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50185A -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50185A
KR20150050185A KR1020130131677A KR20130131677A KR20150050185A KR 20150050185 A KR20150050185 A KR 20150050185A KR 1020130131677 A KR1020130131677 A KR 1020130131677A KR 20130131677 A KR20130131677 A KR 20130131677A KR 20150050185 A KR20150050185 A KR 20150050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orting
weight
articles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우
송택현
임중연
Original Assignee
최재우
송택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우, 송택현 filed Critical 최재우
Priority to KR1020130131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50185A/ko
Publication of KR20150050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0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58Weight of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물품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박스; 상기 분류박스의 상측에 위치한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상기 물품을 유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 및 상기 분류박스의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의해 분류된 상기 물품을 다른 장소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배출구 사이에 마련된 무게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TRANSFER EQUIPMENT BEING ABLE TO CLASSIFY ARTICLES}
본 발명은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의 무게를 일일이 확인하여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시킬 필요없이 이송 중에 자동으로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보관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떠한 일이 되던 간에 일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물품을 분류하는 것은 일반적이며, 특히 물품을 특정 장소로 이송시키는 중간에 물품을 분류하면 일의 효율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옛날부터 물품을 이송하는 다양한 이송장치에 물품을 분류하는 기능을 추가하여 왔다.
하지만, 물품을 분류하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으로 인해 이송장치의 본래의 기능인 물품을 이송하는 것이 방해되어, 실질적으로 이와 같이 물품을 분류하는 기능을 추가하지 않거나 사람이 수동으로 물품을 분류하는 것이 현실이다.
특히, 사람이 수동으로 물품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대표적인 분류 기준으로 물품의 무게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수동으로 물품을 분류하는 것을 구체적을 설명하면,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을 일일이 들어올리거나 저울에 물품을 올려봄으로써 물품을 분류하고 분류된 물품을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런데, 물품의 무게만을 고려하여 물품을 분류한다면,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의 무게를 일일이 확인하여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시킬 필요없이, 이송 중에 자동으로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보관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도 발명될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구체적으로 발명되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의 무게를 일일이 확인하여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시킬 필요없이, 이송 중에 자동으로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보관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물품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박스; 상기 분류박스의 상측에 위치한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상기 물품을 유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 및 상기 분류박스의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의해 분류된 상기 물품을 다른 장소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배출구 사이에 마련된 무게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된 스프링을 압축시킬 때, 상기 스프링의 변위가 변경되는 정도를 위치센서가 측정하고, 상기 위치센서가 측정한 상기 스프링의 변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유입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물품이 유입된 이후에는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상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기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 모두를 개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물품이 분류되는 동안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 사이에 상기 바닥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물품이 분류된 이후에 상기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의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물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이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에 의하면,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의 무게를 일일이 확인하여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시킬 필요없이, 이송 중에 자동으로 물품을 분류하여 물품보관장소까지 이송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분류박스의 내부가 도시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분류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 분류박스의 내부가 도시될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분류박스의 내부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분류박스(100), 유입컨베이어(200), 배출컨베이어(300a, 3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박스(100)는 물품의 무게에 따라 물품을 분류하는 구성요소로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물품을 분류하도록 구성되면 그 형상이나 구조 등에 있어서 제한이 없다.
그러나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1 내지 도 4에 도시된 분류박스(100)를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상측에 유입컨베이어(200)에 인접하여 유입구(110)가 마련되고, 하측에 복수의 배출컨베이어(300a,300b)에 각각 인접하여 복수의 배출구(120)가 마련되며,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사이로 물품이 떨어질 때 물품의 무게를 감지할 수 있는 무게감지부(140)가 복수의 배출구(120) 사이에 마련된다.
이때, 무게감지부(140)는 떨어지는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이로부터 물품을 분류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한다면 그 형상이나 구조 등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제한이 없다.
