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8492A - 보상 척 - Google Patents

보상 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8492A
KR20150058492A KR1020157010561A KR20157010561A KR20150058492A KR 20150058492 A KR20150058492 A KR 20150058492A KR 1020157010561 A KR1020157010561 A KR 1020157010561A KR 20157010561 A KR20157010561 A KR 20157010561A KR 20150058492 A KR20150058492 A KR 20150058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s
chuck
drive
movement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5837B1 (ko
Inventor
옌스 마이어
Original Assignee
헨케, 볼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케, 볼커 filed Critical 헨케, 볼커
Publication of KR2015005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5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5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33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 B23B31/16254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using fluid-pressure means to actuate the grip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16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moving radially
    • B23B31/16233Jaws movement actuated by oblique surfaces of a coaxial control r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2Compensating chucks, i.e. with means for the compensation of irregularities of form or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30Chucks with four jaw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2Chucks or sockets with fluid-pressure actuator
    • Y10T279/1274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291Fluid pressure moves jaws via mechanical conn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7Socket type
    • Y10T279/17666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7675Transverse-screw actu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79/00Chucks or sockets
    • Y10T279/19Radially reciprocating jaws
    • Y10T279/1973Wedge actuated

Abstract

본 발명은 공작물들을 중앙 고정하기 위한 보상 척(1, 10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클램핑 척은 두 쌍의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을 구비한 구동 유닛(11)을 포함하고, 구동체들(3, 103)은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장착되어 각각 한 쌍씩(37a,d; 37b,c; 137a,d; 137b,c)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각각 한 쌍의 상대 이동이 인접한 베이스 조들(9a,d; 9b,c; 109a,d; 109b,c)의 동기식 이동을 야기하고 각각 상이한 이동 성분을 갖는 상호 간의 상대 이동뿐만 아니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인접한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의 동기식 이동도 각각 인접한 베이스 조들(9a,d; 9b,c; 109a,d; 109b,c)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조들(9, 109) 중 각각의 하나의 베이스 조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보상 척{COMPENSATING CHUCK}
본 발명은 공작물들을 중앙 고정하기 위한 보상 척에 관한 것이며, 상기 보상 척은, 하우징과,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해당 클램핑 조들(clamping jaw)을 수용하기 위한 두 쌍의 베이스 조들(base jaw)과,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조들을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를 포함한다.
앞서 명시한 유형의 클램핑 척은 4-조 척(4-jaw chuck) 내지 4-조 클램핑 척(4-jaw clamping chuck)으로서도 지칭된다. 중앙 고정용 클램핑 척은, 기본적으로, 특히 회전 가공되는 공작물들이 공작 기계 내에, 또는 기계 가공을 위해 고정되어야만 할 때면 항상 요구된다. 오늘날의 제조 환경에서, 선삭 공정뿐만 아니라 밀링 공정을 위해서도 이용될 수 있는 클램핑 장치에 대한 수요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이용 목적을 위한 클램핑 척에 관한 것이다. 전반적으로 3-조 척에 비해 4-조 척의 이용에 대해 숙고하게 되는 이유는, 공작물을 둘러싸는 클램핑 조의 개수가 더 많을 때 각각의 개별 클램핑 조 상에 가해지는 점 하중이 감소된다는 점에 있다. 그 때문에, 클램핑 조의 개수가 상대적으로 더 많을 경우, 공작물 상에 작용하고 그 결과 공작물을 변형시키는 힘은 공작물의 외주에 걸쳐 더 균일하게 분포된다. 그 결과, 가공 후 공작물의 치수 정밀도는 증가한다.
종래 기술로부터는 중앙 고정하는 4-조 클램핑 척이 공지되었다. 그러나 상기 4-조 클램핑 척의 경우, 전반적으로, 이 클램핑 척은 원형 공작물들의 고정을 위해서만 적합하고, 또는 4개의 모든 조가 고정할 때 공작물을 맞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두 클램핑 조 평면에서 반사대칭이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처럼 움직이지 않게 중앙 고정하는 클램핑 척은 공작물 기하구조와 관련된 보상의 부재(不在)로 인해 실무에서 "비원형" 공작물들의 경우 제한적으로만 이용된다.
또한, 종래 기술로부터는 4-조 보상 척도 공지되었지만, 그러나 이 보상 척에도 결정적인 단점들이 있다. 보상 기능을 갖는 다수의 4-조 척의 경우 중앙 고정의 반복 정밀도가 제한된다.
공보 WO 2011/137884A1은 예컨대 클램핑 척의 인접한 클램핑 조들이 하나 또는 복수의 진자 로드(pendulum rod)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정도로 보상 기능을 갖는 4-조 클램핑 척을 개시하고 있다. 공작물이 회전 대칭형이 아닌 경우, 우선 제1 쌍의 클램핑 조들이 공작물과 접촉하고, 그에 반해 타측 쌍의 클램핑 조들은 여전히 접촉하지 않고 있다면, 상응하는 진자 로드들이 편향되고 점차로 제2 클램핑 조 쌍이 공작물에 접근된다. 이런 운동학적 해결방안은, 구동력과 클램핑 조 사이에서 불가피하게 감수해야 하는 우력 길이(lever length)로 인해 시스템 내에 소정의 탄성이 존재하고 구동력 손실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높은 부품 복잡성은 시스템들이 잠재적으로 결함에 대해 더욱 민감해지게 한다.
4-조 클램핑 척에서 보상의 추가적인 접근법은 파워 클램핑(power clamping)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클램핑 척의 분야에서 확인된다. DE 10 2004 001 839 A1은, 클램핑 실린더를 통해 4개의 클램핑 조가 원추형 활주면들을 따라서 끌어 당겨지는, 4-조 클램핑 척을 개시하고 있다. 유압식 또는 기계식으로 실행되는 힘 편향은, 아직 접촉하고 있지 않은 클램핑 조들을 공작물로 접근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야하는 원추형 보상 부재들을 고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변위시킨다. 이런 시스템의 경우, 특히 최대 가능한 보상 거리가 매우 짧고 클램핑 장치의 구조 크기는 전체적으로 특정한 이용 목적을 위해 허용되지 않을 정도로 크다는 점이 단점으로서 간주된다. 그 외에 상기 시스템은 재차 수동 고정 모드를 위해 적합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 기술의 배경에서, 앞서 언급한 단점들을 최대한 실질적으로 완화시키는 클램핑 척을 명시하는 것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과제는, 신뢰성 있는 센터링을 보장하면서 이와 동시에 최대한 큰 보상 영역을 제공하는 보상 척을 명시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기초가 되는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서, 최초에 명시한 유형의 보상 척에서, 링크 기구가 구동 가능한 두 쌍의 구동체(driver)를 구비한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구동체들은 하우징 내에,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구동체들은 각각 한 쌍씩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구동체들은, 동일한 이동 성분을 갖는 각각 한 쌍의 구동체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이 인접한 베이스 조들의 동기식 이동을 야기하며, 각각 상이한 이동 성분을 갖는 인접한 구동체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뿐 아니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인접한 구동체들의 동기식 이동도 각각 인접한 베이스 조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베이스 조들 중 각각의 하나의 베이스 조와 연결되는 것을 통해 해결된다. 동기식 이동이란, 베이스 조들과 관련하여, 이 베이스 조들이 동시에, 그리고 즉시 신속하게 함께,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는 것을 의미한다.
제1 양태에서, 본 발명은,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에 각각 할당되는 구동체들이 각각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을 통해 개량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은, 각각 한 쌍의 구동체들 상호 간의 고정 연결(rigid coupling)이, 구동체 쌍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성과 조합되어, 구동 유닛의 구동을 통해 두 쌍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두 구동체 쌍이 (동일한 이동 성분으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동시에 이동될 때 4개의 모든 베이스 조도 균일하게 반경 방향에서 상호 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는 지식을 이용한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에서 구동 유닛의 이동성은, 완전하게 회전 대칭형이 아닌 공작물이 클램핑 척 내로 삽입될 때, 베이스 조들의 보상 이동, 다시 말하면 베이스 조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본 발명에 따른 기능 원리는 다음의 두 구성 사례에서 분명해진다. 요컨대, 두 쌍의 구동체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 다시 말하면 두 구동체 쌍의 이동이 동시에 인접한 베이스 조들의 균일한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구동체들이 베이스 조들 중 각각의 하나의 베이스 조와 연결됨으로써, 베이스 조들 중 어느 베이스 조도 자신의 이동과 관련하여 방해를 받지 않는 한, 모든 베이스 조의 중앙 고정 이동이 수행된다. 그러나 두 베이스 조 쌍 중 제1 베이스 조 쌍이 공작물과 접촉해 있다면, 이 제1 베이스 조 쌍은 자신의 이동과 관련하여 방해를 받는다. 그러나 그 결과 구동체 쌍들의 추가의 상대 이동은 방해받지 않는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 연결로 인해, 방해가 발생할 때까지 클램핑 조들 내지 베이스 조들은 중앙에서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되었다.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은 항상 중앙에서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된다. 다시 말해 예컨대 공작물의 도달을 통해 제1 베이스 조 쌍이 방해를 받는다면, 이런 평면에서 공작물은 이미 센터링된 상태이다. 제2 베이스 조 쌍의 추가 이동은, 구동체 쌍들이 하우징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편향될 수 있는 것으로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구동체 쌍들 중 하나의 구동체 쌍이 도달한 고정 위치로 인해 정지해 있는 반면, 제2 구동체 쌍은 제1 구동체 쌍에 상대적으로 계속하여 이동되며, 중심성의 보상 및 보장을 위해 구동 유닛도 함께 이동된다.
