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8073A -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8073A
KR20150038073A KR1020157003864A KR20157003864A KR20150038073A KR 20150038073 A KR20150038073 A KR 20150038073A KR 1020157003864 A KR1020157003864 A KR 1020157003864A KR 20157003864 A KR20157003864 A KR 20157003864A KR 20150038073 A KR20150038073 A KR 20150038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pressing member
bubbles
observation range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3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6380B1 (ko
Inventor
료 스에나가
사토시 다나카
쿄헤이 오타
Original Assignee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8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6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6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9/00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e.g. liquids or semiliquids, in flat, folded, or tubula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Subdividing filled flexible tubes to form packages
    • B65B9/0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 B65B9/04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 B65B9/042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between opposed webs one or both webs being formed with pockets for the reception of the articles, or of the quantities of material fo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5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flexible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1/00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der special atmospheric or gaseous conditions; Adding propellants to aerosol conta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3/00Constructional details, e.g. recesses, hinges
    • C12M23/02Form or structure of the vessel
    • C12M23/14Bag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3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 C12M41/36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concentration of biomass, e.g. colony counters or by turbidity measur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06Fluid handling related problems
    • B01L2200/0684Venting, avoiding backpressure, avoid gas bub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6Auxiliary integrated devices, integrated components
    • B01L2300/0627Sensor or part of a sensor is integrated
    • B01L2300/0654Lenses; Optical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400/00Moving or stopping fluids
    • B01L2400/04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 B01L2400/0475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 B01L2400/0481Moving fluids with specific forces or mechanical means specific mechanical means and fluid pressure squeezing of channels or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2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 B01L3/5027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 B01L3/502723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with fluid transport, e.g. in multi-compartment structures by integrated microfluidic structures, i.e. dimensions of channels and chambers are such that surface tension forces are important, e.g. lab-on-a-chip characterised by 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한다.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하며,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한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름 부재로 누르고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낸다. 이때,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누름 부재를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수평으로 맞대고, 반복해서 아래위로 흔들리게 진동함으로써 또는 누름 부재를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맞대어, 용기 윗면에 대해 수평으로 될 때까지 이동 또는 요동시킴으로써 또는 누름 부재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누름 부재가 봉 형상 부재이며 누름 부재를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맞대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낸다.

Description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BUBBLE REMOVAL METHOD AND BUBBLE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액체 중의 기포의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에 기포를 포함한 액체가 봉입(封入)되어 해당 용기의 일부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기 위한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의약품의 생산과 유전자 치료, 재생 의료, 면역 요법 등의 분야에서 세포나 조직, 미생물 등을 인공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대량으로 배양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스 투과성 배양 백을 사용하여 폐쇄계에서 자동적으로 세포를 대량 배양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세포를 장기간 배양하는 데 있어서는 일정 시간마다 배양 백(bag) 내의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하여 배양된 세포의 수나 그 상태를 정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요구되며, 그때에 항상 안정된 촬영 화상을 얻는 것이 필수 불가결하다.
그런데 배양 백 내의 배양액은 마치 비눗물처럼 거품이 이는 것도 있기 때문에 세포를 촬영하는 경우에 기포가 촬영되어 적절히 계수 및 관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배양 백 안에 기포가 생기는 이유는 주로 2가지로 생각된다. 하나는 배양 백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미리 용해시킨 배양액이 봉입 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사용 전에 냉장 보관된 배양액이 사용에 있어서 데워 지면 녹아 있던 이들 기체가 기포로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 하나는 배양 백을 형성하는 필름은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투과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배양액을 균일화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배양 백을 진탕(振)함으로써 배양 백 내의 배양액을 교반하면 외부에서 필름을 투과해서 배양 백 안에 들어온 기체에 의해서 배양액이 거품이 일고 기포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렇게 발생한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몰아내지 않으면 용기 내를 촬영했을 때에 기포가 촬영되어 안정된 화상을 얻지 못해서 관찰이 실패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가 있는 기존의 배양 백 관찰 장치의 구성과 이를 사용해서 세포 관찰을 하는 모습을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다.
도 12와 같이 종래의 배양 백 관찰 장치에서는 기포 (1')를 포함한 배양액 (2')이 봉입된 배양 용기 (3')가 적재대 (4')에 재치(載置, 올려 놓아둠)되어 있다. 그리고 배양 용기 (3')의 관찰 범위를 조명 (9')에 의해서 비춰서 촬영 수단 (8')에 의해서 용기 내의 세포의 사진을 찍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배양액에는 미리 산소나 이산화탄소가 용존하고 있으므로 도 13(a)와 같이 이들이 기포로서 발생할 수 있다. 이런 기포는 비교적 작은 경우가 많다. 그러나 현미경과 카메라를 갖춘 촬영 수단 (8')에 의해서 세포의 확대 사진을 찍을 경우 작은 기포라도 크게 찍히기 때문에 그 영향은 크다. 이 때문에 작은 기포가 발생한 경우라도 세포 관찰을 적절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세포 배양에서는 배양 백 내의 배양액을 섞지만, 이러한 교반을 실시하면 도 13(b)와 같이 배양 백을 형성하는 필름을 투과해 온 기체가 교반에 의한 거품이 일고, 용기 내에 기포가 발생한다. 이런 기포는 비교적 크며 또한 응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상태로 촬영 수단 (8')에 의한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해도 세포 관찰은 거의 이뤄질 수 없었다.
