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3058B1 -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3058B1
KR101713058B1 KR1020150177219A KR20150177219A KR101713058B1 KR 101713058 B1 KR101713058 B1 KR 101713058B1 KR 1020150177219 A KR1020150177219 A KR 1020150177219A KR 20150177219 A KR20150177219 A KR 20150177219A KR 101713058 B1 KR101713058 B1 KR 10171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conveyor
articles
operation mode
t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1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a code applied to the object which indicates a property of the object, e.g. quality class, contents or incorrect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6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and distributing, e.g. automatically, to desired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16Codes or marks on the art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품의 분류작업을 위한 운전 중에 분류의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물품분류시스템은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1컨베이어와, 제1컨베이어로 물품을 이송하는 복수의 제2컨베이어별로 작업모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복수의 버턴부와, 트레이에 공급할 물품에 포함된 태그로부터 물품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복수의 물품정보인식부와, 제2컨베이어별로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복수의 물품공급판단부와, 트레이에 공급된 물품이 슈트를 통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물품을 해당 트레이로부터 이탈시키는 물품분류부와, 상기 버턴부로부터 제2컨베이어별 작업모드 전환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2컨베이어를 전환요청된 작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물품공급판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물품이 공급된 제2컨베이어의 고유번호 및 작업모드, 상기 물품이 공급된 트레이의 고유번호, 상기 물품정보 인식부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를 서로 매핑시켜 그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슈트를 통해 상기 물품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상기 물품분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ARTICLES SORTING SYSTEM CAPABLE OF CHANGE OF WORKING MODE DURING OPERATION}
본 발명은 물품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물품의 분류작업 운전 중에 작업의 중단 없이 물품의 출고모드와 입고모드 간 작업모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물품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conveyor)는 물품을 자동으로 이송하는데 이용된다. 최근에 컨베이어는 이송중인 물품을 정해진 위치로 분류하는 물품 분류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의 분류기능을 위해 컨베이어 설비에 물품분류장치(sorter)를 적용하여 컨베이어의 트레이에 공급된 물품을 원하는 위치 및 물품박스에 분류하는 물품분류시스템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품분류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물품의 출고모드와 입고모드로 구분하여 분류한다. 출고모드는 다수의 고객으로부터 다양한 물품을 주문받아 물품을 출고하는 것으로서 고객별로 다양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트레이에 물품을 공급하여 이동하면서 각각의 고객별로 정해진 물품박스로 물품을 분류하도록 한다. 또한, 입고모드는 고객으로부터 물품을 반품받아 다시 입고하는 것으로서 반품된 물품을 종류별 또는 아이템별로 다시 분류하기 위해 컨베이어의 트레이에 물품을 공급하여 이동하면서 정해진 물품을 분류하도록 한다.
종래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분류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물품의 출고모드와 반품의 입고모드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운전 중에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의 작업모드의 변경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주문된 물품의 출고모드와 반품된 물품의 입고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작업모드에 대한 분류가 완료된 이후에 비로소 다른 모드를 작업해야 한다. 이는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 작업이 수행되는 도중에 긴급으로 입고모드 또는 출고모드를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현재 작업중인 모드가 완료될 때까지 대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분류시스템에서는 통상적으로 수 십 개의 슈트(chute)를 모두 출고모드(또는 입고모드)로 설정하여 작업하는 도중에 작업이 완료된 일부 슈트를 반대로 입고모드(또는 출고모드)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빈 슈트를 계속 이동시켜야 하므로 물품 분류작업의 효율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컨베이어를 이용한 물품분류시스템에서 물품의 분류를 위한 운전 중에 작업의 중단 없이 작업모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018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33577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452460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품의 분류작업 운전 중에 물품의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의 작업모드를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물품을 투입하는 작업자가 운전 중 임의의 시점에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의 작업모드를 전환요청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요청에 따라 물품분류시스템의 슈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해당 모드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물품분류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은, 복수의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로 물품을 이송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작업모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복수의 버턴부;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트레이에 공급할 물품에 포함된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복수의 