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579U -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579U
KR20140003579U KR2020120011135U KR20120011135U KR20140003579U KR 20140003579 U KR20140003579 U KR 20140003579U KR 2020120011135 U KR2020120011135 U KR 2020120011135U KR 20120011135 U KR20120011135 U KR 20120011135U KR 20140003579 U KR20140003579 U KR 201400035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osmetic
group
sorting
packag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1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3110Y1 (ko
Inventor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20201200111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3110Y1/ko
Publication of KR201400035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5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31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31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61Processing or control devices therefor, e.g. escort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3/00Sorting according to destination
    • B07C3/18Devices 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destination, e.g. by code marks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품 포장박스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완제품, 반제품, 화장품 종류, 및 각 광역별 판매처 등의 매체가 기록되어 있어 이를 메인컨베이어라인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해석하여 라인과 라인이 교차되는 분류라인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분류라인에서 바코드에 맞도록 분류하는 화장품 박스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화장품 종류가 포장된 화장품 포장박스가 이송되는 메인이송라인을 갖는 화장품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송라인(10)에는 화장품 포장박스(B)에 부착된 바코드(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 상기 감지센서(S)의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12);상기 컨트롤러(12)는 바코드에 기록된 매체를 분석하여 송출하는 것을 수신하고, 상기 메인이송라인(10)과 A그룹라인(13) 및 B그룹라인(14)의 분류교차로라인(R)에 마련되어 상기 A그룹라인(13) 또는 B그룹라인(14)로 분류하는 분류기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Cosmetic packaging box classification of devices}
본 고안은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장품 포장박스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완제품, 반제품, 화장품 종류, 및 각 광역별 판매처 등의 매체가 기록되어 있어 이를 메인이송라인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해석하여 라인과 라인이 교차되는 분류라인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분류라인에서 바코드에 맞도록 분류하는 화장품 박스의 분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포장박스를 선별하고 분류하는 분배창고에는 수집된 화장품 포장박스를 각 지방의 광역별의 판매처 목적지까지 분류하여 이를 각 지역담당자가 운송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반제품인 경우 공장 내의 생산라인으로 다시 반송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시스템은 화장품 포장박스를 이송하는 메인이송라인과, 상기 메인이송라인에서 이송된 화장품 포장박스를 각 목적지로 이송하는 다수개의 분배 컨베이어 및 반제품 반송이송라인로 구성된다.
그러나, 수많은 종류의 화장품포장박스를 상기 메인이송라인에 큰 단위의 광역별 분류하여 올리는 1차 대분류 작업자가 필요하고, 상기 메인이송라인 상에서 이송된 화장품포장박스를 광역별 소단위로 분류하는 2차 소분류 작업자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반제품인 박스는 반송이송라인으로 올려야 하는 등 화장품포장박스의 완제품과 반제품 및 각 광역별 판매처 등을 선별과 분류하는데 있어 많은 인력이 필요로 함으로써 이에 따른 생산원가가 상승 되고, 대량으로 생산되는 화장품 포장박스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 없는 등 비능률적 작업이 이루어져 왔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는 화장품 포장박스에 부착된 바코드에는 완제품, 반제품, 화장품 종류, 및 각 광역별 판매처 등의 매체가 기록되어 있어 이를 메인이송라인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해석하여 라인과 라인이 교차 되는 분류라인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분류라인에서 바코드에 맞도록 자동으로 분류를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능률적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양한 화장품 종류가 포장된 화장품 포장박스가 이송되는 메인이송라인을 갖는 화장품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송라인(10)에는 화장품 포장박스(B)에 부착된 바코드(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
상기 감지센서(S)의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12);
상기 컨트롤러(12)는 바코드에 기록된 매체를 분석하여 송출하는 것을 수신하고, 상기 메인이송라인(10)과 A그룹라인(13) 및 B그룹라인(14)의 분류교차로라인(R)에 마련되어 상기 A그룹라인(13) 또는 B그룹라인(14)로 분류하는 분류기기(16)로 구성된 것으로 달성된다.