구동체들 상호 간의 동시적인 상대 이동이 없이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구동체들의 순수 동기식 (활주) 이동의 경우, 항상 일측 베이스 조 쌍은 중심을 향해 대칭을 이루면서, 다시 말하면 중앙에서 안쪽을 향해 이동되고, 타측 베이스 조 쌍은 중심을 향해 대칭을 이루면서 바깥쪽을 향해 이동된다. 구동 유닛을 본 발명에 따라 제공하고 그에 상응하게 베이스 조들과 구동체들을 연결하는 것을 통해, 고정의 중심성과 관련하여 매우 높은 반복 정밀도가 달성된다. 베이스 조들 상호 간의 최대 보상의 진폭은 하우징 내에서 구동체 쌍들의 이동 유격의 크기에 대해 결정적인 요인이다. 따라서 상기 진폭은 폭 넓은 한계에서 가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링크 기구가 구동 유닛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바람직하게 개량된다. 여기서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란, 구동력의 전달을 위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부재를 의미하며, 이들 링크 부재 중 하나, 복수, 또는 모든 링크 부재는 각각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1 양태에 따른 본 발명의 범주에서, 병진 운동하는, 특히 선형 활주하는 링크 부재들만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가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되는 장점은,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통한 전달이 매우 직접적으로, 그리고 매우 높은 시스템 강성으로 실행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 및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 활주하는 상응하는 링크 부재들은 비교적 단순한 제조 기술 수단, 예컨대 밀링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높은 제조 정밀도가 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체들은 제1 축에 대해 평행한 제1 수평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고, 베이스 조들은 제1 평면에 대해 평행한 베이스 조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구동하는 구동체들과 베이스 조들을 상호 간에 평행한 수평 평면에 정렬하는 것에 따른 장점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보상용 클램핑 척들에 비해 매우 낮은 구조 높이가 달성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앞서 명시한 구동체들은 제1 구동체들이며, 그리고 보상 척은, 활주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하우징 내에 장착되는 제2 구동체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2 구동체들 중 각각 하나의 제2 구동체는, 제1 구동체들의 이동이 제2 구동체들에 의해 베이스 조들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한편으로 제1 구동체들 중 하나의 제1 구동체와,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이스 조들 중 하나의 베이스 조와 맞물려 위치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제2 구동체들은 제2 축에 대해 평행한 제2 수평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런 제2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제1 평면과 베이스 조 평면 사이에 배열된다. 제2 축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제1 축에 대해 직각으로 정렬되며,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1 평면까지 제2 평면의 이격 간격만큼 제1 축으로부터 오프셋된다.
제1 구동체의 선형 이동 동안, 대부분의 링크 기구 구성에서는, 제1 구동체들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베이스 조들의 반경 방향 이동성으로 전달하기 위해, 제2 편향 이동이 필요하다. 이는 제안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집합의 구동체들을 통해 마찬가지로 수평인 평면에서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해결방안에서 낮은 구조 높이의 장점이 계속하여 강조된다.
베이스 조들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클램핑 조들을 위한 커플링 섹션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면 상에 슬라이딩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며,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제2 구동체들 중 하나의 제2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각각 안내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구동체들도 슬라이딩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제1 구동체들 중 하나의 제1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가 특히 유격 없이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슬라이딩 가이드들은 제1 구동체들 상에서 제2 구동체들의 돌출부들에 대향하는 면 상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 유닛은 하나의 구동 스핀들과, 해당 나사부에 의해 상기 구동 스핀들과 맞물리는 2개의 슬라이드를 포함한다. 스핀들은 경제적인 제조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단순한 기계식 수단들에 의해 기계적으로, 또는 모터로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원리는 수동 고정 모드를 위해서뿐만 아니라 파워 지원형 고정 모드를 위해서도 적합하다.
구동 스핀들 및 제1 슬라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자신들의 맞물림 영역에 제1 나사 피치를 포함하고, 그에 반해 구동 스핀들 및 제2 슬라이드는 자신들의 맞물림 영역에 제1 나사 피치와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제1 나사 피치에 반대되는 제2 나사 피치를 포함한다. 나사산들이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정렬됨으로써, 다시 말하면 예컨대 제1 나사부는 좌향 피치를 보유하고, 그에 반해 제2 나사부는 우향 피치를 보유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형성됨으로써, 두 슬라이드는 방해 없는 고정 모드 조건에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그리고 상호 간에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동되며, 그에 반해 구동 유닛의 질량 중심은 전체적으로 위치 고정되어 유지된다. 질량 유닛의 질량 중심이 이동되지 않는 점에 한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비록 구동 유닛의 개별 슬라이드들 및 그 구동체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될 수 있기는 하지만, 구동 유닛은 전체적으로 이동되지 않는다는 점이 기초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쌍의 제1 구동체들은 구동 유닛의 제1 슬라이드 상에 고정 배치되고, 제2 쌍의 제1 구동체들은 구동 유닛의 제2 슬라이드 상에 고정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구동체들의 쌍들은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에 각각 할당된다.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제1 구동체들의 쌍들은 구동 스핀들과 관련하여 상호 간에 교차하는 방식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동체들의 이동 방향과 구동 스핀들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제1) 구동체들은 바람직하게는 구동체들 상에 제공되는 가이드 수단들에 의해 하우징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장착된다. 제1 구동체들을 위한 가이드 수단들은 구동 유닛의 안내를 위해서도 이용됨으로써, 구동 유닛과 특히 다수 부재형인 구동 슬라이드, 그리고 구동 스핀들과 관련하여 가이드 수단들은 배제될 수 있다. 그 결과, 어셈블리의 구조적인 구성은 계속하여 단순화된다.
본 발명은, 제2 양태에 따라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에 각각 할당되는 구동체들이 각각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통해 개량된다. 계속하여 앞서 기술한 제1 양태에 따른 보상 척의 경우 대각선으로 상호 간에 대향하는 각각 한 쌍의 구동체들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배치되는 반면에(이로 인한 결과, 각각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호 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는 일측 쌍의 구동체는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되는 반면, 각각 타측의 인접한 구동체들은 상호 간에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제2 양태에 따라서는 구동 유닛의 구동 동안, 두 구동체 쌍이 상호 간에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각각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도 동기화되어 함께 이동된다. 그러나 제2 양태에 따르는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제1 양태에 따르는 본 발명과 동일한 장점들을 가지며, 이런 까닭에 이와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설명내용들이 참조된다.
바람직하게 제2 양태에 따라서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에 의해 각각 상호 간에 연결된다. 제1 양태에 따르는 보상 척의 경우 회동 가능한 부재 형태의 커플링 부재가 배제될 수 있는 반면, 제2 양태에 따라서는 상기 회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가 제공된다. 그러나 그 결과 시스템 강성에서 잠재적으로 감수해야 하는 낮은 손실은, 4개의 구동체 상호 간의 완전한 대칭 이동이 편향에 의해 달성되는 것을 통해 보상된다. 그 결과, 구동 유닛의 링크 기구의 전체적으로 구조상 더 단순한 구성이 실현된다. 또한, 고정 동안 중심성은 훨씬 더 개량된다. 바람직하게는 구동체들 중 각각 하나의 구동체는, 구동체들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베이스 조들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조들 중 하나의 베이스 조와 맞물린다. 이런 실시예에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의 회동 가능한 연결의 장점이 특히 분명해진다. 요컨대 제2 구동체 평면이 배제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 유닛의 링크 기구는 더 적은 이동식 부재들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베이스 조들은 슬라이딩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구동체들 중 하나의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안내된다. 이런 점에 한해, 제2 양태에 따르는 본 실시예는, 베이스 조들의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 제2 구동체들이 아니라 보상 척의 (제1) 구동체들이 직접 맞물린다는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는 실시예와 유사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구동 유닛은 각각의 구동체를 위해 별도의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구동체들 각각은 각각의 슬라이드 상에 고정 배치된다. 이런 점도 제1 양태에 따르는 실시예와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는 실시예를 구분 짓는다. 제2 양태에 따라서 2개의 구동체가 하나의 슬라이드 상에서 더 이상 각각 고정되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4개의 모든 구동체가 별도의 슬라이드들 상에 배치된다. 커플링 부재들에 의해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의 연결을 통해, 제3 및 제4 슬라이드는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드에 대해 동기화되어 함께 이동된다. 제3 및 제4 슬라이드의 수용 및 장착에 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슬라이드의 경우와 동일한 기술적 구현이 적용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라서, 보상 척은 자신의 구동 유형과 관련하여 개량된다.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를 포함한 다수의 공통의 양태와 관련하여서는, 그 외에 하기의 도들에서도 제시되는, 본원에서 앞서 기술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참조된다.
