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6027B1 -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027B1
KR101606027B1 KR1020130058993A KR20130058993A KR101606027B1 KR 101606027 B1 KR101606027 B1 KR 101606027B1 KR 1020130058993 A KR1020130058993 A KR 1020130058993A KR 20130058993 A KR20130058993 A KR 20130058993A KR 101606027 B1 KR101606027 B1 KR 101606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reservation
scheduling
items
i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8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7852A (ko
Inventor
정진엽
백롱민
황희
이기혁
유수영
윤종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병원 (분사무소)
Priority to KR1020130058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027B1/ko
Publication of KR2014013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SPECTION RESERVATION SCHDULING BASED ON PRIORITY}
본 발명은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료체계는 동네의 소규모 병/의원과 종합병원이나 대학병원으로 대변되는 대형병원으로 이원화되어 있고, 이용자의 대부분은 고가의 시설과 장비를 갖춘 대형병원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져, 동네 병원에서 간단한 진료와 처방을 받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경미한 질환의 환자까지도 대형병원에 집중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그 결과, 미리 진료 예약을 하고 예약된 시간에 병원을 방문하더라도 평균 2~3 시간을 기다려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은 이미 일상이 되었고, 결국 병원 진료가 예약된 날은 아침 일찍부터 병원 대기실에 앉아 차례를 기다렸다가 오후가 되어서야 진료를 받고 병원문을 나서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때 환자가 여러 가지 증세를 보이거나 단일 증세라 하더라도 복수의 진료과목의 진단이 필요한 상황이거나 병리검사라도 추가되게 되면, 하루 종일 해당 검사실과 진료실을 찾아 진료과별로 이동하면서 시간이 소비되고 경우에 따라 당일 안에 처리가 불가하여 검사와 진료만을 위해 2~3일이 소요되기도 하며, 그 결과를 보기 위해 며칠 후에 병원을 다시 방문해야 하는 상황이 빈번히 발생한다.
따라서 환자별 동일날짜, 동일 진료과를 기준으로 예약되어 내원 빈도수 및 진료과별 동선이 최소화된 진료 일정 스케줄링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별 할당된 검사항목을 예약날짜 정보 및 연계검사(예컨대, 동일진료파트의 검사실)에 기초한 계산 결과에 따라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수행하여 모든 검사항목이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스케줄링을 생성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는 과정과,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로 연동된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여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검사예약 스케줄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당일 내로 검사완료가 가능한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고, 검사항목의 속성(금식여부, 진료과별 동선 포함)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후행 순위를 정렬하여 스케줄링 함으로써 환자별 최적화된 검사예약 시간표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검사예약 일정관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자별 할당된 검사항목을 예약날짜 정보 및 연계검사(예컨대, 동일진료파트의 검사실)에 기초한 계산 결과에 따라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수행하기 위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여 리스팅(listing)하고, 검사항목별 예약 날짜 중 가장 빠른 날짜를 기준으로 모든 검사항목이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함으로써 당일 내로 검사완료가 가능한 스케줄을 제공할 수 있고, 검사항목의 속성(금식여부, 진료과별 동선 포함)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후행 순위를 정렬하여 스케줄링함으로써 환자별 최적화된 검사예약 시간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해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전체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110 과정에서는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EMR 화면상에서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를 실행한다.
이는 환자가 병원 내원 시 MRI, CT 등 각종 검사 일정이 맞지 않을 경우 여러 차례 내원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각종 검사 예약을 동일 날짜를 기준으로 진료과별 최소한의 동선으로 큐잉(queueing)하여 환자별 최적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112 과정에서는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고, 114 과정에서는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한다.
여기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적용된 화면 예시도로서, 상기 기설정된 항목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항목, 수납, 검사실, 처방일, 예약일자, 예약가능일자, 금식여부, 소요시간, 주의사항을 포함하고, 검사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가 테이블화되어 검사예약 서비스를 지원하는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내에 표시된다.
116 과정에서는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상기 112 과정에서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한다.
이때, 상기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는, 상기 검사항목별 예약 날짜 중 같은 날 예약이 되는 가장 빠른 날짜에 해당되는 개체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테이블 (a)에서 검사항목별 예약가능일자(310)에 대해 큐잉 과정을 통해 도 3의 (b)의 312에서와 같이 환자 조회 후 리스트된 예약검사가 같은 날 예약이 되는 가장 빠른 날짜와 시간이 표시되고, 그 일측에 각 검사항목별 가장 빨리 예약되는 날짜와 시간을 가이드한다.
