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2204A -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2204A
KR20150052204A KR1020157008390A KR20157008390A KR20150052204A KR 20150052204 A KR20150052204 A KR 20150052204A KR 1020157008390 A KR1020157008390 A KR 1020157008390A KR 20157008390 A KR20157008390 A KR 20157008390A KR 20150052204 A KR20150052204 A KR 20150052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port
adapter
station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2793B1 (ko
Inventor
요시후미 타니모토
카츠토시 다이코쿠
Original Assignee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다기카이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52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2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 G06F13/4204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 G06F13/4221Bus transfer protocol, e.g. handshake; Synchronisation on a parallel bus being an input/output bus, e.g. ISA bus, EISA bus, PCI bus, SCSI b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3Overhead conve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는 LAN과의 통신 유닛과,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적어도 1개의 IO 포트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IO 포트는 제조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ON/OFF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는 LAN을 통해 통신처로부터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통신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IO 포트의 지정을 기억하며,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하고, 또한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통신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EQUIPMENT AND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통신 디바이스와 이것을 이용한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서는, 반송 장치는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송하고, 예를 들면 반도체 반송의 경우 SEMI standard E84(이하 E84라 한다) 프로토콜에 따라 반송 장치는 스테이션측의 단말과 이송을 위해 통신한다. 반송 장치는 스테이션에 면한 위치에 정지해서 통신하고, E84 통신을 개시할 때까지 스테이션측에서 이송의 준비가 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불분명하다. 이 때문에, 반송 장치가 정지하고 E84 통신에 의해 이송을 할 수 없는 것이 판명된 후, 물품을 이송하지 않고 반송 장치가 스테이션으로부터 출발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에 의해, 반송 장치는 쓸데없는 정지를 행하고, 또한 주행 루트를 막기 때문에 정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은 스테이션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스테이션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수단이 반송 장치측에 없는 것에 있다. 또한, E84 통신에 관해 특허문헌 1(국제 공개 2011/155040 호)은 반송 장치가 스테이션의 직상류에서 정지하지 않고 E84 통신을 개시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는 복수의 반송 장치가 주행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반송 장치가 스테이션의 직상류 이외로부터 E84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반송 장치가 1개의 스테이션을 동시에 제어하지 않는 배타 제어가 필요하게 된다.
국제 공개 2011/155040 호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원격으로 아는 것에 의해 제조 장치의 상태를 알고, 그것에 의거하여 반송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있다. 또한, IO 포트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서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추가적 과제는 반송 장치가 기존의 통신 단말 경유로 제조 장치와 통신하는 것을 방해하지 않고, 반송 장치 및 지상측에 고정된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가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를 통해 제조 장치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다른 추가적 과제는 제조 장치에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도, 그 컨트롤러도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원격으로 알고, 또한 IO 포트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해서 반송 장치로도 제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서의 다른 추가적 과제는 IO 포트를 배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동시에 복수의 장치가 제조 장치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배타 제어가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도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원격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조 장치로 엑세스 물품을 반출입하는 장치의 효율을 개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는 LAN(Local Area Network)과의 통신 유닛과,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적어도 1개의 IO 포트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IO 포트는 상기 제조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ON/OFF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LAN을 통해 통신처로부터 통신 요구를 접수해서 통신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통신처로부터 지정된 IO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하며,
또한,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통신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기기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처는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복수의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조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와 통신 가능하고 또한 제조 장치의 본체에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선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IO 포트에 접속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본체의 통신을 중계함과 아울러 통신 데이터를 상기 IO 포트에 송출하는 어댑터 패스 모드와,
또한, 통신 단말과 상기 본체가 통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제조 장치와 상기 IO 포트의 통신을 중계하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시스템은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와, 제조 장치측의 통신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LAN과의 통신 유닛과, 적어도 1개의 IO 포트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IO 포트는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조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ON/OFF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를 통신처로 해서 통신처로부터의 LAN을 통한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통신처 요구의 송출원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통신처로부터 지정된 IO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하고,
또한, 상기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상기 통신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원격으로 LAN을 경유해서 IO 포트를 특정하고, 그 ON/OFF 신호를 알 수 있으며, 또한 ON/OFF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반송 장치의 본체와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있는 제조 장치에 대해서는 IO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어댑터를 통신선에 삽입한다. 그리고,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 통신 단말과 본체의 통신을 중계함으로써 반송 장치는 통신 단말과 어댑터를 통해 제조 장치 본체와 통신할 수 있고, 통신 데이터는 통신 디바이스의 IO 포트로 송출된다. 또한, 통신 단말과 상기 본체가 통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 어댑터를 통해 제조 장치와 IO 포트를 통신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신 단말 경유로 반송 장치가 제조 장치와 통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반송 장치 및 반송 시스템의 컨트롤러 등이 어댑터 경유로 제조 장치와 통신할 수도 있다.
