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7612A -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7612A
KR20150057612A KR1020130141174A KR20130141174A KR20150057612A KR 20150057612 A KR20150057612 A KR 20150057612A KR 1020130141174 A KR1020130141174 A KR 1020130141174A KR 20130141174 A KR20130141174 A KR 20130141174A KR 20150057612 A KR20150057612 A KR 201500576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perfume composition
oil
present
frag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1818B1 (ko
Inventor
조경숙
황인택
윤봉기
최경주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13014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1818B1/ko
Publication of KR20150057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8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61Essential oils; Perfumes compounds containing a six-membered aromatic ring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국 정유, 꽃향유 정유, 배초향 정유, 로즈제라늄 정유, 쵸코제라늄 정유, 패랭이꽃 정유, 쟈스민 정유, 은방울꽃 정유, 바닐린(Vanillin PGA),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및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로 이루어져 탈취력 및 머스킹 효과가 우수하며, 달콤하고 평안함을 주면서도 시원하고 파우더리한 꽃 향이 나는 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Perfume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oil}
본 발명은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꽃 향이 어우러진 부케형의 꽃 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건강한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장품과 같이 유효성분을 인체 외부에서 공급해야 한다. 이에, 천연에서 추출 분리된 유효성분들이 첨가와 같이 천연소재들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화장품 및 향장품의 제조 특성상 정유나, 허브 추출물이 주로 사용되므로 향료작물 관련 시장은 결코 간과하기 어려운 큰 분야이다. 세계 향료작물 관련 시장 규모는 600억 달러로 추정되며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대중화 사업으로 정착되고 지속적으로 확대 성장하고 있다(2004년, 세계향신산업 동향).
한편, 유럽, 특히 프랑스를 중심으로 고품질의 풍부한 방향식물의 원료확보와 정유 생산 설비의 발달로 향장품 향으로 사용되는 정유를 대량생산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합성향료의 부작용으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하면서 천연향료 개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천연자원에서 추출한 향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방향성 제품개발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한편, 국내 향료산업은 3500억으로 추정되며 매년 6%의 신장세를 보이고 있다. 향료 상품별로는 합성향료 14.8%, 천연향료 17.5%, 식품향료 28.5%, 화장품 향료 29.2%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향료 원료의 수입이 95% 이상으로 2006년에는 천연향료 수입량이 865톤 이였으며, 매년 8%씩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2006년 통계청). 이에 따라, 국내 자생품종을 중심으로 한 우수 천연향료 개발과 함께 수입대체를 위한 천연향 상품화가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1111호(발명의 명칭: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 제조방법 및 그 향수 조성물)에는 생달나무, 붓순나무, 편백나무 중 선택된 나무의 잎과 줄기를 수증기증류법으로 추출한 정유 또는 황칠나무의 칠액과, 찔레꽃 및 아까시나무의 꽃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용매추출법으로 생산한 앱솔루트 또는 녹나무의 잎과 줄기를 수증기증류법 및 용매추출법으로 추출된 앱솔루트로 이루어진 천연향료들 중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천연향료로 준비되는 단계(S100)와; 상기 천연향료가 전체향수조성물에 첨가되어 혼합되는 단계(S2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27969호(발명의 명칭: 천연 백합향을 이용하여 백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는 전체 조성물 100중량%에 대해 리나롤(Linalool) 10~15중량%, 게라니올(Geraniol) 15~20중량%, 헤디온(Hedione) 6~10중량%, 페닐에틸알콜(Phenyl ethyl alcohol) 5~10중량%, 벤질아세테이트(Benzyl acetate) 5~10중량% 및 백합향 추출물 3~5중량%를 함유하여 백합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우리나라의 자생자원과 꽃을 이용한 향수, 방향제 및 탈취제를 개발하여 국민건강에 기여하고 자생자원 활용 증대로 농가 고소득 작물을 육성 및 보급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달콤하고 평안함을 주면서도 시원하고 파우더리한 꽃 향이 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국 정유, 꽃향유 정유, 배초향 정유, 로즈제라늄 정유, 쵸코제라늄 정유, 패랭이꽃 정유, 쟈스민 정유, 은방울꽃 정유, 바닐린(Vanillin PGA),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및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산국 정유 5~15중량%, 꽃향유 정유 5~10중량%, 배초향 정유 5~10중량%, 로즈제라늄 정유 6~15중량%, 쵸코제라늄 정유 5~15중량%, 패랭이꽃 정유 4~10중량%, 쟈스민 정유 4~10중량%, 은방울꽃 정유 4~10중량%, 바닐린(Vanillin PGA) 5~15중량%,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4~5중량% 및 페닐 에틸 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 4~6중량%로 이루어진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산국(Chrysanthemum boreale)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야국(野菊)이라고도 불린다. 산국의 노란색 꽃은 아름답고 향기가 좋으며, 국화주나 국화차로 음용하기도 한다. 한방에서 주로 두통, 제풍열, 청혈해독 등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산국의 성분으로는 정유(essential oil), 리나린(linarin), 루테오린(luteolin)의 배당체, 크리산테민(chrysanthemin), 크리산테막산틴(chrysanthemaxanthin), 다당류, 쿠마린(coumarins), 예유아 락톤(yejuhua lactone)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 중의 주요 성분은 컴펜(comphene), 캄포(camphor), 카본(carvone) 등이 알려져 있다(Planta Med. 64(3):289-290, 한국농화학회지 40(1):85-87). 또한, 산국 꽃의 추출물에 대해서는 중추신경 진정작용이나, 혈압 강하작용, 결핵균과 각종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효과 및 폐암과 간암에 대한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들이 알려져 있다(서울대학교 생약연구소 업적집 14:69-74, 동양자원 식물학회).
