (zh) 树脂后尾门
US10399608B2 (en) Integral component of a motor vehicle frame
KR20150017213A (ko) 백빔 어셈블리
KR20180070752A (ko) 자동차 카울 구조
KR20170019039A (ko) 차량용 시트백 패널
CN110667360A (zh) 衬套、悬置件以及具有其的电动车辆
JP5384379B2 (ja) 車両用内装部品
CN210733805U (zh) 衬套、悬置件以及电动车辆
KR20190113221A (ko) 자동차용 필러트림과 루프 접합부의 보강구조
JP2012236494A (ja) 車両用樹脂部品
JP2014091355A (ja) 樹脂製のシート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