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266A -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266A
KR20150039266A KR20130117562A KR20130117562A KR20150039266A KR 20150039266 A KR20150039266 A KR 20150039266A KR 20130117562 A KR20130117562 A KR 20130117562A KR 20130117562 A KR20130117562 A KR 20130117562A KR 20150039266 A KR20150039266 A KR 20150039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wire
pulleys
wound
gui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호
Original Assignee
아시아테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아테크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시아테크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266A/ko
Publication of KR20150039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2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1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 B65G47/917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incorporating pneumatic, e.g. suction, grippers control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32Friction members
    • F16H55/36Pull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04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 F16H63/06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 F16H63/067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a single final output mechanism being moved by a single final actuating mechanism the final output mechanism having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mechanical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2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belts; with V-be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10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by adjusting the axis of a pulle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18Means for guiding or supporting belts, ropes, or chains
    • F16H7/20Mountings for roller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2개의 풀리를 이중구조로 설치함으로써, 가공물을 이송할 때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와 자동운반 장치의 이동 레일 상에 있는 와이어 간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와이어와 결합하는 홈 이외에 두 풀리를 브이 벨트로 연결할 수 있는 또 다른 홈이 있는 풀리를 설계 및 사용함으로써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한쪽 풀리의 회전력이 동일하게 다른 풀리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 옆에 와이어의 가이드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더블 풀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의 홈에서 이탈되거나 와이어 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컨트롤할 수 있고, 또한 조절 브라킷을 사용함으로써 오랜시간 지속적으로 장력에 노출됨에 따라 와이어가 늘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 척이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위치에서 이동시키려는 물건을 로딩한 후, 목적 장소로 운반하여 언로딩 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BY USING DUAL PULLEY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든 가공물 생산 공정 및 자동화 생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자동운반 장치 중, 모터와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자동운반 장치에서 와이어와 맞물리는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를 이중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자동운반 장치의 이동 간에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더불어 보조 가이드 롤러와 조정 브라킷을 통해 와이어가 풀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잡아주며, 장력 증가로 인한 와이어의 늘어짐 현상도 잡아줄 수 있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든 가공물 생산 공정에서 가공물을 다음 공정으로 자동으로 운반하는 자동운반 장치 중에, 이동 레일 상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에 풀리(Pulley)로 연결되어 모터의 힘으로 이동하는 자동운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와이어, 풀리 및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하는 종래의 자동운반 장치는 한개의 풀리를 사용하여 와이어에 연결되어 있었기 때문에 풀리와 와이어의 접촉 면적이 넓지 않았다. 상기와 같이 풀리와 와이어의 접촉 면적이 적음으로 인하여 풀리 하나로는 자동운반 장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마찰력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즉, 모터가 정지 상태에서 갑자기 구동하거나 또는 모터가 빠르게 구동 중에 갑자기 멈추게 되면, 상기 이동 레일 상에 설치되어 있는 와이어가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에서 미끄러져 물건이 정확한 장소로 이동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상기 풀리와 와이어의 미끄러짐에 따른 마모현상으로 인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나의 풀리가 와이어와 연결되어 사용될 때에 따로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잡아주는 장치가 없어 와이어의 미끌림 현상과 함께 와이어가 풀리에서 이탈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랜 시간동안 자동운반 장치가 물건을 운반함에 따라 그만큼 와이어는 많은 장력을 받고, 이로 인해 와이어는 늘어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늘어난 와이어는 상기 와이어와 풀리 간의 미끄러짐 현상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고, 아직까지 상기와 같은 늘어진 와이어를 조절할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자동운반 장치는 전무한 실정이었다. 더욱이 와이어가 늘어진 만큼 풀리에서 이탈하는 경우도 많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실정에 따라 본 발명은 자동운반 장치가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를 이용하여 이동할 때에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오랜 시간 장력에 노출됨에 따라 와이어가 점점 늘어져서 각종 고장의 원인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잡아주어 와어이가 풀리에서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풀리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가공물을 이송할 때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와 자동운반 장치의 이동 레일 상에 있는 와이어 간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풀리를 이중구조로 설치함으로써, 1개의 풀리를 사용할 때보다 마찰력을 2배 향상시켜 미끄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풀리를 동일한 회전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데 있어서, 와이어와 결합하는 홈 이외에 두 풀리를 브이 벨트로 연결할 수 있는 또 다른 홈이 있는 풀리를 설계 및 