본 고안은 화장품 포장박스에는 다양한 정보가 기록된 바코드가 메인이송라인에 설치된 감지센서에 감지되면 감지된 신호는 제어부로 송출하고 제어부에서는 이를 분석하여 분류라인으로 신호를 송출하여 분류라인에서 바코드에 맞도록 자동 으로 분류함으로써 생산원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아울러 분류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시스템의 블록도.
도 3a 내지 3b는 본 고안의 분류기기의 작용상태 측며도.
도 4는 도 3b의 a부분 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양한 화장품 종류가 포장된 화장품 포장박스가 이송되는 메인이송라인을 갖는 화장품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송라인(10)에는 화장품 포장박스(B)에 부착된 바코드(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가 배치되고, 상기 감지센서(S)의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12)와, 상기 컨트롤러(12)는 바코드에 기록된 매체를 분석하여 송출하는 것을 수신하고, 상기 메인이송라인(10)과 A그룹라인(13) 및 B그룹라인(14)의 분류교차로라인(R)에 마련되어 상기 A그룹라인(13) 또는 B그룹라인(14)로 분류하는 분류기기(16)로 구성된 된다.
여기서 분류기기(16)는 각 광역별 판매, 지방의 소단위 판매, 완제품 및 반제품 중에 필요한 위치마다 부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분류기기(16)에는 모터(16a)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6b);
상기 회전축(16b) 외주연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승강실린더(16c)의 승강축(16d)에 결합된 분류벨트(16e)로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분류벨트(16e)는 평상시에는 기울어져 있다가 승강실린더(16d)의 작용에 의해서만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류벨트(16e)의 상승하는 높이는 상기 분류교차로라인(R)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h)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이송라인(10)으로 다양한 화장품 종류가 포장된 화장품 포장박스(B)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메인이송라인(10)에 마련된 감지센서(S)가 화장품 포장박스(B)에 부착된 바코드(11)를 감지하게 되면 감지센서(S)는 감지된 신호를 컨트롤러(12)로 송출하게 된다.
컨트롤러(12)는 감지센서(S)에서 수신된 바코드(11)를 분석하여 이를 분류기기(16)로 송출하게 되면 분류기기(16)는 컨트롤러(12)의 신호에 따라 작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A그룹라인(13)으로 분류되는 화장품 포장박스(B)는 분류기기(16)가 작동하지 않게 되고, B그룹라인(14)으로 분류되는 화장품 포장박스(B)는 작동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그러면 여기서 분류기기(16)의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첨부도면 도 3a 내지 도3b에서와 같이 B그룹라인(14)으로 분류된 화장품포장박스(B)가 메인이송라인(10)으로 진입하여 분류교차로라인(R)에 도착하기 전에 분류기기(16)가 작동하여 분류벨트(16e)가 상승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먼저 모터(16a)가 구동되면 회전축(16b)이 연동되면서 회전축(16b) 외주연부에 결합된 분류벨트(16e)가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축(16b)과 대향된 위치에 있는 승강실린더(16c)가 상승 승강축(16d)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분류벨트(16e)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수평으로 된다. 이때 분류벨트(16f)의 높이는 도 4에서와 같이 분류교차로라인(R)보다 높은 위치에 있다.
상기와 같이 분류벨트(16e)가 상승한 뒤 화장품포장박스(B)는 메인이송라인(10)에서 B그룹라인(14)으로 이송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고안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 되어야 할 것이다.
