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4641A -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4641A
KR20150034641A KR20140127649A KR20140127649A KR20150034641A KR 20150034641 A KR20150034641 A KR 20150034641A KR 20140127649 A KR20140127649 A KR 20140127649A KR 20140127649 A KR20140127649 A KR 20140127649A KR 20150034641 A KR20150034641 A KR 201500346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opening
heat
radiator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7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키 후지이
히로키 시모다
아야 산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50034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6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0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in which the humidity of the air is exclusively affected by contact with the evaporator of a closed-circuit cooling system or heat pump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7Capillary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41Defrosting; Preventing freez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24F11/65Electronic processing for selecting an operating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 F24F2003/144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 F24F2003/145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by condensing heat extracted from the humid air for condensing is returned to the dr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제습 장치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와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다.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와 제 2 열교환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습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취출구까지의 제습 풍로와, 흡기구로부터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취출구까지의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바이패스 풍로에는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고, 개폐부에는 제어부가 접속되고, 제어부는 제빙 운전시에 압축기를 정지하는 동시에 송풍기를 운전하고, 개폐부를 개방한다.

Description

제습 장치{DEHUMIDIFIER}
본 발명은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각 제습을 실행하는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각 제습을 실행하는 제습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제 2005-21453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습 장치는, 흡기구와 취출구를 가지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냉동 사이클 장치와, 열교환부와,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다.
냉동 사이클 장치는 압축기와, 압축기의 하류에 순차적으로 마련한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와 제 2 열교환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송풍기에 의해서 흡기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로 흡기한 공기의 일부가 제 1 열교환 풍로,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취출구로 송풍되는 제습 풍로가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종래의 제습 장치에서는 저온 계절시, 흡열기에 있어서 제습했을 때에 발생하는 수분이 동결하여, 흡열기의 표면에 있어서 서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냉동 사이클의 운전이 정지되어 송풍기에 의한 송풍에 의해서만 서리를 녹이면,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습 장치의 서리 제거 능력을 높이고, 서리 제거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제습 장치는, 흡기구와 취출구를 가지는 본체 케이스와,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와, 송풍기를 구비하고 있다.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와 제 2 열교환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습 장치는, 흡기구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취출구까지의 제습 풍로와, 흡기구로부터 흡열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방열기를 거쳐서 취출구까지의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기에 의해서 흡기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로 흡기한 공기는, 제습 풍로와 제 1 바이패스 풍로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제 1 바이패스 풍로에는,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개폐부에는 제어부가 접속되고, 제어부는 제빙(deicing) 운전시에 압축기를 정지하여 송풍기를 운전하고, 개폐부를 개방한다.
이러한 제습 장치는, 제빙 운전시에 제 1 바이패스 풍로의 개폐부를 개방하여, 흡기구로부터 본체 케이스 내로 흡기한 공기의 일부를 제 1 열교환 풍로를 통하지 않고 직접 흡열기에 송풍한다. 그 결과, 흡열기로의 공기의 풍량이 증가하는 동시에, 흡열기에 송풍된 공기는 제 1 열교환 풍로에 대해 예랭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고온의 공기가 흡열기에 송풍되고, 흡열기에 부착한 서리가 효과적으로 녹여져서 서리 제거 시간이 단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개폐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제어부의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의 본체 케이스(1)는 상자 형상이다. 본체 케이스(1)의 외주면의 전방측(일방측)에는 흡기구(7)가 구비되고, 천장면의 배면측(타방측)에는 취출구(13)가 구비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 내에는, 히트 펌프 장치(30)와, 열교환부(6)와, 송풍기(10)가 구비되어 있다.