사용함으로써,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풀리의 회전력이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또 하나의 풀리에 동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는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 옆에 와이어의 이동경로를 잡아주는 가이드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더블 풀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의 홈에서 이탈되거나 와이어 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컨트롤할 수 있는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조절 브라킷을 사용하여 이중구조의 두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장력에 노출되어 늘어난 와이어가 두개의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에어 척이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이동시키려는 물건을 자동운반 장치에 클램핑(Clamping) 및 언클램핑(Un-Clamping) 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위치에서 다양한 무게의 물품을 로딩(Loading)한 후, 목적 장소로 운반하여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브이 밸트로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제2 풀리; 및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각각 감겨 돌아가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와이어가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와 풀리 간의 마찰력을 높이고,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고 두개의 풀리에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여도 와이어와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브라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각각, 와이어가 감겨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홈; 및 브이 벨트가 감겨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와이어가 풀리에 감겨 들어갈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홈; 및 풀리에서 와이어가 감겨 나올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두 개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어, 풀리로 감기는 와이어 부분과 풀리에서 나오는 와이어 부분 간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은, 상기 제2 풀리에 설치하여,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풀리는 고정시켜두고 제2 풀리의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두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는, 공기압 조절을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에어 척을 사용하는 캐리어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은,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가 제2 가이드 롤러를 통해 제2 풀리에 감겨들어가는 단계; 상기 제2 풀리에 감겨 들어간 와이어가 제2 가이드 롤러를 통해 이동 레일 상으로 감겨 나오는 단계; 상기 제2 풀리에서 나온 와이어가 제1 가이드 롤러를 통해 제1 풀리로 감겨들어가는 단계; 및 상기 제1 풀리에 감겨 들어간 와이어가 제1 가이드 롤러를 통해 이동 레일 상으로 감겨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와이어가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와 풀리 간의 마찰력을 높이고,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고 두개의 풀리에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은,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여도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브라킷을 이용하여, 와이어가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또한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풀리에 제2 풀리가 브이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공기압 조절을 통해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에어 척을 이용하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자동운반 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2개의 풀리를 이중구조로 설치함으로써, 가공물을 이송할 때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와 자동운반 장치의 이동 레일 상에 있는 와이어 간에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와이어와 결합하는 홈 이외에 두 풀리를 브이 벨트로 연결할 수 있는 또 다른 홈이 있는 풀리를 설계 및 사용함으로써 모터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한쪽 풀리의 회전력이 동일하게 다른 풀리에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이중 구조의 풀리 옆에 와이어의 가이드 롤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소형 더블 풀리를 설치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의 홈에서 이탈되거나 와이어 간에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컨트롤할 수 있고, 또한 조절 브라킷을 사용하여 두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장력에 노출됨에 따라 늘어난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에어 척이 설치되어 있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함으로써 보다 빠르고 쉽게 원하는 위치에서 다양한 무게의 물건을 로딩한 후, 목적 장소로 운반하여 언로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이중 구조의 풀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가이드 롤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장력 조절 브라킷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하여 자동운반 장치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이중 구조의 풀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운반 장치는 풀리와 와이어의 미끄러짐 현상으로 인해 물품이 지정된 운반 장소로 정확히 운반이 되지 않는 문제와 와이어와 풀리 사이의 마모로 인한 기계고장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풀리(이하, 풀리B)(20)와 제2 풀리(이하, 풀리A)(10)를 이중 구조로 설계하고, 자동운반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80)(즉, 풀리와 맞물려 돌아가면서 자동운반 장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가 상기 2개의 풀리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풀리를 1개 사용했을 때보다 풀리와 와이어(80) 간의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와이어(80)가 2개의 풀리에 최대한 많이 맞물리는 구조로 설계함으로써, 더욱 마찰력을 높여 풀리와 와이어(80) 간의 미끄러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중 구조로 설계된 2개의 풀리(Pulley)(풀리A(10) 와 풀리B(20))가 효과적으로 와이어(80)와 맞물려 작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두 풀리의 회전력이 같아야 할 것이다. 만약 두 풀리의 회전력에 차이가 있다면 두 풀리의 회전력의 차이로 인해 와이어(80)가 풀리에서 불규칙적으로 미끄러져 자동운반 장치가 지정된 경로로 물품을 운반할 수 없게 되고, 또한 두 풀리 사이에서 와이어(80)가 강한 장력을 받아 끊어지거나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반대로 두 풀리 사이에서 와이어(80)가 밀려나와서 예정된 와이어(80)의 이동경로를 벗어나 고장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이중 구조로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풀리가 항상 동일한 회전력을 갖도록 설계되어 있다.
