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6695A - 도전성 클립 - Google Patents

도전성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6695A
KR20150036695A KR1020157004167A KR20157004167A KR20150036695A KR 20150036695 A KR20150036695 A KR 20150036695A KR 1020157004167 A KR1020157004167 A KR 1020157004167A KR 20157004167 A KR20157004167 A KR 20157004167A KR 20150036695 A KR20150036695 A KR 201500366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s
wiring board
printed wiring
gri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히사 쿠리타
Original Assignee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키타가와고우교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6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66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1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 F16B2/245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sheet metal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15Gaskets or seals
    • H05K9/0016Gaskets or seals having a spring contac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7Casings
    • H05K9/00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 H05K9/0022Casings with localised screening of components mou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PCB]
    • H05K9/0024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 H05K9/0032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 H05K9/0035Shield cases mounted on a PCB, e.g. cans or caps or conformal shields having multiple parts, e.g. frames mating with lids with retainers mounted beforehand on the PCB, e.g.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있어서의 도전성 클립은, 기부와, 복수의 파지편을 포함한다. 복수의 파지편은 실드 케이스의 일부인 판상 부분을 파지 가능하게 구성된다. 파지편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 제 3 부분과, 돌출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파지편 중, 판상 부분의 일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와, 판상 부분의 타방면 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는,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의 배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Description

도전성 클립{Electroconductive clip}
본 출원은 2013년 5월 29일에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3-113134호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한 것으로, 일본특허출원 제2013-113134호의 모든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프린트 배선판 상의 도체 부분에 땜납 접합되어 프린트 배선판 상의 전자 부품을 덮는 위치에 실드 케이스가 배치되었을 때에, 실드 케이스를 파지함과 동시에 실드 케이스와 프린트 배선판의 도체 부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도전성 클립에 관한 것이다.
도전성 클립으로서는,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도전성 클립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전성 클립의 경우, 실드 케이스의 파지 대상 부분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복수 쌍의 압접편이 설치되어 있다. 각 압접편은, 일단이 도전성 클립의 일부에 연결 설치된 고정단, 타단이 압접편의 탄성 변형에 따라 변위되는 자유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쌍이 되는 압접편은 쌍방 모두 고정단측이 자유단측보다도 프린트 배선판에서 이간된 위치에 있다. 고정단측에서 자유단측에 이르는 부분은 자유단측만큼 서로 근접하면서 프린트 배선판에도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에는 다른 형상의 도전성 클립도 기재되어 있다. 이 도전성 클립에 있어서도, 실드 케이스의 파지 대상 부분을 사이에 두는 위치에서 대향하는 복수 쌍의 압접편이 설치되어 있다. 단, 이 도전성 클립이 구비하는 압접편은 자유단측이 고정단측보다도 프린트 배선판에서 이간된 위치에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 11-26978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각 도전성 클립에는,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은 점에서 아직 개량의 여지가 남아있다.
먼저,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기 2종류의 도전성 클립은, 쌍이 되는 압접편이, 실드 케이스의 파지 대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쌍이 되는 압접편을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성형할 때, 쌍이 되는 압접편끼리가 서로 접촉하는 위치까지 각 압접편을 절곡하더라도, 각 압접편은 스프링 백에 의해 서로 이간된다. 그러므로 압접편 간에 공극이 생기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도전성 클립에서는, 쌍이 되는 압접편의 초기 위치를 더 근접되게 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므로, 실드 케이스에 대한 압접편의 압접력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용이하지는 않다.