제1 양태에 따라서 개량되는 보상 척은 마찬가지로 구동 유닛을 포함하며, 이 구동 유닛은 공작 기계의 파워 척킹 유닛(power chucking unit)에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구동 피스톤을 포함한다. 구동 피스톤은 리프팅 피스톤 또는 척 피스톤으로서도 지칭된다. 바람직하게 구동 피스톤은 공작 기계의 파워 척킹 유닛의 견인 관(draw tube)과 연결될 수 있는 커플링 부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컨대 드로 볼트(draw bolt)일 수 있고, 이 드로 볼트의 볼트 헤드는 구동 피스톤의 내부에서 리세스부(recess) 내에 수용되며, 그리고 장력이 파워 척킹 유닛에서 구동 피스톤 상으로 승강축(H)(lifting axis)의 방향으로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견부 쪽에서 지지된다. 시장에서 구입할 수 있는 다종다양한 공작 기계는 일부 서로 상이한 견인 관들 내지 견인 봉들(draw rod)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척의 연결을 위해 대체되거나 추가되는 방식으로 구동 피스톤과 견인 관 어댑터를 연결할 수 있으며, 이 견인 관 어댑터는 파워 척킹 유닛의 고정력을 전달하기 위해 구동 피스톤에 작용하고 구동력의 전달을 위해서는 파워 척킹 유닛의 견인 관 내지 견인 봉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승강축(H)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 피스톤은 바람직하게는 승강축(H)의 방향 외부에서의 이동은 최대한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방식으로 안내되도록 보상 척 내에 수용된다. 이는 클램핑 척의 유격 부족 내지 유격 부재(不在)에 기여한다. 또한, 구동 유닛은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활주편을 포함하며, 이들 활주편은 각각 승강축(H)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구동 피스톤의 해당 리세스부들 내에서 안내된다. 활주편들은 슬라이드 유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해당 그루브들 내에 활주 안내되는 방식으로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활주편들은, 승강축(H)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구동 피스톤의 이동이 (승강축과 관련하여)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동체, 또는 하나의 구동체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구동체들과 연결된다.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활주편들은 돌출부들을 각각 포함하며, 이 돌출부들은,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으로, 승강축(H)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각각의 활주편의 이동이, 승강축(H)에 대해 수직으로 수행되는, 활주편과 연결된 구동체들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구동체들과 연결된다. 이미 (제1 양태의 경우) 복수의 구동체 상호 간의 상호작용, 또는 베이스 조들과 구동체들의 상호작용(제1 및 제2 양태의)에 의해 기대되는 상기 유형의 슬라이딩 가이드는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는 보상 척에서도 구동체들의 유격 없는 이동에 기여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활주편들은 승강축(H)과 관련하여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커플링 부재에 의해 연결되며, 그리고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다. 활주편들의 연결 및 상호 간 동기식 이동성은 실질적으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요컨대 승강축(H)의 방향으로 구동 피스톤이 이동할 때, 우선,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가이드 및 이 가이드 내로 맞물리는 활주편들의 돌출부들의 결과로서, 구동체들은 동기화되어 상호 간에 접근 또는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동체가, 예컨대 고정될 공작물에 인접하는 것을 통해 차단된다면, 승강축(H)의 방향으로 구동 피스톤의 구동 이동이 계속될 때, 활주편들은 자신의 가이드를 기반으로 구동 피스톤에 상대적으로 측면으로 이동된다. 활주편들 상호 간의 연결로 인해, 일측 방향으로 제1 활주편의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속도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제2 활주편의 동기식 이동으로 이어진다. 이로 인해, 다시금,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고 차단되지 않은 두 구동체는 다른 쌍의 구동체들의 차단에도 불구하고 계속 이동되며, 공작물의 완전한 고정 및 중앙 파지가 달성된다. 구동체들 사이에서, 그리고 그에 따라 보상 척의 베이스 조들 사이에서 최대 보상 거리 내지 최대 거리 차이의 값에 따른 레벨은, 본 양태에 따른 보상 척의 경우, 결정적으로 활주편들 상호 간의 보상 거리의 길이 내지 그 상대적 이동성의 정도에 따라서 결정된다. 상기 값에 따른 레벨은 재차 특히 활주편들을 연결하는 커플링 부재들의 유형 및 그 길이를 통해 결정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라서, 그리고 첨부한 도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는 보상 척를 도시한 전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보상 척을 부분 조립 상태로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따른 보상 척을 추가의 부분 조립 상태로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보상 척을 추가의 부분 조립 상태로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구동 유닛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보상 척 및 도 4 및 도 5에 따른 구동 유닛의 부분들을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7은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8은 전술한 도들에 따른 부분 조립된 보상 척을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9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의 부분 조립 상태를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을 제1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을 제2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2a 내지 도 12d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을 제3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3a 내지 도 13d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을 제4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d는 전술한 도들에 따른 보상 척을 제5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 조립된 보상 척을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17은 도 15 및 도 16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18a 및 18b는 도 15 내지 도 17에 따른 보상 척을 제1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들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5 내지 도 18에 따른 보상 척을 제2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5 내지 도 19에 따른 보상 척을 제3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이한 도이다.
도 21은 도 15 내지 도 20에 따른 보상 척을 제4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 따르는 부분 조립된 보상 척을 도시한 3차원도이다.
도 23a 및 도 23b는 도 22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24a 및 도 24b는 도 21에 따른 보상 척을 도 23a 및 도 23b에 상응하지만 또 다른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도이다.
도 25는 도 22 내지 도 24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제1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6은 도 25에 따른 클램핑 척을 제2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7은 도 21 내지 도 26에 따른 보상 척을 제3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8은 도 21 내지 도 27에 따른 보상 척을 제4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29는 도 21 내지 도 28에 따른 보상 척의 일부분을 제4 작동 상태에서 도시한 추가의 3차원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상 척(1)이 도시되어 있다. 보상 척(1)은 하우징(3)을 포함한다. 하우징(3)은 하부 하우징부(5)와 상부 하우징부(7)로 분할된다. 하부 하우징부(5)는 기능상 구동 유닛(11)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부(7)는 기능상 복수의 베이스 조(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완전한 조립 상태에서 총 4개의 베이스 조(9)가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면서 중앙에서는 서로 향해 정렬되고 하우징부(7)의 상응하는 리세스부들 내로 삽입된다. 베이스 조들(9)은 선형으로 활주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하우징(3)의 상부 하우징부(7) 내에서 안내된다. 안내를 위해서는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들 및 그에 적합한 상응하는 돌출부들(13a,b)이 이용된다. 베이스 조들은 도 1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신들의 외부 표면 상에 그에 부합하게 형성된 클램핑 조들과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 수단들(15)을 각각 포함한다.
하우징(3)의 하부 하우징부(5)는 구동 유닛(11)을 내포하고 있다. 하우징(3) 내의 측면 리세스부(17)는, 구동 스핀들(19)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며, 구동 스핀들은 리세스부(17)를 통과하여 바깥쪽을 향해 연장된다. 도 1에 도시된 보상 척의 조립 상태는, 도 2에 따른 도면에서 하우징(3)의 하부 부재(5)만이 구동 유닛(11)과 함께 도시되어 있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상태와 구별된다.
하우징(3)은 자신의 내부에 수용부(21)를 포함하고, 이 수용부 내에 구동 유닛(11)이 활주하는 방식으로, 특히 유격 없이 장착된다. 구동 유닛(11)은 제1 정지면(23),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17)와 관련된 말단과, 제2 정지면(25), 바람직하게는 리세스부(17)에 대한 중심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유닛과 관련된 상세내용들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도 4 및 도 5에서 더 상세하게 다루어진다.
도 3에 따른 부분 도면에서, 도 2에 여전히 하우징(3)의 하부 부재(5)의 내부에 도시되어 있는 구동 유닛(11)은 제거되어 있다. 따라서 정지면들(23, 25) 사이에서 구동 유닛(11)의 변위 방향으로 이 구동 유닛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리세스부(27a ~ d)가 잘 확인된다. 서로 대향하는 리세스부들(37a,d; 27b,c) 사이에는 2개의 슬라이드 레일(29a,b)이 제공된다. 슬라이드 레일들(29a,b)은, 최대한 적은 힘이 드는 변위 이동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동 유닛(11)과 하우징(3) 사이에 최대한 작은 마찰 값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4에는, 구동 유닛(11)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구동 유닛(11)은 조립 상태에서 하우징(3)의 리세스부(17)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구동 스핀들(19)의 단부 상에 헤드 섹션(31)을 포함한다. 헤드 섹션(31)은 렌치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구동 스핀들(19)은 제1 영역에서 제1 나사 섹션에 의해 제1 슬라이드(33)와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제2 영역에서는 제2 나사 섹션으로 힘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제2 슬라이드(35)와 연결된다. 헤드 섹션(31)을 통한 구동 스핀들(19)의 회전 구동을 통해, 제1 슬라이드(33) 및 제2 슬라이드(35)는 서로 반대되는 나사 피치들로 인해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구동 유닛(11)은 총 4개의 제1 구동체(37a ~ d)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35)에 상대적인 제1 슬라이드(33)의 상대 이동을 통해, 구동체들(37a,c)은 구동체들(37b,d)에 상대적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로, 제1 쌍의 제1 구동체들(37a,c)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그리고 제2 구동 슬라이드(35)와는 고정 연결되며, 그에 반해 제2 쌍의 제1 구동체들(37b,d)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게, 그리고 구동 유닛(11)의 제1 슬라이드(33)와는 고정 연결된다.
