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3320A -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3320A
KR20150043320A KR1020157003621A KR20157003621A KR20150043320A KR 20150043320 A KR20150043320 A KR 20150043320A KR 1020157003621 A KR1020157003621 A KR 1020157003621A KR 20157003621 A KR20157003621 A KR 20157003621A KR 20150043320 A KR20150043320 A KR 2015004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water
mass
group
adhe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699B1 (ko
Inventor
히로아츠 에바나
모토나리 미즈타
Original Assignee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6Ethers; Acetals; Ketals; Ortho-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8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for application to surfaces to minimize adherence of ice, mist or water thereto; Thawing or antifreeze materials for application to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preparing the materials
    • E01C19/10Apparatus or plants for premixing or precoating aggregate or fillers with non-hydraulic binders, e.g. with bitumen, with resins, i.e. producing mixtures or coating aggregates otherwise than by penetrating or surface dressing; Apparatus for premixing non-hydraulic mixtures prior to placing or for reconditioning salvaged non-hydraulic composi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아스팔트 합재에 대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물로 희석 후에도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비점이 150 ℃ 이상이고, 25 ℃ 에서 액상인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B), 및 40 ℃ 의 동점도가 1 ∼ 40 ㎟/s 의 유동 파라핀 (C) 를 함유하고, (A), (B), (C) 의 각 질량비가 (A) 15 ∼ 35 질량%, (B) 53 ∼ 79 질량%, (C) 6 ∼ 12 질량% 인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R1O - (EO)n - H … (1)
(식 중 R1 은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탄화수소기, EO 는 옥시에틸렌기, n 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4 ∼ 10 이다.)

Description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ADHESION INHIBITOR FOR ASPHALT}
본 발명은 아스팔트 합재에 대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물로 희석 후에도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에 관한 것이다.
도로 포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아스팔트 합재는 접착제인 아스팔트와 도로의 기초 부분이 되는 골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아스팔트는 가열된 액상의 상태로 골재와 혼합되고, 냉각되어 굳어짐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한다.
아스팔트 합재의 제조 공장이나 아스팔트 합재를 취급하는 도로 포장 현장에서는, 장치나 기기에 대한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을 방지하는 것이 작업성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해서 중요하다. 특히 아스팔트 합재 공장 내의 설비인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벨트 컨베이어에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이 발생하면, 부착부에 아스팔트 합재가 서서히 퇴적되어가, 막힘 등의 원인이 되어 작업 효율이 대폭 저하된다.
그 때문에 이들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벨트 컨베이어에는,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 및 퇴적을 방지하기 위해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를 갖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필요하다.
종래,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벨트 컨베이어에 부착된 아스팔트 합재를 박리하기 위해, 경유, 중유 등의 광물유를 탱크로부터 파이프 라인을 통해서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벨트 컨베이어에 정기적으로 산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경유, 중유를 사용하는 방법에서는, 분무된 경유, 중유가 유출되는 것으로 인한 주위 환경에 대한 악영향이 염려되고 있었다. 그 때문에, 경유, 중유와 동등 이상의 성능으로 이들의 사용을 저감할 수 있고,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많이 보고되고 있다.
특허문헌 1 에는, 동식물 유지,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톨 지방산 에스테르를 물로 희석하고, 유화시킨 에멀션형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착 방지제에서는 양호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동식물 유지가 많이 배합되어 있어, 물 희석 후에 탱크 내에서 시간 경과로 유수 분리가 발생하여 탱크 내에서 농도 구배가 생기기 쉽기 때문에, 안정된 부착 방지 효과, 박리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시간 경과로 유수 분리된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유성 성분을 함유하지 않고 물과 친화성이 높은 기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고, 특허문헌 2 에는 다가 알코올을 사용한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특허문헌 3 에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유도체를 사용한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각각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부착 방지제는 물 희석 후의 안정성이 양호하고, 안정된 부착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만, 박리 효과에 대해 충분하지 않고, 특히 아스팔트 합재가 부착되기 쉬운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등의 공장 설비에서는 사용하는 데에 충분한 성능은 아니었다.