또,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기 2종류의 도전성 클립의 경우, 실드 케이스를 변위시키려고 하는 힘이 실드 케이스에 작용하였을 때, 그 힘의 방향에 따라서는 실드 케이스에 대한 압접편의 압접력이 감소하기 쉽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전성 클립의 경우, 쌍이 되는 압접편은, 쌍방 모두 자유단측 만큼 프린트 배선판에 근접하고, 자유단측 만큼 압접편간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압접편간에 실드 케이스가 파지되어 있을 경우, 실드 케이스가 프린트 배선판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변위되면, 압접편과 실드 케이스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분력은, 쌍이 되는 압접편의 자유단간을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압접편의 자유단간이 넓어지게 되면, 실드 케이스에 대한 압접편의 압접력은 감소하게 되어, 실드 케이스가 변위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한편, 특허문헌 1의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도전성 클립의 경우, 쌍이 되는 압접편은, 쌍방 모두 자유단측 만큼 프린트 배선판에서 멀어지고, 고정단에서 해당 고정단과 자유단과의 중간에 있는 절곡 부분에 이르는 부분은, 절곡 부분측 만큼 압접편간의 거리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압접편간(절곡 부분 사이)에 실드 케이스가 파지되어 있을 경우, 실드 케이스가 프린트 배선판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변위되면, 압접편과 실드 케이스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분력은, 쌍이 되는 압접편의 절곡 부분 사이를 넓히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압접편의 절곡 부분 사이가 넓어지게 되면, 실드 케이스에 대한 압접편의 압접력은 감소하게 되어, 실드 케이스가 변위되기 쉬운 상태로 된다.
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상기 2종류의 도전성 클립은 실드 케이스가 프린트 배선판 측을 향해서 압입되는 방향, 또는 실드 케이스가 프린트 배선판 측에서 분리되는 방향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렇게 되었을 때에 쌍이 되는 압접편의 압접력이 약해지기 쉽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실드 케이스를 파지하는 능력이 종래 도전성 클립보다도 높은 도전성 클립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서 채용한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있어서의 도전성 클립은, 기부와, 복수의 파지편을 포함한다. 기부는, 프린트 배선판이 가지는 도체 부분에 땜납 접합되는 접합면을 가진다. 복수의 파지편은, 각각이 기부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된다.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덮는 위치에 실드 케이스가 장착될 때에, 해당 실드 케이스의 일부인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파지편은, 판상 부분의 양면 중, 일방면 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이 압접되는 동시에, 타방면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이 압접되고, 판상 부분을 파지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파지편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 제 3 부분과, 돌출부를 포함한다. 제 1 부분은, 기부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기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 부분의 연장 방향은,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제 1 부분의 선단측만큼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된다. 제 2 부분은, 제 1 부분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기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된다. 제 2 부분의 연장 방향은,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제 2 부분의 선단측만큼 판상 부분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된다. 제 3 부분은, 제 2 부분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기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된다. 제 3 부분의 연장 방향은,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제 3 부분의 선단측만큼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된다. 돌출부는, 제 3 부분에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는,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판상 부분에 압접하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파지편 중, 일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과, 타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은,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의 배치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고, 동시에,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전성 클립에 의하면, 복수의 파지편 중, 일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과, 타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은,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의 배치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단, 이들 2개의 파지편이 가지는 제 3 부분은,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도전성 클립이라면,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 3 부분을 성형하는 경우에도,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를 서로 간섭시키지 않고, 각 제 3 부분을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 후의 스프링 백 량도 고려하여, 가공시에는 각 제 3 부분을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소 과잉으로 크게 변위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제 3 부분의 초기 위치를 판상 부분측으로 보다 근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 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비해, 제 3 부분에 설치된 돌출부의 판상 부분에 대한 압접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실드 케이스를 파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단,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는, 판상 부분의 배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가 대향하는 부분에서 2개의 파지편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2개의 파지편 자체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비해, 2개의 파지편간은 크게 이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근접한 2개의 파지편간에 판상 부분을 배치하면, 각 파지편과 판상 부분을 충분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를 적절하게 판상 부분에 압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도전성 클립에 있어서,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는 제 1 부분의 기울기는, 프린트 배선판에서 이간될수록 제 1 부분 사이가 좁아지는 기울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 사이에 끼여진 실드 케이스를 더욱 돌출부 사이로 압입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려고 하였을 경우, 돌출부와 실드 케이스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분력은,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는 제 1 부분을 판상 부분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한편, 이 도전성 클립에 있어서,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는 제 3 부분의 기울기는, 프린트 배선판에 접근할수록 제 3 부분 사이가 좁아지는 기울기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돌출부 사이에 끼여진 실드 케이스를 돌출부 사이에서 인발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려고 하였을 경우, 돌출부와 실드 케이스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의 분력은,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는 제 3 부분을 판상 부분측으로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가 돌출부 사이에 압입될 경우, 및 실드 케이스가 돌출부 사이에서 인발되는 경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파지편의 압접력은 증대되기 쉽고, 이에 따라, 실드 케이스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런데, 전술한 도전성 클립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상기 파지편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해당간격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제 1 부분이 설치되고, 한 쌍의 제 1 부분 각각의 선단 간에는, 제 2 부분이 가설되고, 제 2 부분의 기단 중, 한 쌍의 제 1 부분 각각의 선단이 연결 설치된 부분 사이에는, 제 3 부분이 연결 설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전성 클립에 의하면, 복수의 파지편 중, 일방면 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와, 타방면 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에 대해서,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의 배치 위치를 제 1 부분끼리 및 제 2 부분끼리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로 할 수 있다. 또, 제 3 부분의 배치 위치를, 제 3 부분끼리가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 제 2 부분, 및 제 3 부분의 각각에 대해서, 소기의 작용, 효과를 가지는 구조로 할 수 있다.