도 4에는, 그 밖에도, 하우징(3)의 내부에서 구동체들을 추가로 지지하면서 이들 구동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2개의 지지 레일(39a,b)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체들(37a ~ d)은 도 4에서 (부분적으로 은폐되어 있는) 아래쪽 면 상에 돌출부들(41)을 각각 포함하며, 이 돌출부들은 가이드들(27a ~ d)에 부합하게 형성되어 유격 없이 상기 가이드들 내에서 활주할 수 있다. 구동 유닛에 대한 추가의 상세내용들은 도 5에서 제시된다.
도 5에는, 구동 유닛(11)의 슬라이드들(33, 35)에 대한 구동체들(37a ~ d)의 연결이 도시되어 있다. 구동체들(37a,c)은 부합하게 형성된 그루브들(43a) 및 돌출부들(43b)에 의해 제2 슬라이드(35)와 연결될 수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체들(37b,d)은 해당 그루브들(45a) 및 돌출부들(45b)에 의해 구동 유닛(11)의 제1 슬라이드(33)와 연결될 수 있다. 구동체들(37a ~ d)은 도 5에서 위쪽에 위치하는 자신의 측면 표면 상에 돌출부(47a ~ d)를 각각 포함한다.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구동체들(37a,b)의 인접한 돌출부들(47a,b)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한 인접한 구동체들(37c,d)의 돌출부들(47c,d)도 마찬가지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된다.
도 4 및 도 5에서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구동 유닛(11)은, 이미 도 2에서도 설명된 것처럼, 도 6에 따른 도면에서 하우징(3) 내로 삽입된다. 보상 척(1)의 하우징(3)의 하부 부재(5)의 상부에는 총 4개의 제2 구동체(51a ~ d)가 형성된다. 제2 구동체(51a ~ d)는 자신의 하면 상에 리세스부(49a ~ d)를 각각 포함한다. 리세스부들(49a ~ d)은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그리고 제1 구동체들(37a ~ d)(도 5)의 해당 돌출부들(47a ~ d)을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제2 구동체들(51a ~ d)은 리세스부들(49a ~ d)에 대향하는 자신의 면 상에 돌출부(53a ~ d)를 각각 포함한다.
제1 구동체들(37a ~ d)(도 4, 도 5)은 하우징(3)의 리세스부(21)(도 2)의 내부에서 제1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이동 축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는 반면, 제2 구동체들(51a ~ d)은 제1 축과 다른 제2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축의 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제2 구동체들(51a ~ d)이 리세스부들(55a,b)로서 하우징(3)의 상부 부재(7)의 하면에 구성되는 해당 가이드들 내로 삽입됨으로써 달성된다. 제2 구동체들(51a,b)은 예컨대 리세스부(55b) 내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반해 제2 구동체들(51c,d)은 리세스부(55a)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각각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리세스부들(55a,b)로부터 관통구들이 하우징(3)에 구성되며, 이 관통구들은 베이스 조들(9a ~ d)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부들 안쪽까지 연장된다. 관통구들은 도면 부호 57a ~ d로 표시되어 있다.
하우징(3)의 상부 부재(7)는 도 7에 하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되어 있고, 그에 반해 상기 상부 부재는 도 8에서는 상부로부터 비스듬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각각 예컨대 도 1에서의 보상 척의 배향과 관련하여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조들(9a ~ d)은 도 8에 따라서 부분적으로 이를 위해 제공된 하우징(3)의 가이드 리세스부들 내로 삽입된다. 부분적으로, 도 8에서는, 베이스 조들(9a ~ d)이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구들(57a ~ d)의 방향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면들 상에 리세스부(59a ~ d)를 각각 포함하고 있는 점이 식별된다. 리세스부들(59a ~ d)은 제2 구동체들(51a ~ d)의 돌출부들(53a ~ d)(도 6)을 위한 수용부로서,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딩 가이드로서 이용된다. 리세스부들(55a,b)을 통해 사전 설정되는 제2 이동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2 구동체들(51a ~ d)의 이동은 베이스 조들(9a ~ d)과의 연결을 통해 베이스 조들(9a ~ d)을 수용하는 해당 리세스부들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이동으로 전환된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3)의 하부 부재(5)와 상부 부재(7)를 조립하는 것을 통해, 도 1에 따른 완전히 조립된 상태가 형성된다. 고정은, 예컨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 또는 복수의 나사 연결부(61)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척의 구조적인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 반면, 하기의 도 10 내지 도 14에서는 특히 개별 부품들의 기능상 상호작용이 설명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도 1 내지 도 10의 클램핑 척의 몇몇 구조 부재들의 도면부호들은 이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또다시 기재되는 반면, 도 11a 내지 도 11d, 도 12a 내지 도 12d, 도 13a 내지 도 13d, 및 도 14a 내지 도 14d에서는 각각 보상 척(1)의 링크 기구의 부재이거나, 또는 링크 기구와 상호 작용하는 부재들만이 도면부호로 표시된다.
도 10a 내지 도 10d에는, 보상 척(1)이 제1 작동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제1 작동 위치는 베이스 조들(9a ~ d)이 최대 넓게 개방된, 다시 말하면 상호 간에 이격 이동된 위치에 상응한다. 도 10a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구동 유닛(11)은 구동 스핀들(19)의 구동을 통해, 제1 쌍의 제1 구동체들(37a,c) 및 제2 쌍의 제1 구동체들(37b,d)이 각각 제1 최종 위치에 머무르는 방식으로 이동되었다. 제1 구동체(37a)는 정지면(21)과 인접하여 위치되며, 그에 반해 제1 구동체(37d)는 그에 대향하는 정지면(25)과 인접하여 위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자신들의 슬라이딩 가이드들에 의해 제1 구동체들(37a ~ d)과 맞물리는 제2 구동체들(51a ~ d)은 좌측 최종 위치[제2 구동체들(51a,b)] 내지 우측 최종 위치[제2 구동체들(51b,d)]로 이동된다(도 10b).
제1 구동체들은 축(A)의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는 것을 통해 자신들의 각각의 위치로 이동되었으며, 그에 반해 제2 구동체들(51a ~ d)은 축(B)의 방향에 대해 평행한 상응하는 이동을 통해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었다.
공통의 중심점(Z)으로 향해 정렬되는 도 10c에 도시된 베이스 조들(9a ~ d)은 축들(C1 및 C2)의 방향으로 수행된 이동을 통해 도시된 최종 위치로 이동되었으며, 이 최종 위치에서 베이스 조들은 바람직하게는 모두 중심점(Z)까지 동일한 이격 간격을 갖는다. 그 결과, 도 10에 도시된 보상 척(1)의 상태가 제공된다.
구동 유닛(11)이 도 10a 내지 도 10d에서 출발하여 활성화되면, 이제 기본적으로 4개의 모든 제1 구동체(37a ~ d)가, 자신의 이동을 방해받지 않는 한, 이동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구동체들(37a,c)은 축(A)의 방향에서 하향 이동되고, 그에 반해 제1 구동체들(37b,d)은 축(A)의 방향에서 상향 이동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구동체들(37a,c)이 자신의 이동을 방해받는다면, 구동체들은 구동 스핀들(19)의 작동 동안 자신의 위치에 머무르고, 구동체들(37b,d)만이 이동된다. 이런 상태는 도 11a 내지 도 11d에 도시되어 있다. 구동체들(37b,d)은 화살표(P1)의 방향으로 축(A)을 따라서 상향 이동되었다. 구동체 쌍들 중 하나의 구동체 쌍만의 상대 이동의 결과로, 구동 유닛(11)은, 자신의 질량 중심이 변위됨으로써, 도 10에 따른 상태에 비해 화살표(P1)의 방향으로 그에 상응하게 이동되었다.
제2 구동체들(51a ~ d)과 제1 구동체들의 연결로 인해, 제2 구동체들(51a,c)은 도 11b에 따라서 변함없이 도 10b에서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다. 그러나 제2 구동체들(51b,d)은 화살표(P2 내지 P3)의 방향으로 축(B)을 따라서 좌향 내지 우향 이동되었다. 제1 구동체들(37a ~ d) 상에서, 그리고 제2 구동체들(51a ~ d)의 상응하는 돌출부들 상에서 돌출부들의 입사각은, 바람직하게는, 제1 구동체들(37b,d 내지 37a,c)이 이동될 때 제2 구동체들(51b,d) 및 제2 구동체들(51a,c)이 각각 정확히 등거리로 이동되도록 선택된다.
