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9941A -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9941A
KR20150049941A KR1020130131152A KR20130131152A KR20150049941A KR 20150049941 A KR20150049941 A KR 20150049941A KR 1020130131152 A KR1020130131152 A KR 1020130131152A KR 20130131152 A KR20130131152 A KR 20130131152A KR 20150049941 A KR20150049941 A KR 20150049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unit
plate
jig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193B1 (ko
Inventor
윤재순
오용
박찬희
이정호
Original Assignee
(주)럭스콤
윤재순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콤, 윤재순,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filed Critical (주)럭스콤
Priority to KR1020130131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193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9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 G01M11/088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f optical fibres; Mechanical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optical testing of optical fib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된 광섬유에 대한 높이 조절과 함께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을 검사하는 기술로서, 테이블 상에 구획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외관을 이룬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높이 조절과 함께 광섬유의 단면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부와, 상기 장치부로부터 측정된 광섬유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전송된 광섬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 화면 상에 광섬유의 이미지와 관련된 수치나 버튼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장치부의 동작이나 상기 모니터 및 데이터 저장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조작제어부와, 상기 장치부에 구비된 전자현미경의 조명을 컨트롤하는 조명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이다.

Description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The System For Detecting Optical Fiber And Height Array Of It}
본 발명은 가공된 광섬유에 대한 높이 정렬과 광섬유의 불량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광섬유의 높이를 자동 정렬하여 광섬유 개개의 동일한 높이를 구현하고,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개개의 이미지를 확대 현상하여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을 검출하게 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공된 광섬유를 납품하기 전에 페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높이가 동일해야 하며, 또한 광섬유의 단면 불량을 확인해야 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다.
만일, 이러한 광섬유의 높이 조정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광섬유의 단면 불량을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납품하게 되면, 광섬유의 사용시에 특히 광통신 분야에서 데이터 전송에 오류나 전송 속도의 저하 등 여러 문제점을 초래하게 된다.
아울러, 육안으로는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깨짐, 구멍, 오염, 스크래치) 여부를 확인할 방법이 없다.
한편, 광섬유의 검사와 관련된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05-0080854호(특허문헌 1), 공개특허 제10-2011-0070598호(특허문헌 2) 등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경우, 광섬유의 모재 검사 장치 기술로서, 광섬유 모재를 일정한 주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제1 광을 상기 광섬유 모재의 장축과 평행하게 조사하기 위한 제1 광원과, 상기 광섬유 모재의 장축을 따라서 좌, 우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제1 광 중에서 일부 산란된 광을 검출해내기 위한 제1검출기와, 제2 광을 상기 광섬유 모재의 단축과 평행하게 조사하기 위한 제2 광원과, 상기 광섬유 모재의 장축을 따라서 좌, 우로 왕복 운동을 하며 상기 광섬유 모재의 단축을 통과한 상기 제2 광으로부터 상기 광섬유 모재의 기하하적 구조를 검출하기 위한 제2 검출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광섬유 모재 내부의 상태를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고, 모재의 직경 및 장축의 길이 등과 같은 기하학적 구조에 대한 측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광섬유의 모재 내부 상태를 검사하는 수준에서만 그치기 때문에,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미세한 불량(깨짐, 구멍, 오염, 스크래치)을 검출해낼 수 없을 뿐더러, 광섬유의 동일한 높이 조정도 구현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한다.
한편,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휴대용 광케이블 검사 장치 기술로서, 광케이블이 끼워지는 단일의 광케이블 어댑터와, 상기 광케이블 어댑터에 끼워진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의 출력을 측정하는 광출력 측정기와, 상기 광케이블 어댑터에 끼워진 광케이블의 단면 상태를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광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광신호와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 영상을 나타내는 광빔을 분리하여, 상기 광신호는 상기 광출력 측정기로,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 영상을 나타내는 광빔은 상기 촬상수단으로 각각 향하게 하는 광 분리수단, 및 상기 광출력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광신호의 출력과 상기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광케이블의 단면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경우,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오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휴대한 상태로 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작업성의 편리 및 향상을 제공하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그러나,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을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시킬 수 없으며, 광섬유의 높이 조정을 구현하지 못하고, 근본적으로 기술적 구성부가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부와 상이하다.