물품정보인식부;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별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상기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복수의 물품공급판단부; 상기 트레이에 공급된 물품이 슈트를 통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상기 물품을 해당 트레이로부터 이탈시키는 물품분류부; 및 상기 버턴부로부터 제2컨베이어별 작업모드 전환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2컨베이어를 전환요청된 작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물품공급판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물품이 공급된 제2컨베이어의 고유번호 및 작업모드, 상기 물품이 공급된 트레이의 고유번호, 상기 물품정보인식부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를 서로 매핑시켜 그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슈트를 통해 상기 물품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상기 물품분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작업모드는 상기 물품의 출고모드 및 입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버턴부는 외부로부터의 터치에 의해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의 전환을 상기 제어부로 요청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핑정보를 상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위서버로부터 상기 작업모드가 전환된 제2컨베이어에서 공급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의 고유번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슈트의 고유번호로부터 상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위서버는 상기 매핑정보에 포함된 제2컨베이어의 작업모드 및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이 분류되는 슈트의 고유번호를 상기 제어부를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별로 전환된 작업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에서 작업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현재의 작업모드를 표시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분류시스템에서 물품분류 작업 중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의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하므로 시스템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작업모드별로 물품분류를 완료한 후 다른 작업모드로 전환해야 하는 종래기술과는 달리 물품분류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에서 컨베이어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에 적용되는 컨베이어 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베이어 설비에는 분류하고자 하는 다양한 물품을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110)가 설치된다. 제1컨베이어(110)의 상부에는 분류할 물품이 놓이는 트레이(미도시)가 복수 개 설치된다. 이에 제1컨베이어(110)가 구동함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가 이송되며 각 트레이에 놓은 물품이 이송되면서 미리 지정된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한다. 제1컨베이어(110)의 일측에는 물품을 제1컨베이어(110)로 운반하도록 하는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가 설치된다. 제2컨베이어(120)에 의해 물품이 제1컨베이어(110)에 가까이 운반되면 작업자는 제2컨베이어(120)에서 운반한 물품을 제1컨베이어(110)에 설치된 트레이로 물품을 공급한다. 이들 각 컨베이어(110,120)는 물품의 원활한 이송을 위해 상호 간에 적절한 위치에 배치된다. 제1컨베이어(110)의 일부구간에는 분류되는 물품을 담을 수 있는 복수의 물품박스(10)가 제공된다. 이러한 제1컨베이어(110)에 의해 이송되는 물품은 미리 설정된 분류프로세스에 의해 물품박스(10)로 분류된다. 이를 위하여 제1컨베이어(110)에는 물품을 물품박스(10)로 분류하기 위한 물품분류부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물품이 분류된 물품박스(10)는 분류장소로 운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이하, 물품분류시스템이라 한다)은 제1컨베이어(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1컨베이어(110)는 상부에 설치된 복수의 트레이(11)를 이동시킨다. 트레이(11)에 물품(12)이 놓이면 이들 트레이(11)의 이동시킴으로써 물품(12)을 이동시켜 기지정된 물품박스(10)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컨베이어(110)의 일측에는 제1컨베이어(110)로 물품(12)을 운반하도록 복수의 적어도 하나의 제2컨베이어(120)가 마련된다. 도면에는 편의상 2개의 제2컨베이어(120)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제2컨베이어(120)의 개수는 변경이 가능하다. 이들 각각의 제2컨베이어(120)는 서로 간에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각각 상부에 놓여진 물품(12)을 각각 제1컨베이어(110)까지 이송시킨다. 이와 같이 제2컨베이어(120)에 의해 운반된 물품(12)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1컨베이어(110)에 설치된 트레이(11)에 공급된다. 자동공급은 제2컨베이어(120)의 끝부분이 각 트레이(11)의 상부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물품(12)이 자동으로 트레이(11)에 공급되도록 한다. 수동공급은 작업자가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마다 각각 위치하여 제2컨베이어(120)에 의해 운반된 물품(12)을 트레이(11)에 수동으로 공급하도록 한다. 이러한 제1,2 컨베이어(110,120)는 바람직하게는 띠 벨트로 구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각각의 제2컨베이어(120)에는 버턴부(120)가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각 버턴부(130)는 해당 제2컨베이어(120)별로 작업모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작업자는 버턴부(130)의 터치 또는 누름을 통해 해당 제2컨베이어(120)의 작업모드 전환을 후술하는 제어부(170)로 요청한다. 즉, 버턴부(130)가 작업자에 의해 터치되면 버턴부(130)는 자신이 설치된 제2컨베이어(120)에 대한 작업모드의 전환을 제어부(170)로 요청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모드는 일례로 고객으로부터 주문받은 물품을 출고하기 위해 물품을 분류작업하는 출고모드와, 고객으로부터 반품받은 물품을 다시 입고하기 위해 물품을 분류작업하는 입고모드를 포함한다. 물론 대기모드, 물품이송모드 등 다른 모드들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물품분류시스템은 버턴부(130)를 통해 컨베이어 설치의 운전 중에 출고모드와 입고모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모드의 전환은 제1컨베이어(110)에서 물품(12)을 분류하는 트레이(11)별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하면, 복수의 트레이(11)마다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하여 작업을 수행하며 각 트레이(11)마다 각각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예컨대, 10개의 트레이(11) 중에서 1~5번 트레이(11)는 출고모드로 동작하고 6~10번 트레이(11)는 입고모드로 동작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1~5번 트레이(11)의 물품(12)은 1번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하고, 6~10번 트레이(11)이 물품(12)은 2번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레이(11)별로 작업모드를 구분하여 물품분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마다 각각 물품정보인식부(140)가 설치된다. 