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359B1 -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 Google Patents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359B1
KR101955359B1 KR1020180094224A KR20180094224A KR101955359B1 KR 101955359 B1 KR101955359 B1 KR 101955359B1 KR 1020180094224 A KR1020180094224 A KR 1020180094224A KR 20180094224 A KR20180094224 A KR 20180094224A KR 101955359 B1 KR101955359 B1 KR 1019553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sphalt
sma
aggregate
free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현국
최종윤
Original Assignee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경이엔지(주)
신현국
최종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경건설 주식회사, 도경이엔지(주), 신현국, 최종윤 filed Critical 도경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3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26Bituminous materials, e.g.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2Cellulos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04B22/064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of the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2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halogen in the an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8Acids or salts thereof
    • C04B22/14Acids or salts thereof containing sulfur in the anion, e.g. sulfides
    • C04B22/142Sulfates
    • C04B22/147Alkali-metal sulfates; Ammonium 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12Nitrogen containing compounds organic derivatives of hydrazine
    • C04B24/128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11Polyalk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00474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 C04B2111/0075U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11/00 for road 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76Use at unusual temperatures, e.g. sub-zero
    • C04B2111/766Low temperatures, but above zer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2~25중량%, 산화칼슘 2~25중량%, 비트리파이드 2~25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2~25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 푸르푸릴알코올 0.01~10중량% 및 비스말레이미드 0.01~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이 개선된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SMA 혼합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제빙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성분의 비율 및 물리적 조건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장기간의 동결억제 효과를 가지며, 주변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인 착빙을 막으며,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는 조성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강도 및 접착력 개선을 통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및 저온 피로 균열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따라서 일반 아스팔트 포장이 가지는 소성변형, 저온균열성에 의한 포장면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SMA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포장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및 도로유지 보수 시 발생하는 정체, 대기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 감소 등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STONE MASTIC ASPHALT MIXTURE}
본 발명은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개질 결합재 조성물을 포함한 SMA 혼합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SMA 혼합물 제조 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융설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결빙방지기능을 가지며, 아스팔트의 피로와 균열에 의한 저항성능 향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SMA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 혼합물은 크게 골재와 아스팔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반 아스팔트 혼합물의 경우 차량의 바퀴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의 압축력과 전달력에 저항하는 힘은 아스팔트 바인더의 접착력과 골재 사이의 표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 그리고 골재간의 맞물림에 의해서 발생되는 것이다.
SMA 포장의 기본 원리는 아스팔트 바인더의 접착력은 골재의 탈리를 방지하는 역할만 부여하고 압축력과 전단력에 저항하는 힘은 전부 골재에 의해서 발생한다는 것이나, 골재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은 골재의 고유한 파쇄 특성이기 때문에 이것을 증가시키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SMA 포장에 사용되는 골재는 맞물림 특성을 최대한 발휘하게 하기 위하여 골재의 파쇄면이 많게 하고 입형이 좋은 골재를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굵은 골재를 다량으로 사용하여 가장 양호한 전단 변형 특성을 확보토록 하여야 한다.
