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2119A -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2119A
KR20150042119A KR1020137031139A KR20137031139A KR20150042119A KR 20150042119 A KR20150042119 A KR 20150042119A KR 1020137031139 A KR1020137031139 A KR 1020137031139A KR 20137031139 A KR20137031139 A KR 20137031139A KR 20150042119 A KR20150042119 A KR 20150042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film
film
optical
tension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8925B1 (ko
Inventor
사토시 히라타
세이지 곤도
가즈야 하다
사토루 고시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74Production of other optical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B29D11/00009- B29D11/0073
    • B29D11/00788Producing optical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83Detens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4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using layers with different mechanical or chemical conditions or properties, e.g. layers with different thermal shrinkage, layers under tension during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continuous webs only
    • B32B37/20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8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 B32B38/1825Handling of layers or the laminate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constructional features of devices for tensioning, stretching or registr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32B37/025Transfer lamin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1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 B32B37/2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ll layers existing as coherent layers before laminating involving the assembly of both discrete and continuous layers
    • B32B37/223One or more of the layers being plasti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광학 셀에 대하여 광학 필름을 부착할 때, 접함 어긋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한다.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은,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필름(13)이 적층된 캐리어 필름(12)을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된 캐리어 필름(12)을 접힘부(40a)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광학 필름(13)을 박리하는 공정과, 광학 필름(13)이 박리된 캐리어 필름(12)을 권취하는 공정과, 광학 셀 P를 반송하고,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된 광학 필름(13)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셀 P에 접합하는 공정과, 접합하는 공정 전에 접힘부(40a)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의 제1 장력과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의 제2 장력의 차를 한쪽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이는 공정을 갖는다.

Description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METHOD FOR CONTINUOUSLY PRODUCING OPTICAL DISPLAY PANEL AND SYSTEM FOR CONTINUOUSLY PRODUCING OPTICAL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광학 필름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셀에 접합함으로써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편광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셀에 접합하는 방법으로서는, 이하의 방법이 알려져 있다. 캐리어 필름 상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필름을 형성한 상태에서, 박리부의 선단에서 캐리어 필름을 내측으로 하여 접는다. 이에 의해, 당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한다. 그리고, 박리된 광학 필름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셀에 접합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31506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광학 필름을 광학 셀에 접합할 때, 크게 접합 어긋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모식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광학 필름(13)은, 점착제와 광학 필름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캐리어 필름(12) 상에 적층되어 있다. 권취부(60)가, D2 방향으로 캐리어 필름(12)을 권취함으로써, 박리부(40)의 면을 따라서, 캐리어 필름(12) 상에 형성된 광학 필름(13)이 D1 방향으로 이동한다. 박리부(40)는, 선단부(40a)가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당해 지점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점착제와 함께 광학 필름(13)이 박리된다. 그리고, 이 광학 필름(13)은, D3 방향으로 이동해 온 광학 셀 P에 접합된다.
권취부(6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회전수가 제어되는 구성이다. 회전수의 제어에 의해, 일정 시간 내에 캐리어 필름(12)을 D2 방향으로 권취하는 길이가 조정된다.
또한, 광학 셀 P의 D3 방향으로의 이송 속도도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권취부(60)의 회전수와 광학 셀 P의 이송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캐리어 필름(12)의 권취 길이와 광학 셀 P의 이송 거리를 동일하게 한다. 이에 의해, 차례차례로 보내어져 오는 광학 셀 P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목표 위치에 광학 필름(13)을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서는, 영역 A2 내의 캐리어 필름(12)에는 D2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을 「T2」라 표기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은 롤러 등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영역 A1 내의 캐리어 필름(12)에 대해서는 D1' 방향으로 장력이 발생하고 있다. 이 장력을 T1이라 표기한다. 여기서, 장력 T1 및 T2의 크기에 괴리가 있는 경우, 영역 A1과 영역 A2에서 캐리어 필름(12)의 신장 길이(이하, 적절히 「왜곡」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차가 발생한다. 이때, 권취부(60)의 회전수의 제어에 의해 조정되고 있던 캐리어 필름(12)의 권취 길이는, 광학 셀 P의 이송 거리와 동일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이 결과, 광학 셀 P에 대하여 접합되는 편광 필름(13)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영역 A1과 A2에서 캐리어 필름(12)의 신장 길이(왜곡)에 차가 발생하는 것은, 박리부(40)의 선단부(40a)에 있어서의 마찰력에 원인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점에 대하여, 도 8c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c는 박리부(40)의 선단부(40a) 근방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캐리어 필름(12)에 관하여, 선단부(40a)보다 상류측 A1에 있어서의 왜곡을 εi, 하류측 A2에 있어서의 왜곡을 εo라 한다. εi≠εo의 경우, 선단부(40a) 부근에서 마찰력은 국소적으로 커지고, 이 마찰력에 의해, 캐리어 필름(12)이 원활하게 반송되기 어려워진다. 이때, 하류측 A2의 캐리어 필름의 권취 속도가 Vo로 되도록 권취부(60)의 회전수를 제어해도, 정점(40p) 근방의 속도는 Vo와는 상이한 Vi로 된다.
