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882B1 - 차량용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882B1
KR101600882B1 KR1020130026548A KR20130026548A KR101600882B1 KR 101600882 B1 KR101600882 B1 KR 101600882B1 KR 1020130026548 A KR1020130026548 A KR 1020130026548A KR 20130026548 A KR20130026548 A KR 20130026548A KR 101600882 B1 KR101600882 B1 KR 101600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insertion hole
air conditioning
thermistor
condition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2184A (ko
Inventor
변상철
김성현
김동균
김형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0882B1/ko
Publication of KR20140112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2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2Evapo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써미스터를 증발기의 하류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홀더를 공조케이스의 홀더삽입공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탄성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비직선형 타입의 홀더의 설치도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Air condition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써미스터를 증발기의 하류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홀더를 공조케이스의 홀더삽입공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탄성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비직선형 타입의 홀더의 설치도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 압축기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예컨대 팽창밸브(Expansion Valve),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 등이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차량 실내를 냉방한다.
차량 공조장치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로 송출하고, 응축기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로 보내어지고, 증발기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이상의 냉매순환과정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증발기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냉매의 순환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와 증발기내의 차가운 냉매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의 표면 온도가 더욱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가 결빙되는 결빙현상이 발생되고, 그 결과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의 코어 내부에 온도센서인 써미스터(Themistor)를 설치하여 증발기를 거쳐 나오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면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온도가 4℃ 이상으로 다시 올라가면 압축기를 다시 가동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여 증발기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써미스터(10)는 그 장착방식에 있어서 두가지 타입으로 구분되는데, 도 1과 같이 증발기(1)의 튜브 사이에 설치되어 방열핀(2)에 끼워 고정되는 타입과, 도 3과 같이 증발기(1)로부터 일정 거리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타입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써미스터(10)는 증발기(1)의 방열핀(2)과 그 사이에 끼워지는 써미스터 고정구(2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써미스터 고정구(20)는 일단부에 써미스터(10)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부(21)가 형성된 고리형상의 록킹부(22)와, 이 록킹부(22)의 하부에는 상기 방열핀(2) 사이에 삽입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후크(2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써미스터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써미스터(10)를 증발기(1)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 고정구(20)의 후크(23)를 증발기(1)의 방열핀(2) 사이에 삽입시키기 때문에, 그 삽입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방열핀(2)이 손상되거나, 방열핀(2)을 영구변형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방열핀(2)에 삽입된 후크(23)의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증발기(1)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써미스터 고정구(20)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써미스터 고정구(20)가 방열핀(2) 사이에 삽입된 최초의 위치에서 위치변동이 일어나거나 방열핀(2)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써미스터(10)가 증발기(1) 표면의 냉각온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게 됨으로써 에어컨 시스템의 성능저하 및 불량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더욱이, 상기 써미스터(10)의 단부에 연결된 케이블이 고정되지 않은채 증발기(1)를 가로질러 공조케이스 외부의 단자에 늘어진 상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증발기(1)로 전달되는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써미스터(10)의 고장으로 그 써미스터(10)를 정비 또는 교체할 경우, 상기 써미스터(10)를 증발기(1)로부터 분리하기 전에 공조케이스를 먼저 분해해야만 하므로, 써미스터(10)의 정비 또는 교체작업상에 곤란함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3과 같이 홀더(40)를 통해 상기 써미스터(10)를 증발기(1)의 하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발기(1) 하류의 공조케이스(30)의 일측면에 관통형성된 홀더삽입공(31)에 홀더(40)를 삽입하여 결합하고, 상기 공조케이스(30)의 내측으로 연장된 홀더(40)의 지지대(41)에는 상기 써미스터(10)를 고정되게 설치한 것이다.
