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4222A -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4222A
KR20170044222A KR1020150143191A KR20150143191A KR20170044222A KR 20170044222 A KR20170044222 A KR 20170044222A KR 1020150143191 A KR1020150143191 A KR 1020150143191A KR 20150143191 A KR20150143191 A KR 20150143191A KR 20170044222 A KR20170044222 A KR 20170044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istor
evaporator
case
air conditioning
suppor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947B1 (ko
Inventor
김인혁
강인근
고재우
오승규
한규익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3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947B1/ko
Publication of KR20170044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4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01K1/143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for measuring surface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9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housings, mountings, conversion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G01K7/2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the element being a non-linear resistance, e.g. thermis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2001/2246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otherwise than from the propulsion plant obtaining information from a variable, e.g. by means of a sens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를 장착하는 공정에서 써미스터와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동 공정에 적합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공조장치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증발기(101)에 삽입되는 센서(111)가 고정되는 센서삽입부(120)와, 상기 센서삽입부(12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홀더(122)와, 상기 지지홀더(122)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30)에 결합되는 결합부(150) 및 상기 지지홀더(122)를 상기 증발기(10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증발기(101)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홀더(122)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이를 이용한 써미스터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THEMISTOR MOUNTING UNIT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ND THEMISTOR MOUNTING METHOD}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써미스터를 장착하는 공정에서 써미스터와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 간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동 공정에 적합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공조장치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고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 실드에 끼게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가 전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시스템과 냉방시스템을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여 그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한 다음 자동차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 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한다.
이러한 공조장치의 일반적인 냉동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여 송출하는 압축기(COMPRESSOR), 압축기에서 송출되는 고압의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CONDENSER),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액화된 냉매를 교축하는 예컨대 팽창밸브(EXPANSION VALVE), 그리고, 상기 팽창밸브에 의해 교축된 저압의 액상 냉매를 차량 실내측으로 송풍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증발시킴으로써 냉매의 증발잠열에 의한 흡열작용으로 실내에 토출되는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EVAPORATOR) 등이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다음과 같은 냉매 순환과정을 통하여 차량 실내를 냉방한다.
차량 공조장치의 냉방스위치(미도시)가 온(ON) 되면, 먼저 압축기가 엔진의 동력으로 구동하면서 저온 저압의 기상 냉매를 흡입, 압축하여 고온 고압의 기체 상태로 응축기로 송출하고, 응축기는 그 기상 냉매를 외기와 열교환하여 고온 고압의 액체로 응축한다. 이어, 응축기에서 고온 고압의 상태로 송출되는 액상 냉매는 팽창밸브의 교축작용으로 급속히 팽창되어 저온 저압의 습포화 상태로 증발기로 보내어지고, 증발기는 내부를 유동하는 냉매를 블로어(미도시)가 차량 실내로 송풍하는 공기와 열교환시킨다. 이에 냉매는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저온 저압의 기체 상태로 배출되고 다시 압축기에 흡입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냉동사이클을 재순환하게 된다. 이상의 냉매순환과정에 있어서, 차량 실내의 냉방은 상술한 바와 같이 블로어(미도시)가 송풍하는 공기가 상기 증발기를 거치면서 증발기내를 순환하는 액상 냉매의 증발 잠열로 냉각되어 차가워진 상태로 차량 실내에 토출됨으로써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응축기와 팽창밸브의 사이에는 기상과 액상의 냉매를 분리하는 리시버드라이어(미도시)가 설치되어 상기 팽창밸브로 액상의 냉매만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냉매의 순환과정에서 증발기의 표면에는 증발기를 통과하는 더운 공기와 증발기내의 차가운 냉매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수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증발기의 표면 온도가 더욱 하강할 경우에는 상기 응축수가 결빙되는 결빙현상이 발생되고, 그 결과 증발기의 열교환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증발기의 코어 내부에 온도센서인 써미스터(THEMISTOR)를 설치하여 증발기를 거쳐 나오는 냉기의 온도를 감지하여 온도가 0℃ 이하로 떨어지면 압축기의 가동을 중지시켜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중지시키고, 온도가 4℃ 이상으로 다시 올라가면 압축기를 다시 가동하여 에어컨 시스템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하여 증발기가 결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써미스터의 센서(11)가 증발기(1)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써미스터의 