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2742A - 부품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부품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2742A
KR20160042742A KR1020150023377A KR20150023377A KR20160042742A KR 20160042742 A KR20160042742 A KR 20160042742A KR 1020150023377 A KR1020150023377 A KR 1020150023377A KR 20150023377 A KR20150023377 A KR 20150023377A KR 20160042742 A KR20160042742 A KR 20160042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eel
feeder
component
qu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5260B1 (ko
Inventor
장화선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2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2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20Advancing webs by web-penetrating means, e.g.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02Web delivery apparatus, the web serving as support for articles, material or anothe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가 삽입되는 테이프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들과, 상기 테이프 피더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감겨있으며 상기 테이프에 지지된 부품의 종류를 포함한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 릴과,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와,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지 않는 비방지 위치로 변위 가능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와, 상기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상기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부품 공급 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component}
본 발명은, 부품 실장기 등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품 실장기는 부품 유지 헤드를 부품 공급부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부품 공급부의 상방에서 부품 유지 헤드에 구비된 노즐에 하강ㆍ상승 동작을 수행하게 하여 노즐의 하단부에 부품을 진공 흡착하여 픽업하고, 이어서 부품 유지 헤드를 기판의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기판의 상방에서 다시 노즐에 하강ㆍ상승 동작을 수행하게 하여 부품을 기판의 소정의 좌표 위치에 실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품 실장기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부에 부품을 공급하기 위한 부품 공급 장치로서 테이프 피더를 사용한 타입이 알려져 있다. 테이프 피더는 부품을 지지한 테이프가 감겨진 릴을 부품 공급원으로서 장착하고, 그 릴의 테이프를 테이프 삽입구로 삽입하며, 상기 테이프를 부품의 실장 타이밍에 동기시켜 피치 이송하므로써 부품을 부품 공급부에 공급한다.
일반적으로 테이프 피더는 생산성의 향상 등 때문에, 1대의 부품 공급 장치에 대해 복수개를 병렬한 상태로 배치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부품 공급 장치는 다품종의 부품을 공급할 필요가 있으므로, 테이프 피더 및 이에 대응되는 릴은 간극을 가능한 한 좁게 유지한 상태로 복수 개 병렬로 배치된다.
한편, 테이프 피더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릴로부터 인출되는 테이프가 없어지기 전에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을 장착하고, 그 다음 사용을 위한 릴로부터 인출한 테이프를 테이프 삽입구로 삽입하여 테이프를 바꾸는 스프라이싱(splicing)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때, 테이프 피더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을 가능한 한 좁게 한 상태로 복수개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실수로 다른 테이프 피더에 테이프를 삽입하는 오삽입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테이프 피더에 대한 릴의 오장착을 방지하는 기술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예컨대,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04635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86993호 참조). 그러나, 비록 릴의 오장착은 방지한다 하더라도, 그 후에 테이프의 오삽입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상기 종래의 기술로는 테이프의 오삽입은 방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프 피더를 복수개 배치한 부품 공급 장치에서 테이프 피더에 대한 테이프의 오삽입을 방지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복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가 삽입되는 테이프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들;과, 상기 테이프 피더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감겨있으며 상기 테이프에 지지된 부품의 종류를 포함한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 릴;과,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와,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지 않는 비방지 위치로 변위 가능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와, 상기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상기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부품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라고 하는 물리적인 방지 수단을 설치하므로써, 테이프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즉, 제어 수단이 릴에 존재하는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킴으로써, 테이프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테이프 피더,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최소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교환의 필요성이 높은 테이프 피더부터 우선적으로 다음에 사용할 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각 테이프 피더는 현재 사용 중인 릴 외에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을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의 테이프를 이송시킬 때, 상기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의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오토 스프라이싱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테이프 삽입구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의 이송 경로와는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이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 피더 중,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테이프 피더,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최소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프 교환의 필요성이 높은 테이프 피더부터 우선적으로 다음에 사용할 테이프를 삽입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부품 공급 장치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라는 물리적인 방지 수단과, 이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에 의해 테이프의 오삽입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테이프 오삽입 방지의 기본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어 수단의 제어 작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테이프 피더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부품 검지 센서 부분의 확대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단 검지 센서 부분의 확대 모식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 도입로 부분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앞쪽의 지지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구 근방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의 스프라이싱 작업의 순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테이프 오삽입 방지의 기본 개념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부품 공급 장치(A)에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B)가 병렬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각 피더(B)에는 상세한 것은 생략되어 있지만,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릴(B1)과 다음에 사용할 테이프가 감겨져 있는 릴(B2)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각 테이프에는 그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부품이 지지되어 있고, 이것이 감겨져 있는 각 릴(B1, B2)에는 상기 릴이 보유하고 있는 부품의 종류 및 부품의 개수를 포함한 부품 정보로서 바코드(S)(부품 정보 식별자)가 부착되어 존재하고 있다.