꽃향유(Elshooltzia splendens)는 꿀풀과(Labiatae family)에 속하는 식물로서 아시아와 북동 지역에서 서식하며 한방에서는 감기, 오한, 발열, 두통, 복통, 구토, 설사, 전신 부종, 각기, 종기 등을 치료하는 약용식물로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꽃향유는 박하향과 솔향 그리고 다양한 향이 섞여 매우 상쾌향 향을 내는데, 이러한 특유한 향기로 인하여 차로 음용 하거나, 방향제, 비누, 화장품 등에 사용되고 있다.
배초향(Agastache rugosa)은 곽향이라고도 불리며, 꿀풀과(Labiatae)의 다년생 초본으로서 지상부 및 전초를 건조하여 약으로 쓴다. 배초향은 성숙한 것을 포기 전체로 하여 소화, 건위, 진통, 구토, 복통, 감기 등의 한방약재로 사용된 것이 본초강목에 개시되어 있다. 배초향의 이러한 기능으로 주로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우리나라 남도지방에서는 배초향 잎을 전병이나 추어탕 등 찌개류에 풍미 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은은한 솔향기가 나기 때문에 입냄새 제거에 좋다.
로즈제라늄(Pelargonium capitatum)은 구문초라고도 불리며, 쥐손이풀과 여러해살이풀로 허브종류로 제라늄 품종 중 하나이다. 로즈제라늄은 잎과 줄기에서 장미향이 나며, 로즈제라늄 추출물은 무독성 물질로 인체에 무해하고, 각종 해충을 쫓는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쵸코제라늄(Choco Geranjum)은 쥐손이풀과 여러해살이풀로 허브종류로 제라늄 품종 중 하나이다. 잎의 중심부에서 외부로 마치 초콜릿을 바른 것과 같은 진갈색의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진한 쑥향과 국화향이 섞인 듯한 향을 내는 것이 특징이다.
패랭이꽃(Dianthus chinensis L)은 석죽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높이가 30 cm에 달하고 잎은 선형 또는 피침형으로 꽃은 6~8월에 피며, 우리나라 산야에는 패랭이꽃(Dianthus sinensis L)과 갯패랭이꽃(Dianthus japonicas), 술패랭이꽃(Dianthus superbus var . longicalicinus)이 널리 자생하고 있다. 패랭이꽃 전초를 과맥이라고 하며, 꽃과 열매가 달린 전체를 그늘에서 말려 통경, 이뇨제 등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쟈스민(Jasminum polyanthum)은 물푸레나무과 상록성 목본성 덩굴식물로 향이 좋아 꽃을 건조시켜 차로 음용 하거나, 디저트의 향료로도 이용되며, 화장품, 향수 등 다양한 향료 제품에 사용된다.