또한, 우리나라 기후의 아열대화에 따른 강수 일수의 증가에 따른 주행 시 시인성의 문제, 수막현상에 따른 제동 거리 증가에 따른 사고의 증가 등 다양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고속도로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대부분 계속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동결융해와 제설염에 의해 발생하는 콘크리트 열화이다. 특히, 적설한랭지에서의 콘크리트 구조물은 동절기에 동결융해에 의한 동해가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고, 강설시 도로는 안전한 교통흐름을 유지하기 위해 염화물계 제설제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계타설 콘크리트인 측구 및 다이크, 중분대, 교량 난간방호벽과 같은 구조물은 염화물과 동결융해 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표면 박리(scaling)와 굵은 골재의 노출, 염화물 이온의 침투에 의한 철근부식 등으로 콘크리트의 조기손상 및 내구성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있고, 유지관리 비용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한편, 겨울철에 눈이 내리면 결빙이 되기 쉽고, 이렇게 결빙이 되는 경우에는 차량 사고와 보행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도로에 쌓인 눈을 신속히 융설하여 도로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최근 기상의 이상 현상에 따라 기록적인 폭설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겨울철 도로의 결빙 방지제에 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48892호 (2000년03월15일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7613호 (2013년03월29일 공고)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동결억제 성능을 유지하고 아스팔트의 피로와 균열에 의한 저항성능 향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혼합물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동결억제 성능을 유지하고 아스팔트의 피로와 균열에 의한 저항성능 향상,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을 가지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개질 결합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2~25중량%, 산화칼슘 2~25중량%, 비트리파이드 2~25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2~25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 푸르푸릴알코올 0.01~10중량% 및 비스말레이미드 0.01~1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고 미관을 개선하기 위한 안료 0.01~10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SMA 혼합물 중량 대비 굵은 골재 40~85중량%, 잔골재 5~35%중량, 채움재 1~15중량%,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3~6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이상) 6~7중량%를 포함하고; 여기서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가 혼합된 골재 전체는 최대 입도가 13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3mm가 40~93중량%, 10mm가 4~55중량%, 5mm가 0.1~30중량%, 2.5mm가 0.1~23중량%, 0.6mm가 0.1~18중량%, 0.3mm가 0.1~15중량%, 0.15mm가 0.1~14중량%, 0.08mm가 0.1~12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MA 혼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제조 시 첨가되는 결빙 방지제가 높은 동결억제 기능을 유지할 수 있어 눈길 미끄럼 사고 및 도로시설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기 성분의 비율 및 물리적 조건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장기간의 동결억제 효과를 가지며, 주변 온도가 떨어지면 반복적인 착빙을 막으며, 환경에 유해하지 않고, 금속에 대한 부식성이 없는 조성물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강도 및 접착력 개선을 통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및 저온 피로 균열성이 현저히 개선되었으며, 따라서 일반 아스팔트 포장이 가지는 소성변형, 저온균열성에 의한 포장면의 파손을 방지하고, 미끄럼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는 SMA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어 경제적인 면에서도 포장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유지보수 비용의 절감 및 도로유지 보수 시 발생하는 정체, 대기로 인한 인적 물적 손실 감소 등 직간접적인 경제적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는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이 충분히 이해되도록 제공되는 것으로서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기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2~25중량%, 산화칼슘 2~25중량%, 비트리파이드 2~25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2~25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 푸르푸릴알코올 0.01~10중량% 및 비스말레이미드 0.01~1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은 흡습성 및 보수성이 우수한 수용성 무기염류로서 습기를 흡수하여 눈 또는 얼음을 녹이는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은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10~9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의 함량이 90중량%를 초과하면 융빙 효과는 우수하나 구조물의 부식을 촉진시키기 쉽고, 그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융빙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조성물의 탈수 및 건조성을 개선하여 융빙 효과를 얻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황산나트륨은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2~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황산나트륨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탈수 및 건조성이 개선되어 융빙 효과는 개선되나 점도가 높아져 성형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탈수 및 건조성이 저하되어 융빙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산화칼슘은 수분을 포집하여 건조성을 개선시켜 융빙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다. 상기 산화칼슘은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2~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칼슘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건조성이 개선되어 융빙 개선효과는 뚜렷하나 가사시간이 단축되고, 그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건조성이 저하되어 융빙 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비트리파이드는 수분을 흡착하는 성능이 우수하고 내수성을 가져 조성물의 장기간에 걸쳐 융빙 효과를 연장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비트리파이드는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2~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트리파이드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효과는 뚜렷하나 취성이 높아지고, 그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장기간의 융빙 효과는 저하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기계적 성질, 반발탄성, 내후성, 내열성, 내오존성, 내한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2~25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고무의 함량이 25중량%를 초과하면 성능은 개선되나 가격경쟁력이 떨어지고, 그 함량이 2중량% 미만이면 성능개선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섬유보강재는 소성변형을 방지 및 인성이 개선되어 내구성, 내유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섬유보강재로는 셀롤로오스 섬유, 폴리프로필렌섬유, 폴리에틸렌섬유, 나일론 섬유 및 매크로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섬유보강재는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섬유보강재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 효과가 뚜렷하나 작업성 및 경제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푸르푸릴알코올은 내마모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내열성, 내수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푸르푸릴알코올은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푸르푸릴알코올의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하면 성능 개선 효과가 뚜렷하나 가격경쟁력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성능 개선 효과가 미흡하게 된다.