제조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와,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반송 시스템의 컨트롤러)에 의하여 통신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이 시스템에서는 컨트롤러도 반송 장치도 LAN을 경유해서 제조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알 수 있으며, 또한 ON/OFF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통신 디바이스에 관한 기재는 그대로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에도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디바이스는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의 유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의거하여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IO 포트의 상태가 배타 제어 없음의 경우에는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함과 아울러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를 있음으로 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기억을 변경하고,
지정된 IO 포트의 상태가 배타 제어 있음의 경우에는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의 변경을 거부하며,
또한,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의 유무에 관계없이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통신처에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면,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를 실현하면서 IO 포트의 배타 제어 중 다른 기기가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알 수 있다. 배타 제어는, 예를 들면 물품을 제조 장치로 반출입하기 위해 실행한다. 그리고, 동일한 제조 장치로 복수의 반송 장치가 동시에 물품을 반출입하려고 하는 경우 등이 없고, 또한 물품의 반출입 중의 제조 장치로 다른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출입하려고 해서 쓸데없이 대기하는 등의 경우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통신처는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복수의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컨트롤러에 통신 유닛을 통해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반송 장치도 컨트롤러도 LAN을 통해 원하는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알 수 있다. 따라서, 반송 장치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고, 또한 IO 포트에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통신처는 IO 포트를 특정하여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에 상기 컨트롤러와 반송 장치가 엑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조 장치 이외의 주변 기기가 IO 포트에 접속되고, 주변 기기의 상태 데이터에 상기 컨트롤러와 반송 장치가 엑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주변 기기는, 예를 들면 물품의 반출입에 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센서, 제조 장치로 물품을 반출입하기 위한 스테이션 주위의 상황을 확인하기 위한 센서, 스테이션을 메뉴얼로 조작하기 위한 단말 등이다. 이와 같이 하면, 제조 장치측의 상황을 주변 기기의 상태를 포함해서 알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O 포트는 제조 장치 본체와 통신 단말 사이의 통신선에 삽입된 어댑터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와, 제조 장치의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통신선을 통해 통신 단말과 접속된 제조 장치 본체에도, 이와 같은 통신 단말을 구비하지 않는 제조 장치에도 본 발명의 통신 디바이스를 접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기의 어댑터는 상기 통신선에 삽입되어 있는 스위치와 상기 통신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IO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통신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IO 포트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도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도 상기 본체와의 통신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에 의해, 어댑터 컨트롤 모드와 어댑터 패스 모드를 스위칭할 수 있고, 또한 제 2 통신선에 의해 IO 포트는 상시 본체와 통신 단말의 통신을 감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기는 통신 유닛의 이상을 검출하면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설정된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한다. 이와 같이 하면, 통신 유닛의 이상에 대해서 어댑터 패스 모드가 페일 세이프 기구로서 작용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 기기는 상기 통신 유닛에 의해 반송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여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설정된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한다. 반송 장치는 원격으로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 제조 장치와의 통신을 개시하고, 제조 장치에 도착하면 어댑터 패스 모드에 의해 통신 단말을 통해 제조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는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에 의거하여 반송 지령의 변경 또는 이송의 중지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면, 물품의 반출입의 준비가 정돈되어 있지 않은 스테이션을 위해 물품을 반송하거나, 또는 이송을 시도하는 등의 낭비가 해소된다. 또한, 스테이션은 반송 장치가 물품을 반출입하기 위한 제조 장치의 설비이다.
도 1은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과 그 주위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의 통신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와 시스템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의 스테이션의 동적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서의 어댑터 패스 모드와 어댑터 컨트롤 모드의 통신선의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통신 디바이스의 사용 환경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통신 디바이스와 부속의 어댑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통신 디바이스의 IO 포트 관리 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컨트롤 모드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군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반송 장치가 이송하는 스테이션을 선택하는 상황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최적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과 그 주위의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최적 실시예에서의 통신 디바이스의 동작 알고리즘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거하여 명세서와 이 분야의 주지 기술을 참작해서 당업자의 이해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실시예
제 1 실시예
도 1~도 5에 반도체의 반송을 예로 제 1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로더에 의한 워크의 반송, 보수 대차(台車)에 의한 실(絲) 패키지의 반송 등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도면에 있어서, 2는 반도체의 제조 장치, 검사 장치 등이고, 여기서는 이것들을 제조 장치(4)라 칭한다. 제조 장치(4)는 1개 내지 복수개의 스테이션(ST)을 구비하고, 천정 주행차(8)와의 사이에서 FOUP(Front-Opening Unified Pod) 등의 물품(9)을 전달한다. 또한, 천정 주행차(8)는 레일 형상의 주행 루트(6)를 따라 천정 스페이스를 주행하지만, 지상 주행의 무인 반송차 등을 반송 장치로 해도 좋다.
제조 장치(4)는 스테이션(ST)마다 설치되어 있는 E84 통신 단말(11)을 통해 스테이션(ST)과 천정 주행차(8)의 물품의 전달 전에 천정 주행차(8)와 광통신한다. 또한, 주행 루트(6)를 따라 수백대 규모의 천정 주행차(8)가 주행하고, 시스템 컨트롤러(24)가 LAN(20)과 엑세스 포인트(22)를 통해 각각의 천정 주행차(8)와 통신해서 천정 주행차(8)를 제어한다. 또한, 천정 주행차(8)는 일방향으로 주행하고,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컨트롤러(24)는 스테이션의 상태를 관리하는 관리부(26)를 구비하고, 이것은 실시예에 의해 처음으로 실현되는 기능이다. 또한, 관리부(26)는 물리적으로는 시스템 컨트롤러(24)로부터 독립되어 있어도 좋다.
16은 어댑터, 18은 디바이스 서버 등의 통신 디바이스이고, 이것들에 의해 실시예의 통신 기기를 구성한다. 어댑터(16)는 제조 장치(4)와 E84 통신 단말(11) 사이에 삽입되고, 통신 디바이스(18)는, 예를 들면 복수대의 어댑터(16)와 유선,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등에 의해 통신함과 아울러 무선 LAN 또는 Wi-Fi 등을 통해 엑세스 포인트(22)와 통신한다. 14는 장해물 검출부이며 인감 센서, 또는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고, 스테이션(ST) 부근에 사람 등의 장해물이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여 통신 디바이스(18)로 Wi-Fi 등에 의해 송신한다. 도 1의 천정 주행차(8)~관리부(26)에 의해 실시예의 통신 시스템을 구성한다.
도 2에 어댑터(16)와 통신 디바이스(18)의 구성을 나타낸다. 12는 스테이션 단말이며 스테이션(ST)측의 통신 단말이다. 28은 E84 통신 단말(11)과 스테이션 단말(12) 사이의 유선 패럴렐 통신선이며, 실제보다 개수를 적게 표시하고 있다. 어댑터(16)는 E84 통신 단말(11)과 스테이션(ST)측의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선(28)의 접속을 스위치(30)에 의해 ON/OFF 하고, 접속이 OFF인 상태를 어댑터 컨트롤 모드, ON인 상태를 어댑터 패스 모드라 칭한다. 또한, 31, 32는 통신선(28)과의 접속용 커넥터이다. 또한, 29는 통신선(28)으로부터 분기되는 제 2 통신선이다. 또한, 스위치(30)는, 도 2에서는 편의상 기계식 접점을 갖는 스위치로서 그려져 있지만, 반도체 스위치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신 디바이스(18)는 주회로 기판(40)과 어댑터(16)에 접속하는 IO 포트마다의 어댑터 기판(42)으로 이루어지고, 어댑터 기판(42)을, 예를 들면 5개 구비하고 있지만 그 중 1개만을 도시한다. 34는 유선 통신선, 35~37은 커넥터이다. 모드 제어 회로(43)는 스위치(30)를 제어하고, 제어 회로(44)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 스테이션 단말(12)로 신호를 송출한다. 감시 회로(45, 46)는 통신선(28)을 경유하는 신호를 감시하고, 47~50은 개별 포트이다. 또한, 개별 포트(47~50)마다 포트 번호가 할당되어 있지만, 포트 번호는 어느 어댑터(16)의 포트인지를 일의적으로 특정하는 번호이면 된다. 통신 디바이스(18)는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 반송 장치로부터의 신호를 E84 통신 단말(11)을 경유해서 감시하고,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도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도 스테이션 단말(12)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한다. 이것들은, 예를 들면 E84 프로토콜에 의거하는 물품의 전달에 관한 신호이다.