여기서 액체 중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기 내에서의 액체의 유로에 압력 차이를 둠으로써 액체 내의 기포의 이동을 제어하여 이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초음파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액체 중의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는 흐름 제어 액추에이터(actuator)를 제어함으로써 세포 배양실에 추가 배양액을 공급하고 이로써 기포를 내쫓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WO2007/077607호 [특허 문헌 2] 일본특허 공개공보 2004-198356호 [특허 문헌 3] 일본특허 공개공보 2009-31173호 [특허 문헌 4] 일본특허 공보 특표 평 11-507229호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방법은 액체를 흐르게 하면서 기포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배양 백을 사용한 세포 배양에 적절한 것이 아니고, 이 방법으로는 배양 백 내의 세포 관찰을 적절히 할 수 없다. 또한 특허 문헌 2,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초음파를 사용하는 경우, 세포에 악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추가하는 배양액으로 기포를 제거하면 동시에 세포도 관찰 범위에서 제거되므로 세포 관찰을 위해 적용할 수는 없다.
액체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그 밖에 기포가 발생한 상태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온도를 낮추고 압력을 높이고 습도를 올리는 방법도 생각된다. 또한 소포제를 사용하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배양 백을 사용한 세포 배양에서 배양 백 내의 기포를 제거할 경우 온도를 낮추는 것은 세포 증식 효율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압력을 올리는 방법은 배양 개시시 등에서의 비교적 작은 배양 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만 큰 배양 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장치가 대형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습도를 올리는 방법으로는 작은 기포가 비교적 발생하기 어렵고, 배양 백 밖에서 투과하는 기체의 양도 줄일 수 있어서 배양액을 교반함으로써 발생하는 큰 기포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곰팡이가 발생할 수도 있는 등 위생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소포제는 세포의 생존과 증식에 대해서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배양액에 첨가하기에는 적당하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예의 연구를 하여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르고,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데 성공해서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이러한 방법에 따르면 세포에 해를 주지 않고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배양 백 내의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할 경우 기포가 찍히지 않는 화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런 방법은 세포 배양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일부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할 경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은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하며,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름 부재로 누르고,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는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용기 내의 일부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장치이며, 투명 부재 또는 구멍으로 이루어진 관찰 영역을 갖추고, 용기를 올려놓고, 관찰 영역의 위쪽의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규정하는 적재대와,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르는 누름 부재와, 누름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추고, 구동 장치가 누름 부재를 이동시켜서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배양 백을 사용해서 세포 배양을 할 경우, 세포에 해를 주지 않고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배양 백 내의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하여 기포가 찍히지 않는 화상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의 제1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에서의 방법 1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의 제2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에서의 방법 2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에서의 방법 2'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의 제4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에서의 방법 3의 공정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의 제5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장치의 제6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결과를 보여 주는 사진 도이다.
도 12는 기존의 배양 백 관찰 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기존의 배양 백 관찰 장치를 사용한 세포 관찰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의 개요에 대해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은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하고,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한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름 부재로 누르고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3가지 방법이 있으며 이들을 조합할 수도 있다.
(방법 1: 수평 압출 법)
방법 1은 봉 형상 누름 부재(棒押部材) (6-1)를 수평으로 하여 용기 윗면에 대고(닿게 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 내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용기 윗면의 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방법이다.
(방법 2: 경사 압출 법)
방법 2는 판 형상 누름 부재(板押部材) (6-2)를 사용하여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 내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주어 누르고(닿게 하고),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방법이다.
(방법 2':경사 밀어내기 요동 법)
방법 2'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사용하여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 내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하여 누르고, 해당 각도를 갖게 한 위치와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이 되는 위치 사이에서 판 형상 누름부재 (6-2)를 요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방법이다.
(방법 3:상하 운동 반복 법)
방법 3은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수평으로 하여 사용하여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 내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용기 윗면의 일부를 누르고, 판 형상 누름부재 (6-3)를 상하로 반복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방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양액에 녹아 있던 기체가 기포로 발생하는 경우는, 작은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외부에서 필름을 투과해서 배양 백 안에 들어간 기체가 배양액을 섞을 때 거품이 일고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는 비교적 큰 기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작은 기포란 지름이 약 0.1mm 이하 크기의 것을 의미하며, 큰 기포란 지름이 약 0.1mm보다 큰 것을 의미한다.
큰 기포는 방법 1, 2, 2', 3의 어느 방법으로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작은 기포, 특히 수십 μm 정도의 것은 배양 백의 내면에 붙어서 이동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세포 관찰은 현미경 사진을 촬영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은 기포라도 세포보다 사이즈가 커서 확대되면 그 영향은 크다. 방법 1 또는 방법 2에 의해서 기포의 제거를 할 경우 배양 백의 내면에 붙어 있지 않은 작은 기포는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배양 백의 내면에 붙어 있는 작은 기포는 제거가 어렵다. 이에 대해서 방법 2' 또는 방법 3에 의한 경우는, 작은 기포도 효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조합해서 사용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으로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다.
