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60491A - 테이프 피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피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60491A
KR20150060491A KR1020140016279A KR20140016279A KR20150060491A KR 20150060491 A KR20150060491 A KR 20150060491A KR 1020140016279 A KR1020140016279 A KR 1020140016279A KR 20140016279 A KR20140016279 A KR 20140016279A KR 20150060491 A KR20150060491 A KR 201500604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introduction path
path
pair
le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5619B1 (ko
Inventor
키미유키 야마사키
세이치 미야하라
카즈요시 미나미사카
김성국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480064459.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5993211B/zh
Priority to PCT/KR2014/002706 priority patent/WO2015076464A1/ko
Publication of KR20150060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5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56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65H20/22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to effect step-by-step advancement of we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 H05K13/021Loading or unloading of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로서, 상기 픽업 위치에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와,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상기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와,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설치된 제1 테이프 이송 수단;과, 상기 테이프 이송로로 상기 테이프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측에 설치된 제2 테이프 이송 수단;과,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피더{A tape feeder}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이하, 단순히 「테이프」라고도 한다.)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
부품 실장 장치에서 이송 헤드의 노즐의 픽업 위치에 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전자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공급 릴로부터 인출하여 전자 부품의 실장 타이밍에 동기시켜 피치 이송하여 노즐에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테이프 피더에서는, 공급 릴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를 다 사용하면 새로운 공급 릴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를 삽입하여 새 테이프로 교체하는 스프라이싱(splicing) 작업이 필요하다.
이 스프라이싱 작업을 하기 위한 스프라이싱 기구로서, 본 발명자들은 지금까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누름부(PP)를 이용한 스프라이싱 기구를 개발하였다. 이 스프라이싱 기구에서는, 후속 테이프(T2)를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 위에 겹쳐지도록 테이프 이송로(TR)에 도입하고, 그 끝단을 스프로킷(SP)의 위에 위치시킨다.
스프로킷(SP)의 상방에는 테이프 누름부(PP)가 배치되어 있으며 테이프 누름부(PP)는 탄성력에 의해 테이프를 누른다. 이 때 스프로킷(SP)의 톱니는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의 구멍부에만 맞물리고 후속 테이프(T2)의 구멍부에는 맞물리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후,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의 후단이 스프로킷(SP)을 통과하면, 후속 테이프(T2)가 테이프 누름부(PP)에 눌려 후속 테이프(T2)의 구멍부가 스프로킷(SP)의 톱니에 맞물린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스프라이싱 기구에서는, 후속 테이프(T2)가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 위에 겹쳐진 상태에서 스프로킷(SP) 바로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테이프 두께의 불균형 등에 의해 후속 테이프(T2)가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와 함께 이송될 우려가 있어, 스프라이싱 작업의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해 일본공개특허 2010-147223호에는, 2계통의 테이프 도입로를 가진 테이프 피더가 개시되어 있으며, 이 일본공개특허 2010-147223호의 테이프 피더에 의하면 스프라이싱 작업에서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와 후속 테이프가 함께 이송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일본공개특허 2010-147223호의 테이프 피더에서는, 2계통의 테이프 도입로 각각에 스프로킷 등의 테이프 이송 수단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테이프 피더의 구성이 복잡해져, 테이프 피더가 대형화됨과 동시에 제조 비용도 증가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스프라이싱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로서, 상기 픽업 위치에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와,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상기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와,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설치된 제1 테이프 이송 수단;과, 상기 테이프 이송로로 상기 테이프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측에 설치된 제2 테이프 이송 수단;과,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상기 테이프가 도입되는 제1 테이프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부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돌출편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편은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이,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하면, 상기 테이프는 상기 지지편의 테이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지지편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상기 레버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기부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의 부분 중 상기 테이퍼면을 포함한 부분이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테이퍼면이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밀어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을 확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이송 수단은 상기 테이프에 형성된 구멍부에 맞물려 상기 테이프를 이송하는 제1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테이프 이송 수단은 상기 테이프에 형성된 구멍부에 맞물려 상기 테이프를 이송하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로서, 상기 픽업 위치에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와,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상기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와,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테이프 