상기 두개의 풀리가 항상 같은 회전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하나의 모터(60)를 통해 동일한 회전력을 공유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하나의 모터(60)를 사용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풀리B(20)는 자동운반 장치의 모터(60)에 바로 연결되어 모터(60)의 회전력을 바로 전달 받을 수 있는 구조이고, 상기 풀리A(10)는 상기 모터(60)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풀리B(2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모터(60)를 사용하여 두개의 풀리가 같은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것은 두 풀리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브이 벨트(70)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풀리A(10)와 풀리B(20)는 동일한 크기의 풀리이고, 각각의 풀리는 2개의 홈이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하나의 홈은 자동운반 장치가 이동하는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80)와 결합하는 홈이고, 다른 하나의 홈은 브이 벨트(V-Belt)(70)를 연결하는 홈으로서 상기 풀리A(10)는 모터(60)와 바로 연결되어 있는 풀리B(20)와 상기 브이 벨트(70)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브이 벨트(70)를 통해 풀리A(10)는 풀리B(20)와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 가이드 롤러(이하, 가이드 롤러B)(40)와 제2 가이드 롤러(이하, 가이드 롤러A)(30)는 와이어가 상기 두개의 풀리와 연결되어 이동하는데 있어서 와이어가 이동 경로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고 와이어 간의 마찰로 인해 와이어의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상기 풀리A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장력 조절 브라킷(Adjust Bracket)(50)은 와이어와 풀리 간의 마찰력이 항상 일정할 수 있도록 두 풀리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 롤러와 장력 조절 브라킷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아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가이드 롤러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이중 구조의 풀리(풀리A(10), 풀리B(20)) 이외에 2개의 가이드 롤러(Guide Roller)를 이용하여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와 상기 두개의 풀리(풀리A(10), 풀리B(20))가 최대한의 마찰력을 얻을 수 있도록 결합시키고, 또한 와이어가 이동경로에서 이탈하거나 와이어 끼리 닿아서 마모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개의 가이드 롤러는 풀리A(10)와 풀리B(20)의 사이드에 각각 설치 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동일 사이즈의 2개의 홈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소형 풀리이다. 즉, 상기 2개의 가이드 롤러는 홈a1(31) 및 홈a2(32)로 구성되어 있는 한개의 가이드롤러A와 홈b1(41) 및 홈b2(42)로 구성되어 있는 한개의 가이드 롤러B(40)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로, 상기한 것처럼 가이드 롤러의 홈을 구분한 이유는 와이어와 맞물리는 과정에 대한 설명의 편을 위해서 일 뿐, 각 홈의 사이즈나 역할은 서로 다르지 않고 동일하다.
상기 가이드 롤러A(30)는 상기 풀리A(10)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롤러B(40)는 상기 풀리B(20)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 롤러는 와이어가 풀리A(10)와 풀리B(20)에 최대한 많은 면적이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와이어 간의 접촉으로 인해 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더불어 와이어가 이중 구조의 풀리 상에서 이탈하지 않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에서 와이어와 풀리들이 맞물려 이동하는 방식은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번에서 7번 방향으로 화살표의 방향에 따라 와이어가 이동하는 방식이다. 즉,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의 모터(6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는 맨 처음 가이드 롤러A(30)의 홈a1(31)에 결합하여 풀리A(10)로 연결된다. 풀리A(10)에서 한바퀴 회전한 와이어는 가이드 롤러A(30)의 홈a2(32)에 결합하여 다시 이동 레일 상으로 돌아가고, 가이드 롤러B(40)의 홈b1(41)과 결합하여 풀리B(20)로 연결되게 된다. 풀리B(20)에서 한바퀴 회전한 와이어는 가이드 롤러B(40)의 홈b2(42)와 결합하여 다시 이동 레일 상으로 돌아가게 된다. 이때 자동운반 장치의 이동 방향은 와이어의 진행방향의 반대방향, 즉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의 반대방향이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풀리A(10) 및 풀리B(20)의 사이드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 롤러A(30) 및 가이드 롤러B(40)를 이용하여 와이어가 각각의 풀리에 한 바퀴씩 감겨 돌아가게 함으로써, 와이어가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않게 하고, 동시에 와이어끼리의 접촉도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 안정적으로 와이어가 풀리A(10) 와 풀리B(20)에 최대 면적으로 맞물려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운반 장치의 장력 조절 브라킷(50)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장력 조절 브라킷(50)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조절하여 장시간 장력에 노출되더라도 와이어가 늘어져서 본 발명의 이중 풀리와의 마찰력이 떨어지거나 혹은 풀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50)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조절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이중 풀리 구조에서 풀리A(10)와 풀리B(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와이어가 오랜 시간 장력을 받아 늘어나게 되면 그에 맞춰 풀리A(10)와 풀리B(20) 사이의 거리를 벌려주어 와이어가 풀리A(10)와 풀리B(20)에 늘어나기 전과 같이 밀착하여 같은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만약 늘어난 와이어를 새 와이어로 교체 한다던가 혹은 주위 온도의 변화에 의해 와이어가 수축하여 길이가 줄어드는 것과 같이, 와이어의 길이가 기존보다 줄어들었다면 상기 풀리A(10)와 풀리B(20) 간의 거리를 그만큼 맞추어 줄여줌으로써 항상 최적상태로 