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186A -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186A
KR20150046186A KR20157006965A KR20157006965A KR20150046186A KR 20150046186 A KR20150046186 A KR 20150046186A KR 20157006965 A KR20157006965 A KR 20157006965A KR 20157006965 A KR20157006965 A KR 20157006965A KR 20150046186 A KR20150046186 A KR 20150046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tube
particulate matter
quadrant
screw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57006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8112B1 (ko
Inventor
뻬떼르 비외르끄룬드
따삐오 아호까이넨
Original Assignee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filed Critical 오토텍 (핀랜드) 오와이
Publication of KR20150046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8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8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33Heating elements or systems using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3/00Hearth-type furnaces, e.g. of reverberatory type; Tank furnaces
    • F27B3/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hearth-type furnaces
    • F27B3/20Arrangements of heating devices
    • F27B3/205Bur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033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charging of particulat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08Screw feeders; Screw dischar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F27D99/0003Heating elements or systems with particulate fuel, e.g. aspects relating to the fee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Screw Conveyor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원은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 (3) 를 포함하고, 이 스크류 컨베이어는 유입구 (6) 를 가진 튜브 수단 (4), 하향 유출구 (7), 및 상기 유입구 (6) 에서부터 상기 하향 유출구 (7) 로 미립 물질을 이동시키기 위한 나선형 스크류 (8) 를 포함한다. 하향 유출구 (7) 에는 분배 수단 (10) 이 제공된다. 분배 수단 (10) 은 하향 유출구 (7)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도록 구성된 자유 단부 (11) 를 가진다.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나선형 스크류 (8) 는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 연장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ARRANGEMENT FOR FEEDING FINE-GRAINED MATTER TO A CONCENTRATE OR MATTE BURNER OF A SUSPENSION SMELTING FURNACE}
본원은 독립항 1 의 전제부에 규정된 바와 같은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 (fine-grained matter) 을 장입 (feed) 하는 장치 (arrangement) 에 관한 것이다.
본 장치는 자용로 (flash smelting furnace) 또는 다이렉트-투-블리스터 노 (direct-to-blister furnace) 와 같은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황화구리 정광 또는 매트 또는 구리 매트 또는 연진 (flue dust) 또는 냉각제 또는 분체 연료 및 가능한 플럭스와 같은 미립 물질을 장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공보 WO 2005/067366 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의 목적은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는 장치는 독립항 1 의 규정들을 특징으로 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은 종속항들에서 규정된다.
본 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이 스크류 컨베이어는 원주방향 내부면을 가진 튜브 수단, 튜브 수단의 원주방향 내부면에서 튜브 수단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전방 유입구, 튜브 수단의 원주방향 내부면에서 튜브 수단으로 미립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하향 유출구, 및 나선형 스크류로서, 이 나선형 스크류를 회전시킴으로써 튜브 수단에서의 미립 물질을 유입구에서부터 하향 유출구로 이동시키기 위해 샤프트 주변에 배열된, 상기 나선형 스크류를 포함한다.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향 유출구에는 유입구의 방향에서부터 유출구로 연장될 수 있는 분배 수단이 제공된다. 분배 수단은 하향 유출구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도록 구성된 자유 단부를 가진다.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유입구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에 걸쳐서 연장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튜브 수단의 하향 유출구는, 튜브 수단에 부착되는 유출 튜브 섹션을 포함한다. 