각 테이프 피더(B)에는 릴(B1, B2)로부터 인출된 테이프가 그 테이프 삽입구(C)로 삽입된다.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겠지만, 각 테이프 피더(B)는 그 테이프를 피치 이송하므로써, 부품을 부품 공급부에 공급한다.
이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예는 후술하겠지만, 각 테이프 피더(B)의 테이프 삽입구(C) 근방에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설치되어 있다. 이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제어 수단(E)의 제어에 따라, 테이프 삽입구(C)로의 테이프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와, 테이프 삽입구(C)로의 테이프 삽입을 방지하지 않는 「비방지(非防止) 위치」로 변위한다.
제어 수단(E)은 각 테이프 피더(B)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각 테이프 피더(B)에서 공급해야 할 부품 종류에 관한 정보(데이터) 등을 보유하고 있고, 각 테이프 피더로부터 그 상태 정보 등을 수신하면서, 각 테이프 피더(B)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어서, 제어 수단(E)에 의한 제어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부품 정보(바코드(S))의 독해 수단인 바코드 리더(F)가 릴(B1, B2)에 부착, 인쇄 등의 방식으로 존재하는 바코드(S)를 인식(판독)하면, 그 바코드(S)에 기록된 부품 정보가 제어 수단(E)으로 전송된다(스텝 1).
제어 수단(E)은 그 부품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부품 정보에 포함되는 부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상기 부품의 종류를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B)에 대해서만 그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고, 그 외의 테이프 피더(B)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방지 위치」 상태로 둔다(스텝 2).
도 1에서는 「비방지 위치」로 변위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사선으로 나타내고, 「방지 위치」 상태 그대로인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백색으로 나타내고 있다.
작업자는 바코드 리더(F)로 인식한 릴(B1, B2)을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B)에 장착함과 동시에, 그 릴(B1, B2)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B)의 테이프 삽입구(C)로 인출된 테이프를 삽입한다(스텝 3).
이와 같이, 제어 수단(E)이 릴(B1, B2)에 부착된 부품 정보(바코드(S))의 인식 결과에 따라, 대응되어 해당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B)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만을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므로써, 테이프의 오삽입을 방지한다. 즉,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방지 위치」 상태에서 테이프 피더(B)의 테이프 삽입구(C)로 테이프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작업자에 의한 테이프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도 1의 예에서는, 부품 정보(바코드(S))의 인식 결과, 이에 해당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B)가 다수 개 있는 경우, 그 모든 테이프 피더(B)에 대해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하였지만, 그 중 새로운 릴의 장착(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의 필요성이 높은 테이프 피더(B)에 대해 우선적으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어 수단의 제어 작용의 일 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의 제어 수단의 제어 작용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제어 작용의 일 예는, 릴(B1)에 감겨져 있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에, 릴(B2)에 감겨져 있는 다음에 사용할 테이프를 스프라이싱하기 위해, 그 다음에 사용할 릴(B2)을 테이프 피더에 장착하고, 그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삽입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에서 「테이프 피더」는 단순히 「피더」로 기재하고 있다.