그러나 이 역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하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무게감지부(140)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분류박스(100)의 바닥면(130) 중앙부에 마련된 스프링(142)이 압축되면 압축된 스프링(142)의 변위를 스프링(142)의 측부에 위치한 위치센서(144)가 측정하고 위치센서(144)가 측정한 스프링(142)의 변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무게감지부(140)를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142)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코일 스프링의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른 형태의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위치센서(144) 역시 스프링(142)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센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기설정된 범위는 물품을 몇 개의 그룹으로 분류할 것인지에 따라 사용자가 스프링(142)의 압축강도를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범위이다. 예를 들어, 물품을 무게가 작은 A그룹과 무게가 큰 B그룹으로 분류하고자 한다면, 기설정된 범위를 3cm 미만과 3cm 이상으로 하여, 스프링이 3cm 미만으로 압축되면 물품을 A그룹으로 분류하고, 스프링이 3cm 이상으로 압축되면 물품을 B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게감지부(140)가 구성된다면, 물품이 하측으로 어떻게 떨어지느냐가 무게감지부(140)가 제대로 작동하는지에 대하여 큰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즉, 물품이 분류박스(1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떨어지면 무게감지부(140)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으나, 예기치 않은 외력으로 인해 물품이 분류박스(100)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무게감지부(140)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물품이 분류박스(100) 내부에 안정적으로 떨어질 수 있도록, 유입컨베이어(200)를 통해 물품이 유입된 이후에는 유입구도어(112)를 닫아 유입구(110) 폐쇄하고, 무게감지부(140)에서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기 이전에는 배출구도어(122a, 122b) 역시 닫은 상태를 유지하여 복수의 배출구(120) 모두를 개방하지 않음으로써, 분류박스(100)는 물품이 분류되는 동안에는 밀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유입구도어(112)와 배출구도어(122a, 122b) 자체를 생략할 수도 있지만, 분류될 물품의 크기를 모두 예상하여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크기를 최소한의 범위로 미리 설계하여 두는 것은 쉽지 않으며, 예상 외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크기가 큰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가 반복될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10)와 배출구(120)의 크기는 충분히 확보하여 두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10)와 배출구(120) 각각을 유입구도어(112)와 배출구도어(122a, 122b)로서 열고 닫도록 하여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무게감지부(140)를 통해 무게를 감지하여 분류한 물품에 대하여는 후술할 복수의 배출컨베이어(300a,300b) 중 어느 배출컨베이어로 물품이 이동될지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이 역시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지만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130)을 기울이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분류박스(100)는 스프링(142)과 복수의 배출구(120) 사이에 바닥면(130)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유닛(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기울기 조절유닛(1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복수의 배출컨베이어(300a,300b) 중 물품을 배출하게 될 배출컨베이어의 반대측에서 바닥면(130)을 들어올려 물품이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이동되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분류박스(100)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오 같이 유입컨베이어(200), 배출컨베이어(300a, 300b)도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입컨베이어(200)는 분류 전에 물품을 유입시키는 컨베이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유입구(110)에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며, 배출컨베이어(300a,300b)는 분류된 물품을 다른 장소로 배출시키는 컨베이어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배출구(120)에 각각 연결되는 구성요소이다.
이와 같은 유입컨베이어(200)와 배출컨베이어(300a,300b)는 밸트와 풀리를 이용한 일반적으로 알려진 형태의 컨베이어일 수 있음은 물론, 분류되는 물품에 따라 특수한 형태의 컨베이어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의 구성에 대항 전술한 내용 중 누락된 내용을 포함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는 유입컨베이어(200)를 통해 분류 전 물품이 분류박스(100)로 유입되는 것으로부터 작동이 시작된다.
유입컨베이어(200)를 통해 물품이 분류박스(100)의 유입구(110) 근처로 이동되어 오면 유입구도어(112)는 개방되고, 유입구(110)로 물품이 유입된 후에는 유입구도어(112)는 폐쇄된다.
이후, 물품이 바닥면(130)으로 떨어지면서 바닥면(130)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스프링(142)을 압축시키고, 스프링(142)이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변위는 위치센서(144)에 의해 확인되는 순으로 무게감지부(140)에서는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여 물품을 어떻게 분류할지 결정한다.