유출 튜브 섹션은 원형 단면 및 제 1 중심축을 가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 수단은 원형 단면 및 상기 유출 튜브 섹션의 제 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을 가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나선형 스크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튜브 수단의 유입구의 방향에서부터 하향 유출구에 걸쳐서, 유출 튜브 섹션의 직경의 10 ~ 40% 에 대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0 ~ 30% 에 대응하는 거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에 대응하는 거리로 연장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전방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분배 수단은 단면에서 튜브 수단의 원주방향 내부면의 반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단면에서 만곡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하향 유출구에 배열되어, 분배 수단은 튜브 수단의 원주방향 내부면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섹션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의 자유 단부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나선형 스크류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flight) 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직선 섹션을 가진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튜브 수단의 하향 유출구는 원형 단면 및 제 1 중심축을 가진 유출 튜브 섹션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 수단은 원형 단면 및 상기 유출 튜브 섹션의 제 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을 가진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원형 단면은, 나선형 스크류 및 샤프트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에 평행한 제 1 가상의 라인에 의해 제한되고 그리고 이 제 1 가상의 라인에 수직하고 또한 유출 튜브 섹션의 제 1 중심축과 교차하는 제 2 가상의 라인에 의해 제한되는 제 1 사분면을 규정한다.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원형 단면은 제 1 사분면에 인접한 제 2 사분면을 추가로 규정한다. 제 2 사분면은 제 1 사분면과 동일한 제 1 가상의 라인 측에 위치된다.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원형 단면은 제 2 사분면에 인접한 제 3 사분면을 추가로 규정한다. 제 3 사분면은 제 2 사분면에 비교하여 제 1 가상의 라인의 다른 측에 위치된다.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원형 단면은 제 1 사분면과 제 3 사분면 사이의 제 4 사분면을 추가로 규정한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내주부에 부착되어, 분배 수단은 제 1 사분면의 50 ~ 100%, 제 2 사분면의 원호의 10 ~ 90%, 및 제 4 사분면의 원호의 10 ~ 90% 를 따라서,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의 내주부에 부착된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의 자유 단부는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직선이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유출 튜브 섹션의 내주부에 체결되어, 유출 튜브 섹션의 내주부와 분배 수단 사이에서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의 자유 단부는 직선 섹션을 가지고, 상기 나선형 스크류는 상기 분배 수단의 상기 직선 섹션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를 포함한다.
본 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향 유출구로부터 미립 물질을 균일하게 장입하도록 제공된다. 미립 물질의 균일한 장입은, 서스펜션 용련로에서의 보다 균일한 압력 분포와 같은 서스펜션 용련로에서의 여러 가지 프로세스 장점들, 서스펜션 용련로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산소의 용도, 및 동일한 프로세스 파라미터들로 서스펜션 용련로의 침강기 (settler) 에 형성된 슬래그 층에서의 보다 양호한 슬래그 품질 (슬래그 층에서 더 낮은 Cu % 또는 더 낮은 Ni % 및 더 낮은 Fe304 %) 을 유도한다.
이하, 본원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정광 또는 매트 버너가 제공된 서스펜션 용련로를 도시한다.
도 2 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3 은 본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향 유출구를 일측에서 본 수직방향 단면 상세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도시된 상세부의 상세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5 는 도 4 에 도시된 상세부의 다른 형상을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6 은 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스크류 컨베이어의 하향 유출구를 일측에서 본 수직방향 단면 상세도이다.
도 7 는 도 6 에 도시된 상세부의 상세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8 는 도 7 에 도시된 상세부의 다른 형상을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9 는 도 4 및 도 6 에 도시된 상세부의 상세를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0 은 도 9 에 도시된 상세부의 다른 형상을 위에서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도 11 은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을 통하여 아래에서 본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12 는 하향 유출구의 유출 튜브 섹션을 통하여 아래에서 본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본원은 자용로 또는 다이렉트-투-블리스터 용융로와 같은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립 물질은, 예를 들어 구리 매트 및/또는 황화구리 정광 또는 매트 또는 연진 또는 냉각제 또는 분체 연료 또는 가능한 플럭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 (3) 를 포함하고, 이 스크류 컨베이어는 원주방향 내부면 (5) 을 가진 튜브 수단 (4),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유입구 (6),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에서 튜브 수단 (4) 으로부터 미립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하향 유출구 (7), 및 나선형 스크류 (8) 로서, 이 나선형 스크류 (8) 를 회전시킴으로써 튜브 수단 (4) 에서의 미립 물질을 유입구 (6) 에서부터 하향 유출구 (7) 로 이동시키기 위해 샤프트 (9) 주변에 배열된,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를 포함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에 부착되는 유출 튜브 섹션 (21) 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출 튜브 섹션 (21) 은 원형 단면과 제 1 중심축 (C) 을 가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은 원형 단면과 상기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 (D) 을 가진다.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에는 분배 수단 (10) 이 제공된다.