도 5에 어댑터 패스 모드[IO 포트(P1)]와 어댑터 컨트롤 모드[IO 포트(P2)]에서의 통신선(28)의 신호를 나타내며, OUT은 통신 디바이스(18) 또는 E84 통신 단말(11)로부터의 신호를, IN은 스테이션 단말(12)로부터의 신호를 나타낸다. 이들 신호는 LAN을 통해 관리부(26)에 전송되어 기억된다. 이 때문에, 관리부(26)에는 모든 스테이션에 대하여 도 5에 상당하는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
CPU(54)는 통신 디바이스(18) 전체를 제어하고, LAN 유닛(52)은 도 1의 엑세스 포인트(22)와 통신한다. LAN 유닛(52)은 통신 디바이스(18)마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IP 어드레스)와 어댑터(16)를 특정하기 위한 포트 번호를 기억하고, 원칙적으로 1개의 통신 디바이스(18)가 복수개의 어댑터(16)를 관리한다. LAN 유닛(52)과 시스템 컨트롤러(24)의 통신에서는 통신 디바이스(18)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포트 번호를 부가하여 어느 스테이션(ST)에 관한 신호인지를 특정한다.
도 3에 통신 디바이스(18)와 시스템 컨트롤러(24)에서의 처리를 나타낸다. 어댑터(16)는, 상시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 놓여지고, E84 통신 단말(11)과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은 불가능하며, 통신 디바이스(18)와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은 가능하고, 통신 디바이스(18)는 스테이션 단말(12)의 신호로부터 스테이션(ST)의 상태를 감시한다(스텝 11).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18)는 스테이션(ST)의 상태를 시스템 컨트롤러(24)로 보고하고(스텝 12),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스테이션(ST)의 상태를 관리부(26)에 기억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스테이션(ST)의 상태에 따라 반송 지령을 수정한다(스텝 21).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천정 주행차(8)의 위치와 상태 등을 리얼타임으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물품의 전달을 위해 스테이션(ST)에 천정 주행차(8)가 접근하면 어댑터(16) 모드의 스위칭을 지령하고(스텝 22), 통신 디바이스(18)는 어댑터(16)의 상태를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부터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한다(스텝 13). 또한, 스위치(30)보다 E84 통신 단말(11) 쪽에서 천정 주행차(8)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감시하고, 통신 요구가 있으면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부터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시스템 컨트롤러(24)에서의 스케줄 이외의 천정 주행차(8)가 도착했을 경우에도 물품의 전달을 실행할 수 있다.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는 E84 통신 단말(11)과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은 가능하고, 통신 디바이스(18)와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해서, 통신 디바이스(18)는 통신선(28)의 신호로부터 스테이션(ST)의 상태와 물품의 전달 상황을 감시한다(스텝 14). 천정 주행차(8)는 광통신 등에 의해 E84 통신 단말(11)과 통신하고, 이 신호는 스테이션 단말(12)로 전송되어 물품의 전달을 위한 E84 프로토콜을 실행한다. 또한, 천정 주행차(8)와 스테이션 단말(12) 사이의 신호는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 시스템 컨트롤러(24)로 전송되어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전달의 실행 상황을 관리할 수 있다(스텝 23). 천정 주행차와 E84 통신 단말(11)의 통신이 종료되면(스텝 16),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24)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어댑터(16)의 모드를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되돌린다(스텝 17, 24).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24)의 제어가 아니라 천정 주행차와 E84 통신 단말(11)의 전달 종료의 확인 신호를 통신 디바이스(18)가 수신함으로써 어댑터(16)의 모드를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되돌려도 좋다.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는 천정 주행차(8)와 스테이션 단말(12)은 종래와 같은 통신을 실행할 수 있고, 어댑터(16)는 통신을 방수(傍受)한다.
천정 주행차(8)도 LAN(20)을 개재하는 통신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천정 주행차(8)는 관리부(26)의 데이터에 의해 스테이션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천정 주행차(8)는 적하처 또는 적재처의 스테이션으로의 도착 전부터 LAN(20)을 통해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 스테이션과의 사이의 물품의 전달 순서를 개시한다. 또한, 물품의 전달 후에 천정 주행차(8)는 주행을 개시하면서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 스테이션과의 물품의 전달 완료 순서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전달 완료 순서의 실행 전에 천정 주행차(8)는 주행을 개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면, 시스템 컨트롤러(24)가 스테이션(ST)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정 주행차(8)의 주행처의 스테이션(ST)이 물품을 전달할 수 없는 상태에 있을 경우, 사전에 천정 주행차(8)가 목적의 스테이션(ST)을 통과해서 주회 주행하거나, 또는 다른 스테이션에서 물품을 전달하도록 지령할 수 있다. 그러면, 천정 주행차가 쓸데없이 정지 또는 감속해서 정체를 일으키는 일이 없다. 도시하지 않은 생산 관리 컨트롤러로부터 반송이 요구되고, 종래예에서는 생산 관리 컨트롤러로부터의 반송 요구가 있을 때까지 시스템 컨트롤러(24)는 스테이션(ST)의 상태를 알 수 없다. 실시예에서는 생산 관리 컨트롤러로부터 요구되는 것보다 전에, 스테이션(ST)에 반출 물품이 발생했음 등을 시스템 컨트롤러(24)가 인식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시스템 컨트롤러(24)는 그 스테이션(ST)이 속하는 인트라베이 루트(베이 단위의 주회 루트)를 향해 빈 천정 주행차(8)를 배차하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션(ST)으로 다음에 반입해야 할 물품이 시스템 컨트롤러(24)측에서 이미 알고 있을 경우, 생산 관리 컨트롤러로부터 요구되는 것보다 전에 스테이션(ST)으로의 물품의 반송을 개시할 수 있다.
