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6492A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6492A
KR20150056492A KR1020140159898A KR20140159898A KR20150056492A KR 20150056492 A KR20150056492 A KR 20150056492A KR 1020140159898 A KR1020140159898 A KR 1020140159898A KR 20140159898 A KR20140159898 A KR 20140159898A KR 20150056492 A KR20150056492 A KR 201500564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tive adhesive
pressure
weight
layer
adhesiv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077B1 (ko
Inventor
박용수
이희제
김현철
권윤경
박현규
김학림
이대혁
정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CT/KR2014/01101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5072794A1/ko
Priority to US14/653,786 priority patent/US20150344747A1/en
Priority to JP2015549293A priority patent/JP6049906B2/ja
Priority to CN201480005735.1A priority patent/CN104937061B/zh
Publication of KR20150056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6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08G18/2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 C08G18/244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 C08G18/246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of tin tin salts of carboxylic acids containing also tin-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62Polymers of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 C08G18/6216Polym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or of derivatives thereof
    • C08G18/622Polymers of esters of alpha-beta ethylenically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 C08G18/6225Polymers of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 C08G18/6229Polymers of hydroxy groups containing esters of acrylic or methacrylic acid with aliphatic poly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21Two or more polyisocyanates not provided for in one single group C08G18/73 - C08G18/80
    • C08G18/724Combination of aromatic polyisocyanates with (cyclo)aliphatic polyisocya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3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a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7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used
    • C08G18/72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 C08G18/7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 C08G18/76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 C08G18/7614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 C08G18/7621Polyisocyanates or polyisothiocyanates cyclic aromatic containing only one aromatic ring being toluene diisocyanate including isomer mix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 C09J133/066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J133/06 containing -OH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2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 C09J133/2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amide or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9/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9/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onom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ring mem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02Conduct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05/00Adhesive articles, e.g. adhesive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810/0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 C08F2810/20Chemical modification of a polymer leading to a crosslinking, either explicitly or inherent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70/00Compositions for adhesives
    • C08G2170/40Compositions for pressure-sensitive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62Polymer derived from material having at least one acrylic or alkacrylic group or the nitrile or amide derivative thereof [e.g., acrylamide, acrylate este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855Of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 Y10T428/31938Polymer of monoethylenically unsaturated hydrocarb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점착제 조성물,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 및 도전성 적층체에 관한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은 도전성 적층체 등의 하드 코팅면에 부착되는 점착제층을 구성하여 상기 도전성 적층체 등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결을 위한 열처리 후에도 박리 속도에 상관없이 박리력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보호 필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 및 도전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용 퍼스널 컴퓨터나 전자 수첩, 휴대 전화 등의 소형 전자 단말기 등의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이의 흠집 발생이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 필름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펜 터치 입력이 가능한 소형 전자 단말기의 증가에 따라 흠집 발생이나 파손 방지의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보호 점착 필름으로서는, 표면에 흠집 발생이나 파손 방지를 위해 하드 코팅층을 갖는 필름이 이용되고 있다.
보호 필름이 쉽게 박리되면 화상 표시 부분의 시인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사용 시에는 박리하지 않는 정도의 접착성을 가질 필요가 있지만, 이러한 수리를 행할 때에는 파손 부분을 교환하기 위해 각종 부품을 분리할 필요가 생겨, 당연히 보호 필름도 바람직하게 박리할 수 있는 것이 요망된다. 그러나,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박리 성능에 대해서는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통상적인 보호 필름의 경우 저속 박리력이 낮고 고속 박리력은 높은 경향을 나타내어 박리 속도에 상관없이 요구되는 저박리형 보호 필름으로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은 박리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절실히 요구된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는 박리력 유지를 위한 하나의 해결책으로서 표면 보호용 점착 테이프를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135699호
본 출원은 점착제 조성물,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 및 도전성 적층체를 제공한다.