도 11c 및 도 11d에서 식별되는 것처럼, 제2 구동체들(51b,d)과 연결되는 베이스 조들(9b,d)은 각각 등거리로 클램핑 척 중심점(Z)의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인접한 베이스 조들(9a,b 내지 9b,c 내지 9c,d 내지 9d,a) 간의 상대 이동은, 결과적으로, 구동 유닛(11)이 리세스부(21)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도 10에 따른 상태에서 도 11에 따른 상태에 이를 때까지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통해 가능해졌다.
도 11에 따른 상태로의 이동에 대체되는 방식으로, 도 10에 따른 기본 위치에서 출발하여 도 12a 내지 도 12d에 따른 상태로의 이동도 가능하다. 도 12a에는, 제1 구동체들(37b,d)의 위치가 도 10a에 비해 변함없이 유지되지만, 그러나 그에 반해 제1 구동체들(37a,c)은 도 10a에 따른 자신들의 최종 위치에서 도 12a에 따른 그에 대향하는 최종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제1 구동체(37c)가 제1 구동체(37d)와 똑같은 정도로 정지면(25)에 인접해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그 결과, 구동체들(37a,c)은 자신들을 연결하는 슬라이드와 함께 화살표(P6)의 방향으로 축(A)을 따라서 이동되었다.
도 12b에는, 정확히, 제2 구동체들(51b,d)이 변함없이 이미 도 10b에서 확인되는 것과 같은 위치에 위치해 있는 점, 요컨대 완전히 좌측[제2 구동체(51d)]에, 또는 완전히 우측[제2 구동체(51b)]에 위치해 있는 점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 구동체들(37a,c)의 상대 이동으로 인해, 제2 구동체(51a)는 화살표(P7)의 방향으로 우향 변위되었고, 제2 구동체(51c)는 화살표(P8)의 방향으로 좌향 변위되었다. 리세스부(21)의 정지면들을 통한 제한으로 인해, 도 12c 및 도 12d에 따라서 이젠 베이스 조들(9a,c)이 중심점(Z)에 최대한 가까운 자신의 위치에 위치되며, 그에 반해 베이스 조들(9a,c)은 화살표들(P9 및 P10)의 방향으로 각각 축(C1)을 따라서 하향 이동되었다. 이로부터, 베이스 조 쌍들(9a,c 내지 9b,d) 상호 간의 최대 동일하지 않은 조정은 인접한 제1 구동체들(37a,b 내지 37c,d)이 함께 리세스부(21)를 제한하는 정지면들(23, 25) 중 하나의 정지면에 인접해 있는 상태들을 통해 결정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13a 내지 도 13d에는, 추상적으로 고려할 때 도 11 및 도 12에 따른 두 상태로 구성되고 예컨대 도 12a 내지 도 12d에서 달성된 상태로부터 출발하여 구동 유닛(11)의 구동을 계속 실행할 때 획득되는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체들(37a,c)의 이동에 추가로, 리세스부(21) 내에서 구동 유닛(11)의 추가 이동 및 추가 편향 내지 활주를 통해, 구동체들(37a,c)에 상대적인 구동체들(37b,d)의 상대 이동이 달성되며, 그럼으로써 일측 쌍의 구동체들(37a,c)은 화살표(P6)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에 반해 타측 쌍의 구동체들(37b,d)은 화살표(P1)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는 제2 구동체들(51a ~ d)의 도 13b에 도시된 상태에서도 도시되어 있다. 제2 구동체들(51a,c)은 화살표들(P7, P8)의 방향으로 이동되며, 그에 반해 제2 구동체들(51b,d)은 축(B)의 방향으로 이동되었다.
그 결과로, 도 13c 및 도 13d에는, 베이스 조들(9a,c)이 화살표들(P9, P10)의 방향으로 공통의 중심점(Z) 쪽으로 이동되었고, 베이스 조들(9b,d)은 화살표들(P4, P5)의 방향으로 중심점(Z) 쪽으로 접근 이동된, 베이스 조들(9a ~ d)의 상태가 재현되어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에는, 마지막으로 도 10a 내지 도 10d에 따른 상태에 반대되는 보상 척(1)의 최종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a 내지 도 14d에 따른 상태에서, 제1 구동체들(37a,c)은 화살표(P6)의 방향으로 최대 고정 위치에 상응하는 제2 최종 위치로 이동되었다. 제1 구동체들(37b,d)은 화살표(P11)의 방향으로 축(A)의 방향으로 자신의 제2 최종 위치로 이동되었고, 그에 따라 제1 구동체(37b)는 정지면(23)과 인접할 때까지 이동되었다. 그러므로 제2 구동체들(51b,d)의 쌍뿐만 아니라 제2 구동체들(51a,c)의 쌍도 각각 최대 멀리 축(B)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동되었다. 이는 화살표들(P7, P8)을 중심으로 하는 제2 구동체들(51a,c)의 이동 및 화살표들(P12, P13)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제2 구동체들(51b,d)의 이동에 상응한다.
도 14c 및 도 14d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도 14에 따른 상태에서, 베이스 조들(19a,c)의 쌍뿐만 아니라 베이스 조들(9b,d)의 쌍도 자신의 최대 고정 위치에 위치되며, 보상 척(1)의 중심점(Z)과 관련하여 최대한 가깝게 배치된다.
전술한 설명들에서 제시되는 것처럼, 제1 구동체들(37a ~ d), 제2 구동체들(51a ~ d) 및 베이스 조들(9a ~ d)을 포함하는 링크 기구는, 상호 간에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과 관련된 항시적 중앙 이동뿐만 아니라 인접한 베이스 조들 상호 간의 상대 이동과 관련된 대폭적인 보상 가능성을 보장한다. 모든 이동되는 링크 부재는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고 대부분 평판 몸체로서 형성되기 때문에[특히 구동체들(37a ~ d 및 51a ~ d)], 자신의 구조 높이와 관련하여 매우 조밀한 보상 척(1)이 제공되며, 이런 보상 척은 매우 짧은 레버 비율로 인해 그 외에도 탁월한 힘 전달을 보장한다. 또한, 구동체들(37a ~ d) 내로 힘을 유도하기 위한 구동 스핀들을 포함한 구동 유닛의 직접적인 구성은 손의 힘에 의한 고정 모드뿐만 아니라 모터 지원을 통한 고정 모드도 가능하게 한다.
도 15 내지 도 21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라서 형성되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 척(101)에 대해 다루어진다. 제2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상 척(101)의 실질적인 특징들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앞서 기술한 보상 척(1)의 기능들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기능적인 차이는 하기 설명들이 실질적으로 집중되는 구동 유닛의 정확한 작동 방식에 있다.
보상 척(101)은 구동 유닛(111)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111)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활주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03)의 하부 하우징부(105) 내 해당 리세스부 내에 장착된다. (도시되지 않은) 상부 하우징부는 복수의 베이스 조(109a ~ d)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15에 따라서, 총 4개의 베이스 조(109a ~ d)가 쌍을 이루어 서로 대향하면서 중앙에서는 서로 향해 정렬되며, 하우징의 상응하는 리세스부들 내로 삽입된다. 베이스 조들(109)은 선형 활주하는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하우징(103) 내에서 안내된다. 안내를 위해서는, 도 1 내지 도 14에 따른 보상 척(1)의 경우에서처럼, 각각 평행하게 형성된 가이드 레일들 및 그에 상응하는 해당 돌출부들이 이용된다. 베이스 조들(109)은 도 15에서 상부 방향으로 향하는 자신들의 외부 표면 상에 그에 부합하게 형성된 클램핑 조들과의 연결을 위한 커플링 수단을 각각 포함한다.
구동 유닛(111)은 구동 스핀들(119)을 포함하며, 이 구동 스핀들의 맞물림 섹션은 렌치와 함께 하부 하우징부(105)의 리세스부(117)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구동 스핀들(119)은 제1 나사 섹션에 의해 제1 슬라이드(133)와 연결되고 제2 나사 섹션에 의해서는 제2 슬라이드(135)와 연결된다. 슬라이드들(133, 135)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활주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03)의 내부에 장착된다.
제1 슬라이드(133) 상에는 제1 구동체(137a)가 해당 돌출부와 함께 고정 배치된다. 제2 슬라이드(135) 상에는 추가의 제1 구동체(137d)가 해당 돌출부와 함께 고정 배치된다. 구동체들(137a,d)은 구동 스핀들(119)의 구동에 의해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체들(137a,d)은 각각 자신들에 할당된 베이스 조(109a,d)와 맞물린다. 구동체들(137a,d)과 베이스 조들(109a,d) 사이에는, 구동체들(137)의 이동을 베이스 조들(109)의 반경 방향 이동으로 전환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 척(101)의 실시예는 제3 슬라이드(138)와 제4 슬라이드(139)를 포함한다. 제3 슬라이드 상에는 추가의 구동체(137b)가 해당 돌출부와 함께 고정 배치된다. 제4 슬라이드(139) 상에는 추가 구동체(137c)가 (상응하는) 돌출부와 함께 고정 배치된다.