바코드 리더(F)가 릴(B2)에 붙어 있는 바코드(S)를 인식하면, 그 바코드(S)에 기록된 부품 정보가 제어 수단(E)으로 전송된다. 이에 따라 제어 수단(E)에는 그 릴(B2)의 부품 종류 정보와 부품 개수 정보가 등록된다. 그렇게 되면 제어 수단(E)은 부품 공급 장치(A)에 장착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 중 다음 사용을 위한 릴(B2)이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 피더를 검색한다. 이 검색은 제어 수단(E)이 각 테이프 피더로부터 수신하는 상태 정보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사용을 위한 릴(B2)이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 피더가 없는 경우, 다음 사용을 위한 릴(B2)을 장착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에, 제어 작용은 종료된다.
한편, 다음 사용을 위한 릴(B2)이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 피더가 있다면, 제어 수단(E)은 그 중에서 현재 사용 중인 릴(B1)의 부품 잔량이 최초 부품수의 10% 이하가 되어 있는 테이프 피더를 검색하여 그 모두를 선택하고, 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킨다. 여기서, 릴(B1)의 부품 잔량이 최초 부품수의 10% 이하를 기준으로 삼아 테이프 피더를 선택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테이프 피더를 선택하기 위한 부품 잔량의 수치 값은 변경될 수 있다. 즉, 테이프 피더를 선택하기 위한 릴의 부품 잔량의 수치 값은, 설계자가 미리 결정한 값으로서 다른 수치가 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릴(B1)의 부품 잔량이 최초 부품수의 20% 이하, 30% 이하 등도 물론 가능하다.
만약 현재 사용 중인 릴(B1)의 부품 잔량이 10% 이하인 테이프 피더가 없는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릴(B1)의 부품 잔량이 최소인 테이프 피더를 선택하고, 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 중인 릴(B1)의 부품 잔량은 그 릴(B1)의 장착 시에 바코드(S)로부터 판독한 부품수 정보(최초 부품 개수)와 그 릴(B1)로부터 이미 공급된 부품 개수와의 차이에 의해 파악될 수 있다. 즉, 제어 수단(E)은 복수의 테이프 피더(B)들 중 미리 결정된 기준에 적합한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킨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새로운 릴(B2)의 장착(새로운 테이프의 삽입)의 필요성이 높은 테이프 피더에 대해 우선적으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도록 할 수 있고, 정확하게 스프라이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에 사용하는 테이프 피더의 구체적인 구성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부품 공급 장치에 적용되는 테이프 피더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에 나타낸 테이프 피더(B)는 부품 실장기에 장착된 부품 공급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테이프 피더(B)는 가늘고 긴 박스형의 테이프 피더 본체(1) 내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요소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고, 부품을 지지한 테이프(T)를 피치 이송하므로써, 부품을 부품 공급부, 구체적으로는 부품 실장기의 픽업 위치(P)에 공급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테이프(T)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정피치)로 부품이 지지되어 있다.
테이프 피더 본체(1)에는 상부의 픽업 위치(P)로 통하는 테이프 이송로(2)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 이송로(2)의 진입 측은 제1 테이프 도입로(3)과 제2 테이프 도입로(4)의 2계통으로 분기되어 있다.
즉, 테이프 피더(B)는 테이프 이송로(2)에 테이프(T)를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도입로로서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제2 테이프 도입로(4)를 가지며,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제2 테이프 도입로(4)의 각각의 일단은 테이프 이송로(2)에 연결되어 있다.
자세한 것은 후술 하겠지만, 테이프(T)는 처음에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입구인 테이프 삽입구(C)로 삽입되고,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된다.
테이프 피더 본체(1)의 상부 측에 위치한 테이프 이송로(2)에는, 픽업 위치(P)를 향해 테이프(T)를 보내기 위한 제1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1 스프로킷(5)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로킷(5)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설치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이 제1 스프로킷(5)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를 피치 이송시킨다.
제1 스프로킷(5)에는 복수의 중간 기어(6)에 의해 제1 모터(7)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모터(7)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1 스프로킷(5)이 회전한다. 이 제1 스프로킷(5)의 설치 위치는 부품의 픽업 위치(P)와 근접하게 된다.
한편, 테이프 이송로(2)를 향해 테이프를 보내기 위한 제2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2 스프로킷(8)이 제1 테이프 도입로(3)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로킷(8)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2 스프로킷(8)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가 제1 테이프 도입로(3)를 따라 테이프 이송로(2)를 향해 보내진다.