예시적인 점착제 조성물은,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단량체 혼합물」는 2 이상의 서로 다른 단량체가 혼합된 형태로 존재하는 혼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응집력, 유리전이온도 및 점착성 등의 물성을 고려하여, 탄소수 1 내지 20, 탄소수 1 내지 16, 탄소수 1 내지 12 또는 탄소수 4 내지 10인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테트라 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수지에 중합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에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가교성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는 가교성 관능기와 공중합성 부위를 동시에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와 같은 가교성 관능기의 예로는,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에폭시기 또는 이소시아네이트기 등을 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기일 수 있다.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 분야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교성 관능기를 상기 아크릴 중합체에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단량체가 공지되어 있고, 본 출원에서는 상기와 같은 단량체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가지는 단량체로는,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는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비율은 10 중량%를 초과하면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비율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또는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함량의 비율을 전술된 범위에서 조절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점착제층 구현 후 박리 속도에 상관없이 목적하는 수준의 박리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 중합체는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관능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능기로는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또는 카복실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히드록시 메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에틸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프로필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3차 아민기를 갖는 단량체; N-비닐피롤리돈, N-비닐카프로락탐,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등의 비닐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N-[3,4-디히드록시페네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히드록시 메틸아크릴아미드 또는 히드록시 에틸아크릴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예를 들어,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1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의 비율로 단량체 혼합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하여, 전술한 관능기를 갖는 단량체 및 가교제의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아크릴 중합체의 양생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광학용으로 적용 시 투명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와 같은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는 이 분야의 통상의 중합 방식, 예를 들면, 용액 중합(Solution polymerization), 광중합(Photo polymerization), 괴상 중합(Bulk polymerization),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유화 중합(Emulsion polymerization) 등과 같은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용액 중합 방식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상기 가교성 관능기와 반응하는 관능기를 2개 이상, 예를 들면 2개 내지 6개를 가지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가교제는,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이란, 이소시아네이트기(-NCO)를 2개 이상 또는 2개 내지 6개를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로서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은 지방족 비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방족 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의 혼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지방족 비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방족 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9 내지 9:1 또는 2:8 내지 8:2의 중량 비율 범위 내일 수 있다.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타디엔-1,4-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카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네이토메틸옥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카보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에테르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2-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XDI),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디페닐에테르,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이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페닐)에틸렌, 3,3-디메톡시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술피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술피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헥실)술피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설폰,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디술피드,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티오)메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티오)에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티오)에탄, 1,5-디이소시아네이토-2-이소시아네이토메틸-3-티아펜탄 등의 함황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디페닐술피드-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네이토디벤질티오에테르, 비스(4-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술피드, 4,4-메톡시벤젠티오에틸렌글리콜-3,3-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6,6-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3,3-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함황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2,5-디이소시아네이토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티오펜, 