또, 특허문헌 4 에는, 유성 성분으로서 테르펜계 화합물과 노니온성 활성제 또는 아니온성 활성제를 사용한 에멀션형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착 방지제도 양호한 박리 효과를 얻기 위해 테르펜계 화합물이 많이 배합되어 있고, 물 희석 후의 안정성이 충분하지 않아, 안정적인 부착 방지 효과, 박리 효과를 얻기까지는 도달하지 않았다.
따라서, 현상황에서는, 시간 경과로 물 희석액의 분리가 잘 일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를 발휘하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얻어지지 않고 있다.
국제 공개 제2003/0358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4140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12776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82859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그 목적은 아스팔트 합재에 대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물로 희석 후에도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 잘 분리되지 않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를 실시한 결과, 특정한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특정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특정한 동점도를 갖는 유동 파라핀의 각각을 특정한 비율로 함유하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가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도 물 희석액이 잘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비점이 150 ℃ 이상이고, 25 ℃ 에서 액상인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B), 및 40 ℃ 의 동점도가 1 ∼ 40 ㎟/s 의 유동 파라핀 (C) 를 함유하고, (A), (B), (C) 의 각 질량비가 (A) 15 ∼ 35 질량%, (B) 53 ∼ 79 질량%, (C) 6 ∼ 12 질량% 인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이다.
R1O - (EO)n - H … (1)
(식 중 R1 은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탄화수소기, EO 는 옥시에틸렌기, n 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4 ∼ 10 이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아스팔트 합재에 대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물로 희석 후에도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 잘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으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을 함유한다. 또한, (A) 성분, (B) 성분 및 (C) 성분의 각 질량비의 합계는 100 질량% 이다. 먼저, (A) 성분에 대해 설명한다.
[(A)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A) 성분은 비점이 150 ℃ 이상이고, 25 ℃ 에서 액상인 1 가의 수용성 알코올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점이란 대기압하에서의 비점을 말한다. 1 가의 수용성 알코올의 비점이 150 ℃ 미만이면, 아스팔트 합재가 통상 110 ∼ 150 ℃ 에서 출하 및 시공되는 점으로부터, 수용성 알코올이 아스팔트 합재에 접했을 때에 증발 등이 발생하여,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1 가의 수용성 알코올이란, 분자 내에 수산기를 1 개 갖는 수용성의 화합물이다. 여기서 수용성이란, 25 ℃ 에서 물에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는 것을 말한다.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는, 특히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의 면에서, 탄소수가 6 ∼ 8 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가 6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1 가의 수용성 알코올은 25 ℃ 에서 물과 임의의 비율로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의 구체예로는,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3-메톡시-1-부탄올,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푸르푸릴알코올,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우수하다는 이유에서,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가 바람직하고, 3-메톡시-3-메틸-1-부탄올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는 1 종을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함께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로서 시판품을 사용해도 되고, 예를 들어, 트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로서 부티세놀 30 (KH 네오켐 주식회사 제조),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로서 하이솔브 DM (토호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 3-메톡시-3-메틸-1-부탄올로서 솔피트파인그레이드 (쿠라레 주식회사 제조),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시그마 알드리치 재팬 주식회사 제조),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알코올 (키시다 화학 주식회사 제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중 15 ∼ 35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0 ∼ 30 질량% 이다. 15 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35 질량% 를 초과하면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B)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B) 성분은 하기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R1O - (EO)n - H … (1)
식 중, R1 은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탄화수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1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다. 탄소수가 8 미만이면 양호한 박리 효과 및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탄소수가 12 를 초과하면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 R1 이 직사슬의 탄화수소기이면, 양호한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렵고, 물 희석액의 저온하에 있어서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탄화수소기로는, 예를 들어, 2-에틸헥실기, 3,5-디메틸헥실기, 2,2-디메틸헥실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2-프로필펜틸기, 이소옥틸기, 2,2-디메틸헵틸기, 2,2,4,4-테트라메틸펜틸기, 3,5,5-트리메틸헥실기, 2-메틸옥틸기, 2-에틸헵틸기, 3-메틸옥틸기, 이소노닐기, 네오노닐기, 2,2-디메틸옥틸기, 2-메틸-2-에틸헵틸기, 2-메틸-2-프로필헥실기, 8-메틸-1-노닐기, 이소데실기, 2-프로필헵틸기, 2-부틸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에틸헥실기, 이소데실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소데실기이다.