또, 전술한 도전성 클립에 있어서, 복수의 파지편 중, 일방면 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와, 타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는, 판상 부분 및 프린트 배선판의 쌍방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쌍방의 돌출부 간에 공극이 되는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각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전성 클립에 의하면, 판상 부분의 두께가 매우 얇은 경우에도,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있는 돌출부는, 쌍방 모두 판상 부분에 압접하게 된다. 따라서, 판상 부분 및 프린트 배선판의 쌍방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쌍방의 돌출부 간에 공극이 되는 영역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 각 돌출부의 판상 부분에 대한 압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의 도전성 클립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실시예의 도전성 클립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평면도, 도 2b는 정면도, 도 2c는 저면도, 도 2d는 우측면도.
도 3은 실시예의 도전성 클립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4a 및 도 4b는 실시예의 도전성 클립이 탄성 변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
다음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 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도면 중에 병기한 상하 좌우 전후의 각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이들의 각 방향은, 도전성 클립을 구성하는 각 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간결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규정한 방향에 지나지 않는다. 실제로 도전성 클립이 이용될 때에, 도전성 클립이 어떤 방향으로 향하게 되는지는 임의이다.
[도전성 클립의 구조예]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일실시예에 상당하는 도전성 클립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a는 상기 도전성 클립의 평면도, 도 2b는 상기 도전성 클립의 정면도, 도 2c는 상기 도전성 클립의 저면도, 도 2d는 상기 도전성 클립의 우측면도이다. 한편, 상기 도전성 클립의 배면도는 정면도와 동일하게 나타내고, 상기 도전성 클립의 좌측면도는 우측면도와 동일하게 나타낸다.
이하에 설명하는 도전성 클립(1)은, 금속(본 실시예의 경우, 스프링용 인청동)의 박판(본 실시예의 경우, 두께 0.1mm)에 대하여 프레스 가공(펀칭 가공 및 굽힘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전성 클립(1)의 표면에는, Cu 도금 및 Sn 도금이 실시되어 있다.
도전성 클립(1)은, 기부(3) 및 파지편(5), (5), (5), (5)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기부(3) 및 파지편(5),(5),(5),(5)은, 도 2a 및 도 2c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대칭축으로, 해당 대칭축을 중심으로 반회전 (180° 회전)시키더라도 동일 형상이 되는 회전 대칭성을 가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도전성 클립(1)의 치수는 도 1에 나타내는 좌우 방향 치수가 6.5mm, 상하 방향 치수가 0.8mm, 전후 방향 치수가 0.6mm로 되어 있다.
기부(3)는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땜납 접합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의 도체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다. 기부(3)는 땜납 접합부(3A),(3A),(3B) 및 부설부(3C),(3C)를 구비하고 있다. 땜납 접합부(3A),(3A),(3B)는 하면측이 프린트 배선판과의 접합면으로 되어 있다. 땜납 접합부(3B)의 상면은, 자동 실장기의 흡인 노즐(도시 생략)로 흡착 가능한 흡착면으로 되어 있다. 부설부(3C),(3C)는, 땜납 접합부(3A),(3A),(3B)가 프린트 배선판에 땜납 접합된 상태에서 프린트 배선판과의 사이에 공극을 이루는 상태가 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부설부(3C),(3C)의 하면은, 땜납 접합부(3A),(3A),(3B)의 하면보다도 0.05mm 위쪽에 있다.