와이어와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풀리가 결합하여 자동운반 장치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두 풀리(풀리A(10), 풀리B(20)) 사이에 거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 브라킷(50)을 통해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50)은 모터(60)에 바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풀리A(10)에 설치함으로써 구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즉, 풀리B(20)는 모터(6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시키는데 있어서 상당한 제약이 따르므로 풀리B(20)는 고정시켜두고 풀리A(10)를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두 풀리 사이의 거리를 컨트롤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풀리A(10)에 설치되어 있는 조절 브라킷은 볼트(51)를 돌리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50)의 볼트(51)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풀리A(10)와 풀리B(20) 사이의 거리는 멀어지고 와이어는 더 많은 장력를 가지게 되며,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50)의 볼트(51)를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풀리A(10)와 풀리B(20) 사이의 거리는 가까워져 와이어의 장력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는 와이어의 상태 변화에 따라 장력 조절 브라킷(50)을 이용하여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의 늘어짐 현상을 방지하고 와이어와 풀리가 항상 최적의 장력을 유지하여 물품 운반에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물품을 자동운반 장치에 고정하여 운반한다. 상기 캐리어 그리퍼는 에어 척(Air Chuck)을 사용하여 물품을 클램핑(Clamping) 및 언클램핑(Unclamping) 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에서 물품을 로딩(Loading)한 후 목적장소까지 운반하여 언로딩(Unloading)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에어 척을 사용한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는 에어 척의 공기압 조절을 통해 다양한 무게 및 크기의 물품을 고정시켜 운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하여 자동운반 장치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운반 장치가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하여 와이어와 풀리 간의 미끄럼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은, 우선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가 가이드 롤러A(30)의 홈a1(31)을 통해 풀리A(10)에 연결되어 이동한다(S101). 와이어는 풀리A(10)를 타고 모터회전 방향으로 한바퀴 회전한 다음 가이드 롤러A(30)의 홈a2(32)를 통해 다시 이동 레일 상으로 돌아온다(S102). 상기 풀리A(10)를 지나온 와이어는 다시 가이드 롤러B(40)의 홈b1(41)을 통해 풀리B(20)에 연결됨으로써 와이어가 두개의 풀리(풀리A(10) 및 풀리B(20))에 동시에 연결되어 자동운반 장치의 풀리와 와이어 간의 마찰력을 두배로 할 수 있다(S103). 풀리 B에 연결된 와이어는 모터회전 방향으로 한바퀴 회전한 후 가이드 롤러B(40)의 홈b2(42)를 통해 다시 이동 레일 상으로 위치하게 된다(S104). 자동운반 장치 사용 중에 와이어가 많은 물품을 운반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받는 장력으로 인해 늘어나거나 와이어와 풀리 간에 마찰력이 떨어지게 되면 장력 조절 브라킷(50)의 볼트를 조작하여 풀리A(10)와 풀리B(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와이어와 풀리 간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S105).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풀리A 20 : 풀리B
30 : 가이드 롤러A 31 : 홈a1
32 : 홈a2 40 : 가이드 롤러B
41 : 홈b1 42 : 홈b2
50 : 장력 조절 브라킷 51 : 볼트
60 : 모터 70 : 브이 벨트
80 : 와이어

Claims (10)

  1.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에 있어서,
    모터;
    상기 모터에 직접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풀리;
    상기 제1 풀리와 브이 밸트로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제2 풀리; 및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가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각각 감겨 돌아가도록 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와이어가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와 풀리 간의 마찰력을 높이고,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고 두개의 풀리에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여도 와이어와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1 풀리 및 제2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브라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는 각각,
    와이어가 감겨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홈; 및
    브이 벨트가 감겨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자동운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와이어가 풀리에 감겨 들어갈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홈; 및
    풀리에서 와이어가 감겨 나올 때 가이드 역할을 하는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가이드 롤러는 두 개의 홈으로 구성되어 있어, 풀리로 감기는 와이어 부분과 풀리에서 나오는 와이어 부분 간의 접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자동운반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장력 조절 브라킷은,
    상기 제2 풀리에 설치하여,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풀리는 고정시켜두고 제2 풀리의 유격을 조절함으로써 두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자동운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공기압 조절을 통해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에어 척을 사용하는 캐리어 그리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자동운반 장치.
