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9527A -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9527A
KR20150059527A KR1020130143237A KR20130143237A KR20150059527A KR 20150059527 A KR20150059527 A KR 20150059527A KR 1020130143237 A KR1020130143237 A KR 1020130143237A KR 20130143237 A KR20130143237 A KR 20130143237A KR 20150059527 A KR20150059527 A KR 2015005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ruit
washing
conveyo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400B1 (ko
Inventor
김종국
김찬식
문혜경
이수원
문재남
이슬
이선호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3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2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 A23N12/023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for washing potatoes, apples or similarly shaped vegetables or frui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6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washing or blanching, combined with subsequent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Abstract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농산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및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APPARATUS FOR WASHING AGRICULTURAL PRODUCTS USING BUBBLE}
본 발명은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고, 농산물 표면에 존재하는 미생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산물은 농업에 의하여 생산된 물자, 곡식, 채소, 과일, 달걀, 특용 작물, 화훼 등을 말하고, 농작물은 논밭에 심어 가꾸는 곡식이나 채소 등을 말한다.
특히, 농산물을 재배하여 수확하기까지는 대부분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되고, 농산물을 재배하여 수확하여 출하하기 위해서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농산물을 수확하는 도구로는 바구니, 박스 등이 사용되고, 수확하여 바구니나 박스가 채워지면, 농산물은 큰 자루로 옮겨져 이동된 후, 농산물에 잔존하는 농약이나 이물질의 제거를 위해 세척되게 된다.
이렇게, 농산물에 잔존하는 농약은 소비자가 그대로 섭취하게 될 경우, 인체에 상당한 해를 끼치게 되기 때문에, 농산물을 포장박스에 포장하기 전에 음용이 가능한 깨끗한 물로 여러차례 세척하게 된다.
그러나, 농산물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성 물질이 세척과정에서 깨끗하게 제거되지 않아, 그 유해성 잔류물질을 소비자가 섭취하면서 각종 질병이 유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농산물을 유기 및 무기화합물로 이루어진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하였는데, 세제를 통해 농산물에 달라붙은 농약이나 이물질이 상당부분 제거되었지만, 세제의 잔류물과 유해 성분이 오히려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농산물을 세척하기 위해서는 작업작가 수작업을 통하여 일일이 농산물을 이동 세척 및 건조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작업이 어렵고 소요되는 세척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337773 특허문헌 등록특허 10-017156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의 표면에 응고상태로 달라붙은 잔류 농약이나 각종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농산물 표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높여 소비자가 깨끗하게 세정된 농산물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인력의 소요와 시간의 소요를 최소화하여 농산물을 원활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대량으로 세척하면서도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이 가능하면서도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및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 및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과,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한다.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과,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과,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과,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한다.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과,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와,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과,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과,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고, 농산물 표면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안전성을 높여 소비자가 농산물의 섭취시 유해물질을 섭취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농산물을 안전하게 섭취하 수 있도록 하는 안전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그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농산물을 대량으로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하면서도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수확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이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기포와 세척수를 통해 농산물을 세척하면서도, 과육이 떨어지거나 물러지면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특히, 세척부, 기포공급부, 이송부 ]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는, 과실(10)이 배치되는 판 형태의 배치부(100)와, 과실(10)을 세척하는 세척부(200)와, 세척부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와, 과실(10)을 이송하는 이송부(400)와, 과실(10)을 건조하는 건조부(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은 제어부(600)를 통하여 제어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원활한 동작을 제어하고,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600)를 통하여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에 지령을 전달하고 설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600)에는 사용자가 지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패널(610)과 외부에서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되는 표시창(620)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치부(100), 세척부(200), 건조부(500)의 하부에는, 다수 개의 바퀴(50)가 포함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배치부(100), 세척부(200), 건조부(500)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원활하게 이동된 후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상기 배치부(100)는, 수확된 과실(10)을 산발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과실(10)은 오미자가 될 수 있다.