파지편(5)은, 기부(3)에서 연장되는 한 쌍의 제 1 부분(11),(11), 이들 제 1 부분(11),(11)의 상단 사이에 가설된 제 2 부분(12), 제 2 부분(12)의 하단 중, 제 1 부분(11),(11)과의 연결 설치 부분간이 되는 위치에서 연장되는 제 3 부분(13), 및 제 3 부분(13)에 설치된 돌출부(14)를 구비한다.
4개의 파지편(5),(5),(5),(5)은, 2개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한 쌍으로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경우, 파지편(5),(5)의 쌍은 2쌍 구성되어 있다. 쌍이 되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제 1 부분(11),(11)끼리 및 제 2 부분(12),(12) 끼리는 파지편(5),(5) 사이에 끼워지는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의 배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쌍이 되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제 3 부분(13),(13)은, 각 제 3 부분(1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파지편(5),(5) 사이에 끼워지는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도 2b 참조)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하나의 파지편(5)이 가지는 한 쌍의 제 1 부분(11),(11)은, 도 1 중의 좌우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해당간격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들 한 쌍의 제 1 부분(11),(11)은, 땜납 접합부(3A),(3A),(3B)가 가지는 접합면을 아래쪽을 향한 경우에 하단이 되는 부분에서 기부(3)에 연결 설치되어, 그 연결설치 부분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부분(11)의 연장 방향은, 파지편(5),(5) 사이에 끼여진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단측 만큼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제 1 부분(11),(11)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측 만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하나의 파지편(5)이 가지는 제 2 부분(12)은, 땜납 접합부(3A),(3A),(3B)가 가지는 접합면을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한 쌍의 제 1 부분(11),(11)의 상단이 되는 부분 사이에 가설되어있다. 이 제 2 부분(12)은, 제 2 부분(12)의 하단이 되는 부분에서 제 1 부분(11),(11)의 상단에 연결 설치되어, 그 연결 설치 부분에서 비스듬히 위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부분(12)의 연장 방향은, 파지편(5),(5) 사이에 끼워지는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단측 만큼 판상 부분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제 2 부분(12),(12)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측만큼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제 3 부분(13)은 땜납 접합부(3A),(3A),(3B)가 가지는 접합면을 아래쪽을 향한 상태에서 제 2 부분(12)의 하단이 되는 부분 중, 한 쌍의 제 1 부분(11),(11) 각각이 연결 설치된 부분간이 되는 위치에, 제 3 부분(13)의 상단이 되는 부분이 연결 설치되어, 그 연결 설치 부분에서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3 부분(13)의 연장 방향은, 파지편(5),(5) 사이에 끼워지는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하단측 만큼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해당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제 3 부분(13),(13)은,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측 만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돌출부(14)는 제 3 부분(13)에 돌출 형성되며, 파지편(5),(5) 사이에 끼워지는 실드 케이스의 판상 부분이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 돌출부(14)는 판상 부분에 압접된다. 해당 판상 부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있는 파지편(5),(5) 각각이 가지는 돌출부(14),(14)는, 판상 부분 및 프린트 배선판의 쌍방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상태(도 2d참조)에서, 쌍방의 돌출부(14),(14) 사이에 공극이 되는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즉, 도 2D에 도시한 방향에서 보아, 쌍방의 돌출부(14),(14) 사이의 치수는 영으로 되어 있다.
[도전성 클립의 사용예]
이상과 같이 구성된 도전성 클립(1)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판(21)에 표면 실장되어, 실드 케이스(23)를 프린트 배선판(21)에 장착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실드 케이스(23)는, 프린트 배선판(21) 상에 실장된 전자 부품(25)에서 기기외부로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동시에, 기기 외부에서 도래하여 전자 부품(25)에 입사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전자 부품(25)을 둘러싸는 위치에 장착되는 금속제의 케이스이다.