공개특허 제10-2005-0080854호 공개특허 제10-2011-0070598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공 이후 완품용으로 납품되어야 할 광섬유에 대하여 동일한 높이를 자동으로 조정하고, 아울러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깨짐, 구멍, 스크래치, 오염)을 자동으로 용이하게 검출하도록 한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 상에 구획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외관을 이룬 챔버와,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높이 조절과 함께 광섬유의 단면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부와, 상기 장치부로부터 측정된 광섬유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전송된 광섬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와, 상기 모니터 화면 상에 광섬유의 이미지와 관련된 수치나 버튼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장치부의 동작이나 상기 모니터 및 데이터 저장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조작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부는, 테이블 상에 고정되어 상호 간 교차 형태의 십자형으로 횡 방향 설치를 이루게 되는 제1,2 슬라이드지지대와,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의 후방에서 수직 상 방향의 일정한 지점에 배치되어 상호 간 일정한 간격을 지닌 상태로 종 방향 설치를 이루게 되는 제3,4 슬라이드지지대와, 상기 제3,4 슬라이드지지대를 하부 방향에서 지지하며 고정하게 되는 지지받침대와,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전후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고정베이스와,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베이스에 위치한 광섬유의 높이를 가압하여 조절하게 되는 높이조절부와,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베이스에 위치한 광섬유의 단면 불량 상태를 탐지하게 되는 탐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3,4 슬라이드지지대의 각 내부에는, 제2 슬라이드지지대 및 고정베이스 및 높이조절부 및 탐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핑 모터 및 상기 스테핑 모터에 결합된 스크류봉이 구비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베이스는, 하부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판상체와, 상기 판상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판상체의 중앙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를 선택하여 안착 고정하게 되는 지그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그안착부는, 상기 판상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채, 각 내측에 ㄱ 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정렬지그를 안착 고정하게 되는 제1 안착부와, 상기 판상체의 중앙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채, 마주보는 대향 면에 ㄷ 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 원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연마지그를 안착 고정하게 되는 제2 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연마지그와 동일한 팔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3 슬라이드지지대에 물리어 슬라이드 되는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연결된 채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를 상 방향에서 가압하여 광섬유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평판 형상의 판플레이트와,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판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연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탐지부는, 제4 슬라이드지지대에 물리어 슬라이드 되는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연결된 채,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 상태를 상 방향에서 근접하여 탐지하게 되는 전자현미경과,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전자현미경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지지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지그는, 사각 형상의 판상체와, 상기 판상체에서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광섬유를 포함한 패럴을 삽입 정렬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마지그는, 팔각 형상의 판상체와,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을 기준으로 각각 근접된 채 상호 대향된 형태로 형성되어 광섬유를 포함한 패럴을 삽입 정렬하는 다수개의 삽입공과,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패럴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상기 각 삽입공에 끼움되는 이탈방지구와, 저면에 상기 각 삽입공 주변으로 상기 이탈방지구의 회전 또는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홈과, 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 안착부에 형성된 ㄷ 자형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막대형 돌기구와, 저면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 안착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원형 돌기구와,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구 및 페럴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체결편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동방지홈은, W 자 형태로 형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편은,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에서 체결 풀림을 이룰 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 풀림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내장하게 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탈방지구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각 돌기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홈의 걸림구에 삽입 끼움되는 다수개의 끼움홈과, 길이 방향으로 페럴을 삽입 끼움하게 되는 삽입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지그의 삽입공 및 이탈방지구의 삽입공은, 그 내부에 패럴을 삽입하게 되는 제1 삽입공과, 상기 제1 삽입공의 끝지점에서 상기 제1 삽입공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채 광섬유의 높이 조절에 따라 광섬유를 삽입하게 되는 제2 삽입공과, 상기 제1 삽입공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패럴의 더 이상 삽입 진행을 막게 되는 단턱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니터는, 우측 상단에 지그를 선택할 수 있는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의 클릭버튼과, 상기 클릭버튼 하단에 광섬유 개개의 고유 번호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표기부와, 상기 표기부 하단에 광섬유 개개에 대한 단면 상태의 형상을 이미지화 시키는 카메라부와, 좌측 상단에 상기 표기부의 결과치에 대한 정보(순번, 검사결과, 소요시간, 초점위치, 검출값)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결과부와, 상기 결과부 하단에 전자현미경으로 탐지된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품질 사항(패스, 깨짐, 구멍, 스크래치, 오염) 중 해당 사항을 체크하고, 체크된 품질 사항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하는 버튼을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품질선택부와, 상기 품질선택부 하단에 광섬유 개개의 탐지에 대한 진행 정보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탐지진행 정보부를 포함하여 표시(디스플레이)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탐지부의 광섬유 개개에 대한 단면 검사 진행 시, 모니터부에 표시(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클릭버튼, 상기 표기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결과부, 상기 품질선택부, 상기 탐지진행 정보부로 구성된 화면을 활성화시켜 광섬유의 검사 진행에 대한 전반적인 작업 과정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그램과, 광섬유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한 이후 영상 처리를 통하여 광섬유 유무를 확인하고, 지그의 가공 오차 및 고정 오차를 보상하여 설정된 위치 기준으로 스캔하여 광섬유를 탐지 유도하는 광섬유 탐지 알고리즘과, 광섬유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 수집 진행 중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의 삽입공에 빈 공간을 영상 처리로 확인하여 검사 시간의 과도한 소모를 예방 유도하는 패럴 유무 확인 알고리즘을 설치하여 운영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는 전자현미경의 조명을 컨트롤하는 조명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라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은, 광섬유의 동일한 높이 조정과 아울러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을 검출 가능함에 따라, 이러한 높이 조정 및 불량 검출의 수행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광섬유의 