천정 주행차(8)는 스테이션(ST)의 바로 위로 승강대를 하강시켜 물품을 전달하므로 승강대 또는 물품이 스테이션(ST) 부근의 사람 등과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천정 주행차(8)에 장해물 센서 등을 탑재해서 스테이션(ST) 부근의 장해물을 검출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천정 부근으로부터 스테이션(ST) 부근의 사람을 확실히 검출하는 것은 어렵다. 이것에 대하여, 스테이션(ST)에 설치한 스위치를 눌러서 천정 주행차와의 전달을 금지하거나 또는 스테이션(ST)에 설치한 사람 감지 센서에 의해 사람을 검출하는 것은 용이하다. 그래서, 장해물 검출부(14)의 신호에 의해 어댑터(16)의 상태를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유지하고 천정 주행차(8)와 스테이션 단말(12)의 통신을 금지하는 것, 또는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도 천정 주행차(8)로 전달의 금지를 끼워넣어 통지하는 것 등에 의해, 사람과 천정 주행차의 간섭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해물 검출부(14)는, 예를 들면 유선에 의해 또는 LAN(20)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18)와 통신한다.
스테이션(ST)을 복수 구비하고, 1배치(batch)로 복수의 FOUP 반도체를 처리하는 제조 장치(4)에서는 어느 스테이션(ST)에 물품을 전달할지는 중요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을 도 4에 나타내며, 제조 장치(4)는, 예를 들면 4개의 스테이션[ST(4a~4d)]을 구비하고, 천정 주행차는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주행한다. 시스템 컨트롤러(24)는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의 통신에 의해 어느 스테이션[ST(4a~4d)]에 반송 물품이 발생했는지를 리얼타임으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반송 물품이 있는 스테이션 중 가장 하류측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물품이 먼저 반출되고, 가장 상류측의 스테이션으로부터 최후에 물품이 반출되도록 천정 주행차로의 반송 지령을 변경한다. 하류측의 스테이션으로부터 먼저 물품을 반출하면 스테이션[ST(4a~4d)]에서의 천정 주행차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테이션[ST(4a~4d)]으로 물품을 적하할 때에 빈 스테이션 중에서 가장 하류측의 스테이션을 우선해서 물품을 적하하도록 반송 지령을 변경하면 천정 주행차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천정 주행차 시스템으로의 응용을 나타냈지만, 섬유 기계 유닛으로의 보수 대차, 다축의 공작 기계로의 로더 등에서도 마찬가지로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컨트롤 모드와 어댑터 패스 모드의 스위칭을, 예를 들면 10m초~100m초 정도의 주기로 규칙적으로 행하고, 반송 장치는 통신 불가능일 경우에 이 주기 이상 대기하도록 해도 좋다.
제 2 실시예
도 6~도 13에 통신 시스템(2)과 통신 디바이스(18)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도 5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기재가 없는 점은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도 6에 있어서, 4는 제조 장치이며 반도체의 처리 장치, 섬유의 가공 장치, 공작 기계 등이고, 1개~복수개의 스테이션(ST1~ST3)을 구비하여 반송 장치의 예로서의 천정 주행차(8)와의 사이에서 물품(9)을 이송한다. 천정 주행차(8) 대신에 지상 주행의 무인 반송차, 공작 기계의 로더, 섬유 기계의 보수 대차 등이라도 좋다. 또한, 천정 주행차(8)는 주행 루트(6)를 따라 일방향으로 주행한다. 스테이션(ST1~ST3)은 스테이션 단말(12)을 구비하고, 천정 주행차(8)는 E84 통신 단말(10)을 구비하며, 스테이션 단말(12)에는 어댑터(16)를 통해 E84 통신 단말(11)이 접속되고, E84 통신 단말(11)은 주행 루트(6)에 지지되어 있다. 18은 디바이스 서버 등의 통신 디바이스이며, 복수의 IO 포트를 구비하고, IO 포트의 모드는
·컨트롤 모드[어댑터(16)를 사용하지 않는 모드]와,
·어댑터 컨트롤 모드[어댑터(16)를 경유해서 통신 디바이스(18)와 스테이션 단말(12)이 통신하는 모드],
·어댑터 패스 모드[어댑터(16), E84 통신 단말(10) 및 E84 단말(11)을 경유해서 천정 주행차(8)가 스테이션 단말(12)과 통신하는 모드],
의 3종류이다. 통신 디바이스(18)는 통신 시스템(2) 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 모드에서는, 스테이션 단말(12)은 직접 통신 디바이스(18)에 접속되고, E84 통신 단말(11)에는 접속되어 있지 않다.
20은 LAN이며 천정 주행차(8)는 엑세스 포인트(22)를 통해 LAN(20)과 접속되고, LAN(20)에는 시스템 컨트롤러(24) 등이 접속되어 있다. 통신 디바이스(18)는 Wi-Fi 등에 의해 엑세스 포인트(22)를 통해 LAN(20)에 접속되거나, 또는 유선으로 직접 LAN(20)에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컨트롤러(24)에는 관리부(26)가 설치되고,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의 데이터(스테이션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의 현재값을 기억함과 아울러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의 과거의 데이를 보존한다. 또한, 관리부(26)는 복수의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의 데이터를 검색 및 편집할 수 있다. 관리부(26)의 데이터로부터 스테이션마다의 이송 횟수, 스테이션에 제조 장치로부터 물품이 반출되고나서 이송까지의 대기 시간의 분포, 스테이션으로의 물품의 이송을 시스템 컨트롤러에 요구하고나서 이송까지의 대기 시간의 분포 등을 구할 수 있다.