센서(11)는 증발기(1)의 냉각핀(2)과 그 사이에 끼워지는 써미스터 고정구(20)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 써미스터 고정구(20)는 일단부에 써미스터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삽입부(21)가 형성된 고리형상의 록킹부(22)와, 이 록킹부(22)의 하부에는 상기 냉각핀(2) 사이에 삽입되도록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복수개의 후크(23)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써미스터 고정구(20)를 이용하여 써미스터(10)를 증발기(1)에 설치하는 경우, 상기 써미스터 고정구(20)의 후크(23)를 증발기(1)의 냉각핀(2) 사이에 삽입시키기 때문에, 그 삽입작업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냉각핀(2)이 손상되거나, 냉각핀(2)을 영구변형시킬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기 냉각핀(2)에 삽입된후크(23)의 지지력이 약하게 되어 증발기(1)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압에 의해 상기 써미스터 고정구(20)가 흔들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써미스터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써미스터 (10)는 센서(11)를 고정하는 센서고정구(20)와 상기 센서(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와이어(WIRE; 40)와, 공조케이스(도 3을 참조; 2, 3)의 일측 측면에 결합되어 와이어(40)를 외부로 안내하는 결합부(50) 및 상기 결합부(50)의 외측으로 연결되어 공조케이스 외부의 제어장치(미도시됨)와 접속되는 커넥터(CONNECTOR; 52(도 3을 참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센서고정구(20)는, 센서(11)를 감싸는 프로텍터(22)의 후방부를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는 원통형의 센서홀더(SENSOR HOLDER; 24)를 포함한다.
센서고정구(20)의 일측에는 증발기(1)를 향해 연장되어 증발기(1)의 냉각핀의 단부에 걸리는 걸림턱(33a)을 갖는 고정편(3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써미스터 (10)가 공조케이스(2, 3)에 조립된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써미스터(10)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케이스(2)와 하부케이스(3)가 분해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온도센서(11)를 센서고정구(20)에 고정한 다음에 고정편(30)을 증발기(1)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온도센서(11)가 고정된 증발기(1)를 상부케이스(2)에 조립한 후 상부케이스(2)에 하부케이스(3)를 조립하는 순서로 공정이 진행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써미스터(10)는 센서고정부(20)와 공조케이스(2, 3)에 결합되는 결합부(50) 사이에는 취급이 매우 까다로운 와이어(40)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와이어(40)에 의해 써미스터(10)를 증발기(1)에 고정하는 공정과, 써미스터(10)가 고정된 증발기(1)를 상, 하부케이스(2, 3)에 조립하는 공정이 모두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수동 공정에 의해 공수가 증대되고 조립성이 저하되어, 결국, 공조장치의 생산성을 저하시키고, 공조장치 조립 공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입하여 제조 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108581호(공개일자: 2004.12.24) 한국공개특허 제10-2006-0117507호(공개일자: 2006.11.17)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및 공조케이스에 써미스터를 조립 시 센서로 연결되는 와이어 구조에 의해 조립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자동 공정에 적용이 적합한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써미스터와 공조케이스의 조립성 개선에 의해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제품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발기에 삽입되는 센서가 고정되는 센서삽입부와, 상기 센서삽입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공조케이스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지지홀더를 상기 증발기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증발기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홀더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이를 이용한 써미스터 장착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에 따르면, 써미스터와 공조케이스 간의 유기적인 결합 구조에 의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화 공정에 적용이 유리하여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며, 제품의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에 의한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한 조립이 가능하며, 기존의 수동 조립에 대비하여 써미스터의 오조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써미스터에 와이어를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써미스터의 장착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 공정도 쉽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써미스터 유닛의 센서가 증발기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써미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및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써미스터가 공조케이스에 조립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가 공조케이스에 조립된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써미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써미스터를 공조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써미스터를 공조케이스에 조립하기 위한 구조를 공조케이스의 저면 방향에서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써미스터가 공조케이스 내부에 조립되는 다른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써미스터(100)가 공조장치에 조립된 구조를 나타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써미스터(10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써미스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30)에 장착되는 증발기(101)의 뒤쪽에 지지홀더(122)를 매개로 센서(111)를 설치하여 센서(111)에 의해 증발기(101)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공조케이스(130)는 입구측에 공기유입구(230)가 형성되고 출구측에는 복수의 공기토출구(미도시함)가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30)와 공기토출구를 연통시키도록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통로상에는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미도시함)가 설치되며, 공기유입구(230) 측에는 공조케이스(130)의 내부로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닛(300)이 연결된다.