도 3에는, 실드 케이스(23)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실드 케이스(23)는, 도시한 바와 같은 육변형의 천장부와, 이 천장부의 각 변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수설된 측벽부를 가진다. 이들 천장부 및 측벽부는, 금속(본 실시예에서는 스테인리스강)의 박판(본 실시예의 경우, 두께 0.1mm)을 프레스 가공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전성 클립(1)은 실드 케이스(23)의 형상과 치수에 따라 결정되는 소정의 위치에, 전자 부품(25)과 함께 표면 실장된다. 이때, 도전성 클립(1)은, 자동 실장기(도시 생략)에 의해 프린트 배선판(21) 상에 배치된다. 도전성 클립(1)의 표면 실장 후에는, 실드 케이스(23)가 장착된다. 실드 케이스(23)를 장착할 때에는, 실드 케이스(23)의 하단이 도전성 클립(1)에 압접된다.
이에 따라, 실드 케이스(23)의 측벽부를 구성하는 판상 부분(23A)가, 도 4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 4b에 나타내는 위치로 이동하면, 판상 부분(23A)은 파지편(5),(5) 사이에 삽입된다. 이때, 파지편(5),(5)은, 탄성 변형을 수반하고, 도 4b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도 4a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도 4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변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편(5),(5)에 있어서, 제 1 부분(11),(11)은, 상단간이 확장 개방되는 방향(도 4b에 화살표 A1, A1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한편, 제 3 부분(13),(13)은, 하단간이 확장 개방되는 방향(도 4b에 화살표 A2, A2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 2 부분(12),(12)은, 제 1 부분(11),(11) 및 제 3 부분(13),(13)의 변형에 추종한 위치로 변위된다. 탄성 변형된 각 부로부터의 탄발력은 돌출부(14),(14)에 집중되고, 돌출부(14),(14)가 판상 부분(23A)에 압접된다. 그러므로, 판상 부분(23A)은 돌출부(14),(14) 사이에 강하게 삽입되고, 이에 따라, 실드 케이스(23)가 파지된다.
이와 같은 파지 상태(도 4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판상 부분(23A)은 하단이 기부(3)에 당접해 있다. 따라서, 만일 판상 부분(23A)을 아래쪽으로 변위되게 하려는 힘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판상 부분(23A)은 용이하게 아래쪽으로 변위되지는 않는다. 이에 더하여, 제 1 부분(11),(11)도 판상 부분(23A)이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즉, 제 1 부분(11),(11)은 상단측 만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판상 부분(23A)을 아래쪽으로 변위되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 판상 부분(23A)과 돌출부(14),(14)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면, 그 분력은 제 1 부분(11),(11)의 상단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돌출부(14),(14)의 판상 부분(23A)에 대한 압접력이 증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판상 부분(23A)가 아래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해진다.
또, 이러한 파지 상태(도 4b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제 3 부분(13),(13)은, 판상 부분(2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즉, 제 3 부분(13),(13)은, 하단측 만큼 서로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판상 부분(23A)을 위쪽으로 변위되게 하려는 힘이 작용하였을 경우, 판상 부분(23A)과 돌출부(14),(14)와의 사이에 마찰력이 작용하면, 그 분력은 제 3 부분(13),(13)의 하단간을 좁히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러므로, 돌출부(14),(14)의 판상 부분(23A)에 대한 압접력이 증대되게 된다. 이에 따라, 판상 부분(23A)가 위쪽으로 변위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해진다.