EO 는 옥시에틸렌기이다. n 은 옥시에틸렌기 (EO) 의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4 ∼ 10 이며, 바람직하게는 5 ∼ 7 이다. n 이 4 미만이면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10 을 초과하면 양호한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B) 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1 가의 알코올에, 소정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기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화합물 (B) 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2 종 이상의 화합물 (B) 는, 예를 들어, 분기 알킬기 또는 탄소수가 상이한 2 종 이상의 1 가의 알코올 혼합물에, 소정량의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시켜 얻을 수 있다.
화합물 (B) 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중 53 ∼ 79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65 ∼ 70 질량% 이다. 53 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물 희석액의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79 질량% 를 초과하면 양호한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C) 성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C) 성분은 40 ℃ 의 동점도가 1 ∼ 40 ㎟/s 의 유동 파라핀이고, 바람직하게는 동점도가 1 ∼ 10 ㎟/s 의 유동 파라핀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점도는 JIS K-2283 에 준거하여 측정된 값이다.
여기서 말하는 유동 파라핀이란, 무색 투명, 무미 무취로 정제도가 높은 탄화수소유로, 예를 들어, 석유의 윤활유 유분에 함유되는 방향족 탄화수소 화합물이나 황화합물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고도로 정제함으로써 얻어지는, 나프텐을 주성분으로 한 탄화수소유, 혹은 올레핀을 원료로 하여 중합함으로써 얻어지는 탄화수소유를 가리킨다.
이들 유동 파라핀 중에서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유동 파라핀 (C) 의 구체예로는, 스핀들유 유분을 황산 세정으로 정제한 탄화수소유나, 폴리이소부텐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이소부텐이다.
유동 파라핀 (C) 는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중 6 ∼ 12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7 ∼ 9 질량% 이다. 6 질량% 미만이면 양호한 박리 효과를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고, 12 질량% 를 초과하면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을 얻기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통상적으로 물로 희석하여 사용된다. 희석 배율은 원액에 대하여 물로 3 ∼ 100 질량배, 바람직하게는 5 ∼ 50 질량배이다. 단, 경우에 따라서는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원액으로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호퍼, 스킵 엘리베이터 등의 합재 공장 설비에서 주로 사용되지만, 운반에 사용되는 덤프 트럭의 짐칸, 포장 기기인 피니셔, 머캐덤 롤러, 타이어 롤러 등에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페트병 등의 용기를 사용하여 산포하거나 혹은 스프레이 등에 의해 분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예를 들어, 유기 또는 무기염류, pH 조정제, 살균제, 킬레이트제, 색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 11, 비교예 1 ∼ 9]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질량비로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각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에 대하여 하기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에 있어서 「◎」 및 「○」의 평가인 것을 각각 합격으로 하였다.
또한,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A1 ∼ A5, A'1 ∼ A'5 의 각 성분의 물성 등을 표 1 에 기재하고,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B1 ∼ B5 의 각 성분의 식 (1) 에 있어서의 기호 등의 설명을 표 2 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1) 부착 방지 효과 테스트
200 ㎖ 비커 중에서, 각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10 ㎖ 칭량하고, 90 ㎖ 의 물로 10 배로 희석하여 스터러 칩을 사용해서 25 ℃ 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희석액을 100 ㎖ 스크루 관에 50 ㎖ 넣고, 흡인 노즐이 스크루 관의 바닥부에 닿도록 스프레이 분사구를 장착하였다.