제2 스프로킷(8)은, 복수의 중간 기어(6)에 의해 제2 모터(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여기서, 테이프 도입로 부분의 상세 구성은 도 1에서는 생략되어 있지만, 도 6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된다.
한편, 테이프 이송로(2)에는, 제1 스프로킷(5)을 향해 테이프(T)를 보내기 위한 제3 테이프 이송 수단으로서 제3 스프로킷(10)이 배치되어 있다.
제3 스프로킷(10)의 톱니는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3 스프로킷(10)이 회전함으로써 테이프가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제1 스프로킷(5)으로 보내진다.
제3 스프로킷(10)은 복수의 중간 기어(6)에 의해 제3 모터(1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므로, 제3 모터(11)의 회전 구동에 의해 제3 스프로킷(10)이 회전한다.
한편,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의 회전 구동은 제어부(12)에서 제어된다.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터(7), 제2 모터(9) 및 제3 모터(11)는 엔코더(encoder)가 부착된 서보 모터가 사용된다.
테이프 이송로(2)에서 제3 스프로킷(10)의 우측에는, 테이프(T)에 지지된 부품을 검지하기 위한 부품 검지 센서(13)가 배치되고, 이 부품 검지 센서(13)의 우측에는, 테이프(T)의 단부를 검지하기 위한 테이프단 검지 센서(14)가 배치되어 있다.
부품 검지 센서(13)는 투과식 광 센서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이송로(2)를 통과하는 테이프(T)의 하방에 배치된 발광부(13a)와, 발광부(13a)와 대향하여 테이프(T)의 상방에 배치된 수광부(13b)를 구비한다.
따라서, 테이프(T)에 지지된 부품(미도시)이 부품 검지 센서(13)의 광축 위치에 오면, 발광부(13a)로부터의 스폿광이 부품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수광부(13b)의 수광량이 저하된다. 이 수광부(13b)로부터의 수광량 정보는 제어부(12)로 송신되고, 제어부(12)는, 부품 검지 센서(13)로부터의 수광량 정보에 따라 테이프(T)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의 유무를 검지하고, 테이프(T)의 부품 종단부(終端部)의 도래를 검지한다.
한편, 테이프단 검지 센서(1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지렛대)(14a)를 이용한 기계식 센서로서, 레버(14a)와 광학식 센서 소자(14b)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14a)의 일단은 테이프 이송로(2) 내에 위치하고 있고, 레버(14a)의 타단은 센서 소자(14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레버(14a)의 일단의 위치에 테이프(T)의 선단이 도래하면 레버(14a)의 일단이 테이프(T)의 끝단에 의해 들어올려져, 레버(14a)는 지지축(14a-1) 둘레로 회전한다. 이로써 센서 소자(14b)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센서 소자(14b)가 ON이 되어 테이프(T)의 끝단이 검지된다.
테이프(T)가 통과하는 동안에는 레버(14a)의 일단은 들어올려진 상태이며, 센서 소자(14b)도 ON인 상태가 되어, 테이프(T)의 존재가 검지된다. 테이프(T)의 후단이 통과하면 레버(14a)의 일단이 내려간다. 이로써 센서 소자(14b)가 ON에서 OFF가 되어 테이프(T)의 후단이 검지된다. 이러한 제1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에 의한 테이프단 검지 정보는 제어부(12)로 송신된다.
이어서, 테이프 도입로 부분의 상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의 테이프 도입로 부분을 도시한 상세 구성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에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 중 앞쪽의 지지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도 6의 I-I선을 따라 자른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6의 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6의 III-III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제2 스프로킷(8)을 끼우도록 대향 배치된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의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1쌍의 지지편(15a)(도 8 및 도 9 참조)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가 형성된다.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는 그 상부의 2곳을 핀(16)으로 연결함으로써 대향되도록 배치되었으며, 하부에는 특별히 고정하는 구조가 없다. 따라서 1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들 사이의 간격은 확장 및 수축이 가능하다.
한편,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테이프 도입로(4)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는 테이프의 위치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전환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이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은, 회전축(18) 둘레로 회전 가능한 레버 부재(17a)를 포함한다.