도면들에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원형 또는 둥근 형태를 갖지만, 대안으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예를 들어 삼각형, 사변형, 사분면, 오각형 또는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금속 플레이트와 같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전방 개구될 수 있고 그리고 수평방향 단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V 형상화 또는 만곡될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하향 유출구 (7)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도록 구성된 자유 단부 (11) 를 가진다.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나선형 스크류 (8) 는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 연장된다.
즉, 스크류 컨베이어 (3) 는 유입구 (6) 에서부터 하향 유출구 (7) 까지 연장되는 이송 방향 (도 2 에서 "A" 로 표시) 을 규정하고,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나선형 스크류 (8) 는 상기 이송 방향에서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서 연장된다.
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에 부착되는 유출 튜브 섹션 (21) 을 포함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유출 튜브 섹션 (21) 은 원형 단면과 제 1 중심축 (C) 을 가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은 원형 단면과 상기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 (D) 을 가진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나선형 스크류 (8) 는,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서,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직경의 10 ~ 40% 에 대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0 ~ 30% 에 대응하는 거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에 대응하는 거리로 연장된다.
본 장치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유입구 (6) 는 도징 빈 (dosing bin; 13) 과 연통할 수 있고, 중량 손실 제어기 (12) 는 도징 빈 (13) 에서부터 스크류 컨베이어 (3) 로의 미립 물질의 장입을 제어하기 위해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전방 유입구 (6) 와 도징 빈 (13)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도징 빈 (13) 은 또한 미립 물질을 유동화하기 위한 유동화 수단 (14) 과 연통하도록 배열될 수 있어서, 유동화 수단 (14) 과 도징 빈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기 위해 이 유동화 수단 (14) 과 이 도징 빈 (13) 사이에 충전 밸브 (15) 가 제공된다.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연통할 수 있다. 컨베이어 수단 (16)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를 유도하는 슬라이드 슈트, 에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 체인 컨베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에서,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사이에 체결될 수 있다. 컨베이어 수단 (16)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를 유도하는 슬라이드 슈트, 에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 체인 컨베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에서,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사이에 체결되는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될 수 있다. 컨베이어 수단 (16)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를 유도하는 슬라이드 슈트, 에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 체인 컨베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을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함으로써, 예를 들어 분배 수단 (10) 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면, 플랜지 수단 (20) 의 용이한 제거를 제공해준다.
분배 수단 (10) 은,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에서,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사이에 체결되는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될 수 있다. 컨베이어 수단 (16)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를 유도하는 슬라이드 슈트, 에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 체인 컨베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을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함으로써, 예를 들어 분배 수단 (10) 을 수리하거나 교체할 필요가 있으면, 플랜지 수단 (20) 의 용이한 제거를 제공해준다.
분배 수단 (10) 은 또한 하향 유출구 (7) 에서 스크류 수단 (도면들에 비도시) 과 같은 외부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하향 유출구 (7) 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스크류 컨베이어 (3) 는 유입구 (6) 에서부터 하향 유출구 (7) 까지 연장되는 이송 방향 (도 2 에서 "A" 로 표시) 을 규정하고,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이송 방향에서 전방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 (7) 로 연장될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유출구 (7) 경사진 형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부를 가질 수 있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로, 분배 수단 (10) 은 유출구 (7) 만곡된 형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부를 가질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구 (7) 경사진 형상으로 하향부를 가질 수 있다. 도 3 에 도시된 장치에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은 유출구 (7) 만곡된 형상으로 하향부를 가진다.