상기 비스말레이미드는 접착성, 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내구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상기 비스말레이미드는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0.01~10중량%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스말레이미드의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 반응성이 저하되어 성능 개선 효과가 저하되고, 그 함량이 1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성능은 개선되나, 제조 원가가 높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색상을 구현하고 미관을 개선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대하여 0.01~10 중량%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는 식별이 용이하도록 첨가되며, 보다 선명한 색상으로 식별이 용이하고 색상의 지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적색 산화철, 황색 산화철, 산화크롬 (CrO3), 자색 산화철 및 흑색 산화철(카본 블랙) 중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색, 녹색, 황색, 흑색, 청색, 흰색 등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SMA 혼합물은 SMA 혼합물 중량 대비 굵은 골재 40~85중량%, 잔골재 5~35%중량, 채움재 1~15중량%,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3~6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이상) 6~7중량%를 포함한다. 여기서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가 혼합된 골재 전체는 최대 입도가 13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3mm가 40~93중량%, 10mm가 4~55중량%, 5mm가 0.1~30중량%, 2.5mm가 0.1~23중량%, 0.6mm가 0.1~18중량%, 0.3mm가 0.1~15중량%, 0.15mm가 0.1~14중량%, 0.08mm가 0.1~12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다. 이 때, 골재의 입경은 5mm를 초과하는 골재를 굵은 골재라 하며, 골재의 입경이 5mm이하인 골재를 잔골재라 하고, 입경이 0.08~0.3mm범위를 가지는 것을 채움재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의 실시예들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다음에 제시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굵은 골재 75중량%, 잔골재 10중량%, 채움재 4중량%,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4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7중량%를 혼합하여 실시예 1의 SMA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혼합한 것으로 구성되는 전체 골재는 최대 입도가 10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0mm가 50~90중량%, 5mm가 5~45중량%, 2.5mm가 0.1~30중량%, 0.6mm가 0.1~20중량%, 0.3mm가 0.1~16중량%, 0.15mm가 0.1~15중량%, 0.08mm가 0.1~13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다.
이 때,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82중량%, 황산나트륨 3중량%, 산화칼슘 3중량%, 비트리파이드 3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3중량%, 섬유보강재 3중량%, 푸르푸릴알코올 1중량%, 비스말레이미드 1중량% 및 적색안료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굵은 골재 75.5중량%, 잔골재 10중량%, 채움재 4중량%,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4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6.5중량%를 혼합하여 실시예 2의 SMA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혼합한 것으로 구성되는 전체 골재는 최대 입도가 13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3mm가 40~93중량%, 10mm가 4~55중량%, 5mm가 0.1~30중량%, 2.5mm가 0.1~23중량%, 0.6mm가 0.1~18중량%, 0.3mm가 0.1~15중량%, 0.15mm가 0.1~14%, 0.08mm가 0.1~12%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다.
이 때,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82중량%, 황산나트륨 3중량%, 산화칼슘 3중량%, 비트리파이드 3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3중량%, 섬유보강재 3중량%, 푸르푸릴알코올 1중량%, 비스말레이미드 1중량% 및 적색안료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상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예를 제시한다. 후술하는 비교예는 SMA 개질 결합재를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로 제시되며,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특성과 단순히 비교하기 위하여 제시하는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선행기술이 아님을 밝혀둔다.
