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770A -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 Google Patents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770A
KR20150060770A KR1020157009587A KR20157009587A KR20150060770A KR 20150060770 A KR20150060770 A KR 20150060770A KR 1020157009587 A KR1020157009587 A KR 1020157009587A KR 20157009587 A KR20157009587 A KR 20157009587A KR 20150060770 A KR20150060770 A KR 20150060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flap
slot
engine control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9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그레고리 오드부르
슈테파네 소우브리어
Original Assignee
발레오 시스템므 드 꽁트롤르 모뙤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오 시스템므 드 꽁트롤르 모뙤르 filed Critical 발레오 시스템므 드 꽁트롤르 모뙤르
Publication of KR20150060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7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6/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exhaust gases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e.g. by exhaust gas recirculation [EGR] systems
    • F02M26/65Constructional details of EGR valves
    • F02M26/70Flap valves; Rotary valves; Sliding valves; Resilient valves
    • F02M25/079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arranged externally of valve member
    • F16K1/2042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057Special features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0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 F16K11/0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 F16K11/052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 F16K11/0525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all movable sealing faces moving as one unit comprising only lift valves with pivoted closure members, e.g. butterfly valves the closure members being pivoted around an essentially centr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 Y02T10/1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t Valve (AREA)
  • Exhaust-Gas Circulating Device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내부 덕트의 경계를 한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엔진 제어 밸브는 플랩 핀(13)에 의해 선회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플랩(10)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10)은 제 1 부분(14)을 구비하고, 덕트를 따라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플랩(10)이 밸브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삽입된 평평한 시일(1)과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시일(1)은 상기 플랩(10)의 외부 윤곽선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부 윤곽선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1)은 개구(6) 및 중실형 부분(3)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14)은 상기 플랩(1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일(1)의 개구(6)를 밀봉하고, 상기 시일(1)은, 상기 중실형 부분(3)의 둘레 영역(2)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6)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7)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ENGINE CONTROL VALVE WITH IMPROVED SEALING}
본 발명은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밸브는, 예를 들어, 차량의 내연 기관용 가스 공급 회로에 제공되어, 상기 내연 기관의 상류에 가스를 재분사하기 위하여,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 중 일부의 유출을 허용하는 루프 내부에서의 EGR(Exhaust Gas Recirculation:재순환 배기 가스)의 유동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밸브의 작동 원리는 유체의 통과를 허용하는 완전 개방 위치로부터 유체의 이러한 통과를 차단하는 폐쇄 위치로 진행할 수 있는 플랩(flap)의 제어된 회전에 기초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이다.
따라서, 엔진 제어 밸브는 선회 핀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플랩을 포함한다. 플랩은 선회 핀에 의해 구분되는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플랩이 폐쇄 위치에 위치한 경우, 플랩은 밸브의 몸체에 고정된 시일(seal)과 접촉하며, 상기 시일은 상기 플랩의 위치 설정 정지부로서 작용함으로써 밸브의 밀봉을 보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일은 전체적으로 평평하며 밸브의 몸체의 두 개의 주조 부품 사이에 시일의 둘레 영역이 삽입됨으로써 상기 밸브 몸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시일은 개구를 구비하며,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플랩의 제 1 부분이 시일의 양면 중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개구를 밀봉하는 반면, 상기 플랩의 제 2 부분은 상기 시일의 다른 하나의 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이러한 플랩은 두께가 얇으며, 전체적으로 실질상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다.
첫째, 제조와 관련된 이유로, 시일은 상기 플랩의 네 개의 둘레 가장자리 중 단지 세 개의 가장자리만을 덮어 싸도록 구성되어, 상기 시일에 의해 덮이지 않은 플랩의 제 4 가장자리의 영역에 가스의 자유로운 통과가 가능한 통로가 남게 된다. 따라서, 플랩이 시일에 맞대어진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통로가 가스의 예상하지 못한 누출을 촉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폐쇄 구성에서의 상기 밸브의 부적절한 밀봉이 초래된다.
