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7209A - 진료 안내 방법 - Google Patents

진료 안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7209A
KR20150047209A KR1020130126987A KR20130126987A KR20150047209A KR 20150047209 A KR20150047209 A KR 20150047209A KR 1020130126987 A KR1020130126987 A KR 1020130126987A KR 20130126987 A KR20130126987 A KR 20130126987A KR 20150047209 A KR20150047209 A KR 201500472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care
time
treatment
items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5101B1 (ko
Inventor
이용규
정화영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26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101B1/ko
Publication of KR20150047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7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6Sequencing of tasks or work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진료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고,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킴으로써,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한다.

Description

진료 안내 방법{Treatment guide method}
본 발명은 진료 안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급된 진료항목들의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스케줄링 함으로써, 환자가 진료를 받기 위해 기다리는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진료 안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병원에 진료를 받기 위해 찾아온 환자들은 병원의 복잡한 시스템과 구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병원에서의 진료안내는 병원 직원이 직접 안내하거나 간단한 소개와 길 안내를 제공하는 키오스크(kiosk)를 이용한 안내가 대부분으로 환자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해결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모바일 컴퓨팅을 사용하여 환자에게 상세한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기존 모바일 컴퓨팅을 사용하여 진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는 환자의 상황을 인지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상황인지 기반 시스템, 환자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시스템, 환자의 진료 정보를 지능적으로 제공하는 종합병원 안내 서비스 등이 있으나, 기존 연구는 환자의 상황, 위치 등을 인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초기 구축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이하에서 인용되는 선행기술 문헌에는 환자가 진료 대기시간 및 상황을 인지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인용되는 선행기술 문헌은 단순히 입력되는 진료에 따라 순차적으로 진료항목 및 진료 대기시간을 나열하고, 환자가 받아야 할 각 진료의 대기시간을 고려하지 않으며, 순차적으로 진료를 받기 때문에 불필요한 대기시간이 발생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을 줄이도록 각각의 진료항목들의 진료 대기시간을 고려하여 진료순서를 스케줄링 하는 기술적 수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KR 10-2010-0047974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시스템 및 진료 대기 관련 서비스 방법,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2010.05.24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첫 번째 과제는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고, 정렬된 진료항목들에 기초하여 진료순서를 스케줄링 함으로써,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진료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두 번째 과제는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고,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에 기초하여 진료순서를 스케줄링 함으로써 불필요한 진료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진료 안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첫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은 단계;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두 번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은 단계;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을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평균진료시간이 큰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비교하여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진료 안내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가 받아야 할 각각의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갖는 순서대로 진료항목을 스케줄링 함으로써, 환자의 진료 대기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변화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함으로써, 동적 스케줄링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평균진료시간, 예상이동시간을 고려하여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병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이 두 개 이상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에 따라 입력되는 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자신의 차례가 되지 않았을 경우 총 예상소요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자신의 차례가 지났을 경우 총 예상소요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적 스케줄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 안내 서비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상소요시간에 따라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진료 안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소요시간만을 고려하였을 경우의 스케줄링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렬한 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였을 경우의 스케줄링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이 한 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안내에 대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의 진료 안내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검토한 후,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채택하고 있는 기술적 수단을 개괄적으로 소개하도록 한다.