피더는, 픽업 위치로 통하는 테이프 이송로에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도입로로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의 이송 경로와 후속 테이프의 대기 위치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라이싱 작업에서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와 후속 테이프가 함께 이송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아 스프라이싱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테이프 피더는,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갖기 때문에, 테이프 이송 수단이 제1 테이프 도입로측에만 배치되어도 스프라이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테이프 도입로측에는 테이프 이송 수단이 배치되지 않아도 되므로, 전체적인 구성이 간단해져 장치의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라이싱 기구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를 도시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부품 검지 센서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단 검지 센서 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 도입로 부분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앞쪽의 지지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도 5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설명을 위해 제1 테이프 도입로의 테이프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1 테이프 도입로의 테이프 도입부를 구성하는 가요성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스프라이싱 작업의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 및 지지 플레이트의 부분을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 및 지지 플레이트의 부분을 개략적인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100)를 도시한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테이프 피더(100)는, 길쭉한 상자 형상의 테이프 피더 본체(1) 안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요소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테이프(T)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전자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P)에 공급한다.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테이프(T)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정피치)로 전자 부품이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 본체(1)에는, 상부에 위치한 픽업 위치(P)로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2)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로(2)의 진입 측은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제2 테이프 도입로(4)의 2계통으로 분기되어 있다.
즉, 테이프 피더(100)는, 테이프 이송로(2)에 테이프(T)를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도입로로서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제2 테이프 도입로(4)를 구비하고,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제2 테이프 도입로(4)의 각각의 일단은 테이프 이송로(2)에 연결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제1 테이프 도입로(4)보다 더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제1 테이프 도입로(4)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제1 테이프 도입로(4)의 하방에 위치할 수도 있다.
테이프(T)는 먼저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제1 테이프 도입부(3a)로부터 도입된 후, 순차적으로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된다.
테이프 피더 본체(1)의 상부 측에 위치한 테이프 이송로(2)에는, 픽업 위치(P)를 향해 테이프(T)를 보내기 위한 제1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1 스프로킷(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로킷(5)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1 스프로킷(5)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를 피치 이송시킨다.
제1 스프로킷(5)은 복수의 중간 기어(6a)에 의해 제1 모터(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제1 모터(7)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 스프로킷(5)이 회전한다. 제1 스프로킷(5)의 설치 위치는 부품의 픽업 위치(P)와 근접하게 된다.
한편, 테이프 이송로(2)를 향해 테이프를 보내기 위한 제2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2 스프로킷(8)이 제1 테이프 도입로(3)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로킷(8)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2 스프로킷(8)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가 제1 테이프 도입로(3)를 따라 테이프 이송로(2)를 향해 보내진다.
제2 스프로킷(8)은, 복수의 중간 기어(6b)에 의해 제2 모터(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한편, 테이프 이송로(2)에는, 제1 스프로킷(5)을 향해 테이프(T)를 보내기 위한 제3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3 스프로킷(10)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스프로킷(10)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3 스프로킷(10)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가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제1 스프로킷(5)으로 보내진다.
제3 스프로킷(10)은 복수의 중간 기어(6c)에 의해 제3 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제3 모터(11)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3 스프로킷(10)이 회전한다.
한편,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의 회전 구동은 제어부(12)에서 제어된다.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는 엔코더(encoder)가 부착된 서보 모터가 사용된다.
테이프 이송로(2)에서 제3 스프로킷(10)의 우측에는, 테이프(T)에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을 검지하기 위한 부품 검지 센서(13)가 배치되고, 이 부품 검지 센서(13)의 우측에는, 테이프(T)의 단부를 검지하기 위한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가 배치되어 있다.
부품 검지 센서(13)는 투과식 광 센서이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이송로(2)를 통과하는 테이프(T)의 하방에 배치된 발광부(13a)와, 발광부(13a)와 대향하여 테이프(T)의 상방에 배치된 수광부(13b)를 구비한다.
테이프(T)에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미도시)이 부품 검지 센서(13)의 광축 위치에 오면 발광부(13a)로부터의 스폿광이 전자 부품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수광부(13b)의 수광량이 저하된다. 이 수광부(13b)로부터의 수광량 정보는 제어부(12)에 송신되고, 제어부(12)는, 부품 검지 센서(13)로부터의 수광량 정보에 기초하여 테이프에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의 유무 여부를 검지하고, 아울러 테이프(T)의 부품 종단부(終端部)의 도래를 검지한다.