2,5-디이소시아네이토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3,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테트라히드로티오펜, 2,5-디이소시아네이토-1,4-디티안, 2,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4-디티안, 4,5-디이소시아네이토-1,3-디티오란, 4,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1,3-디티오란, 4,5-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2-메틸-1,3-디티오란 등의 함황 복소환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외에도 전술한 효과를 고려하여,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에폭시 화합물 또는 멜라민 화합물 등과 같은 다른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 에틸렌디아민 또는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기 또는 부톡시기를 함유하는 멜라민 수지와 메톡시기를 함유하는 멜라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사이텍(CYTEC)사의 CYMEL 325, CYMEL327; 빕(BIP)사의 BE3748, BE 3040; 몬산토(MONSANTO)사의 RESIMENE 717; 유나이티드 카비드(UNITED CARBIDE)사의 CYMEL 303, 아메리칸 시안아미드(AMERICAN CYANAMID)사의 CYMEL 113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가교제는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가교제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이 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 1 당량 대비 0.5 당량 내지 1.5 당량, 0.6 당량 내지 1.4 당량 또는 0.7 당량 내지 1.3 당량의 범위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상기 가교제의 함량 및/또는 당량을 전술한 범위에서 제어함으로써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숙성한 후 열처리 후에도 박리 속도에 관계없이 적절한 수준으로 박리력을 유지하여 보다 보호 필름이 요구하는 물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촉매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 촉매는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의 가교를 촉진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가교 촉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주석계 금속 화합물, 아연 금속 화합물, 아민류 화합물, 티탄계 금속 화합물, 비스무트계 금속 화합물 및 알루미늄계 금속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주석계 금속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석계 금속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디옥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부틸틴옥사이드, 디부틸틴말레에이트, 디부틸틴디말레에이트의 4가 또는 2가의 유기 주석계 화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가교 촉매의 함량은 전술한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 중량부, 0.0015 내지 0.5 중량부, 0.002 내지 0.1 중량부, 0.0025 내지 0.05 중량부, 0.003 내지 0.01 중량부 또는 0.0035 내지 0.007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교 촉매의 함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여 점착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가교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 지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 지연제는 본 출원과 같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가교제로 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있어서, 가교제가 갖는 이소시아네이트기를 블록함으로써, 점착제 조성물의 과잉된 점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가교 지연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아세틸아세톤, 아세토초산메틸, 아세토초산에틸, 아세토초산옥틸, 아세토초산올레일, 아세토초산라우릴, 아세토초산스테아릴 등의 β-케토에스테르나, 2,4-헥산디온, 벤조일아세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아세틸아세톤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 지연제의 함량은 아크릴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7.5 중량부 또는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교 지연제의 함량을 전술한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가교제를 아크릴 중합체에 배합한 후에 있어 점착제 조성물의 과잉된 점도 상승이나 겔화를 억제하여, 점착제 조성물의 포트 라이프를 연장시킬 수 있다.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점착성 부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점착성 부여제로는 예를 들면, 히드로카본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로진 에스테르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테르펜 페놀 수지 또는 그의 수소 첨가물, 중합 로진 수지 또는 중합 로진 에스테르 수지 등의 일종 또는 이종 이상의 혼합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성 부여제는 블록 공중합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0 중량부 이하의 양으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점착제 조성물에는, 전술한 성분에 추가로 실란 커플링제; 에폭시 수지;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 활성제 또는 가소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1종 또는 2종 이상의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수식 1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수식 1]
0.5 ≤ Y/X ≤ 4
수식 1에서, X는 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2.54cm × 5cm ×20㎛ (가로×세로×두께))을 상기 중합체 및 가교제의 혼합 직후부터 4일 동안 40℃에서 유지한 후 하드 코팅층에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15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여 형성된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0.3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고, Y는 상기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20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온」은, 가열 또는 냉각 상태가 아닌 자연 그대로의 온도로서, 예를 들면 약 10℃ 내지 약 30℃, 약 15℃ 내지 약 30℃, 약 23℃ 또는 약 25℃의 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X)은 5gf/in 내지 30gf/in 또는 10gf/inch 내지 30gf/in일 수 있다. 상기 박리력(X)을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여, 피착제를 외부 오염 요인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박리 시에 피착제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박리력 측정은 상기 점착제층의 크기가 전술한 접착면적과 같은 시편을 제조한 후 박리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기재의 하드 코팅층에 부착된 상기 점착제층이 분리되는 시점의 박리력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제층에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것과 같다.