공조케이스(130)는 제1케이스(132)와 제2케이스(134)가 2개로 분할된 구조로 형성된다.
참고로, 일반적인 공조케이스(130)는 상부에 위치되어 내부에 히터코어(미도시함)와 증발기(101)가 설치되는 상부케이스와, 상부케이스의 증발기(101)의 전방 하부에 조립되어 송풍유닛(300)으로부터 공기를 유입시키는 부분인 하부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제1케이스(132)가 상부케이스이고, 제2케이스(134)는 하부케이스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제1케이스(132)는 좌우 독립식 공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세퍼레이터(미도시함)에 의해 좌우로 분할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조케이스(130)는 제1케이스(132)의 내부에 증발기(101)와, 히터코어와, 복수의 도어 및 써미스터(100) 등을 설치한 후 제2케이스(134)를 덮도록 조립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써미스터(100)는 지지홀더(122)에 형성된 고정편(115)이 상기한 증발기(101)에 삽입 고정되는 동시에 공조케이스(130)의 제1케이스(132)와 제2케이스(134)의 조립시 형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3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삽입부(120)와, 지지홀더(122)와, 결합부(150) 및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센서삽입부(120)는 센서(111)를 고정하여 써미스터(10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증발기(101)를 향하는 센서(111)의 후방을 홀더에 억지키움으로 삽입하여 고정하거나, 볼트 등의 결합수단을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11)는 공조케이스의 내부의 증발기(101)의 냉각핀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증발기(101)의 온도 또는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 온도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홀더(122)는 센서삽입부(120)로부터 공조케이스(130)의 일측 측면으로 연장 형성되어 센서삽입부(120)에 고정된 센서(111)를 증발기(101) 상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후술될 와이어(140)를 내부에 삽입하여 공조케이스(130)의 외부로부터 센서(111)로 연결되도록 안내한다.
이를 위해, 지지홀더(122)는 상기한 와이어(140)를 내부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삽입홈(128)이 구비된다.
와이어삽입홈(128)은 지지홀더(122)의 증발기(101) 측에 위치되는 바닥면(124)과, 이 바닥면(124)의 양측에서 각각 증발기(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126)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삽입홈(128)에 삽입되는 와이어(140)는 센서(111)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지지홀더(122)를 따라서 공조케이스(130)의 일측 측면을 관통한 후 외부로 이어진다.
결합부(150)는 공조케이스(130)의 일측 측면으로 연장된 지지홀더(122)의 끝 부위에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30)의 수용부(330)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공조케이스(130)의 수용부(330)은 제1케이스(132)와 제2케이스(134)조립시 접촉을 이루는 부위의 형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150)는 예컨데, 사각형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지지홀더(122)의 내부로 연장되는 와이어(140)를 공조케이스(130)의 외부로 관통시킬 수 있도록 하는 관통홀(미도시됨)이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부(150)의 외측에는 공조케이스(130)의 외부에 위치되어 써미스터(100)로부터 공조케이스(130)의 외부로 이어지는 와이어를 써미스터 작동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180)가 형성된다.