병원에 진료를 받기 위해 찾아온 환자들은 병원의 복잡한 시스템과 구조 때문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상기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모바일 컴퓨팅을 이용한 다양한 진료 안내 시스템이 제안되었지만, 환자의 상황, 위치 등을 인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 구축비용이 많이 발생한다는 치명적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환자의 진료가 끝난 즉시 의사, 간호사 등의 의료진이 다음 진료를 설정한 후 환자에게 진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수단을 제안하고, 상기 환자가 받아야 할 진료의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해줄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안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킴으로써,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진료 안내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S110 단계에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은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환자가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가 두 개 이상일 경우 각각의 진료의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작은 값을 갖는 순서대로 진료를 스케줄링 한다. 따라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들과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아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이 두 개 이상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로부터 환자(21)가 혈액검사(22), 초음파검사(23), 및 X-ray(24)를 받아야 할 진료항목으로 처방 받았다고 가정할 때, 병원 시스템에 기입력되어 있는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혈액검사(22), 초음파검사(23), 및 X-ray(24)에 대한 평균진료시간, 대기 환자 수, 예상대기시간, 현재 진료받고 있는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대기 환자 수는 상기 의사로부터 환자가 진료항목을 처방 받은 즉시 큐에 입력됨으로써 확인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큐는 이하에서 도 3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에 따라 입력되는 큐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가 환자에게 혈액검사(22), 초음파검사(23), 및 X-ray(24)를 처방 받을 경우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에 해당하는 큐에 상기 환자가 입력될 수 있다. 즉, 혈액검사(22) 큐에 기입력된 대기 환자들을 P11 ~ P15라 하고, 상기 환자를 P1이라 할 때, P1이 상기 의사로부터 진료를 처방 받은 직후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초음파검사(23) 큐에 기입력된 대기 환자들을 P21 ~ P23이라 하고, 상기 환자를 P2라 할 때, P2가 상기 의사로부터 진료를 처방 받은 직후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X-ray(24) 큐에 기입력된 대기 환자들을 P31 ~ P36이라 하고, 상기 환자를 P3이라 할 때, P3가 상기 의사로부터 진료를 처방 받은 직후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진료항목에 대한 큐에 입력된 환자들을 확인함으로써, 대기 환자 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악된 대기 환자 수와 병원 의료 시스템에 기입력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을 곱한 뒤 현재 진료받고 있는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예상대기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1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20 단계에서,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병원 시스템은 검사를 받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에 상관없이 항상 순차적으로 검사를 받으므로, 환자가 받아야 할 진료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기다리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다. 예들 들어, 환자가 두 개의 진료를 받아야 할 경우 첫 번째 진료의 예상소요시간보다 두 번째 받아야 할 진료의 예상소요시간이 더 짧다고 가정하면, 종래의 병원 시스템으로는 환자들이 첫 번째 받아야 할 진료 예상소요시간 동안 시간을 허비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며,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진료순서를 스케줄링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은 병원 시스템에 기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은 도 3에서 대기 환자 수와 병원 의료 시스템에 기입력되어 있는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을 곱한 뒤 현재 진료받고 있는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도출할 수 있다.
S130 단계에서,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S120 단계에서 도출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도출된 진료항목들 중 가장 작은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진료항목을 가장 앞에 배치하고, 이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킨다. 따라서, 상기 정렬된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순서를 스케줄링하며,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환자가 현재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상기 환자의 순서가 되지 않았을 경우와, 상기 환자가 현재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상기 환자의 차례가 지났을 경우를 고려하여야 한다.