이후 118 과정에서는 상기 동작 과정을 토대로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이 적용된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동일 진료과, 동일날짜를 기준으로 2개 이상의 예약검사 스케줄링 수행을 위해 보다 상세하게 도 2의 흐름도를 참고하면,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항목을 진료과별로 그룹핑하고(S210), 상기 그룹별 각 검사항목의 예약 가능 일자에서 최우선하는 일자를 그룹별로 선별하고 표시하고(S212), 상기 선별된 각 그룹별 최우선하는 일자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이 통합되게 수렴하는 예약 가능 일자를 산출하여 디폴트(default)한다(S214).
즉, 210 및 212 과정에서는 동일 진료과, 동일날짜를 추출하기 위해 검사항목 중 동일 진료과에 해당하는 검사항목을 진료과별로 그룹핑하고, 동일 진료과별로 동일 그룹으로 그룹핑된 검사항목별 예약 가능 일자에서 가장 최우선하는 일자를 각 그룹별로 선별하여 표시하고, 214 과정에서는 상기 선별된 각 그룹별 최우선하는 일자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이 통합되게 수렴하는 예약 가능 일자를 산출하여 디폴트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별 속성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행 및 후행 순서를 정의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진료과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검사항목별 최소 이동 경로를 산출하여 최적화된 스케줄링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된 감사예약 제공 페이지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의 제1 위치에는 환자별 검사예약 스케줄링에 필요한 검사항목, 수납여부, 검사실, 처방일, 예약일자, 검사특진의, 예약가능일자, 금식여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항목이 필드별로 표시되고(도 3의 30 참조),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로 대응하는 해당 환자의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상태정보)가 필드별로 각각 표시된다.
상기 분할된 영역의 제2 위치에는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원(one)버튼이 표시되어 인터럽트 발생 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수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one 버튼(50)을 누르면 전체 리스트가 리프레쉬(refresh) 후 빠른 예약 날짜를 표시하고(암환자와 같은 긴급환자), one save(51)버튼은 원스톱검사를 위해 통합예약을 사용할 경우에만 해당되며 예약 잡은 후 저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예외 상황 발행 시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에서 금식여부를 확인하여 검사예약 스케줄링 시 검사항목별 체크박스의 체킹 유무를 통해 비금식에 해당하는 검사항목을 제외하고, 체킹된 검사항목을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재수행한다.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을 변경하고자 하는 검사 조회 시 비금식 검사명을 클릭하여 제거하고, 조회 버튼(40) 클릭 후 체킹 표시하여 가장 빠른 예약 시간을 표시한다(예컨대, 일정변경 조정 후 7/1->6/10, 7/1->6/10로 변경됨).
그리고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 시 제외되는 검사항목에 대하여 해당 검사항목 관련 검사실을 파악하여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실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실 예약윈도우를 팝업창 형태로 상기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일측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항목에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검사항목이 상기 검사실예약윈도우에 활성화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예약을 하지 않을 경우 일측에 표시되는 소정의 검사실예약창(41, 42, 43)을 클릭한 다음 리스팅(44)된 소정의 검사명을 더블클릭하면 예약창(41, 42)에 그 검사명에 대한 예약창이 자동으로 활성화된다.
이때, 비예약검사 창(43)은 예약창을 다고 다른 창을 이용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예약창 내에서 볼 수 있도록 링크를 걸어두고, 저장 버튼(45)는 예약을 한 후 저장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대해 도 6을 참조하고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된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 화면 설정부(612), 제어부(614), 검사 예약 스케줄부(616)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614)는 네트워크를 통해 EMR 서비스 서버(618)과 연동된다.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는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6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로부터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로 연동된 EMR 서비스 서버(618)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대응하는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여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14)는, 상기 디폴트 시 각 검사항목별 속성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행 및 후행 순서를 정의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진료과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검사항목별 최소 이동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616)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610)로부터 예외 상황 입력 발생 시,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에서 금식여부를 확인하여 검사예약 스케줄링 시 검사항목별 체크박스의 체킹 유무를 통해 비금식에 해당하는 검사항목을 제외하고, 체킹된 검사항목을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재수행한다.
더하여, 상기 제어부(614)는 화면 설정부(612)를 통해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 시 제외되는 검사항목에 대하여 해당 검사항목 관련 검사실을 파악하여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실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실예약윈도우를 팝업창 형태로 상기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일측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항목에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검사항목을 상기 검사실예약윈도우에 활성화한다.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616)는 상기 제어부(614)의 제어 하에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한다.