코일 스프링(19)은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로 돌아가도록 레버 부재(17a)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 수단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레버 부재(17a)는 코일 스프링(19)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1쌍의 지지편(15a)) 상방의 초기 위치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도록 설치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구성하는 레버 부재(17a)에는 그 길이 방향의 양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쌍의 결합부(17b)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한쌍의 결합부(17b)의 표면에는 각각 V자 모양의 홈(17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홈(17c)은, 도 6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하단부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는,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간의 간격이 확대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렇게 되면 테이프(T)가 제1 테이프 도입로(3)로부터 낙하되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하단부에서 홈(17c)(한 쌍의 결합부(17b))이 끼워지는 부분에는 노치(15b)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15b)에 한 쌍의 결합부(17b)가 끼워짐으로써, 한 쌍의 결합부(17b)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가 차단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에서, 레버 부재(17a)의 선단측(도 11에서 바로 앞쪽)과 기단(基端)측(도 11에서 내측)에는 각각 길이 방향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한 쌍의 제1 결합 돌기(17d)와 한 쌍의 제2 결합 돌기(17e)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한 쌍의 제1 결합 돌기(17d) 및 한 쌍의 제2 결합 돌기(17e)는 각각 테이퍼면(17d-1)(17e-1)을 갖는다.
한 쌍의 제1 결합 돌기(17d)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그 테이퍼면(17d-1)을 포함하는 부분이,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된 한 쌍의 관통공(15c)에 끼워진다.
한 쌍의 제1 결합 돌기(17e)도 마찬가지로 레버 부재(17a)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그 테이퍼면(17e-1)을 포함하는 부분이 한쌍의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15d)에 끼워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관통공(15c)(15d)은 구멍의 형상으로 형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관통공 대신에 테이퍼면(17d-1)(17e-1)을 끼울 수 있는 오목부들이 지지 플레이트(15)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부분 중 제2 스프로킷(8)의 근방에 테이프 선단 검지 센서(20)가 배치되어 있다.
테이프 선단 검지 센서(20)는, 도 5에서 설명한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와 마찬가지로 레버(지렛대)(20a)를 이용한 기계식 센서로서, 레버(20a)와 광학식 센서 소자(20b)를 구비하고 있다.
레버(20a)의 일단은 코일 스프링(21)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제1 테이프 도입로(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레버(20a)의 타단은 센서 소자(20b)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레버(20a)의 일단의 위치에 테이프(T)의 선단이 오면, 레버(20a)의 일단이 테이프 선단에 의해 들어 올려져, 레버(20a)는 회전축(18)의 둘레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센서 소자(20b)의 발광부로부터의 광이 수광부에서 수광되고, 센서 소자(20b)가 ON 되어 테이프(T)의 선단이 검지된다. 이 테이프 선단의 검지 정보는 도 3에서 설명한 제어부(12)로 송신된다.
이어서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입구인 테이프 삽입구(C) 근방에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테이프 삽입구(C)를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즉,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테이프 삽입구(C)로 테이프(T)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와, 테이프 삽입구(C)로 테이프(T)의 삽입을 방지하지 않는 「비방지 위치」로 변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도 12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방지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방지 위치」에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제1 테이프 도입로(3)를 향해 테이프를 이동(피치 이송)할 수 있는 정도의 필요 최소한의 영역을 남기고 테이프 삽입구(C)를 막고 있다. 따라서, 이 「방지 위치」에 있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작업자가 테이프 삽입구(C)로 테이프를 삽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방지한다」란 작업자가 테이프 삽입구(C)로부터 테이프를 삽입하는데 장해가 되는 것과 같은 뜻으로, 완전히 테이프의 삽입을 저지할 필요는 없다.
실제로 도 12의 「방지 위치」에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도입로(3)를 향해 테이프가 이동(피치 이송)할 수 있는 정도의 필요 최소한의 영역을 남기고 테이프 삽입구(C)를 막고 있으므로, 작업자가 테이프 삽입구(C)로부터 테이프를 삽입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방지가 되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작업자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방지 위치」에 있으면, 그 테이프 삽입구로 테이프를 삽입해서는 안 된다고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의미에서도 방지가 된다.