히트 펌프 장치(30)는 압축기(2), 방열기(3), 팽창부로서 모세관(capillary tube)(4), 및 흡열기(5)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이 이 순서로 냉매 배관(19)에 의해 접속되어, 냉동 사이클이 형성되어 있다. 흡열기(5)에 있어서, 제습 대상이 되는 공기가 냉각 제습된다. 방열기(3)와 흡열기(5)는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방열기(3)는 본체 케이스(1)에 있어서의 배면측(타방측) 근처에 위치하고, 흡열기(5)는 본체 케이스(1)에 있어서의 전면측(일방측)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열교환부(6)는 하면이 경사져 있다. 열교환부(6)는 흡열기(5)로부터 방열기(3)로의 풍로중에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열교환부(6)는 연직 방향의 풍로인 제 1 열교환 풍로(8)와, 수평 방향의 풍로인 제 2 열교환 풍로(9)를 가지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열교환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열교환부(6)는, 예를 들면 직교류형의 현열 교환기이며, 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열판(6a)과 제 2 전열판(6b)이 교대로 적층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풍기(10)는, 스크롤 형상의 케이싱부(14)와, 케이싱부(14)에 고정된 모터부(15)와, 모터부(15)에 의해서 회전하는 날개부(16)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14)는 흡입구(17)와 토출구(18)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17)는 방열기(3)에 대향하고 있다. 즉 흡열기(5)와, 열교환부(6)와, 방열기(3)와, 흡입구(17)는 일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송풍기(10)에 의해서 화살표 A, B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구(7)로부터 공기가 흡기된다. 화살표 A의 공기는, 제 1 열교환 풍로(8)의 열교환부(6)의 상면인 유입구(8a)로 유입되고, 이미 흡열기(5)에 의해 냉각 제습된 공기와 열교환해서 예랭되어, 열교환부(6)의 하면인 유출구(8b)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흡열기(5)를 통과하여 냉각 제습된다. 냉각 제습된 공기는, 제 2 열교환 풍로(9)의 열교환부(6)의 유입구(9a)로부터 다시 열교환부(6)에 들어가서, 유입구(8a)로부터 유입된 공기에 의해서 가열되어 유출구(9b)로부터 나와서 방열기(3)에 대해 한층 더 가열되어 송풍기(10)에 의해서 제습 장치 밖으로 송풍된다. 이 경로가 제습 풍로(11)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은 도 2의 흡열기(5)에 부착한 서리를 녹이는 제빙 운전에 있다. 이 제빙 운전은,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송풍기(10)가 운전된다. 구체적으로는 송풍기(10)에 의해서,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기한 공기(화살표 A)의 일부가 흡열기(5), 열교환부(6)의 제 2 열교환 풍로(9), 및 방열기(3)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취출구(13)로 송풍되는 제 1 바이패스 풍로(12)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송풍기(10)에 의해서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기된 공기는 제습 풍로(11)와 제 1 바이패스 풍로(12)로 나누어진다. 제습 풍로(11)는, 흡기구(7)로부터 제 1 열교환 풍로(8), 흡열기(5), 제 2 열교환 풍로(9), 및 방열기(3)를 거쳐서 취출구(13)까지의 풍로이다. 또한 제 1 바이패스 풍로(12)는, 흡기구(7)로부터 흡열기(5), 제 2 열교환 풍로(9), 및 방열기(3)를 거쳐서 취출구(13)까지의 풍로이다.
제 1 바이패스 풍로(12)에는, 제 1 바이패스 풍로(12)를 개폐하는 개폐부(21)가 마련되어 있다. 개폐부(21)에는, 제어부(20)가 접속되어 있다. 제빙 운전시에는 제어부(20)는, 압축기(2)를 정지하여 송풍기(10)를 운전하고,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를 개방한다.
즉 제어부(20)는, 제빙 운전시에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를 개방하여,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기한 공기(화살표 A)의 일부가 열교환부(6)의 제 1 열교환 풍로(8)를 통과하지 않고 직접 흡열기(5)에 송풍된다.
이 결과, 흡열기(5)로의 풍량이 증가한다. 게다가 직접 흡열기(5)에 송풍되는 공기는, 열교환부(6)의 제 1 열교환 풍로(8)에 대해 예랭되지 않기 때문에, 고온의 공기가 흡열기(5)에 송풍된다. 이것에 의해 흡열기(5)에 부착한 서리는 효과적으로 녹여진다. 그 때문에, 제습 장치의 서리 제거 능력이 높아져서, 서리 제거 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흡기구(7)로부터 개폐부(21)까지의 거리는, 제습 풍로(11)의 흡기구(7)로부터 열교환부(6)의 제 1 열교환 풍로(8)까지의 거리보다 짧다. 즉, 제습 풍로(11)보다 제 1 바이패스 풍로(12)는 통풍 저항이 작다. 그 때문에, 제 1 바이패스 풍로(12)에는 제습 풍로(11)보다 많은 공기가 흘러서, 흡열기(5)의 서리는 효과적으로 녹여진다.