[제1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상기 방법 1의 기포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포 (1)를 포함한 액체 (2)가 봉입된 용기 (3)와, 이 용기 (3)를 적재한 적재대 (4)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봉 형상 누름 부재 (6-1)와, 이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1)를 갖추고 있다.
용기 (3)는 연포재를 재료로서, 주머니 모양(백형)으로 형성한 용기이며, 액체를 봉입하는 것이 가능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라면 좋고,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액체 내의 기포를 이동시켜서 관찰 범위에서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투명한 재료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용기 (3)의 재료로서 연포재를 사용함으로써, 용기 (3)에 가요성,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래서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3)를 누름으로써, 용기 (3) 내의 기포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3)를 세포 배양 용기로서 세포 배양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 세포 배양에 필요한 가스 투과성이 있으며 또한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성을 가지고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조건을 충족시키는 용기의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 합체, 스티렌계 일래스터머(elastomer), 폴리에스테르계 열 가소성 일래스터머, 실리콘계 열 가소성 일래스터머, 실리콘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용기 (3)에 봉입되는 액체 (2)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기포가 발생하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을 세포 배양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액체 (2)로서 세포 배양액이 사용되지만, 배양액은 기포가 발생하기 매우 쉽다. 즉 배양액에는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용해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기포로서 발생하기 쉽고, 또한 용기 (3)의 재료로서 가스 투과성을 가진 것이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용기 (3) 안으로 투과하는 기체에 의해서 기포가 생기기 쉽게 되어 있다.
적재대 (4)는 그 윗면에 용기 (3)를 올려놓는 평면의 대(台)이다. 적재대 (4)는 관찰 영역으로서의 관찰 구멍 (5)을 갖추고 관찰 영역의 위쪽의 용기 (3)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서 규정한다. 이 관찰 구멍 (5)을 통해서 용기 (3)의 내부를 관찰 장치 (8) 등에 의해서 관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적재대 (4)의 관찰 영역을 관찰 구멍 (5)으로 바꿔서 투명 부재에 의해서 구성해도 된다. 적재대 (4)에는 예를 들면 용기 (3)를 적재대 (4)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도구 등, 용기 (3)를 고정시키기 위한 각종 구성을 설치할 수 있다.
봉 형상 누름 부재 (6-1)는 길이 방향이 수평이 되는 배치로 용기 (3)의 상면 일부를 위에서 누르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누름 부재이다. 봉 형상 누름 부재 (6-1)는 이런 동작에 따라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 및 도 3과 같이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들 도면에서 봉 형상 누름 부재 (6-1)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축 방향이 용기 (3)의 폭 방향과 평행이 되도록 용기 (3)의 윗면에 정해진 위치에 설치되고, 용기 (3)의 길이 방향에 따라 수평으로 회전 이동할 수 있다. 봉 형상 누름 부재 (6-1)의 축 방향의 길이는 용기 (3)의 폭보다 길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봉 형상 누름 부재 (6-1)는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의 영역을,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면서 통과한다. 이에 따라 봉 형상 누름 부재 (6-1)의 이동에 따라 용기 (3) 내에서 기포를 이동시켜서 관찰 범위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동 장치 (7-1)는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연결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봉 형상 부재의 수평 이동 수단이다. 구동 장치 (7-1)는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용기 (3)에 누른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2와 같이 전동식 구동부 (7-1a)와 봉 형상 누름 부재 (6-1)에 연결되어 구동부 (7-1a)에 의해서 이동되는 지지부 (7-1b)를 갖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지지부 (7-1b)는 적재대 (4) 한 쪽에 위쪽으로 향해서 세워 설치되어, 봉 형상 누름 부재 (6-1)의 끝에 연결되어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지지하고 있다. 이 지지부 (7-1b)를 적재대 (4)의 양측에 갖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 (7-1b)는 구동부 (7-1a)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부 (7-1b)를 구동부 (7-1a)에 의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지부 (7-1b)에 연결된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용기 (3)를 누르는 수평 위치에서 수평 이동시키고, 용기 (3) 내의 기포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지지부 (7-1b)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구동 장치 (7-1)에 추가로 갖춰서, 용기 (3)를 누르는 수평 위치를 쉽게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의 구동부로서는 전동 실린더(수평 방향 동작용 액추에이터 또는 수직 방향 동작용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 액추에이터로 바꾸어 공기압과 유압, 전자력을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거나 모터나 캠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용기 (3) 위에서 누름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누름 부재를 고정하여 용기 (3)를 이동시키게 해도 된다. 이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를 세포 배양에 사용할 경우에는 적재대 (4)에 설치된 관찰 영역(관찰 구멍 (5) 또는 투명 부재)을 통해서 용기 (3) 내의 세포를 촬영하기 위한 관찰 장치 (8)와 용기 (3)의 관찰 범위를 비추는 조명 (9)을 갖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찰 장치 (8)는 카메라 기능을 갖춘 현미경이며, 일정 시간마다 관찰 영역을 통해서 용기 (3) 내의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촬영으로 얻어진 화상 데이터는 정보 처리 장치에 입력되며, 그 화상에서의 세포 수가 카운트된다. 이러한 관찰 장치 (8)나 자동 촬영 방법 및 세포 수의 카운트 방법은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기능은 현미경 본체와 별도로 설치해도 좋다.