슬라이드들(133, 138) 내지 구동체들(137b,d)은, 실질적으로 중앙에 배치된 저널(140)과 관련하여,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또한, 슬라이드들(135, 139)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체들(137a,c)과 함께, 저널(140)과 관련하여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137a,c; 137b,d)의 쌍들은 각각의 커플링 부재(142, 144)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142) 및 커플링 부재(144)는 각각 회동 가능하게 저널(140) 상에 장착된다. 그 결과, 구동체(137b)는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동기식 이동을 구동체(137d)로 전달한다. 이와 유사하게, 구동체(137c)는 항시 구동체(137a)의 이동에 대해 반대되는 동기식 이동을 수행한다.
도 16 및 도 17에는, 도 15에 따른 보상 척의 상세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특히, 구동체들(137a,c 및 137b,d)의 연결이 커플링 부재들(142, 144)에 의해 실현되는 점이 식별된다. 커플링 부재(142)는 2개의 저널(150, 152)을 포함하며, 이들 저널은 각각 슬라이드들 내지 구동체들(137b,d)의 해당 리세스부들 내에 맞물린다. 커플링 부재(142)의 회동 이동은, 구동체들(137b,d)의 안내되는 이동성으로 인해, 구동체들(137b,d)의 반대 방향으로 수행되는 선형 이동을 야기한다. 이와 동일한 사항은, 커플링 부재(144)를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구동체들(137a,c)에도 적용된다. 커플링 부재(144)는 2개의 저널(146, 148)을 포함하고, 이들 저널은 각각 구동체들(137a,c)의 해당 리세스부들 내에 맞물린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보상 척(101)의 기능 원리는 제1 실시예에서와 유사한 방식으로 다양한 작동 상태들에 따라서 계속하여 설명된다.
도 18a 및 도 18b에 따라서, 보상 척(101)은 제1 작동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이런 작동 상태에서, 4개의 구동체(137a ~ d)는 기본 위치에서 예컨대 최대 멀리 상호 간에 이격된다. 구동체들(137a ~ d)은 축(A)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체들(137a ~ d)과 맞물리는 베이스 조들(109a ~ d)은 자신들 사이에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로 인해 축들(C1 및 C2)의 방향으로 각각 서로 대향하는 방식으로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다.
구동 유닛의 구동에 의한 구동체들(137a,d) 상호 간의 접근 이동은 각각 맞물려 있는 커플링 부재들의 회동을 야기하며, 그럼으로써 각각 연결된 구동체들(137c,b)은 동기화되어 함께 이동된다.
도 19a 및 도 19b에는, 제1 보상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된 기본 위치에 비해, 구동체들(137a,b)은 화살표들(P1', P2')의 방향으로 편향되었다. 나머지 구동체들은 항상 도 18a 및 도 18b에 따른 기초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4개의 구동체 중 2개만이 이동된 것을 통해, 베이스 조들 중 2개만이 이동되었다(도 19b 참조). 베이스 조들(109a,c)은 화살표들(P3', P4')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 도 18에 따른 위치에서 나머지 구동체들의 체류는 예컨대 구동체들 중 하나의 구동체가 자신의 위치에 고정됨으로써, 또는 베이스 조들과 연결된 클램핑 조들이 이미 공작물을 파지하고 그에 따라 계속하여 고정될 수 없게 됨으로써 달성된다.
도 20a 및 도 20b에는, 도 19a 및 도 19b에 대해 전도된 보상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보상 척(101)은, 도 18a 및 도 18b에 따른 기본 위치에 비해, 구동체들(137b,d)이 이동되었고 그에 반해 이들 구동체에 인접한 나머지 구동체들은 각각 기본 위치에서 유지되는 정도로 이동되었다. 또한, 그 결과, 도 20b에 따라서, 베이스 조들(109b,d)만이 화살표들(P7', P8')의 방향으로 축(C2)에 대해 평행하게 이동되었고, 그에 반해 나머지 베이스 조들 및 구동체들은 이동되지 않았다.
도 21에는, 요약하여, 이전의 도 19 및 도 20에 각각 도시된 화살표들의 방향으로 도 18에 따른 기본 위치에서 도 21에 따른 완전한 폐쇄 위치로 수행되는 4개의 모든 구동체(137a ~ d)의 조합된 이동이 도시되어 있다. 베이스 조들(109a ~ d)은 도 19 및 도 20에 따른 화살표들의 방향으로 그에 부합하게 기본 위치에서 폐쇄 위치로 이동되었다.
도 22 내지 도 29에는, 특히 파워 클램핑을 위해 개량된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척의 제3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상 척의 구성의 실질적인 부재들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양태에 따른 보상 척의 기술적 상세부분과 유사하거나 동일하다.
도 22에는, 부분 조립된 보상 척(201)의 3차원도가 도시되어 있다. 몇몇 부재들은 보상 척의 내부 구성의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보상 척(201)은 하우징(203)을 포함하며, 이 하우징의 하부 하우징부(205)가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03) 내에는 4개의 구동체(237a ~ d)가 이동 가능하게, 바람직하게는 선형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구동체들(237a ~ d)은 바람직하게는 승강축(H)에 대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보상 척(201)은, 파워 클램핑용으로 형성된 구동 유닛(211)을 포함한다. 구동 유닛(211)은 도 22에서 상부의 원통형 내지 중공 원통형 섹션을 구비하는 구동 피스톤(261)을 포함하며, 이 구동 피스톤은 하우징(203) 내에서 안내되는 방식으로 승강축(H)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유닛(211)은 견부 유형으로 형성된 본체(265)를 포함하며, 이 본체 내에는 제1 횡방향 그루브(267a) 및 제2 횡방향 그루브(267b)가 제공된다. 횡방향 그루브들(267a,b)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승강축(H)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정렬된다. 횡방향 그루브들(267a,b) 내에는 각각의 활주편(269a, 269b)이 수용된다(도 29 참조). 269a는 구동체들(237a,d) 내에 제공되는 그에 상응하는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과 맞물리기 위한 돌출부들을 포함한다(도 29 참조). 제2 활주편(269b)도 동일한 방식으로 형성되어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이 돌출부들은 구동체들(237b,c) 내에 제공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275b,c)과 그에 부합하게 맞물린다.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275a 내지 d) 내에서 상기 돌출부들(277a 내지 b)을 통해 승강축(H)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구동 피스톤(261)의 이동은 구동체들(237a ~ d)의 횡방향 이동으로 전환된다.
구동체들(237a ~ d)은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통해 각각의 베이스 조(209a ~ d)와 맞물린다(도 29 참조).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통해, 구동체들(237a ~ d)의 횡방향 이동은, 이전 실시예들에서 공지된 유형 및 방식으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보상 척 내에 수용되는 베이스 조들(209a ~ d)의 반경 방향 이동으로 전환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는 실질적으로 이미 이전의 실시예에 도시된 링크 기구와 같이 기능한다.
하기의 도들에는, 더 나은 명확성을 위해, 부분적으로 모든 도면 부호가 모든 도에서 반복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도면들에 따라서, 반복되는 특징들은 즉시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3a에는, 구동체(237d)에 추가로, 구동 피스톤(261)(도 22 참조)도 도시되어 있지 않다. 구동 유닛은 제1 커플링 부재(271a)와 제2 커플링 부재(271b)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들(271a,b)은 각각 2개의 저널(273a,b; 273c,d)에 의해 활주편들(269a,b)과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들(271a,b)은, 제1 방향으로 수행되는 활주편(269a)의 이동이 제2 활주편(269b)의 반대 방향의 동기식 이동을 야기하고, 그리고 그 반대로도 수행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도 23a 및 도 23b에는, 부분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보상 척(201)이 최대로 개방된 제1 작동 위치로 도시되어 있다. 활주편들은 승강축(H)의 방향에서 상부의 최종 위치에 위치된다.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275a ~ d)로 인해, 구동체들(237a,d) 및 구동체들(237b,c)은 각각 최대 멀리 상호 간에 이격되어 있다. 구동 피스톤(261)(도 22 참조)이 이제 승강축(H)의 방향으로 이동된다면(도 22에 도시된 정렬에서는 하향 이동), 도 24a 및 도 24b에 따른 형상이 제공된다. 구동 피스톤(261)이 도 23a 및 도 23b로부터 출발하여 도 24a 및 도 24b에 따른 상태 쪽으로 복귀하는 경로는 화살표(P16)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구동체들(237a,d 내지 237b,c)은 화살표들(P14, P15)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되었다. 이는 승강축(H)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275a ~ d)을 통해 달성된다.