캐리어 필름(12)에 적층된 광학 필름(13)의 속도는, 선단부(40a)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속도로 간주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권취부(6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광학 필름(13)을 속도 Vo로 송출하려던 것이, 실제로는, 그것과는 상이한 속도 Vi로 광학 필름(13)이 송출된다. 한편, 광학 셀 P는, 광학 필름(13)이 속도 Vo로 송출되고 있다는 상정 하에, 동일한 속도 Vo로 이송된다. 이 결과, 광학 필름(13)의 선단의 속도와 광학 셀 P의 이송 속도에 차가 발생하여, 접합 어긋남이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광학 셀에 대하여 광학 필름을 접합할 때, 접합 어긋남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의 항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예의 연구에 의해, 박리부의 선단(접힘부)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와, 광학 필름이 박리된 후의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가 동일하게 되지 않는 것에 기인하여 광학 셀에 대한 광학 필름의 접합 시에 접합 어긋남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박리부의 선단의 캐리어 필름의 제1 장력과, 광학 필름이 박리된 후의 캐리어 필름의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2개의 속도차를 작게 할 수 있어, 접합 어긋남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었다.
즉, 본 발명의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은,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당해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캐리어 필름을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접힘부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과,
광학 셀을 반송하고,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를 개재하여 당해 광학 셀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접합하는 공정 전에,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장력과,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장력의 차를, 한쪽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이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공정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 또는 그 양자에 대한, 반송 방향의 반전 제어, 반송 속도의 증감 제어, 또는 그 양자가 행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하의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 상기 캐리어 필름을 백피드하여, 상기 제2 장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는,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여 상기 제1 장력을 감소시킨다. 이에 의해,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장력과 제2 장력의 차로서는, 250N/m 이하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은,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당해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캐리어 필름을 반송하는 캐리어 필름 반송부와,
상기 캐리어 필름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접힘부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부와,
광학 셀을 반송하는 광학 셀 반송부와,
상기 박리부에서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광학 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광학 셀에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송 방향, 반송 속도 또는 그 양자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장력과,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제어를 행하는 구동 제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시스템은, 상기 구성 외에, 상기 접힘부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권취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제1 롤러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에 차가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 처리 전에, 상기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장력과 제2 장력의 차를 줄일 수 있다.
제1 롤러부는, 박리부와 권취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부가, 이것 대신에 또는 이것과 함께, 권취부에 구비된 권취 롤러를 실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본 시스템은, 상기 접힘부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적층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박리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제2 롤러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에 차가 있는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 처리 전에, 상기 제2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제1 장력과 제2 장력의 차를 줄일 수 있다.
상기 제2 롤러부는, 박리부의 상류, 즉 캐리어 필름 반송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제1 롤러부와 제2 롤러부의 양쪽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제어부는, 상술한 각 제어를 적절히 조합하여 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박리부의 선단에 있어서의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와, 광학 필름이 박리된 후의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의 속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이 속도차에 기인하여 발생하던 광학 셀에의 광학 필름의 접합 어긋남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a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b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c는 캐리어 필름의 두출 개시부터 두출 종료까지의, 하류측 캐리어 필름의 왜곡 εo와 상류측의 캐리어 필름의 왜곡 εi의 차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3은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2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a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4b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3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다른 모식도이다.
도 5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4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6은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제5 실시 형태의 일부분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은 접합 어긋남의 계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a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b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8c는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 적절히 「본 방법」, 「본 시스템」이라 약기한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시스템의 제1 실시 형태의 모식도이다. 본 시스템(100)은,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 박리부(40), 제1 광학 셀 반송부(102), 접합부(103), 제2 광학 셀 반송부(104) 및 구동 제어부(110) 등을 구비한다.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캐리어 필름(12)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13)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광학 필름(11)을 반송한다. 제1 광학 셀 반송부(102)는, 광학 셀 P를 반송한다. 박리부(40)는, 적층 광학 필름(11)으로부터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13)을 박리한다. 접합부(103)는, 제1 광학 셀 반송부(102)로부터 반송되어 온 광학 셀 P의 한쪽 면 상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필름(13)을 접합한다. 제2 광학 셀 반송부(104)는, 한쪽 표면에 광학 필름(13)이 접합된 광학 셀 P를 더 하류로 반송한다.
도 1에서는 제2 광학 셀 반송부(104)보다 하류측 장치 형태에 대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본 시스템(100)에서는, 광학 셀 P의 양면에 광학 필름(13)을 접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본 시스템(100)은, 또 다른 캐리어 필름 반송부, 접합부, 박리부 및 광학 표시 패널 반송부를 제2 광학 셀 반송부(104)의 하류측에 구비한다. 여기서, 이하에 있어서, 본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요소가, 제2 광학 셀 반송부(104)의 상류측인지 하류측인지를 구별하기 위해서, 전자에는 「제1」, 후자에는 「제2」라는 접두 표현을 붙이는 경우가 있다. 이 표현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하면, 제1 접합부(103)에서 한쪽 면에 광학 필름(13)이 접합된 광학 셀 P는, 제2 광학 셀 반송부(104)의 하류측에서 반전(표리 반전, 필요에 따라서 90° 회전)된 후, 광학 필름(13)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른 쪽 면에 대하여, 제2 접합부에서 다른 광학 필름이 접합된다. 이에 의해, 광학 셀 P의 양면에 광학 필름이 접합되어, 광학 표시 패널이 생성된다.
또한, 광학 셀 P에 대하여 광학 필름을 접합할 때의 방법은, 다양한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는, 수평면에 평행하게 광학 셀 P를 배치하고, 제1 접합부(103)가, 광학 셀 P의 상면에 대하여 그 상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접합한다. 그리고, 광학 셀 P의 표리를 반전하여 다시 광학 필름이 접합되어 있지 않은 면을 상방으로 향하게 하여, 제2 접합부에서 그 상방으로부터 다른 광학 필름을 접합한다.