조명 (9)은 적재대 (4)에 대해서 관찰 장치 (8)와 반대편에 구비되어, 적재대 (4)의 관찰 영역 위에 있는 용기 (3)의 관찰 범위에 빛을 쪼여, 관찰 장치 (8)에 의한 촬영을 위한 광량을 공급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이러한 기포 제거 장치 등을 사용하여, 도 3과 같이 용기 (3) 내의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즉, 봉 형상 누름 부재 (6-1)에 의해서 용기 (3)의 상면을 누르고,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이동시켜서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의 위쪽을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 (3) 내의 기포를,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 위쪽에 위치하는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관찰 장치 (8)에 의한 용기 (3) 내의 촬영을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의하면, 용기 (3) 내의 기포를 이동시켜서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히 기포가 비교적 큰 경우에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상기 방법 2의 기포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포 (1)를 포함한 액체 (2)가 봉입된 용기 (3)와, 이 용기 (3)를 적재한 적재대 (4)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와, 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회전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2)를 갖추고 있다.
용기 (3)와 적재대 (4)는 제1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2)는 용기 (3)의 상면을 수평 면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고 누르면서, 수평이 될 때까지 회전 이동하는 경사 누름 부재이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2)는 이러한 동작에 의해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와 같은 수평면이 장방형인 것 외에, 각종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는 비교적 작은 판 형상 누름 부재 (6-2)가 도시되고, 도 5에는 용기 (3)의 폭보다 긴 장변을 갖춘 투명한 판 형상 누름 부재 (6-2)가 도시되어 있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2)는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 위의 영역에 대해서 각도를 가지고 대어지고(접촉하고), 수평으로 되는 상태에서 해당 영역 위를 가리도록 배치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용기 (3)의 수평면에 대해서 비스듬히 한 상태에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에 의해서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수평으로 될 때까지 회전 이동시키면 기포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에 따라 용기 (3) 내를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장치 (7-2)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연결해서 회전 이동시키는 것으로, 판 형상 부재의 회전 이동 수단이다. 구동 장치 (7-2)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용기 (3)의 상면을 비스듬히 누를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4와 같이 전동식 구동부 (7-2a)와, 판 형상 누름 부재 (6-2)에 연결되어 구동부 (7-2a)에 의해서 이동되는 지지부 (7-2b)를 갖춘 것으로 할 수 있다.
이 도면에서 지지부 (7-2b)는 한쪽 끝에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연결하고, 다른 한 쪽 끝에 회전축을 통해서 구동부 (7-2a)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부 (7-2a)가 지지부 (7-2b)를 회전시킴으로써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용기 (3)에 대해서 위쪽에서 비스듬히 누르면서 회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 (7-2a)로써는 회전 구동용 전동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전동 액추에이터를 바꾸어 공기압이나 유압, 전자력을 이용한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를 세포 배양에 사용할 경우 제1실시 형태와 같은 관찰 장치 (8)와 조명 (9)을 갖춘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이러한 기포 제거 장치 등을 사용함으로써 도 5와 같이 용기 (3) 내의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제거하는 방법이다. 즉,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 바로 위의 영역에 대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각도를 갖게 하여 접촉하게 하고, 용기 (3)의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회전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 (3) 내의 기포를,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 위쪽에 위치하는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으며, 관찰 장치 (8)에 따른 용기 (3) 내의 촬영을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따르면 특히 기포가 비교적 큰 경우에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3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상술한 2'의 방법이며 기포 제거 장치로서는 제2실시 형태에서의 장치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도 6과 같이,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 위의 영역에 대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각도를 갖게 하여 눌러 대고(접촉하고), 해당 각도를 갖게 한 위치와 용기 (3)의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의 사이에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요동시킨다. 이때 요동 운동은 세밀하고 빠른 동작으로 용기 (3)를 태핑(tapping)하도록 한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요동 운동시킬 때의 속도로는 50mm/sec ~ 500mm/sec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mm/sec보다 느릴 경우에는 기포가 충분히 이동하지 못하고, 500mm/sec보다 빠를 경우에는 용기 (3)의 내부가 심하게 교반되어, 세포 손상이 우려되고 장치 측의 부하도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요동 운동시키는 횟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용기 (3)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왕복마다 일정한 시간 정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의하면,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요동 운동시킴으로써 판 형상 누름 부재 (6-2)의 아래쪽에 있는 기포를 주위에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포가 작은 경우에도 관찰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4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7과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상기 방법 3의 기포 제거 방법을 실시하는 경우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이들 도면과 같이, 기포 (1)를 포함한 액체 (2)가 봉입된 용기 (3)와, 이 용기 (3)를 적재한 적재대 (4)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3)와, 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3)를 갖추고 있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3)는 용기 (3)의 상면의 일부에 대해서 수평으로 대고, 반복해서 상하로 운동하여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태핑 부재이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3)는 이러한 동작에 따라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7과 같은 수평면이 장방형의 것 외에, 각종 모양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3)는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의 위쪽, 즉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배치되어,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의 바로 위를 포함한 영역을 누른다.