둘째, 이러한 품질 불량 시일을 처리하기 위한 일 해결 방안으로서 시일을 단일 부분 또는 두 개의 부분으로 제조하여 왔으며, 시일은 또한, 플랩의 네 개의 둘레 가장자리를 완전히 덮어 누출 발생 원인을 제한하기에 충분한 길이로 연장하도록 구성되어 왔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이러한 유형의 연장된 시일(1)이 자주 직면하게 되는 문제는, 시일이 밸브 내에 존재하는 가스로부터의 고온 및 고압에 노출되며 이에 따라 시일이 열 팽창의 결과 변형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시일의 외부 가장자리 영역(2)이 두 개의 주조 부품 사이에 삽입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변형은 본질적으로 시일(1)의 중심 부분(3)과 연관된 것으로서, 중공형 부분(4) 및/또는 돌출부의 생성과 함께 밸브 내부에 위치하는 가스에 대한 누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시일의 중심 부분은 중실형 부분(3)과 개구(6)를 포함하며, 상기 중실형 부분(3)의 영역에서 변형이 발생한다. 또한, 시일(1)이 변형되는 경우, 중공형 부분(4)이 생성됨으로써, 플랩을 차단하는 인공적인 정지부가 생성되며 이에 따라 밸브의 폐쇄를 보장하기 위하여 상기 시일(1)과 접촉하기 위한 플랩의 선회 작동을 방해할 위험이 있다. 다시 말해, 시일(1)의 변형은 밸브의 작동 메커니즘을 손상시켜 상기 밸브를 통과하는 가스에 대해 누출 통로를 생성할 위험이 있다.
출원 제 FR 2 933 469 호에는 덕트 내부에서 선회 운동하는 플랩과 협동하는 시일을 포함하는 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시일은 덕트 내에 배치되는 슬롯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징 중 하나에 따른 본 발명의 주제는 내부 덕트의 경계를 한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엔진 제어 밸브로서, 엔진 제어 밸브는 플랩 핀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랩을 포함하고, 이러한 플랩은 제 1 부분을 포함하며 덕트 내로의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플랩이 시일, 특히, 밸브의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삽입된 평평한 시일과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운동할 수 있고, 상기 시일은 플랩의 외부 윤곽선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부 윤곽선을 구비하며, 상기 시일은 개구와 중실형 부분을 포함하고,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제 1 부분이 상기 시일의 개구를 밀봉하며, 상기 시일은 중실형 부분의 둘레 영역에 형성되어 개구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포함한다.
상기 시일의 중실형 부분의 둘레 영역에 슬롯이 형성됨으로써, 슬롯은 또한 "측방향 슬롯(lateral slot)"으로 일컬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슬롯은 내부 덕트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부분은, 예를 들어, 밸브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예를 들어, 두 개의 주조 부품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슬롯의 상기 부분은 플랩의 양측에서 밸브의 내부 덕트에서 순환하는 가스 유동 내에 위치하지 않는다.
전술한 엔진 제어 밸브는, 플랩을 완전히 덮는 연장형 시일로서, 상기 밸브 내부에 압력을 받는 고온 가스가 존재함에 따른 열 팽창에 의한 중심 부분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연장형 시일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술한 엔진 제어 밸브는, 시일의 변형의 결과로 인해 플랩의 회전이 차단될 위험 없이, 상기 밸브를 통해 순환하는 가스의 온도 및 압력과 무관하게 정확히 작동한다. 또한, 시일이 우수한 표면 평탄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폐쇄 구성에서 밸브의 우수한 밀봉을 보장하도록 플랩과 시일의 상호 작용이 최적화된다.