물론, 광학 셀 P의 하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접합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제1 접합부(103), 제2 접합부의 양쪽에 있어서, 하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접합해도 상관없고, 양자의 접합 방향을 상이하게 해도 상관없다. 후자의 경우, 제1 접합부(103)에 있어서 광학 셀 P의 상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접합한 후, 광학 셀 P를 표리 반전시키지 않고 제2 접합부에서 광학 셀 P의 하방으로부터 광학 필름을 접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당연히 제1 접합부(103) 및 제2 접합부의 접합 방향을 역전시켜도 상관없다.
특히, 광학 셀 P를 액정 셀, 광학 필름을 편광 필름으로 하는 경우, 액정 셀 P의 양면에 접합되는 편광 필름의 편광 방향을 서로 직교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제1 접합부(103)에 있어서, 제1 접합 방향에서, (제1) 광학 필름을 광학 셀 P의 제1 면에 접합하고, 제2 접합부에 있어서, 제1 접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제2 접합 방향에서, (제2) 광학 필름을 광학 셀의 제2 면에 접합한다.
이하, 본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각 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필름 및 롤]
전술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캐리어 필름(12) 상에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13)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적층 광학 필름(11)을 반송한다. 도 1에 확대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 광학 필름(11)은, 캐리어 필름(12) 상에 광학 필름(13)이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광학 필름(13)은, 광학 필름 본체(13a)와 점착제층(13b)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도 1에서는,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가, 롤(1)로부터 풀린 적층 광학 필름(11)을 반송하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롤(1)은, 적층 광학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감긴 것이지만,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형태가 가능하다.
롤(1)은, 캐리어 필름(12) 및 당해 캐리어 필름(12) 상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형성된 띠 형상(긴 형상)의 광학 필름(13)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감긴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시스템(100)은 절단부(20)를 구비하고, 이 절단부(20)는, 띠 형상의 광학 필름으로부터, 캐리어 필름(12)을 남기면서 당해 띠 형상의 광학 필름 및 점착제를 소정 간격으로 절단한다. 즉, 절단부(20)에 의해, 적층 광학 필름(11)은 하프컷된다. 또한, 이 절단부(20)에 있어서, 예를 들어 연속 제조 시스템 내의 결점 검사 장치의 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양품의 광학 필름과 불량품의 그것을 구별하도록 절단이 행해져도 된다.
다른 형태로서, 롤(1)은, 캐리어 필름(12) 및 당해 캐리어 필름(12) 상에 점착제를 개재하여 형성된 광학 필름(13)을 갖는 적층 광학 필름(11)이 롤 형상으로 감긴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적층 광학 필름(11)에는, 캐리어 필름(12)의 상층 부분에 있어서, 광학 셀 P에 대한 접합 대상으로 되는 광학 필름(시트편 형상) 단위로,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본 시스템(100)은 반드시 절단부(20)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광학 필름(13)의 예로서, 편광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예를 들어 편광자(두께는 1.5 내지 80㎛ 정도)와, 편광자의 편면 또는 양면에 편광자 보호 필름(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500㎛ 정도)이 접착제를 갖고 또는 접착제없이 형성된다.
광학 필름(13)의 다른 예로서는, λ/4판 또는 λ/2판 등의 위상차 필름(두께는 일반적으로 0 내지 200㎛), 시각 보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 표면 보호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광학 필름(13)을,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이들 필름을 2 이상 적층한 적층 필름으로서 구성해도 상관없다.
적층 광학 필름(11)은, 그 두께의 일례를 10㎛ 내지 500㎛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광학 필름 본체(13a)와 캐리어 필름(12) 사이에 개재하는 점착제층(13b)은, 예를 들어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또는 우레탄계 점착제 등의 다양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점착제층(13b)은, 그 두께를 10 내지 50㎛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점착제층(13b)과 캐리어 필름(12) 사이의 박리력은, 일례로서 0.15(N/50㎜ 폭 샘플)로 설정될 수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박리력은 JIS Z0237 규격에 준하여 측정된다.
캐리어 필름(12)은, 일례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필름, 폴리올레핀계 필름 등을 비롯한 공지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실리콘계, 장쇄 알킬계, 불소계, 또는 황화몰리브덴 등으로 형성된 박리제로 종래의 필름에 적절히 코트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 반송부]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캐리어 필름(12)을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절단부(20)를 갖는다. 절단부(20)는, 롤(1)로부터 풀린 적층 광학 필름(11)을, 캐리어 필름(12)을 남기면서 소정 간격으로 절단한다. 이에 의해, 광학 셀 P의 크기에 대응한 광학 필름(13)이 캐리어 필름(12) 상에 형성된다. 이 광학 필름(13)은 박리부(40)에서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어 접합부(103)에 공급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절단부(20), 댄서롤(30) 및 권취부(60)를 갖는다.
절단부(20)는, 흡착부(21)에서 캐리어 필름(12)측으로부터 적층 광학 필름(11)을 고정하면서, 띠 형상의 광학 필름(13)을 광학 셀 P에 대응하는 크기로 절단하여, 캐리어 필름(12) 상에 시트편 형상의 광학 필름(13)을 형성한다. 절단부(20)로서는, 예를 들어 커터, 레이저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댄서롤(30)은, 반송 과정, 접합 과정 등의 각 과정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12)의 장력을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댄서롤(30)에 의해, 접합 초기부터 광학 필름(13)에 대하여, 보다 확실하게 장력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는, 댄서롤(30)을 통하여 캐리어 필름(12)을 하류의 접합부(103)에 반송한다.