한편,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 레버(lever)(14a)를 사용한 기계식 센서이며, 센서 레버(14a)와 광학식 센서 소자(14b)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14a)의 일단은 테이프 이송로(2) 안에 위치하고 있고, 레버(14a)의 타단은 센서 소자(14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레버(14a)의 일단의 위치에 테이프(T)의 선단이 도래하면 레버(14a)의 일단이 테이프(T)의 끝단에 의해 들어올려져, 레버(14a)는 지지축(14a-1) 둘레로 회전한다. 이로써 센서 소자(14b)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센서 소자(14b)가 ON이 되어 테이프(T)의 끝단이 검지된다.
테이프(T)가 통과하는 동안에는 레버(14a)의 일단은 들어올려진 상태이며, 센서 소자(14b)도 ON인 상태가 되어, 테이프(T)의 존재가 검지된다. 테이프(T)의 후단이 통과하면 레버(14a)의 일단이 내려간다. 이로써 센서 소자(14b)가 ON에서 OFF가 되어 테이프(T)의 후단이 검지된다. 이러한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에 의한 테이프단 검지 정보는 제어부(12)로 송신된다.
이하, 도 5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제2 테이프 도입로(4) 부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 도입로 부분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앞쪽의 지지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의 B-B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5의 C-C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로서, 설명을 위해 제1 테이프 도입로의 테이프도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제2 스프로킷(8)을 끼우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지지편(15a)(도 7 내지 도 9b 참조)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가 형성된다.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는 그 상부의 2곳을 핀(16)으로 연결함으로써 대향되도록 배치되었으며, 하부에는 특별히 고정하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 도입로(4)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는 테이프의 위치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전환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이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은 회전축(18) 둘레로 회전 가능한 레버 부재(17a)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9)은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레버 부재(17a)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17a)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1쌍의 지지편(15a)) 상방의 초기 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구성하는 레버 부재(17a)는, 그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서 돌출되는 1쌍의 돌출부(17b)를 포함한다.
이 1쌍의 돌출부(17b)의 상면에는 각각 V자형 홈(1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7c)은, 도 5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하단부에 끼워 넣어진다. 즉,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하단부에는 노치(15b)가 형성되어 있는데,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에 그 노치(15b)에 돌출부(17b)의 홈(17c)이 끼워지게 된다.
이로써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17b)의 홈(17c)과 노치(15b)의 결합에 의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G1)이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고, 그렇게 되면 테이프(T)가 제1 테이프 도입로(3)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17a)에는 돌기부(17d)가 형성되어 있는데, 돌기부(17d)는 제1 돌기(17d_1)와 제2 돌기(17d_2)를 포함한다.
제1 돌기(17d_1)는 레버 부재(17a)의 끝단측(도 10에서 오른쪽)에서 길이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1쌍으로 형성되고, 제2 돌기(17d_2)는 레버 부재(17a)의 기단(基端)측(도 10에서 왼쪽)에서 길이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1쌍으로 형성된다.
이들 1쌍의 제1 돌기(17d_1) 및 1쌍의 제2 돌기(17d_2)는 각각 테이퍼면(17d_11)(17d_21)을 가진다.
1쌍의 제1 돌기(17d_1)는, 도 5 및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그 테이퍼면(17d_11)을 포함한 부분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된 1쌍의 관통 구멍(15c)에 끼워 넣어진다.
1쌍의 제2 돌기(17d_2)도 마찬가지로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그 테이퍼면(17d_21)을 포함한 부분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된 1쌍의 관통 구멍(15d)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 구멍(15c)(15d)은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 구멍 대신에 테이퍼면(17d_11)(17d_21)을 끼울 수 있는 오목부들이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레버 부재(17a)의 단부에는 레버 누름부(17e)가 형성되어 있다. 사용자는 레버 누름부(17e)를 눌러 레버 부재(17a)를 하방으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테이프단 검지 센서(2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부분 중 제2 스프로킷(8)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테이프단 검지 센서(20)는, 도 4에 도시된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와 마찬가지로 센서 레버(20a)를 사용한 기계식 센서이며, 센서 레버(20a)와 광학식 센서 소자(20b)를 구비하고 있다.