단말(58)은 시스템 컨트롤러(24)에 접속되어 천정 주행차(8)로의 반송 지령의 변경, 스테이션 상태의 해석, 통신 시스템(2)의 운용룰의 변경 등을 행한다. 또한, 고정 또는 휴대 단말(60)로부터도 마찬가지로 반송 지령의 변경, 스테이션 상태의 해석, 통신 시스템(2)의 운용룰의 변경 등을 행할 수 있다.
도 7에 통신 디바이스(18)와 어댑터(16)를 나타내며, 통신 디바이스(18)는 복수의 IO 포트(P1~P6)를 구비하고, IO 포트(P1~P6)는, 예를 들면 17개, 24개 등의 통신선으로 이루어지는 통신 케이블(62)을 구비하여 어댑터(16) 또는 스테이션 단말(12)에 접속된다. 통신 케이블(62)의 통신선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 단말(12)로의 통신에 8개, 스테이션 단말(12)로부터의 통신에 8개, 어댑터(16)의 스위치(30)의 스위칭에 1개 합계 17개이다. 스위치(30)가 온인 모드가 어댑터 패스 모드, 오프인 모드가 어댑터 컨트롤 모드, 어댑터(16)가 접속되어 있지 않는 모드가 컨트롤 모드이다.
CPU(중앙 제어 장치)(54)는 IO 포트(P1~P6)와, LAN유닛(52) 및 관리 테이블(56) 등을 제어한다. LAN 유닛(52)은 무선에 의해 엑세스 포인트(22)를 통해서, 또는 유선에 의해 직접적으로 LAN(20)에 접속되며, 천정 주행차(8), 시스템 컨트롤러(24), 단말(60) 등과 통신한다. 관리 테이블(56)에는 IO 포트마다 그 모드 및 통신 데이터가 일시 기억되어 있다. 통신 디바이스(18)는 IP 어드레스, MAC 어드레스 등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의해 특정되고, 각 IO 포트는 통신 디바이스(18)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에 포트 번호를 부가함으로써 특정된다. 또한, IO 포트는 스테이션 단말(12) 등의 통신 시스템에서의 주변 기기에 대응하고, 관리 테이블(56)에는 통신 디바이스의 네트워크 어드레스, 포트 번호와, IO 포트가 대응하는 주변 기기를 특정하는 데이터, 모드, 및 포트에서의 통신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포트의 데이터의 의미는, 예를 들면 포트의 모드에 의해 정해지고, 이 데이터의 해석룰을 시스템 컨트롤러(24)의 관리부(26)와 천정 주행차(8)가 기억하고 있다.
도 8에 관리 테이블(56)의 데이터의 예를 나타내며, MAC 어드레스와 IP 어드레스가 통신 디바이스(18)를 특정하는 데이터로서 기억되고, IO 포트 번호와 대응하는 스테이션의 번호, 및 IO 포트의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IO 포트를 경유하는 통신 데이터, 여기서는 E84 통신에 의한 IN/OUT 각 8비트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16)에 접속되는 IO 포트에서는 스위치(30)의 ON/OFF 데이터도 기억되고, 컨트롤 모드에서는 스위치(30)의 데이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스위치(30)의 ON/OFF 데이터는 모드의 데이터와 중복되므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억한다.
도 9~도 11에 IO 포트의 3종류의 모드를 나타낸다. 도 9의 컨트롤 모드에서는, IO 포트는 스테이션 단말(12)과 통신하고 E84 통신 단말(11)과는 통신하지 않으며, 통신 데이터(여기서는 E84 통신의 16비트 데이터)를 관리 테이블(56)에 일시 기억한다. 시스템 컨트롤러(24)는 통신 디바이스(18)와 통신하고 관리부(26)에 IO 포트마다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천정 주행차(8) 등의 반송 장치는 시스템 컨트롤러(24)와 통신하거나, 또는 통신 디바이스(18)와 통신함으로써 스테이션의 상태(이송 준비가 정돈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스테이션으로부터 떨어진 곳에서 알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션에 도착하거나 또는 도착 전에, E84 통신에서의 이송 전의 순서를 완료하고, 물품을 이송하면 출발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출발 후에, 이송 완료 후에 E84 통신에서의 이송 완료 후의 순서를 실행한다.
통신 시스템(2)에서의 주요한 주변 기기는 스테이션이지만, 이것 이외에 방화문, 천정 주행차(8)로의 충전 장치, 천정 주행차(8)를 메인터넌스 에어리어로 승강시키는 리프터 등의 주변 기기가 있다. 이들 주변 기기는 시스템 컨트롤러(24)와 독립적이고, 통신 기능을 갖지 않는 것이 많다. 그래서, 이들 주변 기기를 통신 디바이스(18)에 접속하고, 그 상태를 시스템 컨트롤러(24)의 관리부(26)가 기억함과 아울러 관리하고, 시스템 컨트롤러(24) 등으로부터의 지령을 송신한다. 또한, 스테이션에서는 사람과 천정 주행차(8)로부터의 물품(9)이 간섭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이 스테이션으로 물품의 전달 등을 행하려고 하고 있을 경우에 천정 주행차(8)가 물품을 하강시키면 간섭의 위험성이 있다. 그래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체 검출 센서, 스위치 등으로 이루어지는 장해물 검출부(14)를 설치하여 스테이션에 사람이 엑세스하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장해물 검출부(14)를 통신 디바이스(18)의 IO 포트에 접속하거나, 또는 스테이션 단말(12)로부터의 통신선과 함께 장해물 검출부(14)로부터의 통신선을 동일 IO 포트로 접속함으로써, 통신 디바이스(18)측에서 장해물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다. 이 데이터에 천정 주행차(8)가 엑세스하면 천정 주행차(8)와 사람 사이의 간섭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스테이션의 상태에 시스템 컨트롤러(24), 천정 주행차(8), 및 단말(58, 60) 등으로 엑세스할 수 있으면 반송 지령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주행 루트를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배치된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하여 하류측의 스테이션을 우선해서 이송하면, 이송을 위해서 정지 중인 천정 주행차가 상류측 천정 주행차의 이송을 방해하는 일이 없다. 그래서, 복수의 스테이션 중 어느 것과 이송해도 좋을 경우, 이송 준비가 정돈되어 있는 범위에서 하류측 스테이션을 우선하도록 반송 지령을 변경한다. 또한, 특급품과 같이 반송을 서두르는 물품이 존재할 경우, 스테이션측의 준비가 되면 즉시 천정 주행차를 그 스테이션으로 주행시키도록 반송 지령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0에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의 처리를 나타낸다.