본 장치에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은 전방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분배 수단 (10) 은 단면에서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의 반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단면에서 만곡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분배 수단 (10)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하향 유출구 (7) 에 배열되어, 분배 수단 (10) 은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의 연장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된다. 이러한 경우에,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나선형 스크류 (8) 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18) 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직선 섹션 (19) 을 가진다.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직선 섹션 (19) 을 가질 수 있고, 나선형 스크류 (8) 는 도 9 및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수단 (10) 의 상기 직선 섹션 (19) 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18) 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2 개의 직선 섹션들 (19) 로 구성될 수 있고, 나선형 스크류 (8) 는 분배 수단 (10) 의 상기 2 개의 직선 섹션들 (19) 중 하나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18) 를 포함할 수 있다.
분배 수단 (10) 은, 도 4 ~ 도 5 및 도 7 ~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스크류 (8) 및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도 4, 도 5, 도 7 및 도 8 에서 "B" 로 표시) 에 대하여 대칭일 수 있다. 대안으로서, 분배 수단 (10) 은 나선형 스크류 (8) 및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B) 에 대하여 비대칭일 수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수직 평면의 일측에 본질적으로 완전히 배열된다. 도 4 및 도 7 에서는, 직선 섹션들 (19) 사이의 각이 도 5 및 도 8 에서의 대응각보다 더 작은 실시형태들을 도시한다.
도 11 에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본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튜브 수단 (4) 의 하향 유출구 (7) 는 원형 단면 및 제 1 중심축 (C) 을 가진 유출 튜브 섹션 (21) 을 포함한다. 본 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튜브 수단 (4) 은 원형 단면 및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 (D) 을 가진다. 본 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원형 단면은, 나선형 스크류 (8) 및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B) 에 평행한 제 1 가상의 라인 (E) 에 의해 제한되고 그리고 이 제 1 가상의 라인 (E) 에 수직하고 또한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가상의 라인 (F) 에 의해 제한되는 제 1 사분면 (22) 을 규정한다. 본 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원형 단면은 제 1 사분면 (22) 에 인접한 제 2 사분면 (23) 을 추가로 규정한다. 제 2 사분면 (23) 은 제 1 사분면 (22) 과 동일한 제 1 가상의 라인 (E) 측에 위치된다. 본 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원형 단면은 제 2 사분면 (23) 에 인접한 제 3 사분면 (24) 을 추가로 규정한다. 제 3 사분면 (24) 은 제 2 사분면 (23) 에 비교하여 제 1 가상의 라인 (E) 의 다른 측에 위치된다. 본 장치의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원형 단면은 제 1 사분면 (22) 과 제 3 사분면 (24) 사이의 제 4 사분면 (25) 을 추가로 규정한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은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부착되어, 분배 수단 (10) 은 제 1 사분면 (22) 의 50 ~ 100%, 제 2 사분면 (23) 의 원호의 10 ~ 90%, 및 제 4 사분면 (25) 의 원호의 10 ~ 90% 를 따라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부착된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만곡된 섹션 (26) 을 가진다. 본 장치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분배 수단 (10) 은, 바람직하지만 필수적이지 않게,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체결되어, 제 1 사분면 (22) 의 50 ~ 100%, 제 2 사분면 (23) 의 원호의 10 ~ 90%, 및 제 4 사분면 (25) 의 원호의 10 ~ 90% 를 따라서,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 사이에서 미립 물질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유입구 (6) 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에서 전방 유입구 (6) 의 형태일 수 있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본원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따라서, 본원 및 본원의 실시형태들은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의 범위내에서 변할 수 있다.