이때, 상기 홀더(40)는 상기 홀더삽입공(31)에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각도 회전시킴으로서 고정 되게 되는데, 즉, 상기 홀더삽입공(31)에는 결합돌기(32)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40)의 외주면에는 홀더(40)를 회전 결합하도록 원주방향으로 결합홈(45)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40)를 상기 홀더삽입공(31)으로 삽입하게 되면, 상기 홀더삽입공(31)의 결합돌기(32)가 상기 홀더(40)의 결합홈(45)내에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홀더(4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게 되면 홀더(40)가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써미스터(10)의 케이블(11)은 상기 홀더(40)의 지지대(41)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써미스터(10) 및 케이블(11)이 이탈하거나 위치가 변동되지 않아 증발기(1) 표면의 냉각온도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써미스터(10)의 고장으로 인한 정비나 교체할 경우에도, 공조케이스(30)의 외측면에서 써미스터(10)의 교체작업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홀더(40)를 상기 홀더삽입공(31)에 삽입한 후 회전시켜 결합해야 하는 구조로 인해, 상기 홀더(40)의 지지대(41)가 직선형일 경우에만 제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즉, 상기 써미스터(10)는 통상 상기 증발기(1) 후방측에서 최저 온도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홀더(40)의 지지대(41)가 직선형이면 써미스터(10)의 위치 선정에 있어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써미스터(10)의 최적 위치 선정을 위해 상기 홀더(40)의 지지대(41)를 비직선형으로 형성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홀더(40)와 같이 회전 결합방식의 경우, 상기 홀더(40)의 지지대(41)를 비직선형(일예로 곡선형)으로 형성하면 상기 홀더(40)를 회전 결합하는 과정에서 홀더(40)의 지지대(41)가 상기 공조케이스(30)의 내부 구조물과 간섭이 발생하여 홀더(40)의 장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홀더삽입공(31)의 결합돌기(32)의 가이드를 위한 상기 홀더(40)의 결합홈(45)이 정확하게 형성되어 있어야 쉽게 장착이 되나, 상기 홀더(40)의 소재가 두꺼움으로 인해 사출성형시 상기 결합홈(45)이 미성형되거나 정확한 치수로 성형되지 않을 경우 장착이 불가능하거나 빡빡하여 장착이 어려운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써미스터를 증발기의 하류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홀더를 공조케이스의 홀더삽입공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탄성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여 조립작업이 간편하고, 비직선형 타입의 홀더의 설치도 가능한 차량용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증발기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홀더삽입공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써미스터를 고정하는 홀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공조케이스의 홀더삽입공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써미스터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결합부를 상기 홀더삽입공에 삽입시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써미스터를 증발기의 하류측에 고정 설치하기 위한 홀더를 공조케이스의 홀더삽입공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탄성결합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여 조립 및 분리 작업이 간편하고, 비직선형 타입의 홀더의 설치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탄성결합수단인 탄성부재를 곡면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홀더를 홀더삽입공에 삽입 완료하면 상기 탄성부재의 곡면부분이 상기 홀더삽입공의 단부에 걸리면서 홀더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홀더의 탈착이 용이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결합수단인 2개의 탄성부재를 통해 2개지점이 고정 지지되고, 지지대에 형성된 리브가 상기 홀더삽입공의 삽입홈부에 삽입되어 1개지점이 추가로 고정 지지되므로 상기 홀더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외측면에 형성된 리브에 의해 지지대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증발기에 써미스터가 고정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증발기에 써미스터를 고정하기 위한 써미스터 고정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공조케이스 측면에 고정되는 홀더를 통해 써미스터를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홀더가 홀더삽입공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홀더가 홀더삽입공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100)는, 일측(입구측)에 공기유입구(111)가 형성되고 타측(출구측)에는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가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111)와 공기토출구(116)를 연결하는 공기통로(110d)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 내부의 공기통로(110d)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온도조절도어(120) 및 모드도어(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12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에서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기통로(110d)상에 설치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바이패스하는 냉풍통로(P1)와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게 되고, 상기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상기 공기토출구(116)측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냉풍통로(P1)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에서부터 상기 공기토출구(116)를 연결하는 공기통로(110d)상에 형성되고, 상기 온풍통로(P2)는 상기 냉풍통로(P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히터코어(102)를 통과한 후 다시 상기 냉풍통로(P1)로 합류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는 좌,우로 분할 형성된 좌,우측케이스(110a,110b)가 조립되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케이스(110a,110b)의 하부에는 증발기(101)의 응축수를 원활하게 배출함과 아울러 응축수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일체형의 하부케이스(110c)가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측에는 송풍장치(106)가 설치된다.