물품정보인식부(140)는 제2컨베이어(120)에서 운반된 물품(12)을 트레이(11)에 공급하기 전에 물품(12)에 포함된 태그 또는 바코드(이하, 태그로 통칭함)(20)로부터 해당 물품(12)의 물품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물품정보인식부(140)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는 제어부(170)로 전송된다. 이러한 태그(20)는 예컨대 RFID태그, 바코드, QR코드 등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고, 물품정보인식부(140)는 이들 태그(20)에 맞게 태그정보를 판독할 수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물품정보인식부(140)는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마다 설치되어 있으므로, 물품정보인식부(140)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로부터 몇 번째 제2컨베이어(120)에서 어떤 물품(12)이 운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정보에는 물품에 대한 특징을 포함한다. 예컨대, 물품의 품목이나 종류, 사이즈, 색상, 스타일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물품분류시스템은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에 각각 대응하도록 설치되며 각각의 제2컨베이어(120)별로 트레이(11)에 물품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복수의 물품공급판단부(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물품공급판단부(140)는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마다 대응하도록 설치되므로 물품공급판단부(150)에서는 몇 번째 제2컨베이어(120)로부터 몇 번째 트레이(11)에 물품(12)이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물품공급판단부(150)는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1)의 인근에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트레이(11)의 상부 또는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물품분류시스템은 물품분류부(160)를 포함한다. 물품분류부(160)는 트레이(11)에 공급된 물품(12)이 슈트를 통해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물품(12)을 해당 트레이(11)로부터 이탈시킨다. 물품분류부(160)의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물품분류부(160)의 구성 및 동작은 공지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물품분류시스템은 물품(12)의 정확한 분류를 위해 물품분류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제어부(170)는 각 버턴부(130)로부터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별로 작업모드 전환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2컨베이어(120)를 전환요청된 작업모드로 전환하고 물품공급판단부(150)에서 트레이(11)에 물품(12)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물품(12)이 공급된 제2컨베이어(120)의 고유번호 및 작업모드, 해당 물품(12)이 공급된 트레이(11)의 고유번호, 물품정보인식부(140)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를 서로 매핑시켜 그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이러한 매핑정보에 따라 물품(12)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여 그 선택된 슈트를 통해 물품(12)이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물품분류부(16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하에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물품분류시스템에서 작업모드의 전환과정을 일례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례에서는 2개의 제2컨베이어(120a,120b)가 설치되어 제1컨베이어(110)로 물품(12)을 운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각각의 작업자가 제2컨베이어(120a,120b)에서 운반된 물품(12)을 제1컨베이어(110)의 트레이(11)에 공급하는 일례를 설명한다. 이러한 일례에서는 초기에 두 개의 제2컨베이어(120a,120b)가 모두 출고모드로 운전되고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두 작업자는 각각 제2컨베이어(120a,120b)에서 물품(12)을 물품정보인식부(140)로 접근시켜 물품정보인식부(140)에서 물품(12)에 포함된 태그(20)로부터 물품정보를 인식하도록 한다. 이때, 물품정보인식부(140)는 인식된 물품정보와 물품(12)이 운반된 제2컨베이어(120a,120b)의 정보를 매핑하여 내부에 저장한 후 이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두 제2컨베이어(120a,120b)별로 어떤 물품(12)이 운반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품정보 인식과정을 거친 이후에 각 작업자는 해당 물품(12)을 제1컨베이어(110)에 의해 이동중인 트레이(11)에 공급한다. 트레이(11)에 물품(12)이 공급되면 물품공급판단부(150)에서 트레이(11)에 물품(12)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이러한 판단결과를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최종적으로 두 개의 제2컨베이어(120a,120b)마다 어떤 물품(12)이 운반되었고, 그 물품(12)이 몇 번 트레이(11)로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어부(170)는 상위서버(미도시)로부터 출고모드에서 어떤 트레이(11)의 물품(12)을 몇 번 물품박스(10)에 분류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물품분류부(16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물품(12)을 지정된 물품박스(10)에 분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두 개의 제2컨베이어(120a,120b)를 출고모드로 운전하는 중에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를 입고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의 작업자는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에 설치된 버턴부(130)를 터치하여 출고모드를 입고모드로 전환할 것을 제어부(170)로 요청한다. 이는 버턴부(130)에서 작업자의 터치에 의해 현재의 작업모드인 출고모드에서 입고모드로의 전환요청을 생성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하는 것이다. 이에 제어부(170)는 이러한 전환요청을 수신하여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의 작업모드를 출고모드에서 입고모드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입고모드로 분류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제어부(170)는 입고모드에서는 어떤 물품(12)이 어느 물품박스(10)로 분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상위서버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물론, 이러한 정보를 미리 수신하여 저장해놓을 수도 있다.