높이 조정 및 단면에 대한 불량을 미세하게 조정 및 검출시킬 수 있으며, 광섬유의 단면 이미지를 데이터 베이스로 구축하여 차후 광섬유의 가공에서 야기될 수 있는 불량 확률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전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챔버 내부의 광섬유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장치를 보이기 위한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챔버 내부의 장치를 상세히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고정베이스 및 상기 고정베이스에 안착된 정렬지그 상태를 확대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고정베이스를 상세히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베이스에 안착되는 연마지그를 상세히 도시한 상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연마지그의 저면 상태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정렬지그의 삽입공 및 도 7에 도시된 이탈방지구의 삽입공을 통합하여 절개 단면으로 삽입공의 내부 형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높이조절부의 판플레이트가 광섬유의 높이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11은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검사 진행 시에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가능한 동일한 번호로 표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탁상형 형상을 갖는 테이블(T)과, 상기 테이블(T) 상에 구비되어 광섬유(OF)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장치부(d)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챔버(C)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테이블(T)은, 그 하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C) 내의 상기 장치부(d)로부터 탐지된 광섬유(OF)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100)와, 상기 챔버(C)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데이터 저장부(100)로부터 전송된 광섬유(OF)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120)와, 서랍 방식으로 꺼내어 상기 모니터(120) 화면 상에 광섬유(OF)의 이미지와 관련된 수치나 버튼 등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입력부(130)와, 상기 입력부(130)의 타측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챔버(C) 내의 장치부(d) 동작이나 상기 모니터(120) 및 데이터 저장부(100)의 전원을 인가하는 조작제어부(140)와, 상기 챔버(C)읠 일측 주변에 구비되어 상기 챔버(C) 내의 장치부(d)에 구비된 전자현미경(44)의 조명을 컨트롤하는 조명조절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챔버(C)는 그 내부에 광섬유(OF)의 높이 정렬 및 광섬유(OF)의 불량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장치부(d)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챔버(C) 내부에 구비된 상기 장치부(d)는,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장치부(d)는, 상호 간에 교차되어 십자형으로서 횡 방향 형태를 취하는 제1,2 슬라이드지지대(10,20)와, 상호 간 일정한 이격을 이룬 채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10, 20)의 후방 상부 방향에 위치하여 종 방향 형태를 취하는 한 쌍의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 40)와, 상기 한 쌍의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 40)를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10, 20)의 후방에서 일정한 높이로 상 방향에 위치될 수 있게 상기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 40)를 체결 고정하여 하 방향에서 지지하게 되는 지지받침대(S)와,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10,20) 중 제2 슬라이드지지대(20) 상에 위치되어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를 안착 고정하는 고정베이스(21)와, 상기 한 쌍의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40) 중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슬라이드 조절되는 높이조절부(31)와,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슬라이드 조절되는 탐지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는, 테이블(T) 상에서 횡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는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 상에서 제1 슬라이드지지대(10)와 교차되는 십자형 형태로 횡 방향 배치를 이루며,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 상에 고정베이스(21)가 배치된 구성을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10,20)의 후방 부근, 즉 테이블(T) 상에 지지받침대(S)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받침대(S)의 상면에 한 쌍의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40)가 고정된다.
상기 한 쌍의 제3,4 슬라이드지지대(30,40)는, 상호 간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되, 종 방향 형태를 취하게 된다.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에는, 페럴(P)로부터 노출된 광섬유(OF)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높이조절부(31)가 구비된다.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에는, 페럴(P)로부터 노출된 광섬유(OF)의 불량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부(41)가 구비된다.
상술된 상기 제1,2,3,4 슬라이드지지대(10,20,30,40)는 각각 그 내부에 스테핑모터(미도시) 및 상기 스테핑모터에 결합된 스크류봉(미도시)을 장착하고 있어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 및 고정베이스(21) 및 상기 높이조절부(31) 및 상기 탐지부(41)의 슬라이드 작동을 구현시키게 된다.
즉, 상기 제1,2,3,4 슬라이드지지대(10,20,30,40)는 각각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10a,20a,30a,40a)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의 저면은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의 가이드홈(10a)에 물리고, 상기 고정베이스(21)의 저면은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의 가이드홈(20a)에 물리며, 상기 높이조절부(31)의 후면은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의 가이드홈(30a)에 물리고, 상기 탐지부(41)의 후면은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의 가이드홈(40a)에 물리어 각각의 스테핑모터에 결합된 각각의 스크류봉과 연결됨으로써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는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 상에서 교차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의 내부에 장착된 스테핑모터의 회전으로 스크류봉과 연결된 제2 슬라이드지지대(20)의 저면이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의 가이드홈(10a)을 따라 좌우측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 된다.
상기 고정베이스(21)는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의 내부에 장착된 스테핑모터의 회전으로 스크류봉과 연결된 고정베이스(21)의 저면이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20)의 가이드홈(20a)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 된다.
이때, 상기 고정베이스(21)는, 상기 제1 슬라이드지지대(1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슬라이드지지대(20)로 인하여 전후 방향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높이조절부(31)는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의 내부에 장착된 스테핑모터의 회전으로 스크류봉과 연결된 높이조절부(31)의 후면이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의 가이드홈(30a)을 따라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 된다.
상기 탐지부(41)는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의 내부에 장착된 스테핑모터의 회전으로 스크류봉과 연결된 탐지부(41)의 후면이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의 가이드홈(40a)을 따라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슬라이드 된다.
한편, 상기 고정베이스(21)는, 일례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의 판넬 형태인 판상체(22)와, 상기 판상체(21)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지그안착부(23)를 형성하되, 상기 지그안착부(23)는 상기 판상체(21)의 4 모서리각 주변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각각 돌출된 ㄱ 형자의 제1 안착부(24)와, 상기 판상체(21)의 중앙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팔각 형상의 제2 안착부(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고정베이스(21)는 상기 제1 안착부(24)와 상기 제2 안착부(25)를 함께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광섬유(OF)를 포함한 패럴(P)을 다수개씩 삽입 정렬한 정렬지그(50)나 연마지그(60)를 선택하여 안착 고정시킬 수 있다.