상기 송풍장치(106)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유입구(111)에 연통하도록 연결되는 스크롤케이스(107)와,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내부에 설치되어 공기를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108)과, 상기 스크롤케이스(107)의 일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내,외기 전환도어(미도시)를 통해 내,외기유입구를 개폐하여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인테이크 덕트(미도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송풍장치(106)는, 상기 인테이크 덕트를 통해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로 송풍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과 같은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에서는 상기 송풍장치(106)의 스크롤케이스(107)가 공조케이스(110)와 함께 차량의 센터(중앙)측에 배치된다. 물론, 도면에는 센터 마운팅 타입 공조장치만 도시하였으나, 세미 센터 타입이나 좌,우 독립공조장치 등에도 본 발명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공기토출구(116)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112)와, 앞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113)와,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11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플로어 벤트(114)와, 상기 히터코어(102)의 후방측 온풍통로(P2)의 사이에는 구획벽(117)이 형성되어 서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와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에 설치된 엑츄에이터 또는 케이블타입 컨트롤러와 같은 구동수단(170)에 연결되어 작동하면서 상기 냉,온풍통로(P1)(P2)와 상기 각 벤트(112~114)의 개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모드도어(13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샤프트(131)와, 상기 기어샤프트(131)에 맞물림과 아울러 기어샤프트(131)의 회전시 슬라이딩 작동하면서 상기 공기토출구(116)의 개도를 조절하는 박판부재(1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드도어(130)의 박판부재(132)에는 공기토출구(116)의 개도 조절을 위해 개구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조절도어(120) 역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양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기어샤프트(121)와, 상기 기어샤프트(121)와 맞물림과 아울러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 사이의 공조케이스(110)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냉풍통로(P1) 및 온풍통로(P2)의 개도를 조절하는 박판부재(122)로 구성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온도조절도어(120) 및 모드도어(130)가 각각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도어로 구성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이 외에도 플랫 타입(flat type) 도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도록 써미스터(16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써미스터(160)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에 설치되되, 상기 증발기(101)의 가장 최저 온도인 지점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내의 증발기(101) 하류측에 설치된 써미스터(160)를 고정하도록 홀더(150)가 설치되는데, 따라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는 홀더삽입공(140)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홀더(150)는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삽입 결합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삽입공(140)이 위치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삽입공(140)을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시키는 연장부(145)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연장부(145)를 통해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길이를 연장시킴으로써 상기 홀더(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홀더삽입공(140)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외측면측에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45)의 내측에는 비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145)에 형성된 비원형 홀더삽입공(143)은,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평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사각형태와 비슷하게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홀더삽입공(140)은 원형 홀더삽입공(142) 부분과 비원형 홀더삽입공(143)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홀더(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51)와, 상기 결합부(151)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155)와, 상기 결합부(151)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삽입시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결합수단(15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151)에는 상기 연장부(145)의 비원형 홀더삽입공(142)으로 삽입되되 상기 비원형 홀더삽입공(142)의 상,하측면에 가이드되면서 밀착되는 삽입결합부(151a)가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부(151)에서 상기 삽입결합부(151a)를 제외한 부분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원형 홀더삽입공(141)에 삽입되고, 상기 삽입결합부(151a)는 상기 연장부(145)의 비원형 홀더삽입공(142)에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151)에서 상기 삽입결합부(151a)의 반대편측에는 작업자가 상기 홀더(150)를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5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55)는, 상기 써미스터(16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상기 결합부(151)의 일측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155)가 비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물론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비직선형으로는 곡선형 또는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형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55)의 끝단부측에 상기 써미스터(160)가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155)의 외측면에는 리브(15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브(156)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43)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5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150)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삽입하여 홀더(15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는데, 이때 후술하는 탄성결합수단(152)의 탄성부재(153) 2개를 통해 홀더(150)의 2개지점이 고정 지지되고, 상기 리브(156)가 상기 삽입홈부(143)에 삽입되어 1개지점이 추가로 고정 지지되므로 상기 홀더(15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2개의 탄성부재(153)와 상기 리브(156)는 서로 직각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리브(156)는 상기 지지대(155)의 외측면에서 지지대(155)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155)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55)의 리브(156) 반대측면에는, 상기 써미스터(160)에 연결된 케이블(161)을 수용하는 수용홈(157)이 형성된다.