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는 천정 주행차(8)는 통신 디바이스(18)로부터 어댑터(16)를 통해 스테이션 단말(12)과 통신한다. 특히, 정지 전에 이송 전의 E84 통신을 완료하고, 출발과 동시 또는 출발 후에 이송 후의 E84 통신을 완료하는 점은 컨트롤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이들 통신 데이터는 통신 디바이스(18)가 방청하고, 관리 테이블(56)과 관리부(26)에 기억된다. 다른 점에서는 컨트롤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도 11에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의 처리를 나타낸다.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는 천정 주행차(8)가 스테이션에 도착하고, 종래의 E84 통신 단말(11)을 통해 물품의 이송을 행한다.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는 천정 주행차(8)는 어댑터(16)를 통해 스테이션 단말(12)과 통신하고, 통신 데이터는 통신 디바이스(18)가 방청하여 관리 테이블(56)에 일시 기억됨과 아울러 관리부(26)로 전송된다. 스테이션 단말(12)과의 통신 이외의 점에서는 컨트롤 모드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LAN 유닛을 통해, 예를 들면 컨트롤러로부터 지시를 접수하고 스위치(30)를 스위칭함으로써 어댑터 패스 모드와 어댑터 컨트롤 모드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천정 주행차에 LAN 경유의 통신 디바이스와의 통신 기능이 구비되어 있지 않은 경우 등은, 시스템 컨트롤러는 대상의 천정 주행차가 이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통신 디바이스에 지시를 행하고, 소정의 스테이존을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송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어 LAN 상의 통신이 과잉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을 컨트롤러가 검출하면, 몇개의 스테이션에 대응하는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하고, 각 천정 주행차도 어댑터 패스 모드의 스테이션에서는 종래형의 통신을 행하도록 통신 디바이스와 천정 주행차에 지령한다. 이것에 의해, 네트워크 상의 통신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는, 통신 디바이스가 통신부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출하면, 통신 디바이스의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설정된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한다. 이것에 의해, 반송에 장해가 초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에 실시예의 특징을 나타낸다.
1) 스테이션의 상태를 원격으로 인식할 수 있으므로 이송 준비가 정돈되어 있지 않은 스테이션과의 이송을 위해서 천정 주행차가 감속 또는 정지하는 경우가 없다.
2) 스테이션, 충전 장치, 리프터, 방화문 등의 주변 기기의 상태 데이터를 시스템 컨트롤러(24)에 부속의 관리부(26)의 데이터를 통해, 또는 통신 디바이스(18)를 통해 통신 시스템(2) 전체에서 공유할 수 있다.
3) 스테이션의 상태에 따라 반송 지령을 수정해서 운용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다.
4) 시스템 컨트롤러(24), 천정 주행차(8), 단말(58, 60) 등에서의 판단에 의해 운용룰과 반송 지령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관리부(26)의 데이터에 의해 스테이션에 관한 데이터를 해석할 수 있다.
도 13에 복수의 스테이션(ST4~ST6) 중 어느 것이나 천정 주행차(8)가 물품(9)을 이송할 수 있는 상황을 나타내고, 하류측으로부터 상류측으로의 순으로 스테이션(ST4~ST6)이 배열되어 있다. 예를 들면, 시스템 컨트롤러(24)는 물품을 이송해도 좋은 일군의 스테이션을 그룹으로 해서 지정하고, 그룹 내에서 어느 스테이션과 이송할지는 천정 주행차(8)의 판단에 맡긴다. 그리고, 이송한 스테이션을 천정 주행차(8)로부터 시스템 컨트롤러(24)로 보고시킨다. 도 13의 상황에서, 천정 주행차(8)는 통신 디바이스(18)를 통해 스테이션(ST4~ST6)의 상태를 확인하고, 이송 가능한 범위에서 최하류의 스테이션, 예를 들면 스테이션(ST4)과 이송하고, 이송 후에 스테이션(ST4)과 이송한 것을 시스템 컨트롤러(24)에 보고한다. 또한, 시스템 컨트롤러(24)가 그룹을 지정하는 대신에 주행 루트의 맵에 그룹을 기재하고, 천정 주행차(8)가 자율적으로 이송하는 스테이션을 선택해도 좋다.
최적 실시예
도 14, 도 15에 최적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도 13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것을 나타내고, 기재가 없는 점은 도 1~도 13의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제조 장치(4)는 1개~복수개의 스테이션(ST1~ST4)을 구비하고, 스테이션(ST1~ST4)에는 스테이션 단말(12)이 설치되며,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 디바이스(18)와 통신하고, 스테이션 단말(12)로부터의 수신 데이터와 스테이션 단말(12)로 송출하는 데이터가 통신 디바이스(18)의 IO 포트에 기억된다. 또한, 스테이션(ST3)에는 장해물 검출부(14)가 설치되고, 통신 디바이스(18)의 스테이션(ST3)용 IO 포트로 장해물 검출부(14)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천정 주행차(8), 시스템 컨트롤러(24), 단말(58, 60)은 LAN(20)을 통해 통신 디바이스(18)와 통신해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판독함과 아울러 배타 제어로는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IO 포트의 ON/OFF 신호는 관리부(26)에 기억되어 천정 주행차(8), 단말(58, 60), 및 시스템 컨트롤러(24) 등이 참조할 수 있다.
도 15는 통신 디바이스에서의 처리를 나타내며, 스텝 1에서 LAN 경유에서의 IO 포트로의 엑세스의 유무를 감시하고, 엑세스되었을 경우 엑세스한 기기의 IP 어드레스와, 천정 주행차(8), 시스템 컨트롤러(24), 단말(58) 등의 기기의 종별과, 지정된 IO 포트의 포트 번호, 및 배타 제어를 필요로 하는지의 여부의 엑세스 종류를 수신한다(스텝 2).