참고로, 써미스터 작동부는 써미스터의 센서(111)에 의해 측정된 증발기(101)의 온도에 따라서, 공조장치의 작동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가 결합되는 부위인 공조케이스(130)의 수용부(330)는 제1, 2케이스(132, 134)를 조립시 제1, 2케이스(132, 134)에 각각 형성된 상부홈(332)과 하부홈(334)이 서로 마주하여 겹쳐지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써미스터(100)를 이루는 센서삽입부(120)와, 지지홀더(122) 및 결합부(150)는 플라스틱 소재를 사출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수단은 증발기(101)를 향하는 지지홀더(122)의 일측에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30)를 조립하기 전에 써미스터(100)를 증발기(101)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홀더(122)로부터 증발기(101)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증발기(101)의 냉각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편(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편(115)은 연장된 부위에 증발기의 냉각핀에 걸림이 이루어지는 복수의 고정턱(115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한 지지홀더(122)의 와이어삽입홈(128)에 삽입된 와이어(1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210)은 와이어삽입홈(128)의 개구부에 위치되는 양 벽면(126)의 어느 일측로부터 개구부를 가로질러 다른 일측의 벽면(126)에 인접하는 위치로 연장되며, 이러한 걸림턱(210)은 지지홀더(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복수개가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와이어삽입홈(128)의 개구부에 상기한 걸림턱(210)이 형성되는 경우, 와이어삽입홈(128)의 내부로 와이어(140)를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홈(2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홈(220)은 상기한 걸림턱(210)이 연장된 끝단에 각각 대응되는 어느 일측의 벽면(126)에 복수로 형성되어, 걸림턱(210)이 연장된 끝단의 주위를 벽면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와이어(140)를 측면홈(220)에 끼워 넣고 빼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삽입 및 분리시키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기한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 장착방법의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의 작용을 동시에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를 공조케이스(130)에 장착하기 위한 구조를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써미스터(100)가 공조케이스 내부에 조립되는 다른 일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지지홀더(122)에 형성된 고정편(115)을 증발기(101)의 냉각핀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는 제1단계와, 써미스터(100)가 고정된 증발기(101)를 공조케이스(130)의 제1케이스(132)에 조립하는 제2단계 및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를 제1, 2케이스(132, 134)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330)에 결합되도록 제2케이스(134)를 조립하는 제3단계 순으로 장착될 수 있다.
써미스터(100)가 고정된 증발기(101)를 제1케이스(132)에 조립하는 제2단계에서는 써미스터(100)에 형성된 결합부(150)를 상기한 제1케이스(132)에 형성되는 상부홈(332)에 삽입하여 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조립한다.
이때, 공조케이스(130)의 일측 측면에 위치되는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는 제1케이스(132)의 상부홈(332)에 삽입하는 동시에 써미스터(100)의 센서(111)와 고정수단이 증발기(101)에 삽입되어 가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센서(111)에 연결되는 와이어(140)가 와이어삽입홈(128)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홀더(122)에 형성된 고정편(115)을 증발기(101)의 냉각핀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므로, 증발기(101) 및 공조케이스(130) 간의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가 제1케이스(132)의 일측 측면에 형성된 상부홈(332)으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으므로, 자동 공정화에 매우 적합한 특징이 있다.