구동 장치 (7-3)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연결하고, 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수직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판 형상 부재의 상하 이동 수단이다. 구동 장치 (7-3)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상하로 왕복 운동시킴으로써 용기 (3) 내를 교반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도 6과 같이 전동 실린더(수직 방향 동작용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 연결된 지지부 (7-3b)를 구동시키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동 액추에이터 대신 공기압과 유압, 전자력을 이용한 액추에이터를 사용하거나 모터나 캠을 사용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에서는 이와 같은 기포 제거 장치 등을 사용해서 도 8과 같은 공정으로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먼저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용기 (3)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키고, 적재대 (4)의 관찰 구멍 (5)의 위쪽의 용기 (3)의 상면을 누른다. 이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는 왕복 운동을 적어도 1회 이상 반복하고,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킨 위치에서 정지시킨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 의해서 용기 (3)를 누르면서 하강시키면 용기 (3) 내의 액체 (2)와 함께 기포 (1)가 용기 (3) 내에서의 판 형상 누름 부재 (6-3)의 아래쪽의 범위에서 주위로 흘러나가고, 이에 따라 기포 (1)가 관찰 범위에서 제거된다. 또한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 의해서 용기 (3)를 누른 상태에서 상승시키면 관찰 범위에 주위의 액체 (2)가 끌어들여져서 이에 따라 용기 (3)의 내면에 붙은 기포 (1)를 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에 따르면 용기 (3) 내에서 기포가 이동하는 액체의 흐름을 만들어 낼 수 있고, 용기 (3)의 내면에 붙은 작은 기포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용기 (3)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서 용기 (3)의 저면까지의 거리나,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하의 폭은 용기 (3)에 봉입하는 액체 (2)의 양과 용기 (3)의 두께 등에 따라 적당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30mm×300mm크기의 세포 배양 용기에 배양액을 250ml 충전할 경우, 액체의 두께가 약 5mm정도가 되고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서 용기 (3)의 저면까지의 거리를 1mm이하,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왕복 운동시키는 상하의 폭을 5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적절하게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왕복 운동시킬 때의 속도로서는 50mm/sec ~ 500mm/sec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mm/sec보다 느릴 경우에는 기포가 충분히 이동하지 못하고, 500mm/sec보다 빠를 경우에는 용기 (3)의 내부가 심하게 교반되어, 세포 손상이 우려되고 장치 측의 부하도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왕복 운동시키는 횟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용기 (3)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1왕복마다 일정한 시간 정지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의하면,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반복해서 아래위로 흔들면 판 형상 누름 부재 (6-3)의 아래쪽에 있는 기포를 주위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기포가 작은 경우라도 관찰 범위에서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5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제1실시 형태와 제2실시 형태를 조합한 구성을 갖추고 있어서, 상기 방법 1과 방법 2 양쪽을 실시하여 기포를 제거할 경우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기포 (1)를 포함한 액체 (2)가 봉입된 용기 (3)와, 이 용기 (3)를 적재한 적재대 (4)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봉 형상 누름 부재 (6-1)와, 이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1)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2)와, 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2)를 갖추고 있다. 이들 각 구성으로서는 제1실시 형태 또는 제2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방법 1과 방법 2 양쪽을 실시하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먼저, 구동 장치 (7-1)를 구동시켜서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 바로 위의 영역을 누르면서 통과시킨다. 도 9에서 봉 형상 누름 부재 (6-1)의 수평 위치는 적재대 (4) 상의 용기 (3)를 적절하게 누를 수 있는 위치에 미리 조정되어 있고,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용기 (3)를 위쪽으로 누르며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포를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 장치 (7-2)를 구동시켜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수평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둔 상태에서 용기 윗면에서의 관찰 범위의 바로 위를 포함한 영역을 위쪽에서 누르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가 수평으로 될 때까지 회전 운동시킨다. 이에 따라 기포를 판 형상 누름 부재 (6-2)의 저면을 따라 용기 (3) 내에서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2)의 아래쪽에서 몰아낼 수 있고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따르면 봉 형상 누름 부재 (6-1)에 의해서 용기 (3)를 누르면서,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에서 제거한 뒤 다시 판 형상 누름 부재 (6-2)를 수평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둔 상태에서 용기 (3)를 위쪽에서 누르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회전 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봉 형상 누름 부재 (6-1)에 의한 기포 제거 후에 관찰 범위에 기포가 남아 있었다고 해도 그 남은 기포의 제거를 판 형상 누름 부재 (6-2)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1실시 형태 및 제2실시 형태의 각 실시 형태를 각각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보다 기포의 제거를 보다 정밀도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방법 1과 방법 2'의 양쪽을 실시함으로써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것도 좋다. 이 방법에 따르면 방법 1과 방법 2 양쪽을 실시하는 경우에 비해서 작은 기포를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포의 제거를 더욱 정밀도를 높게 할 수 있게 된다.