권취부(60)는, 박리부(40)에서 광학 필름(13)이 박리된 캐리어 필름(12)을 권취하기 위한 권취 롤러(60a)를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권취부(60)는, 후술하는 구동 제어부(110)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 제어부(110)가, 예를 들어 권취부(60)의 권취 롤러(60a)의 회전을 구동하는 모터를 구동 제어한다. 구동 제어부(110)에 의해, 상기 모터의 회전 방향, 회전수, 회전 개시, 회전 정지의 각 제어가 행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취 롤러(60a)는, 「제1 롤러부」에 대응한다.
[박리부]
박리부(40)는, 접합부(103)보다 상류에 설치되어 있고, 선단부(40a)에서 캐리어 필름(12)을 내측으로 하여 접음으로써,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광학 필름(13)을 박리한다. 선단부(40a)는 접힘부에 상당하고, 이하에서는, 적절히 「접힘부(40a)」라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박리부(40)가, 그 선단에 첨예 나이프 엣지부를 갖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광학 셀 반송부]
제1 광학 셀 반송부(102)는, 접합부(103)에 광학 셀 P를 공급하고 반송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광학 셀 반송부(102)는, 반송 롤러(80) 및 흡착 플레이트 등을 갖고, 반송 롤러(80)의 회전 또는 흡착 플레이트의 이송에 의해, 광학 셀 P를 제조 라인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광학 셀 P는, 제1 광학 셀 반송부(102)에 의해 접합부(103)의 접합 위치에 반송되면, 광학 필름(13)의 접합 처리가 행해진다.
[접합부]
접합부(103)는,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된 광학 필름(13)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광학 셀 P에 접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한다. 접합부(103)는, 접합 롤러(50a), 구동 롤러(받침 롤러)(50b)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박리부(40)의 접힘부(40a)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되면서 광학 필름(13)이 두출된다. 그 후, 광학 필름(13)과 광학 셀 P가, 일정 위치에 얼라인먼트된 후, 양쪽 롤러(50a, 50b)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광학 셀 P에 광학 필름(13)이 접합된다.
구동 롤러(50b)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 롤러(50b)의 구동에 따라서, 접합 롤러(50a)가 종동하는 기구이지만, 이것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과 종동이 반대인 기구이어도 되고, 양쪽이 구동 기구이어도 된다.
[제2 광학 셀 반송부 및 그 하류측]
제2 광학 셀 반송부(104)는, 제1 접합부(103)에 의해 한쪽 면에 광학 필름(13)이 접합된 광학 셀 P를 하류측으로 반송한다. 이 하류측에 있어서, 당해 광학 셀 P를 표리 반전시키는 반전 기구 및 필요에 따라서 90° 수평 회전시키는 회전 기구가 구비되어 있다. 반전 기구나 회전 기구를 통하여 광학 셀 P의 방향이 조정된 후, 제2 접합부에서, 다른 광학 필름이 접합된다.
또한, 제2 광학 셀 반송부(104)의 하류측에 있어서, 광학 셀 P의 다른 쪽 면에 광학 필름을 접합하기 위한 각종 수단은, 상기에서 설명한 각종 수단이나 장치와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 캐리어 필름 반송부는, 제1 캐리어 필름 반송부와 마찬가지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고, 제2 접합부는, 제1 접합부와 마찬가지의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광학 표시 패널 반송부(도시 생략)는, 반송 롤이나 흡착 플레이트 등으로 구성되고, 제2 접합부에 의해 제작된 광학 표시 패널을 그 하류로 반송한다. 또한, 반송 하류측에, 광학 표시 패널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장치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검사 장치의 검사 목적, 검사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 제어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제어부(110)가 권취부(60)의 권취 롤러(60a)의 회전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구동 제어부(110)는, 캐리어 필름(12)의 반송 속도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박리부(40)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광학 필름(13)의 두출을 한 상태에서, 일시적으로 구동 제어부(110)가 권취 롤러(60a)를 역회전으로 구동하여, 접힘부(40a)의 하류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을 백피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것은, 박리부(40)에 있어서, 적층 광학 필름(11)이 두출되는 지점, 즉 박리부(40)의 접힘부(40a)보다 하류측[권취부(60)측]의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2가, 상기 지점(40a)보다 상류측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1보다 큰 경우에, 양자의 장력차를 작게 할 목적이다. 이와 같은 제어가 이루어짐으로써, 접힘부(40a)보다 하류측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2가 감소하여, 장력 T1과의 차가 작아진다.
구동 제어부(11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행해지는 캐리어 필름(12)의 백피드는, 각 광학 셀 P에의 접합 처리 전 단계에서, 순서대로 행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광학 필름(13)을 두출한 상태에서, 미소 시간의 상기 백피드 동작을 행한 후, 박리된 광학 필름(13)을 광학 셀 P에 접합한다는 일련의 동작이 반복된다. 또한, 이 백피드 동작을 행하는 타이밍은 일례이며, 다른 타이밍에서 실행되어도 상관없다.