오미자는 일 실시 예일 뿐,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를 통하여 다양한 과일과 열매를 포함한 농산물과 농작물을 세척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배치부(100)는, 상기 배치부(100)에 배치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로 진입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가 형성된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치부(100)는, 상기 배치부(100)에 배치되는 상기 과실(10)이 배치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부(100)의 테두리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편(110)을 포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치부(100)는, 수확된 과실(10)이 유실 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과실(10)이 원활하게 상기 세척부(200)에 투입될 수 있도록 투입준비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를 통하여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세척부(200)는,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에 수용되는 세척수(30)는, 이산화염소수(ClO₂)가 혼합되어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소비자가 과실(10)을 섭취했을때, 인체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의 상부에서 하 방향으로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할 수 있다면 관 형태나 박스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당연하다.
즉, 이산화염소수가 혼합된 상기 세척수(30)에 의해 세척된 상기 과실(10)은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급노즐(220)에서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다시한면 세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노즐(220)을 통하여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된 과실(10)에 분사되는 이산화염소수는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와 혼합되게 된다.
여기서, 이산화염소수는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되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와 혼합하여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안내판(230)은 상기 기포공급부(300)에서 분사하는 기포에 의해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10)에서 유동되는 과실(10)이 원활하게 이송부(400)의 배치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안내판(230)은 세척부(200)의 내면에서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위치로 갈수록 상기 세척부(200)의 폭이 좁아지도록 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세척수(30)는,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어 상기 공급노즐(220)을 통해 세척부(200)의 세척수(30)에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이산화염소수에 의해 양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세척부(200)의 설정된 수위를 넘는 세척수(30)는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상기 세척부(200)에 천공된 상기 배관홀(250)과 그 배관홀(250)에 연결되는 배관호스(260)를 통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배관홀(250)과 그 배관홀(250)에 연결되는 배관호스(260)에 의해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생성된 기포는 상기 분사홀(320)을 통해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에 분사되면서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제거하게 된다.
즉, 미세기포를 포함하는 기포는 과실(10)의 표면에 접촉되면서 과실(10) 표면에 달라붙은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기포에 달라붙도록하여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과실(10)에서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기포공급부(300)를 통해 상기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세척부(200) 내의 다양한 위치에 다수 개가 배치되게 된다.
상세하게는,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포공급부(300)에서 기포를 분사하는 분사압은, 상기 과실(10)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분사압으로 인해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분사압으로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사홀(320)에서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에 기포를 분사하게 되면, 기포에 의해 상기 과실(10)이 세척수(30)의 상부로 떠오르게 된다.
이상태에서, 상기 전면분사홀(330)은 상기 배치부(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10)이 세척수(30)와 함께 이송부(400)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분사홀(340)이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10)은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태에서 기포와 접촉하게 되어, 상기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과실(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분사홀(340)은,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되, 상기 이송부(4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으며 형성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측면분사홀(340)에 의해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제거됨과 동시에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는 것을 보조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세척수(30)에 이산화염소수를 혼합시켜 상기 과실(30) 표면을 살균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 하면서, 상기 기포공급부(300)를 통해 과실(10) 표면의 이물질이나 미생물이 제거하기 때문에 상기 과실(30)은 깨끗하게 세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외부로 이송된 후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되게 된다.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에 부양된 상태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세척부(200)의 외부로 이동되어 상기 건조부(500)에 공급될 수 잇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컨베이어(410)의 일단은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위치하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타단은 상기 건조부(500)의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의 구성 및 동작은 하기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면서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에의해 건조될 수 있도록, 과실(10)의 상태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회전속도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과실(10)의 표면에 세척수(30)의 잔존물이 많을 경우 잔존물이 적을 경우보다,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천천히 회전시키고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강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는 상기 과실(10)이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세기로 과실(10)에 분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과실(10)의 표면에 세척수(30)의 잔존물이 적을 경우 잔존물이 많을 경우보다,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빠르게 회전시키고 상기 블로워(520)에서 분사되는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상기 블로워(520)에 의해 건조된 과실(10)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낙하되어 모여지게 된다.