각각의 슬롯은 확장 공간을 구성하며, 이러한 확장 공간은, 밸브 내에 존재하는 고온 가스의 결과로서 시일이 팽창되어 상기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지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각각의 슬롯은 시일의 확장 방향으로 배향되어, 시일의 중심 부분에서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시일은, 가스에 대한 누출 통로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그리고 또한 플랩의 회전 차단 위험 없이, 밸브의 전체 사용 단계 동안 평평한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슬롯은 레이저 컷팅에 의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시일은 둘레 립(lip) 없이 전체 표면에 걸쳐 상당히 평평하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슬롯은 직선형이며 폭이 일정하여, 중실형 부분의 경계를 외부에서 한정하는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유리하게는, 시일은 두 개의 평행한 슬롯을 포함하며, 각각의 슬롯은 중실형 부분의 둘레 영역 내부로 연장되며 각각 개구와 연통한다. 이러한 슬롯은 각각 중실형 부분의 상기 둘레 영역의 경계를 외부에서 한정하는 둘레 가장자리에 대해 평행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슬롯의 존재로 인해 시일의 열 팽창을 허용하도록 제공되는 확장 공간이 두 배가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일은 두 개의 슬롯에 의해 구체화되는 두 개의 장소에서 팽창될 수 있어, 중심 부분의 변형 위험을 감소시킨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슬롯은 상기 개구와 상기 중실형 부분을 분리하는 축선을 따라 볼 때 개구의 일 단부와 연통하며, 각각의 슬롯은 상기 분리 축선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된다. 다시 말해, 두 개의 슬롯은 개구와 중실형 부분 사이의 분리부를 구성하는 축선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시일의 중실형 부분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일의 전체 개구는 두 개의 테이퍼형 슬롯에 의해 연장되는 콤팩트한 장방형 부분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슬롯은 0.2 mm 내지 0.8 mm 사이의 범위의 폭을 갖는다. 이러한 폭 값은 밸브 내에 존재하는 가스의 누출 가능성 없이 슬롯이 시일의 팽창을 효율적으로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슬롯은 0.5 mm의 폭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시일은 각각의 슬롯을 덮고 있는 두 개의 연결 시일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연결 시일은 각각 밸브 몸체의 일 부품, 특히, 주조 부품과 접촉한다. 상기 두 개의 연결 시일은 시일과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의 우수한 밀봉을 보장하는 데 기여하여, 시일의 두 개의 슬롯을 밀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삽입된 슬롯의 영역에서의 누출 위험이 무시할 수 없을 정도이므로, 상기 슬롯을 효과적으로 격리하여 이러한 위험을 제거하도록 두 개의 연결 시일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 시일에는 둘레 립이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일이 몸체의 부품들 사이에 장착되면, 상기 연결 시일은 둘레 립 영역에서의 변형에 의해 몸체의 상기 부품들 사이의 클램핑 힘을 흡수할 수 있어, 시일의 구조적 완전무결함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클램핑 고정되는 경우 시일의 형상 및 위치는 변동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일단 몸체의 부품들 사이에 고정되고 나면, 시일의 최종 위치는 장착 이전의 밸브의 이상적인 사전 설정 위치와 정확하게 일치한다. 밸브 내에서의 시일의 이러한 장착 제어는, 상기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우수한 밀봉 상태를 보장하기 위하여, 플랩과의 상호 작용이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연결 시일은 개구를 구비하며, 개구의 치수는 시일의 개구의 치수보다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연결 시일의 둘레 영역만이 특정 기능을 충족하므로, 경량이면서 공간 효율적이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상기 시일을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형 연결 시일은 전술한 요건을 고려하면서 이러한 기능을 완벽하게 충족시킬 수 있다.
플랩은 플랩 핀에 의해 제 1 부분으로부터 구분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 2 부분은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시일의 중실형 부분과 동일 평면에 위치한다. 따라서, 시일의 중실형 부분은 내부 덕트를 통과하는 가스 흐름의 외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플랩은 제 2 부분과 선회 핀 사이에 배치되는 둥근 융기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는 플랩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선회 운동하는 경우 시일의 중실형 부분과 접촉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위치설정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밸브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시일의 둘레 영역 부분이 삽입되므로, 시일의 중심 부분은 이에 따라 구조적 약화 영역을 구성하여, 상기 밸브 내에서 순환하는 가스의 높은 온도 및 압력의 결과로서 변형될 수 있어, 상기 가스에 대한 누출 통로를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플랩의 회전을 차단할 가능성이 있다. 시일의 열 팽창을 위한 확장 공간을 구성하는 슬롯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융기부가 상기 중실형 부분을 영구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슬롯의 작용을 보상하여, 플랩이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진행할 때 플랩의 이러한 전체 선회 운동 동안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이러한 융기부는, 시일이 전체 표면에 걸쳐 정확하게 평평한 경우 완벽히 평평한 상태로 시일을 유지하는 것에 기여하기 위하여, 제 2 안전 레벨로서 작용한다. 