10: 메인이송라인 B: 포장박스
11: 바코드 S: 감지센서
12: 컨트롤러 13:A그룹라인
14: B그룹라인 R: 분류교차로라인
16: 분류기기 16a: 모터
16b: 회전축 16c: 승강실린더
16d: 승강축 16e: 분류벨트

Claims (4)

  1. 다양한 화장품 종류가 포장된 화장품 포장박스가 이송되는 메인이송라인을 갖는 화장품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메인이송라인(10)에는 화장품 포장박스(B)에 부착된 바코드(1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
    상기 감지센서(S)의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컨트롤러(12);
    상기 컨트롤러(12)는 바코드에 기록된 매체를 분석하여 송출하는 것을 수신하고, 상기 메인이송라인(10)과 A그룹라인(13) 및 B그룹라인(14)의 분류교차로라인(R)에 마련되어 상기 A그룹라인(13) 또는 B그룹라인(14)로 분류하는 분류기기(1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기(16)는 각 광역별 판매, 지방의 소단위 판매, 완제품 및 반제품 중에 필요한 위치마다 부가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기기(16)에는 모터(16a)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6b);
    상기 회전축(16b) 외주연부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은 승강실린더(16c)의 승강축(16d)에 결합된 분류벨트(16e)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벨트(16e)의 상승 높이는 상기 분류교차로라인(R)의 높이 보다 높은 위치(h)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KR2020120011135U 2012-11-30 2012-11-30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KR2004731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35U KR200473110Y1 (ko) 2012-11-30 2012-11-30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135U KR200473110Y1 (ko) 2012-11-30 2012-11-30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579U true KR20140003579U (ko) 2014-06-13
KR200473110Y1 KR200473110Y1 (ko) 2014-06-30

Family

ID=5149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135U KR200473110Y1 (ko) 2012-11-30 2012-11-30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311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3518B1 (ko) 2021-03-26 2022-02-16 정만성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WO2022050649A1 (en) * 2020-09-02 2022-03-10 Cj Logistics Corporation Modular sorting system and product sorting method using the conveyor extens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051B2 (ja) * 1991-05-27 1995-08-16 中井工業株式会社 搬送方向転換用ベルトコンベヤ装置
JP3671234B2 (ja) * 1996-09-09 2005-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分類別処理装置
KR20000050062A (ko) * 2000-05-13 2000-08-05 이규일 원스톱쇼핑시스템
US7461739B2 (en) 2006-01-26 2008-12-09 Laitram, L.L.C. Systems and methods for diverting object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0649A1 (en) * 2020-09-02 2022-03-10 Cj Logistics Corporation Modular sorting system and product sorting method using the conveyor extension
KR102363518B1 (ko) 2021-03-26 2022-02-16 정만성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3110Y1 (ko) 2014-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997529B (zh) 物品分类和分拣系统
US118475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vacuum divert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17006659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114815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a vacuum roll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20170312789A1 (en) Vision based item typing and separation system
US11077470B2 (en) Sorting system with multiple sorting devices
US20190193945A1 (en) Vision based article typing and sorting system
CN107185840B (zh) 一种小型快递包裹自动分拣机及其分拣方法
US923340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ggregating serialized goods
CN202700830U (zh) 设有称重传感器和摄像系统的货物自动分拣系统
US11416695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tributing induction of objects to a plurality of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7485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drop conveyors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US1168188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parating objects using conveyor transfer with one or more object processing systems
CN105618384A (zh) 智能环形交叉带分拣机
KR20200001162A (ko) 초소형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US11459188B2 (en) Range sensing conveyor package management system for measuring and controlling density of parcels on a conveyor
CN211538600U (zh) 流水线化自动分拣回收设备
CN105611859A (zh) 用于结账柜台的传送机系统
KR200473110Y1 (ko) 화장품 포장박스의 분류장치
KR20180134217A (ko) 방향 전환이 가능한 물품 운반장치
CN203740583U (zh) 一种自动分拣传送装置
CN104959321A (zh) 一种智能分拣系统
US9994400B2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KR101762883B1 (ko)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용 듀얼형 캐리어 시스템
JP6440852B2 (ja) 取り扱われた小包を識別するための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