박리부(40)의 접힘부(40a)의 하류측과 상류측에서 캐리어 필름의 장력차를 작게 함으로써, 권취부(60)에 있어서의 권취 속도가, 광학 필름(13)을 박리하기 직전의 캐리어 필름(12)의 이송 속도와 거의 동일해진다. 따라서, 권취부(60)에 있어서의 권취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광학 셀 P에 대하여, 접합부(103)에 있어서 정확한 위치에 광학 필름(13)을 접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론적인 설명]
접힘부(40a)의 하류와 상류에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장력차를 없앰으로써, 광학 필름(13)의 박리 직전 위치와 박리한 후의 위치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속도차를 없앨 수 있는 이유에 대하여, 도 8c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캐리어 필름(12)에 관하여, 접힘부(40a)보다 상류측 A1에 있어서의 왜곡을 εi, 하류측 A2에 있어서의 왜곡을 εo라 한다. 또한, 접힘부(40a)의 정점(40p)을 통과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권취 속도를 Vi, 접힘부(40a)를 통과한 후, 즉 접힘부(40a)보다 하류측 A2의 권취 속도를 Vo라 한다.
권취 동작에 의해 캐리어 필름(12)이 신장됨으로써, 변형이 발생한다. 변형 후의 캐리어 필름(12)의 선밀도 ρ는, 변형 전의 선밀도 ρa, 왜곡 ε을 사용하여, 이하의 수학식 1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수학식 1에 있어서, 왜곡 ε은, 원래의 캐리어 필름(12)의 길이를 l, 부하를 부여하였을 때의 왜곡을 △l로 한 경우에, ε=△l/l에 의해 산정되는 값이다.
Figure pct00001
접힘부(40a)보다 하류측 A2의 캐리어 필름(12)의 미소 시간 △t에 있어서의 질량 변화 △m은, 이하의 수학식 2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수학식 2에 있어서, ρi는 접힘부(40a)의 정점(40p)을 통과하기 직전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선밀도이고, ρo는 접힘부(40a)를 통과한 후, 즉 접힘부(40a)보다 하류측 A2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의 선밀도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pct00002
접힘부(40a)보다 하류측 A2의 캐리어 필름(12)의 길이를 lo라 하면, 하류측 A2의 질량 변화 △m은, 선밀도의 변화로부터 이하의 수학식 3에 의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3
수학식 2 및 수학식 3으로부터, 이하의 수학식 4가 유도된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수학식 1을 변형하면, 이하의 수학식 5가 유도된다.
Figure pct00005
수학식 5를 사용하여 수학식 4를 변형하면, 이하의 수학식 6을 얻는다.
Figure pct00006
수학식 6에 의하면, εi와 εo의 차 및 dεo/dt(즉 εo의 왜곡 속도)가 작을수록, 속도 Vi와 속도 Vo의 차를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상류측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1(εi에 의존)과, 하류측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2(εo에 의존)의 장력차를 없앰으로써, 광학 필름(13)을 박리하기 직전(상류측 A1)의 캐리어 필름(12)의 속도 Vi와, 광학 필름(13)을 박리한 후의 박리부(40)의 하류 위치(하류측 A2)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속도 Vo의 차를 없앨 수 있다. 이에 의해, 접합 시의 어긋남이 방지된다.
도 2a 및 도 2b는, 도 8c와 마찬가지로, 박리부(40)의 선단부 즉 접힘부(40a) 근방을 확대한 모식도이다.
o/dt(εo의 왜곡 속도)의 접합에의 영향에 대하여 설명한다. dεo/dt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장력의 변동을 억제하면 되고, 이를 위해서는 박리부(40)의 선단부 즉 접힘부(40a)에 있어서의 마찰력 F를 작게 하면 된다. 마찰력 F는 F=εoi이므로, 이것으로부터도, T1과 T2의 장력차를 없애는 것이, dεo/dt를 작게 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Vi와 Vo의 속도차를 없애는 것으로 이어진다.
또한, 접힘부(40a)의 선단과 캐리어 필름(12) 사이의 마찰 계수를 μ, 접힘부(40a)의 선단의 캐리어 필름(12)의 접촉 영역의 각도를 θ(도 2b 참조)라 하면, F=εi(eμθ-1), F=εo(1-1/eμθ)로 나타낼 수 있다. 이에 의해, εi 및 εo를 작게 함으로써도 마찰력 F를 작게 하는 것으로 이어지고, Vi와 Vo의 속도차를 없애는 것으로 이어진다.
도 2c는, 접힘부(40a)의 정점 근방, 즉 캐리어 필름(12)의 두출 개시 시에 있어서, (a) 상류측 왜곡 εi와 하류측 왜곡εo를 동일하게 한 경우와, (b) 상류측 왜곡 εi와 하류측 왜곡 εo에 차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두출 개시부터 두출 종료까지의 εoi의 값의 변화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c에 의해, 두출 개시 시에 있어서, 이미 εoi>0, 즉 접힘부(40a)의 정점 근방에 있어서 왜곡차가 있는 (b)쪽이, 두출 중의 εoi의 값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εoi일 때 접힘부(40a)의 정점 근방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εoi일 때 발생하는 마찰력보다 크기 때문에, 두출 동작 중에 하류측 A2의 캐리어 필름(12)이 신장하기 쉬워지는 결과, εi와 εo의 차가 커진다고 생각된다. εi와 εo의 차가 클수록 속도 Vi와 속도 Vo의 차가 커지므로, εoi일 때가 속도차가 커진다. 따라서, 두출을 한 상태에서 캐리어 필름(12)을 백피드시켜 εoi로 함으로써, 속도차가 억제된다.
[연속 제조 방법]
이상 설명한 본 시스템(100)에 의해, 광학 표시 패널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본 방법)은, 이하의 각 공정을 구비함으로써 실현된다.
(1) 본 방법은,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에 의해,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13)이 당해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된 캐리어 필름(12)을 반송하는 공정을 갖는다.