특히,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낙하시, 낙하충격을 최소화 하기 위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는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낙하보조판(540)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를 통과한 상기 과실(10)이 상기 낙하보조판(540)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굴러서 상기 수용판(53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과실(10)이 훼손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510)와 상기 수용판(530)의 낙하거리는 상기 과실(10)이 낙하되면서 훼손되지 않을 정도의 낙하거리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수용판(530)은, 사방으로 바람이 유입되어 통풍 될 수 있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고 외부에 노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3 및 도 4를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를 통하여 과실(10)을 견고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200)에 수용되는 세척수(30)는, 이산화염소수(ClO₂)가 혼합되어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소비자가 과실(10)을 섭취했을때, 인체에 무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산화염소수는 살균효과가 뛰어나고 호기성 세균과 곰팡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게되며,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수(30)와 혼합하여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척수(30)의 온도는 이산화염소수가 원활하게 용해될 수 있도록 15 내지 25℃의 온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산화염소수 1000ppm 용액 1ℓ와 9ℓ의 물이 혼합되면 100ppm의 이산화염소수 10ℓ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산화염소수 100ppm 용액 2ℓ와 8ℓ의 물이 혼합되면 20ppm의 이산화염소수 10ℓ가 만들어진다.
이를 토대로 상기 세척수(30)에 이산화염소수가 혼합되어 상기 세척수(30)가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상기 세척수(30)가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이유는, 이산화염소수가 20ppm 이상이 되는 세척수(30)에서 세균과 곰팡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의 균수가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산화염소수가 30ppm을 초과할 경우,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이 많이 들어가고, 미생물의 균수는 이산화염소수가 20ppm 이상이 되는 세척수(30)에서 최소화되기 때문에 세척수(30)가 이산화염소수 30ppm을 초과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더불어,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되는 이유는, 상기 과실(10)이 60초 미만으로 세척될 경우, 미생물의 균수를 최소화하는데 소모되는 시간이 부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실(10)이 120초를 초과할 경우 세척될 경우, 미생물의 균수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불필요한 동력자원이 소모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중간 상부에서부터 상기 세척수(30)에 진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상세하게는, 상기 서브모터(276)와 회전축(272) 및 조작판(278)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측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상기 개폐판(274)은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세척수(30)에 진입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판(274)은 상기 세척부(20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서 유동 되는 것을 단속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판(274)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폐쇄할 경우, 상기 개폐판(274)의 선별홈(275)을 통해 상기 과실(10)의 유동은 단속되고 세척수(30)는 자유롭게 유동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개폐판(274)이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폐쇄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단속하는 이유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상기 과실(10)이 개폐판(274)에 의해 단속되어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된 후에는, 상기 개폐판(274)이 개방되면서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수(30) 내에서 과실(10)이 유동되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되었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개폐판(274)의 개방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양 방향 회전가능한 서브모터(276)이고, 상기 서브모터(276)의 동력에 의해 동작하는 것이 회전축(272)이며, 회전축(272)에 의해 개폐판(274)이 연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개폐판(274)이 개폐되는 동작은, 사용자가 상기 조작판(278)을 조작하여 원하는 설정대로 지령을 입력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상기 유동제어기(270)를 통하여 상기 과실(10)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유동제어기(270)를 통하여 세척된 상기 과실(10)은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접촉된 채로 컨베이어(410)를 통해 이송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 내의 세척수(30) 수중에 있는 과실(10)이 외부로 이송된 후 상기 건조부(500)로 이송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방향 경사각을 갖으며 배치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410)의 일단은 상기 세척부(200)의 세척수(30) 