구동체들(237a 내지 d)의 이동과, 이와 연결되는, 브레이스 조들(209a ~ d)의 고정 이동 간의 상호작용은 도 25 내지 도 28에 다시 도시되어 있다. 도 25에는, 우선 도 23a 내지 도 23d에 따른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구동체들(237a 내지 d)은 활주편들(269a,b)의 위치로 인해 승강축(H)의 방향에서 상부에 있는 자신들의 최종 위치에서 최대 멀리 상호 간에 이격된다. 이런 제1 최종 위치로 인해,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통해 구동체들(237a 내지 d)과 연결되는 베이스 조들(209a ~ d)도 자신들의 상응하는 제1 외부 최종 위치에 위치된다. 베이스 조들(209a,c)은 반경 방향 축(C1")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며, 그에 반해 베이스 조들(209b,d)은 반경 방향 축(C2")의 방향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된다. 도 25에 따른 상태에 비해, 도 26에 따른 상태에서 두 베이스 조(209b,d)는, 예컨대 공작물의 파지를 통해 차단된다. 파지하는 시점에서부터 계속되는 구동 피스톤(261)(도 22 참조)의 구동은, 활주편들(269a,b)이 반대 방향으로 승강축(H)의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편향되게 한다. 이는 마찬가지로 차단된 구동체들(237b,d)의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의 리세스부들 내에서 그에 따른 활주를 통해 실현된다. 그 대신, 각도(α2)를 중심으로 하는 저널들(271a,b)의 회동 이동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보상 이동으로 인해, 구동체들(237a,c)은 화살표들(P18, P19)의 방향으로 계속하여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된다. 따라서 베이스 조들(209a,c)은 차단된 베이스 조들(209b,d)에 비해, 공작물의 보상하는 파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계속하여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된다.
도 27에는, 반대되는 보상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에 따른 상태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체들 중 2개의 구동체의 차단으로 인해, 활주편들(269a,b)의 보상 이동이 개시되었다. 각도(α1)를 중심으로 하는 저널들(271a,b)의 회동 및 활주편들(269a,b)의 전술한 보상 이동으로 인해, 차단되지 않은 구동체들(273b,c)은 화살표들(P14, P15)의 방향으로 상호 간에 접근 이동되며, 이는 차단된 베이스 조들(209a,c)에 상대적으로 화살표들(P16, P17)의 방향으로 베이스 조들(209b,d)의 접근 이동을 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도 28에는, 보상 척(201)이 완전하게 폐쇄되어 있는, 보상 척의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저널들(271a,b)은 도 25에서와 같이 자신의 중립 위치에 위치된다. 그에 따라, 활주편들(269a,b)은 마찬가지로 중립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동체들(237a,d)은 구동체들(237b,c)처럼 최대로 상호 간에 접근된다. 그 결과로서, 베이스 조들(209a,c 및 209b,d)도 최대로 상호 간에 접근된다.

Claims (25)

  1. 공작물들을 중앙 고정하기 위한 보상 척(1, 101, 201)으로서,
    - 하우징(3, 103, 203)과,
    -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면서 해당 클램핑 조(clamping jaw)들을 수용하기 위한 두 쌍의 베이스 조들(9a,d; 9b,c; 109a,d; 109b,c; 209a,d; 209b,c)과,
    -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베이스 조들(9a ~ d, 109a ~ d, 209a ~ d)을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상기 보상 척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두 쌍의 구동 가능한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 237a,d; 237b,c)을 구비한 구동 유닛(11, 111, 211)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체들은,
    - 상기 하우징(3, 103, 203) 내에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 각각 한 쌍씩(37a,d; 37b,c; 137a,d; 137b,c; 237a,d; 237b,c) 상호 간에 접근 및 이격되는 방식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그리고
    - 상호 간에 동일한 이동 성분을 갖는 각각 한 쌍의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 237a,d; 237b,c)의 상대 이동은 인접한 베이스 조들(9a,d; 9b,c; 109a,d; 109b,c; 209a,d; 209b,c)의 동기식 이동을 야기하며, 그리고 각각 상이한 이동 성분을 갖는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 237a,d; 237b,c) 상호 간의 상대 이동뿐 아니라, 동일한 방향으로 수행되는 인접한 구동체들(37a,d; 37b,c; 137a,d; 137b,c; 237a,d; 237b,c)의 동기식 이동도 각각 인접한 베이스 조들(9a,d; 9b,c; 109a,d; 109b,c; 209a,d; 209b,c) 상호 간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조들(9, 109, 209) 중 각각의 하나의 베이스 조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상 척(1, 101, 201).
  2. 제1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9a,c; 9b,d)에 각각 할당되는 구동체들(37a,c; 37b,d)은 각각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것인 보상 척(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구동 유닛(11, 111, 211)과 연결되는 슬라이딩 가이드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것인 보상 척(1, 101, 20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들(37, 137, 237)은 제1 축(A)에 대해 평행한 제1 수평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조들(9, 109, 209)은 상기 제1 평면에 대해 평행한 베이스 조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보상 척(1, 101, 201).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들(37)은 제1 구동체들이고, 상기 보상 척(1)은 상기 하우징(3) 내에 활주하는 방식으로 장착되는 제2 구동체들(51)의 집합을 포함하는 것인 보상 척(1).
  6. 제5항에 있어서, 제2 구동체들(51) 중 각각 하나의 구동체는, 제1 구동체들(37)의 이동이 상기 제2 구동체들(51)의 이동에 의해 베이스 조들(9)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한편으로 상기 제1 구동체들(37) 중 하나의 제1 구동체와 맞물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베이스 조들(9) 중 하나의 베이스 조와 맞물리는 것인 보상 척(1).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체들(51)은 제2 축(B)에 대해 평행한 제2 수평 평면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보상 척(1).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조들(9)은 슬라이딩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상기 제2 구동체들(51) 중 하나의 제2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53)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안내되는 것인 보상 척(1).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체들(51)은 슬라이딩 가이드(49)를 각각 포함하며,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상기 제1 구동체들(37) 중 하나의 제1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47)가 유격 없이 안내되는 것인 보상 척(1).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유닛(11, 111)은, 하나의 구동 스핀들(19, 119)과, 해당 나사부에 의해 상기 구동 스핀들(19, 119)과 맞물리는 2개의 슬라이드(33, 35; 133, 135)를 포함하는 것인 보상 척(1, 101).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스핀들(19, 110) 및 상기 제1 슬라이드(33, 133)는 자신들의 맞물림 영역에 제1 나사 피치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구동 스핀들(19, 119) 및 상기 제2 슬라이드(35, 135)는 자신들의 맞물림 영역에 제1 나사 피치와 상이한, 바람직하게는 제1 나사 피치와 반대되는 제2 나사 피치를 포함하는 것인 보상 척(1, 101).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쌍의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움직이지 않는 제1 구동체들(37a,c)은 상기 제1 슬라이드(33) 상에 고정 배치되고, 제2 쌍의 제1 구동체들(37b,d)은 상기 제2 슬라이드(35) 상에 고정 배치되는 것인 보상 척.
  13.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체들(37, 137)의 이동 방향과 상기 구동 스핀들(19, 119)은 상호 간에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인 보상 척.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체들(37, 137, 237)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체들(37, 137) 상에 제공되는 가이드 수단들(41)에 의해, 상기 하우징(3, 103, 203) 내에 바람직하게는 활주하는 방식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인 보상 척(1, 101, 201).
  15. 제1항, 제3항, 제4항, 제10항,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베이스 조들(9, 109a,c; 109b,d; 209a,c; 209b,d)에 각각 할당되는 구동체들(137a,c; 137b,d; 237a,c; 237b,d)은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보상 척.
  16. 제15항에 있어서,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구동체들(137a,d; 137b,c)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수직 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커플링 부재(142, 144)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것인 보상 척.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들(137, 237) 중 각각 하나의 구동체는, 구동체들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베이스 조들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으로, 상기 베이스 조들(109, 209) 중 하나의 베이스 조와 맞물리는 것인 보상 척.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조들(109, 209)은 슬라이딩 가이드를 각각 포함하고, 이 슬라이딩 가이드 내에서는 상기 구동체들(137, 237) 중 하나의 구동체의 해당 돌출부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안내되는 것인 보상 척.
  19.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111)은 각각의 구동체(137a ~ d; 237a ~ d)를 위해 별도의 슬라이드(133, 135, 138, 139; 233, 235, 238, 239)를 포함하며, 그리고 구동체들 각각은 각각의 슬라이드 상에 고정 배치되는 것인 보상 척.
  20. 제19항에 있어서, 구동 스핀들(119)은 4개의 슬라이드 중 2개의 슬라이드(133, 135)와 맞물리며, 그리고 나머지 두 슬라이드(138, 139)는 상기 구동체들(137a,c; 137b,d)의 쌍을 이룬 연결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것인 보상 척.
  21. 제1항, 제3항, 제4항, 제14항, 제15항, 또는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구동 유닛(211)은 공작 기계의 파워 척킹 유닛에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척 피스톤(261)을 포함하는 것인 보상 척(201).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척 피스톤(261)은 승강축(H)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안내되며, 그리고 상기 구동 유닛(211)은 제1 및 제2 활주편(269a,b)을 포함하고, 이들 활주편은 각각 승강축(H)에 대해 소정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수직으로 이동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척 피스톤(261)의 해당 리세스부들(267a,b) 내에서 안내되는 것인 보상 척(201).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편들(269a,b)은, 승강축(H)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상기 척 피스톤(261)의 이동이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2개의 구동체(237a,d; 237b,c) 또는 모든 구동체(237a ~ d)의 이동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체들(237a ~ d)과 연결되는 것인 보상 척(201).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편들(269a,b)은 돌출부들을 각각 포함하며, 이 돌출부들은, 슬라이딩 가이드 유형으로, 승강축(H)의 방향으로 수행되는 각각의 활주편(269a; 269b)의 이동이, 승강축(H)에 대해 수직으로 수행되는, 활주편과 연결된 구동체들(237a,d; 273b,c)의 상대 이동을 야기하는 방식으로, 상기 구동체들(237a ~ d)과 연결되는 것인 보상 척(201).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편들(269a,b)은 승강축(H)과 관련하여 상호 간에 직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커플링 부재(271a,b)에 의해 연결되며, 반대되는 방향으로 상호 간에 동기화되어 이동될 수 있는 것인 보상 척(201).