상기 슬롯에 대한 보상부로서의 이러한 융기부는 밸브의 우수한 밀봉에 추가하여 밸브의 정확한 작동을 보장함으로써, 시일의 중실형 부분의 변형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융기부는 선회 핀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시일이 플랩의 선회 핀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변형되기 가장 쉽기 때문에, 융기부는 시일의 중실형 부분을 플랩의 선회 핀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유지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러한 융기부는 선회 핀에 대해 평행한 방향으로 정렬된 적어도 두 개의 별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지거나 단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특징 중 다른 하나의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 사용하기 위한 시일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작동 면에서 효율적이며, 특히, 상기 밸브의 몸체의 근본적인 재설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시일의 변형을 간단하고 명확한 방식으로 방지한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상기 밸브는 또한, 시일에 형성된 슬롯(들)이 재료의 제거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에 존재하는 밸브에 대해 상대적인 구성 공간 요건을 유지한다는 장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추가 비용 없이 슬롯의 존재 하에 실시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바람직하지만 비제한적인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변형된 시일의 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시일의 선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밸브에서 사용되며 플랩과 세 개의 중첩된 시일로 이루어진 조립체의 분해도.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밸브는, 예를 들어, 차량의 내연 기관의 배기 회로를 공기 흡입 회로에 연결하는 루프 내에서의 가스의 유동을 조절하는 EGR(재순환 배기 가스) 밸브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시일(1)은 강성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밸브(1)의 몸체의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된 두 개의 주조 부품 사이에 시일의 둘레 가장자리 영역(2)이 삽입된다. 따라서, 이러한 둘레 영역(2)은 상기 주조 부품 사이에 시일(1)을 고정하기 위해 스크류가 관통하도록 설계된 특정 개수의 구멍(5)을 포함한다. 상기 시일(1)은 평평하며, 실질적으로 장방형이고, 두께가 얇으며, 가스에 대한 관통 개구(6)에 추가하여 중실형 부분(3)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 개구(6)와 상기 중실형 부분(3)은 상기 시일(1)의 중심 부분을 구성한다. 관통 개구(6)는 장방형이며 개구의 종축선이 장방형 시일(1)의 종축선에 대해 직교하도록 시일(1)에 형성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밸브의 시일(100)은, 중실형 부분(3)을 둘러싸고 있는 둘레 영역(2)에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방향의 직선형이면서 평행한 슬롯(7)들과 개구(6)가 연통한다는 점에서, 종래 기술에 따른 밸브의 시일(1)과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슬롯(7)은 길이가 짧은 세그먼트(8)를 통해 상기 개구(6)의 종축선(25)에 대해서 본 개구(6)의 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종축선(25)에 대해 평행한 시일(100)의 외부 가장자리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종축선(25)은 시일(100)의 중실형 부분(3)과 개구(6)를 분리하는 축선이다. 각각의 제 1 세그먼트(8)는, 중실형 부분(3)을 둘러싸고 있는 상기 시일(100)의 종방향 둘레 영역(2)에서 시일(100)의 종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형의, 직교하는 슬롯(7)으로 개방된다. 각각의 슬롯(7)을 분리시키는 거리는 장방형 개구(6)의 긴 쪽의 길이보다 길다. 각각의 슬롯(7)과 제 1 세그먼트(8)는, 예를 들어, 0.5 mm의 균일한 폭을 갖는 스테인레스 강으로 형성된 시일(100)을 레이저 컷팅하여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엔진 제어 밸브는 상기 밸브의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삽입되도록 설계된 세 개의 시일(11, 12, 100)과 플랩(10)을 사용한다. 플랩(10)은 제 1 부분(14)과 제 2 부분(15)에 추가하여 선회 핀(13)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14, 15)들은 상기 핀(13)의 양측에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두 개의 부분(14, 15)은 두께가 얇으며 함께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두 개의 부분(14, 15)에 의해 경계가 한정되는 플랩(10)의 전체 윤곽선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으로, 상기 부분(14, 15)은 또한 각각 장방형이다. 선회 핀(13)은 두 개의 부분(14, 15)을 포함하는 평면에 대해 오프셋되어, 상기 평면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교하도록 연장되는 레버 암(16)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암(16)은 상기 부분(14, 15)들 사이로 가상의 계면 영역에서 시작된다. 용어 "가상(imaginary)"은 특정 표식이 두 개의 부분(14, 15) 사이에서 플랩(10) 상의 계면의 위치를 정확하게 지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랩(10)은 제 2 부분(15)과 선회 핀(13) 사이에서 레버 암(16)에 배치된 둥근 융기부(17)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17)는 상기 핀(13)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융기부(17)는 제 2 부분(15)에 대해 평행하게 레버 암(16)으로부터 돌출되며, 직선형 세그먼트와 곡선형 세그먼트에 의해 경계가 한정되는 단면을 가지고, 융기부의 두 개의 단부가 상기 직선형 세그먼트의 두 개의 단부에 연결된다. 직선형 세그먼트는 융기부(17)의 평평한 장방형 기부에 대응하며, 융기부에 의해 세그먼트가 레버 암(16)에 고정되고, 곡선형 세그먼트는 상기 융기부(17)의 둥근 외면에 대응한다. 상기 융기부(17)의 길이는 선회 핀(13)의 총 길이의 50% 내지 75%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또한, 세 개의 시일(11, 12, 100)을 포함하며, 이들 시일 중 하나는 상기 밸브가 폐쇄 위치에 있는 경우 밸브의 밀봉을 보장하도록 플랩(10)과 협동할 수 있는 시일(100)을 나타내며, 다른 두 개의 시일(11, 12)은 밸브에 시일(100)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 시일을 구성한다.