수중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수(30)에서 상기 기포공급부(300)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올라올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타단은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에 부양된 채로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건조부(5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4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410)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이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의 상면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차단판(420)은,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기 세척부(200)에서 상기 건조부(500)가 배치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에 부양된 상기 과실(10)이 중력에 의해 상기 컨베이어(410) 상면 상에서 세척부(200) 방향으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향 경사지개 배치된 상태로 회전된다 하더라도, 상기 차단판(420)에 의해 과실(10)이 견고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 상에서 유동되지 않고 상기 건조부(500)로 원활하게 공급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컨베이어(410)는, 상기 풀리(450)에 감겨져서 풀리(450)이 회전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풀리(450)는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며, 상기 이송회전축(430)은 이송모터(440)를 통해 동력을 제공받아 회전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컨베이어(410)는 회전되면서 상기 과실(10)을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에 원활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 개의 높이조절공(470)은, 상기 높이조절판(460) 상에서 다양한 높이에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판(460) 상에서 상기 세척부(200)에서 가까운 거리부터 먼거리까지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과실(10)이 상기 세척부(200)에서 건조부(50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이송부(400)의 컨베이어(410)는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 또는 높이차이에 따라 탄력있게 배치상태가 변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는,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상호 멀게 형성될 경우에는 상호 거리가 가깝게 형성된 경우보다 상기 이송부(400) 컨베이어(410)의 배치 경사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즉,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멀 경우, 상기 이송부(400)의 컨베이어(410)가 수평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가 상하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부(500)의 건조컨베이어(510)의 높이가 상기 세척부(200)의 높이보다 높으면 높을수록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하 경사각은 커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높이조절공(470)을 통하여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상태를 원활하게 조절하여 상기 컨베이어(410)가 수평방향으로 배치되거나, 상하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도록 배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기 건조부(500)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이송회전축(430)이 상기 높이조절판(460)의 최 상부에 형성된 상기 높이조절공(47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도는 상방향으로 경사진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기 건조부(500)에 인접한 부위에 형성된 이송회전축(430)이 상기 높이조절판(460)의 최 하부에 형성된 높이조절공(470)에 연결될 경우,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도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에 따라 상기 세척부(200)와 건조부(500)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수평거리가 변경가능하게 되고, 상기 컨베이어(410)의 배치각은 상기 높이조절공(47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농산물 표면의 유해성 물질을 깨끗하게 세척하여 소비자가 농산물의 섭취시 유해물질을 섭취하는 것을 최소화 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농산물을 안전하게 섭취하 수 있도록 하는 안전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하면서도 그에 소요되는 인력과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농산물을 대량으로 단시간에 원활하게 세척하면서도 농산물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제품의 생상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 과실 30 : 세척수
50 : 바퀴
100 : 배치부 110 : 이탈방지편
200 : 세척부 210 : 이산화염소수발생기
220 : 공급노즐 230 : 안내판
250 : 배관홀 260 : 배관호스
270 : 유동제어기 272 : 회전축
274 : 개폐판 275 : 선별홀
276 : 서브모터 278 : 조각모터
300 : 기포공급부 310 : 기포발생기
320 : 분사홀 330 : 전면분사홀
340 : 측면분사홀
400 : 이송부 410 : 컨베이어
420 : 이송회전축 430 : 이송회전축
440 : 이송모터 450 : 풀리
460 : 높이조절판 470 : 높이조절공
500 : 건조부 510 : 건조컨베이어
520 : 블로워 530 : 수용판
540 : 낙하조절판
600 : 제어부 610 : 입력패널
620 : 표시창

Claims (11)

  1. 수확된 과실(10)을 배치할 수 있는 배치부(100);
    상기 배치부(100)에 연결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30)가 내부에 수용되는 세척부(200);
    상기 세척부(200) 내부의 상기 세척수(30)에 기포를 공급하는 기포공급부(300);
    상기 세척부(200)에 연결형성되어 세척된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부(400);