희석액 1 g 을 20 ㎝ × 15 ㎝ 의 SS400 강재에 스프레이한 후, 150 ℃ 로 가열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 (밀입도 아스팔트 합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6 질량%,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침입도 : 60 ∼ 80 : JIS K-2207) 를 1 ㎏ 얹어 1분간 상온에서 방치하였다. 그 후, 강재를 70 도의 각도로 기울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를 떨어뜨렸다. 이 일련의 조작, 즉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를 1 ㎏ 얹고, 1 분간 상온에서 방치하고, 강재를 70 도의 각도로 기울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를 떨어뜨린다는 일련의 조작을 10 회 반복하여 실시하였다.
그 후의 강판에 부착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량과 강판 표면의 외관을 평가하였다.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은 미세한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으로 시작하여, 반복하여 접촉함으로써 부착된 아스팔트 합재에 퇴적되어가, 큰 덩어리의 부착이 된다. 그 때문에 아스팔트 합재의 큰 덩어리의 부착뿐만 아니라, 미세한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이 적은 방지제일수록 양호하다고 판단하였다.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의 10 배 물 희석액은 희석 직후의 액과, 25 ℃ 에서 1 주간 정치시킨 후의 액으로 각각 시험을 실시하였다. 부착 방지성의 평가는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 : 부착량이 5 g 미만이고, 강재 표면에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
○ : 부착량이 5 g 이상 10 g 미만이고, 강재 표면에 미세한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이 많이 보인다.
△ : 부착량이 10 g 이상 100 g 미만이고, 강재 표면에 미세한 아스팔트 합재의 부착이 많이 보이고, 일부 퇴적되어 덩어리가 생겨 있다.
× : 부착량이 100 g 이상이고, 강재 표면 전체에 아스팔트 합재의 퇴적이 보인다.
(2) 박리 효과 테스트
150 ℃ 로 가열한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 (조밀한 입자 크기의 아스팔트 합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 6 질량%,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침입도 : 60 ∼ 80 : JIS K-2207) 를 20 ㎝ × 15 ㎝ 의 SS400 강재에 0.5 ㎏ 얹어 10 분간 상온에서 방치하여, 아스팔트 합재가 1 ㎏ 부착된 강재를 제작하였다.
또 1000 ㎖ 비커 중에서, 각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100 ㎖ 칭량하고, 900 ㎖ 의 물로 10 배로 희석하여 스터러 칩을 사용해서 25 ℃ 에서 1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아스팔트 합재가 부착된 강재를, 각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를 물로 10 배로 희석한 직후의 액, 및 물로 10 배로 희석한 후 25 ℃ 에서 1 주간 정치시킨 액에 아스팔트 합재가 완전히 침지되도록 강재를 침지시켜, 70 ℃ 에서 30 분간 정치시켰다. 액으로부터 강재를 꺼내고, 강재를 70 도의 각도로 기울여 스트레이트 아스팔트 합재를 떨어뜨렸다. 강재에 부착되어 있는 아스팔트 합재를 계량하였다. 박리성의 평가는 하기의 평가 기준에 따라 실시하였다.
(평가 기준)
◎ : 부착량이 2 g 미만이다.
○ : 부착량이 2 g 이상 5 g 미만이다.
△ : 부착량이 5 g 이상 10 g 미만이다.
× : 부착량이 10 g 이상이다.
(3) 물 희석시의 안정성 테스트
상기 (1) 부착 방지 효과 테스트와 동일하게 조제한 각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의 10 배 희석액을, 100 ㎖ 스크루 관에 50 ㎖ 넣고, -5 ℃ 의 항온조 및 25 ℃ 의 항온조에 각각 1 주간 정치시킨 후, 다음의 3 단계의 기준으로 외관을 평가하였다.
(평가 기준)
◎ : 균일하고 투명하며, 분리는 보이지 않는다.
○ : 조금 백탁되어 있지만, 분리는 보이지 않는다.
× : 분리가 보인다.
Figure pct00004
본 발명에 관련된 실시예 1 ∼ 11 의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는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B), 유동 파라핀 (C) 를 함유하고 있으므로, 아스팔트 합재에 대한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가 높고, 물 희석액이 상온 내지 저온하에서 잘 분리되지 않아 안정적이었다.