입고모드로 전환된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에서 입고모드에 따른 물품분류가 시작된다.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에 의해 운반된 물품(12)을 작업자가 물품정보인식부(140)에서 물품정보를 인식시킨 후 트레이(11)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트레이(11)에 물품(12)이 공급되면 물품공급판단부(150)에서 몇 번째 트레이(11)에 어떤 물품(12)이 공급되었는지를 확인하게 된다. 이로써, 제어부(170)는 입고모드로 운전되는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의 고유번호와 작업모드, 입고모드에서 분류할 물품(12)의 물품정보, 그 해당 물품(12)이 공급된 트레이(11)의 고유번호 등의 정보를 서로 매핑시킨다. 이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최종적으로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로부터 운반된 A물품이 N번째 트레이에 공급되었다는 매핑정보를 보유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제어부(170)는 상위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분류 정보에 따라 해당 물품(12)을 지정된 물품박스(10)로 분류한다. 이러한 물품분류 정보에는 어떤 물품을 어떤 물품박스로 분류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제어부(170)는 이러한 물품분류 정보를 바탕으로 입고모드로 분류할 물품(12)이 공급된 트레이(11)를 지정된 물품박스(10)가 있는 위치에서 해당 물품(12)을 이탈시킴으로써 그 지정된 물품박스(10)로 물품(12)이 분류되도록 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를 위하여 제어부(170)는 상기한 매핑정보와 상위서버로부터 수신한 물품분류정보에 따라 물품(12)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고 그 선택된 슈트를 통해 해당 물품(12)이 물품박스(10)로 분류되도록 물품분류부(16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일례에서 제어부(170)는 물품의 매핑정보를 상위서버로 전송하고 상위서버로부터 작업모드가 전환된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에서 공급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의 고유번호를 수신하며 그 수신된 슈트의 고유번호로부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도록 한다. 이에 대응하여 상위서버는 매핑정보에 포함된 두 번째 제2컨베이어(120b)의 작업모드 및 물품정보에 따라 물품(12)이 분류되는 슈트의 고유번호를 제어부(170)로 전송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 운전하면서 물품을 분류하는 도중에 제2컨베이어(120)에서 작업자가 임의의 시점에 작업모드를 전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작업모드의 전환에 따라 자동으로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에 따른 물품분류가 진행되도록 한다. 물론, 복수의 트레이(11)마다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 구분하여 분류작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물품분류시스템은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별로 전환된 작업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제2컨베이어(120)에서 작업모드가 전환되면 제2컨베이어(120)별로 현재의 작업모드를 표시하도록 표시부를 제어한다. 이는 작업자가 복수의 제2컨베이어(120)별로 현재의 작업모드를 눈으로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의 작업에 따라 효율적인 물품분류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물품박스 11 : 트레이
12 : 물품 20 : 태그
110 : 제1컨베이어 120 : 제2컨베이어
130 : 버턴부 140 : 물품정보인식부
150 : 물품공급판단부 160 : 물품분류부
170 : 제어부

Claims (5)

  1. 복수의 트레이를 이동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로 물품을 이송하도록 마련된 복수의 제2컨베이어;
    상기 제2컨베이어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작업모드의 전환을 요청하기 위한 복수의 버턴부;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마다 각각 설치되며 상기 트레이에 공급하기 이전에 상기 트레이에 공급할 물품에 포함된 태그로부터 상기 물품의 물품정보를 인식하는 복수의 물품정보인식부;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별로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상기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복수의 물품공급판단부;
    상기 트레이에 공급된 물품이 슈트를 통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상기 물품을 해당 트레이로부터 이탈시키는 물품분류부; 및
    상기 버턴부로부터 상기 제2컨베이어별 작업모드 전환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제2컨베이어를 전환요청된 작업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물품공급판단부에서 상기 트레이에 물품이 공급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물품이 공급된 제2컨베이어의 고유번호 및 작업모드, 상기 물품이 공급된 트레이의 고유번호, 상기 물품정보 인식부에서 인식된 물품정보를 서로 매핑시켜 그 매핑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매핑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슈트를 통해 상기 물품이 물품박스로 분류되도록 상기 물품분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모드는 상기 물품의 출고모드 및 입고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버턴부는 외부로부터의 터치에 의해 출고모드 또는 입고모드로의 전환을 상기 제어부로 요청하도록 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매핑정보를 상위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상위서버로부터 상기 작업모드가 전환된 제2컨베이어에서 공급된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의 