상기 박리력(Y)은 5gf/in 내지 70gf/in 또는 5gf/in 내지 60gf/inch일 수 있다. 상기 박리력(Y)을 전술한 범위로 제어하여, 피착제를 외부 오염 요인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보호하고, 박리 시에 피착제를 손상시키지 않는 점착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식 1에서 Y/X의 값은, 0.6 이상 내지 3.75 이하 또는 0.7 이상 내지 3.5 이하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 박리력 측정을 위한 상기 점착제층의 크기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은 또한,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에 대한 것이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은, 예를 들면, 도전성 적층체의 표면, 구체적으로는 하드 코팅층을 보호하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예를 들어 기재 및 상기 기재 상에 투명 전극층을 증착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에 사용되는 기재로는 플라스틱 필름 등 투명성이 좋은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폴리에테르 술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폴리비닐 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페닐렌 황화물계 수지 등의 각종 합성수지의 필름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기재는 단층이어도 되고, 동종 또는 이종의 2층 이상의 다층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Si, Ti, Sn, Nb, In, Mg, Ta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질화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인듐 옥사이드(indium oxide), 틴 옥사이드(tin oxide), 진크 옥사이드(zinc oxide), 인듐 옥사이드-틴 옥사이드(indium oxide-tin oxide, ITO), 안티모니 옥사이드-틴 옥사이드(antimony oxide-tin oxide, ATO), 또는 진크 옥사이드-알루미늄 옥사이드(zinc oxide-aluminium oxide, ZAO)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투명전극층은 예를 들면, 진공 증착법, 스퍼터링법, 이온 플레이팅법, 스프레이 열분해법, 화학 도금법, 전기 도금법 또는 상기 중 2종 이상의 방법을 조합한 코팅층 형성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진공 증착법 또는 스퍼터링법으로 기재의 상부, 즉, 스페이서 상부 및 스페이서 사이의 기재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상기 기재 상부에 언더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재 상에 언더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기재에 투명전극층을 접착성 좋게 증착할 수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은 유기물, 무기물 또는 이들의 복합물로 형성된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기-무기 복합층인 것이 좋다. 상기 유기층, 무기층 또는 유기-무기 복합층은 유기 실란 화합물 또는 유기 실란 화합물 및 금속 알콕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에서 유기 실란의 함량은 20 내지 99.99 중량%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9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99 중량%가 좋다. 또한, 상기 금속 알콕사이드의 함량은 0.01 내지 80 중량%로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70 중량%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 중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언더코팅층의 두께는 10 nm 내지 4000 nm인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nm 내지 150 nm인 것이 좋다. 상기 두께가 10 nm 미만인 경우 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커버하지 못할 수 있고, 40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투명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표면 크랙(crack)을 만들 우려가 있다. 상기 언더코팅층은 투명 도전성 필름의 광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저굴절율층 및 고굴절층의 2개의 층으로, 또는 상기 저굴절율층과 고굴절율층을 교대로 증착하여 형성한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언더코팅층의 코팅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통상의 방법, 예를 들어, 스핀코팅, 딥코팅, 스프레이 코팅 등의 습식 코팅(wet coating)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나의 예시에서, 본 출원에 따른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은, 보호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가교 구조가 구현된 상기 점착제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보호 기재층으로는 이 분야에서 공지되어 있는 일반적인 필름 또는 시트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부텐 필름, 폴리부타디엔 필름, 폴리(염화 비닐)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필름은 단층으로 구성되거나, 2층 이상이 적층되어 있을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방오층 등의 기능성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기재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상기 기재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처리와 같은 표면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기재층의 두께는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적으로 5 ㎛ 내지 500 ㎛ 또는 10 ㎛ 내지 100 ㎛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에 포함되는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 ㎛ 내지 100 ㎛ 또는 5 ㎛ 내지 50 ㎛의 범위에서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또한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의 용도 이외에 광학 필름용 보호 필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으로는, 편광판, 편광자,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시야각 보상 필름 또는 휘도 향상 필름 등이 예시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편광자」와 「편광판」은 서로 구별되는 대상을 지칭한다. 즉, 편광자는 편광 기능을 나타내는 필름, 시트 또는 소자 그 자체를 지칭하고, 편광판은 상기 편광자와 함께 다른 요소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를 의미한다. 편광자와 함께 광학 소자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요소로는,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위상차층 등이 예시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은 또한, 도전성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도전성 적층체는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층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체; 및 보호 기재층 및 상기 보호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하드 코팅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내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아크릴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 상태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하나의 예시적인 도전성 적층체를 나타내고, 순차 형성된 도전성층(40) 및 하드 코팅층(30)을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체와 점착제층(20) 및 보호 기재층(10)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도전성층(40) 및 하드 코팅층(30) 사이에 기재층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적층체에 포함된 하드 코팅층(30)은, 예를 들면 아크릴우레탄 수지 또는 실록산 수지 등의 경질 수지를 도포하고, 경화 처리하는 방법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 코팅층(30)은, 통상적으로, 0.1 ㎛ 내지 30 ㎛ 정도의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하드 코팅층상에 상기 점착제층(20)에 의해 박리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20)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내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아크릴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포함된 성분의 특성은 전술한 내용과 같다.