[제6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제1실시 형태와 제4실시 형태와 조합한 구성을 갖추고 있어서, 상기 방법 1과 방법 3의 양쪽을 실시하여 기포를 제거할 경우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는 기포 (1)를 포함한 액체 (2)가 봉입된 용기 (3)와, 이 용기 (3)를 적재한 적재대 (4)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막대 누름 부재 (6-1)와, 이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1)와, 용기 (3)의 상면을 누르는 판 형상 누름 부재 (6-3)와, 이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 (7-3)를 갖추고 있다. 이들 각 구성으로서는 제1실시 형태 또는 제4실시 형태의 것과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은 방법 1과 방법 3의 양쪽을 하고 있으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장치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공정을 갖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먼저 제5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구동 장치 (7-1)를 구동시켜서 봉 형상 누름 부재 (6-1)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용기 (3)의 상면에 있어서의 관찰 범위 바로 위의 영역을 누르면서 통과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 (3) 내에 작은 기포와 비교적 큰 기포가 생긴 경우, 용기 (3)의 내면에 붙어 있지 않은 작은 기포와 비교적 큰 기포를 이동시켜서,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 밖에 제거할 수 있다.
다음에 구동 장치 (7-3)를 구동시켜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상하 방향으로 반복해서 이동시킨다. 예를 들면,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용기 (3)의 상면을 누르고, 이어서 용기 (3)의 상면을 누른 상태에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상하로 2회 왕복 운동을 시킬 수 있다. 또한 왕복 운동 횟수는 용기 (3) 내에서 발생하는 기포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고, 1회 또는 3회 이상이라도 좋다. 이에 따라 용기 (3)의 내면에 붙어 있는 작은 기포도 판 형상 누름 부재 (6-3)의 아래쪽의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서 용기 (3)에서의 관찰 범위 밖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의하면 먼저 비교적 이동시키기 쉬운 기포를 봉 형상 누름 부재 (6-1)에 의해서 용기 (3)를 누르면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관찰 범위에서 제거하고, 이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에 의해서 용기 (3)를 누르면서 판 형상 누름 부재 (6-3)를 아래위로 흔들리게 함으로써 용기 (3)의 내면에 붙어서 이동시키기 어려운 작은 기포도 관찰 범위에서 제거할 수 있다.
그래서 용기 (3) 안에 큰 기포와 작은 기포가 생겨 있는 경우에도 이들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
(실시예 1)
제4실시 형태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를 사용해서 기포를 포함한 액체가 봉입된 용기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실험을 하였다.
용기로는 LLDPE(직쇄(直鎖)형상 저밀도 폴리 에틸렌)제, 사이즈가 230mm × 300mm 필름 두께 0.1mm의 백을 사용하였다. 액체로서는 물 250cc와 식기 세척용 액체 세제 1cc에 공기 10cc를 혼입하여 용기에 봉입하고 하얗게 보일 때까지 거품을 냈다. 액체를 봉입했을 때의 백의 두께는 약 5mm였다.
판 형상 누름 부재로는 사이즈가 40mm×40mm의 스테인리스제이며 유리의 관찰 창문을 갖춘 것을 사용하고, 구동 장치로서는 에어 실린더(주식 회사 코가네이제)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판 형상 누름 부재를 그 바닥과 용기의 바닥의 거리가 1mm가 될 때까지 누르고, 5mm의 폭으로 상하로 2회 이동시켰다. 이때의 판 형상 누름 부재의 상하 방향의 속도는 약 100mm/sec였다. 그 결과를 도 11에 나타낸다. 이 도에서 기포의 상태는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험 개시 시에 있어서, 용기 내의 비눗물은 하얗게 거품이 일고, 용기 내 전체에 기포가 존재한다.
도 11(b)는 누르기 전의 용기에서의 관찰 범위의 모습을 나타냈으며 희게 혼탁한 기포가 다수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c)는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아래쪽으로 이동시켜서, 용기를 누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관찰 범위에서의 일부 기포는 제거되었으나 판 형상 누름 부재 아래(간극 약 0.5mm)에 기포가 아직 존재하고 있다.
도 11(d)는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상하로 한번 왕복 운동시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포는 조금만 남아 있다.
도 11(e)은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상하로 두 번 왕복 운동시킨 직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기포는 관찰 범위에서 제거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에 의하면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용기 윗면에서의 관찰 범위 바로 위의 영역을 누르면서,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관찰 범위 밖으로 효율적으로 밀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예컨대, 본 발명은 세포 배양에 대한 과제를 해결하도록 고안된 것인데, 실시예에서도 명백한 바와 같이 세포 배양에서만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고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 안에 액체가 봉입되어 용기의 일부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에, 널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실시 형태와 제4실시 형태를 조합하여,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수평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둔 상태에서 용기를 위쪽에서 누르면서 회전 운동시켜서 수평으로 하고, 이어서 이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아래위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3실시 형태와 제4실시 형태를 조합하여,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수평 방향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한 위치와,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판 형상 누름 부재를 회전 이동시킨 위치와의 사이에서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요동시키고, 이어서 이 판 형상 누름 부재를 아래위로 이동시키는 등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포 배양 용기를 사용해서 세포를 대량 배양하면서 세포를 자동적으로 촬영하고 관찰할 경우,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 안에 액체가 봉입되어 용기의 일부 영역에서 기포를 제거하고 싶은 경우에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기포
2 액체
3 용기
4 적재대
5 관찰 구멍
6-1 봉 형상 누름 부재
6-2 판 형상 누름 부재
6-3 판 형상 누름 부재
7-1,7-2,7-3 구동 장치
7-1a, 7-2a, 7-3a 구동부
7-1b, 7-2b, 7-3b 지지부
8 관찰 장치
9 조명

Claims (11)

  1.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상기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하며, 상기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름 부재로 누르고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수평으로 닿게 하고, 반복해서 아래위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3.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용기의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하여 닿게 하고,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하여 닿게 하고, 해당 각도를 갖게 한 위치와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킨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누름 부재를 요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를 한 개 또는 두 개 이상 사용하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누름 부재가 봉 형상 부재이며,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닿게 하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6.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 내부의 일부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방법이며,
    상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름 부재로 누르고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방법.