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 것은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자신의 차례가 되지 않았을 경우 총 예상소요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이 X-ray(23)와 초음파검사(24)이고, X-ray(23)의 평균진료시간(32)과 예상대기시간(33)을 합산하고, 초음파검사(24)의 평균진료시간(32)과 예상대기시간(33)을 합산하였을 때, X-ray(23)의 예상소요시간이 초음파검사(24)의 예상소요시간보다 작으므로, 진료항목들에 대한 스케줄링이 X-ray, 초음파검사 순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장소까지 이동할 때 걸리는 예상이동시간(31)은 5분이고, 도 4의 시작시각이 13시 정각이라고 가정하면, X-ray(23)의 진료 예상시작시각(34)은 13시 10분이며, 초음파검사(24)의 진료 예상시작시각(35)은 13시 30분일 수 있다. 따라서, 환자가 X-ray(23) 진료가 끝날 때 초음파검사(24)는 아직 예상대기시간(33)이 남아있기 때문에 상기 환자의 초음파검사(24)에 대한 대기 번호는 1번이 아니며, 상기 환자가 대기 후 초음파검사(24)까지 완료될 경우 총 예상소요시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는 X-ray(23)이고, y는 초음파검사(24)이고, m은 예상이동시간(31)이고, q는 예상대기시간(33)이며, s는 평균진료시간(32)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를 마친 후 다음 진료에서 자신의 차례가 지났을 경우 총 예상소요시간을 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이 혈액검사(22)와 X-ray(23)이고, 혈액검사(22)의 평균진료시간(32)과 예상대기시간(33)을 합산하고, X-ray(23)의 평균진료시간(32)과 예상대기시간(33)을 합산하였을 때, 혈액검사(22)의 예상소요시간이 X-ray(23)의 예상소요시간보다 작으므로, 진료항목들에 대한 스케줄링이 혈액검사(22), X-ray(23) 순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음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장소까지 이동할 때 걸리는 예상이동시간(31)은 5분이고, 도 4의 시작시각이 13시 정각이라고 가정하면, 혈액검사(22)의 진료 예상시작시각(36)은 13시 5분이며, X-ray(23)의 진료 예상시작시각(35)은 13시 19분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환자가 혈액검사(22)의 진료가 끝날 때 X-ray(23)에 대한 대기 번호가 1번이 되었으나, 예상이동시간(31)으로 인해 바로 진료를 받을 수 없는 상황일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나 의사는 대기 번호 1번인 상기 환자가 도착하지 않아 대기 번호 2번인 또 다른 환자의 진료를 먼저 받게 할 수 있으며, 대기 번호 1번인 상기 환자가 도착하면, 상기 대기 번호 2번인 또 다른 환자의 진료가 끝난 후 곧장 상기 대기 번호 1번인 환자를 진료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대기 번호 2번인 또 다른 환자의 예상진료잔여시간(37)을 고려하면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x는 혈액검사(22)이고, y는 X-ray(23)이고, m은 예상이동시간(31)이고, q는 예상대기시간(33)이고, s는 평균진료시간(32)이며, pt는 또 다른 환자의 예상진료잔여시간(37)이다.
이제 다시 도 1로 돌아가 S13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140 단계에서,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130 단계에서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함으로써, 환자가 상기 스케줄링의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은 동적 스케줄링을 통해 상기 예상대기시간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스케줄링은 이하에서 도 6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적 스케줄링 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진료항목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위하여 최초 입력 받은 진료항목들에 대한 정보(61)가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및 X-ray 이고,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 하면, 혈액검사, X-ray, 초음파검사 순으로 스케줄링 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 후 진료항목들에 대하여 최초 입력 받은 진료항목들과 비교하여 예상대기시간이 변경된 정보(62)가 입력되면,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검사함으로써, X-ray의 변경된 예상대기시간을 검출하고, 변경된 예상대기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갱신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을 갱신하면,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X-ray 순으로 스케줄링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검사하는 주기는 상황에 맞게 설정에 따라 초, 분, 및 시 단위인 임의의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는 도 1의 S130 단계에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함으로써, 상기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로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는 도 3의 큐에서 각각의 진료항목별 큐에 따라 입력된 환자의 수로써,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로 출력할 수 있으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은 도 3의 큐에서 각각의 진료항목별 큐에 입력된 환자 수에 평균진료시간을 곱한 후 현재 진료중인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은 설정된 기간으로부터 최근까지 해당 진료항목을 진료받은 환자들의 평균진료시간으로 도출되며, 새로운 환자가 진료를 받을 때마다 평균진료시간은 재계산되어 변동될 수 있다. 또한, 현재 진료받고 있는 환자의 예상소요시간은 해당 진료의 평균진료시간에서 상기 현재 진료받고 있는 환자의 진료받은 시간을 차분하여 도출할 수 있으며,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은 해당 진료항목의 예상시작시각에 해당 진료항목의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하여 도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료항목별 큐 정보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은 병원 시스템 서버에 저장되어 관리될 수 있다.