(2) 본 방법은, 박리부(40)에 의해, 반송된 캐리어 필름(12)을, 접힘부(40a)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13)을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을 갖는다.
(3) 본 방법은, 권취부(60)에 의해, 광학 필름(13)이 박리된 캐리어 필름(12)을 권취하는 공정을 갖는다.
(4) 본 방법은, 광학 셀 반송부(102)에 의해 광학 셀 P를 반송하는 공정을 갖는다. 또한, 접합부(103)에 의해, 캐리어 필름(12)으로부터 박리된 광학 필름(13)을, 점착제를 개재하여, 반송되어 온 광학 셀 P에 접합하여 광학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공정을 갖는다.
(5) 본 방법은, 접합부(103)에 있어서의 접합 처리 전에, 구동 제어부(110)에 의해, 접힘부(40a)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1과, 접힘부(40a)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2의 차를, 한쪽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이는 공정(장력 조정 공정)을 갖는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장력 조정 공정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110)에 의한 권취부(60)의 권취 롤러(60a)의 회전 제어에 의해, 접힘부(40a)의 하류측에 있어서 캐리어 필름(12)을 백피드하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캐리어 필름(12)이 접힘부(40a)에 있어서 두출이 이루어진 시점에서 구동 제어부(110)에 의한 장력 조정 공정이 행해지는 것으로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반드시 두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와 같은 공정을 행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광학 필름(13)과 광학 셀 P의 접합 처리 전에 행해지면 된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은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100a)의 일부분의 모식도이다. 본 시스템(100a)은, 캐리어 필름 반송부(101)가, 박리부(40)보다 상류측 위치에서, 캐리어 필름(12)을 반송하는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를 갖고 있다. 그리고, 구동 제어부(110)가, 권취부(60) 및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를 제어하는 구성이다.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는, 박리부(40)보다 반송 상류측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90a)와 이 구동 롤러(90a)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구동 롤러(90a)를 향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박 수단(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 롤러(90b)를 갖는다. 구동 롤러(90a)와 종동 롤러(90b) 사이에 적층 광학 필름(11)이 끼움 지지된 상태에서, 구동 롤러(90a)가 회전함으로써, 종동 롤러(90b)가 종동하여 회전하여, 적층 광학 필름(11)을 하류의 박리부(40)로 반송한다.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를 구성하는 구동 롤러(90a)와 종동 롤러(90b)에 사용되는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고무,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재질은, 롤 전체에 사용되고 있어도 되고, 적어도 롤 외표면에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부(110)는, 권취부(60)의 권취 롤러(60a)의 회전 제어를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또한 구동 제어부(110)는,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를 구동하는 모터의 제어를 행한다. 즉, 구동 제어부(110)는, 구동 롤러(90a)에 대한 회전 방향 및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다. 이 구동 롤러(90a)는 「제2 롤러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 T2가 장력 T1보다 큰 경우,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제어부(110)가 권취 롤러(60a)를 역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적층 광학 필름(11)이 두출되는 지점, 즉 박리부(40)의 접힘부(40a)보다 하류측 캐리어 필름(12)이 백피드되어 장력 T2가 작아져, 그 상류측 장력 T1과의 차가 작아진다.
또한, 장력 T2가 장력 T1보다 작은 경우에, 구동 제어부(110)가 구동 롤러(90a)에 대하여 정회전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켜, 접힘부(40a)보다 상류측 캐리어 필름(12)의 반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장력 T1이 작아져, 그 하류측 장력 T2와의 차가 작아진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100b)의 일부분의 모식도이다. 본 시스템(100b)은, 박리부(40)와 권취부(60) 사이에, 하류측 필름 공급부(95)를 구비한다. 하류측 필름 공급부(95)는,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와 마찬가지로,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롤러를 구비한다. 즉, 하류측 필름 공급부(95)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러(95a)와 이 구동 롤러(95a)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구동 롤러(95a)를 향하여 도시하지 않은 압박 수단(예를 들어, 압축 스프링, 판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는 종동 롤러(95b)를 갖는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구동 제어부(110)가,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를 구동하는 모터 및 하류측 필름 공급부(95)의 구동 롤러(95a)를 구동하는 모터의 제어를 행한다. 즉, 구동 제어부(110)는, 구동 롤러(90a, 95a)에 대한 회전 방향 및 회전수의 제어가 가능한 구성이다. 구동 롤러(95a)는 「제1 롤러부」에 대응하고, 구동 롤러(90a)는 「제2 롤러부」에 대응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장력 T2가 장력 T1보다 큰 경우, 구동 제어부(110)가 하류측 필름 공급부(95)의 구동 롤러(95a)를 역회전 구동한다. 이에 의해, 적층 광학 필름(11)이 두출되는 지점, 즉 박리부(40)의 접힘부(40a)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이 백피드되어 장력 T2가 작아져, 그 상류측 장력 T1과의 차가 작아진다. 한편, 장력 T2가 장력 T1보다 작은 경우에는, 구동 제어부(110)가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에 대하여 정회전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이에 의해, 박리부(40)의 접힘부(40a)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1이 작아져, 그 하류측 장력 T2와의 차가 작아진다.