  7. 기포가 혼재하는 액체가 봉입된 연포재로 구성된 용기의 내부를 관찰할 때, 상기 용기 내의 일부의 관찰 범위에서 기포를 제거하는 기포 제거 장치이며,
    투명 부재 또는 구멍으로 된 관찰 영역을 갖추고, 상기 용기를 올려놓고, 상기 관찰 영역의 상부의 상기 용기 내의 일부를 관찰 범위로 하여 규정하는 적재대와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를 위에서 누르는 누름 부재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 장치를 갖추고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켜서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 수평으로 눌러대고, 반복해서 아래위로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상 부재이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에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눌러대고,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장치.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판 형상 부재이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한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에 대해서 각도를 갖게 눌러대고, 해당 각도를 갖게 한 위치와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될 때까지 상기 누름 부재를 이동시킨 위치와의 사이에서 상기 누름 부재를 요동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장치.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가 하나 또는 두개 이상 갖추어지고
    적어도 하나의 상기 누름 부재가 봉 형상 부재이며,
    상기 구동 장치가 상기 누름 부재를 상기 용기 윗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눌러대고,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관찰 범위의 위쪽으로 위치하는 상기 용기 윗면의 일부를 통과시킴으로써 기포를 상기 관찰 범위 밖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 제거 장치.
KR1020157003864A 2012-09-24 2013-09-04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 KR101696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09956A JP6051730B2 (ja) 2012-09-24 2012-09-24 気泡除去方法、及び気泡除去装置
JPJP-P-2012-209956 2012-09-24
PCT/JP2013/005226 WO2014045532A1 (ja) 2012-09-24 2013-09-04 気泡除去方法、及び気泡除去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073A true KR20150038073A (ko) 2015-04-08
KR101696380B1 KR101696380B1 (ko) 2017-01-13

Family

ID=5034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3864A KR101696380B1 (ko) 2012-09-24 2013-09-04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77124B2 (ko)
EP (1) EP2899283A4 (ko)
JP (1) JP6051730B2 (ko)
KR (1) KR101696380B1 (ko)
CN (2) CN107252708A (ko)
WO (1) WO20140455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66A (ko) * 2015-06-22 2018-04-25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배양방법, 세포 배양용 지그 및 세포 배양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97703B1 (fr) * 2012-11-07 2016-12-30 Biomerieux Sa Procede de traitement d'au moins un echantillon biologique
BR112015028167B1 (pt) * 2013-05-07 2021-06-22 Biosafe S.A. Dispositivo para mistura de amostras biológicas, método de mistura de amostras biológicas, e, uso do dispositivo
JP6524784B2 (ja) * 2015-04-27 2019-06-05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システムの攪拌装置、及び細胞培養システムの攪拌方法
JP2017046649A (ja) * 2015-09-02 2017-03-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細胞凍結保存容器
WO2017090760A1 (ja) * 2015-11-27 2017-06-01 株式会社京都製作所 培養装置
RU2747305C2 (ru) 2016-06-17 2021-05-04 Калиста, Инк.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нтенсификации производства биомассы
CN110382681A (zh) 2017-01-10 2019-10-25 凯利斯塔公司 利用垂直流动区的进气发酵反应器、系统和方法
CN111107919B (zh) 2017-08-14 2021-12-21 凯利斯塔公司 利用气/液分离容器的进气发酵反应器、系统和方法
WO2019123662A1 (ja) * 2017-12-22 2019-06-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生体計測装置、生体計測システム、及び生体計測方法
DE102018214972A1 (de) * 2018-09-04 2020-03-05 Kron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drängen von Luft aus Flaschen mit karbonisierten Getränken
CN109626322B (zh) * 2018-12-17 2021-09-07 南通大学 纳米尖锥状聚合物阵列的简易制备方法及sers应用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29A (ja) 1995-06-07 1999-06-29 アアストロム 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物細胞を維持及び培養に使用するポータブルカセット
JP2004198356A (ja) 2002-12-20 2004-07-15 Univ Tohoku 試料の密度測定方法、及び試料表面の気泡除去方法
JP2005034020A (ja) * 2003-07-17 2005-02-10 Gunze Ltd 細胞播種方法及び細胞播種用ローラー
JP2006098385A (ja) * 2004-08-30 2006-04-13 Isao Sato 異物検出方法