도 7은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환자의 스마트폰으로 순번 대기표 화면을 출력한 것을 예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순번 대기표 화면은 설정된 주기에 따라 갱신되며, 환자의 차례가 되면 진동이나 알림 음을 이용하여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들이 세 개라고 할 때, 도 1의 흐름도에 따라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 되어 환자의 스마트폰으로 순번 대기표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이 세 개이므로 총 세 개의 순번 대기표가 발급될 수 있으며, 상기 환자보다 먼저 온 또 다른 환자가 진료를 받지 않고 가거나, 진료가 일찍 끝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순번 대기표에 표시된 진료 예상시작시각은 상황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환자가 처음 순번 대기표를 발급받고 3분이 지났을 경우, 매 분마다 예상대기시간이 변하고, 먼저 진료를 받고 있는 또 다른 환자의 진료가 끝나면 대기 환자 수 또한 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것은 상기 스마트폰에 특정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진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모든 기기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 안내 서비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환자의 현재 위치에서 다음 진료 장소로 이동할 시 빠르게 찾아가는 것을 목표로 하며, 환자의 위치 정보는 병원의 위치 서버로 전송되어 현재 위치에서 다음 진료 장소로 가는 길을 지도에 표시하여 환자의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예상이동시간을 단축하여 총 진료시간을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병원의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스캔 할 수 있는 QR 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이용할 경우는, 환자의 단말기로 각 진료실 앞에 부착되어 있는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면 상기 병원의 위치 서버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가 전송되어 상기 환자의 현재 위치와 다음 진료 장소가 표시된 위치 안내 정보가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환자는 전송 받은 길 안내 정보를 이용하여 다음 진료 장소까지 찾아갈 수 있으며, 다음 진료가 끝나면 다시 진료받은 진료실 앞에 있는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다음 진료 장소까지 찾아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R 코드는 각각의 진료실 앞에 각각의 진료실에 해당하는 QR 코드를 부착해야 한다.
또한,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병원의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사용할 경우는, 환자는 진료가 끝나고 다음 진료 장소를 찾아가기 위해서 해당 진료실 앞에 있는 상기 RFID 리더기에 환자의 RFID 태그를 인식시켜 길 안내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즉, 환자가 RFID 태그를 진료실 앞에 있는 RFID 리더기에 인식을 시켰을 경우 현재 위치에서 다음 진료 장소가 표시된 지도가 상기 환자의 단말기로 전송되며, 다음 진료 장소에 도착하면 길 안내 서비스는 자동으로 종료되어 해당 정보는 병원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RFID 태그는 진료 접수 시 환자들에게 제공되며, 각 진료실 앞에 RFID 리더기를 부착해야 한다.
그 외에도, 상기 환자의 위치 정보를 상기 병원의 위치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으로 지구 자기장의 고유한 패턴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측위 기술과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지구 자기장 기반의 측위 기술, 환자의 단말기에서 나오는 와이파이(Wi-Fi)세기를 기반으로 측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WPS(Wif Positioning System), 및 병원 건물이 1층으로 되어있을 경우 사용 가능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진료 안내 방법은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스케줄링 할 경우 현재 받을 진료보다 다음 진료의 평균진료시간이 길 경우 예상대기시간이 길어지는 최적화되지 않은 스케줄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진료 스케줄링 방법은 상기 예상소요시간을 이용한 진료 스케줄링 방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환자가 처방 받은 진료들을 진료받을 수 있는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여 진료 스케줄링을 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진료 스케줄링 방법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진료 스케줄링이 되며,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진료항목의 수에 따라 발생하는 경우의 수는 n을 진료항목의 수라고 할 때,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예를 들어, 의사로부터 세 가지의 진료항목을 처방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6개이며, 네 가지의 진료항목을 처방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24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세 가지의 진료항목을 처방 받았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의 수는 다음과 같이 총 6개이고, 1이 혈액검사, 2가 X-ray, 및 3이 초음파검사일 때, 스케줄링 순서는 1 2 3, 1 3 2, 2 