시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성형되며, 따라서, 특히, 밸브 내부에 고온 가스가 존재함에 따라 열 팽창하기 쉬운 시일(100)을 위한 확장 공간을 형성하도록 설계된 두 개의 평행한 슬롯(7)이 시일에 제공된다. 두 개의 연결 시일 중 하나(11)는 환형이며, 본질적으로 연결 시일(100)의 개구(6)에 비해 폭이 넓은 개구(19)의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 영역(18)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환형 둘레 영역(18)에는 둘레 립(20)이 제공된다.
이러한 연결 시일(11)의 둘레 영역(18)은 시일(100)의 둘레 영역(2)과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 및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다른 하나의 연결 시일(12)은 전체적으로 환형이며 프로파일형 개구(22)의 경계를 한정하는 둘레 영역(21)으로 구성되고, 상기 프로파일형 개구는 시일(100)의 개구(6)의 치수보다 큰 치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다른 하나의 연결 시일(12)의 둘레 영역(21)에는 둘레 립(23)이 제공되며 시일(100)의 둘레 영역(2)과 동일한 기하학적 형상 및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세 개의 시일(11, 12, 100)의 둘레 영역(2, 18, 21)에는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 구멍(5)이 제공됨으로써, 상기 세 개의 시일(11, 12, 100)이 이상적인 방식으로 중첩되는 경우, 둘레 영역(2, 18, 21)과 구멍(5)이 완벽하게 일치한다. 이러한 구멍(5)은 밸브의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세 개의 시일(11, 12, 100)이 고정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나사에 의해 관통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세 개의 시일(11, 12, 100)은 이상적인 방식으로 중첩됨으로써 둘레 영역(8, 18, 21)의 부분에서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배치되며, 시일(100)은 두 개의 연결 시일(11, 1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시일(11, 12)은 각각 몸체의 상이한 부품과 접촉한다. 이러한 중첩 구성에서, 시일(100)의 두 개의 슬롯(7)은 두 개의 연결 시일(11, 12)의 둘레 영역(18, 21)들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둘레 영역(18, 21)이 밸브로의 가스의 통과를 위한 덕트로부터 상기 슬롯(7)을 밀봉식으로 격리함으로써, 상기 슬롯이 가스에 대한 상기 누출 통로를 형성할 수 없게 된다.
플랩(10)은 밸브를 관통하는 덕트로의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플랩의 제 1 부분(14)이 시일(100)의 일 면과 접촉하여 개구(6)를 밀봉하며 플랩(10)의 제 2 부분(15)이 중실형 부분(3)의 영역에서 상기 시일(100)의 대향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회전 이동 가능하다. 플랩(10)은 이러한 두 개의 극단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제어되며, 상기 극단 위치들 사이에서 복수 개의 중간 위치를 차지할 수도 있다.
두 개의 연결 시일(11, 12)은 시일(100)이 밸브에 장착되면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의 클램핑 힘을 흡수함으로써 시일(100)의 변형을 방지하는 제 1 기능을 보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 시일(11, 12)은 이러한 클램핑 동안 둘레 립(20, 23)의 영역에서 변형됨으로써, 시일(100)의 구조적 완전무결함을 보존한다.