KR1020157010561A 2013-01-25 2013-11-14 보상 척 KR101915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01231.4A DE102013201231B3 (de) 2013-01-25 2013-01-25 Ausgleichsspannfutter
DE102013201231.4 2013-01-25
PCT/EP2013/073875 WO2014114380A1 (de) 2013-01-25 2013-11-14 Ausgleichsspannfut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713A Division KR20170028448A (ko) 2013-01-25 2013-11-14 보상 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8492A true KR20150058492A (ko) 2015-05-28
KR101915837B1 KR101915837B1 (ko) 2018-11-06

Family

ID=4959629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561A KR101915837B1 (ko) 2013-01-25 2013-11-14 보상 척
KR1020177005713A KR20170028448A (ko) 2013-01-25 2013-11-14 보상 척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5713A KR20170028448A (ko) 2013-01-25 2013-11-14 보상 척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52348B2 (ko)
EP (1) EP2874772B1 (ko)
JP (1) JP5937236B2 (ko)
KR (2) KR101915837B1 (ko)
CN (1) CN104470663B (ko)
DE (1) DE102013201231B3 (ko)
ES (1) ES2581748T3 (ko)
IN (1) IN2015DN00580A (ko)
PL (1) PL2874772T3 (ko)
WO (1) WO20141143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15B1 (ko) * 2020-06-05 2021-09-10 유에 다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금속가공기계의 제로 포지셔닝 메카니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4282A1 (de) * 1994-12-13 1996-06-27 Joachim Kreisl Druckmittelbetätigte Kupplung und Bremse
ES2728302T3 (es) * 2014-12-04 2019-10-23 Hvm Tech Gmbh Mandril de sujeción de fuerza
DE102015102100B3 (de) * 2015-02-13 2016-06-02 Birgitt Karlein Keilstangen-Kraftspannfutter
DE102015204502B4 (de) * 2015-03-12 2016-11-10 Volker Henke Ausgleichsspannfutter zum zentrischen Einspannen von Werkstücken
CN105690413A (zh) * 2016-02-19 2016-06-22 浙江众仙电子科技有限公司 夹爪
CN106426258A (zh) * 2016-09-30 2017-02-22 浙江众仙电子科技有限公司 夹爪
US10875102B2 (en) 2017-09-11 2020-12-29 Eduardo Rodriguez Hybrid holding device
CN109079831B (zh) * 2018-09-30 2024-04-12 中建材凯盛机器人(上海)有限公司 浮动归正抓手
CZ308372B6 (cs) * 2019-04-30 2020-07-01 VĂŤTKOVICE MECHANIKA a. s. Zařízení k eliminaci vyosení soustruženého těžkého obrobku a způsob k jeho realizaci
EP3756820B1 (de) 2019-06-24 2022-12-14 HVM Technology GmbH Nullpunktspannsystem für werkzeugmaschinen, insbesondere dreh- und/oder fräsmaschinen
CN112959239A (zh) * 2021-02-02 2021-06-15 大族激光科技产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对中夹具
EP4074443B1 (de) * 2021-04-14 2024-02-28 SMW-AUTOBLOK Spannsysteme GmbH Spannfutter
CN113814917B (zh) * 2021-10-12 2023-03-28 昆山联滔电子有限公司 一种夹持装置
EP4190471A1 (de) 2021-12-06 2023-06-07 HVM Technology GmbH Ausgleichsspannfutter zum zentrischen einstellen von werkstücken, und werkzeugmaschine mit selbigem
CN114506665A (zh) * 2022-01-28 2022-05-17 倍施力(厦门)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多爪张合机构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66071B (de) 1959-09-24 Electric &. Musical Industries Limited, Hayes, Middlesex (Großbritannien) Mehrbackenfutter
US1727535A (en) 1926-09-13 1929-09-10 Conrad M Conradson Chuck
US1713803A (en) 1926-11-15 1929-05-21 Lucius E Whiton Lathe chuck
US3082015A (en) * 1961-11-28 1963-03-19 Woodworth Co N A Equalizing chuck
JPS461593Y1 (ko) 1967-01-17 1971-01-20
US3698729A (en) 1970-02-19 1972-10-17 Forkardt Paul Kg Power operated clamping device for machine tools
JPS60117010U (ja) 1984-01-13 1985-08-07 エヌオーケー株式会社 チヤツキング装置
JPH0225783Y2 (ko) * 1985-05-24 1990-07-16
JPS6258135U (ko) 1985-09-28 1987-04-10
WO1988008348A1 (fr) * 1987-04-28 1988-11-03 Tbilisskoe Spetsialnoe Konstruktorsko-Tekhnologich Mandrin a serrage concentrique a quatre mors
CH678823A5 (ko) * 1989-06-14 1991-11-15 Rudolf Laube
JPH0732191B2 (ja) 1990-09-05 1995-04-10 国際システムサイエンス株式会社 ワーク位置決め装置
CN2124095U (zh) * 1992-05-03 1992-12-09 潍坊柴油机厂 机床用四爪自定心万能卡盘
WO1998036862A1 (fr) 1997-02-19 1998-08-27 Vakhtang Torotadze Mandrin a quatre griffes cuneiformes a autocentrage (variantes)
JP2004009151A (ja) * 2002-06-03 2004-01-15 Smc Corp 3方向開閉チャック
DE102004001839A1 (de) * 2004-01-07 2005-08-04 Hainbuch Gmbh Spannende Technik Spanneinrichtung
CN101015864A (zh) * 2006-02-08 2007-08-15 现场油田服务有限公司 卡盘及方法
US7654178B2 (en) * 2007-01-02 2010-02-02 Hall David R Hydraulic chuck with independently moveable jaws
WO2011137884A1 (de) * 2010-05-05 2011-11-10 Birgit Karlein Zentrische spannvorrichtung
CN201900283U (zh) * 2010-05-28 2011-07-20 中国航天科技集团公司长征机械厂 六爪两联动自定心卡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715B1 (ko) * 2020-06-05 2021-09-10 유에 다르 인더스트리 컴퍼니 리미티드 금속가공기계의 제로 포지셔닝 메카니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2874772T3 (pl) 2016-11-30
CN104470663B (zh) 2017-03-29
WO2014114380A1 (de) 2014-07-31
US10252348B2 (en) 2019-04-09
DE102013201231B3 (de) 2014-02-13
KR20170028448A (ko) 2017-03-13
CN104470663A (zh) 2015-03-25
ES2581748T3 (es) 2016-09-07
JP5937236B2 (ja) 2016-06-22
EP2874772B1 (de) 2016-04-20
IN2015DN00580A (ko) 2015-06-26
KR101915837B1 (ko) 2018-11-06
EP2874772A1 (de) 2015-05-27
JP2015508713A (ja) 2015-03-23
US20150352642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5837B1 (ko) 보상 척
KR101523551B1 (ko) 다자유도 작업대
CN101954558B (zh) 五轴钢管相贯线切割机
EP1320448B1 (en) A manipulator to move an object in the space with at least three arms
US6918326B2 (en) Vertical lathe
EP2756919B1 (en) Machine tool pallet changer, changing method and machine tool
US20130205957A1 (en) Centric clamping device
DE102011000335B4 (de) Maschine zur Bearbeitung und/oder Messung eines Werkstücks mit zwei schwenkbaren Traversen
JPH06190667A (ja) 切削機械のフレーム構造に使用される複合体並びに機械加工する方法
CN109955067B (zh) 一轴三控门扇锁孔槽加工机
KR20170110719A (ko) 공작물을 중심에 클램핑 고정하기 위한 보상 척
CN105772867A (zh) 具有用于对两个工件进行磨削的磨削工具的磨床
US6526638B2 (en) Device for producing relative motion with two translational degrees of freedom
US11951584B2 (en) Alignment device for adjusting a workpiece on a machine table of a numerically controlled machine tool
JPH11347866A (ja) 工作機械
CN113912005B (zh) 一种基于柔性铰链结构的xy全解耦微运动平台
CN215035305U (zh) 一种龙门加工中心的龙门架
CN112404493A (zh) 一种用于轴心孔加工的高精度打孔装置
CN107186482B (zh) 复合走心式车铣加工中心
KR20110054553A (ko) 터닝센터용 밀링 스핀들의 정렬장치
CN108818042A (zh) 一种钻床通用夹具
CN219005362U (zh) 一种轴座加工用定位装置
CN114786882B (zh) 多自由度并联机构
CN219944664U (zh) 一种龙门式加工中心卡盘
US11872696B2 (en) Redundant parallel mechanism with less actuation and multi-degree-of-freedom outputs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09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228

Effective date: 201807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