은방울꽃(Convallaria keiskei Miq)은 꽃의 모양이 은방울을 닮아서 은방울꽃이라는 이름을 얻은 식물로서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며, 한국, 중국, 동시베리아, 일본 등의 산지에서 자란다. 꽃은 은은하고 좋은 향기를 풍겨서 향수화라고도 한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산국 정유, 꽃향유 정유, 배초향 정유, 로즈제라늄 정유, 쵸코제라늄 정유, 패랭이꽃 정유, 쟈스민 정유 및 은방울꽃 정유의 추출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착법을 이용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05539호에 개시된 방법을 이용하여 정유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바닐린(Vanillin PGA)은 향료 조성물에 달콤한 향조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바닐린은 식품과 향장에 모두 사용되는 천연 바닐라빈을 식용 알코올로 추출한 천연 정유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는 장미꽃, 메밀씨, 초콜릿 등에서 발견되는 향이다. 상기 페닐아세트알데히드를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조성하여, 꿀처럼 달콤한 장미향, 신선한 풀향 및 세련된 꽃 향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는 식품향료로도 사용되는 향이다. 상기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를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에 조성하여, 꿀 및 복숭아향과 같은 달콤한 과일 향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향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수는 퍼퓸, 오뜨트왈렛, 샤워코롱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방향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는 액상형, 젤형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탈취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향수, 방향제 및 탈취제에 첨가되는 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자생자원에서 추출한 천연향료를 첨가하여 항스트레스성과 같은 아로마테라피 효능을 가지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탈취력이 우수하고, 은은한 꽃향으로 머스킹 효과가 우수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달콤하고 평안함을 주면서도 시원하고 파우더리한 꽃 향이 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 제조
산국 정유 10 ㎖, 꽃향유 정유 7 ㎖, 배초향 정유 7 ㎖, 로즈제라늄 정유 10 ㎖, 쵸코제라늄 정유 10 ㎖, 패랭이꽃 정유 7 ㎖, 쟈스민 정유 7 ㎖, 은방울꽃 정유 7 ㎖, 바닐린(Vanillin PGA) 10 ㎖,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4.5 ㎖ 및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 5 ㎖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안정성 검사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검사하고자 하였다.
95%의 식물성 알코올 90 ㎖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 10 ㎖를 첨가하여 희석한 후, 50 ㎖ 유리 비커에 10 ㎖씩 담아 3평짜리 밀폐된 공간에 두고 발향을 시켰다. 발향 40분 후, 남자 2명, 여자 2명을 들어가게 한 후, 10분 동안 머물도록 하였다. 그 후, 피부점막 및 안구의 자극도, 두통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안정성을 검사하였다.
샘플 성별 피부자극성 안구적막자극 두통
실시예 1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실험결과(표 1), 상기 표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성, 안구 점막 자극, 두통 모두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향 테스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향질, 향강도 및 잔향 지속성 테스트를 하고자 하였다.
3 L 용량의 향강도 측정용 특수비닐 봉투에 공기를 가득 채운 후, 무처리구(순수공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 5 ㎕를 실리지로 주사한 것을 처리구로 하여 상온(25℃)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향질 및 향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잔향 지속성은 시향지 끝에 본 발명의 항료 조성물을 5 ㎜ 정도 묻혀 25℃의 상온에 방치한 후, 잔향 지속시간을 측정하였다.
조합향료 타입 향질 및 향강도(5 ㎕/3 L) 잔향 지속성
(시향지 테스트)
향질 향강도 이취
무처리(공기) 28 728 없음 없음
플로럴베이스 39 5146 없음 84시간
실험결과(표 2),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향질은 39, 향강도는 5146으로 매우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84시간 이상 잔향이 지속되어,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의 잔향 지속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향수 제조
알코올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을 15 ㎖를 첨가한 후, 첨가제와 방부제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혼합하였다. 그 후, 4주의 숙성기간을 거친 다음, -3℃에서 냉각하여 녹지않는 물질을 침전되게 하고, 감압 필터로 여과하여 향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방향제 제조
실리콘 오일과 실리콘 분말을 90 : 10의 비율로 배합하여 실리콘 배지를 제조한 후,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향료 조성물 15 ㎖를 첨가하여 방향제 100 ㎖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취제 제조
하이드로졸과 순도 95%의 식물성 에탄올을 60 : 40의 비율로 배합하여 수용액을 제조한 후, 계면활성제로 에코 바바수 베타인(Babassuamidopropyl Betain) 5 ㎖와 향료 3 ㎖를 첨가하여 탈취제 100 ㎖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취제의 탈취력 머스킹 효과 확인
본 실험예에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취제의 탈취력 및 머스킹 효과 확인하고자 하였다.