좀 더 부연 설명하면, 상기 제1 안착부(24)는 각각 그 내측에 ㄱ 자형의 안착홈(24a)과 상기 안착홈(24a) 각각에 홀(24b)을 형성하여, 사각 형상의 정렬지그(50)를 상기 각 안착홈(24a)으로 넣어 안착시킨 후, 상기 각 안착홈(24a)의 홀(24b)과 상기 정렬지그(50)의 네 모서리 각 부위에 형성된 홀(53)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함으로써 정렬지그(50)의 안착 고정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안착부(25)는 8각의 면 중에 상호 마주보는 두 면에 ㄷ 자형의 안착홈(25a,25b)과 상면 중앙에 원형상의 안착홈(25c)을 형성하여,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연마지그(60)의 저면에서 하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막대형 돌기구(68,68a)를 상기 안착홈(25a,25b)에 넣고, 연마지그(60)의 저면 중앙에서 하 방향으로 돌출된 원형상의 돌기구(69)를 상기 안착홈(25c)에 넣어, 상기 연마지그(60)의 안착 고정을 이루되, 이때 상기 안착홈(25c)의 주연 부근에 돌출된 돌기핀(25ca)이 상기 돌기구(69)의 주연에서 내측 방향으로 형성된 걸림홈(69a)에 수용되는 상태로 걸림되게 함으로써 연마지그(60)의 미동 없는 안착 고정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31)는,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의 가이드홈(30a)에 물려 슬라이드될 수 있는 홀딩플레이트(32)와, 상기 홀딩플레이트(32)에 일측이 체결 고정되고 타측이 후술되는 판플레이트(34)에 체결 고정되는 ㄴ 자형의 연결편(33)과, 정렬지그(50)나 연마지그(60)에 정렬된 패럴(P)로부터 노출된 광섬유(OF)들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하는 판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
상기 탐지부(41)는,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의 가이드홈(40a)에 물려 슬라이드될 수 있는 홀딩플레이트(42)와, 상기 홀딩플레이트(42)에 다수개로 체결되어 후술되는 전자현미경(44)을 고정하는 지지편(43)과, 정렬지그(50)나 연마지그(60)에 정렬된 패럴(P)로부터 노출된 광섬유(OF)들의 단면에 대한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전자현미경(44)으로 구성된다.
상술된 상기 정렬지그(50)는 도 5에서와 같이, 사각 형상의 판상체(51)로서, 상기 판상체(51)에서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지닌 채 광섬유(OF)를 포함한 패럴(P)들을 삽입하는 다수개의 삽입공(52)을 형성하고, 각 모서리 부위에 형성되는 홀(53)은 고정베이스(21)의 홀(24b)과 일치시켜 볼트체결로 정렬지그(50)의 안착 고정을 이루게 된다.
상술된 상기 연마지그(60)는 도 7 내지 도 8에서와 같이, 팔각 형상의 판상체(61)로서, 상기 판상체(61)의 팔각 면을 기준으로 각각 근접된 부위에 상호 대향된 형태의 삽입공(62)들을 형성하는 바, 상기 삽입공(62)은 패럴(P)을 삽입하기 위함이다.
상기 삽입공(62)에 삽입된 패럴(P)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연마지그(60)의 저면에는 상기 각 삽입공(62)에 끼움되는 이탈방지구(64)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이탈방지구(64)의 회전 또는 유동을 방지하도록 연마지그(60)의 저면 각 삽입공(62) 주변에 걸림구(63a)를 형성한 다수개의 유동방지홈(63)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홈(63)은, W 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마지그(60)의 저면에는,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21)의 제2 안착부(25)에 형성된 ㄷ 자형의 안착홈(25a,25b)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막대형 돌기구(68,68a)를 형성하게 되고,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21)의 제2 안착부(25)에 형성된 원형상의 안착홈(25c)에 삽입되는 원형 돌기구(69)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판상체(61)의 팔각 면 각각에는, 체결편(70)을 볼트(B)로 체결 고정하여 상기 이탈방지구(64) 및 페럴(P)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편(70)은, 상기 판상체(61)의 팔각 면에서 체결 풀림을 이룰 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 풀림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는 압축코일스프링(미도시)을 내장하게 된다.
즉,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일측은 판상체(61)의 팔각 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체결편(70)에 고정되기 때문에 체결편(70)의 풀림 시에도 체결편(70)들은 상기 연마지그(60)에 달려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구(64)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65)와, 상기 각 돌기부(65)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홈(63)의 걸림구(63a)에 삽입 끼움되는 다수개의 끼움홈(66)과, 길이 방향으로 페럴(P)을 삽입 끼움하게 되는 삽입공(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지그(50)의 삽입공(52) 및 상기 이탈방지구(64)의 삽입공(67)은, 도 9에서와 같이, 그 내부에 패럴(P)을 삽입하게 되는 제1 삽입공(52a,67a)과, 상기 제1 삽입공(52a,67a)의 끝지점에서 상기 제1 삽입공(52a,67a)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채 광섬유(OF)의 높이 조절에 따라 광섬유(OF)를 삽입하게 되는 제2 삽입공(52c,67c)과, 상기 제1 삽입공(52a,67a)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패럴(P)의 더 이상 삽입 진행을 막게 되는 단턱(52b,67b)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탐지부(40)의 광섬유(OF) 단면 검사에 대하여 도 11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모니터(120)는, 클릭버튼(121), 표기부(122), 카메라부(123), 결과부(124), 품질선택부(125)를 표시(디스플레이)하고 있다.
즉, 정렬지그(50)나 연마지그(60)에 정렬된 광섬유(OF) 개개의 단면에 대한 정보를 전자현미경(44)으로 탐지하여 모니터(120) 상에 표시하게 된다.
상기 클릭버튼(121)은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우측 상단에 표시되어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표기부(122)는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상기 클릭버튼(121) 하단에 표시되어 광섬유(OF) 개개의 고유 번호(일례, 1번 ~ 64번)를 나열시키고 있다.
상기 카메라부(123)는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상기 표기부(122) 하단에 표시되어 광섬유(OF) 개개에 대한 단면 상태의 형상을 이미지화 시킨다.