고유번호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슈트의 고유번호로부터 상기 물품을 분류하기 위한 슈트를 선택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서버는 상기 매핑정보에 포함된 제2컨베이어의 작업모드 및 물품정보에 따라 상기 물품이 분류되는 슈트의 고유번호를 상기 제어부를 전송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컨베이어별로 전환된 작업모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컨베이어에서 작업모드가 전환되면 상기 제2컨베이어별로 현재의 작업모드를 표시하도록 하는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KR1020150177219A 2015-12-11 2015-12-11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KR10171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19A KR101713058B1 (ko) 2015-12-11 2015-12-11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19A KR101713058B1 (ko) 2015-12-11 2015-12-11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058B1 true KR101713058B1 (ko) 2017-03-07

Family

ID=58411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219A KR101713058B1 (ko) 2015-12-11 2015-12-11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93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드롭 소터
KR102248689B1 (ko) 2020-09-01 2021-05-06 우양정공주식회사 비정형성 물품 분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307A (ja) * 2002-08-06 2004-03-04 Daifuku Co Ltd 物品保管設備
KR20090044862A (ko) * 2007-11-01 2009-05-07 박태준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제품 입출고 관리 장치 및방법
KR20100070799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KR101335779B1 (ko) 2006-03-23 2013-12-02 라이트람, 엘.엘.씨.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KR101452460B1 (ko) 2012-12-26 2014-10-24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KR20150050185A (ko) 2013-10-31 2015-05-08 최재우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7307A (ja) * 2002-08-06 2004-03-04 Daifuku Co Ltd 物品保管設備
KR101335779B1 (ko) 2006-03-23 2013-12-02 라이트람, 엘.엘.씨. 벨트 컨베이어 분류기
KR20090044862A (ko) * 2007-11-01 2009-05-07 박태준 바코드 및 rfid를 이용한 제품 입출고 관리 장치 및방법
KR20100070799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Rfid를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KR101452460B1 (ko) 2012-12-26 2014-10-24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물품 분류시스템
KR20150050185A (ko) 2013-10-31 2015-05-08 최재우 물품 분류가 가능한 이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04993A1 (ko) * 2018-06-29 2020-01-02 주식회사 가치소프트 드롭 소터
KR102248689B1 (ko) 2020-09-01 2021-05-06 우양정공주식회사 비정형성 물품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2438B2 (en) Fully validated material handling with shuttle container delivery system
KR101452460B1 (ko) 물품 분류시스템
US2024002492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singulation of objects for processing using object movement redistribution
US6959229B2 (en) RFID control system
US20240158171A1 (en) As/rs lift having vertically-aligned dual carriages
US11148883B2 (en) Article carrier system, order manag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rticle carrier system
JP5811040B2 (ja) 物品仕分け設備の運用方法及び物品仕分け設備
KR100997071B1 (ko) Rfid를 이용한 물품 분류 시스템
US20100198391A1 (en) System and method for handling returned goods in an order-picking system
KR20180056945A (ko) 물품분류기용 다단 슈트장치, 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110488778B (zh) 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713058B1 (ko) 운전 중 작업모드 전환이 가능한 물품분류시스템
CN114633978A (zh) 物品拣选系统
KR20200102577A (ko) 배송 단위 별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자동 분류 방법
CN107678404B (zh) 并行制造系统和方法
US9994400B2 (en) Conveyors for sorting products
GB2547994A (en) High velocity checkout terminal
KR102310889B1 (ko) 정보 제공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
JP4593165B2 (ja) 商品識別装置、および商品管理システム
CN209792013U (zh) 用于物流自动化输送线的分合流系统的分拣系统
KR20200011156A (ko) 볼 탑 컨베이어가 구비된 물품 자동 분류 시스템 및 그 분류 방법
KR101708852B1 (ko) 초고속 물품 자동분류장치 제어시스템
KR101841569B1 (ko) 작업장소 식별자(id)와 작업자 식별자(id)가 부가된 자동중량측정 수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JP2020045194A (ja) 搬送システム
CN208790626U (zh) 物料操作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