또한,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가 개방되면, 제습 풍로(11)에 있어서의 흡기구(7)로부터 열교환부(6)의 제 1 열교환 풍로(8)까지의 사이에 개폐부(21)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개폐부의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부(21)는 개폐판부(24)와 회동 모터부(25)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폐판부(24)는 본체 케이스(1)의 전면측(일방측)과 흡열기(5) 사이에 마련되고, 상방으로 볼록 형상의 곡면판이다. 회동 모터부(25)에 의해서, 개폐판부(24)에 있어서의 흡열기(5)측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판부(24)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1)의 배면측(타방측)이 부앙(俯仰) 방향으로 회동한다. 개폐판부(24)가 앙각(仰角) 방향으로 회동하면 개폐부(21)는 개방되고, 개폐판부(24)가 부각(俯角) 방향으로 회동하면 개폐부(21)는 폐쇄된다. 여기서 개폐판부(24)가 앙각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부(21)가 개방되면, 개폐판부(24)의 적어도 일부가 제습 풍로(11)에 있어서의 흡기구(7)로부터 열교환부(6)의 제 1 열교환 풍로(8)까지의 사이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습 풍로(11)를 흐르는 공기(화살표 A)의 일부가 개폐부(21)의 개폐판부(24)에 의해서 제 1 바이패스 풍로(12)로 안내되어, 제 1 바이패스 풍로(12)를 흐르는 공기가 증가한다. 제 1 바이패스 풍로(12)에는 제습 풍로(11)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흡열기(5)의 서리는 보다 빨리 녹여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케이스(1)의 전면측의 일방측 상부에, 흡기구(7)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 케이스(1) 내의 전면측의 일방측으로부터 배면측의 타방측으로 순차적으로 흡열기(5), 열교환부(6), 방열기(3), 및 송풍기(10)가 구비되어 있다. 방열기(3)의 방열기 상단부(3a)는 흡열기(5), 열교환부(6), 및 폐쇄 상태의 개폐부(21)의 개폐부 상단부(21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게다가, 방열기(3)의 방열기 상부(3b)는 흡기구(7)와 대향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송풍기(10)에 의해서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기한 공기 중에, 화살표 B로 나타내는 공기는 방열기(3)를 거쳐서 취출구(13)에 송풍된다. 이것이 제 2 바이패스 풍로(22)가 되어 있다. 즉, 제 2 바이패스 풍로(22)는, 흡기구(7)로부터 흡열기(5)와 제 2 열교환 풍로(9)를 거치지 않고 방열기(3)를 거쳐서 취출구(13)까지의 풍로이다.
그 때문에, 송풍기(10)에 의해서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가, 열교환부(6)[제 1 열교환 풍로(8) 및 제 2 열교환 풍로(9)]와 흡열기(5)를 거치지 않고 방열기(3)에 송풍된다. 즉, 흡기구(7)로부터 본체 케이스(1) 내로 흡입된 공기는, 제습 풍로(11)를 통과하는 공기(화살표 A)와, 제 2 바이패스 풍로(22)를 통과하는 공기(화살표 B)로 나눠진다.
그 결과, 열교환부(6)와 흡열기(5)에 송풍되는 공기는 제습 능력이 최적인 풍량으로 유지되면서, 방열기(3)에 송풍되는 풍량이 증대되기 때문에, 제습 능력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한, 제 2 바이패스 풍로(22)는, 제습 풍로(11)보다 통풍 저항이 적은 풍로이기 때문에, 송풍기(10)의 출력 증가가 경감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방열기(3)의 방열기 상단부(3a)는 흡열기(5), 열교환부(6), 및 폐쇄 상태의 개폐부(21)의 개폐부 상단부(21a)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방열기(3)의 방열기 상부(3b)는 흡기구(7)와 대향하고 있다.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가 개방되면, 제 2 바이패스 풍로(22)에 있어서의 흡기구(7)로부터 방열기(3)까지의 사이로 개폐부(21)의 일부가 돌출한다.
즉, 개폐판부(24)가 앙각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폐부(21)가 개방되면, 개폐판부(24)의 적어도 일부가 제 2 바이패스 풍로(22)의 흡기구(7)로부터 방열기(3)까지의 풍로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제 2 바이패스 풍로(22)를 흐르는 공기(화살표 B)도, 개폐판부(24)에 의해서 제 1 바이패스 풍로(12)에 안내되어, 제 1 바이패스 풍로(12)를 흐르는 공기가 증가한다. 제 1 바이패스 풍로(12)에는 제습 풍로(11)보다 많은 공기가 흐르게 되므로, 흡열기(5)의 서리는 보다 빨리 녹여진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습 장치에는, 흡열기(5)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온도 측정부(23)의 측정치가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제어부(20)는 압축기(2)와 송풍기(10)의 운전을 실시하는 동시에,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를 폐쇄하는 제습 운전을 실시한다. 또한, 온도 측정부(23)의 측정치가 소정의 온도 이하의 경우에는, 제어부(20)는 압축기(2)를 정지하는 동시에 송풍기(10)를 운전하여,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를 개방하는 제빙 운전을 실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습 장치의 제어부의 흐름도이다. 제습 운전과 제빙 운전에 대해서 도 2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습 장치의 제습 운전이 개시되면, 제어부(20)에 의해서 제습 운전 시간이 계측된다. 이 제습 운전 시간이 Ts 시간 경과(도 5의 S1)하면, 제어부(20)는 온도 측정부(23)에 의해서 흡열기(5)의 온도를 측정하고, 이 온도 측정값(ts)과 소정의 온도인 t0를 비교한다(도 5의 S2).