상기 결과부(124)는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좌측 상단에 표시되어 상기 표기부(122)의 결과치에 대한 정보(순번, 검사결과, 소요시간, 초점위치, 검출값)를 나열시키고 있다.
상기 품질선택부(125)는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상기 결과부(124) 하단에 표시되어 전자현미경(44)으로부터 탐지된 광섬유(OF)의 단면에 대한 품질 사항(패스, 깨짐, 구멍, 스크래치, 오염) 중 해당 사항을 체크하고, 체크된 품질 사항을 데이터 저장부(100)에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하는 버튼을 표기하여 나열시키고 있다.
상기 탐지진행 정보부(126)는 모니터(120) 화면상에서 상기 품질선택부(125) 하단에 표시되어 광섬유(OF) 개개의 탐지에 대한 진행 정보를 표기하여 나열시키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와 같이 표시된 모니터(120)를 통하여 광섬유(OF) 단면 상태(이미지 수집)에 대한 불량 유무 등을 확인하여 체크 및 저장하거나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할 수 있게 된다.
광섬유(OF)의 불량 선택 시, 작업자는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에서 불량 선택하고자 하는 지그의 클릭버튼(121)을 마우스 또는 입력부(130)를 통하여 클릭하고, 카메라부(123)를 통하여 괌섬유(OF)의 이미지를 확인한다.
이후에 작업자가 광섬유(OF)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 중에서 결과부(124)를 함께 참조하면서 품질선택부(125)에 나열된 목록들 중 어느 하나의 목록을 체크하여 데이터 저장부(100)에 저장하거나 취소 가능토록 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할 수 있다.
일례로, 광섬유(OF)의 단면에 대한 품질이 양호할 경우 패스로서 G(Good) 기호를, 깨져 있을 경우 B(Break) 기호를, 구멍 난 경우 H(Hole) 기호를, 스크래치 난 경우 S(Scratch) 기호를, 오염 있을 경우 P(Pollution) 기호를 사용한다.
작업자는 상기와 같은 기호를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부(100)에 저장시킴으로써 광섬유(OF)의 단면에 대한 품질 상태를 파일명으로 관리 적용할 수 있다.
즉, 광섬유(OF) 단면 검사 시 이미지와 해당되는 품질에 대한 이력을 함께 저장하여 향후 자동 검사에 필요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게 된다.
작업자는 광섬유(OF)의 단면 이미지를 확인하고 품질을 선택하게 되는데, 데이터 저장부(100)에 저장시킬 때, 설정된 경로에 따라 저장 가능하고, 일례로 확장자는 *.png로 하며, 저장 폴더 관리는 저장폴더와, 그 하위에 해당 날짜, 그리고 상기 해당 날짜 하위에 정렬(F)과 연마(P) 폴더 각각에 저장 이미지 파일명으로 저장시킬 수 있다.
저장 파일명 관리는 일례로, 모드로서 P 또는 F, 날짜로서 2013xxxx, 작업순번으로서 001~999, 위치로서 1~64, 품질로서 G/B/H/S/P 등의 파일명으로 명기 한다.
즉, 예를 들어 2013년 8월 12일 정렬 지그, 총 작업순서 처음, 지그 위치 2번, 깨짐 불량일 경우에 [ P_20130812_001_02_B.png ]로 파일명을 기입하고, 2013년 8월 12일 연마 지그, 총 작업순서 여섯 번째, 지그 위치 10번, 스크래치 구멍 불량일 경우에 [ F_20130812_006_10_SH.png ]로 파일명을 기입하면 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작동을 하기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조작제어부(140)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버튼을 눌러, 장치부(d), 데이터 저장부(100), 모니터(120), 조명조절부(150)에 전원이 들어온 상태가 되면, 시스템은 초기 설정된 상태로 셋팅되어 시스템 대기를 이루게 된다.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 중 어느 하나의 지그를 선택한 후, 이 선택한 지그를 고정베이스(21))에 안착 고정시킨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후술되는 지그는 정렬지그(50)로 통일하기로 한다.
이때, 정렬지그(50)는 이미 각 삽입공(52)에 삽입되어 정렬된 다수개의 페럴(P)을 포함하고 있다.
페럴(P)이 가지런히 정렬된 정렬지그(50)를 고정베이스(21)에 안착시킬 때, 고정베이스(21)의 제1 안착부(24)에 형성된 안착홈(24a)에 안착시킨 후, 상기 안착홈(24a)에 형성된 홀(24b)과 정렬지그(50)의 홀(53)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정렬지그(50)는 상기 고정베이스(21)에 온전한 안착 고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정렬지그(50)가 고정베이스(21)에 안착 고정된 이후, 조작제어부(140)의 운전 버튼을 누르게 된다.
곧, 고정베이스(21)는 제2 슬라이드지지대(20) 상에서 후방을 향하여 자동 이동하다가 제3 슬라이드지지대(30)에 연결된 높이조절부(31)의 위치에서 멈추게 된다.
곧, 상기 높이조절부(31)는 상기 고정베이스(21) 방향으로 수직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높이조절부(31)의 판플레이트(34) 저면이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베이스(21)에 안착되어 있는 정렬지그(50)에 정렬된 광섬유(OF)들을 가압하게 되면서 패럴(P)로부터 노출된 광섬유(OF)들의 높이를 동일하게 조절시킬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광섬유(OF)들 중 가장 높이가 큰 광섬유(OF) 높이 치수가 11mm로 가정하여 11mm 중 3mm를 더 하부 방향으로 가압할 경우 광섬유(OF)들의 높이 치수는 8mm로 동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광섬유(OF)들의 높이가 동일하게 조절 완료된 이후에, 곧 고정베이스(21)는 제1 슬라이드지지대(10) 상에 위치한 제2 슬라이드지지대(20)가 도면 상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4 슬라이드지지대(40)에 연결된 탐지부(41)의 위치에 도착하여 멈추게 된다.