센서 레버(20a)는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과 마찬가지로 회전축(18)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센서 레버(20a)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2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 안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센서 레버(20a)의 타단은 센서 소자(20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센서 레버(20a)의 일단의 위치에 테이프(T)의 끝단이 도래하면 센서 레버(20a)의 일단이 테이프(T)의 끝단에 의해 들어 올려져 센서 레버(20a)는 회전축(18) 둘레로 회전한다.
이로써 센서 소자(20b)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센서 소자(20b)가 ON이 되어 테이프(T)의 끝단이 검지된다. 이 테이프(T)의 끝단의 검지 정보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에 송신된다.
또한,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제1 테이프 도입부(3a)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L자형의 가요성 부재(22)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요성 부재(22)의 세로판부(22a)가 테이프 피더 본체(1)(도 2 참조)에 고정되고 가로판부(22b)가 제1 테이프 도입부(3a)를 구성한다. 이 가로판부(22b)로 이루어진 제1 테이프 도입부(3a)는,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테이프(T)는 먼저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제1 테이프 도입부(3a)로부터 도입되어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된다. 즉, 테이프(T)는 제2 스프로킷(8)에 의해 제3 스프로킷(10)까지 보내지고 그 후 제2 스프로킷(8)은 정지되고 제3 스프로킷(10)에 의해 제1 스프로킷(5)까지 보내진다. 그 후 제3 스프로킷(10)은 정지되고 테이프(T)는 제1 스프로킷(5)의 피치 회전에 의해 피치 이송된다.
이어, 테이프(T)에 지지되어 있는 전자 부품은 픽업 위치(P)에서 부품 실장 장치의 이송 헤드(미도시)의 노즐에 의해 픽업된다. 아울러 테이프(T)에는 부품의 보호와 탈락 방지를 위해 그 부품을 덮도록 커버 테이프가 접착(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 테이프는 제3 스프로킷(10)과 제1 스프로킷(5) 사이의 테이프 이송로(2)의 적당한 위치에서 공지의 박리 기구(미도시)에 의해 테이프(T)로부터 박리된다.
테이프(T)가 사용되는 동안에 후속 테이프가 준비되는데, 준비된 후속 테이프를 이용하여 테이프를 교체하는 스프라이싱 작업이 수행되게 된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스프라이싱 작업의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d에서는, 설명을 위해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를 T1으로 도시하고 후속 테이프를 T2로 도시한다.
도 12a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가 상술한 요령으로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제1 테이프 도입부(3a)로부터 도입되어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 테이프(T1)가 사용되는 동안에 후속 테이프를 준비한다. 우선,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구성하는 레버 부재(17a)를 하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킴으로써,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는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킨다.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수축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지지편(15a)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버 부재(17a)를 하방향으로 이동(회전)시켜 테이프(T1)를 누름으로써 테이프(T1)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벗어나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테이프(T1)를 테이프 이송로(2)에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도입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 전의 단계에서는, 테이프(T1)는 제1 테이프 도입부(3a)(도 2 참조)로부터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도입되었으나, 제1 테이프 도입부(3a)는 도 11에서 설명한 것처럼 가요성 부재(22)의 가로판부(22b)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테이프(T1)가 눌려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할 때에는 가로판부(22b)가 도 11의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된다. 이로써 테이프(T1)의 테이프 도입부도 제1 테이프 도입로(3)측의 제1 테이프 도입부(3a)로부터 제2 테이프 도입로(4)측의 제2 테이프 도입부(4a)(도 2, 도 5, 도 6 참조)로 전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9a 및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제1 돌기(17d_1)의 테이퍼면(17d_11)을 포함한 부분 및 제2 돌기(17d_2)의 테이퍼면(17d_21)을 포함한 부분이 각각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된 관통 구멍(15c) 및 관통 구멍(15d)(도 5 참조)에 끼워져 있다. 따라서 이 초기 상태에서 레버 부재(17a)를 하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키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면(17d_11)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레버 부재(17a)가 하방향으로 이동(회전)하게 되면 테이퍼면(17d_21)도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G1에서 G2로 확대된다.