또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제어부(110)가 권취 롤러(60a)의 회전 제어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상관없다. 이 경우, 구동 제어부(110)가, 제1 실시 형태에서 상술한 제어를 추가적으로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100c)의 일부분의 모식도이다. 본 시스템(100c)은, 구동 제어부(110)가 하류측 필름 공급부(95)의 구동 롤러(95a)만의 회전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110)의 제어 내용은,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취 롤러(60a)에 대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의 시스템(100d)의 일부분의 모식도이다. 본 시스템(100d)은, 구동 제어부(110)가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만의 회전 제어를 행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제어부(110)의 제어 내용은, 제2 및 제3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동 롤러(90a)에 대한 것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다른 실시 형태〕
이하에,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구동 제어부(110)가, 캐리어 필름(12)의 반송 방향을 반전하는 제어 대신에, 반송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2> 상술한 제2, 제3 및 제5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상류측 필름 공급부(90)[구동 롤러(90a)]가 댄서롤(30)과 접힘부(40a)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하였다. 이것은, 만약 상류측 필름 공급부(90)가, 접힘부(40a)의 상류에 위치하는 댄서롤(30)보다 더 상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가 구동되어 반송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를 행해도, 반송 동작이 댄서롤(30)에 흡수됨으로써, 접힘부(40)의 상류의 장력 T1을 거의 변화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댄서롤(30)이 예를 들어 석션식과 같은 롤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인 경우에는, 상기 흡수의 문제가 그다지 발생하지 않으므로, 상류측 필름 공급부(90)가 댄서롤(30)보다 상류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류측 필름 공급부(90)의 구동 롤러(90a)의 구동에 의한 반송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를 행한 경우에, 접힘부(40)의 상류의 장력 T1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도 3, 도 4a, 도 4b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류측 필름 공급부(90)는, 반드시 댄서롤(30)과 접힘부(40a) 사이에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댄서롤(30)에 의한 반송 동작의 흡수가 장력 제어에 그다지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에는, 댄서롤(30)보다 상류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상관없다.
실시예
도 5에 도시한 본 시스템(100c)에서, 접합부(103)에 있어서, 편광 필름의 시트편(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 VEG1724DU : 400×700㎜)을 무알칼리 유리의 광학 셀(코닝제 : 405×710㎜)에 그 긴 변측으로부터 부착하였다. 그때, 박리부(40)의 하류측과 상류측에서 캐리어 필름(12)의 장력차를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한 경우를 실시예 1 및 2, 그와 같은 처리를 행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예 1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소정 타이밍에서, 미소 시간만큼 하류측 필름 공급부(95)의 구동 롤러(95a)를 역회전 구동하여, 접힘부(40a)의 하류 위치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반송 방향을 역방향으로 하였다(백피드).
〔평가 방법〕
(1) 박리부(40)의 접힘부(40a)의 상류측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1 및 그 하류측 캐리어 필름(12)의 장력 T2를 장력 검출기(미쓰비시덴끼제 LX-050TD)에 의해 측정하였다. 이때,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는, 접힘부(40a)의 하류측에 있어서의 캐리어 필름(12)의 백피드 처리를 행한 직후의 장력 T1 및 T2를 측정하였다.
(2) 박리부(40)에서 박리된 광학 필름(13)을 접합부(103)에서 광학 셀 P에 접합한 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셀 P 상의 목표 접합 위치(80)와 실제로 접합된 위치(81)의 편차를 4변에 대하여 측정하였다(X1, X2, Y1, Y2). 보다 상세하게는, 도 7 상에 있어서, X1 및 X2에 대해서는, 지면을 향하여 우향의 편차를 정, 좌향을 부로 하였다. 또한, Y1 및 Y2에 대해서는, 지면을 향하여 상향의 편차를 정, 하향을 부로 하였다. 그리고, 연속해서 100장의 광학 셀 P에의 광학 필름(13)의 접합 처리를 행하였을 때의 각 편차의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표 1에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Figure pct00007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T1 및 T2의 장력차를 감소시키는 처리를 행하지 않은 비교예 1에 있어서는, 접합 어긋남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시예 2 및 실시예 1은, 접합 어긋남량은 감소되어 있고, 장력차를 보다 작게 한 실시예 1이 가장 접합 어긋남량이 적게 되어 있다.
1 : 롤
11 : 적층 광학 필름
12 : 캐리어 필름
13 : 광학 필름
13a : 광학 필름 본체
13b : 점착제층
20 : 절단부
21 : 흡착부
30 : 댄서롤
40 : 박리부
40a : 박리부의 선단부(접힘부)
50a : 구동 롤러
50b : 받침 롤러
60 : 권취부
60a : 권취 롤러
80 : 목표 접합 위치
90 : 상류측 필름 공급부
90a : 상류측 필름 공급부의 구동 롤러
90b : 상류측 필름 공급부의 종동 롤러
95 : 하류측 필름 공급부
95a : 하류측 필름 공급부의 구동 롤러
95b : 하류측 필름 공급부의 종동 롤러
100, 100a, 100b, 100c, 100d :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101 : 캐리어 필름 반송부
102 : 제1 광학 셀 반송부
103 : 접합부
104 : 제2 광학 셀 반송부
110 : 구동 제어부
P : 광학 셀

Claims (7)

  1.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당해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캐리어 필름을 반송하는 공정과,
    반송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접힘부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와 함께 박리하는 공정과,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권취하는 공정과,
    광학 셀을 반송하고,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를 개재하여 당해 광학 셀에 접합하는 공정과,
    상기 접합하는 공정 전에,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장력과,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장력의 차를, 한쪽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줄이는 공정을 포함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 또는 그 양자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반전 제어, 반송 속도의 증감 제어, 또는 그 양자를 행함으로써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의 상기 캐리어 필름을 백피드하는 제어를 행하여 상기 제2 장력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의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송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여 상기 제1 장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장력차를 250N/m 이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5. 점착제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이 당해 점착제를 개재하여 적층되어 있는 캐리어 필름을 반송하는 캐리어 필름 반송부와,
    상기 캐리어 필름 반송부에 의해 반송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접힘부에서 내측으로 하여 접어 당해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상기 광학 필름을 박리하는 박리부와,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권취하는 권취부와,
    광학 셀을 반송하는 광학 셀 반송부와,