또한, 상기 도전성 적층체에 포함되어 있는 상기 점착제층의 박리력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수식 2]
0.5 ≤ Y/X ≤ 4
수식 2에서, X는 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2.54cm × 5cm × 20㎛ (가로×세로×두께))을 상기 중합체 및 가교제의 혼합 직후부터 4일 동안 40℃에서 유지한 후 하드 코팅층에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15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여 형성된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0.3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고, Y는 상기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20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다.
또한, 상기 수식 2에서 Y/X의 값은, 0.6 이상 내지 3.75 이하 또는 0.7 이상 내지 3.5 이하의 범위 내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 또는 도전성 적층체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직접 코팅하고,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구현하는 방식을 사용하거나, 혹은 이형 필름의 이형 처리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코팅 및 경화시켜서 가교 구조를 형성시킨 후에 이를 전사하는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코팅 과정에서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가교제는 작용기의 가교 반응이 진행되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 균일한 코팅 공정의 수행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이를 통해, 가교제가 코팅 작업 후의 경화 및 숙성 과정에서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점착제의 응집력을 향상시키고, 점착 물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코팅 과정은 또한, 점착제 조성물 내부의 휘발 성분 또는 반응 잔류물과 같은 기포 유발 성분을 충분히 제거한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점착제의 가교 밀도 또는 분자량 등이 지나치게 낮아 탄성률이 떨어지고, 고온 상태에서 유리판 및 점착층 사이에 존재하는 기포들이 커져 내부에서 산란체를 형성하는 문제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출원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은 도전성 적층체 등의 하드 코팅면에 부착되는 점착제층을 구성하여 상기 도전성 적층체 등의 표면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결을 위한 열처리 후에도 박리 속도에 상관없이 박리력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보호 필름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예시에 따른 도전성 적층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하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범위가 하기 제시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의 박리력은 하기의 방식으로 평가하였다.
박리력 테스트
박리력의 측정은 제조된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을 ITO 하드 코팅면을 피착체로 40℃에서 96시간 동안 숙성하여 부착시켰다. 부착 후 150℃에서 1시간 동안 열처리를 수행한 후 인장시험기(Texture Analyzer)를 사용하여 상온에서 0.3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저속 박리력을 측정하였고, 고속 박리력 측정기(CKTS-710S, (주)충북테크사)을 사용하여 상온에서 20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고속 박리력을 측정하여 표 2에 나타내었고, 상기 측정된 박리력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 측정된 박리력의 값이 70 gf/in 미만인 경우
×: 측정된 박리력의 값이 70 gf/in 이상인 경우
[아크릴 중합체의 제조]
제조예 1. 아크릴 중합체(A)의 제조
내부에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 장치를 설치한 2L 반응기에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85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5 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이어서, 에틸아세테이트(EAc) 149.1 중량부를 용제로 투입하고, 산소 제거를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 동안 퍼징(purging)하고, 온도를 67℃로 유지한 상태에서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4 중량부를 투입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을 시킨 반응물을 에틸아세테이트(EAc)로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가 28%이고, 분자량이 70만인 아크릴 중합체(A)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아크릴 중합체(B)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0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0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B)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아크릴 중합체(C)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5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C)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아크릴 중합체(D)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7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3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D)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아크릴 중합체(E)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99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E)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아크릴 중합체(F)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84.1 중량부, 히드록시 메틸아크릴아미드(HMAA) 0.9 중량부 및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HEA)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F)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7. 아크릴 중합체(G)의 제조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EHA) 85 중량부 및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HBA) 15 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1에 준한 방식으로 아크릴 중합체(G)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조성물 및 보호 필름의 제조]