Claims (26)

  1.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에 미립 물질을 장입 (feed) 하기 위한 장치 (arrangement) 로서,
    상기 장치는 스크류 컨베이어 (3)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는,
    원주방향 내부면 (5) 을 가진 튜브 수단 (4),
    상기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유입구 (6),
    상기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에서 상기 튜브 수단 (4) 으로부터 미립 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하향 유출구 (7), 및
    나선형 스크류 (8) 로서,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튜브 수단 (4) 에서의 미립 물질을 상기 유입구 (6) 에서부터 상기 하향 유출구 (7) 로 이동시키기 위해 샤프트 (9) 주변에 배열된,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는 분배 수단 (10) 이 제공되며,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도록 구성된 자유 단부 (11) 를 가지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는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는,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에 부착되고 그리고 원형 단면 및 제 1 중심축 (C) 을 가지는 유출 튜브 섹션 (21)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은, 원형 단면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 (D) 을 가지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는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 걸쳐서, 상기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직경의 10 ~ 40% 에 대응하는 거리, 바람직하게는 20 ~ 30% 에 대응하는 거리,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5% 에 대응하는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유입구 (6) 는 도징 빈 (13) 과 연통하고,
    상기 도징 빈 (13) 에서부터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로의 미립 물질의 장입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유입구 (6) 와 상기 도징 빈 (13) 사이에 중량 손실 제어기 (12) 가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징 빈 (13) 은 미립 물질을 유동화하기 위한 유동화 수단 (14) 과 연통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유동화 수단 (14) 과 상기 도징 빈 사이의 연통을 개폐하기 위해 상기 유동화 수단 (14) 과 상기 도징 빈 (13) 사이에 충전 밸브 (15)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향 유출구 (7) 는 상기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상기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서, 상기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상기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서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 수단 (20) 은 상기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상기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서 플랜지 수단 (20) 에 체결되고,
    상기 플랜지 수단 (20) 은 상기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상기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와 연통하는 컨베이어 수단 (16) 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사이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서 스크류 수단과 같은 외부 체결 수단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0. 제 5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수단 (16) 은, 상기 서스펜션 용련로 (2) 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 (1) 를 유도하는 슬라이드 슈트, 에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 체인 컨베이어 또는 이들의 조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유입구 (6) 의 방향에서부터 상기 하향 유출구 (7) 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경사진 형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만곡된 형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향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전방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단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V 형상화 또는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전방 개방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분배 수단 (10) 은 단면에서 상기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의 반경에 본질적으로 대응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도록 단면에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 배열되어,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의 