즉, 상기 써미스터(160)의 케이블(161)을 상기 지지대(155)의 수용홈(157)에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차량의 진동에 의해 상기 케이블(161)의 위치가 변동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인한 소음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결합수단(152)은,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에 각각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탄성부재(153)를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3)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과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과 벌어진 상기 탄성부재(153)의 타단부는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릴 때 탈착이 용이하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홀더(150)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으로 밀어 넣으면,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 탄성부재(153)가 홀더삽입공(140)의 상,하측면에 맞닿으면서 지지대(155)측으로 탄력적으로 모아졌다가 상기 홀더(1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53)의 단부측 곡면부분이 상기 홀더삽입공(140)을 벗어나게 되면서 초기위치로 복위되어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탄성부재(153)의 단부측 곡면부분이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걸리면서 홀더(150)가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홀더(150)의 탈착이 용이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에 형성된 곡면형태의 탄성부재(153)로 인해 상기 홀더(150)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그대로 밀어 넣기만 하면 고정 장착되므로, 상기 지지대(155)가 비직선형일 경우라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또한 A/S를 위해 상기 홀더(150)를 공조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해야할 경우에도 용이하게 분리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153)는, 상기 홀더(1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연장부(145)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써미스터(160)를 상기 홀더(150)의 지지대(155) 끝단부측에 고정 설치하고, 상기 써미스터(160)의 케이블(161)은 상기 지지대(155)의 수용홈(157)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후, 상기 홀더(150)를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에 밀어넣어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홀더(150)의 지지대(155)가 비직선형이더라도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쉽게 밀어넣을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홀더(150)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밀어넣게 되면, 상기 홀더(150)의 결합부(151)가 상기 홀더삽입공(140)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삽입되고, 이때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 탄성부재(153)는 홀더삽입공(140)의 상,하측면에 맞닿으면서 지지대(155)측으로 탄력적으로 모아졌다가 상기 홀더(15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부재(153)의 단부측 곡면부분이 상기 홀더삽입공(140)을 벗어나게 되면서 초기위치로 복위되어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153)가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걸리게 되면, 상기 홀더(150)가 고정되게 되고 홀더(150)의 장착도 완료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150)를 공조케이스(1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홀더(150)의 손잡이(154)를 잡고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탄성부재(153)가 모아지게 되므로 상기 홀더(150)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100)가 냉방모드로 가동될 경우, 상기 증발기(101)의 내부에는 차가운 냉매가 유동하게 되어 증발기(101)를 통과하는 공기를 차갑게 냉각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써미스터(160)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냉기의 온도를 검출하여 미도시된 제어부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제어부는 써미스터(160)로부터 전송된 온도에 따라 증발기(101)가 빙결되지 않도록 에어컨 시스템을 적절히 제어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홀더(150)를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에 삽입시 삽입방향으로 밀어넣기만 하면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탄성결합수단(152)을 구비한 구성을 센터마운팅 타입 공조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세미 센터 타입 공조장치, 쓰리피스 타입 공조장치, 좌,우 독립 공조장치 등 다양한 공조장치에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할 수 있으며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공기유입구 116: 공기토출구
120: 온도조절도어 130: 모드도어
140: 홀더삽입공 143: 삽입홈부
145: 연장부 150: 홀더
151: 결합부 151a: 삽입결합부
152: 탄성결합수단 153: 탄성부재
154: 손잡이 155: 지지대
156: 리브 157: 수용홈
160: 써미스터 161: 케이블

Claims (9)

  1. 내부에 증발기(101)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16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홀더삽입공(140)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하는 홀더(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51)와,
    상기 결합부(151)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155)와,