실시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아크릴 중합체(A)를 점착 수지로 사용하고, 상기 점착 수지에 포함된 가교성 관능기 1 당량 대비 1.1 당량의 관능기를 제공할 수 있는 가교제(또는 상기 아크릴 중합체(A) 100 중량부 대비 27.3 중량부의 가교제) 및 상기 점착 수지 100 중량부 대비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를 0.005 중량부 및 아세틸 아세톤 3 중량부를 각각 균일하게 혼합하여 점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125㎛ A4300(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Toyobo사)에 20㎛ 코팅 후, 120℃에서 3분 동안 건조하여, 도막 두께가 20㎛인 투명한 점착제층을 형성하여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제조예 6의 아크릴 중합체(F)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제조예 7의 아크릴 중합체(G)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제조예 2의 아크릴 중합체(B)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제조예 3의 아크릴 중합체(C)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제조예 4의 아크릴 중합체(D)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제조예 5의 아크릴 중합체(E)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보호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아크릴 중합체 EHA 85 84.1 85 90 95 97 99
HMAA - 0.9 - - - - -
HEA 15 15 - 10 5 3 1
HBA - - 15 - - - -
가교제
HDI:TDI(8:2)
당량 1.1 1.1 1.1 1.1 1.1 1.1 1.1
함량 27.3 27.3 22 18.2 9.1 5.5 1.8
가교 촉매 DBTL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0.005
가교 지연제 Aa 3 3 3 3 3 3 3
단위: 중량부
EHA: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HMAA: 히드록시 메틸아크릴아미드
HEA: 히드록시 에틸아크릴레이트
HBA: 히드록시부틸아크릴레이트
HDI: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TDI: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DBTL: 디부틸틴디라울레이트
Aa: 아세틸 아세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측정한 저속 및 고속 박리력의 결과는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난 바와 같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저속 박리력(0.3m/min) 25 15 16 17 14 22 26
고속 박리력(20m/min) 23 16 52 75 98 142 220
단위: gf/in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저속 박리력
고속 박리력 × × × ×
상기 표 2 및 3으로부터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경화물을 포함하는 점착제층의 경우, 보호 필름 제조에 있어 소결을 위한 열처리 후에도 낮은 저속 및/또는 고속 박리력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어 도전성 필름용 보호 필름 및 도전성 적층체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10: 보호 기재층
20: 점착제층
30: 하드 코팅층
40: 도전성층

Claims (20)

  1.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내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로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 내의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3 중량%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 내의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30 중량% 이하인 점착제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1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를 가지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인 점착제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성 관능기는 히드록시기인 점착제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는, 히드록시알킬 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N-비닐카프로락탐, N-비닐피롤리돈, N-비닐-2-피롤리돈, 아크릴로일모르폴린, 또는 N-[3,4-디히드록시페네틸]아크릴아미드인 점착제 조성물.
  9. 제 7 항에 있어서, 단량체 혼합물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75 중량부 내지 95 중량부,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 13 중량부 내지 25 중량부 및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공중합성 단량체 0.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지방족 비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방족 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혼합물인 점착제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혼합물은 지방족 비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지방족 고리형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1:9 내지 9:1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점착제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가교제는, 가교제가 포함하는 가교성 관능기의 당량이 중합체에 포함되는 가교성 관능기 1 당량 대비 0.5 당량 내지 1.5 당량의 범위가 되도록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001 내지 1 중량부의 가교 촉매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내지 10 중량부의 가교 지연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15. 하기 수식 1의 조건을 만족하는 점착제 조성물:
    [수식 1]
    0.5 ≤ Y/X ≤ 4
    수식 1에서, X는 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2.54cm × 5cm ×20㎛ (가로×세로×두께))을 상기 중합체 및 가교제의 혼합 직후부터 4일 동안 40℃에서 유지한 후 하드 코팅층에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15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여 형성된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0.3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고, Y는 상기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20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다.