곧, 상기 탐지부(41)는 고정베이스(21) 방향으로 수직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탐지부(41)의 전자현미경(44)이 상기 고정베이스(21)에 안착되어 있는 정렬지그(50)에 정렬된 광섬유(OF)들의 단면을 검사하면서 광섬유(OF)들의 단면에 대한 불량 상태를 탐지하게 된다.
상기 탐지부(41)의 광섬유(OF) 단면 검사 진행에 있어서, 작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과정은 상기에서 상세히 기술한 관계로 별도의 부가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광섬유 탐지 알고리즘과 패럴 유무 확인 알고리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광섬유 탐지 알고리즘
탐지부(41)의 전자현미경(44)을 통한 광섬유(OF)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한 이후 영상 처리를 통하여 광섬유(OF) 유무를 확인하고, 광섬유(OF)의 직경 특성상(일례, Ø125um)이므로 지그의 가공 오차 및 고정 오차를 보상하여 설정된 위치 기준으로 스캔하여 광섬유(OF)를 탐지하게 된다. 광섬유 탐지(detecting) 범위로는 대략 800um × 560um일 수 있다.
즉, 상기 광섬유 탐지 알고리즘은, 지그의 가공 오차만큼 보상해주기 위한 기능으로 지름 125um의 광섬유를 측정하기 위하여 정해진 위치의 주변을 스캔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패럴 유무 확인 알고리즘
이미지 수집 진행 중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의 삽입공(52, 62)에 빈 공간을 영상 처리로 확인하여 광섬유 탐지(detecting) 알고리즘을 적용하지 않아 검사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것을 예방하게 된다.
페럴 유무에 따른 모니터(120) 상의 표시(디스플레이) 화면
정렬지그(50) 또는 연마지그(60) 적용 시에, 페럴(P)이 없으면 모니터(120)에디스플레이된 표기부(122)의 해당 광섬유(OF) 번호가 빨간색으로 표시되고, 이미지 수집을 완료한 곳은 페럴(P)이 존재하는 것으로 해당 광섬유(OF) 번호가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즉, 탐지부(41)의 전자현미경(44)을 통한 광섬유(OF)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 수집을 완료하게 되면, 지그(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는 로딩 위치로 자동 이동하게 된 후, 알람(약 5초) 타워 램프의 표시로 모니터(120)에 프로그램이 활성화됨에 따라 수집된 광섬유(OF) 개개의 단면 이미지를 선택 또는 취소하면서 데이터 저장부(100)에 저장하거나 삭제시킬 수 있다.
아울러, 탐지부(41)를 통한 광섬유(OF)의 검사 진행 시에, 일례로 광섬유(OF)가 표기부(122)에 나열된 바와 같이 1번에서 64번에 이르기까지 정렬되어 있는 바, 1번에 해당되는 광섬유(OF)의 단면 이미지 수집을 완료하게 되면, 다음 2번에 해당되는 광섬유(OF)의 단면 이미지 수집을 수행하게 되고, 이러한 순차적 이미지 과정을 거쳐 64번에 이르기까지의 광섬유(OF)에 대한 단면 이미지 수집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조명조절부(150)는,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를 선택하여 사용할 경우, 전자현미경(44)의 조명 세기를 달리 조절 적용하여 광섬유(OF)의 단면 검사를 수행하게 되는데, 만일 이러한 조명 세기를 조절하지 않게 되면 광섬유(OF) 단면에 대한 불량 상태를 검출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조작제어부(140)는, 시스템의 모든 진행과정을 종료하거나, 초기 설정 위치로 로딩 또는 시스템 대기를 수행시키는 종료버튼과 함께, 시스템 구동 중 긴급 사항 발생 시 시스템의 모든 전원을 차단하게 되는 긴급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 장치부
10: 제1 슬라이드지지대, 20: 제2 슬라이드지지대,
21: 고정베이스, 30: 제3 슬라이드 지지대,
31: 높이조절부, 40: 제4 슬라이드 지지대,
41: 탐지부, 50: 정렬지그,
60: 연마지그, 100 : 데이터 저장부,
120 : 모니터, 121 : 클릭버튼
122 : 표기부 123 : 카메라부
124 : 결과부 125 : 품질선택부
126 : 탐지진행 정보부 130 : 입력부,
140 : 조작제어부 150 : 조명조절부
P: 패럴, OF: 광섬유

Claims (17)

  1. 테이블 상에 구획되어 외부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게 되는 외관을 이룬 챔버;
    상기 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높이 조절과 함께 광섬유의 단면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장치부;
    상기 장치부로부터 측정된 광섬유의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
    상기 데이터 저장부로부터 전송된 광섬유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모니터;
    상기 모니터 화면 상에 광섬유의 이미지와 관련된 수치나 버튼들을 선택 또는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장치부의 동작이나 상기 모니터 및 데이터 저장부의 전원을 인가하는 조작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는,
    테이블 상에 고정되어 상호 간 교차 형태의 십자형으로 횡 방향 설치를 이루게 되는 제1,2 슬라이드지지대;
    상기 제1,2 슬라이드지지대의 후방에서 수직 상 방향의 일정한 지점에 배치되어 상호 간 일정한 간격을 지닌 상태로 종 방향 설치를 이루게 되는 제3,4 슬라이드지지대;
    상기 제3,4 슬라이드지지대를 하부 방향에서 지지하며 고정하게 되는 지지받침대;
    상기 제2 슬라이드지지대 상에 설치되어 전후 좌우 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고정베이스;
    상기 제3 슬라이드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베이스에 위치한 광섬유의 높이를 가압하여 조절하게 되는 높이조절부;
    상기 제4 슬라이드지지대의 전방에 설치되어 수직 상하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베이스에 위치한 광섬유의 단면 불량 상태를 탐지하게 되는 탐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3,4 슬라이드지지대의 각 내부에는,
    제2 슬라이드지지대 및 고정베이스 및 높이조절부 및 탐지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테핑 모터 및 상기 스테핑 모터에 결합된 스크류봉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베이스는,
    하부에 형성되는 평판형의 판상체;
    상기 판상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판상체의 중앙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되어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를 선택하여 안착 고정하게 되는 지그안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안착부는,
    상기 판상체의 각 모서리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채, 각 내측에 ㄱ 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정렬지그를 안착 고정하게 되는 제1 안착부;
