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7115A -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7115A
KR20150037115A KR20130116385A KR20130116385A KR20150037115A KR 20150037115 A KR20150037115 A KR 20150037115A KR 20130116385 A KR20130116385 A KR 20130116385A KR 20130116385 A KR20130116385 A KR 20130116385A KR 20150037115 A KR20150037115 A KR 20150037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kin whitening
ginseng
wrink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철
황상규
최준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함양산양삼
Priority to KR20130116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7115A/ko
Priority to CN201410361819.0A priority patent/CN104510700A/zh
Publication of KR20150037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추출하여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단계 2);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에 상기 농축된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며, 산양삼 추출물, 산삼배양근 농축액,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동시에 적용하여 다섯 가지 생약재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향상된 항주름 및 미백개선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of herb extracts for anti-wrinkling and skin whitening, herb extracts for anti-wrinkling and skin whitening manufactured by the same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ing and skin whitening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양삼 추출물, 산삼배양근 농축액,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동시에 적용하여 다섯 가지 생약재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향상된 항주름 및 미백개선 효과를 갖도록 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자외선 등으로 인한 피부의 손상에 대항하여 생성되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멜라닌의 생합성 과정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한 티로신(Tyrosine)의 산화로 시작되어 DOPA와 DOPAchrome 등이 생성된 후 DHICA와 DHI를 거쳐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DHI-유멜라닌(DHI-eumelanin), DHICA-유멜라닌(DHICA-eumelanin), 페오멜라닌(Pheomelanin) 등의 3종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흑화는 피부 세포내에 존재하는 멜라닌 생성세포(멜라노사이트: melanocyte)에서 생성된 멜라닌이 각질형성세포(케라티노사이트: keratinocyte)로 전달되어 피부 표피층에 축적되어 일어나게 된다.
피부의 멜라닌 색소 과침착은 기미, 주근깨, 검은반점 등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며 이러한 피부의 흑화를 예방 및 개선하기 위하여 코지산(Kojic acid), 알부틴(Arbutin), 비타민 C(Vitamin C) 유도체 등이 미백제로 개발되었으나 코지산의 경우는 In Vitro상의 티로시나아제 억제효과에 비해 세포상이나 In vivo상의 멜라닌 생성억제효과가 미비한 실정이며 또한 장기 사용시 간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보고가 최근에 되어졌다. 또한 알부틴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계열이 갖는 세포독성의 문제점이 있으며 비타민 C 역시 화학적 안정성에 대한 문제가 있어 장기 보관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우수한 대체 미백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미백활성물질의 부작용 등이 발표됨에 따라 그 대체 원료로 여러 천연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미백소재에 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어 상백피나 천화분 추출물, 율피, 녹두 등이 미백원료로써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능이나 독성에 대한 확실한 검증이 충분치 못한 현실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63449호(2008.10.16.)에는 동충하초를 주원료로 한 미백효과가 뛰어난 기능성 화장품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3845호(2005.06.08.)에는 조직배양한 산삼 부정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445404호(2004.08.25.)에는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피부의 1차적 기능은 온도, 습도 및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나, 외부로부터 강한 자외선, 스트레스 및 영양결핍 등과 같은 외부 자극을 받게 되면 피부는 주름 생성, 탄력 손실, 각질화 등과 같은 피부의 노화가 발생하게 된다. 피부의 구조 중에서 진피층에 존재하는 교원섬유(collagen)와 탄력섬유(elastin)는 주요 단백질로서 피부의 탄력을 주관한다. 교원섬유의 생합성은 피부의 내·외적인 영향을 받는데, 내적으로는 자연노화(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해 세포 활성의 감소가 발생하여 교원질 섬유의 감소가 일어난다. 외적인 요인으로는 자외선의 과량조사 및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생성된 활성 산소(자류 라디칼형)가 단백질의 -SH기와 반응하여 효소의 활성을 저해시키거나, 콜라겐, 엘라스틴 등을 분해시키는 효소(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인 콜라겐나아제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의 주름 및 탄력을 감소시키는 노화 현상을 유발한다. 특히, 자외선의 과량 조사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피부 조직이 점차 변화하면서 발생하는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피부의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피부의 건조함 및 피부 얼룩 등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이러한 피부노화를 억제하거나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등의 여러 가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는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역가가 떨어져 그 효능이 경미하고, 피부 자극이 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13902호(2005.09.07.)에는 장뇌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1036호(2006.03.20.)에는 설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방지 기능을 갖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KR 10-0863449 B1 2008.10.16. KR 10-0493845 B1 2005.06.08. KR 10-0445404 B1 2004.08.25. KR 10-0513902 B1 2005.09.07. KR 10-0561036 B1 2006.03.20.