여기서 제어부(20)는, 온도 측정값(ts)이 소정의 온도(t0)보다 높은 경우, 제습 운전을 계속하고 흡열기(5)의 온도 측정도 계속된다. 그리고 온도 측정값(ts)과 소정의 온도(t0)를 비교하여(도 5의 S2), 온도 측정부(23)의 온도 측정값(ts)이 소정의 온도(t0) 이하가 되었을 경우, 제어부(20)는 송풍기(10)를 운전하는 동시에 압축기(2)를 정지하고, 제 1 바이패스 풍로(12)의 개폐부(21)를 개방하는 제빙 운전(도 5의 S3)을 실시한다.
또한 소정의 온도(t0)는, 흡열기(5)에 서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온도인 -0.5℃로부터 +0.5℃의 범위이며, 0℃가 가장 좋다. 즉, 흡열기(5)의 온도는 서리가 발생하기 시작하는 온도가 되면, 제빙 운전을 하므로 서리는 신속하게 녹는다.
다음에 제어부(20)는, 이 제빙 운전의 운전 시간을 적산(積算)한다. 적산 시간(Td)과 소정의 제빙 운전 시간(T1)을 비교(도 5의 S4)한다. 여기서 제어부(20)는, 적산 시간(Td)이 소정의 제빙 운전 시간(T1)보다 짧으면, 온도 측정값(ts)과 소정의 온도(t0)를 비교한다(도 5의 S5). 그리고, 온도 측정값(ts)이 소정의 온도(t0)보다 낮은 경우, 제빙 운전을 계속하여 다시 적산 시간(Td)과 소정의 제빙 운전 시간(T1)을 비교(도 5의 S4)한다. 그리고 제어부(20)는, 온도 측정값(ts)이 소정의 온도(t0) 이상인 경우, 제빙 운전을 종료하고(도 5의 S6), 제습 운전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면 Ts=25분, T1=10분이다.
또한 온도 측정부(23)는 흡열기(5)의 흡열기 하부(5a)에 마련되어 있다. 즉, 제빙 운전시에는 흡열기(5)의 서리는 흡열기(5)의 상부부터 녹으므로, 온도 측정부(23)가 흡열기 하부(5a)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흡열기(5)의 서리가 녹았던 것이 확실히 검지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있어서, 압축기(2)로부터 나온 냉매는 방열기(3)의 하방으로부터 유입되어 상방으로 유출된다. 다음에 냉매는, 모세관(4)을 거쳐서 흡열기(5)의 상방으로부터 유입되어 하방으로 유출되고, 압축기(2)로 돌아온다. 즉, 도 2로부터도 분명한 바와 같이, 개폐부(21)가 개방되었을 때, 제 1 바이패스 풍로(12)를 거쳐서 실내의 따뜻한 공기가 흡열기(5)의 가장 저온의 부분으로 분출된다. 이것에 의해, 서리 제거가 효과적으로 실행된다.