한편, (B) 성분 대신에, 폴리옥시에틸렌 (7 몰) 도데실에테르 (B'1 성분) 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1) 는 박리 효과 및 -5 ℃ 에서의 물 희석 안정성이 양호하지 않다.
(A) 성분 대신에, 비점이 150 ℃ 이상이고 25 ℃ 에서 액상이지만, 25 ℃ 에서 물에 불용인 1 가의 알코올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A'1 성분)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2) 는 1 주간 정치 후에 있어서의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 그리고 물 희석액의 양호한 안정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A) 성분 대신에, 25 ℃ 에서 액상인 수용성의 1 가의 알코올이고 비점이 150 ℃ 미만인 화합물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A'2 성분) 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3) 는 양호한 부착 방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A) 성분 대신에, 비점이 150 ℃ 이상이지만, 25 ℃ 에서 액상이 아닌 수용성의 1 가의 알코올로서 폴리옥시에틸렌 (23 몰) 모노메틸에테르 (A'3 성분) 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4) 는 양호한 박리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대두유, 팜유와 폴리옥시에틸렌 (30 몰) 소르비톨테트라옥타데세노에이트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5), d-리모넨과 폴리옥시에틸렌 (7 몰) 도데실에테르를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6), (A) 성분인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d-리모넨, 올레산디에탄올아민염을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7) 는 모두 희석 직후의 부착 방지 효과 및 박리 효과는 양호하지만, 1 주간 정치 후에는 분리가 발생하여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 물 희석 안정성이 양호하지 않다.
다가 알코올인 글리세린 (A'4 성분) 을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8) 는 물 희석 안정성이 양호하지만, 박리 효과의 면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폴리옥시에틸렌 (20 몰) 폴리옥시프로필렌 (23 몰) 글리콜 (A'5 성분) 을 함유하는 부착 방지제 (비교예 9) 는 희석 직후의 부착 방지 효과가 양호하고, 물 희석 안정성이 양호하며 1 주간 정치 후의 부착 방지 효과도 양호하지만, 박리 효과의 면에서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Claims (1)

  1. 비점이 150 ℃ 이상이고, 25 ℃ 에서 액상인 1 가의 수용성 알코올 (A), 식 (1) 로 나타내는 화합물 (B), 및 40 ℃ 의 동점도가 1 ∼ 40 ㎟/s 의 유동 파라핀 (C) 를 함유하고, (A), (B), (C) 의 각 질량비가 (A) 15 ∼ 35 질량%, (B) 53 ∼ 79 질량%, (C) 6 ∼ 12 질량% 인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R1O - (EO)n - H … (1)
    (식 중 R1 은 분기 알킬기를 갖는 탄소수 8 ∼ 12 의 탄화수소기, EO 는 옥시에틸렌기, n 은 옥시에틸렌기의 평균 부가 몰수로 4 ∼ 10 이다.)