    상기 이송부(400)와 연결형성되어 상기 이송부(400)에서 이송된 상기 과실(10) 표면에 남은 물기를 건조하여 제거하는 건조부(500); 및
    상기 세척부(200)와 기포공급부(300), 이송부(400), 건조부(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이산화염소수를 발생하는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와,
    상기 이산화염소수발생기(210)에서 발생 되는 이산화염소수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수용된 세척수(30)에 공급하는 공급노즐(220)과,
    상기 세척부(200)의 내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기포공급부(300)의 기포에 의해 유동되는 상기 과실(10)의 유동 진행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판(23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노즐(220)은,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400)에 진입되는 상기 과실(10)에 이산화염소수를 분사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세척수(30)가 상기 세척부(200) 내에서 기설정된 수위를 넘길 경우, 세척수(30)가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세척부(200)의 내부에서 외부로 천공되는 배관홀(250)과,
    상기 배관홀(250)에 연결되어 상기 배관홀(250)을 통해 세척부(2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수(30)의 배수를 안내하는 배관호스(26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200)는,
    상기 과실(10)이 20 내지 30ppm의 이산화염소수를 이루는 세척수(30)에서 60 내지 120초간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유동제어기(27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제어기(270)는,
    상기 세척부(200)의 상부에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축(272)과,
    상기 회전축(272)에 연동회전되면서 상기 세척부(200)의 내부를 개폐하여 상기 과실(10)의 유동을 제어하는 판 형태의 개폐판(274)과,
    상기 회전축(272)이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서브모터(276)와,
    상기 개폐판(274)의 폐쇄시간과 개방시간을 외부에서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판(278)과,
    상기 개폐판(274)에 다수 개가 천공되어 상기 개폐판(274)이 폐쇄될 경우, 상기 세척수(30)는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과실(10)의 유동은 차단하는 선별홀(275)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공급부(300)는,
    상기 세척부(200)의 외부에서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면서 기포를 발생하는 기포발생기(310)와,
    상기 기포발생기(310)에서 발생되는 기포를 상기 세척부(200) 내부에 분사하는 다수 개의 분사홀(32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홀(320)은,
    상기 배치부(100)와 인접한 상기 세척부(200)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이 이송부(400)로 유동 되도록 상기 세척부(200)의 길이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전면분사홀(330)과,
    상기 세척부(200)의 양측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세척부(200)의 폭 방향으로 기포를 분사하는 다수 개의 측면분사홀(34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세척부(200)의 과실(10)이 이송되도록 하면서 과실(10) 표면에 있는 잔존 세척수(30)가 하부로 낙하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10)와,
    상기 컨베이어(410)의 외면에 상하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면으로 올라온 과실(10)이 다시 세척부(200)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판(420)과,
    상기 컨베이어(41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이송회전축(430)과,
    상기 이송회전축(430)에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440)와,
    상기 컨베이어(410)에 감겨진 채로 상기 이송회전축(430)의 회전에 연동되면서 상기 컨베이어(410)가 회전되도록 하는 풀리(450)를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상기 컨베이어(410)의 경사배치 각도가 변경되도록 하는 높이조절판(460)과,
    상기 높이조절판(460)에 상기 이송회전축(4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높이별 및 거리별로 다수 개가 천공되는 높이조절공(47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부(500)는,
    상기 이송부(400)를 통해 이송되는 상기 과실(10)이 이송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건조컨베이어(51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 상에서 건조컨베이어(51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과실(10)에 바람을 분사하여 과실(10)이 건조되도록 하는 블로워(520)와,
    상기 건조컨베이어(510)에서 건조된 과실(10)이 낙하된 후 수용될 수 있고, 상하로 공기가 통하도록 그물망 형태로 형성되는 수용판(530)과,
    상기 건조컨베이어(510)과 수용판(53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과실(10)의 낙하충격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각을 갖는 판 형태의 낙하보조판(540)을 포함하는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KR1020130143237A 2013-11-22 2013-11-22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KR10154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ko) 2013-11-22 2013-11-22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ko) 2013-11-22 2013-11-22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527A true KR20150059527A (ko) 2015-06-01
KR101545400B1 KR101545400B1 (ko) 2015-08-19

Family