이때,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616)는, 제어부(614)의 제어 하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항목을 진료과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별 각 검사항목의 예약 가능 일자에서 최우선하는 일자를 그룹별로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각 그룹별 최우선하는 일자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이 통합되게 수렴하는 예약 가능 일자를 산출하여 디폴트(default)함으로써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한다.
상기 화면 설정부(612)는 상기 제어부(614)의 제어 하에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지원을 위한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내 각각의 분할된 영역의 제1 위치에는 환자별 검사예약 스케줄링에 필요한 검사항목, 수납여부, 검사실, 처방일, 예약일자, 검사특진의, 예약가능일자, 금식여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항목을 필드별로 표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로 대응하는 해당 환자의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를 필드별로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의 제2 위치에는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원(one)버튼을 표시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6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612: 화면 설정부
614: 제어부 616: 검사예약 스케줄부
618: EMR 서비스 서버

Claims (13)

  1.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의 제어부에서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가 실행되면,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해당하는 서비스 실시 정보인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는 과정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검사예약 스케줄부에서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해당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에서 상기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항목을 진료과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별 각 검사항목의 예약 가능 일자에서 최우선하는 일자를 그룹별로 선별하여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별된 각 그룹별 최우선하는 일자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이 통합되게 수렴하는 예약 가능 일자를 산출하여 디폴트(default)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디폴트 시 각 검사항목별 속성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행 및 후행 순서를 정의하는 제1 단계 및
    검사를 수행하는 진료과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검사항목별 최소 이동 경로를 산출하는 제2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화면 설정부에서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지원을 위한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고, 각각의 분할된 영역의 제1 위치에는 환자별 검사예약 스케줄링에 필요한 검사항목, 수납여부, 검사실, 처방일, 예약일자, 검사특진의, 예약가능일자, 금식여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항목이 필드별로 표시되는 과정과,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로 대응하는 해당 환자의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가 필드별로 표시되는 과정과,
    상기 분할된 영역의 제2 위치에는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원(one)버튼이 표시되어 인터럽트 발생 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고,
    예외 상황 발생 시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에서 금식여부를 확인하여 검사예약 스케줄링 시 검사항목별 체크박스의 체킹 유무를 통해 비금식에 해당하는 검사항목을 제외하고, 체킹된 검사항목을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재수행하고,
    상기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는,
    상기 검사항목별 예약 날짜 중 가장 빠른 날짜에 해당되는 개체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 시 제외되는 검사항목에 대하여 해당 검사항목 관련 검사실을 파악하여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실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실예약윈도우를 팝업창 형태로 상기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일측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항목에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검사항목이 상기 검사실예약윈도우에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값 및 사용자 선택 입력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데이터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네트워크로 연동된 EMR 서비스 서버를 통해 진료과별 해당 환자에 할당된 검사항목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검사항목을 기설정된 항목별 해당하는 서비스 실시 정보인 개체정보와 함께 리스팅(listing)하여 상기 기설정된 항목에 대응하는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당일 검사예약으로 통합되게 수집된 검사항목을 연속되게 정렬하여 환자별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생성하는 검사예약 스케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리스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검사항목을 진료과별로 그룹핑하고, 상기 그룹별 각 검사항목의 예약 가능 일자에서 최우선하는 일자를 그룹별로 선별하여 상기 선별된 각 그룹별 최우선하는 일자를 기반으로 각 검사항목이 통합되게 수렴하는 예약 가능 일자를 산출하여 디폴트(default)하고,
    상기 제어부는,
    디폴트된 각 검사항목별 속성을 고려하여 검사항목 간 선행 및 후행 순서를 정의하고, 검사를 수행하는 진료과별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검사항목별 최소 이동 경로를 산출하여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부로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 하에 환자별 할당된 검사의 예약을 지원하기 위한 검사예약 서비스 모드 실행에 따라, 검사예약 스케줄링 지원을 위한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를 표시하고, 복수의 분할된 영역을 갖는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내 각각의 분할된 영역의 제1 위치에는 환자별 검사예약 스케줄링에 필요한 검사항목, 수납여부, 검사실, 처방일, 예약일자, 검사특진의, 예약가능일자, 금식여부, 소요시간을 포함하는 미리 설정된 항목을 필드별로 표시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별로 대응하는 해당 환자의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실시 정보인 개체정보를 필드별로 표시하고,