또한, 제2케이스(134)를 조립하는 3단계에서는 제1케이스(132)의 상부홈(332)에 일측이 삽입된 결합부(150)가 제2케이스(134)에 형성된 하부홈(334)에 삽입되도록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제1케이스(132)의 상부홈(332)과 제2케이스(134)의 하부홈(334)은 각각 하프홈 형태로 구성되어 상, 하부홈(332, 334)이 형합에 의해 수용부(330)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홈(332)에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가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제2케이스(134)가 제1케이스(132)의 상부홈(332)에 삽입된 결합부(150)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32)에 제2케이스(134)를 조립 완료하면, 증발기(101)에 고정된 써미스터(100)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제1, 2케이스(132, 134) 사이에 결합부(150)가 동시에 결합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한 써미스터(100)는 공조케이스(130)의 외측면에 가거치된 상태로 조립공정으로 투입되도록 하여, 써미스터(100)를 별도로 공급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조케이스(130)를 이루는 제1, 2케이스(132, 134) 중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써미스터(100)를 가거치시키기 위한 고정구(125)를 형성하고, 써미스터(100)의 지지홀더(122)에는 상기한 고정구(125)에 끼워 가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거치부(222)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제1, 2케이스(132, 134)와 함께 써미스터(100)가 조립공정으로 동시에 공급되며, 제1, 2케이스(132, 134)를 조립하기 전에 가거치된 써미스터(100)를 탈거하여 증발기(101)에 삽입 고정한 후 자동 공정에 의해 증발기(101)와 제1, 2케이스(132, 134)를 조립한다.
뿐만 아니라, 제1단계에서 와이어(140)가 삽입된 써미스터(100) 및 제2단계에서의 써미스터(100)가 고정된 증발기(101)도 각각 자동화 공정으로 조립하여, 써미스터(100)를 장착하기 위한 전 공정을 자동화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증발기(101)와 제1, 2케이스(132, 134)가 각각 유기적으로 결합되는 구조가 적용됨으로써, 써미스터(100)의 조립을 위한 공정들을 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와이어삽입홈(128)에 와이어(140)가 삽입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210)이 더 구비됨으로써, 써미스터(100)를 증발기(101)에 고정하는 과정과, 써미스터(100)가 고정된 증발기(101)를 공조케이스(130)에 조립하는 과정에서 각각 와이어(140)가 외부로 이탈될 염려가 없으며, 와이어(140)와 공조케이스(130) 사이에 간섭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턱(210)이 연장된 끝단에는 측면홈(220)이 형성되어, 써미스터(100)에 와이어(140)를 삽입하는 작업 및 와이어(140)의 유지 보수를 위해 써미스터(100)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써미스터(100)는 조립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으며, 자동화 공정에 특히 적합하여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 방안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써미스터(100)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써미스터 101: 증발기
111: 센서 113: 센서삽입부
115: 고정편 122: 지지홀더
124: 바닥면 126: 벽면
128: 와이어삽입홈 130: 공조케이스
132: 제1케이스 134: 제2케이스
140: 와이어 150: 결합부
210: 걸림턱 220: 측면홈

Claims (12)

  1. 증발기(101)에 삽입되는 센서(111)가 고정되는 센서삽입부(120);
    상기 센서삽입부(120)로부터 연장되는 지지홀더(122);
    상기 지지홀더(122)의 끝단부에 형성되어 공조케이스(130)에 결합되는 결합부(150); 및
    상기 지지홀더(122)를 상기 증발기(101)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증발기(101)에 삽입하여 상기 지지홀더(122)를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케이스(130)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부(150)에 대응되는 수용부(330)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지지홀더(122)로부터 상기 증발기(101)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증발기(101)의 냉각핀에 걸림되는 고정편(11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삽입부(120)와 상기 지지홀더(122)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122)는,
    상기 센서(111)로부터 상기 공조케이스(130)의 외부로 이어지는 와이어(140)를 내측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와이어삽입홈(128); 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122)는, 상기 공조케이스(130)의 외측면에 가거치된 상태로 조립공정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가거치부(22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홈(128)은,
    상기 증발기(101) 측에 위치되는 바닥면(124); 및 상기 바닥면(124)의 양측에서 각각 상기 증발기(101)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개구부를 형성하는 벽면(126); 으로 이루어져, 상기 벽면(126)의 내부로 와이어(140)를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홈(128)은,
    상기 개구부에 위치되는 어느 일측의 상기 벽면(126)으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가로질러서 다른 일측의 상기 벽면(126)으로 연장되어, 상기 와이어(1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걸림턱(210); 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삽입홈(128)은,
    상기 걸림턱(210)이 연장된 끝단에 각각 대응되는 상기 벽면(126)의 어느 일측에 복수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210)이 연장된 끝단이 상기 벽면(126)의 외부로 각각 노출되도록 하는 측면홈(220); 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10. 증발기(101)에 써미스터 (100)를 고정하는 제1단계;
    상기 써미스터(100)가 고정된 상기 증발기(101)를 공조케이스(130)의 제1케이스(132)에 조립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1케이스(132)에 제2케이스(134)를 조립하되, 상기 제1, 2케이스(132, 134)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수용부(330)에 상기 써미스터(100)에 형성된 결합부(150)가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조립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조립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는,
    상기 공조케이스(130)의 외측면에 상기 써미스터(100)가 가거치된 상태로 공급한 후 상기 공조케이스(130)로부터 상기 써미스터(100)를 탈거하여 상기 증발기(101)에 삽입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조립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에서는,
    상기 써미스터(100)의 결합부(150)가 상기 제1케이스(132)에 형성되는 수용부(330)에 삽입되도록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조립방법.