한편,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도 12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테이프 삽입구(C)는 완전히 개방된다. 이것이 「비방지 위치」이다.
이와 같이 도 12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는 회전함으로써 「방지 위치」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되나, 이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의 회전 동작은, 도 1에 도시된 제어 수단(E)이 제어한다.
또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회전시키는 기구로는 액츄에이터를 사용한 기구 등 주지의 기구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방지 위치」와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동작은 회전 동작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직선적인 동작이어도 무방하다. 요컨데,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제어 수단(E)에 의한 제어에 의해 「방지 위치」와 「비방지 위치」로 변위할 수 있는 구성이면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T)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킬 수 있는 테이프 삽입구(C)로 도입되고,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된다.
즉, 테이프(T)는 제2 스프로킷(8)에 의해 제3 스프로킷(10)까지 보내지고, 그 후, 제2 스프로킷(8)은 정지되고, 제3 스프로킷(10)에 의해 제1 스프로킷(5)까지 이송된다. 그 후, 제3 스프로킷(10)은 정지되고, 테이프(T)는 제1 스프로킷(5)의 피치 회전에 의해 피치 이송된다. 테이프(T)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은 픽업 위치(P)에서 부품 실장기의 이동 헤드의 노즐에 의해 픽업된다.
또한, 테이프(T)에는 부품의 보호와 탈락 방지를 위해 그 부품을 가리도록 커버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는데, 이 커버 테이프는 제3 스프로킷(10)과 제1 스프로킷(5) 사이의 테이프 이송로(2)의 적당한 위치에서 공지된 박리 기구(미도시)에 의해 테이프(T)로부터 박리된다.
테이프(T)가 사용되는 동안에 후속 테이프의 준비를 한 후, 테이프를 바꾸는 스프라이싱 작업을 실시한다. 도 13은 스프라이싱 작업의 순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에서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를 T1으로 나타내고, 후속 테이프를 T2로 나타낸다.
도 13(a)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가 상술한 요령으로 테이프 삽입구(C)로부터 삽입되고, 제1 테이프 도입로(3) 및 테이프 이송로(2)를 따라 안내되어 이송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 테이프(T1)가 사용되는 동안에 후속 테이프의 준비를 한다. 우선,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구성하는 레버 부재(17a)를 하방으로 이동(회전)시킴으로써,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이송되고 있는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킨다.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테이프 도입로(3)는, 대향면간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대향 배치된 한 쌍의 지지 플레이트(15)의 대향면 하단부에서 내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편(15a)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레버 부재(17a)를 하방으로 이동(회전)시켜 테이프(T1)를 누름으로써, 테이프(T1)는 제1 테이프 도입로(3)로부터 벗어나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한다. 즉, 이러한 과정을 통해, 테이프(T1)를 테이프 이송로(2)에 도입하기 위한 테이프 도입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에서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전환된다.
이러한 전환 전의 단계에서 테이프(T1)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의 입구인 테이프 삽입구(C)로 도입되는데, 전환 후에는 제2 테이프 도입로(4)측의 테이프 도입부(4a)(도 3, 도 6, 도 7 참조)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한 테이프(T1)는 제2 스프로킷(8)에서는 이탈되지만, 테이프(T1)는 도 3에서 설명한 제3 스프로킷(10)에 맞물림으로써, 이 제3 스프로킷(10)의 피치 회전에 의해 계속 피치 이송된다.
레버 부재(17a)를 조작하여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키는 타이밍은, 그 테이프(T1)가 도 3에 도시된 제3 스프로킷(10)에 치합된 후라면 언제라도 상관없다. 제3 스프로킷(10)에 치합된 후라면, 테이프(T1)가 제2 스프로킷(8)으로부터 이탈하였다 하더라도, 제3 스프로킷(10)의 회전에 의해 테이프 이송로(2)로 이송된 후, 이어 제1 스프로킷(5)에 의해 피치 이송된다.
여기서, 제어 수단(E)은 테이프(T1)가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되면,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켰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를 「방지 위치」로 되돌린다.