<비교예 1>
굵은 골재 75중량%, 잔골재 10중량%, 채움재 8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이상) 7중량%를 혼합하여 비교예 1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혼합한 것으로 구성되는 전체 골재는 최대 입도가 10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0mm가 50~90중량%, 5mm가 5~45중량%, 2.5mm가 0.1~30중량%, 0.6mm가 0.1~20중량%, 0.3mm가 0.1~16중량%, 0.15mm가 0.1~15중량%, 0.08mm가 0.1~13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다.
<비교예 2>
굵은 골재 75.5중량%, 잔골재 10중량%, 채움재 8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 6.5중량%를 혼합하여 비교예 2의 아스팔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여기서, 상기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 혼합한 것으로 구성되는 전체 골재는 최대 입도가 13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3mm가 40~93중량%, 10mm가 4~55중량%, 5mm가 0.1~30중량%, 2.5mm가 0.1~23중량%, 0.6mm가 0.1~18중량%, 0.3mm가 0.1~15중량%, 0.15mm가 0.1~14중량%, 0.08mm가 0.1~12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갖는다.
아래의 시험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의 특성을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특성을 비교한 실험결과들을 나타낸 것이다.
<시험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혼합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교면포장용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기준에 의하여 아스팔트 함량, 공극률, 골재간극률, 포화도, 드레인다운 시험, 동적안정도 및 인장강도비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1과 표 2에 나타내었다.
항 목 단 위 품질기준 시험결과
실시예 1 비교예 1
아스팔트 함량 % 6.8 이상 7.0 7.0
공극율 % 2.0~3.0 2.6 2.5
골재 간극률 % 18 이상 18.4 18.3
포화도 % 75 이상 85.9 85.8
드레인다운 시험값 % 0.3 이하 0.09 0.1
동적 안정도 회/㎜ 2,000 이상 4175 3800
인장강도비 TSR 0.85 이상 0.88 0.87
배합설계 다짐방법 양면 75 75 75
항 목 단 위 품질기준 시험결과
실시예 2 비교예 2
아스팔트 함량 % 6.2 이상 6.5 6.5
공극율 % 2.0~3.0 2.8 2.7
골재 간극률 % 17 이상 18.6 18.5
포화도 % 75 이상 82.9 82.8
드레인다운 시험값 % 0.3 이하 0.06 0.1
동적 안정도 회/㎜ 2,000 이상 5,046 4,750
인장강도비 TSR 0.85 이상 0.90 0.88
배합설계 다짐방법 양면 75 75 75
위의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혼합물은 품질기준을 만족하고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에 의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물성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혼합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융빙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30cm×30cm×5cm의 몰드에 투입하고 두께 1cm로 테이빙한 후 물을 부어 동결융해기에서 온도를 저하시켜 결빙시킨 후 지그를 부착하여 온도에 따른 인장접착강도 시험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인장접착강도(kgf/cm2)
0℃ -5℃ -10℃ -15℃ -20℃
실시예 1 0 0.3 0.9 1.9 3.2
실시예 2 0 0 0.3 1.3 2.0
비교예 1 1.2 2.7 3.5 4.9 6.5
비교예 2 1.0 2.5 3.1 4.5 5.8
위의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이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인장접착강도가 월등히 낮게 나타나 융빙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3>
실시예 1 및 2에 따라 제조된 혼합물과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의 융빙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아스팔트와 골재를 중량비 5:95의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된 아스콘을 30cm×30cm×5cm의 몰드에 투입하여 일반 표층 포설용 아스팔트 슬래브 몰드를 제조한 다음, 상기 몰드 위에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1cm의 두께로 도포한 다음 몰드 주변을 은박테이프로 감고 온도계를 설치하였다. 이렇게 제조한 공시체 위에 증류수 300ml를 넣고 동결융해기에서 -4℃로 고정시킨 후 결빙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증류수가 완전히 결빙되는데 까지 걸리는 시간을 3회 반복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완전 결빙 후에는 동결융해기를 다시 영상 4℃로 조정하여 융빙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얼음이 완전히 녹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3회 반복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결빙 시간 (분) 융빙 시간 (분)