  16. 제 15 항에 있어서, 박리력 X가 5gf/in 내지 30gf/in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17. 제 15 항에 있어서, 박리력 Y가 5gf/in 내지 70gf/in의 범위 내에 있는 점착제 조성물.
  18. 보호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가교 구조가 구현된 제 1 항의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
  19. 기재층; 상기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도전성층 및 상기 기재층의 다른 면에 형성된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체; 및 보호 기재층 및 상기 보호 기재층의 일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도전성 적층체의 하드 코팅층에 부착되어 있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의 점착제층은,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이고, 상기 단량체 혼합물 내에서 상기 가교성 관능기 함유 단량체의 중량 비율이 10 중량%를 초과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체인 아크릴 중합체; 및 상기 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1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의 비율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가교 상태로 포함하는 도전성 적층체.
  20. 순차 형성된 도전성층 및 하드 코팅층을 포함하는 도전성 필름과 점착제층 및 보호 기재층을 포함하는 보호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도전성 필름의 하드 코팅층상에 상기 점착제층에 의해 박리 가능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점착제층은 하기 수식 2를 만족하는 도전성 적층체:
    [수식 2]
    0.5 ≤ Y/X ≤ 4
    수식 2에서, X는 아크릴 중합체 및 가교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의 층(2.54cm × 5cm × 20㎛ (가로×세로×두께))을 상기 중합체 및 가교제의 혼합 직후부터 4일 동안 40℃에서 유지한 후 하드 코팅층에 부착하고, 그 상태에서 150℃에서 1 시간 동안 유지하여 형성된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0.3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고, Y는 상기 샘플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층을 상온에서 20 m/min의 박리 속도 및 180도의 박리 각도로 측정한 박리력이다.
KR1020140159898A 2013-11-15 2014-11-17 점착제 조성물 KR10168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4/011018 WO2015072794A1 (ko) 2013-11-15 2014-11-17 점착제 조성물
US14/653,786 US20150344747A1 (en) 2013-11-15 2014-11-17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JP2015549293A JP6049906B2 (ja) 2013-11-15 2014-11-17 粘着剤組成物
CN201480005735.1A CN104937061B (zh) 2013-11-15 2014-11-17 压敏粘合剂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9356 2013-11-15
KR1020130139356 2013-11-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6492A true KR20150056492A (ko) 2015-05-26
KR101687077B1 KR101687077B1 (ko) 2016-12-15

Family

ID=53391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9898A KR101687077B1 (ko) 2013-11-15 2014-11-17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344747A1 (ko)
EP (1) EP3070135B1 (ko)
JP (1) JP6049906B2 (ko)
KR (1) KR101687077B1 (ko)
CN (1) CN104937061B (ko)
TW (1) TWI52243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622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체
KR20180136038A (ko) * 2017-06-13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45016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을 이용한 유기발광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10168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18134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18332B2 (ja) * 2014-08-07 2017-10-25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のロール体の製造方法
KR101966869B1 (ko) * 2014-10-28 2019-04-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형필름 박리안정성 측정방법 및 이형필름 적층체
JP7039674B2 (ja) * 2020-11-05 2022-03-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保護フィル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830A (ja) * 2000-02-28 2001-09-04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10135699A (ko) 2010-06-11 2011-1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
KR20120042073A (ko) * 2010-10-22 2012-05-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36021A (ko) * 2010-07-07 2013-04-09 도요 잉크 에스씨 홀딩스 주식회사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용 접착제, 및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101267828B1 (ko) * 2011-07-28 2013-05-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0543B1 (ko) * 2001-03-15 2006-01-10 미쯔이카가쿠 가부시기가이샤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장치
JP4686960B2 (ja) * 2003-06-30 2011-05-25 綜研化学株式会社 表面保護フィルム用粘着剤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758647B2 (ja) * 2011-02-17 2015-08-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粘着シート