천에 김치 냄새, 불고기 냄새, 쌈장 냄새, 홍어 냄새 및 조기 냄새를 분사한 후,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탈취제를 그 위에 분사한 다음, 냄새를 맡아 탈취력 및 머스킹 효과를 확인하였다.
샘플 김치 냄새 불고기 냄새 쌈장 냄새 홍어 냄새 조기 냄새 머스킹 효과
실시예 4 미약 약함 무취 무취 무취 우수
미약 약함 무취 무취 무취 우수
미약 약함 무취 무치 무취 우수
실험결과(표 3), 김치 냄새는 미약하게 남아 있으나, 쌈장, 홍어 및 조기 냄새는 무취 상태로 되었고, 약간의 산국 및 꽃 향 등이 머스킹되어 탈취 또는 머스킹 효과가 “좋음”으로 평가되었다.

Claims (5)

  1. 산국 정유, 꽃향유 정유, 배초향 정유, 로즈제라늄 정유, 쵸코제라늄 정유, 패랭이꽃 정유, 쟈스민 정유, 은방울꽃 정유, 바닐린(Vanillin PGA),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및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은 산국 정유 5~15중량%, 꽃향유 정유 5~10중량%, 배초향 정유 5~10중량%, 로즈제라늄 정유 6~15중량%, 쵸코제라늄 정유 5~15중량%, 패랭이꽃 정유 4~10중량%, 쟈스민 정유 4~10중량%, 은방울꽃 정유 4~10중량%, 바닐린(Vanillin PGA) 5~15중량%, 페닐아세트알데히드(Phenylacet aldehyde) 4~5중량% 및 페닐에틸이소부티레이트(Phenyl ethyl isobutyrate) 4~6중량%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향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탈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료 조성물.
KR1020130141174A 2013-11-20 2013-11-20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10154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74A KR101541818B1 (ko) 2013-11-20 2013-11-20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1174A KR101541818B1 (ko) 2013-11-20 2013-11-20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612A true KR20150057612A (ko) 2015-05-28
KR101541818B1 KR101541818B1 (ko) 2015-08-04

Family

ID=5339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1174A KR101541818B1 (ko) 2013-11-20 2013-11-20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8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18A (ko) * 2017-09-05 2019-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신안정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CN110279616A (zh) * 2019-06-28 2019-09-27 南京林业大学 一种同时具有抗氧化和保湿功效的香叶天竺葵精油面膜及其制备方法
CN112608791A (zh) * 2020-11-26 2021-04-06 北京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香金’精油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4874B1 (ko) * 2020-01-14 2021-10-21 이상기 살균 탈취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20230173355A (ko) 2022-06-17 2023-12-27 전라남도 배초향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6318A (ko) * 2017-09-05 2019-03-13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심신안정 기능이 있는 천연물 조성물
CN110279616A (zh) * 2019-06-28 2019-09-27 南京林业大学 一种同时具有抗氧化和保湿功效的香叶天竺葵精油面膜及其制备方法
CN112608791A (zh) * 2020-11-26 2021-04-06 北京农业生物技术研究中心 一种‘香金’精油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1818B1 (ko) 201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054015A1 (en) Sympathetic-activating perfume composition
KR101541818B1 (ko) 산국 정유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KR101799027B1 (ko) 제주도 감귤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064067B1 (ko) 자귀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1234024B1 (ko) 백매화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60096903A (ko) 귤꽃류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70122383A (ko) 식물정유물질을 이용한 VOCs 및 악취 탈취제
KR101395159B1 (ko) 난대수종 및 산림수종의 천연향료를 함유하는 향수제조방법 및 그 향수조성물
KR100927969B1 (ko) 천연 백합향을 이용하여 백합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039439A (ko) 밤꽃 정유를 함유하는 향수 조성물
KR101770682B1 (ko) 감국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548B1 (ko)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41078A (ko) 노인 악취 제거 조성물
KR101315322B1 (ko) 증제 녹차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50084252A (ko) 인삼 에센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KR101993375B1 (ko) 로즈마리의 향취를 갖는 향료 조성물
KR101936426B1 (ko) 향료를 이용한 천연탈취제
KR102081579B1 (ko) 초피나무 잎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309551B1 (ko) 천연정유와 종자오일 추출 부산물을 함유한 아로마 바디스크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6996A (ko) 치자나무 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90054317A (ko) 센티드제라늄, 박하, 오레가노, 엘더 및 세이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악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4942A (ko) 산국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20120131971A (ko) 체취 억제용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