배타 제어의 필요 여부를 스텝 3에서 판별하고, 불필요한 경우 기기로부터의 정보를 기억하고(스텝 5), IO 포트의 상태(IO 포트로부터의 ON/OFF 신호)를 송신하고(스텝 6), 다음 요구가 없으면 통신을 종료한다(스텝 8). 배타 제어가 필요하지만 다른 기기가 배타 제어를 실행 중인 경우 통신을 거부한다(스텝 4). 다른 기기와의 사이에서 배타 제어를 실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 배타 제어를 확인하여 스텝 5, 6, 8을 실행함과 아울러 스텝 7에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한다. IO 포트의 ON/OFF 신호는 스테이션 단말(12)에 있어서는 반송 시스템으로부터의 신호이고, ON/OFF 신호의 변경은, 예를 들면 스테이션으로의 물품의 전달을 개시하는 것의 요구, 전달이 종료된 것의 확인, 전달 중의 이상의 발생 등의 신호를 송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타 제어를 행하면서, 천정 주행차(8)는 스테이션으로의 물품의 전달 등을 행한다.
2 : 통신 시스템 4 : 제조 장치
6 : 주행 루트 8 : 천정 주행차(반송 장치)
9 : 물품 10, 11 : E84 통신 단말
12 : 스테이션 단말 14 : 장해물 검출부
16 : 어댑터 18 : 통신 디바이스
20 : LAN 22 : 엑세스 포인트
24 : 시스템 컨트롤러 26 : 관리부
28 : 통신선 29 : 제 2 통신선
30 : 스위치 31, 32 : 커넥터
34 : 통신선 35~37 : 커넥터
40 : 주회로 기판 42 : 어댑터 기판
43 : 모드 제어 회로 44 : 제어 회로
45, 46 : 감시 회로 47~50 : 개별 포트
52 : LAN 유닛 54 : CPU
56 : 관리 테이블 58, 60 : 단말
62 : 통신 케이블 ST1~ST6 : 스테이션
P1~P6 : IO 포트

Claims (13)

  1. LAN과의 통신 유닛과,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한 적어도 1개의 IO 포트와, 제어부를 구비하는 통신 디바이스로서,
    상기 IO 포트는 상기 제조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ON/OFF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는,
    LAN을 통해 통신처로부터 통신 요구를 접수하여 통신처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통신처로부터 지정된 IO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기억하고,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하며,
    또한,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통신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의 유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에 의거하여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필요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를 구비하고,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IO 포트의 상태가 배타 제어 없음의 경우에는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함과 아울러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를 있음으로 하도록 상기 기억부의 기억을 변경하고,
    지정된 IO 포트의 상태가 배타 제어 있음의 경우에는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의 변경을 거부하며,
    또한, 통신처로부터의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가 불필요하다고 판단되었을 경우에, 지정된 IO 포트로의 배타 제어의 유무에 관계없이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통신처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처는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복수의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에 통신 유닛을 통해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를 갖고 또한 IO 포트에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가 부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에 상기 컨트롤러와 반송 장치가 엑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장치 이외의 주변 기기를 IO 포트에 접속하고, 주변 기기의 상태 데이터에 상기 컨트롤러와 반송 장치가 엑세스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7. 상기 통신처는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복수의 반송 장치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 장치는 상기 반송 장치와 통신 가능하며 또한 제조 장치의 본체에 통신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통신 단말을 구비하고,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디바이스와,
    상기 통신선에 삽입됨과 아울러 상기 IO 포트에 접속되는 어댑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는,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본체의 통신을 중계함과 아울러 통신 데이터를 상기IO 포트로 송출하는 어댑터 패스 모드와,
    또한, 통신 단말과 상기 본체가 통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 제조 장치와 상기 IO 포트의 통신을 중계하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IO 포트는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와 제조 장치의 단말과 직접 통신하는 상태 사이에서 스위칭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통신선에 삽입되어 있는 스위치와 상기 통신선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IO 포트에 접속되어 있는 제 2 통신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IO 포트는 어댑터 컨트롤 모드에서도, 어댑터 패스 모드에서도 상기 본체와의 통신을 감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의 이상을 검출하면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설정된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유닛에 의해 반송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접수하여 어댑터 컨트롤 모드로 설정된 IO 포트를 어댑터 패스 모드로 변경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기기.
  12. 제조 장치의 스테이션으로 물품을 반출입하는 반송 장치와,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와, 제조 장치측의 통신 디바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LAN과의 통신 유닛과, 적어도 1개의 IO 포트와,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IO 포트는 제조 장치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조 장치와의 사이에서 복수 비트로 이루어지는 ON/OFF 신호를 교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송 장치 및 상기 컨트롤러를 통신처로 해서 통신처로부터의 LAN을 통한 통신 요구를 접수하고, 통신처 요구의 송출원의 네트워크 어드레스와 통신처로부터 지정된 IO 포트를 특정하는 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변경하고,
    또한, 상기 통신처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를 통신 유닛과 LAN을 경유해서 상기 통신처로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반송 장치의 컨트롤러는 지정된 IO 포트의 ON/OFF 신호에 의거하여 반송 지령의 변경 또는 이송의 중지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157008390A 2012-11-02 2013-06-10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KR101642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42657 2012-11-02
JPJP-P-2012-242657 2012-11-02
JP2013008225 2013-01-21
JPJP-P-2013-008225 2013-01-21
PCT/JP2013/065949 WO2014069029A1 (ja) 2012-11-02 2013-06-10 通信デバイスと通信機器及び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204A true KR20150052204A (ko) 2015-05-13
KR101642793B1 KR101642793B1 (ko) 2016-08-10

Family

ID=5062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8390A KR101642793B1 (ko) 2012-11-02 2013-06-10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880963B2 (ko)
EP (1) EP2916345B1 (ko)
JP (1) JP6036842B2 (ko)