1 3, 2 3 1, 3 1 2, 3 2 1로 나열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경우의 수에서 발생하는 총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가장 작은 값을 갖는 경우를 환자의 진료 스케줄링에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모든 경우의 수를 고려하는 진료 스케줄링 방법을 이용할 경우 진료의 수가 늘어남에 따라 상기 경우의 수가 매우 늘어나며, 각각의 경우의 수에 대한 스케줄링의 총 예상소요시간을 모두 구해서 비교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최적화된 스케줄링 방법은 이하에서 도 9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상소요시간에 따라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진료 안내 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며,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한다. 도 9의 S910 단계 내지 S930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의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의 S110 단계 내지 S130 단계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S940 단계에서,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940 단계는 이하에서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예상소요시간에 따라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을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비교하며, 상기 평균진료시간이 큰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재배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세 가지의 진료항목(101)에 대해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처방 받은 진료항목의 개수를 n이라 할 때, 가장 작은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갖는 진료항목이 n으로 가장 끝에 위치하고, 순차적으로 n부터 1씩 증가시키면서 배치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을 정렬(102) 시킬 수 있다. 이후, 처방 받은 진료의 수가 n이라고 하면, 인덱스 i는 2부터 n까지 1씩 증가시키며 아래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i번째와 i-1번째를 비교하였을 때 i번째의 평균진료시간의 값이 i-1번째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 진료 순서를 바꾸지 않고 i를 1 증가 시켜 i-2번째와 비교를 한다. 또는, i번째와 i-1번째를 비교하였을 때 i번째의 평균진료시간의 값이 i-1번째보다 크고, i번째와 i-1번째 순서를 바꿀 경우의 걸리는 총 예상소요시간과 i번째와 i-1번째 순서를 바꾸지 않을 경우의 걸리는 총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며, i번째와 i-1번째 순서를 바꿀 경우의 총 예상소요시간의 값이 작을 경우 i 번째와 i-1번째의 순서를 바꿀 수 있다. 이때, i번째 진료는 i-1번째로 순서가 바뀌며, i-1번째 진료는 i번째로 순서가 바뀔 수 있다. 이후, i-1번째와 i-2번째를 비교하였을 때 i-1번째의 평균진료시간의 값이 i-2번째보다 클 경우는 상기의 i번째와 i-1번째의 비교와 같이 동일한 과정을 거쳐 순서를 정할 수 있다. 이후 순차적으로 상기의 평균진료시간의 값을 비교하여 순서를 재배치하는 과정을 1번째까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한편, i번째와 i-1번째 순서를 바꿀 경우의 걸리는 총 예상소요시간과 바꾸지 않을 때 걸리는 경우의 총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바꿀 경우의 총 예상소요시간의 값이 크거나 같을 경우 i를 1 증가시켜 i-2번째와 비교하여 순서를 재배치할 수 있다.
이제 다시 도 9로 돌아가 S940 단계 이후를 설명하도록 한다.
S950 단계에서, 상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S940 단계에서 재배치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함으로써, 환자가 상기 스케줄링의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은 동적 스케줄링을 통해 상기 예상대기시간의 변화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할 수 있다. 상기 동적 스케줄링은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비교하여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진료항목들에 대한 스케줄링을 위하여 최초 입력 받은 진료항목들에 대한 정보가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및 X-ray 이고,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여 비교함으로써,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 하면, 혈액검사, X-ray, 초음파검사 순으로 스케줄링 될 수 있다.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 후 진료항목들에 대하여 최초 입력 받은 진료항목들과 비교하여 예상대기시간이 변경된 정보가 입력되면, 정해진 주기에 따라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검사함으로써, X-ray의 변경된 예상대기시간을 검출하고, 변경된 예상대기시간에 기초하여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갱신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스케줄링을 갱신하면,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X-ray 순으로 정렬시킬 수 있다. 