    상기 판상체의 중앙 부위에서 상 방향으로 돌출된 채, 마주보는 대향 면에 ㄷ 자형의 안착홈을 형성하고, 상면 중앙에 원형상의 안착홈을 형성하여 연마지그를 안착 고정하게 되는 제2 안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착부는,
    상기 연마지그와 동일한 팔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7.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제3 슬라이드지지대에 물리어 슬라이드 되는 홀딩플레이트;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연결된 채,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를 상 방향에서 가압하여 광섬유의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평판 형상의 판플레이트;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상기 판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연결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부는,
    제4 슬라이드지지대에 물리어 슬라이드 되는 홀딩플레이트;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연결된 채, 패럴로부터 노출된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불량 상태를 상 방향에서 근접하여 탐지하게 되는 전자현미경;
    상기 홀딩플레이트와 전자현미경을 서로 연결하여 체결 고정하는 지지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9.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지그는,
    사각 형상의 판상체;
    상기 판상체에서 세로 및 가로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광섬유를 포함한 패럴을 삽입 정렬하는 다수개의 삽입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0. 제4 항 또는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지그는,
    팔각 형상의 판상체;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을 기준으로 각각 근접된 채, 상호 대향된 형태로 형성되어 광섬유를 포함한 패럴을 삽입 정렬하는 다수개의 삽입공;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패럴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도록 저면에 상기 각 삽입공에 끼움되는 이탈방지구;
    저면에 상기 각 삽입공 주변으로 상기 이탈방지구의 회전 또는 유동을 방지하는 걸림구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유동방지홈;
    저면에 상호 이격된 상태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 안착부에 형성된 ㄷ 자형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한 쌍의 막대형 돌기구;
    저면 중앙에서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고정베이스의 제2 안착부에 형성된 원형상의 안착홈에 삽입되는 원형 돌기구;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에 체결 고정되어 상기 이탈방지구 및 페럴의 하 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체결편;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홈은,
    W 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편은,
    상기 판상체의 팔각 면에서 체결 풀림을 이룰 때 분실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 풀림 방향으로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압축코일스프링을 내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3.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구는,
    외주연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다수개의 돌기부;
    상기 각 돌기부의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유동방지홈의 걸림구에 삽입 끼움되는 다수개의 끼움홈;
    길이 방향으로 페럴을 삽입 끼움하게 되는 삽입공;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4. 제9 항 또는 제13 항에 있어서, 정렬지그의 삽입공 및 이탈방지구의 삽입공은, 그 내부에 패럴을 삽입하게 되는 제1 삽입공;
    상기 제1 삽입공의 끝지점에서 상기 제1 삽입공보다 작은 직경을 지닌 채 광섬유의 높이 조절에 따라 광섬유를 삽입하게 되는 제2 삽입공;
    상기 제1 삽입공의 끝지점에 형성되어 패럴의 더 이상 삽입 진행을 막게 되는 단턱;
    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는,
    우측 상단에 지그를 선택할 수 있는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의 클릭버튼;
    상기 클릭버튼 하단에 광섬유 개개의 고유 번호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표기부;
    상기 표기부 하단에 광섬유 개개에 대한 단면 상태의 형상을 이미지화 시키는 카메라부;
    좌측 상단에 상기 표기번호의 결과치에 대한 정보(순번, 검사결과, 소요시간, 초점위치, 검출값)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결과부;
    상기 결과부 하단에 전자현미경으로 탐지된 광섬유의 단면에 대한 품질 사항(패스, 깨짐, 구멍, 스크래치, 오염) 중 해당 사항을 체크하고, 체크된 품질 사항을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하거나 저장을 취소하는 버튼을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품질선택부;
    상기 품질선택부 하단에 광섬유 개개의 탐지에 대한 진행 정보를 표기하여 나열시키는 탐지진행 정보부;
    를 포함하여 표시(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부는,
    탐지부의 광섬유 개개에 대한 단면 검사 진행 시, 모니터부에 표시(디스플레이)되는 상기 클릭버튼, 상기 표기부, 상기 카메라부, 상기 결과부, 상기 품질선택부, 상기 탐지진행 정보부로 구성된 화면을 활성화시켜 광섬유의 검사 진행에 대한 전반적인 작업 과정을 수행하는 메인 프로그램;
    광섬유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를 수집한 이후 영상 처리를 통하여 광섬유 유무를 확인하고, 지그의 가공 오차 및 고정 오차를 보상하여 설정된 위치 기준으로 스캔하여 광섬유를 탐지 유도하는 광섬유 탐지 알고리즘;
    광섬유 개개의 단면에 대한 이미지 수집 진행 중 정렬지그 또는 연마지그의 삽입공에 빈 공간을 영상 처리로 확인하여 검사 시간의 과도한 소모를 예방 유도하는 패럴 유무 확인 알고리즘;