연장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의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flight; 18) 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직선 섹션 (19) 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직선 섹션 (19) 을 가지고,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는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상기 직선 섹션 (19) 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자유 단부 (11) 는 2 개의 직선 섹션들 (19) 로 형성되고,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는 상기 분배 수단 (10) 의 상기 2 개의 직선 섹션들 (19) 중 하나에 본질적으로 수직한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트 (1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및 상기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B) 에 대하여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나선형 스크류 (8) 및 상기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B) 에 대하여 비대칭이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수직 평면 (B) 의 일측에 본질적으로 완전히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에 배열되어, 상기 분배 수단 (10) 과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사이에서 미립 물질이 유동하지 못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하향 유출구 (7) 는 원형 단면 및 제 1 중심축 (C) 을 가진 유출 튜브 섹션 (21) 을 포함하고,
    상기 튜브 수단 (4) 은, 원형 단면 및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상기 튜브 수단 (4) 의 상기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중심축 (D) 을 가지며,
    상기 하향 유출구 (7) 의 상기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원형 단면은, 나선형 스크류 (8) 및 샤프트 (9) 의 공통의 회전축과 교차하는 수직 평면 (B) 에 평행한 제 1 가상의 라인 (E) 그리고 상기 제 1 가상의 라인 (E) 에 수직하고 또한 유출 튜브 섹션 (21) 의 제 1 중심축 (C) 과 교차하는 제 2 가상의 라인 (F) 에 의해 제한되는 제 1 사분면 (22), 상기 제 1 사분면 (22) 에 인접하고 상기 제 1 사분면 (22) 과 동일한 상기 제 1 가상의 라인 (E) 측에 위치되는 제 2 사분면 (23), 상기 제 2 사분면 (23) 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사분면 (23) 에 비하여 상기 제 1 가상의 라인 (E) 의 타측에 위치되는 제 3 사분면 (24), 및 상기 제 1 사분면 (22) 과 상기 제 3 사분면 (24) 사이의 제 4 사분면 (25) 을 규정하고,
    상기 분배 수단 (10) 은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부착되어,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제 1 사분면 (22) 의 50 ~ 100%, 상기 제 2 사분면 (23) 의 원호의 10 ~ 90%, 및 제 4 사분면 (25) 의 원호의 10 ~ 90% 를 따라서, 상기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수단 (10) 은 상기 제 1 사분면 (22) 의 50 ~ 100%, 상기 제 2 사분면 (23) 의 원호의 10 ~ 90%, 및 제 4 사분면 (25) 의 원호의 10 ~ 90% 를 따라서, 상기 하향 유출구 (7) 의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에 부착되어, 상기 유출 튜브 섹션 (21) 의 내주부 사이에서 미립 물질이 유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26. 제 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 (3) 의 유입구 (6) 는, 상기 튜브 수단 (4) 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상기 튜브 수단 (4) 의 원주방향 내부면 (5) 에서 전방 유입구 (6) 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157006965A 2012-08-27 2013-08-26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KR1020481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125883A FI124217B (en) 2012-08-27 2012-08-27 ARRANGEMENTS FOR SUPPLYING FINE-CORN SUBSTANCE TO A SLEEVE OR STONE BURNER OF A SUSPENSION MELTED OVEN
FI20125883 2012-08-27
PCT/FI2013/050823 WO2014033363A1 (en) 2012-08-27 2013-08-26 Arrangement for feeding fine-grained matter to a concentrate or matte burner of a suspension smelting furna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186A true KR20150046186A (ko) 2015-04-29
KR102048112B1 KR102048112B1 (ko) 2019-11-22

Family

ID=5018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6965A KR102048112B1 (ko) 2012-08-27 2013-08-26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151535B2 (ko)
EP (1) EP2888547B1 (ko)
KR (1) KR102048112B1 (ko)
CN (1) CN104603566B (ko)
BR (1) BR112015003876B1 (ko)
CA (1) CA2881107C (ko)
CL (1) CL2015000293A1 (ko)
EA (1) EA027175B1 (ko)
ES (1) ES2631682T3 (ko)
FI (1) FI124217B (ko)