그리고, 테이프(T1)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키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테이프(T2)를 제1 테이프 도입로(3)로 삽입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 때,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E)이, 후속 테이프(T2)가 감겨져 있는 릴(B2)의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만을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테이프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되어 있는 테이프 삽입구(C)로 테이프(T2)가 삽입되는데, 그 때 제1 테이프 도입로(3)에 배치되어 있는 제2 스프로킷(8)을 회전시키면서 수동으로 테이프(T2)를 테이프 삽입구(C)로 삽입하고, 그 테이프(T2)를 제2 스프로킷(8)에 맞물리게 한다.
제2 스프로킷(8)에 맞물리면 테이프(T2)는 제2 스프로킷(8)에 의해 자동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테이프(T2)의 선단이 상술한 테이프 선단 검지 센서(20)에 의해 검지되면, 도 3에 도시한 제어부(12)가 제2 모터(9)를 정지한다. 이에 따라 테이프(T2)는 그 선단이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 선단 검지 센서(20)의 위치에서 정지하고, 스프라이싱 작업이 실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스프라이싱 작업은,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의 후방 끝단이 도 4에서 설명한 테이프단 검지 센서(14)에 의해 검지되거나, 그 테이프(T1)의 부품 종단부가 도 4에 도시된 부품 검지 센서(13)에 의해 검지되거나, 또는 테이프(T1)의 후단과 부품 종단부가 모두 검지되었을 때 실시된다.
즉,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의 후방 끝단 또는 부품 종단부가 검지되면, 도 3에 도시한 제어부(12)가 제2 모터(9)를 회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도 1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 테이프(T2)가 제1 테이프 도입로(3)로 이송되고, 계속해서 테이프 이송로(2)에 도달하여 테이프(T1)으로부터 테이프(T2)로 테이프를 전환하는 스프라이싱 작업이 자동적으로 실시된다. 이후에는 도 13 (a) 내지 도13 (d)의 순서를 반복하고, 다음의 스프라이싱 작업을 실시한다.
다음의 스프라이싱 작업에서도, 제어 수단(E)이, 후속 테이프(T2)가 감겨져 있는 릴(B2)의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만을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기 때문에, 테이프의 오삽입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테이프 피더에서는,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된 경우, 정면측에 설치한 표시 램프(LED)(22)(도 12 참조)가 점멸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어느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D)가 「비방지 위치」로 변위되어 테이프 삽입이 가능한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테이프 피더에서는, 테이프 삽입구(C)가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T1)의 이송 경로(제2 테이프 도입로(4))와는 다른 위치에 있고, 테이프 도입로로서 제1 테이프 도입로(3)와 제2 테이프 도입로(4)를 가지므로,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의 이송 경로와 후속 테이프의 대기 위치를 완전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라이싱 작업에서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와 후속 테이프가 함께 반송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으므로, 스프라이싱 작업을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테이프 피더는 제1 테이프 도입로(3)로 이송되는 테이프를 제2 테이프 도입로(4)로 이동시키기 위한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17)을 가지므로, 테이프 도입로에서는 제1 테이프 도입로(3)측에만 테이프 이송 수단을 배치하면 스프라이싱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즉, 제2 테이프 도입로(4)측에는 테이프 이송 수단을 배치하고 있지 않으므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소형화 및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테이프 도입로가 하나인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에도 적용 가능하다. 즉, 이러한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에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설치하므로써 테이프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들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의 제조 및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A: 부품 공급 장치 B: 테이프 피더
C: 테이프 삽입구 D: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
E: 제어 수단 1: 테이프 피더 본체
2: 테이프 이송로 3: 제1 테이프 도입로
4: 제2 테이프 도입로 5: 제1 스프로킷
8: 제2 스프로킷 10: 제3 스프로킷
13: 부품 검지 센서 15: 지지 플레이트
17: 테이프 위치 전환 수단

Claims (5)

  1. 복수의 부품을 지지하는 테이프가 삽입되는 테이프 삽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복수의 테이프 피더들;
    상기 테이프 피더에 설치되며, 상기 테이프가 감겨있으며 상기 테이프에 지지된 부품의 종류를 포함한 부품 정보가 존재하는 릴;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는 방지 위치와,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상기 테이프의 삽입을 방지하지 않는 비방지 위치로 변위 가능한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 및
    상기 부품 정보의 인식 결과에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상기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부품 공급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테이프 피더,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최소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부품 공급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테이프 피더는 현재 사용 중인 릴 외에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을 장착할 수 있고,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의 테이프를 이송시킬 때, 상기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의 테이프를 상기 테이프 삽입구로 삽입할 수 있는 부품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삽입구는 현재 사용 중인 테이프의 이송 경로와는 다른 위치에 있는 부품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대응되는 종류의 부품을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가 복수 개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음 사용을 위한 릴이 장착되지 않은 테이프 피더 중,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미리 결정된 값 이하인 테이프 피더, 또는 상기 현재 사용 중인 릴에 존재하는 부품의 잔량이 최소인 테이프 피더의 테이프 삽입 방지 부재를 비방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부품 공급 장치.