    상기 결합부(151)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삽입시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결합수단(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결합수단(152)은,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에 각각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는 탄성부재(153)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홀더삽입공(140)이 위치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홀더삽입공(140)을 공조케이스(110)의 내측방향으로 연장시키는 연장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3)는 상기 연장부(145)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리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부(145)에 형성된 홀더삽입공(140)은, 상,하,좌,우측면에 각각 평면을 갖는 비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51)에는, 상기 연장부(145)의 홀더삽입공(140)으로 삽입되되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상,하측면에 가이드되면서 밀착되는 삽입결합부(15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3)의 일단부는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지지대(155)의 상,하측면과 점차 벌어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53)의 타단부는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단부에 탄력적으로 걸릴 때 탈착이 용이하도록 곡면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55)는, 비직선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8. 내부에 증발기(101)가 설치되는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써미스터(16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측면에 관통 형성된 홀더삽입공(140)을 통해 삽입 결합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하는 홀더(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홀더(150)는,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홀더삽입공(140)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부(151)와,
    상기 결합부(151)의 일측면에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측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어 상기 써미스터(160)를 고정 지지하는 지지대(155)와,
    상기 결합부(151)를 상기 홀더삽입공(140)에 삽입시 탄력적으로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탄성결합수단(1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대(155)의 외측면에는 리브(156)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홀더삽입공(140)의 내측면에는 상기 리브(156)가 삽입되는 삽입홈부(143)가 형성되어, 상기 홀더(150)의 위치를 고정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55)의 리브(156) 반대측면에는, 상기 써미스터(160)에 연결된 케이블(161)을 수용하는 수용홈(15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30026548A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008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48A KR101600882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548A KR101600882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84A KR20140112184A (ko) 2014-09-23
KR101600882B1 true KR101600882B1 (ko) 2016-03-08

Family

ID=51757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548A KR101600882B1 (ko) 2013-03-13 2013-03-13 차량용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08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9643B (zh) * 2022-04-29 2024-05-03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车载空调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1563B2 (ja) * 1996-01-19 2002-11-05 株式会社デンソー センサ取付構造
KR101263695B1 (ko) * 2010-11-30 2013-05-1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2184A (ko) 201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34641A (ko) 제습 장치
KR1012636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274835B2 (en) Air conditioner
KR101242585B1 (ko) 증발기용 써미스터 장착구조
KR1016008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418657B1 (ko) 전기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261335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7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5001913U (zh) 空调器室内机
KR102598391B1 (ko) 차량용 공조 시스템
KR1022069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2108693U (zh) 立式空调室内机
KR100531355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팬모터 고정장치
JP2005053474A (ja) 車両用冷却ファンの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KR1020567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3300248U (zh) 空调室内机
KR2017004422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CN219510900U (zh) 空调器
US20220252300A1 (en) Ducted air conditioner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217004681U (zh) 离心风扇和具有其的空调器
JP2005257139A (ja) 空調装置
KR1026260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2425350B1 (ko) 차량용 냉난방 시스템
KR102217541B1 (ko) 에어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