PL (1) PL2888547T3 (ko)
WO (1) WO20140333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82547A1 (de) * 2020-03-20 2021-09-22 Primetals Technologies Germany GmbH Brennerrohr, brennerrohrbaugruppe und brenner-einhei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661Y1 (ko) * 2000-03-29 2000-09-15 나창환 곡물 세척기
JP2001003106A (ja) * 1999-06-18 2001-01-09 Kawasaki Steel Corp 高炉微粉炭吹き込み設備における中間タンクから吹き込みタンクへの微粉炭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20060129260A (ko) * 2004-01-15 2006-12-15 오또꿈쁘 테크놀로지 오와이제이 서스펜션 용융 제련로용 공급 시스템
JP2011160708A (ja) * 2010-02-09 2011-08-2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79120A (en) * 1973-12-18 1978-03-14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Uranium dioxide calcining apparatus and method
US4005908A (en) * 1975-02-03 1977-02-01 Freeman Billy P Batch transfer system
US4206841A (en) * 1977-05-20 1980-06-10 Mo Och Domsjo Aktiebolag Screw conveyor capable of maintaining a relatively uniform flow of conveyed material
LU82336A1 (fr) * 1980-04-04 1980-07-02 Wurth Anciens Ets Paul Procede et dispositif de pression et de fluidisation d'une masse pulverulente dans une enceinte de distribution
US5871619A (en) * 1995-09-14 1999-02-16 Tire Recycling Technologies Corporation Plug seal discharge system for distillation apparatus
EP1935993A1 (en) 2006-12-18 2008-06-25 Paul Wurth S.A. A rotary charging device for a shaft furnace
WO2009146935A2 (de) * 2008-06-05 2009-12-10 Kurt Himmelfreundpointner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as zufördern von förderfähigen materialien zu reaktionsöfen
CN201926315U (zh) 2010-12-17 2011-08-10 利马高科(成都)有限公司 砖瓦隧道窑轮窑机械喷投料装置
CN202221239U (zh) 2011-08-23 2012-05-16 上海宝钢设备检修有限公司 用于将高温物料分布进入高温容器内的布料系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3106A (ja) * 1999-06-18 2001-01-09 Kawasaki Steel Corp 高炉微粉炭吹き込み設備における中間タンクから吹き込みタンクへの微粉炭供給方法および装置
KR200197661Y1 (ko) * 2000-03-29 2000-09-15 나창환 곡물 세척기
KR20060129260A (ko) * 2004-01-15 2006-12-15 오또꿈쁘 테크놀로지 오와이제이 서스펜션 용융 제련로용 공급 시스템
JP2011160708A (ja) * 2010-02-09 2011-08-25 Mitsubishi Agricultural Machinery Co Ltd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03566B (zh) 2017-06-06
CN104603566A (zh) 2015-05-06
KR102048112B1 (ko) 2019-11-22
US20150233644A1 (en) 2015-08-20
EP2888547A4 (en) 2016-04-13
EP2888547A1 (en) 2015-07-01
WO2014033363A1 (en) 2014-03-06
CL2015000293A1 (es) 2015-10-23
EP2888547B1 (en) 2017-04-12
EA201590360A1 (ru) 2015-08-31
CA2881107C (en) 2020-09-01
FI124217B (en) 2014-05-15
US10151535B2 (en) 2018-12-11
PL2888547T3 (pl) 2017-09-29
CA2881107A1 (en) 2014-03-06
FI20125883A (fi) 2014-02-28
EA027175B1 (ru) 2017-06-30
BR112015003876A2 (pt) 2017-07-04
ES2631682T3 (es) 2017-09-04
BR112015003876B1 (pt) 202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9175B (zh) 精矿喷嘴
CN200948983Y (zh) 用于含碳固体粉料的供料装置下部的出料装置
CN105855040B (zh) 一种斜式分级磁选装置
JP2016526649A (ja) 粒子状のフィード材料のためのフィードフローコンディショナ
KR20150046186A (ko) 서스펜션 용련로의 정광 또는 매트 버너에 미립 물질을 장입하기 위한 장치
CN107626120A (zh) 用于浓密机的进料机构和具有其的浓密机
CN207462731U (zh) 用于浓密机的进料机构和具有其的浓密机
CN206142389U (zh) 一种物料螺旋提升机
FI127083B (en) Burner and atomizer for a burner
EP2556318B1 (en) Flash furnace velocity control
CN102865738A (zh) 一种钛渣冶炼直流电弧炉外围给料分料装置
CN207551294U (zh) 一种管道型分流装置
KR101373111B1 (ko) 원료의 장입장치
CN202853339U (zh) 一种钛渣冶炼直流电弧炉外围给料分料装置
CN204938069U (zh) 曲线形散料转运溜槽
JP2009299154A (ja) ベルレス高炉の原料装入装置および原料装入方法
CN107902383A (zh) 一种管道型分流装置
JP2012132056A (ja) 高炉用炉頂バンカー
JP2009062576A (ja) 高炉への原料装入方法及び原料装入装置
CN209367206U (zh) 一种用于环形布料机的防跑偏导流装置
CN202105493U (zh) 渣浆分配器、脱水转鼓、冶金炉渣水淬粒化装置
CN210762283U (zh) 一种工业炉窑磁加料装置
CN202784785U (zh) 分配器手选仓
WO2017073892A1 (ko) 용융로의 원료 장입장치
CN106733163B (zh) 筒式磁选机用管式给矿装置、分选槽体及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