KR (1) KR101642793B1 (ko)
CN (1) CN104737270B (ko)
SG (1) SG11201503376TA (ko)
TW (1) TWI573750B (ko)
WO (1) WO20140690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312A (ko) * 2016-07-08 2018-01-17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로드 포트 및 로드 포트를 구비하는 기판 반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8921B2 (ja) * 2013-10-28 2018-01-31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および通信デバイスの制御方法
JP6451297B2 (ja) * 2014-12-19 2019-01-16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及び通信デバイスの制御方法
JP6764943B2 (ja) * 2016-12-12 2020-10-07 株式会社Fuji 対基板作業システム
TWI757550B (zh) 2017-10-10 2022-03-11 日商村田機械股份有限公司 通信方法及通信系統
KR102064485B1 (ko) * 2017-12-27 2020-01-09 오학서 자동 반송 시스템의 작업시간 단축을 위한 데이터 통신 방법
US20210349472A1 (en) * 2018-09-27 2021-11-11 Murata Machinery, Ltd. Control method, transport system, and communication device
JP7388241B2 (ja) * 2020-02-28 2023-11-29 オムロン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搬送システム
CN113371614B (zh) * 2020-03-10 2023-01-31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自动化天车防撞系统及方法
WO2021186502A1 (ja) * 2020-03-16 2021-09-23 株式会社Fuji 管理装置、実装システム、管理方法
CN114518724B (zh) * 2022-01-28 2023-04-28 弥费科技(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amhs系统的通讯装置及通讯方式
CN115028103B (zh) * 2022-06-09 2024-01-09 长鑫存储技术有限公司 一种装载装置及自动物料搬送系统
CN115623352B (zh) * 2022-09-07 2023-05-26 江苏品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识别技术的防火型网络交换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7A (ko) * 1992-07-31 1994-03-21 마스다 쇼이치로 물품반송설비
JP2002009806A (ja) * 2000-06-20 2002-01-11 Nec Corp Lan通信路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06148255A (ja) * 2004-11-16 2006-06-08 Hitachi Ltd 不正機器の接続位置特定装置および接続位置特定方法
WO2011155040A1 (ja) 2010-06-10 2011-12-15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システム内での通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13346A (ja) 1986-03-13 1987-09-19 Nec Corp 端末回線アダブダ装置
JPS62213348A (ja) * 1986-03-13 1987-09-19 Toshiba Corp 電子装置
JPH04917A (ja) 1990-04-18 1992-01-06 Digital Bureen:Kk 回線監視用分配器
JPH09252378A (ja) * 1996-03-14 1997-09-22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入出力機器用状態監視アダプタ
JPH10164114A (ja) 1996-12-04 1998-06-19 Meidensha Corp コンピュータの通信方式
JP2003197711A (ja) * 2001-12-27 2003-07-11 Tokyo Electron Ltd 被処理体の搬送システム及び被処理体の搬送方法
JP2004031579A (ja) * 2002-06-25 2004-01-29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製造システムの制御装置
JP3977720B2 (ja) * 2002-10-18 2007-09-19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US7426555B2 (en) 2004-06-02 2008-09-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storage medium for providing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process equipment and an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
US7849506B1 (en) * 2004-10-12 2010-12-07 Avaya Inc. Switching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efficient intrusion detection
JP2009135255A (ja) * 2007-11-30 2009-06-18 Tatsumo Kk 通信記録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障害解析装置
TWI354954B (en) * 2007-12-14 2011-12-21 Ind Tech Res Inst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ling parking appa
JP5251457B2 (ja) * 2008-11-27 2013-07-31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伝送装置
JP5367463B2 (ja) * 2009-06-04 2013-12-11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JP5177702B2 (ja) * 2010-02-15 2013-04-10 村田機械株式会社 走行台車システム
US8724466B2 (en) * 2010-06-30 2014-05-1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acket filtering
US8873557B2 (en) * 2011-04-08 2014-10-28 Gigam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acket de-duplication
JP6268921B2 (ja) * 2013-10-28 2018-01-31 村田機械株式会社 通信デバイスおよび通信デバイス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77A (ko) * 1992-07-31 1994-03-21 마스다 쇼이치로 물품반송설비
JP2002009806A (ja) * 2000-06-20 2002-01-11 Nec Corp Lan通信路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06148255A (ja) * 2004-11-16 2006-06-08 Hitachi Ltd 不正機器の接続位置特定装置および接続位置特定方法
WO2011155040A1 (ja) 2010-06-10 2011-12-15 ムラテックオートメーション株式会社 搬送システム及び搬送システム内での通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6312A (ko) * 2016-07-08 2018-01-17 신포니아 테크놀로지 가부시끼가이샤 로드 포트 및 로드 포트를 구비하는 기판 반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880963B2 (en) 2018-01-30
JP6036842B2 (ja) 2016-12-07
EP2916345A1 (en) 2015-09-09
KR101642793B1 (ko) 2016-08-10
JPWO2014069029A1 (ja) 2016-09-08
EP2916345B1 (en) 2018-11-28
US20150269107A1 (en) 2015-09-24
CN104737270B (zh) 2017-04-19
CN104737270A (zh) 2015-06-24
TWI573750B (zh) 2017-03-11
EP2916345A4 (en) 2016-05-11
WO2014069029A1 (ja) 2014-05-08
SG11201503376TA (en) 2015-06-29
TW201418131A (zh)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793B1 (ko) 통신 디바이스와 통신 기기 및 통신 시스템
JP6642577B2 (ja) 搬送システム
JP6854498B2 (ja) 搬送システムの制御方法、搬送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
US10479613B2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method
CN104854691A (zh) 用于半导体制造设施的访问仲裁系统以及用于使用和操作该系统的方法
WO2020049872A1 (ja) 搬送車システム
KR100790817B1 (ko) 반도체 제조관리 시스템
US20220073277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KR20130043644A (ko) 반송 시스템 및 반송 시스템 내에서의 통신 방법
EP3805890B1 (en) Conveyance system
CN114518724B (zh) 一种适用于amhs系统的通讯装置及通讯方式
KR102590124B1 (ko) 제어 방법, 반송 시스템, 및 통신 디바이스
WO2023062960A1 (ja) 搬送システム
KR102580388B1 (ko) 통신 방법, 반송 시스템 및 통신 디바이스
US20240132294A1 (en) Article Transport Facility
EP3971111A1 (en) Transport system and transport control method
JP2023059083A (ja) 通信システム、光伝送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10046460A (ko) 웨이퍼 캐리어 운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