JP5906064B2 (ja) * 2011-11-21 2016-04-20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5394561B2 (ja) * 2011-12-19 2014-01-22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フィルム用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積層体
JP6279827B2 (ja) * 2011-12-20 2018-02-14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層および粘着シート
CN102660206A (zh) * 2012-04-09 2012-09-12 番禺南沙殷田化工有限公司 一种光学透明粘合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5820762B2 (ja) * 2012-04-24 2015-11-24 藤森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表面保護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透明導電性フィルム
JP5908870B2 (ja) * 2013-07-23 2016-04-26 藤森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フィルム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6126500B2 (ja) * 2013-08-30 2017-05-10 日東電工株式会社 透明導電性フィルム用キャリアフィルム及び積層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0830A (ja) * 2000-02-28 2001-09-04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粘着剤組成物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
KR20110135699A (ko) 2010-06-11 2011-12-19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표면보호용 점착테이프
KR20130036021A (ko) * 2010-07-07 2013-04-09 도요 잉크 에스씨 홀딩스 주식회사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용 접착제, 및 태양전지 이면 보호 시트, 및 태양전지 모듈
KR20120042073A (ko) * 2010-10-22 2012-05-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67828B1 (ko) * 2011-07-28 2013-05-2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연성회로기판 보호필름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3622A (ko) * 2016-02-05 2017-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적층체
KR20180136038A (ko) * 2017-06-13 2018-12-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20068206A (ko) * 2017-06-13 2022-05-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90045016A (ko) * 2017-10-23 2019-05-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름, 및 광학 필름을 이용한 유기발광전자장치의 제조 방법
KR20210010168A (ko) * 2019-07-19 2021-0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보호 필름,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보호 필름의 제조 방법
KR20210018134A (ko) * 2019-08-05 2021-02-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37061A (zh) 2015-09-23
EP3070135A1 (en) 2016-09-21
JP6049906B2 (ja) 2016-12-21
TW201527463A (zh) 2015-07-16
JP2016506439A (ja) 2016-03-03
EP3070135A4 (en) 2017-04-05
EP3070135B1 (en) 2020-01-01
CN104937061B (zh) 2017-03-08
US20150344747A1 (en) 2015-12-03
KR101687077B1 (ko) 2016-12-15
TWI522435B (zh) 2016-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077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226440B1 (ko) 점착 필름
US20170121565A1 (en) Transparent resin layer, pressure-sensitive-adhesive-layer-attached polarizing film, and image display device
EP2537903A2 (en) Optical double-sid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KR101928731B1 (ko) 점착제층 및 점착 필름
KR20170018768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US11008485B2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optical film provided with adhesive layer, image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CN103865445A (zh) 粘结剂层及粘结膜
CN103865409A (zh) 粘结剂层及粘结膜
KR20170018770A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점착 시트 및 표시체
KR101404399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574018B1 (ko) 점착제 조성물
EP2617790A2 (en) Adhesive composition for touch panel
KR102476682B1 (ko) 점착성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
EP2679647B1 (en) Adhesive composition for an optical film
KR20150019247A (ko) 점착제 조성물
KR20190057101A (ko) 광학용 점착제층, 광학용 점착제층의 제조 방법, 점착제층을 구비한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180035688A (ko) 유기 도전층용 점착제층,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이 형성된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US11091672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ressure-sensitive adhesive film
WO2015072794A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757029B1 (ko) 점착제 조성물
US20190218427A1 (en) Adhesive composition, adhesive layer, polarizing film coated with adhesive layer, liquid crystal panel,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1686302B1 (ko) 도전성 적층체 보호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KR101643046B1 (ko) 도전성 적층체
KR101652173B1 (ko) 도전성 적층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