WO2007077607A1 (ja) 2005-12-28 2007-07-12 Shimadzu Corporation 圧力差気泡移動制御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用いたガス交換装置、導電率測定装置、全有機体炭素測定装置、反応装置及び細胞培養装置
JP2009031173A (ja) 2007-07-30 2009-02-12 Toppan Printing Co Ltd 高精度液中パーティクル計測装置
JP2011087498A (ja) * 2009-10-21 2011-05-06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内の計数対象物の計数方法、及び計数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8908B1 (en) 1995-06-07 2001-05-29 Aastrom Bioscienc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and growth biological cells
US5985653A (en) 1995-06-07 1999-11-16 Aastrom Biosciences, Inc. Incubator apparatus for use in a system for maintaining and growing biological cells
US6096532A (en) 1995-06-07 2000-08-01 Aastrom Biosciences, Inc. Processor apparatus for use in a system for maintaining and growing biological cells
US6228635B1 (en) 1995-06-07 2001-05-08 Aastrom Bioscience, Inc. Portable cell growth cassette for use in maintaining and growing biological cells
US7939315B2 (en) 2004-02-23 2011-05-10 Eudes Francois Marie De Crecy Continuous culture apparatus with mobile vessel, allowing selection of filter cell variants
US20070037276A1 (en) 2004-02-23 2007-02-15 Eudes Francois Marie De Crecy Continuous culture apparatus with mobile vessel, allowing selection of fitter cell variants and producing a culture in a continuous manner
EP1616619A1 (de) * 2004-07-17 2006-01-18 Tecan Tradin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reitstellen einer Hybridisierkammer und zum Beeinflussen von Luftblasen in derselben
JP4706327B2 (ja) * 2005-05-13 2011-06-22 東洋製罐株式会社 細胞培養容器
JP5042235B2 (ja) * 2005-12-30 2012-10-03 ドラッグモード アーペーエス 細胞および組織の培養のためのバイオリアクター
JP4803362B2 (ja) * 2006-01-26 2011-10-26 東洋製罐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パウチへの液状内容物充填密封方法及びその装置
CN101157277A (zh) * 2007-10-15 2008-04-09 武汉金德涞生物科技有限公司 血浆袋气泡挤压机
EP2604680A4 (en) 2010-08-12 2015-06-24 Hitachi Ltd AUTOMATIC CULTURE DEVICE
JP5786444B2 (ja) * 2011-05-17 2015-09-30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細胞培養方法、及び細胞培養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07229A (ja) 1995-06-07 1999-06-29 アアストロム バイオサイエン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生物細胞を維持及び培養に使用するポータブルカセット
JP2004198356A (ja) 2002-12-20 2004-07-15 Univ Tohoku 試料の密度測定方法、及び試料表面の気泡除去方法
JP2005034020A (ja) * 2003-07-17 2005-02-10 Gunze Ltd 細胞播種方法及び細胞播種用ローラー
JP2006098385A (ja) * 2004-08-30 2006-04-13 Isao Sato 異物検出方法
WO2007077607A1 (ja) 2005-12-28 2007-07-12 Shimadzu Corporation 圧力差気泡移動制御方法、並びにその方法を用いたガス交換装置、導電率測定装置、全有機体炭素測定装置、反応装置及び細胞培養装置
JP2009031173A (ja) 2007-07-30 2009-02-12 Toppan Printing Co Ltd 高精度液中パーティクル計測装置
JP2011087498A (ja) * 2009-10-21 2011-05-06 Toyo Seikan Kaisha Ltd 容器内の計数対象物の計数方法、及び計数用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166A (ko) * 2015-06-22 2018-04-25 도요세이칸 그룹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세포 배양방법, 세포 배양용 지그 및 세포 배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45532A1 (ja) 2014-03-27
EP2899283A1 (en) 2015-07-29
KR101696380B1 (ko) 2017-01-13
CN104619855A (zh) 2015-05-13
CN104619855B (zh) 2018-05-25
JP6051730B2 (ja) 2016-12-27
CN107252708A (zh) 2017-10-17
EP2899283A4 (en) 2016-05-04
US10077124B2 (en) 2018-09-18
JP2014064476A (ja) 2014-04-17
US20150191262A1 (en)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6380B1 (ko) 기포 제거 방법 및 기포 제거 장치
KR101773601B1 (ko) 세포 배양 방법, 세포 배양 장치, 용기 내의 계수 대상물의 계수 방법, 및 계수용 장치
KR102538721B1 (ko) 미세유체 세포 배양
KR102545538B1 (ko) 세포 배양방법, 세포 배양용 지그 및 세포 배양장치
JP6549985B2 (ja) 培養装置、培養システム、及び培養方法
CN111511898A (zh) 细胞培养方法及装置
CN112384809A (zh) 流体自动采样器和培育器
JP6873456B2 (ja) 細胞搬送システム
JP5999646B2 (ja) 自動細胞ハンドリングロボットにおける泡沫除去デバイス
US20160090570A1 (en) Apparatus for culturing cells and method for culturing cells
JP2006025767A (ja) 反応処理装置
CA3059826C (en) Method for processing a liquid sample
JP2008048644A (ja) 培養器具及び培養装置
JP2005348690A (ja) 物質導入装置
CN117660183B (zh) 胚胎微流控动态培养皿及其培养方法
JP2005176644A (ja) 物質導入粒子自動生産装置
CN208087632U (zh) 细胞自动扩增培养设备
JP2005348689A (ja) 分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