ID=53490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237A KR101545400B1 (ko) 2013-11-22 2013-11-22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400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139A (ko) * 2016-12-07 2018-06-1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롤러의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CN108405463A (zh) * 2018-04-27 2018-08-17 江山海维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泡清洗技术的中草药用清洗装置
CN108541972A (zh) * 2018-06-21 2018-09-18 湖州览春酒业有限公司 一种烘干水果的装置
CN108576869A (zh) * 2018-04-26 2018-09-28 岳广琴 一种果蔬清洗设备
CN108618175A (zh) * 2018-05-04 2018-10-09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一种用于收获后蒜头的去泥烘干装置
CN108783509A (zh) * 2018-05-04 2018-11-13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一种适用于蒜头的去泥烘干机
CN109156841A (zh) * 2018-09-14 2019-01-0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CN112401265A (zh) * 2020-11-11 2021-02-26 江西省富盛食品有限公司 一种大豆加工用去土装置
KR20210030101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게 세척 시스템
KR102268475B1 (ko) * 2020-11-19 2021-06-22 김찬식 과채류 버블세척 및 에어탈수 장치
KR20210092859A (ko) * 2020-01-16 2021-07-27 김광기 땅콩나물 재배방법
KR102344612B1 (ko) * 2021-08-19 2021-12-28 이수균 농산물용 세척기
KR102592812B1 (ko) * 2023-05-25 2023-10-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명도식품 스마트 팩토리형 농산물 세척 및 이송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36940A (zh) * 2016-06-30 2016-10-26 江门市新会陈皮村市场股份有限公司 一种圆果清洗及分拣流水线
CN106376953A (zh) * 2016-08-25 2017-02-08 安徽省唐骏重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大豆加工处理的装置
KR102052251B1 (ko) * 2017-12-11 2019-12-17 김찬식 소과류 다목적 버블세척장치
CN108970981B (zh) * 2018-07-11 2021-08-31 山东中医药大学 一种中药炮制用的辅助加工设备
CN108835673B (zh) * 2018-08-01 2020-07-17 嘉兴市瑞鑫塑业有限公司 一种防止清洗筒堵塞的土豆清洗机
CN111387526A (zh) * 2020-05-08 2020-07-10 宋亚丽 一种农业用旋转式马铃薯表面清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9437A (ja) * 1998-11-06 2000-05-23 Matsumoto:Kk 長葱の揚送機、および長葱の処理機
KR100765957B1 (ko) * 2005-06-13 2007-10-10 이현일 식품 살균시스템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5139A (ko) * 2016-12-07 2018-06-18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롤러의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CN108576869A (zh) * 2018-04-26 2018-09-28 岳广琴 一种果蔬清洗设备
CN108405463A (zh) * 2018-04-27 2018-08-17 江山海维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气泡清洗技术的中草药用清洗装置
CN108618175A (zh) * 2018-05-04 2018-10-09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一种用于收获后蒜头的去泥烘干装置
CN108783509A (zh) * 2018-05-04 2018-11-13 芜湖市三山区绿色食品产业协会 一种适用于蒜头的去泥烘干机
CN108541972A (zh) * 2018-06-21 2018-09-18 湖州览春酒业有限公司 一种烘干水果的装置
CN109156841A (zh) * 2018-09-14 2019-01-08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CN109156841B (zh) * 2018-09-14 2024-01-09 云南菜人家食品有限公司 一种竹笋自动清洗除杂机
KR20210030101A (ko) * 2019-09-09 2021-03-17 주식회사 착하게푸드 게 세척 시스템
KR20210092859A (ko) * 2020-01-16 2021-07-27 김광기 땅콩나물 재배방법
CN112401265A (zh) * 2020-11-11 2021-02-26 江西省富盛食品有限公司 一种大豆加工用去土装置
KR102268475B1 (ko) * 2020-11-19 2021-06-22 김찬식 과채류 버블세척 및 에어탈수 장치
KR102344612B1 (ko) * 2021-08-19 2021-12-28 이수균 농산물용 세척기
KR102592812B1 (ko) * 2023-05-25 2023-10-23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명도식품 스마트 팩토리형 농산물 세척 및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400B1 (ko) 2015-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00B1 (ko) 기포를 이용한 농산물 세척장치
KR101370690B1 (ko) 약제를 나노포그 미립화 상태로 분무하여 최상 방제 효과를 얻고 농약중독 예방이 가능한 무인방제시스템
US7520377B2 (en) Bean sprouts-like articles transfer conveyor device
KR20140086573A (ko)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농산물 세척 및 살균장치
KR101557047B1 (ko) 소과류의 공기 세척 및 탈수 장치
KR20140132964A (ko) 버섯 재배 포트병용 에어 탈병장치
CN111616380A (zh) 一种蔬菜传送清洗装置
CN205624347U (zh) 一种工业蔬菜微纳米臭氧气泡水超声波振动清洗装置
JP5998539B2 (ja) 洗浄充填装置
JP4711047B2 (ja) 野菜等の洗浄装置
KR100431665B1 (ko) 습식 마늘박피장치
KR20160130582A (ko) 부유 이물질 제거기능을 갖는 야채류 세척장치
US952734A (en) Fruit-washing machine.
US20090008300A1 (en) Bean sprouts-like articles refining method and refining device
JP5223323B2 (ja) 種子温湯消毒装置
KR20100125024A (ko) 농산물 예냉 장치
JPH08239A (ja) 食品殺菌装置
US2050964A (en) Fruit and vegetable washer
KR200302991Y1 (ko) 구근류 및 과일류 세척장치
JP2002191254A (ja) ほたて養殖かごの洗浄装置
JPH0347062A (ja) 食品の洗浄殺菌装置
CN109795757B (zh) 一种便于挑选消毒的橘子罐头加工用装罐装置
KR20200080855A (ko) 3조식 버블 자동 세척기
CN216796433U (zh) 剁椒生产系统
CN206659713U (zh) 一种洗菜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