KR1020150023377A 2014-10-10 2015-02-16 부품 공급 장치 KR102255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08970A JP6641078B2 (ja) 2014-10-10 2014-10-10 部品供給装置
JPJP-P-2014-208970 2014-10-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2742A true KR20160042742A (ko) 2016-04-20
KR102255260B1 KR102255260B1 (ko) 2021-05-24

Family

ID=55917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377A KR102255260B1 (ko) 2014-10-10 2015-02-16 부품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41078B2 (ko)
KR (1) KR1022552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21384A (zh) * 2018-10-29 2019-01-01 芜湖鸠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贴片机送料系统及其工作方法
KR101985618B1 (ko) 2018-04-28 2019-06-03 한남건 물품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7630B2 (ja) 2017-09-25 2023-04-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装置、部品供給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供給作業支援方法
CN111656879B (zh) * 2018-02-20 2021-08-03 株式会社富士 带式供料器的支撑板种类/元件种类组合确认系统及支撑板种类/元件种类组合确认方法
JP6887083B2 (ja) * 2020-07-15 2021-06-1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部品供給管理システム及び部品供給作業支援方法
JP2023053428A (ja) * 2021-10-01 2023-04-13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ジョブ管理方法、印刷方法、印刷ジョブ管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5385A (ja) * 2009-04-08 2010-10-28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1171664A (ja) * 2010-02-22 2011-09-0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4011291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5385A (ja) * 2009-04-08 2010-10-28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部品供給装置
JP2011171664A (ja) * 2010-02-22 2011-09-01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JP2014011291A (ja) * 2012-06-29 2014-01-20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電子部品装着装置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618B1 (ko) 2018-04-28 2019-06-03 한남건 물품공급장치
CN109121384A (zh) * 2018-10-29 2019-01-01 芜湖鸠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贴片机送料系统及其工作方法
CN109121384B (zh) * 2018-10-29 2024-03-26 芜湖鸠享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桌面贴片机送料系统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1956A (ja) 2016-05-16
JP6641078B2 (ja) 2020-02-05
KR102255260B1 (ko) 2021-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42742A (ko) 부품 공급 장치
JP5384398B2 (ja) 電子部品装着装置、フィーダ及び電子部品装着方法
US10561050B2 (en) Component mounting system and component mounting method
JP6222664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WO2016174712A1 (ja) フィーダの管理装置
CN107211563B (zh) 换产调整辅助装置、元件安装机、换产调整辅助方法
KR101865619B1 (ko) 테이프 피더
EP3151647B1 (en) Feeder
US10420268B2 (en) Component supply system and component supply method
EP3270676B1 (en) Feeder
JP6434500B2 (ja) キャリアテープ検出装置および検知方法
JP6561045B2 (ja) テープ不正挿入検出装置
EP3151648B1 (en) Feeder
JP6802782B2 (ja) 部品実装装置、および部品実装装置における部品供給方法
JP2020047960A (ja) フィーダの管理装置
CN108605429B (zh) 元件供给装置、元件供给方法及表面安装机
JP2017084862A (ja) テープ不正挿入検出装置および検出方法
JP7157405B2 (ja) 部品供給方法
JP7029678B2 (ja) 部品供給装置
JP2017084863A (ja) キャリアテープ検出装置および検知方法
JP2017092323A (ja) フィ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