Claims (6)

  1. 흡기구와 취출구를 가지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본체 케이스 내에 마련된 히트 펌프 장치와 열교환부와 송풍기를 구비하고, 상기 히트 펌프 장치는 압축기, 방열기, 팽창부, 및 흡열기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열교환부는 열교환을 실행하는 제 1 열교환 풍로와 제 2 열교환 풍로를 구비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풍로, 상기 흡열기, 상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취출구까지의 제습 풍로와,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흡열기, 상기 제 2 열교환 풍로, 및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취출구까지의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구비하며,
    상기 송풍기에 의해서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본체 케이스 내로 흡기한 공기는 상기 제습 풍로와 상기 제 1 바이패스 풍로로 나누어지고,
    상기 제 1 바이패스 풍로에는 상기 제 1 바이패스 풍로를 개폐하는 개폐부가 마련되는 동시에, 상기 개폐부에는 제어부가 접속되고,
    상기 제어부는 제빙 운전시에 상기 압축기를 정지하여 상기 송풍기를 운전하고, 상기 개폐부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바이패스 풍로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개폐부까지의 거리는 상기 제습 풍로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풍로까지의 거리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습 풍로에 있어서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제 1 열교환 풍로까지의 사이로 상기 개폐부의 일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스의 일방측 상부에 상기 흡기구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 케이스 내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순차적으로 상기 흡열기, 상기 열교환부, 상기 방열기, 및 상기 송풍기가 구비되고,
    상기 방열기의 방열기 상단부는 상기 흡열기, 상기 열교환부, 및 폐쇄 상태의 상기 개폐부의 개폐부 상단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흡열기와 상기 제 2 열교환 풍로를 거치지 않고 상기 방열기를 거쳐서 상기 취출구까지의 제 2 바이패스 풍로를 구비하며,
    상기 방열기의 방열기 상부는 상기 흡기구와 대향하고, 상기 개폐부가 개방되면, 상기 제 2 바이패스 풍로에 있어서의 상기 흡기구로부터 상기 방열기까지의 사이로 상기 개폐부의 일부가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열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소정의 온도보다 높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압축기와 상기 송풍기의 운전을 실시하는 동시에, 상기 개폐부를 폐쇄하는 제습 운전을 실행하고,
    상기 온도 측정부의 측정값이 소정의 온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빙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부는 상기 흡열기의 흡열기 하부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 장치.
KR20140127649A 2013-09-26 2014-09-24 제습 장치 KR201500346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99528 2013-09-26
JP2013199528A JP6286659B2 (ja) 2013-09-26 2013-09-26 除湿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641A true KR20150034641A (ko) 2015-04-03

Family

ID=52790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7649A KR20150034641A (ko) 2013-09-26 2014-09-24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86659B2 (ko)
KR (1) KR20150034641A (ko)
CN (1) CN104515226B (ko)
HK (1) HK1209171A1 (ko)
TW (1) TWI6505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6660B2 (ja) * 2013-09-26 2018-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6311110B2 (ja) * 2014-01-28 2018-04-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6646805B2 (ja) * 2015-10-09 2020-0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6723948B2 (ja) * 2017-03-23 2020-07-15 株式会社コロナ 一体型空気調和機
JP7336627B2 (ja) * 2019-01-29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324969B2 (ja) * 2019-03-15 2023-08-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308385B2 (ja) * 2019-03-1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7308386B2 (ja) * 2019-03-15 2023-07-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0628U (ko) * 1979-07-24 1981-02-24
JPS63135731A (ja) * 1986-11-26 1988-06-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除湿装置
JP2937090B2 (ja) * 1995-09-29 1999-08-23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
JP4273956B2 (ja) * 2003-12-22 2009-06-03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機の運転方法
JP2005188810A (ja) * 2003-12-25 2005-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乾燥機
JP4411986B2 (ja) * 2004-01-30 2010-02-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湿機
JP4563948B2 (ja) * 2006-03-07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節装置
CN102937310B (zh) * 2008-01-08 2014-12-2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除湿装置
JP5655310B2 (ja) * 2010-01-19 2015-01-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6259988B2 (ja) * 2013-01-24 2018-01-1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JP6286660B2 (ja) * 2013-09-26 2018-03-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209171A1 (en) 2016-03-24
JP6286659B2 (ja) 2018-03-07
TW201522875A (zh) 2015-06-16
CN104515226B (zh) 2019-06-14
TWI650517B (zh) 2019-02-11
JP2015062880A (ja) 2015-04-09
CN104515226A (zh) 2015-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641A (ko) 제습 장치
CN106196826B (zh) 风冷冰箱及其除湿方法
JP6723948B2 (ja) 一体型空気調和機
TWI674382B (zh) 除濕裝置
KR102015031B1 (ko) 공기조화기
US8939826B2 (en)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JP2009257709A (ja) 空気調和機
JP5472391B2 (ja) コンテナ用冷凍装置
JP201124072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US9718612B2 (en) Refrigeration device for container
JP7308385B2 (ja) 除湿装置
JP7308386B2 (ja) 除湿装置
JP5892907B2 (ja) 乾燥冷風装置
CN104848578B (zh) 空调器及空调器的控制方法
TWI647413B (zh) 除濕裝置
KR101899220B1 (ko) 공기 조화기
JP2012042193A (ja) 冷蔵庫
KR102418657B1 (ko) 전기차용 공기조화장치
JP2017040423A (ja) 空気調和装置
CN108266931B (zh) 一种热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6008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5267614B2 (ja) 冷蔵庫
JP2017156023A (ja) 空調装置
KR2018011595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0367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