상기 연결 시일(11, 12)은 또한, 밸브의 효과적인 밀봉을 보장하여, 시일(100)의 두 개의 슬롯(7)이 가스에 대한 누출 통로를 구성하지 않도록 상기 슬롯을 격리하는 제 2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가 압력를 받는 고온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경우, 시일(100)은 임의의 주 응력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두 개의 슬롯(7)에 의해 형성되는 두 개의 자유 공간의 영역에서 열 팽창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개의 슬롯(7)은 플랩(10)의 회전 방지 요인 및/또는 가스 누출 요인을 구성할 수 있는 상기 시일(100)의 중실형 부분(3)의 임의의 변형을 제한하거나 심지어 방지하는 데 기여한다. 플랩(10)의 레버 암(16)에 배치된 둥근 돌출부(17)는,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의 진행 또는 그 반대로의 진행을 위해, 플랩(10)의 상이한 회전 동안 시일(100)의 중실형 부분(3)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슬롯(7)의 작용을 보상한다.
1: 시일 2: 둘레 영역
3: 중실형 부분 6: 개구
7: 슬롯 10: 플랩
13: 핀 14: 제 1 부분
15 : 제 2 부분

Claims (13)

  1. 내부 덕트의 경계를 한정하는 몸체를 구비하는 엔진 제어 밸브로서,
    플랩 핀(13)에 의해 선회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플랩(10)을 포함하며, 상기 플랩(10)은 제 1 부분(14)을 구비하고, 덕트 내로의 가스의 통과를 허용하는 개방 위치와 플랩이 시일(1), 특히, 밸브의 몸체의 두 개의 부품 사이에 삽입된 평평한 시일과 접촉하는 폐쇄 위치 사이에서 선회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시일(1)은 상기 플랩(10)의 외부 윤곽선을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부 윤곽선을 구비하고, 상기 시일(1)은 개구(6) 및 중실형 부분(3)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부분(14)은 상기 플랩(10)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시일(1)의 개구(6)를 밀봉하고, 상기 시일(1)은, 상기 중실형 부분(3)의 둘레 영역(2)에 형성되며 상기 개구(6)와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슬롯(7)을 포함하고, 상기 슬롯(7)은 내부 덕트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7)은 상기 중실형 부분(3)의 둘레 영역(2)의 경계를 외측에서 한정하는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중실형 부분(3)의 둘레 영역(2)으로 연장되며 각각 상기 개구(6)와 연통하는 두 개의 평행한 슬롯(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7)은, 상기 개구(6)와 상기 중실형 부분(3)을 분리하는 분리 축선(25)을 따라 볼 때 개구(6)의 단부와 연통하며, 각각의 슬롯(7)은 상기 분리 축선(25)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7)은 0.2 mm 내지 0.8 mm의 범위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6.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슬롯(7)은 0.5 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100)은 전체 표면에 걸쳐 엄밀하게 평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100)은 각각의 슬롯(7)을 덮고 있는 두 개의 연결 시일(11, 12) 사이에 삽입되며, 각각의 연결 시일(11, 12)은 몸체의 일 부품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시일(11, 12)에는 둘레 립(lip)(20, 2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결 시일(11, 12)은 개구(19, 22)를 구비하며, 개구의 치수는 상기 시일(100)의 개구(6)의 치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0)은 플랩 핀(13)에 의해 상기 제 1 부분(14)으로부터 구분되는 제 2 부분(15)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부분(15)은 플랩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중실형 부분(3)과 동일 평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10)은 상기 제 2 부분(15)과 선회 핀(13) 사이에 배치되는 둥근 융기부(17)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부(17)는 상기 플랩(10)이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선회 운동할 때 상기 시일(100)의 중실형 부분(3)과 접촉한 채로 유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밸브.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엔진 제어 밸브에 사용하기 위한 시일.