이후, 혈액검사의 평균진료시간이 1분이고, 초음파검사의 평균진료시간이 10분이며, X-ray의 평균진료시간이 3분이라 할 때, 상기 진료항목들의 평균진료시간을 비교하여 작은 순서대로 혈액검사, X-ray, 초음파검사 순으로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재배치함으로써, 스케줄링을 갱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검사하는 주기는 상황에 맞게 설정에 따라 초, 분, 및 시 단위인 임의의 주기로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의 상세한 설명은 도 4 및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4 및 도 5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또한,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케줄링 결과의 상세한 설명은 도 7 및 도 8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7 및 도 8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제, 이하에서 도 11 및 도 12를 통해 도 1의 진료 안내 방법과 도 9의 최적화된 진료 안내 방법을 비교해보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소요시간만을 고려하였을 경우의 스케줄링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의사로부터 환자가 처방 받은 진료항목이 초음파검사(111), MRI(112), 및 CT(113)라고 할 때,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작은 순서대로 나열하기 위해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115)과 평균진료시간(116)을 합산하여 정렬시킬 경우 초음파검사(111), MRI(112), CT(113) 순으로 진료의 순서가 정해질 수 있다. 이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순서가 정해지면 두 번째로 정렬된 진료항목부터 첫 번째로 정렬된 진료항목과 평균진료시간(116)을 비교할 수 있다. 즉, 초음파검사(111)의 평균진료시간(116)과 MRI(112)의 평균진료시간(116) 비교하면 MRI(112)의 평균진료시간(116)이 초음파검사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의 순서를 바꿔도 되는지를 정하기 위하여, 초음파검사(111)와 MRI(112)의 진료 순서를 바꾸지 않았을 때의 총 예상소요시간과 초음파검사(111)와 MRI(112)의 진료 순서를 바꾸었을 경우의 총 예상소요시간을 각각 계산하여 비교할 수 있다. 정렬된 진료항목을 바꾸지 않았을 경우 수학식 2를 통해 총 예상소요시간을 계산하면 165분이 도출된다. 한편, 정렬된 진료항목을 평균진료시간(116)에 따라 초음파검사(111)와 MRI(112)의 진료 순서를 바꾸었을 경우는 이하에서 도 12를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소요시간을 고려하여 정렬한 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였을 경우의 스케줄링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렬된 진료항목을 평균진료시간(116)에 따라 초음파검사(111)와 MRI(112)의 진료 순서를 바꾸었을 경우는 MRI(112), 초음파검사(111), CT(113) 순으로 재배치되며, 총 예상소요시간을 수학식 2를 통해 구하면 135분이 도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11과 도 12를 비교하면 총 예상소요시간이 도 12가 도 11보다 30분이 단축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진료 순서는 MRI(112), 초음파검사(111), CT(113) 순으로 재배치될 수 있다. 이제, 세 번째 진료인 CT(113)를 기준으로 두 번째 진료인 초음파검사(111)의 평균진료시간(116)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결과, CT(113)의 평균진료시간(116)보다 초음파검사(111)의 평균진료시간(116)이 더 크므로 더 이상에 진료항목 순서의 변화는 없다. 결과적으로, 진료항목에 대한 순서는 MRI(112), 초음파검사(111), CT(113) 순으로 재배치되며, 재배치된 진료항목 순으로 스케줄링 되어 출력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항목이 한 개일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의사로부터 환자가 진료항목을 하나만 처방 받을 경우 진료가 하나이므로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진료순서를 추천하는 과정은 생략할 수 있다. 도 13의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 내지 도 12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료 안내에 대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병원 서버(141), 위치 서버(142), 의료진(143), 및 환자(144)로 구성될 수 있다.
위치 서버(142)는 환자(144)가 보내온 위치 정보인 QR 코드 정보 및 RFID 정보를 이용하여 환자(144)의 현재 위치에서 환자(144)가 받아야 할 다음 진료 장소로 가는 길 안내 정보를 지도에 표시하여 환자의 단말기로 위치 안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병원 서버(141)는 진료정보, 진료대기정보, 환자(144) 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으며, 의료진(143)이 오더 내린 환자의 각 진료의 예상대기시간과 평균진료시간을 더한 값인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값이 적은 순서대로 스케줄링 하여, 환자(144)의 단말기로 진료의 정보가 포함된 순번 대기표를 자동 발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병원 서버(141)는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며,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서, 병원 서버(141)는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고,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고,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며, 상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할 수 있다.
상기된 예시에 따라 병원 서버(141)를 통해 출력된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144)의 단말기로 전송되어 활용될 수 있다.
의료진(143)은 의사, 간호사 등 진료와 직접적으로 관여된 사람들을 말하며, 환자(144)의 진료가 끝난 후 처방전달시스템으로 환자가 받아야 할 진료들을 병원 서버(141)로 전송할 수 있다.