실시예 1 425 245
실시예 2 435 205
비교예 1 245 380
비교예 2 285 360
위의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이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비하여 결빙 시간은 더 오래 걸렸으며, 융빙 시간은 더 빠른 결과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STONE MASTIC ASPHALT) 혼합물로서,
    SMA 혼합물 중량 대비 굵은 골재 40~85중량%, 잔골재 5~35%중량, 채움재 1~15중량%,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3~6중량% 및 아스팔트 바인더(PG76-22이상) 6~7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은, SMA 개질 결합재 조성물 중량 대비, 염화칼슘 또는 염화나트륨 10~90중량%, 황산나트륨 2~25중량%, 산화칼슘 2~25중량%, 비트리파이드 2~25중량%, 에틸렌프로필렌고무 2~25중량%, 섬유보강재 0.01∼10중량%, 푸르푸릴알코올 0.01~10중량%, 비스말레이미드 0.01~10중량% 및 안료 0.01~1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굵은 골재, 잔골재 및 채움재가 혼합된 골재 전체는 최대 입도가 13mm이고, 체 통과 중량 백분율 기준으로 13mm가 40~93중량%, 10mm가 4~55중량%, 5mm가 0.1~30중량%, 2.5mm가 0.1~23중량%, 0.6mm가 0.1~18중량%, 0.3mm가 0.1~15중량%, 0.15mm가 0.1~14중량%, 0.08mm가 0.7~12중량%의 합성 입도 구성비를 가지고,
    교면포장용 SMA 혼합물의 배합설계기준에 의한 시험 결과, 아스팔트 함량(%)은 6.5 ~ 6.8, 공극률(%)은 2.6 ~ 2.8, 골재간극률(%)은 18.4 ~ 18.6, 포화도(%)는 82.9 ~ 85.9, 드레인다운 시험값(%)은 0.06 ~ 0.09, 동적안정도(회/mm)는 4,175 ~ 5,046 및 인장강도비(TSR)는0.88 ~ 0.90이며; 인장접착강도(kgf/cm2)는 0℃에서 0, -5℃에서 0 ~ 0.3, -10℃에서 0.3 ~ 0.9, -15℃에서 1.3 ~ 1.9, -20℃에서 2.0 ~ 3.2; 일반 표층 포설용 아스팔트 슬래브 몰드를 제조한 후 동결융해기에서 -4℃의 결빙실험 결과 결빙시간(분)은 425 ~ 435이고, 영상 4℃의 융빙실험 결과 융빙시간(분)은 205 ~ 24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KR1020180094224A 2018-08-13 2018-08-13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KR101955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24A KR101955359B1 (ko) 2018-08-13 2018-08-13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224A KR101955359B1 (ko) 2018-08-13 2018-08-13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359B1 true KR101955359B1 (ko) 2019-03-06

Family

ID=65760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224A KR101955359B1 (ko) 2018-08-13 2018-08-13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3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8057A (zh) * 2020-06-08 2020-08-18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厂拌热再生沥青混合料的配合比设计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74A (ja) * 1997-06-20 1999-01-19 Asahi Chem Ind Co Ltd 貯蔵安定性に優れた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0248892B1 (ko) 1997-07-23 2000-03-15 정숭렬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포장공법
KR20120086630A (ko) * 2011-01-26 2012-08-03 에스케이 (북경) 공로과기유한공사 매스틱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47613B1 (ko) 2010-06-10 2013-03-29 한국도로공사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KR20150043320A (ko) * 2012-08-10 2015-04-22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KR20160116360A (ko) * 2015-03-27 2016-10-10 흥진산업(주) 보수용 상온 아스콘 조성물
KR101784481B1 (ko) * 2016-06-15 2017-10-12 (주)일우피피씨 중온 개질-재생아스팔트콘크리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3618B1 (ko) * 2017-04-27 2017-11-21 (주)일우피피씨 중온 개질 아스팔트 및 중온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832923B1 (ko) * 2018-01-18 2018-02-27 하상우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침투성 칼라 고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KR101838896B1 (ko) * 2017-11-10 2018-03-15 도경이엔지(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74A (ja) * 1997-06-20 1999-01-19 Asahi Chem Ind Co Ltd 貯蔵安定性に優れたアスファルト組成物
KR100248892B1 (ko) 1997-07-23 2000-03-15 정숭렬 쇄석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및 그포장공법