KR1020157009587A 2012-09-28 2013-09-26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KR20150060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259179 2012-09-28
FR1259179A FR2996260B1 (fr) 2012-09-28 2012-09-28 Vanne de controle moteur a etancheite amelioree
PCT/FR2013/052284 WO2014049286A1 (fr) 2012-09-28 2013-09-26 Vanne de contrôle moteur à étanchéité amélioré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770A true KR20150060770A (ko) 2015-06-03

Family

ID=4735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9587A KR20150060770A (ko) 2012-09-28 2013-09-26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7948B2 (ko)
EP (1) EP2901049B1 (ko)
JP (1) JP6169706B2 (ko)
KR (1) KR20150060770A (ko)
FR (1) FR2996260B1 (ko)
WO (1) WO2014049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3032B1 (fr) * 2012-07-04 2014-07-11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Vanne de controle moteur a etancheite ameliore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38955A (en) * 1962-01-22 1966-03-08 Lockheed Aircraft Corp Fluid valve noise suppressor
US4231546A (en) * 1978-12-22 1980-11-04 Fisher Controls Company, Inc. High-temperature bidirectional metal seal
FR2455699B1 (fr) * 1979-05-04 1985-10-25 Gachot Jean Vanne-papillon et procede de fabrication s'y rapportant
US4333441A (en) * 1980-03-21 1982-06-08 Still Thomas W Device for improving the fuel-gas air mixture and the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463742A (en) * 1982-09-21 1984-08-07 Williams Cyril J Fuel enconomizer
FR2712953B1 (fr) * 1993-11-24 1996-01-12 Helverep Sa Vanne de régulation du type à papillon.
US5924398A (en) * 1997-10-06 1999-07-20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Flow improvement vanes in the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228296A1 (en) * 1999-11-12 2002-08-07 Siemens Canada limited Integrated swirl control valve
US6367772B1 (en) * 2000-09-05 2002-04-09 Julius A. Glogovcsan, Jr. Volumetric efficiency enhancing throttle body
US6763802B1 (en) * 2002-11-25 2004-07-20 Hayes Lemmerz International, Inc. Intake manifold valve system
JP2006125569A (ja) * 2004-10-29 2006-05-18 Nippon Jido Chosetsuki Seisakusho:Kk バタフライ弁
US7264221B2 (en) * 2005-09-19 2007-09-04 Yeary & Associates, Inc. Butterfly valve assembly with improved flow characteristics
US20070138429A1 (en) * 2005-12-21 2007-06-21 Hutchens Wilbur D Flexible seals for process control valves
FR2933469B1 (fr) * 2008-07-01 2013-01-11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Ensemble d'un corps de vanne et d'un joint d'etancheite, ensemble d'un corps de vanne,d'un joint d'etancheite et d'une canalisation,joint pour l'ensemble
FR2962184B1 (fr) * 2010-06-30 2013-12-27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Vanne de circulation de fluide
FR2962182B1 (fr) * 2010-06-30 2012-07-27 Valeo Sys Controle Moteur Sas Vanne de circulation de flu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67948B2 (en) 2017-02-14
WO2014049286A1 (fr) 2014-04-03
JP6169706B2 (ja) 2017-07-26
EP2901049A1 (fr) 2015-08-05
FR2996260B1 (fr) 2018-04-27
EP2901049B1 (fr) 2017-03-29
JP2015532377A (ja) 2015-11-09
US20150240754A1 (en) 2015-08-27
FR2996260A1 (fr) 2014-04-04
CN104736907A (zh) 2015-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9288B (zh) 流体循环阀
US20110272613A1 (en) Valve element mechanism for exhaust gas circulation valve
US9574499B2 (en) Combined butterfly/ball valve
JPH04252829A (ja) 絞り弁組立体
KR20170001237U (ko) 부가적인 정지 부재들을 갖는 밸브를 포함하는 배기 라인의 요소
KR20130123361A (ko) 유체 밸브
JP2011047290A (ja) Egrバルブ
KR20150060770A (ko) 밀봉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KR20150032585A (ko) 밀봉 특성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JP6125522B2 (ja) 車両のガスフロー回路用のバルブ
JP2866961B2 (ja) 気密シール組立体
US9989021B2 (en) Engine control valve in a motor vehicle
JP6133418B2 (ja) 動作が改良されたエンジン制御バルブ
US20170268467A1 (en) Engine control valve in a motor vehicle
JP6242870B2 (ja) 特に自動車用の流体フローバルブおよび該バルブを備える温度制御デバイス
KR20150034753A (ko) 작동이 개선된 엔진 제어 밸브
KR20150010984A (ko) 유체 순환 밸브
US20210131333A1 (en) Exhaust valve
JP4121792B2 (ja) メタルシートバタフライ弁のシート構造
KR20150027293A (ko) 향상된 밀봉부를 갖는 엔진 제어 밸브
KR20140133906A (ko) 유체 순환 밸브
CN107504200A (zh) 一种密封发动机控制阀装置
US20160281858A1 (en) Valve, notably for combustion engine air circuit
JP2003314710A (ja) メタルシートバタフライ弁のシー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