한편, 도전성 클립(1)은, 프린트 배선판(21) 상에서 어스 전위를 가지게 되는 도체 부분에 대하여 땜납 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실드 케이스(23)는, 도체 부분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23)도 어스 전위를 가지는 부분으로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도전성 클립(1)이라면, 프레스 가공에 의해 제 3 부분(13),(13)을 성형하는 경우에도, 제 3 부분(13),(1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를 서로 간섭시키는 일없이, 각 제 3 부분(13),(13)을 판상 부분(23A)에 수직인 방향으로 크게 변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가공후의 스프링 백 량도 고려하여, 가공시에는 각 제 3 부분(13),(13)을 판상 부분(23A)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소 과잉으로 크게 변위되게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각 제 3 부분(13),(13)의 초기 위치를 판상 부분(23A) 측으로 보다 근접한 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부분(13),(1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판상 부분(23A)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비해, 제 3 부분(13),(13)에 설치된 돌출부(14),(14)의 판상 부분(23A)에 대한 압접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23)를 파지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전술한 제 3 부분(13),(13)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은, 판상 부분(23A)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된다. 제 1 부분(11),(11)끼리 및 제 2 부분(12),(12)끼리는, 판상 부분(23A)의 배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그러므로, 제 1 부분(11),(11)끼리 및 제 2 부분(12),(12)끼리가 대향하는 부분에서 2개의 파지편(5),(5)은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므로 2개의 파지편(5),(5) 그 자체가 판상 부분(23A)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될 경우에 비해, 2개의 파지편(5),(5)사이는 크게 이간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 근접한 2개의 파지편(5),(5)사이에 판상 부분(23A)을 배치하면, 도전성 클립(1)과 판상 부분(23A)과의 평행도를 유지하기 쉽다. 그러므로 도전성 클립(1)과 판상 부분(23A)이 비틀어진 위치 관계를 벗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각 파지편(5),(5)과 판상 부분(23A)을 충분히 근접한 위치에 배치한 상태를 유지하기 쉽다. 그러므로 돌출부(14),(14)를 적절하게 판상 부분(23A)에 압접시킬 수 있다.
또한, 이미 상세하게 설명한 대로, 이 도전성 클립(1)의 경우, 실드 케이스(23)의 판상 부분(23A)가 돌출부(14),(14) 사이로 압입되는 경우 및 실드 케이스(23)의 판상 부분(23A)가 돌출부(14),(14) 사이에서 인발되는 경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파지편의 압접력은 증대되기 쉽다. 따라서, 실드 케이스(23)의 변위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상,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외에도 각종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낸 사례에서는, 평면에서 보아 육변형으로 보이는 실드 케이스(23)의 6변 각각을, 하나 이상의 도전성 클립(1)으로 유지하고 있었으나, 6변 모두를 도전성 클립(1)으로 유지할 지의 여부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비교적 짧은 변 등, 하나 이상의 변에 대해서는 도전성 클립(1)을 배치하지 않고, 다른 변에 배치된 도전성 클립(1)으로 실드 케이스(23)를 파지할 수도 있다. 또는 특정의 변에 대해서는, 도전성 클립(1)을 이용하는 대신에, 다른 수단으로 프린트 배선판(21)에 대한 접합 또는 장착을 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드 케이스(23)의 일부를 프린트 배선판(21)에 대하여 땜납 접합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실드 케이스(23)의 일부를 나사로 프린트 배선판(21)에 대하여 고정할 수도 있다. 이들의 고정 방법을, 전술한 도전성 클립(1)과 병용할 수 있다.