KR101247613B1 (ko) 2010-06-10 2013-03-29 한국도로공사 드레인다운 방지 건식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개질 아스팔트
KR20120086630A (ko) * 2011-01-26 2012-08-03 에스케이 (북경) 공로과기유한공사 매스틱 아스팔트 바인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43320A (ko) * 2012-08-10 2015-04-22 니치유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팔트 합재 부착 방지제
KR20160116360A (ko) * 2015-03-27 2016-10-10 흥진산업(주) 보수용 상온 아스콘 조성물
KR101784481B1 (ko) * 2016-06-15 2017-10-12 (주)일우피피씨 중온 개질-재생아스팔트콘크리트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93618B1 (ko) * 2017-04-27 2017-11-21 (주)일우피피씨 중온 개질 아스팔트 및 중온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838896B1 (ko) * 2017-11-10 2018-03-15 도경이엔지(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2923B1 (ko) * 2018-01-18 2018-02-27 하상우 내구성 및 기능성이 개선된 친환경 침투성 칼라 고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도로 구조물 표면 보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8057A (zh) * 2020-06-08 2020-08-18 四川省公路规划勘察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厂拌热再生沥青混合料的配合比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8896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용 결빙 방지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687104B2 (en) Method of applying asphalt waterproofing membrane material for buildings and bridge decks
KR102146982B1 (ko) Sis, seb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결빙방지용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85520B1 (ko) 기능성이 우수한 도로 포장용 미끄럼 방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도로 포장 방법
JP5189535B2 (ja) 路面舗装組成物及び路面舗装方法
KR101953816B1 (ko) 결빙 방지 기능 및 내구성이 개선된 저소음 배수성 개질 아스팔트 결합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의 제조방법
KR102437586B1 (ko)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 및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KR101600030B1 (ko) 내염성 아스팔트 개질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내염성 개질 아스팔트 혼합물과 내염성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73898B (zh) 一种应用于混凝土路面的可控缓释速率的抗冻材料及其制备方法
KR101955359B1 (ko)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 혼합물
KR100715623B1 (ko)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혼합물과 그 제조방법
Tjaronge et al. Influence of water immers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porous asphalt containing liquid asbuton as bituminous asphalt binder
KR102207012B1 (ko) 에폭시 수지를 포함하는 불투수성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US5441760A (en) Impregnable in situ deicing material
KR102155570B1 (ko) 도로 포장용 아스팔트계 결빙방지 표면처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도로 포장 결빙방지 표면 처리 방법
US7524136B2 (en) Method and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insulating properties of a trafficked surface
NL8800687A (nl) Werkwijze voor het bereiden van een mengsel dat bestemd is om een weg te verharden.
DE4122963A1 (de) Antifrostzusatz fuer strassendecken auf basis von mineralien bzw. asphalt
JPH0313603A (ja) アスファルト舗装組成物
Adam et al. Effect of hydrated lime on behavior of expansive soil as subgrade of flexible pavement structural system
KR101136118B1 (ko) 보투수성 폴리머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이를 이용한 경계석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211340403U (zh) 一种主动抗冰雪的桥面沥青铺装结构
CN107879675B (zh) 一种防冻沥青混泥土组合物及其制作方法
JPH07150050A (ja) アスファルト舗装組成物
KR20040111201A (ko) 포장용 콘크리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