  7. 이동 레일 상의 와이어가 제2 가이드 롤러를 통해 제2 풀리에 감겨들어가는 단계;
    상기 제2 풀리에 감겨 들어간 와이어가 제2 가이드 롤러를 통해 이동 레일 상으로 감겨 나오는 단계;
    상기 제2 풀리에서 나온 와이어가 제1 가이드 롤러를 통해 제1 풀리로 감겨들어가는 단계; 및
    상기 제1 풀리에 감겨 들어간 와이어가 제1 가이드 롤러를 통해 이동 레일 상으로 감겨 나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풀리 및 제2 풀리에 와이어가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와 풀리 간의 마찰력을 높이고,
    각각의 가이드 롤러를 통해 와이어가 이동 경로에서 이탈하지 않고 두개의 풀리에 감겨 돌아가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풀리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장력이 변화하여도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장력 조절 브라킷을 이용하여, 와이어가 제1 풀리와 제2 풀리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마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조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 풀리에 제2 풀리가 브이 벨트를 통해 연결되어 동일한 회전력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
  10. 청구항 7에 있어서,
    공기압 조절을 통해 물품을 고정할 수 있는 에어 척을 이용하는 캐리어 그리퍼를 사용하여, 운반하고자 하는 물품을 자동운반 장치에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방법.
KR20130117562A 2013-10-01 2013-10-01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392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562A KR20150039266A (ko) 2013-10-01 2013-10-01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562A KR20150039266A (ko) 2013-10-01 2013-10-01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266A true KR20150039266A (ko) 2015-04-10

Family

ID=53029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562A KR20150039266A (ko) 2013-10-01 2013-10-01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2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8812A1 (zh) * 2019-12-27 2021-07-01 苏州舍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微调张紧的同步带传动模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28812A1 (zh) * 2019-12-27 2021-07-01 苏州舍勒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微调张紧的同步带传动模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1155B2 (ja) 搬送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US8240353B2 (en) Gripper assembly for tray sealing machine
JP5316907B2 (ja) 物品搬送設備
CN102189436B (zh) 托盘输送方法和托盘输送装置
US9957114B2 (en) Multi-conveyor speed adjuster
JP5052644B2 (ja) コンベヤ装置
KR20150039266A (ko) 이중 구조의 풀리를 이용한 자동운반 장치 및 그 방법
JP5910723B2 (ja) 移載装置及び移載装置の制御方法
US8403130B1 (en) Conveyor systems having intermediate rollers
JP5034884B2 (ja) 化学処理装置
JP6899691B2 (ja) 搬送装置、搬送方法
CA2534680A1 (en) Conveyor transfer assembly
JP2011236488A (ja) 化学処理装置
JP2010173847A (ja) ウエハリング搬送装置
KR101547323B1 (ko) 오버헤드 호이스트 이송장치의 슬라이드 유닛
JP5424449B2 (ja) 物品搬送装置
JP2003054726A (ja) 搬送装置及び搬送装置の取付方法
NL2028312B1 (en) Unwind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unwinding a tire component from a stock reel
JPH09151034A (ja) ボビン支持装置
CN105102095A (zh) 线材输送量调整装置
CN210972651U (zh) 输送带装置及带有该装置的自动转运设备
JP4720735B2 (ja) 物品合流設備
TWI531516B (zh) Electronic component conveying equipment
KR20210025882A (ko) 대상물 이송 시스템 및 방법
CA3217414A1 (en) Unwinding system, assembly and method for unwinding a tire component from a stock r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