    상기 박리부에서 상기 캐리어 필름으로부터 박리된 상기 광학 필름을, 상기 점착제를 개재하여, 상기 광학 셀 반송부에 의해 반송되어 온 상기 광학 셀에 접합하는 접합부와,
    상기 캐리어 필름의 반송 방향, 반송 속도 또는 그 양자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접힘부보다 상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1 장력과, 상기 접힘부보다 하류측에 위치하는 상기 캐리어 필름의 제2 장력의 차를 줄이는 제어를 행하는 구동 제어부를 갖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하류측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박리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권취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제1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가 있는 경우에,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 처리 전에, 상기 제1 롤러부의 회전 방향을 반전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의 상류측에 있어서, 상기 광학 필름이 적층된 상기 캐리어 필름을 상기 박리부를 향하여 반송하는 제2 롤러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장력과 상기 제2 장력의 차가 있는 장소에, 상기 접합부에 있어서의 접합 처리 전에, 상기 제2 롤러부의 회전 속도를 상승시키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1020137031139A 2012-08-10 2013-08-01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1020189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178584A JP5427929B2 (ja) 2012-08-10 2012-08-10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JPJP-P-2012-178584 2012-08-10
PCT/JP2013/070929 WO2014024778A1 (ja) 2012-08-10 2013-08-01 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方法及び光学表示パネルの連続製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19A true KR20150042119A (ko) 2015-04-20
KR102018925B1 KR102018925B1 (ko) 2019-09-05

Family

ID=50068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1139A KR102018925B1 (ko) 2012-08-10 2013-08-01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61641B2 (ko)
JP (1) JP5427929B2 (ko)
KR (1) KR102018925B1 (ko)
CN (1) CN103796814B (ko)
TW (1) TW201413343A (ko)
WO (1) WO20140247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4346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80132500A (ko) * 2016-04-06 2018-12-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20190035129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부착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8427B1 (ko) * 2014-11-21 2016-01-25 (주)피엔티 내층 패턴 필름 제조 장치
KR101900551B1 (ko) * 2016-05-25 2018-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678803B1 (ko) * 2016-06-03 2016-11-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방법
CN111175878B (zh) * 2020-01-03 2020-11-13 昆山之奇美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屏用偏光片生产制造涂布处理工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871A (ko) * 2007-12-06 2010-08-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유닛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되는 시트 제품, 및 롤 원재료
KR101034111B1 (ko) * 2010-09-29 2011-05-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방법
JP2011131506A (ja) 2009-12-24 2011-07-07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貼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2796A (ko) 2002-06-28 2004-01-07 후지 샤신 필름 가부시기가이샤 편광판 점착방법 및 그 장치
JP2004338408A (ja) 2003-04-24 2004-12-02 Mitsui Chemicals Inc フィルムのラミネート方法および装置
US20060225831A1 (en) 2005-04-08 2006-10-12 Herong Lei Process for forming polarizer plate
JP4697871B2 (ja) 2005-10-20 2011-06-08 日東電工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JP2007304211A (ja) 2006-05-09 2007-11-22 Fujifilm Corp 大型表示装置用樹脂層付き基板の製造方法、大型表示装置用樹脂層付き基板、大型表示装置用材料、表示装置
JP5313002B2 (ja) * 2008-04-07 2013-10-09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728447B1 (ja) * 2009-12-25 2011-07-20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連続製造方法及び装置
JP5792597B2 (ja) 2010-11-25 2015-10-14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9871A (ko) * 2007-12-06 2010-08-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표시 유닛의 제조 방법, 그것에 사용되는 시트 제품, 및 롤 원재료
JP2011131506A (ja) 2009-12-24 2011-07-07 Sumitomo Chemical Co Ltd 光学フィルムの貼合方法
KR101034111B1 (ko) * 2010-09-29 2011-05-13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2500A (ko) * 2016-04-06 2018-12-12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광학적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20180024346A (ko) * 2016-08-29 2018-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학패널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190035129A (ko) * 2017-09-26 201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필름 부착시스템
US10946589B2 (en) 2017-09-26 2021-03-16 Lg Chem, Ltd. Optical film attach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24778A1 (ja) 2014-02-13
JP5427929B2 (ja) 2014-02-26
US20160221321A1 (en) 2016-08-04
US9561641B2 (en) 2017-02-07
JP2014034206A (ja) 2014-02-24
CN103796814A (zh) 2014-05-14
TWI560497B (ko) 2016-12-01
KR102018925B1 (ko) 2019-09-05
TW201413343A (zh) 2014-04-01
CN103796814B (zh) 2016-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7830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20150042119A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101649083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101782665B1 (ko) 박리 방법 및 박리 장치
KR101993934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US10710351B2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optical display device
KR101535050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EP2476553A1 (en) Method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774631B1 (ko)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방법 및 광학 표시 패널의 연속 제조 시스템
KR101816313B1 (ko)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시스템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연속 제조 방법
JP2021140115A (ja) 光学積層フィルムの製造装置、及び光学積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18084044A1 (ja) 光学的表示装置を製造する方法
CN110352171B (zh) 光学薄膜的输送装置和光学显示面板的连续制造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