즉, 레버 부재(17a)의 제1 돌기(17d_1)의 경우, 그 단면의 최대 폭 L1은 간격 G1보다 크기 때문에, 레버 부재(17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 부재(17a)가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는 테이프(T1)를 가압하기 전에 미리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충분히 확대되므로, 레버 부재(17a)가 테이프(T1)를 강하게 가압하지 않아도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킬 수 있어 테이프(T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폭 크기가 W인 테이프(T1)는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레버 부재(17a)에 의해 가압되어 이동되는데, 레버 부재(17a)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테이프(T1)를 가압하기 전에 미리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G1에서 G2로 확대된다. 그렇게 되면 지지편(15a)들 사이의 간격도 S1에서 S2도 확대됨으로써(여기서, S1<W, S2>W), 테이프(T1)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테이프(T1)의 손상이 방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방식으로,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된 테이프(T1)는 제2 스프로킷(8)과 분리되어 이격되지만, 테이프(T1)는 도 2에 도시된 제1 스프로킷(5)에 맞물린 상태이므로, 제1 스프로킷(5)의 피치 회전에 의해 계속 피치 이송된다.
레버 부재(17a)를 조작하여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키는 타이밍은, 그 테이프(T1)가 도 2에 도시된 제3 스프로킷(10)에 맞물린 후라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제3 스프로킷(10)에 맞물린 후라면 테이프(T1)가 제2 스프로킷(8)과 분리되더라도 제3 스프로킷(10)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이송로(2)로 이송된 후, 제1 스프로킷(5)에 의해 피치 이송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부재(17a)의 조작은 수동으로 실시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레버 부재(17a)의 조작은 자동으로 실시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2 모터(8)나 제3 모터(11)의 엔코더 측정값 등으로부터 테이프(T1)가 제3 스프로킷(10)에 맞물린 것을 검지한 후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레버 부재(17a)를 하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키도록 할 수 있다.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켰으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테이프(T2)를 제1 테이프 도입로(3)에 도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스프로킷(8)을 회전시키면서 수동으로 테이프(T2)를 제1 테이프 도입부(3a)로부터 도입하여 그 테이프(T2)를 제2 스프로킷(8)에 맞물리게 한다. 제2 스프로킷(8)에 맞물리면 테이프(T2)는 제2 스프로킷(8)에 의해 자동 이송된다. 그리고 테이프(T2)의 끝단이 상술한 제2 테이프단 검지 센서(20)에 의해 검지되면,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가 제2 모터(9)를 정지시킨다. 이로써 테이프(T2)는, 그 끝단이 도 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단 검지 센서(20)의 위치에서 정지하여 스프라이싱 작업이 실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프라이싱 작업은,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의 후방 끝단이 도 4에서 설명한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에 의해 검지되거나, 그 테이프(T1)의 부품 종단부가 도 3에서 설명한 부품 검지 센서(13)에 의해 검지되거나, 혹은 테이프(T1)의 후방 끝단과 부품 종단부 모두가 검지되었을 때에 실시된다.
즉,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T1)의 후방 끝단 혹은 부품 종단부가 검지되면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2)가 제2 모터(9)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로써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테이프(T2)가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고, 계속해서 테이프 이송로(2)에 도달하여 테이프(T1)에서 테이프(T2)로 테이프를 전환하는 스프라이싱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이후에는 도 12a 내지 도 12d의 순서를 반복하여 다음 스프라이싱 작업을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100)는, 테이프 도입로로서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제2 테이프 도입로(4)를 갖기 때문에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의 이송 경로와 후속 테이프의 대기 위치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라이싱 작업에서 현재 사용중인 테이프와 후속 테이프가 함께 이송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 스프라이싱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피더(100)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갖기 때문에, 테이프 도입로에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측에만 테이프 이송 수단을 배치하면 스프라이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2 테이프 도입로(4)측에는 테이프 이송 수단을 배치하지 않았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져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앞선 실시예에서는 도 9a 내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레버 부재(17a)에 형성한 제1 돌기(17d_1), 제2 돌기(17d_2)의 각각의 테이퍼면(17d_11)(17d_21)과,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관통 구멍(15c)(15d)과의 관계에서, 레버 부재(17a)를 하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킬 때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었으나,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도 같은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이 실시예에서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돌출편(15e)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편(15a)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T)를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레버 부재(17a))이 가압하기 전에,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레버 부재(17a))이 돌출편(15e)을 가압함으로써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게 된다.