본 발명의 목적은 산양삼 추출물, 산삼배양근 농축액,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동시에 적용하여 다섯 가지 생약재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향상된 항주름 및 미백개선 효과를 갖도록 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추출하여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단계 2);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에 상기 농축된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단계 1은, 상기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의 일정량에 대하여 5~10배(w/w)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75~8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한다.
상기 혼합용매는 에탄올(Ethanol)과 물을 부피비로 6:4 내지 5:5로 혼합한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액은 감압 농축기로 60℃에서 고형분 함량이 20Brix가 되도록 농축한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중량비로 1:1:1:1:1로 혼합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생약재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0.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은 산양삼 추출물, 산삼배양근 농축액,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하초 추출물을 동시에 적용하여 다섯 가지 생약재의 시너지 효과에 의해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경우보다 향상된 항주름 및 미백개선 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실험 전의 피부 사진.
도 2는 반창고를 제거한 직후의 피부 사진.
도 3은 반창고를 제거하고 1시간 후의 피부 사진.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추출하여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단계 2);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에 상기 농축된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 1은, 상기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의 일정량에 대하여 5~10배(w/w)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75~8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합용매는 에탄올(Ethanol)과 물을 부피비로 6:4 내지 5:5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탄올을 상기 비율보다 많이 포함하면 화장품 소재로 사용하는데 있어서 안정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에탄올을 상기 비율보다 적게 포함하면 추출 수율이 너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산양삼(학명 : Panax ginseng C.A Meyer)은 인삼의 씨를 산에 뿌려 야생상태로 재배한 것으로, 흔히 장뇌, 장뇌산삼 또는 산양산삼이라고도 하는데 장뇌라는 이름은 줄기와 뿌리를 잇는 뇌 부분이 길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산양삼은 깊은 산 속 그늘진 박달나무와 옻나무 아래 습기가 많은 곳에서 잘 자라는데 절반 정도 그늘지고 외진 곳에서만 자라며, 외관이 자연산 산삼과 매우 유사할 뿐 아니라 약효도 자연산 산삼과 비슷한 효과를 가지는 특징이 있다. 산양삼은 인삼에 공통적으로 포함되어 있는 생리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ginsenoside) Rg1을 일반 인삼에 비해 3배 내지 4배 함유하고 있다. 산양삼은 약리작용이 탁월한 유기게르마늄과 사포닌 함량이 풍부하다. 산양삼의 뿌리에는 인체의 저항력과 면역기능을 향상시켜주고, 당뇨, 암, 혈압 등 각 성인병 예방은 물론,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며, 두뇌활동과 정신력을 왕성하게 하는 등의 우수한 약리적 효능을 갖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산양삼은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그 외의 다양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약초로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홍경천은 참돌꽃(학명: Rhodiola Sachalinensis A. Bor)이라 하는데, 해발 2000 내지 5000m 정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홍경천은 일교차가 크고 건조하며, 산소가 희박하고, 자외선이 강한 고산 지대의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특수한 적응성을 가지고 있어 고산 경천 또는 고산 홍경천 등의 별명으로도 불린다. 홍경천의 주요한 성분은 살리드로사이드(salidroside), 타이로솔(tyrosol) 및 배당체를 비롯하여 전분, 단백질, 지방, 당분, 플라본류 화합물, 아미노산, 무기원소, 미량의 정유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설련화(학명: Herba Sauaaureae Involucratae, 영문명: Snow Lotus)는 설하화라고도 불리우며, 전세계적으로 산강위구르 지역의 천산산맥, 티벳의 히말라야 산맥과 쿠울론 산맥 일부지역에서만 유일하게 채취되는 국과 약용식물이다. 주 서식처는 만년설이 덮힌 해발 4,000m 이상 고지의 가랄진 암벽틈 사이에 자생하며, 열악한 서식환경 때문에 채취가 굉장히 어려워 고대 황제나 중신들만이 겨우 먹어볼 수 있을 정도로 희귀한 식물이다. 이러한 이유로 예로부터 황제의 약초라 불려져왔다. 설련화는 싹이 나서 꽃이 만개하기까지 보통 6~8년이 소요되며, 꽃이 피는 시기는 7월부터 8월까지이므로 채취하기 위해서는 수년을 기다려야만 하기에 매우 귀한 식물이다. 상기 설련화의 형태는 연꽃에 비해 적으나 꽃잎이 얇고 좁고 길며, 꽃이 활짝 피었을 때 그 곧고 우아한 모습이 흡사 연꽃을 닮았다 하여 설련화라 부르며, 꽃의 자태가 아름다워 그것을 보는 이에게 즐거움을 줄 뿐 아니라, 사람 인체에 많은 도움을 주는 유용한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하여 예로부터 백초지왕이라 한다. 설련화의 종류로는 대포 설련화, 면두 설련화, 수모 설련화 등이 있다. 대포 설련화는 일명 천산 설련화라 부르며 효능이 가장 좋다. 신강위구르 지역의 천산 산맥에 자생하며 일반적으로 설련화라 하면 이 대포 설련화를 칭할 정도로 대표적인 식물이다. 