    상기 분할된 영역의 제2 위치에는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개체정보를 기준으로 내원 빈도수가 최소화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을 위한 인터페이스인 원(one)버튼을 표시하는 화면 설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예외 상황 입력 발생 시,
    상기 미리 설정된 항목에서 금식여부를 확인하여 검사예약 스케줄링 시 검사항목별 체크박스의 체킹 유무를 통해 비금식에 해당하는 검사항목을 제외하고, 체킹된 검사항목을 기준으로 검사예약 스케줄링을 재수행하고,
    상기 소정 검사항목에 대응하는 개체정보는,
    상기 검사항목별 예약 날짜 중 가장 빠른 날짜에 해당되는 개체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설정부를 통해 상기 검사예약 스케줄링 생성 시 제외되는 검사항목에 대하여 해당 검사항목 관련 검사실을 파악하여 검사가 수행되는 검사실 예약 인터페이스를 통해 검사실예약윈도우를 팝업창 형태로 상기 검사예약 제공 페이지 일측에 표시하고,
    해당 검사항목에 인터럽트를 발생하여 상기 검사항목을 상기 검사실예약윈도우에 활성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30058993A 2013-05-24 2013-05-24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06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993A KR101606027B1 (ko) 2013-05-24 2013-05-24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8993A KR101606027B1 (ko) 2013-05-24 2013-05-24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852A KR20140137852A (ko) 2014-12-03
KR101606027B1 true KR101606027B1 (ko) 2016-04-11

Family

ID=52457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8993A KR101606027B1 (ko) 2013-05-24 2013-05-24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0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46A1 (ko) * 2018-01-19 2019-07-2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593B1 (ko) * 2019-12-17 2022-02-08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진료 스케쥴 관리 방법 및 장치
CN115132332B (zh) * 2022-06-21 2023-12-22 深圳伯医科技有限公司 一种精准检查预约消息的推送方法及相关设备
CN117438061B (zh) * 2023-12-21 2024-03-22 智业软件股份有限公司 用于检查预约资源动态分配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251A (ja) 2005-03-17 2006-09-28 Hitachi Medical Corp 検診予約システム
JP2007156887A (ja) * 2005-12-06 2007-06-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ケジュール作成管理システム
JP2008234381A (ja) 2007-03-22 2008-10-02 Fujifilm Corp 医療検査予約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中継装置、並びに医療検査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0251A (ja) 2005-03-17 2006-09-28 Hitachi Medical Corp 検診予約システム
JP2007156887A (ja) * 2005-12-06 2007-06-21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スケジュール作成管理システム
JP2008234381A (ja) 2007-03-22 2008-10-02 Fujifilm Corp 医療検査予約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中継装置、並びに医療検査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046A1 (ko) * 2018-01-19 2019-07-25 의료법인 명지의료재단 장 정결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7852A (ko) 201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5900B2 (en) Patient check-in/scheduling kiosk
RU2554522C2 (ru) Рабочий процесс с обратной связью
EP2504948B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diagnostic imaging
US20120130745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delivering relevant medical information
US20040260593A1 (en) System and user interface supporting workflow operation improvement
US20080195422A1 (en) Customizable order profile and medication list
US20050114178A1 (en) Method for processing a workflow for automated patient scheduling in a hospital information system
US20180226141A1 (en) Patient coordin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06027B1 (ko) 우선순위가 고려된 검사예약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JP2009517737A (ja) 知的情報収集及びデータ・モデル化による実時間保健医療業務意志決定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CN114420278A (zh) 一种基于规则算法的智能检查预约方法及系统
Alhaider et al. Distributed situation awareness: a health-system approach to assessing and designing patient flow management
WO2021183347A1 (en) Dynamic health records
van Hulzen et al. Supporting capacity management decisions in healthcare using data-driven process simulation
Khodambashi Lean analysis of an intra-operating management process-identifying opportunities for improvement in health information systems
Sobolev et al. Analysis of waiting-time data in health services research
US20150178452A1 (en) Ordering a list of cases
JP2004302696A (ja) 待ち行列管理サーバ、待ち行列管理システム、待ち行列管理方法、待ち行列管理プログラム
JP7116192B2 (ja) 診療支援装置及び診療支援システム
WO2012085734A1 (en) Method for stepwise review of patient care
JP5616859B2 (ja) 診療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700380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mptom-based order protocoling within the exam ordering process
US20230073347A1 (en) Dynamic health records
KR20130089993A (ko) 검사 예약 방법 및 시스템
Khodambashi Alignment of an intra-operating management process to a health information system: A Lean analysis appro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