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편(15e)과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레버 부재(17a))과의 접촉면을 테이퍼면으로 하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을 용이하게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1쌍의 지지편(15a)의 상면에 테이퍼면(15a-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레버 부재(17a))이 하방향으로 움직여 테이프(T)를 가압하면 테이프(T)의 양단이 테이퍼면(15a-1)에 닿게 됨으로써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각 실시예에서는, 1쌍의 지지편(15a)으로 제1 테이프 도입로(3)가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한쪽 지지편(15a)만으로 제1 테이프 도입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서는 돌출부(17b), 제1 돌기(17d_1), 제2 돌기(17d_2), 관통 구멍(15c)(15d), 돌출편(15e), 테이퍼면(17d_11)(17d_21) 등이 1쌍으로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1쌍이 아니라 어느 한쪽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과 같은 실시예들에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하부에 제2 테이프 도입로(4)를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테이프 도입로의 상방에 제2 테이프 도입로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구성하는 레버 부재를 상방향으로 이동(회전)시킴으로써 테이프를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의 제조 및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100: 테이프 피더 1: 테이프 피더 본체
2: 테이프 이송로 3: 제1 테이프 도입로
4: 제2 테이프 도입로 5: 제1 스프로킷
8: 제2 스프로킷 10: 제3 스프로킷
13: 부품 검지 센서 15: 지지 플레이트
17: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

Claims (17)

  1.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로서,
    상기 픽업 위치에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상기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
    상기 테이프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설치된 제1 테이프 이송 수단;
    상기 테이프 이송로로 상기 테이프를 보내기 위하여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측에 설치된 제2 테이프 이송 수단; 및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의 상방 또는 하방에 설치되는 테이프 피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상기 테이프가 도입되는 제1 테이프 도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부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진 테이프 피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피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하기 전에 상기 돌출편이 가압됨으로써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는 테이프 피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편은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이,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하면, 상기 테이프는 상기 지지편의 테이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지지편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는 테이프 피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피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는,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각각의 하단부에 끼워지는 홈이 형성된 돌출부를 구비한 테이프 피더.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상기 레버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수단을 가진 테이프 피더.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테이퍼면을 가지고,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기 돌기부의 부분 중 상기 테이퍼면을 포함한 부분이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에 끼워넣어지고, 상기 레버 부재가 상기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테이퍼면이 상기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를 밀어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의 대향면간의 간격을 확대시키는 테이프 피더.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이송 수단은 상기 테이프에 형성된 구멍부에 맞물려 상기 테이프를 이송하는 제1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테이프 이송 수단은 상기 테이프에 형성된 구멍부에 맞물려 상기 테이프를 이송하는 제2 스프로킷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14.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를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로서,
    상기 픽업 위치에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로;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일단이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테이프 이송로에 상기 테이프를 도입하기 위한 제1 테이프 도입로와 제2 테이프 도입로; 및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하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기 지지편을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를 가압함으로써 상기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피더.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레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 부재는 초기 위치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에서 이송되는 테이프를 상기 제2 테이프 도입로로 이동시키는 테이프 피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테이프 도입로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장 가능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지지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레버 부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1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한쪽의 대향면에, 상기 레버 부재에 형성된 돌기부가 끼워지는 관통 구멍 또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