    을 설치하여 운영되는 것을 포함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부에 구비되는 전자현미경의 조명을 컨트롤하는 조명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KR1020130131152A 2013-10-31 2013-10-31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KR101631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152A KR101631193B1 (ko) 2013-10-31 2013-10-31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152A KR101631193B1 (ko) 2013-10-31 2013-10-31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941A true KR20150049941A (ko) 2015-05-08
KR101631193B1 KR101631193B1 (ko) 2016-06-16

Family

ID=5338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152A KR101631193B1 (ko) 2013-10-31 2013-10-31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19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0471A (zh) * 2018-11-01 2019-03-12 信融源大数据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自学习的方式建立纤维种类图谱库的方法
CN111412875A (zh) * 2019-01-08 2020-07-14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预制棒检测设备
CN113188759A (zh) * 2021-06-16 2021-07-30 南宁酷特光学材料有限责任公司 导光光纤生产用质量检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978B1 (ko) * 2022-03-17 2022-10-26 지텍 주식회사 Oled 광학보상장치
KR102514067B1 (ko) * 2022-07-11 2023-03-27 지텍 주식회사 Oled 광학보상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372A (ja) * 2000-04-20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ファイバのコア測定装置,融着接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焦点位置設定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の識別方法
JP2003287417A (ja) * 2002-03-27 2003-10-10 Kyocera Corp 接続ファイバ用側長機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ファイバ用切断機
KR20040023644A (ko) * 2001-07-10 2004-03-18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세이미쯔 작업편의 흠집검사방법 및 장치
KR20050080854A (ko) 2004-02-11 2005-08-18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지르콘산염계 형광체 조성물
KR20110070598A (ko) 2009-12-18 2011-06-24 (주)셀런에스엔 광케이블의 단면 검사와 출력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휴대용 광케이블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5372A (ja) * 2000-04-20 2001-10-31 Mitsubishi Electric Corp 光ファイバのコア測定装置,融着接続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焦点位置設定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の識別方法
KR20040023644A (ko) * 2001-07-10 2004-03-18 가부시키가이샤 토쿄 세이미쯔 작업편의 흠집검사방법 및 장치
JP2003287417A (ja) * 2002-03-27 2003-10-10 Kyocera Corp 接続ファイバ用側長機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ファイバ用切断機
KR20050080854A (ko) 2004-02-11 2005-08-18 한국화학연구원 신규한 지르콘산염계 형광체 조성물
KR20110070598A (ko) 2009-12-18 2011-06-24 (주)셀런에스엔 광케이블의 단면 검사와 출력 측정이 동시에 가능한 휴대용 광케이블 검사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0471A (zh) * 2018-11-01 2019-03-12 信融源大数据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自学习的方式建立纤维种类图谱库的方法
CN109460471B (zh) * 2018-11-01 2021-09-24 信融源大数据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自学习的方式建立纤维种类图谱库的方法
CN111412875A (zh) * 2019-01-08 2020-07-14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预制棒检测设备
CN111412875B (zh) * 2019-01-08 2024-04-09 中天科技精密材料有限公司 预制棒检测设备
CN113188759A (zh) * 2021-06-16 2021-07-30 南宁酷特光学材料有限责任公司 导光光纤生产用质量检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193B1 (ko)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193B1 (ko) 광섬유의 높이 정렬 및 검사용 시스템
US8089622B2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defects in the edge area of a wafer and use of the device in inspection system for wafers
KR101013573B1 (ko) 반도체 칩 외관 검사 방법 및 그 장치
US8165382B2 (en) Glazing inspection method
JPH09500205A (ja) テスト下にある装置の光学走査およびアライメント
KR100924116B1 (ko) 카메라 모듈 완성품의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508807B1 (ko) 카메라모듈 통합검사장치
US8832859B2 (en) Probe alignment tool for the scanning probe microscope
KR100443985B1 (ko) 콜리메이터 검사장치
CN214097203U (zh) 一种光缆镜片洁净度检测装置
TWI653445B (zh) 視覺檢查模組、視覺檢查模組的焦距修正模組以及具有該模組的元件檢查系統
KR20100135195A (ko) 유리판 단면(端面) 측정 장치에 대한 유리판 세팅 방법 및 측정 치구(治具)
CN211347323U (zh) 一种光纤对中测量装置
KR101966936B1 (ko) 실시간 영상기법을 이용한 페룰 단면검사 자동화 장치
KR20180105438A (ko) 의료용 주사바늘 검사장치
CN109115787B (zh) 一种直线型光纤质量检测装置及其方法
CN111289519B (zh) 匀光棒端面检测装置
KR20070039667A (ko) 표시패널의 검사장치 및 이의 검사방법
KR20090017847A (ko) 광학 렌즈용 계측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렌즈의 특성 평가방법
JP2000221105A (ja) 光ファイバ端面検査装置および方法
CN211426298U (zh) 透射式产品测试装置
CN214097209U (zh) 光纤外观缺陷检验装置
JP4997042B2 (ja) 測定架台及び干渉計
KR102311083B1 (ko) 핀 지그 유닛
CN219655720U (zh) 测量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