이같은 대포 설련화는 꽃뿐만 아니라 잎, 줄기, 뿌리까지 모든 부분에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면두 설련화는 꽃부분이 면화와 같다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주로 티벳의 히말라야 산맥에 자생하고 있다. 수면 설련화는 주로 청해성 일대에 자생하며, 꽃 부분만 채취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련화의 주성분은 알카로이드(alkaloid), 스테롤(sterol),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라쿠토린,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다당체 등 사람의 몸에 필수적인 16가지 기초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설련화는 일반적으로 자양 강장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동충하초(Paceilomyces japonica)는 곤충에서 자실체(버섯)가 형성되는 자낭균류의 일종이다. 동충하초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인체에 필요한 11종의 아미노산과 약효력이 있는 10종의 아미노산이 각각 총함량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퀸산(quinic acid)의 이성체인 코디세핀(cordycepic acid)을 약 7% 함유하고 있다. 이 밖에 면역증강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액은 감압 농축기로 60℃에서 고형분 함량이 20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중량비로 1:1:1:1:1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은 조사포닌 100㎎/g 이상, 고형분 함량 70%의 산삼배양근 농축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삼배양근은 생물반응기를 활용하여 자동화된 시스템에서 무균적으로 생산되는 조직배양산물로 생산물의 품질관리 측면에서 농약 및 중금속 등의 위험이 전혀 없고 성분의 조성 및 함량에서도 외부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화될 수 있다. 산삼배양근은 인삼과 홍삼에서와 같이 사포닌 성분이 유효 성분인데, 우리나라 인삼 및 홍삼에 존재한다고 알려진 약 30여종의 사포닌 성분이 산삼배양근에도 존재하며 그 외에 산삼배양근에서만 분석되는 성분도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 성분들에는 인삼의 대표적인 사포닌 성분들인 다이올계의 Rb1, Rb2, Rc, Rd 및 트리올계의 Rg1, Re 등이 있고 최근 항암 및 면역력증강 등의 효능에도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비극성계의 홍삼 특이성분으로 알려진 Rg3, Rg5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 유효성분인 상기 생약재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0.5중량%가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추출물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본래 목적하는 유용한 효과를 충분하게 달성할 수 없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유효성분인 추출물의 함량이 전체 화장료 중량 대비 0.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화장료의 안정성에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화장료의 외관이나 사용 시 충분한 화장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상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류, 에센스류, 로션류, 크림류, 팩류, 파운데이션류 및 메이크업베이스류와 같은 기초제품, 색조제품의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약재 추출물과 함께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 및 첨가제가 통상적인 양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산양삼 1㎏에 혼합용매 5ℓ를 가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상기 혼합용매는 에탄올(Ethanol) 2.6ℓ와 물 2.4ℓ를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액은 감압 농축기로 60℃에서 고형분 함량이 20Brix가 되도록 농축하여 산양삼 추출물을 만들었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산양삼 대신 홍경천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동일하게 하여 홍경천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3]
상기 제조예 1에서, 산양삼 대신 설련화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동일하게 하여 설련화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산양삼 대신 동충하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를 동일하게 하여 동충하초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만든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의 추출결과 및 농축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추출결과

수득량(㎖) 2850 3400 2830 4000
Brix 5.87 17.6 16.3 16.8
pH 4.5 4.37 6.28 6.15
수율(%) 2.7 9.97 7.68 11.2

농축결과
수득량(㎖) 975 1740 800 1120
Brix 20 20 20 20
pH 5.27 4.37 6.28 6.15
산삼배양근 농축액에 상기 제조예 1 내지 제조예 4에서 만든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중량비로 1:1:1:1:1로 혼합하여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은 (주)씨비엔바이오텍에서 제조한 조사포닌 100㎎/g이상, 고형분 함량 70%의 제품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피부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Tween 80 / saline(1:99, u/v)에 녹여 patch에 적신 후 1×1 inch 테스트 대상자 중 1명을 선정하여 손등에 부착시키고 24시간, 48시간, 72시간 동안 방치하여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판정시간(hour) 평점

1차 자극성 index(P.I.I.)
24 0
48 0
72 1
P.I.I.는 최저 0, 최고 8점이 되어 3개의 안정성으로 구분됨.