또, 각 변 각각에 대응해서 배치되는 도전성 클립(1)의 개수도 임의이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사례보다도 다수의 도전성 클립(1)이 배치되어도 된다. 또는 도 3에 도시한 사례보다도 소수의 도전성 클립(1)이 배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도 된다. 또, 도 3에 도시한 사례에 있어서, 복수의 도전성 클립(1)은, 모두 동일형상의 도전성 클립을 채용하고 있으나, 사이즈나 형상이 다른 도전성 클립이 혼재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도전성 클립(1)에 4개의 파지편(5), (5), (5), (5)이 설치되고, 이들 4개의 파지편(5), (5), (5), (5)은 2개로 한 쌍을 구성하고 있으나, 몇 개의 파지편을 가지는지, 및 이들이 몇 쌍을 구성할지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2개의 파지편(5), (5)이 한 쌍이 있는 도전성 클립이나, 6개 이상의 파지편(5), (5)...(5)이 3쌍 이상 있는 도전성 클립이어도 된다. 또, 적어도 한 쌍 이상의 파지편이 본 발명의 구성을 만족하고 있으면, 이것 이외에, 본 발명과는 다른 구성의 파지편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1 : 도전성 클립
3 : 기부
3A, 3B : 땜납 접합부
3C : 부설부
5: 파지편
11 : 제 1 부분
12 : 제 2 부분
13: 제 3 부분
14 : 돌출부
21 : 프린트 배선판
23 : 실드 케이스
23A : 판상 부분
25 : 전자 부품

Claims (3)

  1. 도전성 클립으로서,
    기부와, 복수의 파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기부는, 프린트 배선판이 가지는 도체 부분에 땜납 접합되는 접합면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파지편은, 각각이 상기 기부에서 연장되는 동시에, 각각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실장된 전자 부품을 덮는 위치에 실드 케이스가 장착될 때에, 해당 실드 케이스의 일부인 판상 부분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경우, 상기 복수의 파지편은, 상기 판상 부분의 양면 중, 일방면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이 압접되는 동시에, 타방면측에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이 압접되고, 상기 판상 부분을 파지하는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파지편은, 제 1 부분과, 제 2 부분과, 제 3 부분과,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부분은, 상기 기부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상기 기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해당 제 1 부분의 연장 방향은, 상기 판상 부분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선단측 만큼 상기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부분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상기 기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되고, 해당 제 2 부분의 연장 방향은, 상기 판상 부분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 2 부분의 선단측 만큼 상기 판상 부분에서 이간되는 방향으로 되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제 2 부분에 연결 설치된 기단에서, 상기 기부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단에 이르는 형상으로 되고, 해당 제 3 부분의 연장 방향은, 상기 판상 부분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제 3 부분의 선단측 만큼 상기 판상 부분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 3 부분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판상 부분이 상기 프린트 배선판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었을 때에, 상기 판상 부분에 압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파지편 중, 상기 일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과, 상기 타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은, 상기 제 1 부분끼리 및 상기 제 2 부분끼리가, 상기 판상 부분의 배치 위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 3 부분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선단측의 일부분끼리가, 상기 판상 부분에 수직인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서로 겹치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상기 파지편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해당 간격의 양측이 되는 위치에는, 한 쌍의 상기 제 1 부분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제 1 부분 각각의 상기 선단간에는, 상기 제 2 부분이 가설되고,
    상기 제 2 부분의 상기 기단 중, 상기 한 쌍의 제 1 부분 각각의 상기 선단이 연결 설치된 부분간에는, 상기 제 3 부분이 연결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 클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파지편 중, 상기 일방면 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과, 상기 타방면측에 압접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편은, 상기 판상 부분 및 상기 프린트 배선판의 쌍방에 평행한 방향에서 본 상태에서 쌍방의 상기 돌출부 사이에 공극이 되는 영역이 형성되지 않는 위치에 각 돌출부가 설치되어 있는 도전성 클립.
KR1020157004167A 2013-05-29 2014-04-07 도전성 클립 KR201500366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13134A JP6127724B2 (ja) 2013-05-29 2013-05-29 導電性クリップ
JPJP-P-2013-113134 2013-05-29
PCT/JP2014/060115 WO2014192425A1 (ja) 2013-05-29 2014-04-07 導電性クリップ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6695A true KR20150036695A (ko) 2015-04-07

Family

ID=51988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4167A KR20150036695A (ko) 2013-05-29 2014-04-07 도전성 클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49491B2 (ko)
JP (1) JP6127724B2 (ko)