KR1020157003621A 2012-08-10 2013-08-02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KR1020836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9011 2012-08-10
JPJP-P-2012-179011 2012-08-10
PCT/JP2013/071034 WO2014024801A1 (ja) 2012-08-10 2013-08-02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3320A true KR20150043320A (ko) 2015-04-22
KR102083699B1 KR102083699B1 (ko) 2020-03-02

Family

ID=50068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621A KR102083699B1 (ko) 2012-08-10 2013-08-02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416249B2 (ko)
EP (1) EP2883927B1 (ko)
JP (1) JP6176250B2 (ko)
KR (1) KR102083699B1 (ko)
CN (1) CN104487536B (ko)
ES (1) ES2609448T3 (ko)
WO (1) WO201402480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59B1 (ko) * 2018-08-13 2019-03-06 도경건설 주식회사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99571A (zh) * 2015-10-27 2015-12-30 长安大学 一种沥青混合料防粘隔离剂及制备方法
CN114987314B (zh) * 2022-06-14 2023-06-30 山东中策专用车股份有限公司 一种防粘沥青混凝土运输自卸车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761A (ja) 1994-10-31 1996-05-21 Sakai Heavy Ind Ltd 付着防止剤
WO2003035809A1 (fr) 2001-10-26 2003-05-01 The Nisshin Oillio, Ltd. Composition huileuse lubrifiante
JP2003176491A (ja) * 2002-07-24 2003-06-24 Kenji Imura 水分散型離型剤組成物
JP2006182859A (ja) 2004-12-27 2006-07-13 Nicca Chemical Co Ltd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2006241409A (ja) 2005-03-07 2006-09-14 Nippon Eco Systems Kk アスファルト用付着防止剤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20706A (en) * 1957-04-17 1959-09-23 Technical Proc Inc Mould releasing agent
JPH0790286A (ja) * 1993-06-03 1995-04-04 Sanshin Kagaku Kogyo Kk アスファルト付着防止剤
WO1999054413A1 (en) * 1998-04-20 1999-10-28 Ashland Inc. Asphalt release agent
US6911494B2 (en) * 2001-09-28 2005-06-28 Nippon Shokubai Co., Lt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composition
TWI259831B (en) * 2003-05-07 2006-08-11 Nippon Catalytic Chem Ind Cement admixture and cement admixture composite
EP1721718A1 (en) * 2005-05-09 2006-11-15 Sika, S.A. Mould release composition for hydraulic binders
JP5034068B2 (ja) * 2006-02-28 2012-09-26 酒井重工業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付着防止剤
JP5469808B2 (ja) * 2007-12-13 2014-04-16 日華化学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5515981B2 (ja) * 2009-08-20 2014-06-11 日油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付着防止剤組成物
JP5874300B2 (ja) * 2011-10-14 2016-03-02 日油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5915270B2 (ja) * 2012-03-06 2016-05-11 日油株式会社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761A (ja) 1994-10-31 1996-05-21 Sakai Heavy Ind Ltd 付着防止剤
WO2003035809A1 (fr) 2001-10-26 2003-05-01 The Nisshin Oillio, Ltd. Composition huileuse lubrifiante
JP2003176491A (ja) * 2002-07-24 2003-06-24 Kenji Imura 水分散型離型剤組成物
JP2006182859A (ja) 2004-12-27 2006-07-13 Nicca Chemical Co Ltd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2006241409A (ja) 2005-03-07 2006-09-14 Nippon Eco Systems Kk アスファルト用付着防止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359B1 (ko) * 2018-08-13 2019-03-06 도경건설 주식회사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09448T3 (es) 2017-04-20
KR102083699B1 (ko) 2020-03-02
JP6176250B2 (ja) 2017-08-09
EP2883927B1 (en) 2016-11-16
EP2883927A4 (en) 2016-04-13
EP2883927A1 (en) 2015-06-17
US20150225535A1 (en) 2015-08-13
WO2014024801A1 (ja) 2014-02-13
CN104487536B (zh) 2016-08-17
CN104487536A (zh) 2015-04-01
US9416249B2 (en) 2016-08-16
JPWO2014024801A1 (ja) 2016-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1314B2 (en) Asphalt release agent
JP5487516B2 (ja) 水溶性金属加工油剤
CN101137741A (zh) 包含磷酸三酯的润滑剂浓缩物
WO2003035809A1 (fr) Composition huileuse lubrifiante
KR20150043320A (ko)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TW201708499A (zh) 清除硫化物和硫醇之組成物和方法
JP4782414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2007231093A (ja) アスファルト付着防止剤
JP5469808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5874300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5915270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6823812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5866963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組成物
JP6167773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6206076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JP6167550B2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CN102247712A (zh) 消泡剂及使用它的制品和方法
MX2007003675A (es) Lubricante para cadenas transportadoras.
PL236210B1 (pl) Środek myjąco-konserwujący chroniący przed korozją
JP2014185199A (ja) アスファルト合材付着防止剤
WO2016131543A1 (de) Schmierstoffe auf wasserbasis für förderbänder
EP3259338A1 (de) Schmierstoffe auf wasserbasis für förderbä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