이와 같이 물품이 어떻게 분류될지 결정된 이후에는, 기울기 조절유닛(150)을 작동시켜 물품을 배출컨베이어(300a,300b)로 이동시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작은 물품(A)으로 분류되는 경우, 물품(A)이 배출컨베이어(300a)로 이동이 될 수 있도록, 배출컨베이어(300a)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제1 바(bar; 152)보다 제2 바(154)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바닥면(130)을 배출컨베이어(300a)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시에 배출구도어(122a)를 개방시킨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게가 큰 물품(B)으로 분류되는 경우, 물품(B)이 배출컨베이어(300b)로 이동이 될 수 있도록, 배출컨베이어(300b)의 반대 방향에 위치하고 있는 제2 바(154)보다 제1 바(152)의 높이를 높게 하여 바닥면(130)을 배출컨베이어(300b)로 기울어지게 하는 동시에 배출구도어(122b)를 개방시킨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는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물품을 이송하는 중에 사람이 물품의 무게를 일일이 확인하여 물품보관장소로 재차 이송시킬 필요없이, 물품을 유입컨베이어(200)를 통해 분류박스(100)만 통과되도록 하면 물품이 쉽게 무게별로 분류되어 물품보관장소까지 배출컨베이어(300a,300b))를 통해 이송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A, B : 물품
100 : 분류박스
110 : 유입구
112 : 유입구도어
120 : 배출구
122a, 122b : 배출구도어
130 : 바닥면
140 : 무게감지부
142 : 스프링
144 : 위치센서
150 : 기울기 조절유닛
152 : 제1 바(bar)
154 : 제2 바
200 : 유입컨베이어
300a, 300b : 배출컨베이어

Claims (4)

  1. 물품의 무게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분류박스;
    상기 분류박스의 상측에 위치한 유입구에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상기 물품을 유입시키는 유입컨베이어; 및
    상기 분류박스의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배출구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분류박스에 의해 분류된 상기 물품을 다른 장소로 배출시키는 복수의 배출컨베이어를 포함하되,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상기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질 때 상기 복수의 배출구 사이에 마련된 무게감지부에 의해 상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함으로써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감지부는,
    상기 물품이 하측으로 떨어지면서 바닥면 중앙부에 마련된 스프링을 압축시킬 때, 상기 스프링의 변위가 변경되는 정도를 위치센서가 측정하고, 상기 위치센서가 측정한 상기 스프링의 변위가 기설정된 범위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유입컨베이어를 통해 상기 물품이 유입된 이후에는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고 상기 무게감지부에서 상기 물품의 무게를 감지하기 이전에는 상기 복수의 배출구 모두를 개방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물품이 분류되는 동안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박스는,
    상기 스프링과 상기 복수의 배출구 사이에 상기 바닥면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기울기 조절유닛을 구비하여, 상기 물품이 분류된 이후에 상기 복수의 배출구 중 어느 하나의 배출구를 향하여 상기 물품이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바닥면이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KR1020130131677A 2013-10-31 2013-10-31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KR20150050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77A KR20150050185A (ko) 2013-10-31 2013-10-31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677A KR20150050185A (ko) 2013-10-31 2013-10-31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0185A true KR20150050185A (ko) 2015-05-08

Family

ID=5338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677A KR20150050185A (ko) 2013-10-31 2013-10-31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50185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58B1 (ko) 2015-12-11 2017-03-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CN109748051A (zh) * 2019-01-17 2019-05-14 杭州德创能源设备有限公司 Agv下料机构
KR20190057766A (ko) 2017-11-20 2019-05-29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90085906A (ko) 2019-07-12 2019-07-19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N110562569A (zh) * 2019-08-22 2019-12-13 成都诚至诚商务物流有限责任公司 烟箱包装回收系统
KR102256466B1 (ko) * 2021-01-15 2021-05-26 홍경화 쇼핑몰 상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578779A (zh) * 2021-10-07 2021-11-02 江苏城邦物联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物流快递包装盒重力分拣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3058B1 (ko) 2015-12-11 2017-03-07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KR20190057766A (ko) 2017-11-20 2019-05-29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748051A (zh) * 2019-01-17 2019-05-14 杭州德创能源设备有限公司 Agv下料机构
KR20190085906A (ko) 2019-07-12 2019-07-19 원황희 물품거래서류 자동 발행 및 분류 장치 및 방법
CN110562569A (zh) * 2019-08-22 2019-12-13 成都诚至诚商务物流有限责任公司 烟箱包装回收系统
KR102256466B1 (ko) * 2021-01-15 2021-05-26 홍경화 쇼핑몰 상품 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13578779A (zh) * 2021-10-07 2021-11-02 江苏城邦物联网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物流快递包装盒重力分拣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50185A (ko)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US1153780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30165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imiting induction of objects to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86884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7345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7485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6818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KR200438754Y1 (ko) 과일 선별기
KR20200001162A (ko) 초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CA3126138C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CN105084026B (zh) 保持箱的卸载装置
KR102247934B1 (ko) 통합 물품 분류 시스템
KR20200025317A (ko) 물품 분류 시스템
CN206392445U (zh) 一种鱼类称重分选装置
KR100782276B1 (ko) 과실 중량 선별장치
KR102427602B1 (ko) 중량선별 배제장치
JP4715007B2 (ja) 長物選別箱詰め装置
KR20140003579U (ko)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KR102504766B1 (ko) 리젝트 수용함이 구비되는 인덕션
CN110201901B (zh) 一种多级物流分选系统
KR20040100071A (ko) 카드 분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649950B1 (ko) 재활용품 선별장치
KR200290651Y1 (ko) 우편물 자동화 시스템
JPH057846A (ja) 長物野菜等の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