KR1020140016279A 2013-11-25 2014-02-12 테이프 피더 KR101865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480064459.6A CN105993211B (zh) 2013-11-25 2014-03-31 送带机
PCT/KR2014/002706 WO2015076464A1 (ko) 2013-11-25 2014-03-31 테이프 피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43197 2013-11-25
JP2013243197 201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491A true KR20150060491A (ko) 2015-06-03
KR101865619B1 KR101865619B1 (ko) 2018-07-04

Family

ID=53505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279A KR101865619B1 (ko) 2013-11-25 2014-02-12 테이프 피더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369863B2 (ko)
KR (1) KR101865619B1 (ko)
CN (1) CN10599321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63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선일기연 터미널 실장기용 릴 자동교체 공급장치 및 이용한 릴 자동교체 공급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61460B2 (ja) 2016-04-28 2020-03-11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方法および表面実装機
JP6667421B2 (ja) * 2016-11-10 2020-03-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部品実装装置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JP6876903B2 (ja) * 2017-03-31 2021-05-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実装基板の製造方法
CN110945978B (zh) * 2017-08-01 2021-06-01 雅马哈发动机株式会社 元件供应装置以及具备该装置的元件装配机
WO2019229993A1 (ja) * 2018-06-01 2019-12-05 株式会社Fuji テープフィーダ
JP7126214B2 (ja) 2020-10-06 2022-08-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7149468B2 (ja) * 2020-10-08 2022-10-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テープフィーダ及び実装基板の製造方法
DE112021005511T5 (de) * 2020-10-22 2023-08-1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Komponentenzuführvorrichtung
WO2022085769A1 (ja) * 2020-10-22 2022-04-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0095B2 (en) 2001-05-24 2007-05-22 Lyndaker David W Self-threading component tape feeder
ATE311738T1 (de) * 2001-09-19 2005-12-15 Mydata Automation Ab Verfahren zum handhaben von bauteilen an einer bauteilbestückungsmaschine
US7073696B2 (en) 2003-11-24 2006-07-1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High repeatability tape feeder for electronic component carrier tapes
JP4762193B2 (ja) 2007-04-27 2011-08-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
JP2010147223A (ja) * 2008-12-18 2010-07-0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KR101563306B1 (ko) * 2009-01-19 2015-10-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전자 부품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칩 마운터
JP5357743B2 (ja) 2009-12-26 2013-12-04 富士機械製造株式会社 電子回路部品供給装置
US8678065B2 (en) * 2010-03-30 2014-03-25 Sts Co., Ltd. Carrier tape feeder
JP2013022517A (ja) * 2011-07-21 2013-02-04 Sharp Corp 水の殺菌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浄水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063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선일기연 터미널 실장기용 릴 자동교체 공급장치 및 이용한 릴 자동교체 공급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69863B2 (ja) 2018-08-08
JP2015122474A (ja) 2015-07-02
CN105993211A (zh) 2016-10-05
KR101865619B1 (ko) 2018-07-04
CN105993211B (zh) 201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5619B1 (ko) 테이프 피더
JP6004270B2 (ja) カバーテープ剥離方法、および、テープフィーダ
WO2014041712A1 (ja) テープフィーダ
US10159170B2 (en) Feeder
US10555449B2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upplying carrier tape comprising device for automatically exposing parts
KR20160042742A (ko) 부품 공급 장치
JPWO2015029123A1 (ja) 部品実装装置
US9957126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JP6019393B2 (ja) テープフィーダ
JP6010755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テープセット方法
JP6166624B2 (ja) 部品供給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部品実装装置
CN108605430B (zh) 元件供给装置、元件供给方法及表面安装机
JP6296482B2 (ja) 自動スプライシング装置を備えた供給装置
JP2011159677A (ja) スプライシングされたキャリアテープ、そのキャリアテープに適用される検出用マーク、そのキャリアテープを送る方法および部品供給装置
US6360866B1 (en) Conveying apparatus for electric parts
JP6745340B2 (ja) フィーダ
WO2017098605A1 (ja) テープフィーダ
JP7058172B2 (ja) テープ自動搬送装置
JP6950057B2 (ja) フィーダ
JP6678416B2 (ja) フィーダ
JP6759423B2 (ja) 部品実装装置
JP6543750B2 (ja) 部品実装装置
JP7488159B2 (ja) テープフィーダ、および部品実装装置
WO2015076464A1 (ko) 테이프 피더
JP2022125659A (ja) エンボスキャリアテープのカバーテープ剥離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ワーク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