약한 자극물 0 ~ 2
중등도 자극물 3 ~ 5
강한 자극물 6 ~
표 2를 보면 뚜렷한 홍반 반응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은 피부에 전혀 무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피부자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자극성 실험용 반창고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거즈 부분에 충분히 흡수시켜 팔에 붙이고 24시간 경과하고 반창고를 제거한 직후의 피부 사진을 도 2에 나타내었고, 반창고를 제거하고 1시간 후의 피부 사진을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 전의 피부 사진(도 1)과 비교할 때 피부에 전혀 자극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실험 결과를 검토해 볼 때, 본 발명에 따른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은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활용하는 경우에 피부자극 정도가 낮아 피부 안전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8)

  1.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에 혼합용매를 가하고 추출하여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만드는 단계(단계 1);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 및 농축하는 단계(단계 2); 및
    산삼배양근 농축액에 상기 농축된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혼합하여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를 포함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은,
    상기 산양삼, 홍경천, 설련화 및 동충하초 각각의 일정량에 대하여 5~10배(w/w)의 혼합용매를 가하여 75~85℃에서 4~6시간 동안 추출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는 에탄올(Ethanol)과 물을 부피비로 6:4 내지 5:5로 혼합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상기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여과하여 고형물을 제거하고 여액은 감압 농축기로 60℃에서 고형분 함량이 20Brix가 되도록 농축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은,
    상기 산삼배양근 농축액, 산양삼 추출물, 홍경천 추출물, 설련화 추출물 및 동충화초 추출물을 중량비로 1:1:1:1:1로 혼합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
  7. 제 6항의 생약재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내지 0.5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중 어느 하나인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6385A 2013-09-30 2013-09-30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7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385A KR20150037115A (ko) 2013-09-30 2013-09-30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N201410361819.0A CN104510700A (zh) 2013-09-30 2014-07-28 皮肤防皱美白用生药材提取物的制造方法及含有生药材提取物的防皱美白用化妆料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385A KR20150037115A (ko) 2013-09-30 2013-09-30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115A true KR20150037115A (ko) 2015-04-08

Family

ID=52786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385A KR20150037115A (ko) 2013-09-30 2013-09-30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37115A (ko)
CN (1) CN1045107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66A1 (ko) * 2019-06-03 2020-12-10 (주)피에스에이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5708789A (zh) * 2022-10-25 2023-02-24 南京赫亿斯生物科技有限公司 包含虫草素的皮肤外用组合物在制备抗衰老化妆品中的用途
KR102630938B1 (ko) * 2023-08-23 2024-01-31 에프아이씨씨주식회사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과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354B1 (ko) * 2015-03-09 2018-03-09 주식회사 한국화장품제조 산삼배양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3034A (ko) * 2001-06-21 2002-05-04 이충우 산삼과 장뇌산삼을 이용한 피부화장료
KR100445404B1 (ko) * 2001-08-01 2004-08-25 주식회사 웰스킨 홍경천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조성물
KR100376782B1 (ko) * 2002-01-22 2003-03-19 신화제약 (주) 번데기 동충하초를 이용한 미백 원료의 생산
JP2004155961A (ja) * 2002-11-07 2004-06-03 Nippon Yakuyo Shokuhin Kenkyusho:Kk 抗酸化剤
CN101125119B (zh) * 2007-07-18 2010-12-22 西藏宇妥藏药研究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抗衰老的藏本草提取物及其应用
CN101249178A (zh) * 2008-04-09 2008-08-27 四川省东圣酒业有限公司 一种增强免疫力和补肾强身药酒及其制作
CN102641235B (zh) * 2012-05-18 2013-06-26 通德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嫩肤抗皱功效的大花红景天精华液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66A1 (ko) * 2019-06-03 2020-12-10 (주)피에스에이 찹쌀떡버섯으로 발효한 홍경천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CN115708789A (zh) * 2022-10-25 2023-02-24 南京赫亿斯生物科技有限公司 包含虫草素的皮肤外用组合物在制备抗衰老化妆品中的用途
KR102630938B1 (ko) * 2023-08-23 2024-01-31 에프아이씨씨주식회사 피부 투과성 및 성분 안정성을 개선한 피부 재생과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10700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139688A (ko) 미백 활성을 갖는 당유자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2873B1 (ko) 항산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US20040115146A1 (en) Use of active extracts to lighten skin, lips, hair and/or nails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20150037115A (ko)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생약재 추출물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생약제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항주름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4073B1 (ko) 삼칠 추출물, 첨과 추출물 및 석곡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 종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30571B1 (ko) 알부틴 및 아사이베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2997B1 (ko) 탁시폴린 배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작약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000010275A (ko)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1374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3721A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512811B1 (ko) 붉은호장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60092165A (ko)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168533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3631227B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70136969A (ko) 당류를 이용한 천연 추출물 제조 방법
KR102119511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8946A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00092922A (ko) 나노 리포좀으로 안정화된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2252B1 (ko)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방법 및 마돈나 백합 식물 세포 배양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440888B1 (ko) 천연약재 달인 물을 이용한 경피용 영양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