KR (1) KR20150036695A (ko)
CN (1) CN105284198B (ko)
WO (1) WO20141924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1339S1 (en) 2015-07-31 2018-06-2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upling feature on a circuit board
USD837639S1 (en) * 2015-07-31 2019-01-08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upling clip for an enclosure
WO2019013915A1 (en) * 2017-07-11 2019-01-17 Illinois Tool Works Inc. DEVICE FOR PROTECTING THE EDGE
WO2019058175A1 (en) * 2017-09-25 2019-03-28 Ppc Broadband Fiber Ltd. CABLE FASTENERS
EP3724544B1 (en) 2017-12-12 2023-07-12 PPC Broadband Fiber Ltd. Stackable brackets for microducts and cables
GB2569558B (en) * 2017-12-19 2022-04-06 Harwin Plc Element, system and method for retaining a component to a surface
CN108758567A (zh) * 2018-07-02 2018-11-06 江苏金顺光电科技有限公司 电源线夹持式led灯泡电源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9874A1 (en) * 1993-02-26 1994-09-01 Motorola Inc. Radio frequency shielding method and apparatus
US5354951A (en) * 1993-03-15 1994-10-11 Leader Tech, Inc. Circuit board component shielding enclosure and assembly
JP3020603U (ja) * 1995-06-01 1996-02-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シールドカバー用端子およびシールドシステム
JPH1126978A (ja) 1997-07-03 1999-01-29 Ace Five:Kk 電磁シールド接続装置、及び該接続端子
US6051781A (en) * 1997-09-24 2000-04-18 Autosplice, Inc. Surface mount electromagnetic frequency interference shield clip
US6267629B1 (en) * 1998-10-28 2001-07-31 Qualcomm Incorporated Shield clip and method of securing a shield cover
JP3609762B2 (ja) * 2001-08-06 2005-01-12 北川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ボックスの実装方法
GB2404089B (en) * 2003-07-11 2007-05-02 Craig Rochfor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JP3927966B2 (ja) * 2004-05-19 2007-06-13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JP4827135B2 (ja) * 2006-11-10 2011-11-30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US7501587B2 (en) * 2007-04-16 2009-03-10 Laird Technologies, Inc. Mounting clips for use with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shielding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080006504A (ko) * 2007-08-17 2008-01-16 주식회사 포콘스 인쇄회로기판용 차폐케이스 고정기구
KR100886591B1 (ko) 2007-11-01 2009-03-05 주식회사 포콘스 쉴드캔 고정용 클립
KR20110029067A (ko) 2010-07-20 2011-03-22 김연수 이중 접속 구조를 갖는 쉴드캔 고정용 클립 터미날
WO2013085123A1 (ko) * 2011-12-09 2013-06-13 조인셋 주식회사 케이스 고정용 클립 단자 및 이를 적용한 전자파 차폐장치
JP5990751B2 (ja) * 2012-04-18 2016-09-14 北川工業株式会社 表面実装クリップ
JP2015012151A (ja) * 2013-06-28 2015-01-19 北川工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ス把持部材
JP6160910B2 (ja) * 2013-07-10 2017-07-12 北川工業株式会社 電磁波シールド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549491B2 (en) 2017-01-17
JP2014232804A (ja) 2014-12-11
CN105284198A (zh) 2016-01-27
JP6127724B2 (ja) 2017-05-17
US20160081236A1 (en) 2016-03-17
CN105284198B (zh) 2018-07-13
WO2014192425A1 (ja) 2014-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6695A (ko) 도전성 클립
US10559905B2 (en) Flexible press fit pins for semiconductor packages and related methods
KR101947228B1 (ko) 파지 부재
KR100821430B1 (ko) 전기 커넥터
EP2498589A1 (en) Surface mount clip
US9167698B2 (en) Surface mount clip
US9502795B1 (en) Clamping wire structure of terminal block
EP2149932B1 (en) Terminal plate circuit using pushing member
JP7118654B2 (ja) シールド載置体を備えた接続コネクタ装置と、壁貫通案内部とから成るアセンブリ
JP6634425B2 (ja) 圧接コネクタ
TW201014072A (en) Connector device
JP2015015112A (ja) 電気接続用端子
JP2014044844A (ja) 導体接続構造
JP6354055B2 (ja) 導電部材及び電磁波シールド構造
CN113161784A (zh) 用于连接到柔性印刷电路的扁平导体的电连接器
JP2017059352A (ja) コネクタ装置
KR101002932B1 (ko) 전기 커넥터
US11228122B2 (en) Electrical conduction structure for shielding and an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103312A (ja) 基板の導通構造体
WO2021215159A1 (ja) 金属板付導電性シート
JP6253755B2 (ja) 導体接続構造
JP2014222677A (ja) コネクタ
EP3211719A1 (en) Clamping wire structure of terminal block
EP3082159A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component against an element
JP5903677B2 (ja) 表面実装コンタクト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10100639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61108

Effective date: 2018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