환자(144)는 병원 서버(141)에서 보내오는 진료 안내 정보와 위치 안내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 받아 효율적으로 진료를 받을 수 있다. 또한, 환자(144)가 진료 장소에 도착하였을 때 병원 서버(141)에 환자(144) 정보를 전송하여 도착을 알릴 수 있다. 도 14의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13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 대응하는바, 도 1 내지 도 13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41 : 병원 서버
142 : 위치 서버
143 : 의료진
144 : 환자

Claims (12)

  1.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은 단계;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6. 의사로부터 처방 받은 복수 개의 진료항목들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입력 받은 단계;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과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는 단계;
    상기 도출된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상기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정렬시키는 단계;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재배치된 진료항목들을 스케줄링 결과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평균진료시간을 고려하여 재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정렬된 각각의 진료항목들에 대한 평균진료시간을 앞에서부터 순차적으로 비교함으로써, 상기 평균진료시간이 큰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재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료 안내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의 변화를 주기적으로 검사하고,
    검사결과, 상기 예상대기시간에 변화가 있을 경우, 상기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변화된 새로운 예상대기시간을 합산하여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된 변화된 새로운 진료 예상소요시간이 작은 순서대로 상기 진료항목들을 정렬하며,
    상기 정렬된 진료항목들을 평균진료시간을 비교하여 재배치함으로써, 상기 스케줄링을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결과는,
    환자의 진료항목별 순서,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번호, 상기 진료항목별 대기 환자 수,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장소,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시작시각, 상기 진료항목별 진료 예상종료시각, 및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예상대기시간이 존재할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과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및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케줄링 된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은,
    상기 환자가 진료항목별 순서에 따라 첫 번째 진료항목에 대한 진료가 완료되고, 두 번째 진료항목에 대하여 또 다른 환자가 진료 중일 경우,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이동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예상대기시간, 상기 진료항목별 평균진료시간, 및 상기 또 다른 환자의 진료 예상소요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진료항목들에 대한 총 예상소요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료 안내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30126987A 2013-10-24 2013-10-24 진료 안내 방법 KR101565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87A KR101565101B1 (ko) 2013-10-24 2013-10-24 진료 안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987A KR101565101B1 (ko) 2013-10-24 2013-10-24 진료 안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7209A true KR20150047209A (ko) 2015-05-04
KR101565101B1 KR101565101B1 (ko) 2015-11-02

Family

ID=53386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987A KR101565101B1 (ko) 2013-10-24 2013-10-24 진료 안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291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진이어스 내원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6195A (ko) 2022-05-30 2023-12-07 충남대학교병원 병원 진료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1116B2 (ja) * 2004-09-07 2008-12-03 Necフィールディング株式会社 待ち時間管理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7291A (ko) * 2018-07-12 2020-01-22 주식회사 진이어스 내원 소요 시간을 예측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65101B1 (ko) 2015-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104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patient appointments
US11664119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edical services
US20210295984A1 (en) Optimized patient schedules based on patient workflow and resource availability
US20100106517A1 (en) Systems for and methods of medical scheduling based on simulation-based optimization
US20150100326A1 (en) Healthcare visit management framework
WO2016201595A1 (zh) 一种基于rfid技术的自动化就诊系统
US20180358122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a patient in a hospital setup
US1191465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ypermedia-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obile devices
CN105593680B (zh) 个人设备中的协作电子鼻管理
US20230101984A1 (en)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mutli-party collocation
JP2007011971A (ja) ルート情報提供システム
JP5901486B2 (ja) 診療予約受付装置
JP2002312473A (ja) 健康診断システム
KR100996721B1 (ko) 알 에프 아이디 태그와 휴대용 정보 수신장치를 이용한건강 검진 운영 시스템 및 이에 적합한 방법
JP2006268404A (ja) 管理システム
US20160027138A1 (en) Automated Patient Flow Management Systems
JP2017021699A (ja) 健康診断検査管理装置及び健康診断検査管理システム
KR101565101B1 (ko) 진료 안내 방법
KR20130014884A (ko) 진료 일정 관리 방법과 이를 이용한 진료 예약 시스템
US10854330B1 (en) Appointment scheduling management system
KR101606027B1 (ko)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6608323B2 (ja) 受診者誘導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Golmohammadi A Decision-Making tool based on historical data for service time prediction in outpatient scheduling
US20180046768A1 (en) System for tracking patient wait times at a healthcare clinic
JP2007279859A (ja) 施設運用の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