KR1020150143191A 2015-10-14 2015-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KR102422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91A KR102422947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191A KR102422947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4222A true KR20170044222A (ko) 2017-04-25
KR102422947B1 KR102422947B1 (ko) 2022-07-21

Family

ID=5870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191A KR102422947B1 (ko) 2015-10-14 2015-10-14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9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9A (ko) * 2019-01-30 2020-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써미스터 고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639Y2 (ja) * 1992-07-23 1997-09-03 株式会社ゼクセル 温度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20040108581A (ko) 2003-06-10 2004-12-2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증발기의 서미스터 조립구조
JP2005326367A (ja) * 2004-05-17 2005-11-24 Denso Corp フィン温度センサ
KR20060117507A (ko) 2005-05-11 2006-11-1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 장착구조
JP2009024980A (ja) *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熱交換器用温度センサ
KR20110085329A (ko) * 2010-01-20 2011-07-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86977B1 (ko) * 2008-09-08 2015-02-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서미스터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639Y2 (ja) * 1992-07-23 1997-09-03 株式会社ゼクセル 温度センサの取付け構造
KR20040108581A (ko) 2003-06-10 2004-12-2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증발기의 서미스터 조립구조
JP2005326367A (ja) * 2004-05-17 2005-11-24 Denso Corp フィン温度センサ
KR20060117507A (ko) 2005-05-11 2006-11-1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 장착구조
JP2009024980A (ja) * 2007-07-23 2009-02-05 Denso Corp 熱交換器用温度センサ
KR101486977B1 (ko) * 2008-09-08 2015-02-0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의 서미스터 장착구조
KR20110085329A (ko) * 2010-01-20 2011-07-27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89A (ko) * 2019-01-30 2020-08-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써미스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947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69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5730B1 (ko) 차량용 증발기의 서미스터 조립구조
KR20170044222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써미스터 및 써미스터 장착방법
KR102587983B1 (ko) 수냉식 컨덴서와 이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102418657B1 (ko) 전기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1151510B1 (ko)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 장착구조
KR10220697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78702B1 (ko) 차량 공조장치의 증발기 온도센서의 장착구조
KR10160088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01173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587984B1 (ko) 수냉식 컨덴서와 이를 이용하는 전기자동차용 냉난방 시스템
KR20070038228A (ko)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 장착구조
KR102626005B1 (ko) 차량용 공조장치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3135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7936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5519B1 (ko) 차량용 증발기의 온도센서 홀딩장치
KR20170082673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증발기 냉매 공급유닛
KR1020567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218936599U (zh) 空调器室内机
KR2016011072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960663B1 (ko) 차량 증발기용 온도센서장치 및 차량용 공조장치
KR200282154Y1 (ko)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 조립구조
KR200356155Y1 (ko) 증발센서 고정구
KR200341734Y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리시버 드라이어
KR20040098829A (ko) 증발기의 온도센서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